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996A -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996A
KR20080057996A KR1020060131987A KR20060131987A KR20080057996A KR 20080057996 A KR20080057996 A KR 20080057996A KR 1020060131987 A KR1020060131987 A KR 1020060131987A KR 20060131987 A KR20060131987 A KR 20060131987A KR 20080057996 A KR20080057996 A KR 2008005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quid crystal
remote controller
crystal display
back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7996A/ko
Publication of KR2008005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로 동작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로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전압레벨이 소정의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 백라이트의 휘도를 하강 제어하거나 상기 백라이트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원격제어기가 리셋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공기조화기, 원격제어기, 액정 표시부

Description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Remote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원격제어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원격제어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원격제어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 표시부 및 상기 액정 표시부 구동으로 인해 리셋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그 원격제어기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방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또한, 최근 공기조화기는 실내 냉방뿐 아니라, 냉방 사이클을 전환하여 실내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계절 내내 이용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기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방, 난방 그리고 공기정화 등의 기능이 다양해지는 것은 물론, 미리 풍향, 풍속, 풍량 등이 설정된 운전모드 등이 다양해지면서, 원격제어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커진다.
특히, 상기 원격제어기는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기본전원에 의해 구동되는바, 상기 다양한 기능제어로 인해 배터리 교체주기가 짧아지거나 리셋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액정 표시부가 구비된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상기 액정 표시부의 백라이트 구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전압이 강하되면서 원격제어기가 리셋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원격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 조작에 따른 제어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 및 액정 표시부를 통한 입/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전압레벨이 소정의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액정 표시부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백라이트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리셋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셋방지부는 상기 휘도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백라이트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시킴으로써 전압 감소로 인한 리셋을 방지한다.
상기 액정 표시부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의 후방에서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제 1 전원보다 높은 제 2 전원을 공급 받아 구동된다.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액정 표시부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LED가 구비되며, 이는 하나 이상의 색을 발광한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의 동작방법은 회로로 공급되는 기본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본전원의 전압레벨이 소정의 기준전압 미만으로 저감되는 경우, 상기 액정 표시부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를 공조시키는 본체(1)와, 본체(1) 외면에서 실내온도와 같은 수치정보, 운전모드, 예약모드, 풍량, 풍속에 관한 그래픽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는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도록 공기 흡입구(3)(4)와 공기 토출구(5)(6)(7)가 형성된 공조부(10)와, 공조부(10)의 전면 일부 혹은 전부를 여닫도록 공조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20)을 포함한다.
공조부(10)는 베이스(30)와, 캐비닛(40)과, 상부 패널(50)과, 하부 패널(70)(8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30)는 전면 패널(20)을 공조부(10)의 전면부에 나란하게 배치시켜 닫았을 때 전면 패널(20)의 하단과 실내의 바닥면(S) 사이에 틈이 크지 않도록 전면 패널(20)의 하부로 단턱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좌측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5)가 형성되고, 우측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조부(10)는 상부 패널(50)의 전면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구(5)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전면 패널(20)이 상부 패널(50)의 좌,우,중앙 중에서 중앙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부 패널(50)의 좌측면에 좌측 공기 흡입구(5)가 형성됨과 아울러 우측면에 우측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전면 패널(20)이 상부 패널(5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좌측부과 우측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부 패널(50)은 좌측부와 우측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좌측 공기 토출구(6)가 경사진 좌측부에 형성되고 우측 공기 토출구(7)가 경사진 우측부에 형성되며, 전면 패널(20)은 상부 패널(50) 중에서 경사진 좌측부와 경사진 우측부 사이의 부분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공조부(10)는 상부 패널(50)의 전면 상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 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부 패널(50)의 상면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부 패널(50)은 상면부에 상측 공기 토출구(7)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부 패널(50)에는 좌측 공기 토출구(5)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토출구 베인(5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5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우측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6)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토출구 베인(52)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52)을 회전시키는 우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에는 상측 공기 토출구(7)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측 토출구 베인(53)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53)을 회전시키는 상측 공기 토출구 베인모터가 설치된다.
