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371A - 터치 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물품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371A
KR20080058371A KR1020087008640A KR20087008640A KR20080058371A KR 20080058371 A KR20080058371 A KR 20080058371A KR 1020087008640 A KR1020087008640 A KR 1020087008640A KR 20087008640 A KR20087008640 A KR 20087008640A KR 20080058371 A KR20080058371 A KR 20080058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trip
adhesive
display panel
str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엠. 해틴
마뉴엘 제이. 팔로미노
로저 티. 해거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8005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conductive element covering the whole sensing surface, e.g. by sensing the electrical current flowing at the cor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유리 기판계 터치 스크린(32)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조립체(24)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20)의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90)을 제공하는 단계, 및 터치 스크린(32)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부착하기 위하여 스트립(90)을 터치 스크린(32)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트립(90)은 터치 스크린(3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터치 스크린(32) 및 패널 조립체(28)로부터 신장 해제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립(90)은 종축을 한정하는 접착 부분(92), 및 종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접착 부분(92)으로부터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94)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유리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 스트립, 당김 탭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물품{METHOD AND ARTICLE FOR MOUNTING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계(glass substrate-based) 물체의 장착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장착하는 것과 같이, 단순화된 제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된 접착성 물품과 함께 유리 기판계 물체를 별도의 물체의 표면에 장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매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몇 가지 예를 들자면 현금 자동 입출금기, 카지노의 게임기, 셀프서비스 키오스크(self-service kiosk)(예컨대, 비행기 탑승권 키오스크, 자동 판매기 등) 및 금전 등록기를 위한 입력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조립체 및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및 접속 회로(예컨대, 캡톤(Kapton) 연성 회로)가 전형적으로 터치 스크린 조립체에 제공되며, 반면에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컴퓨팅 장치(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조립되며, 접속 회로는 컴퓨팅 장치에 전자적으로 결합된다. 컴퓨팅 장치는 이어서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가변 또는 고정 형식으로 구동시킨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러한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며, 그 후 이 사용자는 원하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과 상호작용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절연(예컨대, 유리) 기판 및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저항층을 포함한다. 소정 패턴의 전도성 에지 전극(conductive edge electrode)이 저항층의 에지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터치 스크린이 그의 외부 표면에 대한 "터치"(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존재 및 위치를 효과적으로 "감지" 또는 인식하게 한다. 감지된 터치의 위치는 접속 회로를 통해 컴퓨팅 장치에 신호로 알려진다. 컴퓨팅 장치는 이어서 감지된 터치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된(또는 표시되게 할) 이미지와 상호관련시킨다. 그러면, 이러한 상호관련성은 컴퓨팅 장치에 의한 추가의 동작을 지시하는 사용자 명령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된 이미지는 "예" 아이콘 및 "아니오" 아이콘과 함께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질문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된 터치 위치가 "예"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에 대응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가 주어진 질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러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특정한 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조립체 기술 모두에서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상이한 산업 분야들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사용자 친화성 관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더 욱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감도 및 내구성에 있어서의 현저한 진보가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하는 기술은 본질적으로 변화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어서, 최적함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
평가 기준으로서, 터치 스크린 조립체는 보통 디스플레이 조립체와는 별도로 제조되어, 이에 후속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의 외부 치수 범위의 관점에서) "보편적인" 터치 스크린 조립체가 다양한 상이한 디스플레이 조립체 플랫폼들과 함께 사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때, 터치 스크린 조립체는 교체를 위해 디스플레이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내부 구성요소 등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한 바를 고려하면, 터치 스크린 조립체의 디스플레이 조립체에의 장착은 접속 회로를 컴퓨팅 장치에 전자적으로 결합시키고,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통 외부 프레임 내에 넣어지며, 디스플레이 패널 플랫폼의 변경으로 인해 기계식 장착 장치(예컨대, 나사 또는 볼트)는 보통은 터치 스크린의 부착에 이용될 수 없다. 그 대신, 통상의 영구 접합 양면 가스켓 테이프(permanent-bonding, double-sided gasket tape)(예컨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쓰리엠 컴퍼니(3M Company)로부터 더블 코티드 비닐 폼 테이프(Double Coated Vinyl Foam Tape) 4408 또는 4416이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양면 가스켓 테이프)가 터치 스크린을 외부 프레임에 접착시키는 데 채용된다. 영구 접합 양면 가스켓 테이프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가해 질 수 있는 광범위한 환경 조건(예컨대, 52℃(125℉) 초과의 온도, -9℃(15℉) 미만의 온도, 및 70% RH 초과의 상대 습도) 하에서 접착 안정성(및 그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에의 부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터치 스크린 장착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제품이다.
양면 가스켓 테이프는, 부착 물품으로서는 상당히 실용적이지만,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으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후속적인 제거를 상당히 어렵게 한다. 영구 접합 가스켓 테이프의 강한 접착 특성은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으로부터 간단히 당겨 분리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 대신, 절단 도구(예컨대, 나이프, 박스 커터 등)가 테이프를 통해 절단하도록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절단 도구와 관련된 날카로운 표면은 터치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쉽게 손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 문제들의 견지에서, 가스켓 테이프를 절단할 때 작업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기술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가스켓 테이프가 절단되어 터치 스크린이 제거되면, 접착제 잔류물(및 심지어 테이프 기재 부분들)이 터치 스크린과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 모두 상에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접착제 잔류물은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으로부터(그리고 어쩌면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역시)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제거제(예컨대,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작업자의 손가락 및 몇몇 유형의 와이프(wipe)의 사용을 수반한다. 요컨대, 가스켓 테이프 잔류물의 제거는 성가시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이다.
