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101A -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 Google Patents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101A
KR20080059101A KR1020070135874A KR20070135874A KR20080059101A KR 20080059101 A KR20080059101 A KR 20080059101A KR 1020070135874 A KR1020070135874 A KR 1020070135874A KR 20070135874 A KR20070135874 A KR 20070135874A KR 20080059101 A KR20080059101 A KR 20080059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levators
elevator
elevator equipment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스 코허
슈테판 얀스
쟝-필리쁘 에셔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5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1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6Multi-deck eleva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A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is provided to independently move a lift chamber using each drive mechanism in a related lift region of the building. A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includes building sections(G1,G2), at least one transfer floor(U1.1,U1.2,U2.1,U2.2), and take-away lifts(14.1,14.2). The building sections are vertically overlap each other. Each of the building sections has several transfer floors. The take-away lifts are operated from the transfer floor to destination floors. The lift installation includes two hoistways(15.1,15.2). The first hoistway is divided into two individual hoistways. The lift installation further includes two lifts disposed in the two hoistways. Another lift installation including six lifts and six lift regions(K1.1,K1.2,K2.1,K2.2) is disposed over the lift installation.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지닌 빌딩 내의 승강기 설비{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규정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vator installations of buildings with one or more transit floors. This invention is defined in the preamble of the independent claim.

30 개 및 이 이상의 층을 지닌 빌딩에 대한 첨단 승강기 개념은 승강기 설비로서 역할하는 환승 층을 가진다. 상기 승강기 설비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의 그룹을 포함한다. 제 1 승강기는 입구 로비로부터 환승 층을 직접 담당, 즉 승객은 고속 승강기에 의해 입구 로비로부터 다른 환승 층으로 비교적 신속하게 대충 분배된다. 제 2 승강기는 상기 환승 층으로부터 목적 층으로 승객을 정확히 분배한다.The state-of-the-art elevator concept for buildings with 30 or more floors has a transit floor that serves as the elevator facility. The elevator facility comprises a group of two or more elevators. The first elevator is responsible for the transfer floor directly from the entrance lobby, ie the passenger is roughly quickly distributed from the entrance lobby to the other transfer floor by the high speed elevator. The second elevator accurately distributes passengers from the transfer floor to the destination floor.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통로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승객을 빌딩의 소망하는 층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승객을 수용하는 승강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모터 및 구동 풀리를 지닌 구동기, 편향 롤러, 장력 수단, 승강실 및 평형추의 안내를 위한 각각의 쌍의 안내 레일뿐만 아니라 평형추 등의 승강기 요소를 적어도 가진다.In general, elevators include elevators that are movable vertically in the aisles and receive passenger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to the desired floor of the building. For this purpose, the elevator generally has at least an elevator element such as a counterweight as well as a driver with a motor and a drive pulley, a deflection roller, a tension means, a pair of guide rails for guiding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이러한 경우에, 상기 모터는 승강실에 위치하는 승객의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전기 모터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능을 담당한다. 이는, 장력 수단과 마찰 접촉을 이루는 구동기 풀리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장력 수단은 벨트 또는 케이블일 수 있다. 이는, 장력 수단을 따른 반대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도록 매달린 승강실 및 평형추를 이송시키고 이 승강실 및 평형추를 매달기 위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구동기에 의해 극복되어야 하는 최종 중력은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장력 수단과 구동 풀리의 접촉 력이 클수록, 구동 풀리에 의해 장력 수단으로 전달되는 모멘트는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장력 수단은 편향 롤러에 의해 안내된다.In this case, the motor generates power necessary for the transport of passengers located in the hoist room. Electric motors are generally responsible for this function. This drives the driver pulley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tension means directly or indirectly. The tension means may be a belt or a cable. This serves to convey the hoisting chamber and counterweights so that gravity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along the tension means and to suspend the hoisting chambers and counterweights. Thus, the final gravity to be overcome by the driver is substantially reduced. Further, the greater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tension means and the drive pulley, the greater the moment transmitted to the tension means by the drive pulley. The tension means is guided by a deflection roller.

통로 볼륨을 최적으로 하는 것은 승강기 구조에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주어진 통로 볼륨에 대하여 승객 교통의 빌딩 관리를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높은 정도로 이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은 첫째로, 보다 큰 승강실에 대한 공간을 생성시키는, 승강기 요소의 최적의 공간 절약 배치와, 둘째로, 일 통로에서 몇 개의 독립 승강실의 수직 이동을 가능케 하는 승강기 개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Optimizing passage volume is of great importance for elevator construction. In particular, it is desired to use building management of passenger traffic to a high degree as effectively as possible for a given passage volume. This object is first achieved by an optimal space-saving arrangement of the elevator elements, creating a space for a larger cabin, and second, an elevator concept that enables vertical movement of several independent cabins in a passage. Can be.

EP 1 526 103 에는 빌딩에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승강 설비가 나타나 있으며, 상기 승강 설비는 영역들에 나눠어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일 영역은, 승강기에 의해 처리되는 규정된 수의 층을 포함한다. 일 영역은 각각의 승강기에 할당되어 있다. 일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 가기 위해서 환승 층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승강기는, 두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에서 서로 독 립하여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두 개의 승강실을 가진다. 두 페치 (fetch) 또는 이송 승강실의 배치는 환승 층에서 불필요한 기다림 시간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EP 1 526 103 shows a lifting facility with two or more elevators in a building, which are divided into zones. In this case, one area comprises a defined number of layers processed by the elevator. One area is assigned to each elevator. A transfer floor is provided to go from one area to another. One or more elevators have two cages, independent of each other on two cage guide rails, one on top of which one moves vertically. The placement of two fetch or transfer cages helps to avoid unnecessary waiting times at the transit floor.

동일 통로에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 두 개 이상의 승강실을 지닌 승강기는 유럽 특히 제 1 489 033 호에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승강실은 이 승강실의 구동기 및 이 승강기의 평형추를 가진다. 상기 구동기는 제 1 및 제 2 통로 벽 근방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평형추는 제 1 및 제 2 통로 벽 근방의 구동기 또는 유지 케이블에서 관련 구동기 아래에 각각 매달려 있다. 구동기의 구동기 풀리의 축은 제 1 및 제 2 통로 벽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실로 높은 이송 성능이 확보된다. 제 1 및 제 2 벽 근방의 통로에서의 구동기는 위치 결정에 여유가 있어, 공간이 절약되며, 구동기 요소를 통로 헤드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Elevators having two or more cages, one on top of the other in the same passage, are known from Europe in particular in 1 489 033. Each elevator has a driver of the elevator and a counterweight of the elevator. The driver is arranged near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and the counterweight is suspended below the associated driver in the driver or retaining cable near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respectively. The axis of the driver pulley of the driver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Two independently movable hoisting chambers ensure high transfer performance. The drivers in the passages near the first and second walls have room for positioning, saving space and allowing the driver elements to be arranged compactly in the passage head.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할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이송 층을 지닌 빌딩에서 주어진 통로 단면에 대한 승강 설비의 이송 성능을 더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rther increase the transfer performance of a hoisting facility for a given passage cross section in a building with a partition and one or more transfer layers.

상기 언급된 목적은 독립항의 정의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mentioned objects ar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independent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설비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에 위치하며, 상기 빌딩은 빌딩 영역으로 나눠어지며, 각각의 승강기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을 가진다. 각각의 승강실은 관련 승강 영역에서 각자의 구동기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승강실 영역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을 가진다. An elevator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located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which building is divided into building areas, each elevator having one or more elevators. Each cage is independently movable by its own driver in the associated lift zone. In addition, each cabin area has one or more transit floors.

우선, 승강기는, 통로에서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치되며, 중간 및 두 개의 인접 승강실을 포함하는 3 개 이상의 승강실을 가지며, 상기 중간 승강실은 중간 승강실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두 개의 인접 승강실은 두 개의 인접 승강실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중간 승강실 영역 및 인접 승강실 영역은 하나 이상의 공통 층에서 동작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이들 승강실 영역은 두 개의 빌딩 영역에 할당된다.Firstly, the elevator has three or more elevators, one on top of the other in the passage, arranged vertically and comprising an intermediate and two adjacent elevators, the intermediate elevator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in the intermediate elevator area and In this case, two adjacent hoisting chambers are independently movable in two adjacent hoisting areas.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cabin area and the adjacent cabin area operate on one or more common floors. In addition, one or more of these landing areas are assigned to two building areas.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승강기의 3개 이상의 승강실로 인하여, 승강기 설비는 상당히 높은 이송능력을 가진다. 그래서, 환승 층에서의 대기 시간은 더 감소되며, 대기 순환이 발생하는 것이 크게 회피된다. 또한, 일 빌딩 영역으로부터 다음 빌딩 영역으로의 변경은 환승 층에 의해서만 통상의 승강기 모델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승강기 설비는 운행의 할당의 관점에서 큰 융통성을 갖는다. 여기서, 인접 빌딩 영역의 지역은 환승 층에 의한 환승 없이 도달될 수 있다. 상기 겹침 승강실 영역을 지닌 승강기 설비의 다른 이점은, 승객이 승강실 영역의 겹침 영역에 위치하는 임의의 소망하는 층에서 중간 승강실 영역으로부터 인접 승강실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승객을 보다 융통성 있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승강실 영역의 겹침 지역에서의 층은 두 개의 승강실에 의해 처리되어 승강기 설비의 이송 능력이 증가한다.Due to the three or more hoisting chambers of the elevator, the one on top of which is independently movable, the elevator equipment has a considerably high conveying capacity. Thus, the waiting time at the transit floor is further reduced, and the occurrence of atmospheric circulation is greatly avoided. In addition, since the change from one building area to the next building area is possible in the normal elevator model only by the transfer floor, the elevator facilities have great flexibility in terms of assignment of service. Here, the area of the adjacent building area can be reached without the transfer by the transfer floor. Another advantage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with the overlapped passenger compartment is that the passenger can be transferred from the intermediate cabin area to the adjacent cabin area in any desired floor located in the overlap area of the cabin area. This can guide passengers more flexibly. In addition, the layers i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hoisting area are processed by the two hoisting chambers to increase the transport capacity of the hoist facility.

제 2 승강기의 이러한 하나 이상의 승강실은,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치된 2 개 이상의 승강실을 지닌 다수의 승강실이다. 2 개의 승강실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오직 공통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2 개의 승강실은 동일 승강실 영역과 관련이 있다.This one or more elevators of the second elevator are a plurality of elevators with two or more elevator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vertically. Since the two cages are physically connected and only move in common, these two cages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cage area.

이중 승강실을 지닌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승강실의 활용가능한 승강실 볼륨이 두 배가 된다는 데에 있다. 그래서, 승객의 두 배 가량이 일 운행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advantage of a lift facility with a double lift is that the available lift volume of the lift is doubled. Thus, twice as many passengers can be transported in one run.

다수의 승강실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 두 개 이상의 환승 층을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다.It is advantageous for a plurality of cages to handle two or more transit floors, one on top of the other.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환승 층의 이중의 경우에, 각각의 환승 층에서의 대기 시간이 더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환승 층은 이송에 대한 이송 또는 대기 공간을 갖는다. 상기 환승 공간이 2 배인 경우에, 이송은 실질적으로 충돌 없이 발생하며, 증가된 이송 성능에도 불구하고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승객은 대기 공간의 활용가능한 두 배의 공간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이송 층 또는 이송 또는 대기 공간에서 머무는 것은 모든 경우에 보다 쾌적하게 된다. The advantage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is that in the case of double transfer floors, the waiting time at each transfer floor can be further reduced. The transit floor has a transport or waiting space for transport. In the case where the transit space is double, the transfer takes place substantially without collision, and even in the event of a waiting time in spite of the increased transfer performance, the passenger has twice as much space available as the waiting space. Thus, staying in the transport bed or transport or waiting space becomes more comfortable in all cases.

3 개 이상의 승강실 영역은 2 개 이상의 인접 빌딩 영역에 할당되는 것이 유리하다. 중간 승강실 영역은 빌딩 영역에 할당되는 것과, 두 개의 인접 승강실 영역은 동일 빌딩 영역 및 인접 상부 및 하부 빌딩 영역에 각각 할당되는 것이 동등하게 유리하다.Advantageously, three or more landing areas are allocated to two or more adjacent building areas. It is equally advantageous that the intermediate cabin area is assigned to the building area, and that two adjacent cabin areas are assigned to the same building area and the adjacent upper and lower building areas, respectively.

