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833A - 스팀건조기 - Google Patents

스팀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833A
KR20080056833A KR1020060129859A KR20060129859A KR20080056833A KR 20080056833 A KR20080056833 A KR 20080056833A KR 1020060129859 A KR1020060129859 A KR 1020060129859A KR 20060129859 A KR20060129859 A KR 20060129859A KR 20080056833 A KR20080056833 A KR 20080056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water supply
electrode
supply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367B1 (ko
Inventor
배상훈
손창우
최철진
김동현
손영복
김흥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367B1/ko
Priority to PCT/KR2007/006428 priority patent/WO2008075849A2/en
Priority to DE112007003110.7T priority patent/DE112007003110B4/de
Priority to CN2007800474275A priority patent/CN101568680B/zh
Priority to US12/448,349 priority patent/US20100095716A1/en
Publication of KR2008005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히터와,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과, 상기 물 공급원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물 공급원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옷감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건조기, 카트리지, 스팀발생기

Description

스팀건조기{Steam laundry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팀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팀발생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물 공급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물 공급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물 공급원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도 4의 물 공급원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4의 물 공급원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4의 물 공급원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4의 물 공급원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20 : 드럼
30 : 프런트 서포터 40 : 리어 서포터
50 : 린트 덕트 60 : 블로워 유닛
70 : 모터 80 : 배기 덕트
90 : 열풍 히터 200 : 스팀발생기
300 : 물공급원(카트리지) 400 : 펌프
500 : 안전밸브 250 : 노즐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에서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을 공급할 때나 사용중에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 의 수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히터와,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과, 상기 물 공급원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물 공급원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히터와,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과, 상기 물 공급원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히터와,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과, 상기 물 공급원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생기는 구김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탑 로딩 방식, 전기식, 응축식 스팀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런트 로딩 방식, 가스식, 응축식 스팀건조기 등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스팀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상기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상기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상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 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스팀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 덕트(50)에 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되게 된다.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상기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은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가 연결되며, 상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크기의 워터 탱크(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스팀발생기(200)(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이 탈부착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설치가 복잡하다. 왜냐하면, 스팀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을 사용하여, 상기 물공급원(300)을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고, 물을 채운 물공급원(300)을 스팀발생기(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220)에 연결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원(300)과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펌프(400)는 상기 물공급원(300)의 배수부(미도시)가 접속구(48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물공급원(300)과 연결되고, 상기 스팀발생기(200)와는 상기 급수 호스(22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200)로 물 공급 및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펌프(400)를 사용하지 않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 사이의 수주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스팀건조기의 각종 부품 등은 규격품이며 콤팩트하게 설계되므로 구조적 공간의 절대로 부족하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품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으면 수주차를 이용한 급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형의 펌프(400)를 사용하면,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픔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고도 스팀발생기(20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펌프(400)를 이용하는 것이 대단히 유용하다. 그리고,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물이 공급 및 스팀 배출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하부에 물이 공 급되며,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데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기(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물 공급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300)(이하 편의상 "카트리지"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300)에는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310)과,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3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접속구(480)에 연결되는 배수구(30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구(302)의 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300)를 하부 하우징(310) 및 상부 하우징(320)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300) 내부에 쌓인 물때 등을 청소하거나 상기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기가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하우징(320)은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일면 전체가 완전 개방되도록 탈부착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카트리지(300) 내부를 청소하기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320)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결합부(330)가 포함된다. 상기 결합부(330)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32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중심부에 홀(333)이 형성되는 연장부(332)와,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333)에 삽입되는 걸림부(331) 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하우징(320)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걸림부(331)가 상기 홀(333)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하부 하우징(320)에 쉽게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320)에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는 공급구(321)와, 상기 공급구(321)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커버(34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 하우징(320)을 상기 하부 하우징(310)과 분리할 필요없이 상기 커버(340)를 열어서 상기 공급구(321)로 물을 공급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커버(340)가 상기 상부 하우징(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35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커버(340)를 회전시켜서 쉽게 상기 공급구(321)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부(350)에는 상기 커버(340)의 일측의 양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힌지축(351)과, 상기 한 쌍의 힌지축(351)이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320)에 형성되는 힌지홀(35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36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60)에 의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알 수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정량이란 상기 카트리지(300)에 채워질 수 있는 물의 양 즉,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을 말한다. 