영구 접합 양면 가스켓 테이프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흔하게 동작되는 혹독한 환경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지만, 터치 스크린의 제거와 관련된 소정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당업자는, 유리 기판계 본체(예컨대, 충격 방지 유리(vandal-proof glass) 또는 프라이버시 유리(privacy glass))가 별도의 구조물(예컨대, 디스플레이, 베젤(bezel) 또는 섀시)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다른 분야에서 유사한 관련 문제들이 일어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간단하고 성가심 없는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접착성 물품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다른 유리 기판계 본체)을 디스플레이 패널(또는 다른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물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용이하고 성가심 없는 제거를 제공하며 또한 혹독한 환경 조건 하에서 접착 완전성(adhesive integrity)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본 기술 분야의 상기 언급한 제한을 극복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태양은 터치 스크린 조립체를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조립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이를 고려하면, 적어도 하나의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이 제공된다. 스트립은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접착된다. 이를 위하여, 스트립은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로부터의 터치 스크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신장 해제 작업을 통해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로부터 해제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유사한 크기의 스트립이 제공되며, 각각의 스트립은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접착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2개 이상의 스트립이 사실상 주연부 에지의 길이 전체를 둘러싸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의 주연부 에지에 대해 적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개개의 당김 탭 각각은 주연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른 태양은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조립체는 유리 기판계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연장하는 접속 회로를 포함한다.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은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트립이 제공되며, 각각의 스트립은 98% 상대 습도에서 적어도 약 5.47 N/dm의 유리 기판에 대한 180°박리 강도를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또 다른 태양은 유리 기판계 터치 스크린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장착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키트는 복수의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키트는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복수의 스트립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용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트립은 종축을 한정하는 접착 부분, 및 종축에 대하여 접착 부분으로부터 경사지는 방식으로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또 다른 태양은 제1 물체를 제2 물체에 장착하기 위한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스트립은 접착 부분 및 접착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당김 탭은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당김 탭의 연장은 연장축을 한정하며, 연장축과 종축은 170°미만, 몇몇 실시예에서는 90°를 초과하는 연장각을 한정하도록 조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접착성 장착 물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A는 전형적인 터치 스크린 조립체의 개략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조립체의 터치 스크린 일부분의 측면도.
도 3A는 도 1의 접착성 장착 물품으로서 사용되는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스트립의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방법의 일부로서 스트립이 적용된, 도 2B의 터치 스크린의 배면도.
도 4B는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조립된 도 4A의 터치 스크린 및 스트립의 일부분의 측면도.
도 4C는 부분적으로 신장된 스트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로부터의 터치 스크린의 제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트립이 적용된 도 2B의 터치 스크린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양면 신장 해제성 스트립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도 6의 복수의 스트립이 적용된 도 2B의 터치 스크린의 배면도.
본 발명의 태양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접착성 장착 물품을 통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조로서, 도 1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2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블록 형태로 도시하며, 이들 중 많은 구성요소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이하에서 일반적인 관점으로 설명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20)은 디스플레이 조립체(22), 터치 스크린 조립체(24) 및 접착성 장착 물품(26)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조립체(22)는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 및 컴퓨터(3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조립체(24)는 터치 스크린(32) 및 접속 회로(34)를 포함한다. 접속 회로(34)는 컴퓨터(30)에 전자적으로 결합되며, 컴퓨터는 이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전자적으로 결합된 다. 터치 스크린(32)은 접착성 장착 물품(26)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착성 장착 물품(26)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20)가 겪게 될 수 있는 혹독한 환경 조건을 견디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사실상 어떠한 접착제/기재 잔류물도 남지 않게 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 및 터치 스크린(3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립체(22)는 당업계에 공지된 유형의 것이며, 매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는 프레임 또는 섀시(42)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4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음극선관(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기발광(electroluminescent, EL)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로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식의 것일 수 있다. 여하튼, 디스플레이 패널(40)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는 역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30)에 의해 구동된다. 컴퓨터(30)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목적(예컨대, 아케이드 게임, 카지노 게임 실행, 금전 등록기, 셀프서비스 제품 구매, 비행기 탑승권 발행, 핸드헬드 오거나이저(handheld organizer), PDA 등)을 달성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효하게 하도록 된 관련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에 의해 지시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정확한 형태와는 상관없이, 프레임(42)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가장자리 및 컴퓨터(30)를 둘러싸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터(30)는 디스플레이 패 널(40)과는 별개로 내장될 수 있고/있거나 프레임(42)은 디스플레이 패널(40)의 가장자리 둘레로 연장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32) 및 접속 회로(34)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조립체(24) 역시 당업계에 공지된 유형의 것이다. 기본적인 관점에서 그리고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32)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유형의 것일 수 있으며, (총괄하여 참조된) 저항층(54)이 주 표면(52) 상에 코팅된 절연 유리 기판(50)을 포함한다. 전도성 에지 전극 패턴(56)과 와이어 트레이스(wire trace), 예를 들면 와이어 트레이스(58-64)가 예컨대 두꺼운 필름의 전도성 재료(예컨대, 전도성 은/프릿 페이스트(silver/frit paste))를 인쇄함으로써 유리 기판(50)의 주연부 상에 형성된다. 터치 스크린(32)은 다른 층/코팅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를 추가로 참조하면, 보호 코팅(들)(66)이 유리 기판(50)의 제2 주 표면(68) 위에 도포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또는 대안적으로 보호 코팅(들)(70)(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촉진하도록 된 코팅)이 에지 전극 패턴(56)/와이어 트레이스(58-64)(도 2A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서 전도성 층(72)으로서 집합적으로 참조됨) 위에 도포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에지 전극 패턴(56), 예컨대 미국 특허 제4,198,539호, 제4,293,734호, 제4,371,746호 및 제6,549,193호에 기재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매우 다양한 기술, 예컨대 미국 특허 제6,727,895호 및 미국 특허 공개 제2001/0028343호에 기술된 것이 에지 전극(56) 및/또는 와이어 트레이스(58-64)를 형성/침착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팅(들)(66 및/ 또는 70) 역시 임의의 원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는 제거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언급하면, 터치 스크린(32)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20)(도 1)의 일부로서 사용되도록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향후 개발될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2)에 적합할 수 있는 구성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앞서 언급한 참고 문헌과, 미국 특허 제6,587,097호, 제6,841,225호 및 제6,842,171호에 제시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32)의 적합할 수 있는 실시예의 구매가능한 예는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미국 매사추세츠주 메수엔 소재의 쓰리엠 터치 시스템즈, 인크.(3M Touch System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마이크로터치(MicroTouch™) 클리어텍(ClearTek™) 및 클리어텍 II(ClearTek™ II) 용량성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여하튼, 터치 패널(28)은 제1 주 면(8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터치 면으로서 역할하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주 면(80, 82)을 형성한다.
