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275A -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길항제의 인산이수소염 - Google Patents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길항제의 인산이수소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275A
KR20080057275A KR1020087008805A KR20087008805A KR20080057275A KR 20080057275 A KR20080057275 A KR 20080057275A KR 1020087008805 A KR1020087008805 A KR 1020087008805A KR 20087008805 A KR20087008805 A KR 20087008805A KR 20080057275 A KR20080057275 A KR 20080057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ffective amount
pharmaceutically effective
allergic
compound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480B1 (ko
Inventor
베벌리 란게빈
에드워드 오톤
다니엘 쉐러
Original Assignee
아벤티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벤티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filed Critical 아벤티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5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47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or sulfur atom, e.g. cytos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I의 2-(3-{6-[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메톡시-피리미딘-4-일}-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인산이수소염, 약제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환자에게 약제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앨러지성 질병 (예를 들어, 앨러지성 비염, 앨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천식 및 식품 앨러지), 전신성 비만세포증, 전신적 비만세포 활성화를 동반하는 장애, 아나필락시 쇼크, 기관지수축, 기관지염, 두드러기, 습진, 소양증을 동반하는 질병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및 두드러기), 소양증을 동반하는 거동 (예를 들어, 긁음 및 두드림)의 결과로서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질병 (예를 들어, 백내장, 망막 박리, 염증, 감염 및 수면장애), 염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허혈성 재관류 손상, 뇌혈관 사고,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늑막염, 궤양성 대장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PGD2-매개된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I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9
2-(3-{6-[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메톡시-피리미딘-4-일}-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인산이수소염, PGD2-매개된 장애, 앨러지성 질병, 전신성 비만세포증

Description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길항제의 인산이수소염{Dihydrogen phosphate salt of a prostaglandin D2 receptor antagonist}
약제학적 조성물의 대규모 제조방법은 화학자 및 화학공학 기술자에게 많은 도전을 하게 만들 수 있다. 이들 도전 중의 대부분은 대량의 시약을 취급하고 대규모 반응을 조절하는데 관한 것이지만, 최종 생성물의 취급은 최종 활성 생성물 그 자체의 성질과 연관된 특별한 도전을 제기한다. 생성물은 고수율로 제조되고, 안정하며, 쉽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생성물은 이들이 궁극적으로 사용될 것 같은 약제학적 제제의 타입에 적합한 특성을 가져야만 한다. 약제학적 제제의 활성성분의 안정성은 합성, 분리, 벌크 저장, 약제학적 제형화 및 장기간 제형화를 포함하는 제조공정의 각각의 단계 중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들 각각의 단계는 온도 및 습도의 다양한 환경적 조건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은 가능한 한 순수해야 하며, 장기간 저장시의 이의 화학적 안정성은 다양한 환경적 조건 하에서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 이는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원치 않는 분해 생성물의 출현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이들 분해 생성물은 잠재적으로 독성일 수 있거나, 단순히 조성물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대규모 제조를 위한 일차적인 관심사는 활성 물질이 일관된 공정 파라메터 및 약제학적 품질을 보장하도록 그의 취급 중에 다형성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약제학적 화합물의 안정성 특징에 따라서, 이것은 제조 및/또는 저장 중에 품질 조절의 문제 및 제형화 쟁점을 잠재적으로 야기하는 변화를 겪을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제조 공정의 재현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따라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화에 대해 관리기관에 의해서 부여된 높은 품질 및 엄격한 요건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는 최종 제제를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적어도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 특징을 갖는 약제학적 화합물을 선택하는 것이 동일한 화합물의 덜 안정한 형태에 비해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명심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매우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약물학적 활성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길항제의 인산이수소염에 관한 것이다. 이 화합물은 앨러지성 질병 (예를 들어, 앨러지성 비염, 앨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천식 및 식품 앨러지), 전신성 비만세포증, 전신적 비만세포 활성화를 동반하는 장애, 아나필락시 쇼크, 기관지수축, 기관지염, 두드러기, 습진, 소양증을 동반하는 질병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및 두드러기), 소양증을 동반하는 거동 (예를 들어, 긁음 및 두드림)의 결과로서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질병 (예를 들어, 백내장, 망막 박리, 염증, 감염 및 수면장애), 염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허혈성 재관류 손상, 뇌혈관 사고(cerebrovascular accident),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늑막염, 궤양성 대장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PGD2 매개된 병리학적 (질병) 상태를 앓고 있거나, 이러한 상태에 걸리기 쉬운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DP 길항제로서 유용하다.
앨러지성 비염, 기관지천식, 앨러지성 결막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환자에게서 국소적인 앨러젠(allergen) 공격은 코 및 기관지 세척액, 눈물 및 피부 챔버액 (skin chamber fluids) 내에서 프로스타글란딘 D2 "(PGD2)" 레벨의 빠른 상승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GD2는 결막 및 피부에서 혈관 침투성의 증가, 비강기도 저항의 증가, 기도 축소, 결막 및 기관내로의 호산구 침윤과 같은 다수의 염증성 작용을 갖는다.
PGD2는 면역학적 공격에 대해서 비만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아라키돈산의 주요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생성물이다 [Lewis, RA, Soter NA, Diamond PT, Austen KF, Oates JA, Roberts LJ II, Prostaglandin D2 generation after activation of rat and human mast cells with anti-IgE, J. Immunol . 129, 1627-1631, 1982]. PGD2의 주요 공급원인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천식, 앨러지성 비염, 앨러지성 결막염, 앨러지성 피부염 및 그 밖의 다른 질병과 같은 상태에서 앨러지 반응을 구동시키는데 있어서의 주요 작용자 중의 하나이다 [Brightling CE, Bradding P, Pavord ID, Wardlaw AJ, New Insights into the role of the mast cell in asthma, Clin . Exp . Allergy 33, 550-556, 2003].
PGD2의 다수의 작용은 상피 및 평활근 상에서 발현되는 G 단백질-커플링된 수용체인 D-타입 프로스타글란딘 ("DP") 수용체 상에서의 그의 작용을 통해서 매개된다. 천식에서, 호흡 상피는 질병의 진행을 구동시키는 염증성 사이토킨 및 케모킨의 주요 공급원으로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다 [Holgate S, Lackie P, Wilson S, Roche W, Davies D, Bronchial Epithelium as a Key Regulator of Airway Allergen Sensitization and Remodelling in Asthma, Am J Respir Crit Care Med . 162, 113-117, 2000]. 천식의 실험적 마우스 모델에서, DP 수용체는 항원 공격에 대해 기도 상피 상에서 급격하게 상향-조절된다 [Matsuoka T, Hirata M, Tanaka H, Takahashi Y, Murata T, Kabashima K, Sugimoto Y, Kobayashi T, Ushikubi F, Aze Y, Eguchi N, Urade Y, Yoshida N, Kimura K, Mizoguchi A, Honda Y, Nagai H, Narumiya S, prostaglandin D2 as a mediator of allergic asthma, Science 287, 2013-2017, 2000]. DP 수용체가 결여된 녹아웃 마우스에서는 사람 천식의 주된 특징 중의 두 가지인 기도 과민성 및 만성 염증의 현저한 감소가 있다 [Matsuoka T, Hirata M, Tanaka H, Takahashi Y, Murata T, Kabashima K, Sugimoto Y, Kobayashi T, Ushikubi F, Aze Y, Eguchi N, Urade Y, Yoshida N, Kimura K, Mizoguchi A, Honda Y, Nagai H, Narumiya S, Prostaglandin D2 as a mediator of allergic asthma, Science 287, 2013-2017, 2000].
DP 수용체는 또한, 재채기, 소양증, 콧물, 및 비충혈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흔한 앨러지성 질병인 사람 앨러지성 비염에 연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코에 대한 PGD2의 국소적인 투여는 비충혈의 용량 의존적 증가를 야기한다 [Doyle WJ, Boehm S, Skoner DP, Physiologic responses to intranasal dose-response challenges with histamine, methacholine, bradykinin, and prostaglandin in adult volunteers with and without nasal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86 (6 Pt 1), 924-35, 1990].
