KR20080061882A - 표면에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에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882A
KR20080061882A KR1020060137045A KR20060137045A KR20080061882A KR 20080061882 A KR20080061882 A KR 20080061882A KR 1020060137045 A KR1020060137045 A KR 1020060137045A KR 20060137045 A KR20060137045 A KR 20060137045A KR 20080061882 A KR20080061882 A KR 2008006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mer particles
functional group
amino
polymer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8170B1 (ko
Inventor
박도연
구종민
전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3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1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방 도전성 접착재료의 도전성 입자의 심재, LCD의 스페이서, 진단약 및 의약품의 담체 등에 사용 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은 (S1)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를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케톤계 용매,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분산시켜 고분자 입자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S2) 2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아민기로 된 제1 작용기 및 아민기, 티올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제2 작용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상기 고분자 입자 분산액에 첨가하여,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의 에스테르부와 다관능성 화합물의 아민기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값비싼 반응성 단량체나 촉매 및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다양한 작용기가 표면에 도입된 고분자 입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작용기 함유 고분자 입자는 고분자 입자의 고유의 물성이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아크릴계 가교 고분자, 다관능성 화합물, 메틸 에틸 케톤, 무촉매

Description

표면에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A FUNCTIONAL GROUP}
본 발명은 이방 도전성 접착재료의 도전성 입자의 심재, LCD의 스페이서, 진단약 및 의약품의 담체, 크로마토그래피용 담체, 화장품 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방 도전성 접착재료의 도전성 입자의 심재, LCD의 스페이서, 진단약 및 의약품의 담체, 크로마토그래피용 담체, 화장품 첨가제 등으로서, 아민기를 비롯한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고분자 입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용기를 갖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중합조건에 따라 입자의 크기와 단분산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재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상업적으로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단량체를 따로 제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시드 고분자 입자를 제조한 다음, 별도로 관능기를 갖는 입자를 제조하여 혼성화 시스템으로 시드 고분자 입자 표면에 관능기를 갖는 입자를 입히는 방 법이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56326 참조).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드 고분자 입자와 관능기를 갖는 입자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므로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혼성화 시스템이 필요하므로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능기를 갖는 입자의 두께만큼 전체 입자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관능기를 갖는 입자 크기의 세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661호에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가교 고분자 입자를 함금속 에스테르 교환반응용 촉매를 이용하여 아민기를 갖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제조방법은 크실렌, 시클로헥실 벤젠과 같은 비반응성 용매를 조용제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나, 아민기를 고분자 입자의 표면에 도입시 반드시 촉매를 이용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값비싼 반응성 단량체나 촉매 및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다양한 작용기가 표면에 도입된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분자 입자의 고유의 물성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작용기를 고분자 입자에 도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은 (S1)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를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케톤계 용매,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분산시켜 고분자 입자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S2) 2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아민기로 된 제1 작용기 및 아민기, 티올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제2 작용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상기 고분자 입자 분산액에 첨가하여,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의 에스테르부와 다관능성 화합물의 아민기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값비싼 반응성 단량체나 촉매 및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다양한 작용기가 표면에 도입된 고분자 입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작용기 함유 고분자 입자는 고분자 입자의 고유의 물성이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S2) 단계에 따라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의 에스테르부와 다관능성 화합물의 아민기를 반응시키는 단계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즉, 무촉매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중합된 가교 고분자 입자 또는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가교제의 공중합체로 된 가교 고분자 입자를 사용할 수 있고, 다관능성 화합물로는 에틸렌 디아민 (ethylene diamine), 프로필렌 디아민(propylene diamine), 디에틸 트리아민 (diethyl triamine), 1,4-디아미노 부탄(1,4-diamino butane), 1,5-디아미노 펜탄(1,5-diamino pentane), 1,6-디아미노 헥산(1,6-diamino hexane), 1, 2-아미노 에탄티올(1,2-aminoethanethiol), 2-(메틸티오)에탄아민(2-(methylthio)ethanamine), 