도 2A로 되돌아가면, 접속 회로(34) 역시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향후 개발될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접속 회로(34)는 통상 "미부"(tail)로 지칭되며, 디스플레이 조립체(22)(도 1)와 관련된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30)(도 1), 또는 외부 디코딩(decoding) 회로와 같은 다른 부속품에 대해 전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접속 회로(34)는 전형적으로 연성이며(예컨대, 캡톤 연성 회로), 컴퓨터(30)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하는 리셉터클 또는 포트와 정합하도록 된 플러그 또는 유사한 본체(도시 안됨)로 종료된다.
디스플레이 조립체(22) 및 터치 스크린 조립체(24)에 대해 상기한 일반적 배경을 고려하여 도 1로 되돌아가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접착성 장착 물품(26)은 하나 이상의 양면 신장 해제가능 접착 스트립을 포함한다. 적합할 수 있는 양면 신장 해제가능 접착 스트립(90)의 일 실시예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스트립(90)은 일반적으로 노출된 접착 부분(또는 "접착 부분")(92) 및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또는 "당김 탭")(94)을 형성하는 신장 해제 감압 접착제 테이프로서 형성된다. 도 3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분(92)은 종축(L)을 한정하도록 선단부(96)와 후단부(98) 사이에서 연장한다. 당김 탭(94)은 연장축(E)을 한정하는 방식으로 후단부(98)로부터 연장한다. 도 3A의 일 실시예에서, 연장축(E)은 종축(L)과 동일 선상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그리고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당김 탭(94)은 연장축(E)이 종축(L)으로부터 경사지게 오프셋되도록 접착 부분으로부터 경사지는 방식으로 연장한다.
도 3B를 추가로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스트립(90)은 제1 및 제2 면(102, 104)을 형성하는 배킹(backing)(100)을, 접착 부분(92)을 형성하도록 면(102, 104) 위에 각각 코팅된 신장 해제 감압 접착제 조성물(106a, 106b)과 함께 포함한다. 이러한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당김 탭(94)은 배킹(100) 위에 신장 해제 접착제 조성물(106a, 106b)이 없게 함으로써 형성되는데, 달리 말하면 배킹(100)은 당김 탭(94)을 따라 노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신장 해제 접착제 조성물(106a, 106b)은 실질적으로 배킹(100)의 각각의 면(102, 104) 모두를 둘러싸며, 이 경우 스트립(90)은 당김 탭(94) 영역 내의 신장 해제 조성물(106a, 106b) 위에 도포되는 비점착성 외부 표면을 가진 재료층(도시 안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추가로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배킹(10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신장 해제 접착제 조성물의 단일층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비점착성 외부 표면을 가진 하나 이상의 재료층(들)이 당김 탭(94)을 형성하도록 신장 해제 접착제 조성물 위에 도포된다.
정확한 형태와는 상관없이, 양면 신장 해제가능 스트립(90)은 유리 기판계 본체와의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고온 또는 저온의 고습도 환경에서 본체에 대한 접착을 유지할 수 있다. 신장 해제 접착제 조성물(106a, 106b)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둘 모두는 80% RH 초과의 상대 습도 및 52℃(125℉) 초과 또는 -9℃(15℉) 미만의 온도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90% RH 이상의 상대 습도 및 60℃(140℉) 초과 또는 -40℃(-40℉) 미만의 온도에서 유리 기판에 대한 원하는 180°박리 강도를 나타내도록 제형화된다. 대안적으로, 스트립(90)은 98% RH에서 적어도 5.47 N/dm의 유리 기판에 대한 180°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평가 기준으로서, 이들 온도/습도 요건은 전형적으로 이들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노출될 수 있는 극단적인 환경 조건을 반영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과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 사이의 부착의 충분함을 평가할 때의 기준으로서 고려된다.
또한, 양면 신장 해제가능 접착 스트립(90)은 연장가능하고 신장가능하며, 유리,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기판으로부터 깔끔하게 제거가능하다(즉, 가시적인 잔류물을 남기지 않음). 또한, 스트립(90)은 기판에 접합된 후 기판에 손상을 주지 않고서 기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스트립(90)은 당김 탭(94)에 대해 (예컨대, 대략 45°미만의 당김각에서) 종방향 당김력을 가함으로써 기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신장 해제가능" 또는 "신장 제거가능"하다. 스트립(90)에 의해 달리 나타나는 전단 응력에 대한 비교적 높은 초기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이 가해진 때, 배킹(100)은 변형되기 시작한다. 당김력이 (예컨대, 대략 30㎝/min의 속도로) 계속 가해짐에 따라, 배킹(100)이 항복(예컨대, 신장)되고 동시에 접착제 조성물(106a, 106b)이 스트립(90)이 적용된 표면으로부터 해제된다. 스트립(90)은 일단 제거되면 이전에 적용된 기판 상에 많은 잔류물, 바람직하게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다.
배킹(100)은 단일층 및 다층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배킹에는, 예컨대 중합체성 폼층(polymeric foam layer), 중합체성 필름층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중합체성 폼과 중합체성 필름, 및 다른 선택적인 첨가제(예컨대, 탄성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적합한 중합체성 배킹 재료가 미국 특허 제6,569,521호에 기재되어 있다.
신장 해제 접착제 조성물(106a, 106b)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것이지만, 접착 강도에 관하여 다를 수도 있다. 여하튼, 적합한 신장 해제 접착제 조성물의 예는 실리콘계 감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유용한 실리콘계 감압 조성물은 MQ 점착성 부여 수지(tackifying resin)를 포함하며, 실리콘 중합체는 예를 들어 MQ 점착성 부여 수지와 실리콘 중합체의 블렌드, MQ 점착성 부여 수지와 실리콘 중합체의 반응 산물, 예컨대 축합 경화 또는 부가 경화 유형의 반응 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유용한 MQ 점착성 부여 수지는, 예컨대 MQ 실리콘 수지, MQD 실리콘 수지 및 MQT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며, 이들은 또한 공중합체성 실리콘 수지로 지칭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50,000, 더 바람 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2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메틸 치환기를 갖는다. 유용한 부류의 실리콘 중합체의 일례는 실리콘 폴리우레아 블록 공중합체이다. 실리콘 폴리우레아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다이오가노실록산 다이아민(실리콘 다이아민으로도 지칭됨),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선택적으로 유기 폴리아민의 반응 산물을 포함한다.