본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승객 안내에 융통성이 있다는 데에 있다. 상기 형태의 실시형태에서는, 고려해야 할 환승 층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이송 없이, 빌딩 영역의 일 층으로부터 인접 빌딩 영역의 층으로 갈아탈 수 있다.The advantage of this elevator facility is that it provides flexibility for passenger guidance. In the embodiment of the above aspect, it is possible to change from one floor of the building area to the floor of an adjacent building area without the transfer that can be done by the transfer floor to be considered.

승강실은, 이 승강실과 관련된 3 개 이상의 구동기를 스쳐 이동할 수 있다.The cage can move through three or more drivers associated with the cage.

본 승강기 설비는, 구동기가 승강실과의 충돌없이 통로에 공간을 절약하고 융통성 있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The elevator equip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driver can be arranged in a flexible way, saving space in the passageway without colliding with the hoist room.

승강실과 관련된 3 개 이상의 구동기 (A1) 는 제 1 통로 벽 또는 제 2 대향 통로 벽에 위치된다.Three or more drivers A1 associated with the cage are located in the first passage wall or the second opposing passage wall.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승강실과 제 1 및 제 2 통로 벽 사이의 구동기의 위치에 있다. 따라서, 구동기가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통로 헤드 또는 통로 피트 (pit) 의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The advantage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is the location of the driver between the hoist room and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Thus, the space of the passage head or passage pit in which the driver is generally arranged can be saved.

중간 승강실의 구동기는 제 1 통로 벽에 위치되며, 인접 승강실의 2 개의 구동기는 대향 제 2 통로 벽에 위치되는 것이 유리하다.The driver of the intermediate cage is advantageously located in the first passage wall and the two drivers of the adjacent cage are located in the opposite second passage wall.

본 승강기 설비의 이점은 동일 통로에서의 많은 구동기 및 관련 승강실의 위치 결정이 융통성이 있으며 간단하다는 데 있다. 이에 반하여, 통로 헤드에서의 구동기의 종래의 배치에 있어서, 설치될 구동기의 수는 통로 헤드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에 의해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통로 헤드에서 구동기의 배치에 있어서 장력 요소를 충돌하지 않도록 안내는 유사한 한도에 놓인다.The advantage of this elevator installation is that the positioning of many actuators and associated cages in the same passage is flexible and simple. In contrast, in a conventional arrangement of drivers in the passage head, the number of drivers to be installed is limited by the space available in the passage head. Similarly, the guides are at similar limits so as not to impinge on the tensioning elements in the placement of the actuator in conventional passage heads.

이하의 실시형태 및 도면의 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더 설명하고 분류한다.The invention is further illustrated and classifi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figures.

상기 통로는, 6 개의 경계면에 의해 규정되고 하나 이상의 승강실이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4 개의 통로 벽, 천장 및 바닥은 이들 6 개의 경계면을 형성한다. 통로의 이러한 규정은, 하나 이상의 승강실이 이동가능한 각각의 몇 개의 주행 경로가 서로 수평으로 인접한 통로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뻗어있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The passageway is a space defined by six interfaces and in which one or more cages move along the travel path. In general, four passage walls, ceilings and floors form these six interfaces. This provision of passage means that each of several travel paths in which one or more cages are movable may extend in such a way that they are arranged in a horizontally adjacent passageway.

도 1 에는 3개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이 나타나 있으며, 이 승강실의 각각은 구동기 (A1, A2, A3) 를 갖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독립하여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중간 승강실 (7a) 은 두 개의 인접 승강실 (7b, 7c)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인접 승강실은 중간 승강실 (7a) 의 아래 및 위에 각각 배치된다.In Fig. 1, three or more hoisting chambers 7a, 7b, 7c are shown, and since each of these hoisting chambers have drivers A1, A2, A3, they are mo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hoisting chamber 7a is arranged between two adjacent hoisting chambers 7b, 7c, which are arranged below and above the intermediate hoisting chamber 7a, respectively.

관련 구동기 (A1, A2, A3) 는 제 1 및 제 2 통로 벽에 옆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통로 벽은 통로 도어를 가지지 않는 서로 대향하는 통로 벽이다. 중간 승강실 (7a) 의 구동기 (A1) 는 제 1 통로 벽에 배치되며, 인접 승 강실 (7b, 7c) 의 두 개의 구동기 (A2, A3) 는 대향 제 2 통로 벽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기 (A1, A2, A3) 는 번갈아 대향 통로 벽에 위치된다. 다른 승강실의 추가 구동기 (도시안됨) 는 구동기의 번갈아 이루어진 순서에 따라 제 1 및 제 2 통로 벽에 번갈아 배치된다. Associated drivers A1, A2, A3 are arranged laterally on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are opposed passage walls that do not have passage doors. The driver A1 of the intermediate cage 7a is arranged on the first passage wall, and the two drivers A2, A3 of the adjacent cages 7b, 7c are arranged on the opposite second passage wall. In this case, the drivers A1, A2, A3 are alternately located on the opposite passage wall. Additional drivers (not shown) of the other cabins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in alternating order of the drivers.

도 1 에서, 구동기 (A1, A2, A3) 는, 인접 승강실 (7b, 7c) 의 구동기 (A2, A3) 가 중간 승강실 (7a) 의 구동기 (A1) 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되는, 3 개의 상이한 통로 높이로 위치된다. 대체로, 중간 구동기 (A1) 와 인접 구동기 (A2, A3)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실 높이이다.In FIG. 1, the drivers A1, A2, A3 are provided in which the drivers A2, A3 of the adjacent hoisting chambers 7b, 7c are located above or below the driver A1 of the intermediate hoisting chamber 7a. Two different passage heights. In general,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intermediate driver A1 and the adjacent drivers A2, A3 is at least one cabin height.

그러나, 또한, 두 개의 구동기는 동일 통로 높이로 위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중간 승강실 (7a) 의 구동기 (A1) 는 제 1 통로 벽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 승강실 (7c) 의 인접 구동기 (A3) 는 대향 제 2 통로 벽에 동일 통로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의 이점은 두 개의 구동기 (A1, A3) 의 유지보수가 간소화된다는 데 있다. 이는 특히, 공통의 승강장으로부터 유지보수될 수 있다. However, the two drivers may also be located at the same passage height. For example, the driver A1 of the intermediate cage 7a can be located in the first passage wall, and the adjacent driver A3 of the upper cage 7c can be located at the same passage height in the opposite second passage wall. have. The advantage of this arrangement is that the maintenance of the two drivers A1, A3 is simplified. It can in particular be maintained from a common platform.

구동기 (A1, A2, A3) 는 각각의 모터 (M1, M2, M3) 및 각각의 구동 풀리 (1a, 1b, 1c) 를 가진다. 모터 (M1, M2, M3) 는 구동 풀리 (1a, 1b, 1c) 와 접촉을 이루어 작동하도록 배치되어, 이러한 구동 풀리 (1a, 1b, 1c) 에 의해 장력 수단 (Z1, Z2, Z3) 를 구동시킨다. 구동 풀리 (1a, 1b, 1c) 는 하나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을 받아들이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구동 풀리 측의 하나 이상의 오목부와 연결되는 일 측의 립 (rib) 을 지닌 쐐기 립형 벨트와 같은 벨트가 바람직하다. 구동 풀리 (1a, 1b, 1c) 에 따른, 일 측 또는 양 측에 치형을 지닌 벨트 및 부드러운 벨트 등의 다른 벨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케이블, 이중 케이블 또는 다수의 케이블과 같은 상이한 종류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스틸 와이어 또는 아라미드 (aramide) 또는 Vectran 의 가닥을 포함한다.The drivers A1, A2, A3 have respective motors M1, M2, M3 and respective drive pulleys 1a, 1b, 1c. The motors M1, M2, M3 are arranged to operate in contact with the drive pulleys 1a, 1b, 1c to drive the tension means Z1, Z2, Z3 by such drive pulleys 1a, 1b, 1c. Let's do it. The drive pulleys 1a, 1b, 1c are designed to accept one or more tension means Z1, Z2, Z3. The tensioning means Z1, Z2, Z3 are preferably belts, such as wedge lip belts, having ribs on one side which are connected with one or more recesses on the drive pulley side. Other belts may be used, such as belts with teeth on one or both sides and soft belts, according to the drive pulleys 1a, 1b, 1c. In addition, different types of cables may be used, such as single cables, double cables or multiple cables. The tension means Z1, Z2, Z3 comprise steel wire or strands of aramid or Vectran.

3개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및 3 개의 평형추 (12a, 12b, 12c) 는 도르래 (block-and-tackle) 방식으로 장력 수단 (Z1, Z2, Z3) 에서 매달려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승강실 (7a, 7b, 7c) 은, 이 승강실 (7a, 7b, 7c) 의 하부 영역에 달려있는 하나 이상의 제 1 및 하나 이상의 제 2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를 가진다. 이들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는 외주에, 하나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을 받아들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진다. 그래서,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는 장력 수단 (Z1, Z2, Z3) 을 안내하는데 적합하여, 상기 장력 수단과 접촉을 이룬다. 그래서, 승강실 (7a, 7b, 7c) 은 하부 도르래로 매달려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ree or more hoist chambers 7a, 7b, 7c and three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suspended in tension means Z1, Z2, Z3 in a block-and-tackle manner. In this case, the cages 7a, 7b, 7c are one or more first and one or more second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which depend on the lower region of the cages 7a, 7b, 7c. , 3b, 3c). These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hav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ne or more grooves capable of receiving one or more tension means Z1, Z2, Z3. Thus, the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are suitable for guiding the tension means Z1, Z2, Z3, and make contact with the tension means. Thu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be suspended by the lower pulley.

다른 형태의 실시형태에서,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는 승강실 (7a, 7b, 7c) 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설명에 따라, 승강실 (7a, 7b, 7c) 은 상부 도르래로 매달려 진다.In another form of embodiment, the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are arrang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hoist chambers 7a, 7b, 7c.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are suspended by the upper pulley.

평형추 (12a, 12b, 12c) 의 상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을 받아들이는데 적합한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와 유사함) 가 배치된다. 따라서, 평형추 (12a, 12b, 12c) 는, 관련 구동기 (A1, A2, A3) 아래의 상부 도르래와 마찬가지로,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에 매달려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upper region of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third deflection rollers 4a, 4b, 4c (deflection rollers 2a, 2b, 2c, suitable for receiving one or more tensioning means Z1, Z2, Z3) Similar to 3a, 3b, 3c). Therefore,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preferably suspended from the third deflection rollers 4a, 4b, 4c, similarly to the upper pulleys under the associated drivers A1, A2, A3.

장력 수단 (Z1, Z2, Z3) 은 제 1 통로 벽으로부터 제 2 통로 벽을 향하여, 제 1, 제 2 및 제 3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및 구동풀리 (1a, 1b, 1c) 를 경유하여 제 1 고정점 (5a, 5b, 5c) 으로부터 제 2 고정점 (6a, 6b, 6c) 으로 안내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고정점 (5a, 5b, 5c) 은 제 1 및 제 2 통로 벽의 근방에 대략 동일 통로 높이로 관련 구동기 (A1, A2, A3) 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제 2 고정점 (6a, 6b, 6c) 은 대향 제 2 또는 제 1 통로 벽에서, 관련 구동기 (A1, A2, A3) 의 근방에 배치된다.The tension means Z1, Z2, Z3 are directed from the first passage wall toward the second passage wall,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4a, 4b, 4c ) And the driving pulleys 1a, 1b, 1c are guided from the first fixing points 5a, 5b, 5c to the second fixing points 6a, 6b, 6c.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points 5a, 5b, 5c are arranged opposite the associated drivers A1, A2, A3 at approximately the same passage height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The second fixing points 6a, 6b, 6c are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associated drivers A1, A2, A3, at opposite second or first passage walls.