하부 패널(70)(80)은 상부 패널(50)의 좌측부과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70)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부와 베이스(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8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70)에는 좌측 공기 흡입구(3)를 개폐하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7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좌측 필터(72)가 장착된다.
우측 하부 패널(80)에는 우측 공기 흡입구(4)를 개폐하는 우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81)을 회전시키는 좌측 공기 흡입구 베인모터가 설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우측 필터(82)가 장착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는 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원격제어기(100)와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원격제어기에도 상기 통신모듈이 구비되므로, 상기 공기조화기의 메인 제어부(미도시)는 원격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기 또는 실외기를 제어함으로써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은 적외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외에도 블루투스, 무선랜 등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모듈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 또는/및 원격제어기(100)에 구비되는 통신모듈은 원격제어기로부터 공기조화기측으로만 신호가 전송되는 단방향 통신모듈이거나, 원격제어기와 공기조화기가 신호를 서로 송수신하는 쌍방향 통신모듈이다.
만약, 단방향 통신모듈이 적용된다면 상기 원격제어기(100)에서는 일방적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공기조화기측에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 다. 그러나, 쌍방향 통신모듈이 적용된다면 상기 원격제어기에서 제어신호를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조화기측에서도 동작에 관한 상태정보 신호, 그 이외 본체에서 입력/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상기 원격제어기에도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공기조화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제어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구비된 입력부(110)와, 상기 입력부 조작에 따른 제어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 조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의 전송을 담당하며, 상기 입력부 및 액정 표시부(120)를 통한 입/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구비되며, 이는 소정의 제어동작이 바로 수행되는 바로동작 버튼과 상위 메뉴를 선택 및 로딩시키는 제 1 버튼, 그리고 상기 상위 메뉴에 종속된 하위 메뉴를 선택 및 로딩시키는 제 2 버튼으로 구분된다.
상기 바로동작 버튼으로는 공기조화 운전을 시작 또는 정지시키는 운전시작/운전정지 버튼,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경우, 공기청정모드로 운전되도록 하는 공기청정버튼, 신속하게 실내 냉방을 수행시키는 파워냉방 버튼,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변화시키는 바람방향 버튼, 설정완료됨을 알림과 동시에 현재 조작중인 메뉴를 종료시키는 설정버튼(112)이 있다.
상기 제 1 버튼은 바람세기 설정모드를 로딩하는 바람세기 버튼, 적어도 하나의 운전모드 선택메뉴를 로딩하는 운전선택 버튼, 적어도 하나의 예약모드를 선 택할 수 있는 예약버튼 등이 있으며, 상기 제 2 버튼은 희망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 버튼, 시간, 숫자, 그이외의 메뉴이동을 위해 조작되는 방향버튼(111) 등이 있다. 이러한 바로동작 버튼, 제 1 및 제 2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액정 표시부(120)에는 숫자, 문자, 그래픽,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부는 액정(LCD) 표시부(120)가 이용되는 것을 예시한다. 두장의 유리판 사이에 액정이 채워져 형성되는 패널(미도시)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어 빛을 방출시키는 백라이트(미도시)로 구성된다.
즉, 상기 패널을 구성하는 각각의 셀에 전극을 연결하여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액정의 분자구조를 변화시키고,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가 조절되어 상기 액정 표시부(120)의 배경색이 어두워지거나 밝아질 수 있으며, 배경색상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10) 조작에 의해 운전모드, 동작상태, 설정완료 여부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배경의 휘도 또는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특정시간대(예: 야간모드)동안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가 높아지고, 나머지 시간대(예: 주간모드)동안은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부(120)의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액정 표시부(120)는 편광을 이용하여 백라이트의 빛을 통과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포지티브 방식(positive type)과 네거티브 방식(negative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는바, 전극으로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백라이트의 빛을 차단하는 포 지티브 방식에서는 배경(121a)이 밝고 글씨나 숫자(121b)가 검게 표시되며, 백라이트의 빛을 통과시키는 네거티브 방식에서는 배경이 어둡고 글씨나 숫자가 밝게 표시된다. 도 4에서는 포지티브 방식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네거티브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부(120)의 하부 또는 측면부 또는 상기 입력부(110)의 하부 또는 측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LED(130)가 구비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동일색을 발광하는 것일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색이 나머지와 상이한 색을 발광하는 소자일 수도 있다.