신장 해제 접착제 조성물(106a, 106b)의 다양한 적합할 수 있는 실시예가 미국 특허 제6,596,521호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제'521호 특허는 접착제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스트립(90)으로서 유용한 최종적인 신장 해제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스트립(90)에 적합할 수 있는 구성의 다른 예는 일반적으로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쓰리엠 컴퍼니로부터 커맨드 II(COMMAND II™)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혹독한 조건 하에서 접착 완전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다른 신장 해제 접착 테이프 조성물이 또한 채용될 수 있다.
정확한 구성과는 상관없이,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9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32)(도 1)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도 1)에 해제가능하게 장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몇몇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성에서, 터치 스크린 조립체(24)(도 1) 및 그에 따른 터치 스크린(32)은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초기에 제공된다. 이를 고려하면, 도 4A는 제2 주 면(82)으로부터 본 때의 터치 스크린(3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대향하는 제1 주 면(80)(도 2B)은 사용자 인터페이 스/터치 면으로서 역할함을 상기할 것). 면(82)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부 에지(122, 124) 및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에지(126, 128)에 의해 한정되는 (총괄하여 참조된) 주연부(120)를 형성한다.
상기 사항을 고려하면, 터치 스크린(32)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도 1)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하나의 방법은 복수의 스트립(90)(총괄하여 참조됨)을 제공하고 각각의 복수의 스트립을 터치 스크린(32)의 제2 주 면(82)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접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도 4A의 일 실시예에서, 4개의 스트립(90a 내지 90d)이 제공된다. 제1 스트립(90a)은 제1 측부 에지(122)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위치된다. 예시의 목적으로, 제1 스트립(90a)은 제1 측부 에지(122)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트립(90a)은 제1 측부 에지(122)와 접촉하거나 그를 둘러싼다. 또한, "실질적으로 평행한"이라는 구는 제1 스트립(90a)이 제1 측부 에지(122)의 선형 평면에 근접해 있다는 것과 관련되지만, 제1 스트립(90a)은 제1 스트립(90a)이 사용자에 의해 제2 주 면(82)에 손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전형적으로 발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정한 평행 관계로부터 (예컨대, 진정한 평행 관계로부터 10°만큼) 벗어날 수 있다. 여하튼, 접착 부분(92a)은 제2 주 면(82)과 접촉하며, 제1 스트립(90a)은 당김 탭(94a)의 적어도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당김 탭의 대략 전체가 제1 단부 에지(126)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주연부(12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하나의 기술에 의하면 그리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당김 탭(94a)은 신장 해제 작업의 수행시 사용자에 의 한 파지를 위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2, 제3 및 제4 스트립(90b 내지 90d)은 유사하게 제2 주 면(82)에 접착된다. 예를 들어, 제2 스트립(90b)은, 대응하는 당김 탭(94b)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단부 에지(12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상태에서, 제1 측부 에지(122)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3 스트립(90c)은, 대응하는 당김 탭(94c)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단부 에지(12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상태에서, 제2 측부 에지(12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마지막으로, 제4 스트립(90d)은, 대응하는 당김 탭(94d)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단부 에지(12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상태에서, 제2 측부 에지(12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립(90a 내지 90d)은 (도 3B의 배킹(100)과 같은) 배킹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32)과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트립(90a 내지 90d)은 초기에 각각의 접착제 조성물(106a, 106b)(도 3B)을 둘러싸는 이형 라이너(도시 안됨)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제2 주 면(82)에 대한 후속 접착을 위하여 대응하는 접착제 조성물(106a 또는 106b)을 노출시키도록 각각의 스트립(90a 내지 90d)으로부터 개개의 이형 라이너를 제거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립(90a 내지 90d)은 배킹없이 형성되어서, 스트립(90a 내지 90d)은 터치 스크린(32) 상에 코팅되거나 달리 형성되어 최종적인 터치 스크린 조립체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예컨대, 이형 라이너는 제2 주 면(82) 반대편의 "노출된" 접착제 조성물을 둘러 쌈). 또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트립(90a 내지 90d)의 개수 및 배열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적합할 수 있는 방법의 단지 일례이다.
스트립(90a 내지 90d)이 터치 스크린(32)에 접착되면, 터치 스크린 조립체(24)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도 1)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접속 회로(34)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컴퓨터(30)(도 1)에 전자적으로 결합된다. 터치 스크린(32)은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도 1) 위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는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0)(도 1) 및 프레임(42)(도 1)을 포함한다는 것을 상기할 것이다. 이를 고려하면, 터치 스크린(32)은 접착된 스트립(90a 내지 90d)이 디스플레이 패널(40) 또는 프레임(42)과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스트립(90a 내지 90d)은 디스플레이 패널(40) 상에 후속하여 표시될 이미지를 명백하게 가리지 않도록 프레임(42)과 정렬된다. 여하튼, 그 후 터치 스크린(32)은 스트립(90a 내지 90d)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접착시키도록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대항하여 가압되며, 그에 따라 터치 스크린(32)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부착된다.