장력 수단 (Z1, Z2, Z3) 은, 제 1 고정점 (5a, 5b, 5c) 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통로 벽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까지 형성되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대략 90°의 각도로 상기 제 2 편향 롤러 둘레를 돌아,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에 이르게 된다. 장력 수단 (Z1, Z2, Z3) 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다시 대략 90°의 각도로 상기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를 돌아, 상방으로 승강실 (7a, 7b, 7c) 을 따라 구동 풀리 (1a, 1b, 1c) 로 이르게 되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구동 풀리 (1a, 1b, 1c) 둘레를 대략 150°돈다. 선택적인 설정의 풀리 (13a, 13b, 13c) 의 설정에 따르면, 상기 돌림 각은 90°~ 18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장력 수단 (Z1, Z2, Z3) 은 아래 방향으로 제 2 또는 제 1 통로 벽을 따라 제 3 편향 풀리 (4a, 4b, 4c) 에 이르게 되며,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대략 180°의 각도로 상기 제 3 편향 풀리를 돌아, 상방으 로 다시 제 2 또는 제 1 통로 벽을 따라 제 2 고정점 (6a, 6b, 6c) 에 이르게 된다.The tension means Z1, Z2, Z3 are formed from the first fixing points 5a, 5b, 5c to the second deflection rollers 3a, 3b, 3c in the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first or second passage wall, It turns around the said 2nd deflection roller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and reaches the 1st deflection rollers 2a, 2b, and 2c. The tension means Z1, Z2, Z3 are driven along the elevator chambers 7a, 7b, 7c upwards by turning the first deflection rollers 2a, 2b, 2c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 from inside to outside again. It leads to pulleys 1a, 1b and 1c, and turns around 150 ° around the drive pulleys 1a, 1b and 1c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pulleys 13a, 13b, 13c of the optional setting, the turning angle can be set from 90 ° to 180 °. The tension means Z1, Z2, Z3 then reach the third deflection pulleys 4a, 4b, 4c along the second or first passage wall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180 °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third deflection pulley is turned to reach the second anchor point 6a, 6b, 6c upwardly again along the second or first passage wall.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설정 풀리 (13a, 13b, 13c) 는 구동기 (A1, A2, A3) 의 선택적 요소이다. 이러한 설정 풀리 (13a, 13b, 13c) 로, 구동 풀리 (1a, 1b, 1c) 에서의 장력 수단 (Z1, Z2, Z3) 의 돌림 각은, 구동 풀리 (1a, 1b, 1c) 로부터 장력 수단 (Z1, Z2, Z3) 으로 소망하는 견인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구동 풀리 (1a, 1b, 1c) 로부터의 설정 풀리 (13a, 13b, 13c) 의 각각의 공간에 따라, 구동기 (A1, A2, A3), 평행추 (12a, 12b, 12c) 또는 승강실 (7a, 7b, 7c) 로부터의 장력 수단 (Z1, Z2, Z3) 의 공간이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그래서, 구동 풀리 (1a, 1b, 1c) 와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사이에서 통로에서의 장력 수단 (Z1, Z2, Z3) 이 충돌없이 안내될 수 있다. As explained above, the setting pulleys 13a, 13b, 13c are optional elements of the drivers A1, A2, A3. With such set pulleys 13a, 13b, 13c, the turning angles of the tension means Z1, Z2, Z3 in the drive pulleys 1a, 1b, 1c are the tension means (1) from the drive pulleys 1a, 1b, 1c. Z1, Z2, Z3)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to deliver the desired traction force. According to the respective spaces of the set pulleys 13a, 13b, 13c from the drive pulleys 1a, 1b, 1c, the drivers A1, A2, A3, parallel weights 12a, 12b, 12c or the hoist room 7a. , The spaces of the tension means Z1, Z2, Z3 from 7b, 7c can be further set. Thus, the tension means Z1, Z2, Z3 in the passage can be guided without collision between the drive pulleys 1a, 1b, 1c and the first deflection rollers 2a, 2b, 2c.

각각의 관련 구동기 (A1, A2, A3), 구동 폴리 (1a, 1b, 1c),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선택의 설정 풀리 (13a, 13b, 13c), 평형추 (12a, 12b, 12c), 장력 수단 (Z1, Z2, Z3) 및 고정점 (5a, 5b, 5c, 6a, 6b, 6c) 뿐만 아니라, 승강실 (7a, 7b, 7c) 은 승강기 유닛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1 에는, 3 중 군 (14) 을 형성하며 3 개의 승강기 유닛을 가지는 승강기가 나타나 있다.Each associated driver A1, A2, A3, drive pulleys 1a, 1b, 1c,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4a, 4b, 4c, optional setting pulley 13a 13b, 13c, counterweights 12a, 12b, 12c, tension means Z1, Z2, Z3 and anchor points 5a, 5b, 5c, 6a, 6b, 6c, as well as hoisting chambers 7a, 7b , 7c) forms an elevator unit. Therefore, in FIG. 1, an elevator having a triple group 14 and having three elevator units is shown.

승강실 (7a) 을 지닌 중간 승강기 유닛으로부터의, 승강실 (7b) 을 지닌 인접 하부 승강기 유닛과 승강실 (7c) 을 지닌 인접 상부 승강기 유닛은 상기 중간 승강기 유닛에 대하여 대칭으로 각각 배치된다. 그래서, 승강기 유닛의 구동 기 (A1, A2, A3) 는 상호 대향 제 1 또는 제 2 통로 벽에 위치되며, 관련 구동 풀리 (1a, 1b, 1c),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설정 풀리 (13a, 13b, 13c), 평행추 (12a, 12b, 12c), 장력 수단 (Z1, Z2, Z3) 및 인접 승강실 (7a, 7b, 7c) 의 고정점 (5a, 5b, 5c, 6a, 6b, 6c) 또한, 대칭으로 배치된다. 중간 및 인접 승강기 유닛의 상 대칭 배치는 통로에 설치된 임의의 소망하는 수의 승강기 유닛에 적용된다.From the intermediate elevator unit with the elevator 7a, the adjacent lower elevator unit with the elevator 7b and the adjacent upper elevator unit with the elevator 7c are respectively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elevator unit. Thus, the drivers A1, A2, A3 of the elevator unit are located on mutually opposite first or second passage walls, the associated drive pulleys 1a, 1b, 1c,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4a, 4b, 4c, set pulleys 13a, 13b, 13c, parallel weights 12a, 12b, 12c, tension means Z1, Z2, Z3 and adjacent hoisting chambers 7a, 7b, 7c The fixing points 5a, 5b, 5c, 6a, 6b, 6c of) are also arranged symmetrically. The phase symmetrical arrangement of the intermediate and adjacent elevator units applies to any desired number of elevator units installed in the passageway.

승강기 유닛의 배열의 다른 특징은, 관련 구동기 (A1, A2, A3) 및 제 1 고정점 (5a, 5b, 5c) 이 대향 제 1 및 제 2 통로 벽에서 대략 동일 높이로 위치된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형태의 실시형태의 장력 수단이 승강실 (7a, 7b, 7c) 의 매달림 지점을 구동 풀리 (1a, 1b, 1c) 의 높이 위로 올릭기 때문에, 고정점 (5a, 5b, 5c) 및 구동기 (A1, A2, A3) 에 의해 규정된 통로 높이는, 관련 승강실 (7a, 7b, 7c) 가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점이다. 구동기 (A1, A2, A3) 및 중간 및 인접 승강실 (7a, 7b, 7c) 의 제 1 고정점 (5a, 5b, 5c) 의 위치 결정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통로 높이로 실행된다. 그래서, 승강실 (7a, 7b, 7c) 은 오직 상이한 최대 통로 높이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및 인접 승강실 (7a, 7b, 7c) 은, 이 승강실 (7a, 7b, 7c) 이 이동가능한 상이한 승강실 영역에 할당된다.Another feature of the arrangement of the elevator units is that the associated drivers A1, A2, A3 and the first fixing points 5a, 5b, 5c are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in the opposing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means of the embodiment of the illustrated form raises the hanging points of the lift chambers 7a, 7b, 7c above the height of the drive pulleys 1a, 1b, 1c, the fixed points 5a, 5b, 5c. And the passage height defined by the drivers A1, A2, A3 is the highest point that the associated elevators 7a, 7b, 7c can reach. The positioning of the drivers A1, A2, A3 and the first fixing points 5a, 5b, 5c of the intermediate and adjacent hoisting chambers 7a, 7b, 7c are generally carried out at different passage heights. Thus, the cages 7a, 7b, 7c can only reach different maximum passage heights. Thus, the intermediate and adjacent hoisting chambers 7a, 7b, 7c are assigned to different hoisting chamber areas in which these hoisting chambers 7a, 7b, 7c are movable.

승강실 (7a, 7b, 7c) 에 할당된 승강실 영역 (K1, K2, K3) 은 도 1 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이 도 1 로부터, 상기 설명된 구성의 구동기 (A1, A2, A3) 의 통로의 높이가 상기 승강실 영역 (K1, K2, K3) 의 최대 통로 높이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승강실 영역 (K1, K2, K3) 의 최소 통로 높이는 인접하는 아래의 하나의 승강기 유닛의 구동기 (A1, A2, A3) 에 의해 규정된다. 도시된 예의 실시형태에서, 중간 및 인접 승강기 유닛의 대칭 구조로 인하여, 인접 상부 승강실 (7c) 의 평형추 (12c) 및 인접하는 아래의 하나의 하부 승강실 (7b) 의 구동기 (A2) 는 동일한 제 1 또는 제 2 통로 벽에 배치된다. 그래서, 평형추 (12c) 에 의해 도달가능한 가장 아래의 통로 높이는 동일 통로 벽에서 상기 평형추의 하부에 배치된 구동기 (A2) 에 의해 한정된다. 그래서, 구동기 (A2) 와 구동기 (A3) 사이에서 평형추 (12c) 의 이동 범위는 승강실 (7c) 의 승강실 영역 (K3) 에서, 관련 승강실 (7c) 와 평형추 (12c) 의 동시작용 2:1 매달림을 규정한다.The cabin areas K1, K2, K3 assigned to the cabins 7a, 7b, 7c are clearly shown in FIG. From this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height of the passages of the drivers A1, A2, A3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determines the maximum passage height of the cage areas K1, K2, K3. In contrast to this, the minimum passage height of the cage areas K1, K2, K3 is defined by the drivers A1, A2, A3 of the adjacent one elevator unit below. In the example embodiment shown, due to the symmetrical construction of the intermediate and adjacent elevator units, the counterweight 12c of the adjacent upper hoist chamber 7c and the driver A2 of the adjacent one lower hoist chamber 7b are Disposed on the same first or second passage wall. Thus, the lowest passage height achievable by the counterweight 12c is defined by the driver A2 disposed below the counterweight at the same passage wall. Thus, the movement range of the counterweight 12c between the driver A2 and the driver A3 is the same as that of the associated cage 7c and the counterweight 12c in the cage area K3 of the cage 7c. Action 2: 1 prescribe suspension.

3 중 군 (14) 에 대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승강실 영역 (K1, K2, K3) 이 부분적으로 겹치게 되며, 중간 및 인접 승강실 영역 (K1, K2, K3) 만이 겹친다. 그래서,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 몇 개의 3 중 군 (14) 을 지닌 고층건물에서, 중간 승강실 영역 (K1) 에 배치된 모든 층은 두 개의 승강실에 의해 처리된다.Using this method for the triple group 14, the cabin areas K1, K2, K3 partially overlap, and only the intermediate and adjacent cabin areas K1, K2, K3 overlap. Thus, in a high-rise building with several triple groups 14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all the floors arranged in the intermediate cabin area K1 are treated by two cabins.

도 2 에 따르면, 승강실 (7a, 7b, 7c) 은 두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에 의해 안내된다. 두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은, 각 경우에, 대략 두 개의 승강실 (7a, 7b, 7c) 의 중심 (S) 을 통하여 뻗어있는 연결 평면 (V) 을 형성한다. 도시된 형태의 실시형태에서, 승강실 (7a, 7b, 7c) 은 편심되게 매달려 있다. 여기에는,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직접 배치된 두 개의 승강기 유닛의 배치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직접 배치된 다른 쌍의 승강기 유닛이 상기와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FIG. 2, the cages 7a, 7b, 7c are guided by two cage guide rails 10.1, 10.2. The two cage guide rails 10.1, 10.2, in each case, form a connection plane V which extends through the center S of approximately two cages 7a, 7b, 7c. In the embodiment of the illustrated form, the cages 7a, 7b, 7c are eccentrically suspended. Only the arrangement of two elevator units, one directly above the other, is shown here. However, on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other pairs of elevator units, one directly above the other, may be arranged similarly to the above.