DP 수용체 길항제는 기니아 피그 실험적 천식 모델에서 기도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rimura A, Yasui K, Kishino J, Asanuma F, Hasegawa H, Kakudo S, Ohtani M, Arita H, Prevention of allergic inflammation by a novel prostaglandin receptor antagonist, S-5751, J Pharmacol Exp Ther. 298 (2), 411-9, 2001]. 따라서, PGD2는 DP 수용체 상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앨러지성 천식의 특정한 주된 특징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DP 길항제는 다수의 종에서 앨러지성 비염의 증상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욱 특히 앨러지성 비염의 가장 명백한 증상인 항원-유도된 비충혈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ones, T. R., Savoie, C., Robichaud, A., Sturino, C., Scheigetz, J., Lachance, N., Roy, B., Boyd, M., Abraham, W., Studies with a DP receptor antagonist in sheep and guinea pig models of allergic rhinitis, Am . J. Resp . Crit . Care Med. 167, A218, 2003; 및 Arimura A, Yasui K, Kishino J, Asanuma F, Hasegawa H, Kakudo S, Ohtani M, Arita H, Prevention of allergic inflammation by a novel prostaglandin receptor antagonist, S-5751. J. Pharmacol . Exp . Ther. 298 (2), 411-9, 2001].
DP 길항제는 또한, 앨러지성 결막염 및 앨러지성 피부염의 실험적 모델에서도 효과적이다 [Arimura A, Yasui K, Kishino J, Asanuma F, Hasegawa H, Kakudo S, Ohtani M, Arita H, Prevention of allergic inflammation by a novel prostaglandin receptor antagonist, S-5751. J. Pharmacol . Exp . Ther. 298 (2), 411-9, 2001; 및 Torisu K, Kobayashi K, Iwahashi M, Nakai Y, Onoda T, Nagase T, Sugimoto I, Okada Y, Matsumoto R, Nanbu F, Ohuchida S, Nakai H, Toda M, Discovery of a new class of potent, selective, and orally active prostaglandin D2 receptor antagonists, Bioorg .. & Med . Chem . 12, 5361-5378, 2004].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된 특허출원 WO 2006044732 (이하에서는 '732 공보)에는 특히, DP 수용체와 결합하고, 당해 수용체를 조절하는 능력을 포함한 유용한 약제학적 특성을 갖는 피리미딘이 기술되어 있다. '732 공보에는 화학식 I의 피리미딘, 이의 제조방법,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억제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는 질병 상태를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이의 약제학적 용도가 기술되어 있다: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1
더구나, '732 공보는 2-(3-{6-[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메톡시-피리미딘-4-일}-페닐)-2-메틸-프로피온산 (이하에서는 "유리 형태")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특허 청구하였다. '732 공보는 또한, 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의 광범한 종류의 산부가염 및 염기부가염의 일반적 설명, 및 염산 염 및 나트륨 염의 제조방법으로 제한된 각종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2-(3-{6-[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메톡시-피리미딘-4-일}-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염산 염 및 나트륨 염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732 공보는 2-(3-{6-[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메톡시-피리미딘-4-일}-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인산이수소염은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화학식 III의 2-(3-{6-[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메톡시-피리미딘-4-일}-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인산이수소염 (이하에서는 "인산이수소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2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약제학적 유효량의 인산이수소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환자에게 약제학적 유효량의 2-(3-{6-[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메톡시-피리미딘-4-일}-페닐)-2-메틸-프로피온산의 인 산이수소염을 투여함으로써 앨러지성 질병 (예를 들어, 앨러지성 비염, 앨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천식 및 식품 앨러지), 전신성 비만세포증, 전신적 비만세포 활성화를 동반하는 장애, 아나필락시 쇼크, 기관지수축, 기관지염, 두드러기, 습진, 소양증을 동반하는 질병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및 두드러기), 소양증을 동반하는 거동 (예를 들어, 긁음 및 두드림)의 결과로서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질병 (예를 들어, 백내장, 망막 박리, 염증, 감염 및 수면장애), 염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허혈성 재관류 손상, 뇌혈관 사고,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늑막염, 궤양성 대장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PGD2-매개된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도움을 받아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인산이수소염의 X-선 분말회절패턴 (XRPD)이다.
도 2는 인산이수소염의 도 1에서의 분말 X-선 회절도에 대한 XRPD d-간격 및 상대적 강도의 상응하는 표이다.
도 3은 인산이수소염의 시차주사열량계-열중량분석기 (DSC-TGA) 열분석도 (thermogram)이다. TGA 데이타는 실온으로부터 175℃까지의 약 0.4%의 총감량을 나타낸다. DSC는 결정성 상의 용융물 만을 함유한다. 분자의 분해는 융점에서 시작한다.
도 4는 인산이수소염의 DSC 열분석도이다. 용융은 열분석도의 219℃ 시작점에서 관찰되는 유일한 열적 현상이다.
도 5는 인산이수소염의 동적증기흡착분석기 (Dynamic Vapor Sorption Analyzer: DVS) 흡습성 등온선 플롯 (Hygroscopicity Isotherm plot) 및 상응하는 수흡착 프로필의 표이다. 데이타는 약간의 이력현상(hysteresis)과 함께 94% 상대습도 (RH)에서 흡착 중에 약 0.9%의 중량 증가를 나타내며, 이것은 약하게 결합된 표면수분 흡착을 시사한다.
도 6은 DVS 전 및 후의 인산이수소염의 XRPD 패턴을 나타낸다. 검체를 제조하고, 분석은 0% RH에서 약 12 시간 동안 정치시키도록 허용된 DVS로부터 꺼낸 지 2 분 이내에 시작한다. 데이타는 DVS 실험의 결과로 강도 및 d-간격에서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며, 이것은 결정성 구조에서 검출 가능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7은 인산이수소염의 현미경사진을 나타낸다. 로트 (lot)는 주로 길이가 약 30 미크론 이하인 막대 및 바늘 형상의 입자로 구성된다.
도 8은 인산이수소염의 분쇄 전후의 현미경사진 및 정량적 입자크기분포를 나타내며, 이것은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 없이 입자 크기가 상당히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인산이수소염의 분쇄 후 현미경사진은 100x 배율에서의 약 30 시계의 탐색에서 길이가 10 미크론을 초과하는 입자가 없이 잘 미분화된 결정성 물질을 나타낸다. 미분화된 인산이수소염의 입자크기분포는 단일 모드 곡선인 것으로 측정된다. 중앙값 [x(50)]은 2.0 미크론이며, 입자의 90%는 4.7 미크론 또는 그 미만 이다. 미분화 공정은 중앙값 (이전에는 5.8 미크론) 및 x(90) 크기 (이전에는 ~16 미크론) 둘 다를 감소시킨다. 미분화 전후의 인산이수소염의 XRPD, 즉 피크 강도, 위치 (d-간격) 및 분해는 동일하다.
도 9는 무정형화를 나타내지 않는 미분화 후의 인산이수소염의 DVS 흡습성 등온선이다.
도 10은 인산이수소염에 대한 푸리에 변형-적외선 (Fourier Transform-Infrared: FT-IR) 스펙트럼 및 FT-IR 피크의 상응하는 표를 나타낸다.
도 11은 나트륨 염의 두 개의 별개의 제제인 배취 1 및 배취 2에 대한 XRPD 패턴의 오버레이 (overlay)를 나타낸다. 나트륨 염의 배취 1은 에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된다. 나트륨 염의 배취 2는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된다.
도 12는 아세톤으로부터 재결정화된 염산염의 두 개의 별개의 제제인 배취 1 및 배취 2에 대한 XRPD 패턴의 오버레이를 나타낸다.
정의 및 약어
상기 및 본 발명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 것으로서, 다음의 약어들은 다른 식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다음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MSO 디메틸 설폭사이드
cAMP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BMX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
SPA 섬광근접측정법 (Scintillation Proximity Assay)
ATTC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EM 최소 필수 배지
FBS 소태아혈청
CPM 분당 계수 (Counts Per Minute)
상기 및 본 발명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 것으로서, 다음의 용어들은 다른 식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다음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병의 예방, 부분적 경감 또는 치유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환자에게 약제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앨러지성 질병 (예를 들어, 앨러지성 비염, 앨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천식 및 식품 앨러지), 전신성 비만세포증, 전신적 비만세포 활성화를 동반하는 장애, 아나필락시 쇼크, 기관지수축, 기관지염, 두드러기, 습진, 소양증을 동반하는 질병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및 두드러기), 소양증을 동반하는 거동 (예를 들어, 긁음 및 두드림)의 결과로서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질병 (예를 들어, 백내장, 망막 박리, 염증, 감염 및 수면장애), 염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허혈성 재관류 손상, 뇌혈관 사고,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늑막염, 궤양성 대장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PGD2-매개된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환자"는 사람 및 그 밖의 다른 포유동물 둘 다를 포함한다.