도 4B는 최종 장착시 스트립(90a), 터치 스크린(32)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예컨대, 프레임(4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스트립(90a)의 두께는 명확함의 목적으로 도 4B에서 과장되어 있다. 스트립(90a)은 접착 부분(92a)(총괄하여 참조됨)을 통해 터치 스크린(32)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 각각에 접착되며, 그럼으로써 터치 스크린(32)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장착된다. 또한, 당김 탭(94a)은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의 제1 단부 에지(12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관계에 의해, 당김 탭(94a)은 사용자(도시 안됨)에 의한 파지를 위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32)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당김 탭(94a)에 대해 사용자가 종방향 당김력을 가하는 신장 제거 작업을 통해 스트립(94a)을 제거하기만 하면 된다. 더욱 상세하게 그리고 도 4C를 참조하면, 스트립(94a)이 적용된 터치 스크린(32)의 표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당김력(F)이 당김 탭(94a)에 가해진다. 스트립(90a)의 접합된 구조는 전단 응력에 대한 비교적 높은 초기 저항을 나타낸다. 이러한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이 가해지면, 배킹(100)은 변형되기 시작하고, 그에 따라 배킹(100)이 항복되고 동시에 접착제(106a, 106b)가 늘어나서 터치 스크린(32)과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로부터 해제된다. 이러한 과정은 나머지 스트립(90b 내지 90d)(도 4A) 각각에 대해 반복된다. 특히, 그리고 통상의 터치 스크린/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 분리 기술과 다르게, 작업자는 절단 도구로 스트립(90a 내지 90d)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작업자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대한 잠재적인 손상이 방지된다. 모든 스트립(90a 내지 90d)이 제거되면, 터치 스크린(32)은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로부터 멀리 용이하게 들어올려진다.
도 4A에서 제공된 스트립(90a 내지 90d) 배열은 단지 하나의 적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4개보다 적은 스트립(90)이 이용될 수 있으며(단지 하나의 스트립(90)의 사용을 포함함), 역으로 4개보다 많은 스트립(90)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립(90a 내지 90d) 중 하나 이상이 도 4A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과는 다 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도 1)에 대한 터치 스크린(32)의 부분적인 조립을 도시한다. 다시 한 번 터치 스크린(32)의 제2 주 면(82)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터치 스크린(32)의 주연부(120)는 직사각형이어서, 측부 에지(122, 124)의 길이가 단부 에지(126, 128)의 길이보다 크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면, 도 5와 관련된 장착 기술은 제1 및 제2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140a, 140b)과 제3 및 제4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140c, 140d)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트립(140a 내지 140d)은 스트립(90)(도 3A 및 도 3B)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제1 및 제2 스트립(140a, 140b)은 측부 에지(122, 124)의 길이에 근접한 길이를 갖고, 반면 제3 및 제4 스트립(140c, 140d)은 단부 에지(126, 128)의 길이에 근접한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스트립(140a 내지 140d)은 원하는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초기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스트립(140a 내지 140d)은 긴 길이(즉, 에지(122 내지 128)의 예상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먼저 에지(122 내지 128)의 길이를 검사(예컨대, 측정)한 후에 스트립(140a 내지 140d)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다.
여하튼, 제1 스트립(140a)의 접착 부분(142a)은 제2 주 면(82)에, 제1 측부 에지(122)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접착된다. 제1 스트립(140a)은 제1 측부 에지(122)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그의 거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또한, 제1 스트립(140a)의 비점착성 당김 탭(144a) 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단부 에지(126)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주연부(12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제3 스트립(140c)의 접착 부분(142c)은 제2 주 면(82)에, 제2 단부 에지(128)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접착된다. 제3 스트립(140c)의 당김 탭(144c)은 제1 측부 에지(122)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스트립(140c)은 제1 스트립(140a)과 접촉한다. 제2 스트립(140b)의 접착 부분(142b)은 제2 주 면(82)에, 제2 측부 에지(12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접착된다. 제2 스트립(140b)의 당김 탭(144b)은 제2 단부 에지(12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트립(140b)은 제3 스트립(140c)과 접촉한다. 제4 스트립(140d)의 접착 부분(142d)은 제2 주 면(82)에, 제1 단부 에지(126)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접착된다. 제4 스트립(140d)의 당김 탭(144d)은 제2 측부 에지(124)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스트립(140d)은 제1 스트립(140a) 및 제2 스트립(140b)과 접촉한다. 그 후, 터치 스크린(32)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140a 내지 140d)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도 1)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기술에 있어서, 스트립(140a 내지 140d)은 터치 스크린(32)과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 사이의 먼지 시일(dust seal)을 형성하도록 조합되며, 신장 해제 작업을 통해 터치 스크린(32)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각각의 당김 탭(144a 내지 144d)은 신장 해제 작업의 수행시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위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됨).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90(도 3A), 140)이 (도 3A의 접착 부분(92)과 같은) 접착 부분으로부터 동일 선상에 있는 방식으로 연장함으로써 (도 3A의 당김 탭(94)과 같은) 당김 탭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대안적인 구성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150)의 바람직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트립(150)은 스트립(90)(도 3A)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접착 부분(152) 및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154)을 포함한다. 접착 부분(152)과 당김 탭(154)은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예컨대, 독립형 스트립으로서 또는 터치 스크린(32)(도 1) 상에 코팅된(또는 그 상에 달리 형성된) 스트립으로서 형성될 수 있음).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당김 탭(154)은 접착 부분(152)으로부터 경사지는 방식으로 연장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 부분(152)은 종축(L)을 한정하도록 선형으로 연장하는 선단부(156) 및 후단부(158)를 한정한다. 당김 탭(154)은 연장축(E)을 한정하도록 후단부(158)로부터 연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분(152)에 대한 당김 탭(154)의 경사진 연장에 의해, 종축과 연장축(L, E)은 180°미만의 연장각(θ)을 한정하도록 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선단부(156)는 접착 부분(152)에 대한 당김 탭(154)의 연장에 알맞은 각도 배향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예컨대, 선단부(156)는 연장축(E)과 평행하게 배향됨). 대안적으로, 선단부(156)는 직각형(squared-off) 구성(예컨대, 종축(L)에 수직함), 곡선형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각(θ)은 170°미만, 90°초과, 바람직하게는 91°내지 179°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110°내지 160°범위이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각도 관계는 사용자에게 신장 해제 작업의 수행을 위해 적절한 당김력 방향을 제시한다. 즉, 스트립(150)의 신장 해제는 스트립(90)(도 3A)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서, 당김 탭(154)은 파지되어 종축(L)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단부(156)와 반대인 방향으로 당겨진다. 동일한 방식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당김 탭(154)은 그의 대향하는 측부들(160a, 160b)을 서로 그리고 연장축(E)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그의 종단부(162)를 종축(L)과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적절한 당김력 방향을 추가로 제시하는 형상을 갖는다. 여하튼, 당김 탭(154)이 접착 부분(152)에 대해 경사지는 방식으로 연장하도록 스트립(150)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립(150)은 다양한 상이한 크기의 터치 스크린(32)(도 1)에 더욱 보편적으로 유용하다.
