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079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079B1
KR100911079B1 KR1020077009325A KR20077009325A KR100911079B1 KR 100911079 B1 KR100911079 B1 KR 100911079B1 KR 1020077009325 A KR1020077009325 A KR 1020077009325A KR 20077009325 A KR20077009325 A KR 20077009325A KR 100911079 B1 KR100911079 B1 KR 10091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ounterweight
main rope
return pulley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4349A (en
Inventor
요시히코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079B1/en
Publication of KR2007006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가 접속되는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를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In an elevator apparatus, the drive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inside a hoistway so that the rotating shaft of a drive sheave may become perpendicular. The upper part of the car is provided with a car hawk-like part to which the main rope is connect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 car return pulley for guiding the main rope to the car hawk reinforcement is arranged. The drive sheave and the car return pulley are arranged inside the area of the car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Elevator device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승강로 내의 상부에 구동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elevator apparatus by which the drive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in a hoistway.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양측의 하부에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의 구동 쉬브(sheave)에 감겨진 메인 로프 그룹은, 제 1 로프 접속부에 접속된 제 1 메인 로프와, 제 2 로프 접속부에 접속된 제 2 로프를 포함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both sides of a car. The drive device for elevating the car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hoistway. The main rope group wound on the drive sheave of the drive device includes a first main rope connected to the first rope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rope connected to the second rope connection part (for example, a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WO03/074409Patent Document 1: WO03 / 074409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좁은 승강로 내에서 메인 로프의 교환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 틀에 설치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틀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고, 엘리베이터 칸 틀의 하부 틀과 세로 틀과의 사이에 경사 부재 등의 보강재가 필요하게 된다.In the abov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surface of a cage | basket | car, it was difficult to ensure the space for performing main rope exchange work etc. in a narrow hoistway. Moreover, since 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are provided in the lower frame of a cage | basket | car, a compression load acts on a cage | basket | car frame, and a reinforcement material, such as an inclination member, is required between the lower frame of a cage and a vertical frame.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 로프의 교환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easily secure the space for the main rope exchange work, and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a cage | basket | car frame. do.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를 가지고,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장치,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가지고,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균형추 매닮부를 가지고,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에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균형추 매닮부에 접속된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 로프,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메인 로프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리턴 풀리,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메인 로프를 균형추 매닮부에 유도하는 균형추 리턴 풀리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는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ive sheave, a drive device disposed above the hoistway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sheave becomes vertical, a car cage resembling portion, and an elevator car lift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similar to a counterweight. And a counterweight which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a car end connected to the car hawk reinforcement portion, and a counterweight end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hawk reinforcement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main rope wound on the drive sheave, and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 return pulley for guiding the main rope to the car hawk reinforcement, and a counterweight pulley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leading the main rope to the counterweight hawk reinforcement unit, and the car hawk reinforcement unit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r Pulley, Drive Sheave and Car Return Pulley, Vertical Projection Surface In and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area of the c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ar of FIG. 1 is stopped on the uppermost floor.

도 3은 도 2의 구동 장치와 리턴 풀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driving device of FIG. 2 and a return pulley.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구동 장치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drive apparatus of FIG. 4, and a 2nd car return pulley.