"약제학적 유효량"은 목적하는 치료학적 효과를 생성시키는데 효과적인 화합물, 조성물, 의약 또는 그 밖의 다른 활성성분의 양을 기술하고자 하는 것이다.
발명의 특정한 구체예
본 발명의 한가지 특정한 구체예는 결정성 형태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길항제 활성을 나타내며, 유용한 약물학적 활성약제이다. 따라서, 이것은 약제학적 조성물 내로 혼입되며, 특정 의학적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문헌에 기술되고, 이하의 약물학적 시험 항목에 기술된 시험방법에 따라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길항제이며, 이 시험결과는 사람 및 그 밖의 다른 동물에서의 약물학적 활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PGD2 길항제의 투여에 의해서 개선될 수 있는 상태를 앓고 있거나, 그에 걸리기 쉬운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앨러지성 질병 (예를 들어, 앨러지성 비염, 앨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천식 및 식품 앨러지), 전신성 비만세포증, 전신적 비만세포 활성화를 동반하는 장애, 아나필락시 쇼크, 기관지수축, 기관지염, 두드러기, 습진, 소양증을 동반하는 질병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및 두드러기), 소양증을 동반하는 거동 (예를 들어, 긁음 및 두드림)의 결과로서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질병 (예를 들어, 백내장, 망막 박리, 염증, 감염 및 수면장애), 염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허혈성 재관류 손상, 뇌혈관 사고,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늑막염, 궤양성 대장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PGD2-매개된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방법의 한가지 특정한 구체예는 앨러지성 비염의 치료이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방법의 또 다른 특정한 구체예는 기관지천식의 치료이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방법의 또 다른 특정한 구체예는 COPD의 치료이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방법의 또 다른 특정한 구체예는 앨러지성 결막염의 치료이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방법의 또 다른 특정한 구체예는 앨러지성 피부염의 치료이다.
치료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언급은 예방적 치료뿐만 아니라 정착된 상태의 치료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더구나 다음의 약제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병용요법을 수반하는 치료에 유용하다:
(i) 앨러지성 비염의 치료를 위한 펙소페나딘, 데스로라타딘, 로라타딘 및 시티리진과 같은 항히스타민제;
(ii) 앨러지성 비염, COPD, 앨러지성 피부염, 앨러지성 결막염 등의 치료를 위한 몬테루카스트 및 자피루라스트와 같은 류코트리엔 길항제 구체적으로 WO 01/78697 A2의 특허청구범위를 참고로 한다;
(iii) 천식, COPD, 앨러지성 피부염, 앨러지성 결막염 등의 치료를 위한 알부테롤, 살부테롤 및 터부탈린과 같은 베타 작용제;
(iv) 천식, COPD, 앨러지성 피부염, 앨러지성 결막염 등의 치료를 위한 펙소페나딘, 로라타딘 및 시티리진과 같은 항히스타민제;
(v) 천식, COPD, 앨러지성 피부염, 앨러지성 결막염 등의 치료를 위한 로플루미라스트 및 실로미라스트와 같은 PDE4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 억제제; 또는
(vi) COPD, 앨러지성 피부염, 앨러지성 결막염 등의 치료를 위한 라마트로브란 (BAY-u3405)과 같은 TP (트롬복산 A2 수용체) 또는 CrTh2 (Th2 세포 상에서 발현된 화학주성인자 (chemoattractant) 수용체-동족성 분자) 길항제.
본 발명은 또한, 그의 범위 내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의 혼합물로 약제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흡입, 직장, 비내, 협측, 설하, 질내, 결장, 비경구 (피하, 근육내, 정맥내, 피내, 초내 및 경막외), 조내, 및 복강내를 포함하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 투여에 의해서 사람 및 그 밖의 다른 포유동물에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투약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한 경로는 예를 들어, 수용주의 생리적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투약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약형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정제, 당의정, 분말, 엘릭서, 시럽, 현탁액을 포함하는 액체 제제, 스프레이, 흡입 정제, 로젠지, 에멀젼, 용액, 과립, 캅셀제 및 좌제뿐만 아니라 리포좀 제제를 포함하는 주사용 액체 제제를 포함한다. 해당 기술 및 제형화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최신판)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는 투여 방식 및 투약형의 성질에 따라서 보존제, 충전제, 붕해제, 습윤제, 유화제, 에멀젼 안정화제, 현탁화제, 등장화제, 감미제, 방향제, 향료, 착색제, 항균제, 항진균제, 그 밖의 다른 치료제, 윤활제, 흡수 지연 또는 촉진제, 및 분산제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코팅제, 보조제, 부형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포함된다.
현탁화제의 예로는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한천 및 트라가칸트, 또는 이들 성분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미생물의 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의 예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등이 포함된다.
등장화제의 예로는 당, 염화나트륨 등이 포함된다.
흡수를 연장하기 위한 흡수지연제의 예로는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이 포함된다.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흡수촉진제의 예로는 디메틸 설폭사이드 및 관련된 유사체가 포함된다.
희석제, 용매, 비히클, 가용화제, 유화제 및 에멀젼 안정화제의 예로는 물, 클로로포름, 슈크로즈,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폴리올,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트윈 (Tween®) 60, 스판 (Span®) 6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식물유 (예를 들어, 면실유, 낙화생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호마유), 및 에틸 올레에이트 등과 같은 주사용 유기 에스테르, 또는 이들 성분의 적합한 혼합물이 포함된다.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밀크 슈가 (milk sugar), 나트륨 시트레이트, 탄산칼슘 및 제2인산칼슘이 포함된다.
붕해제의 예로는 전분, 알긴산 및 특정의 컴플렉스 실리케이트가 포함된다.
윤활제의 예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탈크뿐만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용해도와 같은 활성 화합물의 화학적 특성, 특정한 투여 방식 및 약제학적 관례에서 관찰되는 규정에 따라서 결정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각 예정된 양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캅셀제, 카세제 또는 정제와 같은 고체 투약형과 같은 독립적인 단위체로서, 또는 산제 또는 과립제로서; 수성 액체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액체 투약형으로, 또는 수중유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 액체 에멀젼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활성성분은 또한 볼러스 (bolus), 지제 (electuary) 또는 페이스트로 제공될 수도 있다.
"고체 투약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약형이 고체 형태, 예를 들어,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당의정 또는 과립제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체 투약형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나트륨 시트레이트 또는 제2인산칼슘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불활성 부형제 (또는 담체) 또는 (a)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를 들어, 전분, 락토즈, 슈크로즈, 글루코즈, 만니톨 및 규산, (b) 결합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슈크로즈 및 아카시아, (c) 보습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 (d) 붕해제, 예를 들어, 한천,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의 컴플렉스 실리케이트 및 탄산나트륨, (e) 용해 지연제, 예를 들어, 파라핀, (f) 흡수 촉진제, 예를 들어, 4급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착제, 예를 들어,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i) 윤활제, 예를 들어, 탈크,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j) 유백화제, (k) 완충제, 및 지연된 방식으로 장관의 특정한 부분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방출하는 성분과 혼합시킨다.