이러한 매달림 배치에 있어서, 장력 수단 (Z1, Z2, Z3) 및,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와 구동 풀리 (1a, 1b, 1c) 와 같은 관련 안내 수단은 연결 평면 (V) 의 일측에 위치하며, 편향 롤러 (4a, 4b, 4c) 는 명료화를 위하여 도 2 에 도시되지 않는다 (즉,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된 상기 언급된 모든 요소는 제 3 통로 벽과 연결 평면 (V) 사이 또는 제 4 통로 벽과 연결 평면 (V) 사이에 위치된다). 제 3 또는 제 4 통로 벽은, 하나 이상의 통로 도어 (9) 및 대향 통로 벽을 가지는 통로 벽을 나타낸다. 장력 수단 (Z1, Z2, Z3) 과 연결 평면 (V) 의 공간 (y) 은 대략 동일한 것이 유리하다. 승강실 (7a, 7b, 7c) 의 장력 수단 (Z1, Z2, Z3) 은 연결 평면 (V) 의 일 또는 다른 측에 교대로 위치한다. 그래서, 승강실 (7a, 7b, 7c) 의 편심 매달림에 의해 생성된 모멘트는 대향 효과를 가진다. 승강실 (7a, 7b, 7c) 의 하중이 동일하며 승강실 (7a, 7b, 7c) 의 수가 짝수인 경우에, 안내 레일 (10.1, 10.2) 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상당히 증가한다.In this suspension arrangement, tension means Z1, Z2, Z3, and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4a, 4b, 4c and drive pulleys 1a, 1b, 1c, The associated guiding means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ne V, and the deflection rollers 4a, 4b, 4c are not shown in figure 2 for the sake of clarity (i.e. the above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elevators 7a, 7b, 7c). All elements are located between the third passage wall and the connecting plane V or between the fourth passage wall and the connecting plane V). The third or fourth passage wall represents a passage wall having at least one passage door 9 and an opposite passage wall. It is advantageous for the space y of the tension means Z1, Z2, Z3 and the connection plane V to be about the same. The tension means Z1, Z2, Z3 of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are alternately located on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lane V. As shown in FIG. Thus, the moment generated by the eccentric suspension of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has an opposite effect. When the loads of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are the same and the number of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is even, the moment acting on the guide rails 10.1, 10.2 increases considerably.

평형추 (12a, 12b, 12c) 는 두 개의 평형추 안내 레일 (11a.1, 11a.2, 11b.1, 11b.2) 에 의해 안내된다. 평형추 (12a, 12b, 12c) 는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과 제 1 및 제 2 통로 벽 사이에서 대향 사프트 벽에 위치된다. 평형추 (12a, 12b, 12c) 는 장력 수단 (Z1, Z2, Z3) 의 중심에서 매달리는 것이 유리하다. 승강실 (7a, 7b, 7c) 이 편심으로 매달리기 때문에, 평형추 (12a, 12b, 12c) 는 제 3 및 제 4 통로 벽의 부근에서 측방향으로 편위된다.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guided by two counterweight guide rails 11a.1, 11a.2, 11b.1, 11b.2.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located on opposite shaft walls between the cage guide rails 10.1, 10.2 and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advantageously suspended at the center of the tensioning means Z1, Z2, Z3. Since the cages 7a, 7b, 7c hang eccentrically,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laterally biased in the vicinity of the third and fourth passage walls.

구동 풀리 (1a, 1b, 1c) 및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의 회전 축선은 제 1 또는 제 2 통로 벽과 평행하게 놓여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언급된 요소는 평행하게 뻗어있는 4 개의 장력 수단 (Z1, Z2, Z3), 이들의 가이드 (즉, 구동 풀리 (1a, 1b, 1c) 의 경우에는 이들 구동 풀리를 또한 구동시킬 수 있음) 를 받아들일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장력 수단 (Z1, Z2, Z3) 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및 구동 풀리 (1a, 1b, 1c) 는 특별히 제조된 4 개의 접촉면을 가지며, 예컨대, 홈에 따라 케이블이 설계된 경우, 또는 접시형 표면 또는 치형 표면으로서 벨트의 경우에, 편평한 구조의 접촉면의 경우에, 상기 4 개의 접촉면에는 안내 숄더 (shoulder) 가 제공된다. 이러한 4 개의 접촉면은 공통의 롤러형 본체 또는 공통의 회전 축선을 지닌 각각의 4 개의 개별 롤러에 형성될 수 있다.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pulleys 1a, 1b, 1c and the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4a, 4b, 4c lies parallel to the first or second passage wall.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bove-mentioned elements also have four tension means Z1, Z2, Z3 extending in parallel, their guides (ie in the case of drive pulleys 1a, 1b, 1c) also Can be driven). In order to be able to accept the tension means Z1, Z2, Z3, the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4a, 4b, 4c and the driving pulleys 1a, 1b, 1c are particularly With four contact surfaces made, for example when the cable is designed according to a groove, or in the case of a belt as a dish surface or tooth surface, in the case of a flat contact surface, the four shoulders are provided with a guide shoulder. Is provided. These four contact surfaces can be formed in each of the four individual rollers having a common roller-like body or a common axis of rotation.

당업자라면, 이러한 형태의 실시형태의 지식으로, 각각의 목적에 따른 다양한 변형 예를 활용할 수 있다. 그래서, 서로에 대한 공간을 가지거나 또는 없이, 하나에서 네 개 이상의 개별 롤러를, 하나의 회전 축선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롤러는, 각각의 설계에 따라, 하나에서 네 개의 장력 수단 (Z1, Z2, Z3) (또는 필요에 따라 이 이상의 장력 수단) 을 받아들일 수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with the knowledge of this form of embodiment, utilize various modifications for their respective purposes. Thus, one to four or more individual rollers can be arranged on one axis of rotation, with or without space to each other. In this case, each roller can accept one to four tension means Z1, Z2, Z3 (or more tension means as needed), depending on the respective design.

승강기의 정상 작동 중에, 승강실 (7a, 7b, 7c) 은 정지 층과 동일 높이로 정지 층에 위치되며, 정지 층으로부터 승강실 (7a, 7b, 7c) 로 또는 이 반대로 승객이 이송되도록, 승강실 도어 (8) 는 통로 도어 (9) 와 함께 개방된다.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elevators 7a, 7b, 7c are located on the stationary floor at the same height as the stationary floor, so that the passengers are transported from the stationary floor to the elevators 7a, 7b, 7c or vice versa. The seal door 8 is opened together with the passage door 9.

도 3 은 중앙에 매달린 승강실 (7a, 7b, 7c) 을 지닌 다른 형태의 매달림 배치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직접 배치된 두 개의 승강기 유닛의 배치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직접 배치된 다른 쌍의 승강기 유닛을, 상기와 유사하게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3 shows another type of suspension arrangement with a cage 7a, 7b, 7c suspended in the center. Only the arrangement of two elevator units, one directly above the other, is shown her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other pairs of elevator units, one directly above the other, can be arranged similarly to the above.

연결 평면 (V) 의 양 측에서, 편향 롤러 및 구동 풀리 (1a, 1b, 1c) 로부터 장력 수단 (Z1, Z2, Z3) 이 안내된다. 상기 매달림은 연결 평면 (V) 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매달림 중심이 승강실 (7a, 7b, 7c) 의 중심 (S) 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모멘트가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1, 10.2) 에 작용하지 않는다.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lane V, tension means Z1, Z2, Z3 are guided from the deflection rollers and the drive pulleys 1a, 1b, 1c. The suspension is advantageously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lane (V). Since the hanging center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center S of the cages 7a, 7b, 7c, no additional moment acts on the cage guide rails 10.1, 10.2.

승강실 (7a, 7b, 7c) 의 이러한 중앙 매달림에 있어서, 관련 편향 롤러 (2a.1, 2a.2, 2b.1, 2b.2, 3a.1, 3a.2, 3b.1, 3b.2) 및 구동 풀리 (1a.1, 1a.2, 1b.1, 1b.2) 는, 연결 평면 (V) 의 왼편 및 오른편에 배치된 두 개 이상의 롤러로 이루어진다. 유사하게, 평형추 (12a, 12b, 12c) 의 편향 롤러 (4a, 4b, 4c) 는, 연결 평면 (V) 의 왼편 및 오른편에 배치된 두 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며, 명료화를 위해 도 3 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 승강실 (7a) 과 관련된 편향 롤러 (2a.1, 2a.2, 3a.1, 3a.2) 및 구동 풀리 (1a.1, 1a.2) 는 연결 평면 (V) 으로부터의 제 1 공간 (x) 에 위치하며, 인접 하부 승강실 (7b) 과 관련 된 편향 롤러 (2b.1, 2b.2, 3b.1, 3b.2) 및 구동 풀리 (1b) 는 연결 평면 (V) 으로부터의 제 2 공간 (X) 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공간 (x) 은 제 2 공간 (X) 보다 작다. 따라서, 승강실 (7a, 7b, 7c) 의 중앙 매달림의 경우에, 장력 수단 (Z1, Z2, Z3) 의 무충돌 안내가 보장된다. In this central suspension of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the associated deflection rollers 2a.1, 2a.2, 2b.1, 2b.2, 3a.1, 3a.2, 3b.1, 3b. 2) and drive pulleys 1a.1, 1a.2, 1b.1, 1b.2 consist of two or more roller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ng plane V.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deflection rollers 4a, 4b, 4c of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consist of two roller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ng plane V, shown in FIG. 3 for clarity. It doesn't work. In this embodiment, the deflection rollers 2a.1, 2a.2, 3a.1, 3a.2 and the driving pulleys 1a.1, 1a.2 associated with the central hoisting chamber 7a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ane V. Located in the first space (x) from the deflection rollers 2b.1, 2b.2, 3b.1, 3b.2 and the driving pulley 1b associated with the adjacent lower hoist chamber 7b are connected planes Located in the second space X from (V), the first space x is smaller than the second space X. Thus, in the case of the central suspension of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no collision guidance of the tension means Z1, Z2, Z3 is ensured.

또한, 여기서, 평형추 (12a, 12b, 12c) 는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과 제 1 또는 제 2 통로 벽 사이의 장력 수단 (Z1, Z2, Z3) 으로, 상기 평형추의 중심 (S) 에 매달리는 것이 유리하다. 승강실 (7a, 7b, 7c) 이 중심으로 매달려 있기 때문에, 평형추 (12a, 12b, 12c) 또한 제 1 및 제 2 통로 벽의 중심 영역에 위치한다. 평형추 (12a, 12b, 12c) 의 중심 위치로 인하여, 평형추 (12a, 12b, 12c) 의 측단부와 제 3 및 제 4 통로 벽 사이의 자유 공간은 증가한다. 따라서, 평형추 (12a, 12b, 12c) 의 설계가 자유롭게 된다. 그래서, 예컨대, 상기 공간을 보다 잘 이용하기 위해서 좁고 넓은 평형추 (12a, 12b, 12c) 가 사용될 수 있다. 주어진 통로 단면에 대하여, 승강실 (7a, 7b, 7c) 은 폭을 얻으며, 주어진 승강실 크기에 대하여, 통로 단면은 줄어들 수 있다.Also here,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tension means Z1, Z2, Z3 between the cage guide rails 10.1, 10.2 and the first or second passage wall, the center of the counterweight ( It is advantageous to hang on S). Since the hoist chambers 7a, 7b, 7c are suspended from the center,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also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Due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the free space between the side ends of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and the third and fourth passage walls increases. Thus, the design of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is free. Thus, for example, narrow and wide counterweights 12a, 12b, 12c can be used to better utilize the space. For a given passage cross section, the cages 7a, 7b, 7c get width, and for a given cage size the passage cross section can be reduced.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중심 및 편심 매달림 변형 예는 도 5 및 도 6 의 이하의 예로 소망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The center and eccentric suspension variants shown in FIGS. 2 and 3 can be combined, as desired in the following examples of FIGS. 5 and 6.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 (A1) 는 모터 (M1),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 구동 풀리 (1a) 및, 구동 풀리 (1a) 에 관한 장력 수단 (Z1) 의 돌림 각 및 구동기 (A1) 로부터 승강실 (7a) 또는 평형추 (12a) 로의 장력 수단 (Z1) 의 수평공간이 설정될 수 있는 임의의 설정 풀리 (13a) 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4, the driver A1 is a motor M1, preferably an electric motor, a drive pulley 1a and a turning angle and a driver A1 of the tension means Z1 with respect to the drive pulley 1a. ) Has any setting pulley 13a in which the horizontal space of the tension means Z1 from the hoisting chamber 7a or the counterweight 12a can be set.