이는 스팀건조기의 용량이나 상기 카트리지(3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360)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측면 즉,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6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 표시부(360)를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360)에는 온도에 따라 소정의 색깔로 변색되는 변색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변색부재는 물의 온도에 의해 변색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에 물이 공급될 때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선(361)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적정수위란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 즉, 상기 적정량이 채워진 수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스팀건조기의 용량이나 상기 카트리지(30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360)와 상기 표시선(361)에 의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적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표시선(361)은 상기 표시부(36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360)의 일측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선(360)은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만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물의 수위를 상세히 나타내도록 다수개의 눈금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의 카트리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Ⅱ-Ⅱ'단면도로서,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진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표시부(360)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도면부호와 설명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60)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상면 일측 즉, 상기 상부 하우징(32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36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서서 상기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표시부(360)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상면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카트리지(30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인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360)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카트리지(300)의 측면에 형성된다면, 사용자는 상기 카트리지(30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몸을 구부려야 하는 불편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카트리지(30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360)는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360)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함몰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에서 더욱 용이하게 상기 카트리지(30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인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360)가 일정한 폭을 가지며 하 방으로 함몰된다면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360)의 바로 위에서 상기 표시부(360)을 바라보는 경우에는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없지만,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360)가 폭이 좁아지면서 함몰된다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60)의 바로 위에서도 용이하게 물의 수위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를 나타내는 표시선(361)은 상기 표시부(360)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60)에는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변색부재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변색부재가 변색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60)의 밑면에만 상기 변색부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363)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까지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지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밑면까지 물이 채워지게 되어 상기 변색부재가 변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변색부재의 변색을 인지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진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이 경우, 상기 표시선(361)은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변색부재가 상기 표시선(361)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카트리지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은 상기 카트리지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카트리지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진 상태를 개략적으 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감지부의 회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표시부(360) 대신에 감지부(370)가 포함된다는 차이만 있으므로, 그외의 도면부호나 설명은 상기 실시예의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3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70)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전원부(371)와, 상기 전원부(371)에 연결되는 제1전극(372)와 제2전극(37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372)과 상기 제2전극(373)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다른 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전극(372)이 상기 제2전극(373)보다 높은 수위의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2전극(373)이 보다 높은 수위의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채워진 물이 상기 제1전극(372)이 연결된 물의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전극(372)과 상기 제2전극(373)은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채워진 물에 의해 미세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상기 감지부(370)는 통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70)에는 상기 감지부(370)가 통전되면,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374)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상기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전극(372)와 상기 제2전극(373)이 통전됨에 따라 상기 신호발생부(374)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신호발생부(374)는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상기 제1전극(372)이 연결된 수위까지 채워지면, 상기 신호발생부(374)의 신호에 의해 상기 신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372)은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전극(373)은 상기 적정수위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 신호발생부(374)에 의해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지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을 공급하는 도중에 상기 신호발생부(374)의 신호에 의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더 이상 물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 신호발생부(374)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소리 또는 빛 등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극(372)과 상기 제2전극(373)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동일한 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채워지는 물이 상기 제1전극(372)과 상기 제2전극(373)이 연결된 물의 수위까지 채워지면, 상기 제1전극(372)과 상기 제2전극(373)은 상호 통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372)과 제2전극(373)은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는 도 4의 카트리지에 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서, 도 11은 상기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감지부(370)만이 다르므로, 다른 도면부호와 설명은 상기 실시예의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37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가 장착된 경우에 스팀건조기 본체의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전극(375)과 제2전극(376)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전원부(371)가 포함되지 않고, 스팀건조기 본체의 전원부(미도시)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상기 카트리지(300)의 구조가 더 간단해질 수 있다.