정제는 임의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성분 (accessory ingredients)과 함께 압축 또는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압축된 정제는 임의로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보존제, 표면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성 형태의 활성성분을 적합한 기계 내에서 압축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탈크와 같은 윤활제와 배합된 락토즈, 나트륨 시트레이트, 탄산칼슘, 제2인산칼슘과 같은 부형제, 및 전분, 알긴산 및 특정의 컴플렉스 실리케이트와 같은 붕해제가 사용될 수 있다.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습윤된 분말상 화합물의 혼합물을 적합한 기계에서 성형하여 성형된 정제를 만들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코팅되거나 금을 그어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안의 활성성분의 서방출 또는 조절된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고체 조성물은 또한, 락토즈 또는 밀크 슈가와 같은 부형제뿐만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하여 연질 및 경질-충전 젤라틴 캅셀제 내의 충전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및 더욱 효과적인 분포를 위해서, 화합물은 2 주일 또는 그보다 긴 기간 동안 화합물(들)의 연속적인 서방출을 제공하도록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중합체 매트릭스 (예를 들어, 폴리(d,l-락티드 코-글리콜라이드)), 리포좀 및 미세구 (microsphere)와 같은 서방출성 또는 표적화된 전달 시스템 내에 마이크로캅셀화되거나 그에 부착되어, 소위 피하 또는 근육내 데포제 (depot)로 불리는 기술에 의해서 피하 또는 근육내로 주사할 수 있다. 화합물은 예를 들어, 세균-보유 필터를 통해서 여과하거나, 또는 사용하기 직전에 무균수 또는 일부의 다른 무균 주사용 매질에 용해시킬 수 있는 무균 고체 조성물의 형태로 살균제를 혼입시킴으로써 살균시킬 수 있다.
"액체 투약형"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활성 화합물의 용량이 액체 형태,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멀젼,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서인 것을 의미한다. 액체 투약형은 활성 화합물 이외에도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유화제 또는 현탁을 촉진시키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국소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환자에게 국소적으로 투여하기에 적합한 형태인 제제를 의미한다. 제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국소용 연고, 고약, 분말, 스프레이 및 흡입제, 겔 (물 또는 알코올 기제), 크림제로 제공될 수 있거나, 경피적 장벽 (transdermal barrier)을 통한 화합물의 조절된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패취로 적용하기 위해서 매트릭스 기제에 혼입시킬 수 있다. 연고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활성성분은 파라핀성 또는 수혼화성 연고 기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활성성분은 수중유 크림 기제를 사용하여 크림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눈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제는 활성성분이 적합한 담체, 특히 활성성분을 위한 수성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된 점안제를 포함한다. 입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제에는 방향성 기제, 통상적으로 슈크로즈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 내에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로젠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슈크로즈 및 아카시아와 같은 불활성 기제 내에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파스틸 (pastilles); 및 적합한 액체 담체 내에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mouthwashes)가 포함된다.
에멀젼 약제학적 조성물의 오일상은 공지의 성분들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상은 단순히 유화제 (다른 식으로는 에멀전트 (emulgent)로 공지됨)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와 지방 또는 오일, 또는 지방 및 오일 둘 다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친수성 유화제는 안정화제로 작용하는 친지성 유화제와 함께 포함된다. 안정화제(들)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유화제(들)은 함께 유화성 왁스를 형성하며, 오일 및 지방과 함께 크림 제제의 오일성 분산상을 형성하는 유화성 연고 기제를 형성한다.
필요한 경우, 크림 기제의 수성상은 예를 들어, 적어도 30% w/w의 다가 알코올, 즉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1,3-디올,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400 포함)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2 개 또는 그 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용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피부 또는 그 밖의 다른 병에 걸린 영역을 통한 활성성분의 흡수 또는 침투를 증진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적합한 오일 또는 지방의 선택은 목적하는 특성을 수득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크림제는 특히 튜브 또는 다른 용기로부터의 누출을 피하기 위해서 적합한 연경도 (consistency)를 갖는, 기름기가 없으며 오염되지 않고 세척 가능한 생성물이어야 한다. 디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또는 크로다몰 (Crodamol) CAP로 공지되어 있는 측쇄 에스테르의 블렌드와 같은 직쇄 또는 분지쇄 일염기성 또는 이염기성 알킬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필요한 특성에 따라서 단독으로 또는 배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신으로, 백색 연파라핀 및/또는 유동 파라핀 또는 그 밖의 다른 광유와 같은 고융점 지질이 사용될 수 있다.
직장 또는 질내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환자에게 직장으로 또는 질내로 투여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며,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상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이며, 따라서 직장 또는 질강에서 용융하여 활성성분을 방출하는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제 왁스와 같은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좌제가 이러한 제제에 대한 특별한 형태이다.
주사에 의해서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근육내, 정맥내, 복강내 및/또는 피하 주사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체 용액, 특히 행크액 (Hank's solution) 또는 링거액 (Ringer's solution)과 같은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 중에서 제형화된다. 또한, 조성물은 고체 형태로 제형화되고, 사용하기 직전에 재용해 또는 현탁될 수도 있다. 동결건조된 형태도 또한 포함된다. 제제는 무균이며, 현탁화제 및 농조화제 및 항산화제, 완충제, 정균제, 및 제제를 목적하는 수용체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하고 그에 적합하게 조정된 pH를 갖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에멀젼, 현탁액, 수성 및 비수성 주사용액을 포함한다.
비내 또는 흡입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환자에게 비내로 또는 흡입에 의해서 투여하기에 적합한 형태인 조성물을 의미한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1 내지 500 미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 (30 미크론, 35 미크론 등과 같이 5 미크론씩 증가하는 20 내지 500 미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를 포함)를 갖는 분말 형태의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내 스프레이 또는 비내 점적제 (drops)로서 투여하기에 적합한 담체가 액체인 조성물은 활성성분의 수성 또는 오일성 용액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른 치료제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흡입 치료제는 특허출원 WO2004/026380 및 미국 특허 제 5,176,132 호에 기술된 것으로서 에클립스 (Eclipse), 스핀할러 (Spinhaler®), 또는 울트라할러 (Ultrahaler®)와 같은 정량 흡입기 (metered dose inhalers) 또는 어떤 적합한 건조 분말 흡입기에 의해서나 쉽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활성성분(들)의 실제 투약량 수준은 특정의 조성물 및 환자에 대한 투여의 방법에 대해서 바람직한 치료학적 반응을 수득하기에 효과적인 활성성분(들)의 양을 수득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특정한 환자에 대해서 선택된 투약량 수준은 원하는 치료학적 효과, 투여 경로, 원하는 치료 기간, 질병의 병인론 및 중증도,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식이 및 연령, 각각의 활성성분의 타입 및 효력, 흡수율, 대사율 및/또는 배설률, 및 그 밖의 다른 인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서 좌우된다.
단일 또는 분할 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총 1일 용량은 예를 들어, 1일에 체중 kg당, 약 0.001 내지 약 100 mg, 특히 0.01 내지 10 mg/kg/일의 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의 경우에 용량은 일반적으로, 흡입에 의해서 1일에 체중 kg당, 약 0.01 내지 약 100, 특히 약 0.01 내지 약 10 mg, 경구 투여에 의해서 1일에 체중 kg당, 약 0.01 내지 약 100, 특히 0.1 내지 70, 더욱 특히 0.5 내지 10 mg, 및 정맥내 투여에 의해서 1일에 체중 kg당, 약 0.01 내지 약 50, 특히 0.01 내지 10 mg이다. 조성물 내의 활성성분의 백분율은 변화될 수 있지만, 이것은 적합한 투약량이 수득되도록 하는 비율을 구성하여야 한다. 투약 단위 조성물은 1일 용량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그러한 양 또는 그의 그러한 약수를 함유할 수 있다. 명백하게, 몇 개의 단위 투약형이 대략 동시에 투여될 수도 있다. 투약형은 원하는 치료학적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만큼 빈번하게 투여될 수 있다. 일부의 환자들은 더 고용량 또는 저용량에 대해서 빠르게 반응할 수 있으며, 훨씬 더 적은 유지용량이 적절한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환자의 경우에는, 각각의 특정한 환자의 생리학적 필요조건에 따라서 1일에 1 내지 4 용량의 비율로 장기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환자의 경우에는 1일에 1 또는 2 용량을 초과하지 않게 처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형은 약제학의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 중의 어떤 방법으로도 단위 투약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약제학적 활성성분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성분을 구성하는 담체와의 회합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활성성분이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둘 다와 균일하고 긴밀하게 회합하도록 유도한 다음에, 필요한 경우에 생성물을 성형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제형은 단위-용량 또는 수회-용량 용기, 예를 들어, 탄성 마개가 있는 밀봉된 앰플 및 바이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하기 직전에 무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사용 물을 첨가하는 것만을 필요로 하는 동결-건조된 (냉동건조) 조건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시 주사용 용액 및 현탁액은 전술한 종류의 무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하의 분석방법에 의해서 분석된다.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라피 - 질량분광법 ( LCMS )
체류시간 (RT) 및 회합된 질량이온 (mass ions)을 측정하기 위한 LCMS 실험은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질량 스펙트럼 (MS)은 마이크로매스 (Micromass) LCT 질량분광계를 사용하여 기록된다. 방법은 100 내지 1000의 질량 m/z를 스캐닝하는 포지티브 전자스프레이 이온화방법 (positive electrospray ionization)이다.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는 휴렛 패카드 (Hewlett Packard) 1100 시리즈 바이너리 펌프 앤드 디개서 (Binary Pump & Degasser); 정지상: 페노메넥스 시너지 (phenomenex Synergi) 2μ 하이드로-RP 20 X 4.0mm 칼럼, 이동상: A = 물 중의 0.1% 포름산 (FA), B =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FA. CTC 분석용 PAL 시스템에 의한 5㎕의 주입 용적. 유속은 1 mL/분이다. 구배는 3 분 이내에 10% B에서 90% B까지이며, 2 분 이내에 90% B에서 100% B까지이다. 보조 검출기는 다음과 같다: 휴렛 패카드 (Hewlett Packard) 1100 시리즈 UV 검출기, 파장 = 220 nm 및 세데레 세덱스 (Sedere SEDEX) 75 증발 광산란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ELS) 검출기 온도 = 46℃, 질소 압력 = 4 바아.