모터 (M1) 는 구동 풀리 (1a) 위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상기 구동기는 승강실 (7a) 과 제 1 및 제 2 통로 벽 사이의 평형추 (12a) 의 떨어진 (clear) 돌출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기 (A1) 는 승강실 (7a) 를 지나 옮겨질 수 있어서, 통로의 다른 불필요한 공간에 탑재될 수 있다. 엔진실이 없는 종래의 승강기와 비교하면, 통로 헤드 및/또는 통로 피트 (pit) 에 공간이 얻어진다.The motor M1 is located vertically on the drive pulley 1a. Due to this arrangement, the driver can be located in the clear projection of the counterweight 12a between the hoist chamber 7a and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Therefore, the driver A1 can be moved past the hoisting chamber 7a, and can be mounted in another unnecessary space of the passag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elevator without an engine compartment, space is obtained in the passage head and / or passage pit.

도 4 에 따르면, 승강실 가이드 레일 (10.1) 및/또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 (11a.1, 11a.2) 에 고정된 크로스 부재 (19) 에 구동기 (A1) 가 고정된다. 도 4 에는, 백그라운드 승강실 (7a) 에 평형추 (12a) 가 매달린 제 3 편향 롤러 (4a) 를 더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예는 도 2 의 배치와 비교해 볼 때, 연결 평면 (V) 에 대하여 대칭이다. According to FIG. 4, the driver A1 is fixed to the cross member 19 fixed to the cage guide rail 10.1 and / or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11a. 1, 11a. 2. In FIG. 4, the third deflection roller 4a in which the counterweight 12a is suspended in the background elevator 7a can be further seen. The example shown here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lane V when compared to the arrangement of FIG. 2.

또한, 구동기 (A1) 는 선택적으로 통로 벽에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크로스 부재 (19) 가 생략된다.In addition, the driver A1 can optionally be fixed directly to the passage wall, in which case the cross member 19 is omitted.

도 5 는 분할 구역을 지닌 빌딩용 승강 설비를 나타낸다. 빌딩 영역 (G1, G2) 은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치된 빌딩의 몇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 빌딩 영역 (G1, G2) 의 이러한 층의 적어도 하나는 소위 환승 층 (U1, U2) 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환승 층에만 정지하는 피더 (feeder) 승강기에 의해 일 빌딩 영역 (G1) 으로부터 다른 빌딩 영역 (G2) 으로 갈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피더 승강기는 고속 승강기로 설계된다. 빌딩 영역 (G1, G2) 에 할당된 잔여 층의 수는, 수송 (take away) 승강기 (14.1, 14.2) 에 의해 처리되는 이들 층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수송 승강기 (14.1, 14.2) 는 환승 층 (U1, U2) 으로부터 목적 층으로 승객을 적절히 분배한다. 도시된 예에서, 인접 빌딩 영역 (G1, G2) 의 두개의 수송 승강기 (14.1, 14.2) 에 의해 처리되는 임의의 수의 층은 두 개의 인접 빌딩 영역 (G1, G2) 의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다. 빌딩 영역 (G1, G2) 의 경계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의 중심에 의해 확정된다.5 shows a hoisting installation for a building having a divided area. The building areas G1 and G2 consist of several floors of the building, one on top of the other.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se layers of the building areas G1, G2 is the so-called transit floors U1, U2. In general, it is possible to go from one building area G1 to another building area G2 by means of a feeder lift which stops only at the transit floor. Here, such a feeder elevator is designed as a high speed elevator. The number of remaining floors assigned to the building areas G1, G2 is defined by these floors which are processed by take away elevators 14.1, 14.2. These transport elevators 14.1, 14.2 properly distribute the passengers from the transfer floors U1, U2 to the destination floor. In the example shown, any number of floors handled by two transport elevators 14.1, 14.2 of adjacent building areas G1, G2 are provided in the edge area of two adjacent building areas G1, G2. The boundary of the building areas G1, G2 is determined by the center of the edge area.

여기서, 상기 빌딩은 두 개의 빌딩 영역 (G1, G2) 으로 나눠어진다. 각각의 이러한 빌딩 영역 (G1, G2) 에는 3 중 군 (14.1, 14.2) 이 배당된다. 상기 승강 설비는, 두 개의 통로 (15.1, 15.2) 에 배치된 두 개의 승강기를 더 포함한다. 6 개의 승강기 유닛 및 관련된 6 개의 승강 영역 (K1.1, K1.2, K1.3, K2.1, K2.2, K2.3) 을 지니는,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치된 두 개의 3 중 군 (14.1, 14.2) 이 제 1 통로 (15.1) 에 배치되어 있다. Here,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two building areas G1 and G2. Each of these building areas G1, G2 is assigned a triple group (14.1, 14.2). The elevating installation further comprises two elevators arranged in two passages 15.1, 15.2. Two vertically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with six elevator units and six associated lifting zones (K1.1, K1.2, K1.3, K2.1, K2.2, K2.3) Triple groups 14.1, 14.2 are arranged in the first passageway 15.1.

독점적으로 환승 층 (U1.2, U1.1, U2.1, U2.2) 을 담당하는 고성능 승강기는 제 2 승강 통로 (15.2) 에서 이동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고성능 승강기는,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치되며 통로 (15) 에서 공통으로 이동가능한 두개의 고정 연결된 승강실을 지닌 이중 층 (double-decker) 승강기이다. 이러한 이중 층 승강실은,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직접 배치된 두 개의 환승 층 (U1.2, U1.1, U2.1, U2.2) 을 담당한다.The high performance elevator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e transfer floors U1.2, U1.1, U2.1, U2.2 travels in the second hoistway 15.2. In the example shown, the high performance elevator is a double-decker elevator with two fixedly connected elevators, one on top of which is vertically arranged and movable in common in the passage 15. This double storey elevator is responsible for two transit floors U1.2, U1.1, U2.1, U2.2, one directly arranged on the other.

두 개의 3 중 군 (14.1, 14.2) 의 주요 역활은 환승 층 (U1.1, U1.2, U2.1, U2.2) 으로부터 대응 빌딩 영역 (G1, G2) 의 목적 층으로 (및 반대로) 승객을 이송 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또한, 3 중 군 (14.1, 14.2) 은, 인접 빌딩 영역 (G1, G2) 뿐만아니라 각각의 빌딩 영역 (G1, G2) 내의 이송을 책임진다.The main role of the two triple groups (14.1, 14.2) is from the transfer floor (U1.1, U1.2, U2.1, U2.2) to the target floor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area (G1, G2) (and vice versa). It is to transport passengers. However, the triple group 14.1, 14.2 is also responsible for the transfer in each of the building areas G1, G2 as well as the adjacent building areas G1, G2.

따라서, 승강실 영역 (G1, G2) 의 경계에 위치한, 제 1 삼중 군 (14.1) 의 제 1 승강실 (K3.1) 및 제 2 삼중 군 (14.2) 의 최하부 승강실 영역 (K2.2) 은, 인접 빌딩 영역 (G1, G2) 에 각각 위치한 층 영역을 각각 가진다. 이제, 상기 승강실 영역 (K3.1, K2.2) 중의 하나 내에 각각의 인접 빌딩 영역 (G1, G2) 의 층이 이를 수 있다. 이는, 일 빌딩 영역 (G1, G2) 으로부터 다른 인접 빌딩 영역 (G1, G2) 으로 통과하기 위해서, 환승 층 (U1.1, U1.2, U2.1, U2.2) 을 경유한 빌딩 영역 (G1, G2) 의 표준 변경과는 별도로, 추가 가능성을 제공한다. 빌딩 영역에 걸쳐있는 3 중 군 (14.1, 14.2) 의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승강기 설비는 경로를 융통성 있게 할당함으로써 차별화된다.Therefore, the lowermost landing area K2.2 of the first landing chamber K3.1 and the second triple group 14.2 of the first triple group 14.1, which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landing area G1, G2. Has each floor area located in adjacent building area | region G1 and G2, respectively. Now, the floor of each adjacent building area G1, G2 can reach within one of the above-mentioned cabin areas K3.1, K2.2. This means that in order to pass from one building area G1, G2 to another adjacent building area G1, G2, the building area via transit floors U1.1, U1.2, U2.1, U2.2 ( Apart from the standard change of G1, G2), it offers additional possibilities. Due to this arrangement of triple groups (14.1, 14.2) spanning the building area, elevator equipment is differentiated by the flexible assignment of routes.

각각의 빌딩 영역 (G1, G2) 에서의 각각의 승강실 영역 (K1.1, K1.2, K1.3, K2.1, K2.2, K2.3) 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 (U1.2, U1.1, U2.1, U2.2) 을 갖는다. 예에 의한 이하의 배치는, 2 중 층 승강기의 환승 층 (U2.1, U2.2) 이 빌딩 영역 (G2) 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고, 하부 환승 층 (U2.2) 이 2 중 승강실의 하부 승강실 및 3 중 군 (14.1) 의 중간 및 하부 인접 승강실에 의해 처리되고, 상부 환승 층 (U2.1) 이 2 중 승강실의 상부 승강실 및 3 중 군 (14.2) 의 중간 및 하부 인접 승강실에 의해 처리되는 상부 빌딩 영역 (G2) 의 결과가 된다. 그래서, 목적지 층이 중간 승강실 영역 (K1.2) 인 승객은 전진 주행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삼중 군 (14.2) 의 두 승강실을 항상 가진다.Each landing area K1.1, K1.2, K1.3, K2.1, K2.2, K2.3 in each building area G1, G2 has at least one transit floor U1.2. , U1.1, U2.1, U2.2). The followin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example is described in which the transfer floors U2.1 and U2.2 of the double-story elevator are located in the center area of the building area G2, and the lower transfer floor U2.2 is located in the double lift room. It is treated by the lower car and the middle and lower adjacent car of the triple group 14. 1, the upper transit floor U2.1 being the middle of the upper car of the double car and the middle and lower of the triple group 14.2. The result is the upper building area G2 treated by the adjacent elevator. Thus, a passenger whose destination floor is the intermediate cabin area K1.2 always has two cabins of triple group 14.2 that can be used for forward travel.

인접 승강실 영역 (K2.2, K3.2) 은 빌딩 영역 (G2) 의 층의 절반을 각각 포함한다. 상부를 향한 상부 승강실 영역 (K3.2) 은 승강실 영역 (G2) 의 단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에 반하여, 하부 승강실 영역 (K2.2) 은 빌딩 영역 (G2) 의 하부 단부를 넘어 빌딩 영역 (G1) 내로 뻗게 되며, 빌딩 영역 (G1) 의 중간 승강실 영역 (K1.1) 에 의해 하방으로 경계가 정해진다.Adjacent landing areas K2.2 and K3.2 each comprise half of the floor of building area G2. The upper cabin area K3.2 facing upward is bounded by the end of the cabin area G2. In contrast, the lower cage area K2.2 extends beyond the lower end of the building area G2 into the building area G1 and is lowered by the intermediate cage area K1.1 of the building area G1. Bounded by

중간 승강실 영역 (K1.2) 은, 환승 층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가진다. 그러나, 중간 승강실 영역 (K1.2) 은 빌딩 영역 (G2) 의 가능한 많은 층에 걸쳐 뻗어있다. 삼중 군 (14.2) 의 승강실의 수직 적재로 인하여, 중간 승강실 영역 (K1.2) 의 승강실은 상부 인접 승강실을 통과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를 향한 중간 승강실 영역 (K1.2) 은 상부 인접 승강실 영역 (K3.2) 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중간 승강실 영역 (K1.2) 의 하부 경계부는, 하부에 배치된 인접한 하나의 승강실과 관련된 구동기의 위치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구동기는 하부 3 중 군 (14.1) 의 상부 승강실 영역 (K3.1) 에 할당되어 있다. 두 개의 층의 중간 승강실 영역 (K1.2) 이 최소 크기인 경우에, 3 중 군 (14.2) 의 중간 승강실은 빌딩 영역 (G2) 에 대하여 에스컬레이터 (16) (이 에스컬레이터는 상부 환승 층 (U2.1) 으로부터 하부 환승 층 (U2.2) 으로 및 이 반대로 승객을 수송한다) 의 기능을 대신 실행한다.The intermediate cage area K1.2 has two or more layers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floor. However, the intermediate cabin area K1.2 extends over as many floors as possible of the building area G2. Due to the vertical loading of the car compartment of the triple group 14.2, the car compartment of the intermediate car compartment K1.2 moves through the upper adjacent car compartment, so that the middle car compartment area K1.2 towards the top is The boundary is defined by the upper adjacent cage area K3.2. The lower boundary of the intermediate cage area K1.2 i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with respect to one adjacent cage in the lower portion. Such a driver is assigned to the upper compartment area K3.1 of the lower triple group 14.1. In the case where the intermediate cage area K1.2 of the two floors is of a minimum size, the intermediate cage of the triple group 14.2 is the escalator 16 with respect to the building area G2 (this escalator is the upper transit floor U2). .1) carry out the function of transporting passengers from the lower transit floor (U2.2) and vice versa) instead.