2-(에틸티오)에탄아민(2-(ethylthio)ethanamine), 3-(메 틸티오)-1-프로필아민(3-(methylthio)-1-propanamine) , 2-아미노에탄올(2-aminoethanol), 1-아미노-2-프로판올(1-amino-2-propanol) , 3-아미노-1-프로판올(3-amino-1-propanol), 4-아미노-2-부탄올(4-amino-2-butanol)  및 4-아미노-1-부탄올(4-amino-1-butan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케톤계 용매로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프로필 케톤, 에틸, 에틸 케톤, 시크로 헥산온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로는 부틸 에틸 에테르, 다이 프로필 에테르, 테트라 하이드로 파이란, 1,4 다이옥산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를 특정 극성용매계에 분산시킨 다음 아민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 즉 2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아 민기로 된 제1 작용기 및 아민기, 티올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제2 작용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상기 고분자 입자 분산액에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의 에스테르부와 다관능성 화합물의 아민기가 반응하여 고분자 입자에 관능기가 도입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를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를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케톤계 용매,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분산시켜 고분자 입자 분산액을 준비한다(S1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란,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가 중합되어 가교 구조를 갖는 고분자로 된 입자를 의미한다.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중합된 가교 고분자 입자 또는 t-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1,1-디메틸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1,1-디에틸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1,1-디메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메틸-1-페닐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와, 디비닐벤젠,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가교제의 공중합체로 된 가교 고분자 입자를 사 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제조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른 단량체, 예를 들어 스티렌 등을 더 공중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공지의 염료, 안료, 카본 블랙 등의 착색제를 첨가하거나, 톨루엔, 옥탄 등의 비중합성 첨가제를 중합시 첨가하고 나중에 이를 제거하여 가교 고분자 입자를 다공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는 강도와 회복력이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나, 바람직한 평균 입경은 0.1 ~ 50 마이크로미터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케톤계 용매로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프로필 케톤, 에틸, 에틸 케톤, 시크로 헥산온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로는 부틸 에틸 에테르, 다이 프로필 에테르, 테트라 하이드로 파이란, 1,4 다이옥산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들은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들을 잘 분산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다관능성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는다.
이어서, 2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아민기로 된 제1 작용기 및 아민기, 티올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제2 작용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상기 고분자 입자 분산액에 첨가하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의 에스테르부와 다관능성 화합물의 아민기를 반응시킨다(S2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2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은 아민기로 된 제1 작용기와 아민기, 티올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제2 작용기를 갖는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함유된 아민기는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의 에스테르부와 반응하여 고분자 입자 표면에, 아민기, 티올기 또는 히드록실기로 된 작용기를 부여한다.
이러한 다관능성 화합물로는 디아민 화합물, 아미노 알칸 티올 화합물, 아미노 알킬 알코올 화합물 등, 전술한 제1 작용기 및 제2 작용기를 갖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디아민 (ethylene diamine), 프로필렌 디아민(propylene diamine), 디에틸 트리아민 (diethyl triamine), 1,4-디아미노 부탄(1,4-diamino butane), 1,5-디아미노 펜탄(1,5-diamino pentane), 1,6-디아미노 헥산(1,6-diamino hexane), 1, 2-아미노 에탄티올(1,2-aminoethanethiol), 2-(메틸티오)에탄아민(2-(methylthio)ethanamine), 2-(에틸티오)에탄아민(2-(ethylthio)ethanamine), 3-(메틸티오)-1-프로필아민(3-(methylthio)-1-propanamine) , 2-아미노에탄올(2-aminoethanol), 1-아미노-2-프로판올(1-amino-2-propanol) , 3-아미노-1-프로판올(3-amino-1-propanol), 4-아미노-2-부탄올(4-amino-2-butanol), 4-아미노-1-부탄올(4-amino-1-butanol)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병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S2) 단계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의 에스테르부와 반응하여 고분자 입자 표면에, 아민기, 티올기 또는 히드록실기로 된 작 용기를 부여하는 반응은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즉, 무촉매 하에서 반응이 이루어짐), 예를 들어 50 ~ 150 ℃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10 ℃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키면 작용기가 도입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는 LCD의 스페이서, 진단약 및 의약품의 담체, 크로마토그래피용 담체, 화장품 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아민기가 도입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는 회복율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금속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므로 이방 도전성 접착재료의 도전성 입자의 심재로 특히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평균입경이 4 마이크로미터인 폴리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Poly (HDDA)) 가교 고분자 입자 1g을 메틸 에틸 케톤 50g에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분산시켰다.