도 6은 도 4의 구동 장치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 및 반전(反轉) 풀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drive device of FIG. 4, a 1st car return pulley, and an inverted pulley.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과, 제 1 및 제 2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7)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ar of FIG. 1 is stopped on the uppermost floor. In the drawing, in the hoistway 1, the 1st and 2nd cage guide rails 2 and 3 and the 1st and 2nd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are provided. The car 6 is guided to the car guide rails 2 and 3 to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1. The counterweight 7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to raise and lower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6)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前面)(6a), 전면(6a)에 대향하는 배면(6b), 및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6c, 6d)을 가지고 있다.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 2 측면(6d)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The car 6 has a front surface 6a provided with a car entrance and exit, a rear surface 6b facing the front surface 6a, and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6c and 6d facing each other. . The counterweight 7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r 6 so as to face the second side surface 6d when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6.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제 1 측면(6c)에 대향하고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제 2 측면(6d)에 대향하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은, 엘리베이터 칸(6)의 깊이 방향에 대해 서로 오프셋 되어 있다. 즉,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엘리베이터 칸(6)의 깊이 방향의 중심보다 뒤쪽에 배치되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엘리베이터 칸(6)의 깊이 방향의 중심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 C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1st car guide rail 2 opposes the 1st side surface 6c. The 2nd car guide rail 3 opposes the 2nd side surface 6d. Moreover, the 1st and 2nd cage guide rails 2 and 3 are mutually offset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That is, the 1st cage guide rail 2 is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center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2nd cage guide rail 3 is the center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It is located in front of it. Moreover, the 1st and 2nd cage guide rails 2 and 3 are arrange | positioned symmetrically about the center of gravity C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또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은, 그것들의 수평 단면의 중심선이 엘리베이터 칸(6)의 폭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은, 그것들의 수평면의 중심선이 엘리베이터 칸(6)의 깊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은 그 상단부가 후술하는 리턴 풀리(18, 19, 20, 21)의 하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 또는 그 이하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1st and 2nd cage guide rails 2 and 3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enterline of those horizontal cross sections may becom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The 1st and 2nd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enterline of these horizontal surfaces may become parallel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car guide rails 2 and 3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ar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lower ends of the return pulleys 18, 19, 20 and 21 whose upper ends are described later. Located at or below height.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의 상부에는, 지지틀(도시하지 않음)이 지지되어 있다. 지지틀에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13)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13)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구동 장치 본체(14)와, 구동 장치 본체(1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5)를 가지고 있다. 구동 장치(13)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卷上機)가 이용되고 있다.A support frame (not shown) is supported above the car guide rails 2 and 3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4 and 5. The drive frame 13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The drive device 13 includes a drive device body 14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drive sheave 15 rotated by the drive device body 14. As the drive apparatus 13, a thin hoisting machine whose axial dimension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n axial direction is used.

또, 구동 장치(13)는, 구동 쉬브(15)의 회전축이 연직(대략 연직도 포함한다)이 되도록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13)는, 구동 쉬브(15)가 구동 장치 본체(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또한, 구동 쉬브(15)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구동 장치(13) 전체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drive device 1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sheave 15 may become vertical (it contains also perpendicularly.). In addition, the drive device 13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drive sheave 15 may be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drive device main body 14. Moreover, the drive sheave 15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In this example, the whole drive device 13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구동 쉬브(15)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는, 복수 개의 제 1 메인 로프(16)와, 복수 개의 제 2 메인 로프(17)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6, 17)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A plurality of main ropes are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15. The main rop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ain ropes 16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ropes 17. The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1: 1 roping manner by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6, 17.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6)가 접속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와, 제 2 메인 로프(17)가 접속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f)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는, 엘리베이 터 칸(6)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6, the 1st cage | basket | car-like part 6e to which the 1st main rope 16 is connected, and the 2nd cage | basket | ball-like part 6f to which the 2nd main rope 17 is connected are shown. It is installed. The 1st and 2nd cage | basket | car-like parts 6e and 6f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mutual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epth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6.

균형추(7)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6, 17)가 접속되는 균형추 매닮부(7a)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 매닮부(7a)는, 균형추(7)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On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7, the counterweight hawk resembling part 7a to which the 1st and 2nd main ropes 16 and 17 are connected is provided. The counterweight hawk resembling part 7a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7.

제 1 메인 로프(16)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에 접속된 제 1 엘리베이터 칸 단부(端部)와, 균형추 매닮부(7a)에 접속된 제 1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 2 메인 로프(17)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f)에 접속된 제 2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균형추 매닮부(7a)에 접속된 제 2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있다.The 1st main rope 16 has the 1st cage | basket | car end part connected to the 1st cage | basket | bar cage | bowl part 6e, and the 1st counterweight linker which is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bobbin-like part 7a. The 2nd main rope 17 has the 2nd cage | basket | car end part connected to the 2nd cage | basket | bar cage resembling part 6f, and the 2nd counterweight coupler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bobbin-like part 7a.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6)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로 유도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제 2 메인 로프(17)를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f)로 유도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6, 17)를 균형추 매닮부(7a)로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균형추 리턴 풀리(20, 21), 및 구동 쉬브(15)로부터의 제 1 메인 로프(16)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로 유도하는 반전(反轉) 풀리(22)가 배치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1st cage | basket return pulley 18 and the 2nd main rope 17 which guide | induce the 1st main rope 16 to the 1st cage | basket | car part 6e are the 2nd cage | basket | cars.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s 20 for guiding the second car return pulleys 19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6 and 17 to the counterweight portion 6f to the counterweight hawk portion 7a. 21, and a reverse pulley 22 for guiding the first main rope 16 from the drive sheave 15 to the first car return pulley 18 are arranged.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19)는, 그것들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틀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균형추 리턴 풀리(20, 21)는, 그것들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틀에 지지되어 있다. 반전 풀리(22)는, 그 회전축이 연직 또는 대략 연직이 되도록 지지틀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19)와 반전 풀리(22)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1st and 2nd car return pulleys 18 and 19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so that those rotation axes may become horizontal. The 1st and 2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s 20 and 21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so that those rotation axes may become horizontal. The reversing pulley 2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rotating shaft may be perpendicular or substantially vertical. The 1st and 2nd car return pulleys 18 and 19 and the inversion pulley 22 are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area | region of the car 6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등거리(等距離)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와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과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는,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1st and 2nd cage-like parts 6e and 6f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equidistant position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1st and 2nd cage | basket | car parts 6e, 6f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 basket | car 6 are arrange |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That is,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car-like portions 6e and 6f are symmetrically disposed abou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r 6.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가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16, 17)의 교환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1st and 2nd cage | basket | car parts similar parts 6e and 6f ar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6, the space for the replacement | operation work of the main ropes 16 and 17 is easy.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age can be simplified.