하부 3 중군 (14.1) 및 관련 승강실 영역 (K1.1, K2.1, K3.1) 은 상부 3 중 군 (14.2) 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대칭점은 빌딩 영역 (G1, G2)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는 통로 높이의 통로 (15.1) 의 중앙에 위치한다. 따라 서, 환승 층 (U1.1, U1.2) 또한, 빌딩 영역 (G1) 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다. 중간 승강실 영역 (K1.1) 은 빌딩 영역 (G1) 의 다른 층뿐만 환승 층 (U1.1, U1.2) 을 담당한다. 상기 승강실 영역 (K1.1) 은 상부에서 관련 구동기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바닥에서 하부 인접 승강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상부 인접 승강실 영역 (K3.1) 은 상부 빌딩 영역 (G2) 의 하부 승강실 영역 (K2.2) 와 유사하게 빌딩 영역에 걸쳐 뻗어있도록 배치된다. 승강실 영역 (K3.1) 은 관련 구동기로부터, 아래에 배치되어 승강실 영역 (K2.1) 의 층을 담당하는 인접하는 하나의 승강실의 구동기 아래로 뻗어있다. 이러한 하부 인접 승강실 영역 (K2.1) 은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상부 인접 승강실 영역 (K3.1) 과 인접하며, 하부에서 빌딩 영역 (K1) 의 하부 단부와 인접한다.The lower triple group 14. 1 and the associated cabin areas K1.1, K2.1, K3.1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triple group 14.2, and these points of symmetry are the building regions G1, G2.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assage 15.1 of the passag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m. Therefore, the transit floors U1.1, U1.2 are also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building area G1. The intermediate cabin area K1.1 is responsible for the transfer floors U1.1, U1.2 as well as the other floors of the building area G1. The cage area K1.1 is bounded at the top by an associated driver and at the bottom by a lower adjacent cage. The upper adjacent car compartment K3.1 is arranged to extend over the building area, similar to the lower car compartment K2.2 of the upper building area G2. The car compartment region K3.1 extends from the associated driver below the driver of one adjacent car compartment, which is arranged below and is responsible for the floor of the car compartment region K2.1. This lower adjacent car compartment K2.1 is, as described, adjacent to the upper adjacent car compartment K3.1 at the top and to the lower end of the building area K1 at the bottom.

하부 빌딩 영역 (G1) 의 두 개의 환승 층 (U1.1, U1.2) 은 에스컬레이터 (16) 에 의해 연결된다. 에스컬레이터는 종종 빌딩 로비에 사용된다. 상기 빌딩 로비는, 승객이 빌딩으로 들어오고 또한 이 빌딩을 나가는 층이기 때문에 많은 승객들로 붐비는 층이다. 예컨대, 하부 환승 층 (U1.2) 이 빌딩 로비라면, 롤러 에스컬레이터 (16) 의 높은 이송 능력의 도움으로, 필요에 따라 유입 승객은 상부 환승 층 (U1.1) 으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으며, 또는 빌딩을 떠날 시에 상기 상부 환승 층으로부터 빌딩 로비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 빌딩의 각종 형태 및 위치에 따라, 빌딩 로비는 주로 빌딩의 임의의 층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빌딩 로비는 일반적으로 제 2 통로 (15.2) 의 하나 이상의 고속 승강기에 의해 처리된다. Two transit floors U1.1, U1.2 of the lower building area G1 are connected by an escalator 16. Escalators are often used in building lobbies. The building lobby is a floor crowded with many passengers because it is the floor where passengers enter and exit the building. For example, if the lower transit floor U1.2 is a building lobby, with the help of the high transport capacity of the roller escalator 16, the incoming passenger can be quickly moved to the upper transit floor U1.1 as needed, or Upon leaving the building it can be quickly moved from the upper transit floor to the building lobby. Depending on the various forms and locations of the building, the building lobby may be located primarily on any floor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building lobby is generally treated by one or more high speed elevators in the second passage 15.2.

도 5 에 도시된 예는, 제 1 통로 (15.1) 에서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치된 3 중군의 2 개의 승강실에 의해 연속적으로 처리된다. 빌딩의 최상부 층 및 최하부 층만이 유일한 예외이다. 이러한 두 개의 층은 최상부 및 최하부 승강실 영역 (K2.1. K3.2) 의 승강실에 의해서만 처리된다. 일반적인 승강 설비에서 각각의 경우에, 빌딩 영역 (G1, G2) 당 하나의 승강실 만으로 처리되는 2 개의 경계 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는, 빌딩 영역 (G1, G2) 에 독점적으로 할당된 3 중군 (14.1, 14.2) 을 지닌 일반적인 승강설비와 비교해 볼 때, 실질적으로 유리하다. 그래서, 상기 설명된 승강기 설비는 특히 고속 이송 성능을 가진다.The example shown in FIG. 5 is successively processed by two cabins of a triple group, one on top of the other in the first passageway 15.1, arranged vertically. The only exception is the top floor and the bottom floor of the building. These two floors are treated only by the hoisting chambers of the top and bottom hoisting area (K2.1. K3.2). Since in each case in a general hoisting facility there are two boundary floors which are treated with only one cabin per building area G1, G2, this is because the triplet (exclusively assigned to the building area G1, G2) Compared with general hoisting equipment with 14.1, 14.2), it is practically advantageous. Thus, the elevator installation described above has in particular a high speed transfer performance.

도 6 은, 도 4 의 예에 따라 구성된 승강기 설비를 지닌 빌딩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빌딩은 두 개의 관련 3 중 군 (14.3, 14.4) 를 지닌 두 개의 추가 빌딩 영역 (G3, G4) 를 가진다. 이러한 두 개의 3 중 군 (14.3, 14.4) 은, 6 개의 관련 승강실 영역 (K1.3, K2.3, K3.3, K1.4, K2.4, K3.4) 에서 이동가능한 6 개의 승강기 캐빈 (cabin) 을 가진다. 또한, 두 개의 각각의 환승 층 (U3.1, U3.2, U4.1, U4.2) 은 두 개의 추가 빌딩 영역 (G3, G4) 의 각각과 관련된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임의의 수의 3 중 군 (14) 은, 빌딩 영역 (G1, G2, G3, G4) 을 형성하는 층 수 또는 각각의 빌딩 높이에 따라,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통로 (15.1) 에 배치될 수 있다.FIG. 6 shows a building with elevator equipmen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4. The building here has two additional building areas G3 and G4 with two related triple groups 14.3 and 14.4. These two triple groups (14.3, 14.4) are six lifts that are movable in six associated cabin areas (K1.3, K2.3, K3.3, K1.4, K2.4, K3.4). It has a cabin. In addition, two respective transfer floors U3.1, U3.2, U4.1, U4.2 are associated with each of the two further building areas G3, G4. According to this example, any number of triple groups 14 pass vertically one over the oth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floors forming each building area G1, G2, G3, G4 or the height of each building. (15.1).

도 7 은 3 개의 빌딩 영역 (G1, G2, G3) 및 두 개의 통로 (15.1, 15.2) 를 지닌 빌딩에서의 승강기 설치를 나타낸다. 제 1 통로 (15.1) 에는, 5 개의 승 강실 영역 (K1.1, K1/2, K1.2, K2/3, K3.1) 에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대응 승강실 (17.1 ~ 5) 을 지닌 5 개의 승강기 유닛이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로 배치되어 있다. 3 개의 빌딩 영역 (G1, G2, G3) 은 관련 빌딩 영역 (G1, G2, G3) 의 중간 영역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환승 층 (U1.1, U1.2, U2.1, U2.2, U3.1, U3.2) 을 각각 가진다. 7 shows the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three building areas G1, G2, G3 and two passageways 15.1, 15.2. The first passageway 15. 1 has a 5 with corresponding lift rooms 17.1 to 5 independently movable in the 5 lift zone areas K1.1, K1 / 2, K1.2, K2 / 3, K3.1. Two elevator units are arranged on top of one another. Three building zones G1, G2, G3 comprise two transit floors U1.1, U1.2, U2.1, U2.2,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relevant building zones G1, G2, G3. U3.1 and U3.2) respectively.

최하부 승강실 (17.1), 이 최하부 승강실 위에 배치된, 인접하는 하나의 승강실 (17.3) 및 최상부 승강실 (17.5) 은, 3 개의 관련 빌딩 영역 (G1, G2, G3) 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3 개의 관련 승강실 영역 (K1.1, K1.2, K1.3) 을 규정한다. 두 개의 다른 승강실 (17.2, 17.4) 은 이러한 3 개의 승강실 (17.1, 17.3, 17.5)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두 개의 승강실 (17.2, 17.4) 은 두 개의 관련 승강실 영역 (K1/2, K2/3) 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들 두 개의 승강실 영역 (K1/2, K2/3) 은 빌딩 영역에 걸쳐 뻗어있도록 배치된다. 최하부 빌딩 영역 (G1) 에서, 에스컬레이터 (16) 는 두 개의 환승 층 (U1.1, U1.2) 사이에서 승객을 이송시킨다.The lowest elevator 17.1, the one adjacent elevator 17.3 and the upper elevator 17.5 disposed above the lowest elevator,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three associated building areas G1, G2, G3. Three relevant cabin areas (K1.1, K1.2, K1.3) are specified. Two different cages 17.2, 17.4 are arranged between these three cages 17.1, 17.3, 17.5. These two cages 17.2, 17.4 are movable in two associated cage areas K1 / 2, K2 / 3. These two landing areas K1 / 2, K2 / 3 are arranged to extend over the building area. In the bottom building area G1, the escalator 16 transfers passengers between two transfer floors U1.1, U1.2.

도 8 은 도 7 의 예와 같은, 빌딩 영역 분할 및 승강실 영역 분할로 이루어진 승강기 설비를 나타낸다. 상기 빌딩은 관련 환승 층 (U4.1, U4.2, U5.1, U5.2, U6.1, U6.2, U7.1, U7.2) 및, 대응 승강실 (17.7, 17.9, 17.11, 17.13) (이 대응 승강실은 관련 빌딩 영역 (G4, G5, G6, G7) 의 층을 독점적으로 담당한다) 을 지닌 4 개의 승강실 영역 (K1.4, K1.5, K1.6, K1.7) 을 가지는 4 개의 추가 빌딩 영역 (G4, G5, G6, G7) 을 가진다. 여기에는, 빌딩에 걸쳐 뻗어있는 대응 승 강실 (17.6, 17.8, 17.10, 17.12) 을 지닌 4 개의 승강실 영역 (K3/4, K4/5, K5/6, K6/7) 이 추가된다.FIG. 8 shows an elevator installation consisting of building area division and cabin area division, as in the example of FIG. 7. The building has associated transit floors (U4.1, U4.2, U5.1, U5.2, U6.1, U6.2, U7.1, U7.2) and corresponding elevators (17.7, 17.9, 17.11). , 17.13) Four landing areas (K1.4, K1.5, K1.6, K1) with four corresponding landing areas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e floors of the relevant building areas (G4, G5, G6, G7). 7) have four additional building areas G4, G5, G6, G7. To this are added four landing areas (K3 / 4, K4 / 5, K5 / 6, K6 / 7) with corresponding elevators (17.6, 17.8, 17.10, 17.12) extending throughout the building.