예를 들어, 도 7은 복수의 스트립(150)(총괄하여 참조됨)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대안적인 방법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32)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도 1)에 부분적으로 장착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2 주 면(82)의 제1 측부 에지(122)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스트립(150a 내지 150c)이 접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스트립(150a)의 접착 부분(152a)이 면(82)에, 제1 측부 에지(122)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접착된다. 당김 탭(154a)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측부 에지(122)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제2 및 제3 스트립(150b, 150c)이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접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추가적인 개개의 스트립들(150d 내지 150j)이 제2 측부 에지(124) 및 단부 에지들(126, 128)에 대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접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도 1)에의 장착시 터치 스크린(32)을 위한 먼지 차단부 또는 시일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조립체(22)로의 후속 조립시(예컨대, 터치 스크린(32)과 달리 연관된 접속 회로(도시 안됨)를 컴퓨터(30)(도 1)에 전자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함), 스트립(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32)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역할한다. 터치 스크린(32)은 각각의 스트립(150)에 대한 신장 해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로부터 이후에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스트립(150)의 상기 구성은 스트립(150)이 적용된 에지(122 내지 128)로부터 당김 탭이 외향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측부 또는 단부 에지(122 내지 128)의 길이를 따라 3개 이상의 스트립(150)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달리 말하면, 당김 탭이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과 동일 선상에 있는 보다 통상적인 신장 해제 접착 스트립에 있어서, 특정 에지(122 내지 128)에 대하여 많아야 단지 2개의 이러한 스트립이 적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중간" 스트립의 당김 탭은 터치 스크린(32)의 주연부를 넘어서 돌출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 위치를 찾고/파지할 수는 없다. 그러나, 스트립(150)의 경우에는, (도 7의 스트립(150b)과 같은) 중간 스트립과 연관된 당김 탭(154)이 주연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며, 따라서 신장 해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 위치를 찾아서 파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트립(150)은 다수의 상이한 길이로 사용자(도시 안 됨)에게 제공되어서, 사용자는 해당 에지(122 내지 128)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기에 적절한 조합을 선별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트립(150)이 역시 제공되지만, 각각의 스트립(150)은 동일한 길이(예컨대 15.2 내지 25.4 ㎝(6 내지 10 인치) 정도)를 갖는다. 평가 기준으로서, 개개의 접착 부분(152) 각각은 또한, 예컨대 0.64 내지 0.95 ㎝(0.25 내지 0.375 인치) 정도의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여하튼, 이러한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32)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에 장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해당 에지(122 내지 128)의 길이를 결정하고, 이러한 결정된 길이를 스트립(150)의 길이와 비교하며, 그 후 이러한 비교에 기초하여 하나의 스트립(150)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측부 에지(122)에 대하여(그리고 스트립(150a 내지 150j)이 초기에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먼저 에지(122)의 길이를 결정한다. 이 길이를 스트립(150)의 길이와 비교하고, 이러한 비교에 기초하여 3개의 스트립(150)의 길이의 합이 에지(122)의 길이를 약간 초과하도록 결정한다. 이러한 비교에 기초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스트립(150b, 150c)이 제2 주 면(82)에, 제1 측부 에지(122)에 인접하게 적용된다. 제1 스트립(150a)을 적용하기 전에, 제1 스트립(150a)은 제1 측부 에지(122)의 나머지 둘러싸이지 않은 길이에 알맞은 길이로 절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 부분(152a)이 후단부(158a) 반대편의 지점에서 절단되어, 제1 스트립(150a)은 이제 적절한 길이를 갖게 된다. 절단은 접착 부분(152a)을 위한 "새로운" 선단부(156a)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선단부(156a)는 (예컨대, 제2 스트립(150b)의 경사진 선단부(156b)와는 대조적으로) 제1 측부 에지(126)와 더욱 근접하게 정합되도록 직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이하게 형상화된/배향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립(150j)은 절단된 선단부(156j)가 경사진 배향을 갖도록 절단되었다. 절단되면, 제1 스트립(15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32)에 접착된다. 유사한 과정이 나머지 에지(124 내지 128) 각각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동일한 크기의 개개의 스트립(150)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실상 임의의 치수의 터치 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배열에 의해, 복수의 스트립(150)은 최종 장착시 터치 스크린(32)과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28)(도 1) 사이의 밀봉 기능을 수행하거나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일 실시예에 따라 선단부(156)(도 6)와 당김 탭(154)에 의해 한정된 대응하는 각도 배향은 인접한 스트립(150)들이 단부가 접하여(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스트립(150a 내지 150c)의 단부가 접한 방식) 배치된 때 서로 대하여 근접하게 위치되게 한다.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들)(90(도 3A), 150)은 터치 스크린 조립체 시스템의 일부로서 터치 스크린 조립체(24)(도 1)/터치 스크린(32)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 스크린 조립체 시스템은 (예컨대, 스트립(들)(90 또는 150)이 배킹(100)(도 3B)을 포함하는 경우) 스트립(들)(90 또는 150)이 사용자에 의해 이후에 접착되는 터치 스크린(32)과는 별도로 제공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터치 스크린 조립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스트립(들)(90 또는 150)이 터치 스크린(32)에 미리 적용되는(예컨대, 코팅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90(도 3A) 또는 150)은 유리 기판계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장착하기 위한 키트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키트는,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한 단계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게 장착하는 데에 복수의 스트립(90 및/또는 150)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용설명서와 함께 복수의 스트립(90 및/또는 150)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를 다양한 대안적인 그리고/또는 등가의 구현예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논의된 특정한 실시예의 임의의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조립의 일부로서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것과 관련하여 방법(및 관련된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방법(및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계 물체를 제2의 물체의 표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예컨대, 충격 방지 유리 또는 프라이버시 유리를 디스플레이, 베젤 또는 섀시에 장착하는) 것을 수반하는 다양한 다른 응용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1)

  1. 유리 기판계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조립체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제1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 및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기 위하여 스트립을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스트립은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로부터의 터치 스크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신장 해제 작업을 통해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로부터 해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대향하는 측부 에지들 및 대향하는 단부 에지들을 갖는 주연부를 한정하는 주 표면을 형성하며,