1 H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 NMR )
300MHz 1H NMR은 ASW 5 mm 프로브를 갖는 배리안 머큐리 (Varian Mercury; 300 MHz) 분광계를 사용하여 주위온도에서 기록된다. NMR에서 화학적 이동 (δ)은 테트라메틸실란에 대비하여 ppm으로 표시한다. 화학적 이동값은 내부 표준물로서 테트라메틸실란 (TMS)을 참조로 한 ppm (parts per million)으로 나타낸다.
X-선 분말 회절분석 ( XRPD )
XRPD는 파라포커싱 브래그-브렌타노 (parafocusing Bragg-Brentano) (세타-2-세타)-타입 기하학을 사용하여 시멘스-브루커 (Siemens-Bruker) D5000 회절계 상에서 수행한다. 인산이수소염을 단일-결정 실리콘 웨이퍼 상에 놓고, (510) 결정학적 방향에 따라 절단한다. 구리 대음극 튜브 (45kV/40mA)로부터 방사되는 구리 K-알파 방사선 (1.54056 Å)을 x-선 공급원으로 사용하며, 여기서 Cu K-베타 방사선은 반사광 단색화장치 (reflected beam monochromator)를 사용하여 여과해 낸다. 섬광계수기가 검출을 위해서 사용된다. 0.6 mm의 발산 슬릿, 0.6 mm의 항-산란 슬릿, 0.1 mm의 단색화장치 슬릿, 및 0.6 mm의 검출기 슬릿이 사용된다. 회절패턴은 다음의 조건을 사용하여 수득된다: 2-세타 각에서 2 내지 40 도 주사, 단계당 1 초 계시 (count time), 0.02 도 단계 크기, 압력, 온도 및 상대습도의 주위조건 하.
열중량분석에 의한 용매화 /수화 상태
열분석은 건조 질소대기 하에서 TA 인스트루먼츠 모델 (TA Instruments Model) Q-600 동시 시차주사열량계/열중량분석기 (DSC/TGA)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TGA 온도는 인듐 표준품을 사용하여 보정한다. 인산이수소염을 알루미늄 팬 (TA Instruments part number 900793.901)에 옮긴다. 온도기록도는 분당 10℃의 선형 가열속도에서 획득된다.
시차주사열량분석 ( DSC )
DSC는 건조 질소대기 하에서 냉동된 냉각시스템이 장치된 TA 인스트루먼츠 모델 Q-1000 DSC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DSC는 인듐 표준품을 사용하여 보정한다. 인산이수소염을 알루미늄 팬에 옮기고, 레이저-천공된 핀홀을 갖는 뚜껑 (각각, TA Instruments part numbers 900793.901 및 900860.901)을 팬에 냉각용접한다. DSC 온도기록도는 분당 10℃의 선형 가열속도에서 획득된다.
현미경사진
현미경사진은 교차 극 (cross polars)이 장치된 올림푸스 (Olympus) BX-41 현미경을 사용하여 획득된다. 샘플은 이것을 광유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입자크기분포
입자크기분포는 R3 측정렌즈, RODOS 건조 분산기 (dry disperser), 및 632.8 nm까지 회전하는 레이저를 갖는 심파테크 (Sympatec) HELOS-BF 레이저 회절 입자크기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시스템은 탄화규소 표준품을 사용하여 보정한다. 분말은 3.0 바아의 초기 압력에 의한 RODOS 건조 분산 부착을 사용하여 분산되며, 강하 (depression)는 최대화된다. 용적 기본 입자크기분포는 심파테크 윈독스 (Sympatec Windox; Version 4.0) 소프트웨어에 의해 프라운호퍼 방법 (Fraunhofer method)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동적수증기흡착 ( DVS )
수분 흡착 프로필은 SMS 인스트루먼츠 동적증기흡착분석기 모델 DVS-1 또는 VTI 인스트루먼츠 모델 SGA-100 동적증기흡착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RH 및 중량은 표준품을 사용하여 보정한다. 인산이수소염을 부하하고,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1% RH에서 2.5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RH는 약 0에서 95% RH까지 단계화한다. 검체 중량은 질량 변화율이 최소 절대평형시간을 15 분으로 하여 5분 간격에 걸쳐서 0.005% 미만인 경우에 각 단계에서 일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푸리에 변형-적외선 ( FT - IR ) 분광법
The FT-IR 스펙트럼은 니콜레트 닉-플랜 (Nicolet Nic-Plan) FT-IR 현미경에 부착된 니콜레트 마그나 (Nicolet Magna)-IR 분광계 55를 사용하여 수득된다. 고체 샘플은 KBr 디스크 상에서 분석한다. 스펙트럼은 4 cm-1 분해능으로 4000-400 cm-1 에서 32 주사한 후에 수득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및 특성은 이하의 실험항목에서 기술된다.
2-(3-{6-[2-(2,4- 디클로로 - 페닐 )- 에틸아미노 ]-2- 메톡시 -피리미딘-4-일}- 페닐 )-2-메틸-프로피온산의 인산이수소염
단계 1. 에탄올 (25 mL) 중의 4,6-디클로로-2-메톡시피리미딘 (0.7 g), 2,4-디클로로펜에틸아민 (0.82 g) 및 중탄산나트륨 (0.88 g)의 용액을 80℃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고, 물 (400 mL)에 붓는다. 생성된 오일을 여과하고, 공기 건조시켜 (6- 클로로 -2- 메톡시 -피리미딘-4-일)-[2-(2,4- 디클로로 - 페닐 )-에틸]- 아민을 수득한다.
단계 2. 0℃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n-헵탄/에틸벤젠 중의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용액 (1.8 M, 17 mL)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중의 2-(3-브로모 -페닐)-프로피온산 (3 g, 13.9 mmol)의 용액을 15 분 동안 적가한다.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중의 메틸 요오다이드 (4.93 g, 34.8 mmol)를 10 분 동안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2 N HCl로 켄칭하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에테르 (150 mL)로 희석한다. 에테르 층을 2 N HCl로 세척하고, 2 N NaOH (50 mL)로 3 회 추출한다. NaOH 층을 합하여 6 N HCl에 의해 pH=1로 산성화시키고, 에테르 (75 mL)로 3 회 추출한다. 유기층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되는 고체로서 2-(3- 브로모 - 페닐 )-2- 메틸 -프로피온산 (3.08 g, 91%)을 수득한다. LC/MS: 243 (M+H).