본 발명은 도시된 형태의 실시형태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정 형태의 빌딩에 대하여는 다른 파라메터가 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 층의 승강실 대신에, 함께 연결된 2 개 이상의 승강실을 가지는 몇 개 또는 각각의 단일 승강실 또는 다수의 승강실이 제 2 통로 (15.2) 로 옮겨질 수 있다. 또한, 빌딩 영역 (G) 에 할당된 층의 수는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빌딩 영역 (G) 은 동일한 수의 층일 필요가 없으며, 이 수는 빌딩 영역에서 빌딩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3 중군 (14) 만이 빌딩 영역 (G) 에 할당될 필요는 없다. 그래서, 4중, 4중 또는 6중 군 등 또한 빌딩 영역 (G) 에 할당될 수 있다. 케빈 (cabin) 영역은 예컨대, 3 중군 내에서 대칭으로 제조될 필요는 없다. 구동기의 위치 및 환승 층에 따라, 이들 승강실 영역 (K) 은 특정 빌딩 조건에 맞게 자유로이 형성가능하다. 또한, 마지막으로, 환승 층 (U) 은 다수의 승강실의 수 또는 승강실 영역 (K) 에 따라, 빌딩 영역 (G) 의 수 및 위치에 대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the form show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other parameters are optimal for certain types of buildings. Instead of a double-floor elevator, several or each single lift or multiple lifts with two or more lifts connected together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passageway 15.2. In addition, the number of floors allocated to the building area G can be freely selected. In addition, the building area G need not be the same number of floors, and this number can be changed from the building area to the building area. In addition, only the triple group 14 need not be allocated to the building area G. Thus, quadruple, quadruple or sixfold groups and the like can also be assigned to the building area G. The Kevin region does not need to be produced symmetrically, for example in triplet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river and the transit floor, these cabin areas K can be freely formed for specific building conditions. Also, finally, the transfer floor U can be free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building areas G,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or the cabin area K.

이하의 단순 계산은, 본 발명에 의해 이송 성능의 상당히 향상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기재에 따르면, 예컨대, 12 개의 층을 지닌 빌딩 영역 (G2) 에 있어서, 두 개의 승강실이 11 층을 각각 담당, 즉, 각각의 승강실은 처리되는 층의 수에 의한 중량의 1/11 의 층당 이송율을 가지며, 이 이송율은 특정층에서 승강실의 이송능력에 대한 측정을 나타낸다. 이는, 하나의 승강실에 의해서 만 각각 처리되는 두 개의 경계층에 대한 1/11 의 각각의 이송율을 제공하며, 두 개의 승강실 영역이 겹치는 8 개 층의 중앙 영역에 대한 2/11 의 이송율을 제공한다. The following simple calculations sh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transfe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for example, in a building area G2 with twelve floors, two elevators are each responsible for 11 floors, ie each cabin is 1 / weight of the weight by the number of floors to be treated. It has a feed rate of 11 per floor, which is a measure of the transport capacity of the hoist room in a particular floor. This provides a respective feed rate of 1/11 for the two boundary layers, each processed only by one cage, and a feed rate of 2/11 for the central zone of eight floors where the two cage areas overlap. To provide.

도 6 의 예에 따르면, 이하의 계산은, 빌딩 영역 (G3) 에서 이동되는 각각의 승강실이 8 개의 층을 받아들이는 관련 승강실 영역을 가지는 중간 빌딩 영역 (G3) 에 대한 결과이다. 빌딩 영역 (G3) 의 각각의 층은 두 개의 승강실에 의해 처리되기 때문에, 2/8 또는 1/4 의 연속적인 이송율의 결과가 얻어진다. 그래서, 이송능력은 종래 기술의 기재에 따른 비교대상의 승강 설비의 값을 크게 초과한다.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6, the following calculation is the result for the intermediate building area G3 with each associated moving room in the building area G3 having an associated cabin area receiving eight floors. Since each floor of the building area G3 is treated by two cages, the result is a continuous feed rate of 2/8 or 1/4. Thus, the transfer capacity greatly exceeds the value of the lifting device of comparis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도 8 에 도시된, 승강기 설비의 제 2 배치에서, 중간 빌딩 영역 (G4) 의 층에 대한 이송율은 앞서에서와 유사한 고려사항을 따라 계산된다. 빌딩 영역 (G4) 에서 이동된 각각의 승강실은 12 개의 층을 받아들이는 관련 승강실 영역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빌딩 영역 (G4) 의 각각의 층 또한 두 개의 승강실에 의해 처리된다. 그래서, 2/12 의 이송율은 빌딩 영역 (G4) 의 각각의 층에 대한 결과가 된다. 중간 층이 대략 동일 회수로 처리되는 경우에, 이러한 예의 경계 층은, 종래 기술의 기재에 따른 승강기 설비의 경우보다 상당히 많은 횟수로 처리될 수 있다.In the second arrangement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shown in FIG. 8, the feed rate for the floor of the intermediate building area G4 is calculated according to similar considerations as before. Each cabin moved in building area G4 has an associated cabin area that accepts 12 floors. In this case, each floor of the building area G4 is also treated by two elevators. Thus, a feed rate of 2/12 is the result for each floor of building area G4. In the case where the intermediate layer is treated with approximately the same number of times, the boundary layer of this example can be treated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times than in the case of elevator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ption.

도 1 은 3 개의 승강실, 3 개의 구동기, 3 개의 구동기 풀리, 3 개의 장력 수단 및 몇 개의 편향 롤러를 지니는 승강 설비의 승강기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an elevator in an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three elevators, three drivers, three driver pulleys, three tension means and several deflection rollers;

도 2 는 도 1 에 따라 승강 설비의 승강기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elevators of the lifting equipment according to FIG. 1; FIG.

도 3 은 도 1 에 따라 승강 설비의 승강기의 선택적인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lternative arrangement of the elevators of the lifting installation according to FIG. 1;

도 4 는 크로스 부재 상에서의 구동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driver on the cross member;

도 5 는 두 빌딩 영역을 지닌 빌딩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levator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building with two building zones.

도 6 은 4 개의 빌딩 영역을 지닌 빌딩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levator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building with four building zones.

도 7 은 3 개의 빌딩 영역을 지닌 빌딩에서의 다른 배치로 이루어진 승강기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FIG. 7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levator installation in another arrangement in a building with three building zones. FIG.

도 8 은 7 개의 빌딩 영역을 지닌 빌딩에서의 다른 배치를 지닌 승강기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nother arrangement in a building with seven building area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G1, G2, G3, G4: 빌딩 영역G1, G2, G3, G4: Building Area