    또한 스트립을 터치 스크린에 접착하는 단계는 스트립의 일부가 주연부를 넘어서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스트립을 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스트립은 접착 부분 및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을 포함하며, 또한 스트립을 연장시키는 단계는 당김 탭이 주연부를 넘어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단계는,
    스트립이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로부터 신장 해제되도록 당김 탭에 45°이하의 당김각에서 당김력을 가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로부터 들어올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당김 탭은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에 대하여 동일 선상에 있는 방식으로 접착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또한 스트립을 연장시키는 단계는 당김 탭이 단부 에지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단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스트립을 측부 에지들 중 제1 측부 에지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당김 탭은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접착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또한 스트립을 연장시키는 단계는 당김 탭이 제1 측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스트립을 측부 에지들 중 제1 측부 에지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 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스트립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당김 탭이 대향하는 단부 에지들 모두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제2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 - 상기 제2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은 접착 부분 및 제2 스트립의 접착 부분의 종축에 대해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2 스트립의 접착 부분으로부터 경사지는 방식으로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을 포함함 - 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스트립이 단부가 접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도록 제2 스트립을 제1 측부 에지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제1 스트립은 터치 스크린의 제1 측부 에지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방법은,
    제2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터치 스크린의 주 면을 따라 제2 측부 에지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단계,
    제3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터치 스크린의 주 면을 따라 제1 단부 에지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단계, 및
    제4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터치 스크린의 주 면을 따라 제2 단부 에지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 및
    복수의 스트립에 의해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부착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며,
    복수의 스트립은 터치 스크린의 주연부에 대한 먼지 차단부를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복수의 스트립은 접착 부분 및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을 포함하며, 또한 복수의 스트립은 개개의 당김 탭 각각이 주연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위치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길이를 한정하는 주연부 에지를 갖는 주 면을 포함하며, 또한 적어도 제1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는 주연부 에지의 길이보다 작은 동일한 길이의 복수의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복수의 스트립의 길이의 합과 주연부 에지의 길이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제1 스트립을 감소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복수의 스트립이 주연부 에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조합되도록 복수의 스트립을 단부가 접하는 방식으로 주연부 에지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적용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복수의 스트립은 선단부 및 후단부를 한정하는 접착 부분 및 대응하는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후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을 포함하며,
    또한 제1 스트립을 절단하는 단계는 접착 부분을 후단 에지 반대편의 지점에서 접착 부분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접착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트립을 적용하는 단계는 개개의 당김 탭 각각이 주연부 에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조립체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연장하는 접속 회로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접속 회로를 컴퓨터에 전자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트립은 98% 상대 습도에서 적어도 약 5.47 N/dm의 유리 기판에 대한 180°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트립을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접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립이 -40℃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접착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스트립을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접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립이 90% 상대 습도에서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접착되어 유지되는 것을 추가로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또한 제1 스트립은 터치 스크린과 외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방법.
  20.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으로서,
    유리 기판계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연장하는 접속 회로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조립체, 및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형성되는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복수의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추가로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스트립은 접착 부분 및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접착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스트립은 그 대향하는 면들 상에 접착제 조성물이 코팅된 배킹층을 포함하여 스트립은 터치 스크린에 이후에 조립되도록 터치 스크린과는 별도로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스트립은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스트립이 터치 스크린 상에 코팅되도록 배킹층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
  25. 유리 기판계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키트로서,
    복수의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을 포함하는 키트.
  26. 제25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복수의 스트립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용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27. 제25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트립은 접착 부분 및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접착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키트.
  28. 접착 부분 및 접착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종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접착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비점착성 당김 탭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유리 기판계 물체를 제2 물체의 표면에 장착하기 위한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
  29. 제28항에 있어서, 당김 탭의 연장은 연장축을 한정하며, 또한 연장축과 종축은 170°미만의 연장각을 한정하도록 조합되는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
  30. 제29항에 있어서, 연장각은 90°를 초과하는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
  31. 제28항에 있어서, 당김 탭은 신장 해제 작업의 수행을 위해 원하는 당김 방향을 시각적으로 지시하도록 형상화되는 양면 신장 해제성 접착 스트립.