단계 3. 무수 에테르 (20 mL) 중의 2-(3-브로모-페닐)-2-메틸-프로피온산 (2.18 mmol)의 용액에 tert-부틸 리튬 (펜탄 중의 1.7 M, 5.4 mL, 9.16 mmol)을 78℃에서 적가하고, 이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하여 트리부틸 보레이트 (2.34 mL, 8.72 mmol)로 처리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테르로 희석하여 1 M H3PO4로 켄칭한다. 3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에테르 층을 분리하여 2 N NaOH (20 mL)로 3 회 추출한다. NaOH 추출물을 합하여 6 N HCl에 의해서 pH=1로 산성화시키고, 에테르 (50 mL)로 3 회 추출한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되는 3-(1- 카복시 -1- 메틸 -에틸)- 페닐 보론산을 수득한다. MS: 209 (M+H).
단계 4. 아세토니트릴 (2.5 mL)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 (0.4 M, 2.5 mL) 중의 (6-클로로-2-메톡시-피리미딘-4-일)-[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민 (0.51 mmol) 및 3-(1-카복시-1-메틸-에틸)-페닐 보론산 (0.61 mmol)의 용액을 5 분 동안 질소로 탈기시킨 후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0) (29.5 mg, 5 mol%)을 첨가한다. 반응용기를 밀봉하고, 마이크로웨이브 하에서 30 분 동안 130℃로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에 2 mL의 물을 첨가하고, pH는 2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약 7로 조정하고,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3 회 추출한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킨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하여 고체로서 2-(3-{6-[2-(2,4- 디클로로 - 페닐 )- 에틸아미노 ]-2- 메톡시 -피리미딘-4-일}- 페닐 )-2- 메틸 -프로피온산 (205 mg, 75%)을 수득한다. LC/MS: RT = 2.39 분, MS: 460 (M+H); 1H NMR [300 MHz, (CD3)2SO]: δ 12.38 (1H, s), 7.36-8.00 (7H, m), 6.58 (1H, s), 3.84 (3H, s), 3.58 (2H, m), 2.98 (2H, m), 1.54 (6H, s).
단계 5. 인산 (3.21 mL, 1.49 N 수용액)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5 mL) 중의 2-(3-{6-[2-(2,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2-메톡시-피리미딘-4-일}-페닐)-2-메틸-프로피온산 (2.1 g, 4.56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이 투명한 용액이 될 때까지 물을 간격을 두고 적가하고, 교반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계속한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잔류 물을 아세톤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분말로서 2-(3-{6-[2-(2,4- 디클로로 - 페닐 )- 에틸아미노 ]-2- 메톡시 -피리미딘-4-일}- 페닐 )-2- 메틸 -프로피온산의 인산이수소염 (2.4 g, 94%)을 수득한다. LCMS: RT = 2.41 분; MS: 462 (M+H); 1H NMR [300 MHz, (CD3SO)2SO]: δ 7.95 (1H, b), 7.8 (1H, b), 7.6 (2H, b), 7.45 (2H, d, J=2Hz), 7.35 (2H, s), 6.55 (1H, s), 3.85 (3H, s), 3.55 (2H, b), 2.95 (2H, t, J=2Hz), 1.5 (6H, s).
약물학적 시험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의 억제효과는 사람 DP 기능적 시험에서 평가한다. 내인성 DP 수용체를 발현하는 사람 세포주 LS174T를 사용하는 cAMP 시험이 이용된다. 프로토콜은 이전에 기술된 것 (Wright DH, Ford-Hutchinson AW, Chadee K, Metters KM, The human prostanoid DP receptor stimulates mucin secretion in LS174T cells, Br J Pharmacol . 131(8):1537-45 (2000))과 유사하다.
사람 LS174 T 세포에서의 SPA cAMP 시험에 대한 프로토콜
재료
PGD2 (Cayman Chemical Cat#12010)
IBMX (Sigma Cat# 5879)
cAMP SPA 직접 스크리닝 시험 시스템 (Amersham code RPA 559)
96-웰 세포 플레이트 (Wallac Cat# 1450-516)
Wallac 1450 마이크로플레이트 트리럭스 (Microplate Trilux) 섬광계수기 (PerkinElmer)
플레이트 실러 (sealers)
에펜도르프 (Eppendorf) 튜브
둘베코 (Dulbecco)의 포스페이트-완충된 식염수 (PBS) (Invitrogen Cat#14040-133)
증류수
보르텍스 (Vortex)
자기교반기 및 교반봉
시약 제조 :
모든 시약은 재구성하기 전에 실온으로 평형화하도록 해야 한다.
1X 시험 완충액
병의 내용물을 증류수로 반복 세척함으로써 500 mL의 눈금을 매긴 실린더에 옮긴다. 최종 용적을 증류수에 의해서 500 mL로 조정하고, 철저하게 혼합한다.
용해시약 1 및 2
용해시약 1 및 2 각각을 200 mL 시험 완충액에 각각 용해시킨다. 실온에서 20 분 동안 방치하여 용해시킨다.
SPA 항-토끼 비드
30 mL의 용해 완충액 2를 병에 첨가한다. 병을 5분 동안 온화하게 진탕한다.
항혈청
15 mL의 용해 완충액 2를 각각의 바이알에 첨가하고, 내용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온화하게 혼합시킨다.
트레이서 ( I 125 - cAMP )
14 mL의 용해 완충액 2를 각각의 바이알에 첨가하고, 내용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온화하게 혼합시킨다.
면역시약의 제조
1) 동일 용적의 트레이서, 항혈청 및 SPA 항-토끼 시약을 병에 첨가하여 원하는 수의 웰을 위해서 충분한 용적의 이 혼합물이 제조되도록 보장한다 (150 ㎕/웰).
2) 철저히 혼합한다.
3) 면역시약 용액은 각각의 시험 전에 새롭게 제조하며, 재사용하지 않는다.
표준품
1) 1 mL의 용해 완충액 1을 첨가하고, 내용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온화하게 혼합시킨다.
2) 최종 용액은 512 pmol/mL의 농도로 cAMP를 함유한다.
3) 라벨 7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 튜브, 0.2 pmol, 0.4 pmol, 0.8 pmol, 1.6 pmol, 3.2 pmol, 6.4 pmol 및 12.8 pmol.
4) 500 ㎕의 용해 완충액 1을 모든 튜브에 피펫으로 옮긴다.
5) 12.8 pmol 튜브 내에 500 ㎕의 저장 표준품 (512 pmol/mL)을 피펫으로 옮기고, 철저히 혼합시킨다. 12.8 pmol 튜브로부터의 500 ㎕를 6.4 pmol 튜브에 옮기고, 철저히 혼합시킨다. 이러한 이중 희석을 나머지 튜브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반복한다.
6) 각각의 계열 희석액 및 저장 표준품으로부터의 50 ㎕ 분취액 두 개는 0.2-25.6 pmol 표준품 범위에서 cAMP의 8 개의 표준품 수준을 제공할 것이다.
화합물 희석 완충액
50 ㎕의 1 mM IBMX를 100 mL PBS에 첨가하여 100 mM의 최종 농도를 만들고, 30℃에서 20 분 동안 초음파처리한다.
PGD2 제조
1 mg의 PGD2 (FW, 352.5)를 284 ㎕의 DMSO에 용해시켜 10 mM 저장용액을 만들고, 20℃에서 저장한다. 이것은 각각의 시험 전에 새롭게 제조한다. 3 ㎕의 10 mM 저장용액을 20 mL의 DMSO에 첨가하고, 철저히 혼합하고, 10 mL를 40 mL의 PBS에 옮긴다.
화합물 희석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몇 개의 배취를 96 웰 플레이트에서 시험한다. 화합물의 각각의 배취가 96 웰 플레이트의 하나의 열을 차지한다.
화합물 희석은 방법 1_cAMP DP 11 포인트를 사용하여 바이오멕스 (Biomex) 2000 (Beckman)에서 수행된다.