또, 구동 쉬브(15),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19), 및 반전 풀리(22)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평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drive sheave 15, the 1st and 2nd cage return pulleys 18 and 19, and the inversion pulley 22 are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plane area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또한, 1:1 로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을 매달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구동 장치(13)의 회전 속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1) 내에 구동 장치(13)를 배치하여도, 저진동·저소음으로 정숙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age | basket | car 6 is suspended by 1: 1 roping,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device 13 can be suppressed low. For this reason, even if the drive apparatus 1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istway 1,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is quiet with low vibration and low noise can be provided.

더욱이 또한, 엘리베이터 칸(6)을 그 무게 중심에서 안정하게 매달 수 있고, 편하중에 의한 반력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에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car 6 can be hung stably at its center of gravity, and reaction force due to the unloading load can be prevented from acting on the car guide rails 2 and 3, thereby improving the riding comfort.

여기서, 도 3은 도 2의 구동 장치(13)와 리턴 풀리(18 ~ 21)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최상층 바닥면으로부터 승강로(1)의 꼭대기부까지의 치수인 오버헤드 치수 H0(도 2)를 최소로 하려면, 구동 장치(13)의 두께 치수나 리턴 풀리(18 ~ 21)의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은 물론, 구동 장치(13)와 리턴 풀리(18 ~ 21)와의 위치 관계도 중요하게 된다.Here, FIG. 3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 apparatus 13 of FIG. 2, and the return pulleys 18-21.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nd dimensions of the overhead dimension H 0 (Fig. 2) to the thickness dimension and the return pulley (18 of the driving device 13 to a minimum to the top portion of the hoistway (1) from the uppermost floor surface In addition to reducing the diameter of ˜21,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 device 13 and the return pulleys 18 to 21 also becomes important.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15)를 구동 장치 본체(14)의 상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구동 쉬브(15)의 상단면과 리턴 풀리(18 ~ 21)의 상단을 같은 높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오버헤드 치수 H0를 최소로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ile arranging the drive sheave 15 in the upper part of the drive main body 14,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drive sheave 15 and the upper end of the return pulleys 18-21 are the same height. by placing the can overhead dimension H 0 to a minimum.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구동 장치(13)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4의 구동 장치(13)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및 반전 풀리(22)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Next, FIG. 4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FIG. 5: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drive apparatus 13 of FIG. 4 and the 2nd car return pulley 19, FIG. 6: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drive device 13 of FIG. 4, the 1st car return pulley 18, and the inversion pulley 22. As shown in FIG.

이 예에서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의 피치 지름(리턴 풀리(19)에 감겨진 메인 로프(17)의 지름)의 정점 T0와, 구동 쉬브(15)의 홈 중 제 2 메인 로프(17)가 감겨지는 모든 홈의 중심 C1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13)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가 배치되어 있다.In this example, the second main of the peak T 0 of the pitch diameter of the second car return pulley 19 (the diameter of the main rope 17 wound on the return pulley 19) and the groove of the drive sheave 15 is selected. rope 17 is a groove all the center C 1, the driving device 13 and the second car return pulley 19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which are arranged wound.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15)에 대한 제 2 메인 로프(17)의 플릿 앵글(fleet angle)(구동 쉬브(15)의 홈을 포함한 면에 대한 메인 로프(17)의 진입 각도)를 최 소로 할 수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17)를 2개 이용하는 경우, 플릿 앵글을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Thereby, the fleet angle of the second main rope 17 with respect to the drive sheave 15 (entrance angle of the main rope 17 with respect to the surface including the groove of the drive sheave 15) is minimized. can do. When two second main ropes 17 are used, the fleet angles can be the same.