7a, 7b, 7c: 승강실7a, 7b, 7c: elevator

U1.1, U1.2, U2.1, U2.2: 환승 층U1.1, U1.2, U2.1, U2.2: Transit Floor

15.1: 통로15.1: passage

Claims (39)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로서, 상기 빌딩은 빌딩 영역 (G1, G2, G3, G4) 으로 나눠어져 있고, 각각의 승강기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을 가지며,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은 관련 승강실 영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에서 각자의 구동기 (A1, A2, A3) 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각각의 승강실 영역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은 하나 이상의 환승 층 (U1.1, U1.2, U2.1, U2.2) 및 하나 이상의 다른 환승 층을 가지는 상기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the building being divided into building areas G1, G2, G3, G4, each elevator having one or more elevators 7a, 7b, 7c, respectively. The driver's cabins 7a, 7b and 7c have their respective actuators in the associated cabin areas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Independently movable by (A1, A2, A3), each compartment area (K1, K2, K3; K1.1, K2.1, K3.1, K1.2, K2.2, K3.2 ) Is the elevator facility having at least one transit floor (U1.1, U1.2, U2.1, U2.2) and at least one other transit floor, 제 1 승강기는,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통로 (15.1) 내에 배치되며 중간 및 두 개의 인접 승강실을 포함하는 3 개 이상의 승강실 (7a, 7b, 7c) 을 가지며, 중간 승강실 (7a) 은 중간 승강실 영역 (K1; K1.1, K1.2) 에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두 개의 인접 승강실 (7b, 7c) 은 두 개의 인접 승강실 영역 (K2, K3; K2.1, K3.1, K2.2, K3.2) 에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중간 승강실 영역 (K1, K1.1, K1.2) 및 인접 승강실 영역 (K2, K3; K2.1, K3.1, K2.2, K3.2) 은 하나 이상의 공통 층을 담당하며, 하나 이상의 이러한 승강실 영역 (K1.1, K2.1, K3.1, K1.2, K2.2, K3.2) 은 두 개의 빌딩 영역 (G1, G2) 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he first elevator has three or more elevators 7a, 7b, 7c, one on top of the other, arranged vertically in the passageway 15.1 and comprising an intermediate and two adjacent elevators, the intermediate elevator 7a. Are independently movable in the intermediate cage areas K1; K1.1, K1.2, and two adjacent cages 7b, 7c are two adjacent cage areas K2, K3; K2.1, K3. .1, K2.2, K3.2) independently moveable, intermediate landing areas (K1, K1.1, K1.2) and adjacent landing areas (K2, K3; K2.1, K3.1) , K2.2, K3.2) are responsible for one or more common floors, and one or more such cabin areas (K1.1, K2.1, K3.1, K1.2, K2.2, K3.2) 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by being assigned to two building zones (G1, G2).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2 승강기의 이러한 하나 이상의 승강실은,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수직으로 배치되며 동일 승강실 영역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승강실을 지닌 다수의 승강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One or more elevators of the second elevator are 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elevators are arranged vertically above one another and have two or more elevators for the same elevator area. .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다수의 승강실은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 두 개 이상의 환승 층 (U1.1, U1.2, U2.1, U2.2) 을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he plurality of hoisting chambers of a building having two or more hoisting elevators, characterized by two or more transit floors (U1.1, U1.2, U2.1, U2.2)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Elevator equipmen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3 개 이상의 승강실 영역은 2 개 이상의 인접 빌딩 영역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ree landing areas are associated with at least two adjacent building area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중간 승강실 영역은 일 빌딩 영역과 관련되며, 두 개의 인접 승강실 영역은 동일 빌딩 영역 및 인접 상부 또는 하부 빌딩 영역과 각각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A lift facility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wherein the intermediate lift area is associated with one building area, and two adjacent lift areas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building area and adjacent upper or lower building areas, respectivel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승강실 (7a, 7b, 7c) 은 이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된 3 개 이상의 구 동기 (A1, A2, A3) 를 스쳐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he building 7a, 7b, 7c is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traverse three or more actuators A1, A2, A3 associated with this room 7a, 7b, 7c. Elevator equipment.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된 3 개 이상의 구동기 (A1, A2, A3) 는 제 1 통로 벽 또는 대향하는 제 2 통로 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s in buildings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ree actuators A1, A2, A3 associated with the elevators 7a, 7b, 7c are located in the first passage wall or in the opposite second passage wall. equipmen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중간 승강실 (7a) 의 구동기 (A1) 는 제 1 통로 벽에 위치되며, 인접 승강실 (7a, 7c) 의 두 개의 구동기 (A2, A3) 는 대향하는 제 2 통로 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he driver A1 of the intermediate hoisting chamber 7a is located on the first passage wall, and the two drivers A2, A3 of the adjacent hoisting chambers 7a, 7c are located on the opposite second passageway wall. 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3 개 이상의 구동기 (A1, A2, A3) 는 대향하는 제 1 또는 제 2 통로 벽에 교대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ree actuators (A1, A2, A3) are alternately located at opposite first or second passage walls.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3 개 이상의 구동기 (A1, A2, A3) 는 상이한 통로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ree actuators (A1, A2, A3) are located at different passage heights.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인접 승강실 (7b, 7c) 의 구동기 (A2, A3) 는 중간 승강실 (7a) 의 구동기 (A1) 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rs A2, A3 of the adjacent hoisting chambers 7b, 7c are arranged above or below the driver A1 of the intermediate hoisting chamber 7a.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중간 승강실의 구동기 (A1) 와 인접 승강실의 구동기 (A2, A3) 들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하나의 승강실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1 of the intermediate cage and the drivers A2, A3 of the adjacent c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one cage.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두 개의 구동기 (A1, A3) 는 동일 통로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drivers A1, A3 are located at the same passage height.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구동기 (A1, A2, A3) 는 하나 이상의 모터 (M1, M2, M3) 및 구동 풀리 (1a, 1b, 1c)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rs A1, A2, A3 have one or more motors M1, M2, M3 and drive pulleys 1a, 1b, 1c.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모터 (M1, M2, M3) 는 관련 구동 풀리 (1a, 1b, 1c) 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s M1, M2, M3 are arranged vertically above the associated drive pulleys 1a, 1b, 1c.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구동 풀리 (1a, 1b, 1c) 의 축선은 제 1 및 제 2 통로 벽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axes of the drive pulleys (1a, 1b, 1c) are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평형추 (12a, 12b, 12c) 는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associated with respective hoist rooms (7a, 7b, 7c).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각각의 평형추 (12a, 12b, 12c) 는 두 개의 평형추 안내 레일 (11a.1, 11a.2, 11b.1, 11b.2) 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ach counterweight 12a, 12b, 12c is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by being guided by two counterweight guide rails 11a.1, 11a.2, 11b.1, 11b.2. Elevator equipment.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or 18,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은 두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에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each cage 7a, 7b, 7c is movable according to two cage guide rails 10.1, 10.2.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or 19, 평형추 (12a, 12b, 12c) 는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과 제 1 및 제 2 통로 벽 사이에 위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located between the cage guide rails (10.1, 10.2) and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walls.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0, 하나 이상의 장력 수단 (Z1, Z2, Z3) 은 각각의 승강실 (7a, 7b, 7c) 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tension means (Z1, Z2, Z3) i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elevators (7a, 7b, 7c).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승강실 (7a, 7b, 7c) 및 관련 평형추 (12a, 12b, 12c) 는 공통 장력 수단 (Z1, Z2, Z3) 에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in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and the associated 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suspended in common tension means Z1, Z2, Z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or 22,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은 구동 풀리 (1a, 1b, 1c) 와 접촉하여 작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means (Z1, Z2, Z3) are arranged to operate in contact with the drive pulleys (1a, 1b, 1c). 제 21 항 내지 제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승강실 (7a, 7b, 7c) 은 도르래 방식으로 장력 수단 (Z1, Z2, Z3) 에 의해 매달려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are suspended by tension means (Z1, Z2, Z3) in a pulley manner.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승강실 (7a, 7b, 7c) 은 이 승강실 (7a, 7b, 7c) 의 하부 영역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use one or more first and second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moun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hoisting chambers 7a, 7b, 7c. 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having two or more elevators, each having a.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장력 수단 (Z1, Z2, Z3) 은 제 1 고정점 (5a, 5b, 5c) 까지 구동 풀리 (1a, 1b, 1c) 와 제 1 및 제 2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he tension means Z1, Z2, Z3 are driven pulleys 1a, 1b, 1c and first and second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to the first fixing points 5a, 5b, 5c. 3c) 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guided by.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27. The method of any of claims 21 to 26, 평형추 (12a, 12b, 12c) 는 장력 수단 (Z1, Z2, Z3) 에 의해 도르래 방식으로 관련 구동기 (A1, A2, A3) 아래에 매달려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 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suspended under the associated drivers A1, A2, A3 in a pulley manner by means of tension means Z1, Z2, Z3. Elevator equipment.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평형추 (12a, 12b, 12c) 는 이 평형추 (12a, 12b, 12c) 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Counterweights 12a, 12b, 12c are buildings having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third deflection rollers 4a, 4b, 4c fix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counterweights 12a, 12b, 12c. Elevator equipment.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장력 수단 (Z1, Z2, Z3) 은 구동 풀리 (1a, 1b, 1c) 에 의해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를 경유하여 제 2 고정점 (6a, 6b, 6c) 까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he tension means Z1, Z2, Z3 are guided by the driving pulleys 1a, 1b, 1c to the second fixing points 6a, 6b, 6c via the third deflection rollers 4a, 4b, 4c. Elevator equipment in buildings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9, 장력 수단 (Z1, Z2, Z3) 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 또는 이중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means for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means (Z1, Z2, Z3) consist of one or more cables or double cables.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9, 장력 수단 (Z1, Z2, Z3) 은 하나 이상의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means for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means (Z1, Z2, Z3) consist of one or more belts.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32. The method of claim 30 or 31 wherein 장력 수단 (Z1, Z2, Z3) 은 아라미드 섬유 또는 백트란 (Vectran)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ension means (Z1, Z2, Z3) are 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ramid fibers or Vectran fibers. 제 3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벨트가 일 측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having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is configured on one side. 제 31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or 33, 상기 벨트는 톱니가 형성된 벨트 또는 쐐기형 리브가 형성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Lifting equipment of a building having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is a toothed belt or a belt formed with wedge ribs. 제 26 항 및 제 29 항의 어느 한 항과 조합한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따른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34.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3 or 34 in combination with any one of claims 26 and 29, 상기 벨트는 구동 풀리 (1a, 1b, 1c) 와, 적어도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제 2 편향 롤러 (3a, 3b, 3c) 및 제 3 편향 롤러 (4a, 4b, 4c) 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벨트의 일 측만이 구동 풀리 (1a, 1b, 1c) 및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4a, 4b, 4c) 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벨트는 구동 풀리 (1a, 1b, 1c) 와 제 1 편향 롤러 (2a, 2b, 2c) 사이에서 상기 벨트의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선 근방에서 180°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승 강기 설비.The belt includes drive pulleys 1a, 1b, 1c, at least first deflection rollers 2a, 2b, 2c, second deflection rollers 3a, 3b, 3c and third deflection rollers 4a, 4b, 4c. Guided by only one side of the belt and arranged to contact the driving pulleys 1a, 1b, 1c and the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4a, 4b, 4c, and the belt Is a lift with at least two lif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180 ° around each longitudinal axis of the belt between the drive pulleys 1a, 1b, 1c and the first deflection rollers 2a, 2b, 2c. Rig. 제 19 항과 제 25 항을 조합한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In the elevator installation combining the 19 and 25,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은 연결면 (V) 을 형성하며, 장력 수단 (Z1, Z2, Z3), 구동 풀리 (1a, 1b, 1c) 및 관련 승강실 (7a, 7b, 7c) 의 제 1 및 제 2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는 연결면 (V) 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빌딩의 승강기 설비.The cage guide rails 10.1, 10.2 form a connecting surface V, and are provided with tension means Z1, Z2, Z3, drive pulleys 1a, 1b, 1c and associated cages 7a, 7b, 7c. Elevator equipment of a building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ar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urface (V). 제 25 항과 조합한 제 19 항에 따른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In the elevator installation according to claim 19 in combination with claim 25, 승강실 (7a, 7b, 7c) 은 두 개의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에 의해 안내되며, 이들 승강실 안내 레일 (10.1, 10.2) 은 연결 평면 (V) 을 형성하며, 장력 수단 (Z1, Z2, Z3), 구동 풀리 (1a, 1b, 1c) 및 관련 승강실 (7a, 7b, 7c) 의 제 1 및 제 2 관련 편향 롤러 (2a, 2b, 2c, 3a, 3b, 3c) 는 연결 평면 (V) 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승강기 설비.The cages 7a, 7b, 7c are guided by two cage guide rails 10.1, 10.2, these cage guide rails 10.1, 10.2 form a connecting plane V, the tension means Z1 , Z2, Z3, drive pulleys 1a, 1b, 1c and the first and second associated deflection rollers 2a, 2b, 2c, 3a, 3b, 3c of the associated cage 7a, 7b, 7c are connected Elevator equipment having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lane (V).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7, 각각의 구동기 (A1, A2, A3) 는 크로스 부재 (19)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with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drivers A1, A2, A3 is fixed to the cross member 19. 제 18 항 또는 제 19 항과 조합한 제 38 항에 따른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8 in combination with claim 18 or 19, 크로스 부재 (19) 는 승강실 안내 레일 (10.1) 및/또는 평형추 안내 레일 (11a.1, 11a.2)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승강기를 지닌 승강기 설비.An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two or more eleva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member 19 is fixed to the cage guide rail 10.1 and / or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11a.1, 11a.2.
KR1020070135874A 2006-12-22 2007-12-21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KR2008005910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7160 2006-12-22
EP06127160.7 2006-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101A true KR20080059101A (en) 2008-06-26

Family

ID=3823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874A KR20080059101A (en) 2006-12-22 2007-12-21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JP (1) JP2008156120A (en)
KR (1) KR20080059101A (en)
CN (1) CN101239685B (en)
AU (1) AU2007254647B2 (en)
BR (1) BRPI0704865A (en)
CA (1) CA2615383A1 (en)
MX (1) MX2007016426A (en)
MY (1) MY149246A (en)
NZ (1) NZ564076A (en)
RU (1) RU2493092C2 (en)
SG (1) SG144107A1 (en)
TW (1) TWI396658B (en)
ZA (1) ZA20071059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0772B2 (en) * 2013-02-18 2015-01-0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with continuous operation function during power failur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CN105579378A (en) * 2013-07-26 2016-05-11 智能电梯有限责任公司 Elevators and counterweights moving independently in hoistway
CN105236244B (en) * 2015-11-25 2018-11-20 佛山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A kind of more Lift car type elevators
CN113003324B (en) * 2019-07-24 2023-03-2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Elevator transfer system
CN111252647B (en) * 2020-03-11 2021-09-03 天津优视津阳金属制品有限公司 Three-compartment double-layer stop type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3616B1 (en) * 1991-03-07 1993-07-16 Otis Elevator Co MOTOR CONTROL DEVICE, PARTICULARLY FOR DRIVING ELEVATOR DOORS.
JPH07187525A (en)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Elevator system with plural cars
US5584364A (en) * 1995-08-28 1996-12-17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US5924524A (en) * 1996-07-25 1999-07-20 Otis Elevator Company Integrated, multi-level elevator shuttle
CN1329273C (en) * 1998-02-26 2007-08-01 奥蒂斯电梯公司 Elevator system with overhead drive motor
JP4357032B2 (en) * 1999-06-18 2009-11-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US7150342B2 (en) * 2000-02-03 2006-12-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tructure mounting system having horizontal member for reducing building loads at top of hoistway
ATE268307T1 (en) * 2000-09-27 2004-06-15 Inventio Ag ELEVATOR WITH A DRIVE UNIT LOCATED ON THE SIDE OF THE ELEVATOR SHAFT
JP2002255460A (en) * 2000-12-28 2002-09-11 Toshiba Corp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DE50211492D1 (en) * 2001-11-23 2008-02-14 Inventio Ag Elevator with belt-like transmission means, in particular with V-ribbed belts, as suspension means and / or propellant
IL180964A (en) * 2002-09-05 2010-11-30 Inventio Ag Drive engin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engine
JP2005008414A (en) * 2003-06-18 2005-01-13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method for operating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realizing modernizing lift installation
US7198136B2 (en) * 2003-09-11 2007-04-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evice for a multi-sky-lobby system
EP1526103B1 (en) * 2003-10-09 2012-01-11 Inventio AG Multiple deck elevator system for group elevators
SG111198A1 (en) * 2003-10-09 2005-05-30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for zonal operation in a building, method for zonal operation of such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modernisation of a lift installation
ZA200409347B (en) * 2003-12-01 2005-07-27 Inventio Ag Lif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47956A (en) 2009-06-27
AU2007254647B2 (en) 2013-06-20
SG144107A1 (en) 2008-07-29
AU2007254647A1 (en) 2008-07-10
TWI396658B (en) 2013-05-21
JP2008156120A (en) 2008-07-10
BRPI0704865A (en) 2008-08-12
TW200840791A (en) 2008-10-16
CA2615383A1 (en) 2008-06-22
CN101239685B (en) 2010-11-03
ZA200710593B (en) 2008-11-26
NZ564076A (en) 2009-07-31
MY149246A (en) 2013-07-31
MX2007016426A (en) 2009-02-16
CN101239685A (en) 2008-08-13
RU2493092C2 (en) 201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934B2 (en)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KR20080058280A (en)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JP2006027902A (en) Lift installation having at least three vertical lift shafts mutually adjacently arranged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ift shafts
US9950901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adjusting the elevator arrangement
TWI386359B (en) Lift with two lift cages, which are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KR20080059101A (en)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KR20080059100A (en) Lift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storey
US7913818B2 (en)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US5107962A (en) Vertical transport system in a building
JP5738740B2 (en) Elevator system
FI118125B (en) Lift system
KR100911079B1 (en) Elevator device
JP5676556B2 (en) Elevator equipment
JP7131736B1 (en) Elevator system, operation control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WO2022039091A1 (en) Elevator system
WO2006018868A1 (en) Elevator device
JP4089319B2 (en) Elevator equipment
KR20200046396A (en) Apparatus of mutual interlocking elevator
JPH04101983A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