10 mM 저장 화합물 플레이트로부터의 5 ㎕의 각각의 화합물을 다음과 같이 각각 96-웰 플레이트의 웰에 옮긴다.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3
플레이트는 칼럼 7을 28 ㎕의 DMSO로 충전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45 ㎕의 DMSO로 충전시킨다. 칼럼 1을 철저하게 피펫팅하여 12 ㎕를 칼럼 7에 대등하게 옮긴다. 5 ㎕ 내지 45 ㎕의 DMSO를 옮김으로써 칼럼 1로부터 칼럼 6까지 및 칼럼 7로부터 칼럼 11까지의 1:10 계열희석을 수행하여 다음의 농도를 만든다.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4
새로운 96-웰 플레이트를 247.5 ㎕의 화합물 희석 완충액으로 충전시킨다.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2.5 ㎕의 계열희석된 화합물을 다음과 같이 새로운 플레이트 (1:100 희석)에 옮긴다: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5
세포 성장
1. LS174 T는 항상 37℃ 및 5% CO2 하에 MEM (ATCC Cat# 30-2003), 10% FBS (ATCC Cat# 30-2020) 및 추가로 2 mM L-글루타민 중에서 성장시킨다.
2. 0.05% 트립신 및 버신 (Versine) (Invitrogen Cat# 25300-054)을 37℃ 수욕에서 가온한다.
3. 세포로부터 성장배지를 제거한다. T165 플라스크 내의 세포를 4 mL의 트립신으로 2 회 세척하고, 이어서 37℃ 및 5% CO2에서 3 분 동안 배양한다.
4. 10 mL의 배지를 첨가하고, 철저히 피펫팅하여 세포를 분리시키고, 세포를 계수한다.
5. 세포 밀도를 2.25 x 105 세포/ml로 만들고, 시험 1일 전에 200 ㎕ 세포/웰 (45,000 세포/웰)을 96-웰 플레이트 내에 접종한다.
시험 절차
제1일
96-웰 플레이트 내에서 200 ㎕ 배지 내에 45,000 세포/웰로 접종한다. 세포 플레이트를 37℃, 5% CO2 및 95% 습도에서 밤새 배양한다.
제2일
1. 화합물 희석을 수행한다.
2. 시험 완충액, 용해 완충액 1 및 2, PGD2 및 표준품을 제조한다.
3. 세포로부터 배지를 흡인하고, 지마크 사이클론 (Zymark Sciclone)-ALH/FD 프로토콜 cAMP DP를 사용하여 100 ㎕의 화합물 용액을 첨가한다.
4. 세포를 37℃, 5% CO2 및 95% 습도에서 15 분 동안 배양한다.
5. 지마크 프로토콜cAMP DP PGD2를 사용하여 5 ㎕의 300 nM PGD2 (20X 15 nM 최종 농도)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세포를 37℃, 5% CO2 및 95% 습도에서 추가로 15 분 동안 배양한다.
6. 세포로부터 배지를 흡인하고, 지마크 프로토콜 cAMP DP 용해를 사용하여 50 ㎕의 용해 완충액 1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진탕하면서 30 분 동안 배양한다.
7. 모든 웰에 150 ㎕의 면역시약을 첨가한다 (총용적 200 ㎕/웰).
8.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2 분 동안 진탕하여 월락 (Wallac) 미량역가 플레 이트 μ 섬광계수기의 챔버 내에 16 시간 동안 넣는다.
제3일
1450 트리럭스 섬광계수기에서 [125I] cAMP의 양을 2 분 동안 계수한다.
데이타 처리
cAMP 대비 CPM 의 표준곡선 작성.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6
미지의 샘플의 cAMP 농도 (pmol/mL)는 cAMP 대비 CPM의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된다. 억제율(%)은 다음의 수학식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억제율 % = (대조군의 pmol 샘플의 pmol ) X100
대조군의 pmol (세포 + PGD2 단독)
결과
인산이수소염은 0.3 nM의 농도로 사람 LS174 T 세포에서의 SPA cAMP 시험에서 50% 억제율을 나타낸다.
인산이수소염은 유리 형태 및 염산염에 비해서 증가된 수용해도를 갖는다. 이하의 표는 25℃에서 포스페이트 완충액 (PBS pH 7.4, 19%의 0.1M 일염기성 인산나트륨 용액 및 81%의 0.1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용액의 혼합물) 중에서의 유리 형태, 염산염 및 인산이수소염의 용해도, 및 급속화된 조건 (fasted conditions) 하에 모사된 장액 ("FaSSIF", 문헌 (Dressman J.B., Amidon G.L., Reppas C. and Shah V.P., Dissolution testing as a prognostic tool for oral drug absorption: immediate release dosage forms, Pharmaceutical Research : 1998, 제 15권, 제 1호, 11-22)에 따라 제조됨) 내에서 37℃에서의 유리 형태 및 인산이수소염의 용해도를 열거한 것이다.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7
인산이수소염은 또한, 대규모 제조 및 약제학적 제형화에 유용한 예상치 못한 특성을 갖는다. 첫째로, 인산이수소염은 매우 우수한 결정성을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인산이수소염의 XRPD는 중등도의 강도 및 분해를 갖는 피크를 함유한다. 중간의 2-세타 부분에 할로가 없는 것은 있다고 하더라도 단지 약간의 무정형 상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인산이수소염의 분쇄 전후의 현미경사진은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 없이 입자 크기의 상당한 감소가 있음을 입증한다.
그러나, 나트륨 염은 낮은 결정도를 갖는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트륨 염의 배취 2의 XRPD는 낮은 강도를 갖는 넓은 피크를 함유하며, 이것은 낮은 결정도를 나타낸다. 나트륨 염의 배취 1의 XRPD는 물질이 대부분 무정형임을 나타낸다. 또한, 두 가지 배취의 XRPD에서 중간의 2-세타 부분에 할로가 존재하는 것은 물질의 매우 열등한 결정성을 시사한다.
더구나, 인산이수소염은 현재 단지 하나의 다형성 형태로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염산염은 현재 특정의 조건 하에서 상호전환을 일으킬 수 있는 3 개의 다형성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2에서 배취 2인 염산염의 다형성 형태 중의 하나는 XRPD가 낮은 강도의 넓은 피크를 함유하기 때문에 낮은 결정도를 갖는다. 도 12에서 배취 1인 염산염의 다형성 형태 중의 또 다른 하나는 우수한 결정도를 갖는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화학식 III
    Figure 112008026130453-PCT00008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성 형태인 화합물.
  3.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된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앨러지성 질병, 전신성 비만세포증, 전신적 비만세포 활성화를 동반하는 장애, 아나필락시 쇼크, 기관지수축, 기관지염, 두드러기, 습진, 소양증을 동반하는 질병, 소양증을 동반하는 거동의 결과로서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질병, 염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허혈성 재관류 손상, 뇌혈관 사고(cerebrovascular accident),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늑막염 또는 궤양성 대장염 을 치료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소양증을 동반하는 거동의 결과로서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질병이 백내장, 망막 박리, 염증, 감염 또는 수면장애인 방법.
  6.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앨러지성 비염, 앨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천식, 식품 앨러지, 전신성 비만세포증, 전신적 비만세포 활성화를 동반하는 장애, 아나필락시 쇼크, 기관지수축, 기관지염, 두드러기,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염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허혈성 재관류 손상, 뇌혈관 사고,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늑막염 또는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하는 방법.