이어서, 준비한 분산액에 에틸렌 디아민 10g을 첨가시킨 다음, 분산액을 30분동안 환류시켜 에틸렌 디아민을 가교 고분자 입자에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분산액을 과량의 차가운 물에 넣어 식혀준 다음, 거름 장치를 통해서 세척하고 입자를 회수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 디아민 대신 2-아미노 에탄 티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에틸렌 디아민 대신 2-아미노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용매(MEK)를 사용하지 않고, 에틸렌 디아민 10g에 가교 고분자 입자를 분산시켜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가교 고분자 입자들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입자 물성 측정기(MCT ; simadzu사)로 입자의 10% K값과 복원력을 측정하였고, 작용기의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원소분석과 EDS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10% K 값1 ) (kgf/mm2) = (3/2 1/2 )FS-3/2 R-1/2
F: 10% 변형에서의 하중. S: 10% 변형에서의 압축변위, R: 미립자 반경
회복율2 ) (%) = 회복된 변위 / 최종 변위
* 입자 물성 측정 방법은 일본특허 공개번호 2005-29404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원소 분석 결과 C, H, O, N 입자 물성
10% K값1 ) (Kgf/mm2) 회복율2 ) (%)
HDDA 입자 C63.8%, H8.66%, O22.2% N-, 727 50
실시예 1 C62.0%, H8.81%, O21.0% N1.82% 643 61
실시예 2 C62.0%, H8.81%, O21.0% N0.93% 584 60
실시예 3 C56.2%, H7.77%, O19.9% N0.81% 630 47
비교예 1 C59.5%, H8.80%, O21.0% N1.97% 674 7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반응전 HDDA 입자의 물성과 비교할 때, 비교예 1에 따른 입자는 물성 저하가 크게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반응성이 매우 뛰어난 아민 화합물과 직접 가교 고분자 입자를 접촉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용매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입자는 물성의 저하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값비싼 반응성 단량체나 촉매 및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다양한 작용기가 표면에 도입된 고분자 입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작용기 함유 고분자 입자는 고분자 입자의 고유의 물성이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는 LCD의 스페이서, 진단약 및 의약품의 담체, 크로마토그래피용 담체, 화장품 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아민기가 도입된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는 회복율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금속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 므로 이방 도전성 접착재료의 도전성 입자의 심재로 특히 유용하다.

Claims (7)

  1. (S1)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를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케톤계 용매,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분산시켜 고분자 입자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S2) 2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아민기로 된 제1 작용기 및 아민기, 티올기 및 히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제2 작용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상기 고분자 입자 분산액에 첨가하여,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 표면의 에스테르부와 다관능성 화합물의 아민기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무촉매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고분자 입자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중합된 가교 고분자 입자 또는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가교제의 공중합체로 된 가교 고분자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케톤계 용매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프로필 케톤, 에틸, 에틸 케톤 및 시크로 헥산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끓는 점이 80 ℃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는 부틸 에틸 에테르, 다이 프로필 에테르, 테트라 하이드로 파이란 및 1,4 다이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은 디아민 화합물, 아미노 알칸 티올 화합물 및 아미노 알킬 알코올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은 에틸렌 디아민 (ethylene diamine), 프로필렌 디아 민(propylene diamine), 디에틸 트리아민 (diethyl triamine), 1,4-디아미노 부탄(1,4-diamino butane), 1,5-디아미노 펜탄(1,5-diamino pentane), 1,6-디아미노 헥산(1,6-diamino hexane), 1, 2-아미노 에탄티올(1,2-aminoethanethiol), 2-(메틸티오)에탄아민(2-(methylthio)ethanamine), 2-(에틸티오)에탄아민(2-(ethylthio)ethanamine), 3-(메틸티오)-1-프로필아민(3-(methylthio)-1-propanamine) , 2-아미노에탄올(2-aminoethanol), 1-아미노-2-프로판올(1-amino-2-propanol) , 3-아미노-1-프로판올(3-amino-1-propanol), 4-아미노-2-부탄올(4-amino-2-butanol)  및 4-아미노-1-부탄올(4-amino-1-buta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KR1020060137045A 2006-12-28 2006-12-28 표면에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KR10117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045A KR101178170B1 (ko) 2006-12-28 2006-12-28 표면에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045A KR101178170B1 (ko) 2006-12-28 2006-12-28 표면에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882A true KR20080061882A (ko) 2008-07-03