KR1020087008640A 2005-09-13 2006-08-28 터치 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물품 KR20080058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25,558 US20070059520A1 (en) 2005-09-13 2005-09-13 Method and article for mounting a touch screen
US11/225,558 2005-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371A true KR20080058371A (ko) 2008-06-25

Family

ID=3756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640A KR20080058371A (ko) 2005-09-13 2006-08-28 터치 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59520A1 (ko)
EP (1) EP1932072A2 (ko)
KR (1) KR20080058371A (ko)
CN (1) CN101263444A (ko)
AU (1) AU2006291308A1 (ko)
BR (1) BRPI0617037A2 (ko)
WO (1) WO200703290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070B1 (ko) * 2012-04-26 2014-02-24 구안 웨이 테크놀로지스 코., 엘티디. 기판 접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8508B2 (en) 2003-02-14 2013-08-13 Next Holdings Limited Touch screen signal processing with single-point calibration
US7629967B2 (en) 2003-02-14 2009-12-08 Next Holdings Limited Touch screen signal processing
US8456447B2 (en) 2003-02-14 2013-06-04 Next Holdings Limited Touch screen signal processing
US7538759B2 (en) 2004-05-07 2009-05-26 Next Holdings Limited Touch panel display system with illumination and detection provided from a single edge
US20070223187A1 (en) * 2006-03-23 2007-09-27 Datavan International Corp. [detachable face panel mounting structure]
WO2008128096A2 (en) 2007-04-11 2008-10-23 Next Holdings, Inc. Touch screen system with hover and click input methods
CN101802760B (zh) 2007-08-30 2013-03-20 奈克斯特控股有限公司 具有改进照明的光学触摸屏
CA2697856A1 (en) 2007-08-30 2009-03-05 Next Holdings, Inc. Low profile touch panel systems
US8405636B2 (en) 2008-01-07 2013-03-26 Next Holdings Limited Optical position sensing system and optical position sensor assembly
CN101959987B (zh) * 2008-01-11 2013-07-17 3M创新有限公司 可拉伸剥离的光学透明的压敏粘合剂
CN105860869B (zh) * 2008-03-14 2019-10-11 3M创新有限公司 信息显示装置
NZ587979A (en) * 2008-03-14 2013-05-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Visually transparent stretch releasable adhesive article
US7751671B1 (en) 2009-03-25 2010-07-06 Next Holdings Limited Optical touchscreens comprising removably connected optical members
JP5226630B2 (ja) * 2009-08-26 2013-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GB2524419B (en) * 2009-10-23 2015-10-28 Flexenable Ltd Electronic document reading devices
TWI412821B (zh) * 2009-12-30 2013-10-2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CN102279428A (zh) * 2010-06-11 2011-12-14 德国弗拉贝格有限公司 镜子元件
USRE47419E1 (en) * 2010-11-22 2019-06-04 Wistr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TWI427517B (zh) * 2010-12-01 2014-02-2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光學觸控感測裝置以及從顯示面板移除光學觸控感測裝置的方法
US8820575B2 (en) * 2011-06-13 2014-09-02 Convergent Media Systems Corporation Digital signage retrofit for vending machine
CN102520823B (zh) * 2011-12-20 2015-09-02 Tcl显示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手机触摸屏的加工方法
TWI464504B (zh) * 2012-04-19 2014-12-11 Au Optronics Corp 框膠及其剝離方法與使用其之顯示裝置
CN102707587B (zh) * 2012-05-21 2013-04-03 芜湖长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金属剥离制程工艺
US9310847B2 (en) 2012-11-02 2016-04-12 Apple Inc. Component removal systems for portable computers
EP2730627A1 (de) 2012-11-13 2014-05-14 RAFI GmbH & Co. KG Flächengebilde
TW201421305A (zh) * 2012-11-22 2014-06-01 Dongguan Masstop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觸控顯示面板模組及其組裝方法
CN103870046A (zh) * 2012-12-18 2014-06-18 东莞万士达液晶显示器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模块及其组装方法
US9333706B2 (en) 2013-09-04 2016-05-10 Apple Inc. Pull tab design for stretch release adhesive
CN104582386B (zh) * 2013-10-15 2018-04-06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与其元件拆卸方法
US10585518B2 (en) * 2014-10-15 2020-03-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module support
US10429930B2 (en) * 2015-01-30 2019-10-01 Ncr Corporation Accessible tactile features for blind and partially sighted PIN entry and touchscreen usage
CN106095000B (zh) * 2016-06-24 2019-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脑显示装置及其组装和拆解方法
CN109986859B (zh) * 2019-04-29 2023-10-20 捷邦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3d打印机触控屏的屏幕组件
JP7383100B1 (ja) 2022-10-04 2023-11-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テープ部材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8539A (en) * 1977-01-19 1980-04-15 Peptek, Inc. System for producing electric field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and edge terminations for resistance planes therefor
US4371746A (en) * 1978-01-05 1983-02-01 Peptek, Incorporated Edge terminations for impedance planes
US4293734A (en) * 1979-02-23 1981-10-06 Peptek, Incorporated Touch panel system and method
US6549193B1 (en) * 1998-10-09 2003-04-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panel with improved linear response and minimal border width electrode pattern
JP3794871B2 (ja) * 1999-07-12 2006-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6280552B1 (en) * 1999-07-30 2001-08-28 Microtouch Systems, Inc. Method of applying and edge electrode pattern to a touch screen and a decal for a touch screen
US6727895B2 (en) * 2000-02-02 2004-04-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creen panel with integral wiring traces
US6569521B1 (en) * 2000-07-06 2003-05-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and articles
US6587097B1 (en) * 2000-11-28 2003-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lay system
US6488981B1 (en) * 2001-06-20 2002-1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JP3880418B2 (ja) * 2002-02-21 2007-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US7028958B2 (en) * 2002-11-01 2006-04-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ing adhesive article with shape retaining member
US20040109096A1 (en) * 2002-12-05 2004-06-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verlay mounting system for display
JP4493273B2 (ja) * 2003-01-29 2010-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070B1 (ko) * 2012-04-26 2014-02-24 구안 웨이 테크놀로지스 코., 엘티디. 기판 접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2072A2 (en) 2008-06-18
US20070059520A1 (en) 2007-03-15
BRPI0617037A2 (pt) 2011-07-12
WO2007032902A3 (en) 2007-12-06
CN101263444A (zh) 2008-09-10
WO2007032902A2 (en) 2007-03-22
AU2006291308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8371A (ko) 터치 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물품
US20210403764A1 (en) Systems for securing protective films to surfaces of substrates
US8642173B2 (en) Screen protector film
EP2845811A1 (en) Film adhering device for tablet electronic equipment
TWI464487B (zh) 電子裝置及其保護膜的撕除方法
KR20050085319A (ko) 디스플레이용 오버레이 장착 시스템
TW201026498A (en) Method for transferring thin film to substrate
JP2006236296A (ja) プラスチック保護フィルム
JP6417310B2 (ja) 粘着フィルム
CN105462513A (zh) 一种用于屏幕粘合的背胶件及其生产工艺
JP6405045B2 (ja) 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
JP2001290138A (ja) 液晶表示装置用のフィルム基板アセンブリ
JPH07105781A (ja) 透明タッチパネルの構造
KR101162017B1 (ko) 표시 장치
JP3164602U (ja) シート貼付構造体
CN202297444U (zh) 弹性双面胶带
JP2005115729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5404427A (zh) 触摸屏的框贴工艺
CN210796317U (zh) 背胶以及应用所述背胶的电子设备
EP1895563A3 (en) Display panel module and manufactruring method therefor
JP4144103B2 (ja) 入力機能一体型表示装置
WO2019075881A1 (zh) 一种手机屏幕保护贴膜
WO2018211586A1 (ja) 粘着フィルム
JP6374223B2 (ja) 保護部材
EP3789990A1 (e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