  7.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앨러지성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8.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기관지천식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9.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엘러지성 비염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10.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앨러지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11.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앨러지성 결막염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12.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13. 약제학적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르는 화합물, 및 항히스타민제, 류코트리엔 길항제, 베타 작용제, PDE4 억제제, TP 길항제 및 CrTh2 길항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항히스타민제가 펙소페나딘, 데스로라타딘, 로라타딘 또는 시티리진이고, 류코트리엔 길항제가 몬테루카스트 또는 자피루라스트이며, 베타 작용제가 알부테롤, 살부테롤 또는 터부탈린이고, PDE4 억제제가 로플루미라스트 또는 실로미라스트이며, TP 길항제가 라마트로브란이고, CrTh2 길항제가 라마트로브란인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87008805A 2005-10-13 2006-10-12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길항제의 인산이수소염 KR101365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629005P 2005-10-13 2005-10-13
US60/726,290 2005-10-13
PCT/US2006/039901 WO2007047378A2 (en) 2005-10-13 2006-10-12 Dihydrogen phosphate salt of a prostaglandin d2 receptor antagoni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275A true KR20080057275A (ko) 2008-06-24
KR101365480B1 KR101365480B1 (ko) 2014-02-21

Family

ID=3796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805A KR101365480B1 (ko) 2005-10-13 2006-10-12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길항제의 인산이수소염

Country Status (36)

Country Link
US (1) US7642249B2 (ko)
EP (1) EP1948620B1 (ko)
JP (1) JP2009511591A (ko)
KR (1) KR101365480B1 (ko)
CN (1) CN101287714B (ko)
AR (1) AR058085A1 (ko)
AU (1) AU2006304187B2 (ko)
BR (1) BRPI0617311A2 (ko)
CA (1) CA2625563C (ko)
CR (1) CR9870A (ko)
DK (1) DK1948620T3 (ko)
DO (2) DOP2006000223A (ko)
EC (1) ECSP088362A (ko)
ES (1) ES2409833T3 (ko)
GT (1) GT200600457A (ko)
HK (1) HK1125133A1 (ko)
HN (1) HN2008000603A (ko)
HR (1) HRP20130341T1 (ko)
IL (1) IL190673A (ko)
MA (1) MA30005B1 (ko)
MY (1) MY145648A (ko)
NI (1) NI200800116A (ko)
NO (1) NO20082072L (ko)
NZ (1) NZ567433A (ko)
PE (1) PE20070791A1 (ko)
PL (1) PL1948620T3 (ko)
PT (1) PT1948620E (ko)
RS (1) RS52799B (ko)
RU (1) RU2419614C2 (ko)
SI (1) SI1948620T1 (ko)
TN (1) TNSN08131A1 (ko)
TW (1) TW200728288A (ko)
UA (1) UA93062C2 (ko)
UY (1) UY29862A1 (ko)
WO (1) WO2007047378A2 (ko)
ZA (1) ZA2008025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5633A2 (en) * 2008-10-17 2010-04-22 National Jewish Health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eukotrie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N2005000795A (es) * 2004-10-15 2010-08-19 Aventis Pharma Inc Pirimidinas como antagonistas del receptor de prostaglandina d2
AR060403A1 (es) * 2006-04-12 2008-06-11 Sanofi Aventis Compuestos de amino- pirimidina 2,6- sustituidos -4- monosustituidos como antagonistas del receptor de prostaglandina d2
JP2009539881A (ja) * 2006-06-09 2009-11-19 アイコス コーポレイション Dp−2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置換フェニル酢酸
EP2170837B1 (en) * 2007-06-29 2011-11-02 Sanofi Process for preparing 2-(3-{6-[2-(2,4-dichlorophenyl)-ethylamino]-2-methoxypyrimidin-4-yl)-phenyl)-2-methylpropionic acid
BRPI0907364A2 (pt) 2008-02-01 2015-07-14 Amira Pharmaceuticals Inc Antagonistas aminoalquilbifenil n,n-disubstituídos de receptores d2 de prostaglandina
US8497381B2 (en) 2008-02-25 2013-07-30 Panmira Pharmaceuticals, Llc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GB2463788B (en) * 2008-09-29 2010-12-15 Amira Pharmaceuticals Inc Heteroar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8378107B2 (en) 2008-10-01 2013-02-19 Panmira Pharmaceuticals, Llc Heteroar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WO2010042652A2 (en) 2008-10-08 2010-04-15 Amira Pharmaceuticals, Inc. Heteroalkyl 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AR074776A1 (es) * 2008-12-18 2011-02-09 Sanofi Aventis Metodo para tratar la degeneracion macular; modulando el sistema inmunitario del paciente
EP2461809A4 (en) 2009-07-31 2013-06-19 Panmira Pharmaceuticals Llc OPHTHALM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DP2 RECEPTOR ANTAGONSITES
SG10201404662YA (en) 2009-08-05 2014-10-30 Panmira Pharmaceuticals Llc Dp2 antagonist and uses thereof
EP2590640A1 (en) 2010-07-08 2013-05-15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Use of fts and analogs to treat non-autoimmune-allergic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conditions
EP2621276B1 (en) * 2010-09-30 2017-12-27 Merck Sharp & Dohme Corp. 2-alkoxy pyrimidine pde10 inhibitors
US9797903B2 (en) 2012-10-24 2017-10-24 Winthrop-University Hospital Non-invasive biomarker to identify subject at risk of preterm delivery
CN108024970B (zh) 2015-06-04 2021-10-01 奥瑞基尼探索技术有限公司 用作cdk抑制剂的经过取代的杂环衍生物
AU2018331400A1 (en) 2017-09-13 2020-04-02 Progenity, Inc. Preeclampsia biomark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4070113A4 (en) 2019-12-04 2023-12-20 Biora Therapeutics, Inc. ASSESSMENT OF PREECAMPSIA USING FREE AND DISSOCIATE PLACENTAL GROWTH FACTOR ASSAY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36322D1 (de) * 2001-12-07 2010-06-17 Vertex Pharma Verbindungen auf pyrimidin-basis als gsk-3-hemmer
MXPA06000269A (es) * 2003-07-09 2006-04-07 Hoffmann La Roche Tiofenilaminoimidazolinas.
HN2005000795A (es) * 2004-10-15 2010-08-19 Aventis Pharma Inc Pirimidinas como antagonistas del receptor de prostaglandina d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5633A2 (en) * 2008-10-17 2010-04-22 National Jewish Health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eukotrienes
WO2010045633A3 (en) * 2008-10-17 2010-07-15 National Jewish Health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eukotrie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8620A2 (en) 2008-07-30
CN101287714B (zh) 2011-04-06
PL1948620T3 (pl) 2013-08-30
UA93062C2 (ru) 2011-01-10
US20080194600A1 (en) 2008-08-14
NO20082072L (no) 2008-05-02
ES2409833T8 (es) 2013-09-26
CN101287714A (zh) 2008-10-15
KR101365480B1 (ko) 2014-02-21
WO2007047378A3 (en) 2007-08-02
BRPI0617311A2 (pt) 2011-07-19
PE20070791A1 (es) 2007-08-16
SI1948620T1 (sl) 2013-05-31
RU2419614C2 (ru) 2011-05-27
CA2625563C (en) 2011-04-19
TW200728288A (en) 2007-08-01
NZ567433A (en) 2010-06-25
RU2008118491A (ru) 2009-11-20
CA2625563A1 (en) 2007-04-26
RS52799B (en) 2013-10-31
ES2409833T3 (es) 2013-06-28
UY29862A1 (es) 2007-05-31
PT1948620E (pt) 2013-05-06
DK1948620T3 (da) 2013-06-24
JP2009511591A (ja) 2009-03-19
HN2008000603A (es) 2010-11-03
ZA200802586B (en) 2009-09-30
GT200600457A (es) 2007-04-27
HK1125133A1 (en) 2009-07-31
WO2007047378A2 (en) 2007-04-26
IL190673A0 (en) 2008-11-03
CR9870A (es) 2008-06-18
IL190673A (en) 2011-12-29
US7642249B2 (en) 2010-01-05
DOP2006000223A (es) 2007-05-15
ECSP088362A (es) 2008-05-30
AU2006304187A1 (en) 2007-04-26
AR058085A1 (es) 2008-01-23
AU2006304187B2 (en) 2011-04-28
DOP2006000220A (es) 2007-05-15
TNSN08131A1 (en) 2009-07-14
EP1948620B1 (en) 2013-03-20
MA30005B1 (fr) 2008-12-01
NI200800116A (es) 2011-12-15
MY145648A (en) 2012-03-15
HRP20130341T1 (en)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480B1 (ko)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 길항제의 인산이수소염
RU2636146C2 (ru) Соединения карбоновых кислот
US7205297B2 (en) Substituted 5-alkynyl pyrimidines having neurotrophic activity
EP2066628B1 (en) 2-phenyl-indoles as prostaglandin d2 receptor antagonists
JP5237115B2 (ja) 新規複素環類
JP2009533473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d2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2,6−置換−4−モノ置換アミノ−ピリミジン
MX2012010035A (es) Pirimidinas sustituidas como antagonistas del receptor de la prostaglandina d2.
KR20120002581A (ko) 피리미딘 화합물
MX2012010038A (es) Una pirimidina sustituida como un antagonista del receptor de la prostaglandina d2.
EP3707133B1 (en) Btk inhibitor compounds
US7112585B2 (en) Pyrimidine derivatives as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