또,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와 같은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전 풀리(22)로부터 구동 쉬브(15)로 진입하는 제 1 메인 로프(16)의 플릿 앵글을 최소로 하도록, 반전 풀리(22)의 회전축이 연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Moreover, the 1st car return pulley 18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2nd car return pulley 19. As shown in FIG.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nverted pulley 2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so as to minimize the fleet angle of the first main rope 16 entering the drive sheave 15 from the inverted pulley 22.

이와 같이, 플릿 앵글을 최소화함으로써, 메인 로프(16, 17)나 구동 쉬브(15)의 마모를 억제하여,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this way, by minimizing the fleet angle, wear of the main ropes 16 and 17 and the drive sheave 15 can be suppressed, and the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 하는 경우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Next, FIG. 7: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n this example, the counterweight 7 is disposed behind the car 6 so as to face the back surface 6b when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6.

이와 같이, 균형추(7)를 엘리베이터 칸(6)의 뒤쪽에 배치하는 레이아웃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also in the layout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counterweight 7 behind the cage | basket | car 6, the effect similar to Embodiment 1 can be acquired.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구동 쉬브(15)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31)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31)가 접속되는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g)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g)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과 대략 겹쳐져 있다.Next, FIG. 8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main ropes 31 are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15. 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6, the cage | basket | car case part 6g to which the main rope 31 is connected is provided. 6 g of cage | basket | car-like parts are substantially overlapped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승강로(1)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31)를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g)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32)와, 메인 로프(31)를 균형추 매닮부(7a)로 유도하는 균형추 리턴 풀리(33)가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13)는, 배면(6b) 및 제 1 측면(6c)에 의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칸(6)의 코너부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cage return pulley 32 which guides the main rope 31 to the cage-like portion 6g, and the balance weight return which guides the main rope 31 to the counterweight-like portion 7a. The pulley 33 is arranged. The counterweight 7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r 6. The drive apparatus 13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corn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6 formed by the back surface 6b and the 1st side surface 6c.

이와 같이, 메인 로프(31)를 2개의 경로로 나누지 않는 레이아웃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g)가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31)의 교환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Thus, even in the layout which does not divide the main rope 31 into two path | route, since the cage | basket | car-like part 6g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6, it is for the replacement work of the main rope 31. The space can be easily secured and the structure of the cage can be simplified.

또, 구동 쉬브(15) 및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32)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평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drive sheave 15 and the cage | basket return pulley 32 are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area | reg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plane area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또한, 1:1 로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을 매달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구동 장치(13)의 회전 속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1) 내에 구동 장치(13)를 배치하여도, 저진동·저소음으로 정숙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age | basket | car 6 is suspended by 1: 1 roping,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device 13 can be suppressed low. For this reason, even if the drive apparatus 1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istway 1,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is quiet with low vibration and low noise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 하는 경우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13)는, 전면(6a) 및 제 1 측면(6c)에 의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칸(6)의 코너부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Next, FIG. 9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In this example, the counterweight 7 is disposed behind the car 6 so as to face the back surface 6b when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6. Moreover, the drive device 13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corn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6 formed by the front surface 6a and the 1st side surface 6c.

이와 같이, 균형추(7)를 엘리베이터 칸(6)의 뒤쪽에 배치하는 레이아웃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4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also in the layout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counterweight 7 at the back of the cage | basket | car 6, the same effect as Embodiment 4 can be acquired.

또한,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는 3개소 이상으로도 좋다. 즉, 제 3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나 제 4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ree or more places of car cage resembling parts may be sufficient. That is, you may provide a 3rd cage | basket | car-like part and a 4th cage | basket | car-like part.

또, 메인 로프는, 통상의 원형 단면의 로프로도, 벨트 모양의 로프로도 좋다.Moreover, a main rope may be a rope of a normal circular cross section, or a rope of a belt shape.

또한, 균형추를 복수로 분할하여 배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counterweigh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nd arranged.

더욱이 또한, 복수의 구동 장치에 의해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모든 구동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를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하고,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Moreover, you may make it raise and lower a common car by a some drive apparatus. Also in this case, the same effect as the above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arranging all of the drive sheaves and the car return pulley inside the area of the car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and by placing the car resembling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로 내의 상부에 구동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Thus, this invention can be utilized for the elevator apparatus by which the drive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in a hoistway.