KR101178170B1 KR101178170B1 (ko) 2012-08-29

Family

ID=3981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045A KR101178170B1 (ko) 2006-12-28 2006-12-28 표면에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927A (ko) 2020-11-23 2022-05-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폭사이드 기반의 기능성 고분자를 이용한 비닐기 고분자의 제조방법
KR20230165433A (ko) 2022-05-27 2023-12-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폭사이드 기반의 기능성 고분자를 이용한 비닐기 고분자의 제조방법
KR20230166370A (ko) 2022-05-30 2023-12-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폭사이드 기반의 기능성 단량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8914D0 (en) 2002-12-11 2003-01-15 Dynal Biotech Asa Particles
JP4349018B2 (ja) 2003-07-10 2009-10-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アミノ基含有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927A (ko) 2020-11-23 2022-05-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폭사이드 기반의 기능성 고분자를 이용한 비닐기 고분자의 제조방법
KR20230165433A (ko) 2022-05-27 2023-12-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폭사이드 기반의 기능성 고분자를 이용한 비닐기 고분자의 제조방법
KR20230166370A (ko) 2022-05-30 2023-12-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폭사이드 기반의 기능성 단량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170B1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707B1 (ko) 중공 입자, 그 제조 방법, 그 용도 및 마이크로 캡슐 입자의 제조 방법
CN110982010B (zh) 一种中性大分子键合剂及其制备方法
WO2010118343A1 (en) Diblock copolymer modified nanoparticle/polymer composites
CN103443129A (zh) 具有可控交联度的材料
WO2016069582A1 (en) Dynamic urea bonds for polymers
CN102725366A (zh) 具有可控粘度的功能材料
TW201348330A (zh) 具互穿聚合物網狀結構之聚伸烷基碳酸酯樹脂組合物
WO2016111314A1 (ja) 中空粒子、その製造方法、その用途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粒子の製造方法
KR101178170B1 (ko) 표면에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CN107936746A (zh) 一种有机硅改性阳离子光固化脂环族环氧树脂涂料及其应用
Amendola et al. Epoxy thermosets with self-healing ability
Asif et al. Photopolymerization of waterborne polyurethane acrylate dispersions based on hyperbranched aliphatic polyester and properties of the cured films
CN111363078B (zh) 一种双交联型高硬度大分子乳化剂、高硬度水性单组分丙烯酸树脂及其制备方法
Sugane et al. Self-healing epoxy networks based on cyclodextrin–adamantane host–guest interactions
Stoute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borne vanillin derived copolymers containing dynamic imine cross-links
JP2006508207A (ja) ミクロゲル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EP3623438B1 (en) Additive for epoxy adhesive and epoxy adhesive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including same
Vor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Epoxy-and Oxetane-Functional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Agents
KR20220101649A (ko)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도료 조성물
He et al. Fluorinated polyacrylates containing amino side chains for the surface modification of waterborne epoxy resin
CN100509889C (zh) 气干性环氧乙烯基酯树脂的合成工艺
Hou et al. Function and performance of silicone copolymers, 3.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 novel siliconized acrylic monomer containing three reactive sites
Chai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reactive polyurethane polyacrylate blends based on carbonyl‐hydrazide reaction
CN112920677A (zh) 一种环氧锌粉防腐涂料
Wang et al. Low‐temperature curing of water‐dispersible cationic diisocyanates for cathodic electrodeposition co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