이러한 LED(130)는 상기 입력부(110) 조작에 의해 운전모드, 동작상태, 설정완료 여부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점등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시간대(예: 야간모드)동안 점등되고, 나머지 시간대(예: 주간모드)동안은 소등될 수 있다. 이러한 LED(130)의 동작 역시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즉,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아이콘, 메뉴 등이 변경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액정 표시부의 배경색이 변경되거나 상기 LED(130)가 점등되는 등 사용자 조작에 의한 조작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부(120)는 백라이트 구동을 위하여 원격제어기에서 사용하는 기본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이용하게 되는바, 이를 위해 액정 표시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원격제어기(100)에는 제 1 전압레벨을 가지는 기본 구동전원을 더 높은 전압(제 2 전압이라 함)으로 승격시키는 전압 변환부(170)가 구비된다.
즉, 원격제어기(100)는 삽입된 충전용 배터리 또는 일회용 배터리로부터 기본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는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부(170)에 의해 상승된 제 2 전압원이 상기 액정 표시부(120)의 백라이트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제 1 전압을 3V라 하면, 상기 제 2 전압은 5V인 것을 예시하나, 물론 배터리 규격이나 백라이트 규격에 의해 상이한 전압레벨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 전압이 3V를 공급한다면, 배터리 소모로 인해 상기 제 1 전압이 2.4V 미만으로 하강되는 경우 회로 구동이 불가능해지므로 원격제어기의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이러한 강제 리셋이 발생되는 경우, 본 원격제어기에 구비되어, 각 기능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아이콘, 그래픽, 메뉴설정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 또한 리셋이 될 수 있다.
배터리 소모뿐 아니라, 액정 표시부(120)가 구비된 원격제어기에서는 상기 백라이트의 구동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구동전원 전압레벨이 하강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구동전원 전압레벨이 2.4V미만으로 하강되는 경우 배터리가 소모되지 않았음에도 원격제어기의 전원이 강제 차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부(제 1 전원, 160)에서의 제 1 전압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전압레벨이 소정의 기준 전압레벨 미만으로 하강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기준 전압레벨은 2.4V 내지 2.8V 이내의 어느 값이다. 2.4V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의 회로가 강제 리셋되는 마진전압이며, 상기 2.8V는 상기 백라이트의 구동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하강되는 전압이므로 상기 범위 이내의 소정의 값으로 기준 전압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리셋방지부(180)는 상기 제 1 전압레벨이 기준 전압레벨 미만인 경우 배터리 소진이 아닌 백라이트 구동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전압 강하가 된 것으로 판단하여, 원격제어기(100)가 리셋되기 이전에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를 낮추는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를 낮춘다는 것은 상기 전압 강하의 폭을 감소시켜 상기 기준 전압레벨 이상으로 기본 구동전원(제 1 전압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휘도를 0으로 만드는 것, 즉 백라이트로의 제 2 전원공급을 중단시키는 것도 포함된다.
물론,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를 제어하게 되더라도 상기 LED(130)에는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며, 입력부 조작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는 수행된다. 다만, 사용자가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액정 표시부(120)의 배경색 휘도가 낮아지거나, 아예 백라이트가 켜지지 않게 될 뿐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리셋 방지부(180)는 백라이트 구동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전압 강하가 일어나는 현상으로 인해 원격제어기가 리셋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배터리 소모로 오인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셋 방지부(180)는 도 3에서는 상기 제어부(140)와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40)로 통합 구현될 수 있는 기능임을 명시한 다.