Claims (5)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장치,A drive device having a drive sheave and disposed above the hoistway so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is vertical;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An elevator car having a car cage resembling part and being lif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균형추 매닮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균형추,Counterweight having a counterweight resembling portion, which is lif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여 승강로 내에서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A car guide rail for guiding the car to move up and down in a hoistway; 상기 균형추를 안내하여 승강로 내에서 승강시키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Counterweight guide rails for elevating in the hoistway by guiding the counterweight,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에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단부(端部)와, 상기 균형추 매닮부에 접속된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 로프,A main rope wound on the drive sheave, having a car end connected to the car hawk reinforcement portion, and a counterweight end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hawk resemblance;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로프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 및A car return pulle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guiding the main rope to the car resembling a car;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로프를 상기 균형추 매닮부로 유도하는 균형추 리턴 풀리를 구비하고,A counterweight return pulle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leading the main rope to the counterweight resemblance;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The car resembling par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균형추 가이드 레일은 그 상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 및 균형추 리턴 풀리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 또는 그 이하에 위치하고 있고,The upper end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re located at the same height or less than the lower end of the car return pulley and the counterweight return pulley, 상기 구동 쉬브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drive sheave and the car return pulley are arranged inside the area of the car in a vertical projection pla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무게 중심에 대해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포함하고,The car hawk resembling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ar hawk resembling portions dispos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r in a vertical projection plane, 상기 메인 로프는, 상기 제 1의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에 접속된 제 1 메인 로프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에 접속된 제 2 메인 로프를 포함하며,The main rope includes a first main rope connected to the first car resembling part, and a second main rope connected to the second car resembling part,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상기 제 1 메인 로프를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와, 상기 제 2 메인 로프를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를 포함하고,The car return pulley includes a first car return pulley for guiding the first main rope to the first car cab and a second car return pulley for guiding the second main rope to the second car hawk. Including,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메인 로프를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로 유도하는 반전(反轉) 풀리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apparatus, wherein an inverting pulley for guiding the first main rope from the drive sheave to the first car return pulley i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의 피치 지름의 정점(頂点)과 상기 제 2 메인 로프가 감겨지는 구동 쉬브의 모든 홈의 중심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drive device and the second car return pulley are arranged so that the center of all grooves of the drive sheave on which the peak diameter of the second car return pulley and the second main rope are wound are located at the same height. Elevator devic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반전 풀리로부터 상기 구동 쉬브에 진입하는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플릿 앵글(fleet angle)을 작게 하도록, 상기 반전 풀리의 회전축이 연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the rotation axis of the inversion pulley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so as to reduce the fleet angle of the first main rope entering the driving sheave from the inversion pull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 쉬브의 상단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 및 상기 균형추 리턴 풀리의 상단이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n upper end surface of the drive sheave and an elevator car pulley and an upper end of the counterweight return pulley ar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KR1020077009325A 2007-04-24 2005-09-30 Elevator device KR100911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9325A KR100911079B1 (en) 2007-04-24 2005-09-30 Eleva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9325A KR100911079B1 (en) 2007-04-24 2005-09-30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349A KR20070064349A (en) 2007-06-20
KR100911079B1 true KR100911079B1 (en) 2009-08-06

Family

ID=3836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325A KR100911079B1 (en) 2007-04-24 2005-09-30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0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1006889A (en) 2008-12-26 2011-11-29 Hyun Woo Sh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aratus.
KR101889307B1 (en) 2016-11-23 2018-09-28 이스트바이크 주식회사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1257A2 (en) * 1983-07-09 1985-01-16 Hoechst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coating metallic substrates
WO2003074409A1 (en) 2002-03-01 2003-09-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ltor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1257A2 (en) * 1983-07-09 1985-01-16 Hoechst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coating metallic substrates
WO2003074409A1 (en) 2002-03-01 2003-09-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ltor apparatus
KR20030090742A (en) * 2002-03-01 2003-11-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349A (en)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212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US7918319B2 (en) Elevator apparatus
JP2008156116A (en) Elevator with two elevator car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shaft
JP4549616B2 (en) Elevator equipment
JP4732344B2 (en) Elevator equipment
JP4339578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0208822A (en) Elevator car
KR20130085361A (en) Elevator device
JP4292157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911079B1 (en) Elevator device
US20070170005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6318022B2 (en) Elevator
JP2002179358A (en) Elevator device
WO2005121007A1 (en) Elevator apparatus
JP2005187125A (en) Elevator device
JP4757803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1051736A (en) Elevator device
JPWO2005082767A1 (en) Elevator equipment
JP5676556B2 (en) Elevator equipment
EP1717184B1 (en) Elevator
JPWO2019116467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WO2007039926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6151625A (en) Elevator device
KR100804886B1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