이러한 리셋 방지부(180)가 구비된 원격제어기의 동작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로 제어명령을 입력 및 전송하기 위한 원격제어기는 배터리로부터 기본 구동전원이 공급된다.(S1)
원격제어기의 버튼 조작에 의해 액정 표시부의 백라이트가 구동되고, 백라이트 구동으로 인해 상기 기본 구동전원의 전압레벨이 순간적으로 강하된다.(S2)
상기 기본 구동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소정의 기준전압레벨 미만으로 전압 강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를 하강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셋 방지부는 상기 백라이트로 공급되는 제 2 전압원의 전류량/전압크기를 감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셋 방지부는 상기 백라이트로 공급되는 제 2 전압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원격제어기가 리셋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3,S4,S5)
물론, 상기 소정의 기준전압레벨 이상인 경우 전압강하가 크게 문제되지 않는 수준이므로 액정 표시부의 휘도를 유지한 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해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기에는 액정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액정 표시부 구동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전압 강하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백라이트의 휘도를 하강 제어하거나 상기 백라이트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원격제어기가 불필요하게 리셋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또한, 불필요한 배터리 교체가 수행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편의성도 향상된다.

Claims (8)

  1. 공기조화기로 동작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 조작에 따른 제어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 및 액정 표시부를 통한 입/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전압레벨이 소정의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액정 표시부의 휘도를 하강 제어하는 리셋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
  2. 청구항 1에서,
    상기 리셋방지부는 상기 백라이트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
  3. 청구항 1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전압은 2.4V 내지 2.8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
  4. 청구항 1에서,
    상기 액정 표시부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의 후방에서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제 1 전원보다 높은 제 2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
  5. 청구항 1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액정 표시부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LE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
  6. 청구항 5에서,
    상기 LED는 하나 이상의 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
  7. 공기조화기로 동작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버튼 조작에 따른 제어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 표시부가 구비된 원격제어기의 동작방법은,
    회로로 공급되는 기본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본전원의 전압레벨이 소정의 기준전압 미만으로 저감되는 경우, 상기 액정 표시부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의 동작방법.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액정 표시부의 백라이트 구동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의 동작방법.
KR1020060131987A 2006-12-21 2006-12-21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57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987A KR20080057996A (ko) 2006-12-21 2006-12-21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987A KR20080057996A (ko) 2006-12-21 2006-12-21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996A true KR20080057996A (ko) 2008-06-25

Family

ID=3980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987A KR20080057996A (ko) 2006-12-21 2006-12-21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9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9201A (zh) * 2011-05-30 2012-12-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可查询空调运行参数的遥控器及查询方法
CN107120788A (zh) * 2017-04-25 2017-09-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遥控器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空调系统
CN111998501A (zh) * 2020-07-22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排水系统脏堵检测方法、装置和处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9201A (zh) * 2011-05-30 2012-12-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可查询空调运行参数的遥控器及查询方法
CN107120788A (zh) * 2017-04-25 2017-09-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遥控器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空调系统
CN111998501A (zh) * 2020-07-22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排水系统脏堵检测方法、装置和处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359B2 (en) Grille controlling apparatus for indoor ventilator
KR10118345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403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3727632A (zh) 空气调节器的显示装置
KR101611304B1 (ko) 무드조명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58731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7996A (ko) 원격제어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65127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7994A (ko) 공기조화기
JP5478397B2 (ja) 空気調和機
KR20080057995A (ko) 원격제어기
JP2013242061A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
KR20080065128A (ko) 공기조화기
JP5537100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10164231A (ja) 空気調和機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リモコン装置
JPH09210433A (ja) 多室空気調和機用操作装置及び操作表示方法
KR20080076012A (ko) 공기조화기
KR20050097602A (ko) 에어컨 전면부 전체에 감성 정보를 표시하는 에어컨 표시장치
CN211952983U (zh) 室内采暖温控装置及室内采暖温控系统
KR19990083690A (ko) 버섯및식물재배용마이컴컨트롤러
KR20070113904A (ko) 탈부착 되는 리모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20007939A (ko) 공기조화기
CN2433748Y (zh) 带有电子时钟控制功能的电源插座和电源开关
KR101392314B1 (ko) 공기조화기의 리모트 컨트롤러
KR20050090510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