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동일한 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거나, 다른 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진 후에 상기 카트리지(300)가 장착되면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은 스팀건조기의 본체의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은 상호 통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감지부(370)는 통전될 수 있다. 이후에, 스팀건조기가 운전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3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1전극(375) 또는 상기 제2전극(376)이 연결된 수위 이하까지 떨어지면,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은 상호 통전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감지부(370)는 통전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370)가 통전되지 않으면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377)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스팀건조기의 내부의 제어부(378)에 의해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370)가 통전되지 않으면, 스팀건조기의 제어부(378)가 상기 감지부(370)이 통전되지 않게 된 것을 인지하여 상기 신호발생부(377)가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게 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팀건조기를 사용중에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상기 제1전극(375) 또는 상기 제2전극(376)이 연결된 수위 이하까지 도달한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77)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소리 또는 빛 등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은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부족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족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팀건조기 사용중에 상기 신호발생부(377)에 의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이 부족수위까지 떨어진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여기서, 상기 부족수위란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이 부족한 것을 나타내는 수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스팀건조기의 용량이나 상기 카트리지(300)의 크기 또는 제조시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족수위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바닥면까지 떨어지기 전에 물이 부족한 상태임을 인지하여 상기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77)는 사용자가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300)를 분리하기 전까지 계속하여 신호를 발생하거나 주기적으로 소정시간 동안만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도 4의 카트리지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감지부(370)에 제1봉(381)과 제2봉(382)이 더 포함된다는 차이만 있으므로, 다른 설명과 도면부호는 상기 실시예의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제1전극(375)과 연결되는 제1봉(381)과, 상기 제2전극(376)과 연결되는 제2봉(38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봉(381)은 상기 상부 하우징(320)으로부터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부족수위까지 닿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2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봉(382)은 상기 제1봉(38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부족수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1봉(381)과 제2봉(382)이 물에 의해 통전됨으로써,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은 통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물의 수위가 부족수위보다 낮으면 상기 제1봉(381)과 제2봉(382)은 통전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제1전극(375)과 제2전극(376)은 통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신호발생부(377) 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봉(381)과 제2봉(382)이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의 설치위치가 덜 제약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은 각각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제1봉(381)과 제2봉(382)과 통전되면 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전극(375)과 상기 제2전극(376)이 상기 카트리지(300)가 장착된 경우에 스팀건조기 본체의 전원과 연결되도록 할 때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5의 카트리지에 대한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4는 상기 카트리지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카트리지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감지부(370) 대신에 이동부재(390)가 포함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그외의 설명과 도면부호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3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390)는 물 위에 뜰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부재(390)는 소정의 부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390)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따라 위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이 줄어들면 상기 이동부재(390)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이동부재(39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91)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391)의 일측은 상기 상부 하우징(32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39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391)는 상기 이동부재(390)가 상하로 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부재(390)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39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391)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392)까지 물이 채워지면 상기 이동부재(390)가 상기 공급구(321)를 막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392)까지 물이 채워지면 자동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더 이상 물이 채워지지 않게 되어 편리하다.
도 16은 도 4의 카트리지에 대한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카트리지의 적정수위까지 물이 채워진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가이드부(391)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도면부호와 설명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310) 내에 높이방향 으로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이동부재(390)가 위치하게 되는 가이드부(39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91)에는 상기 가이드부(391) 내에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틈(39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391)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391) 내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부재(39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391)는 상기 이동부재(390)가 상기 공급구(321)의 아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의 적정수위(392)까지 물이 채워지면 상기 이동부재(390)가 상기 공급구(321)를 막게 되어 더 이상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적정수위(392)까지 물이 채워지면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더 이상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편리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살균 및 냄세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있는 구김 또는 주름도 별도의 다림질 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에 쉽게 물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물을 공급할 때나 사용중에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 및
    상기 물 공급원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물 공급원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물 공급원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물 공급원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변색부재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폭이 좁아지도록 하방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밑면에는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변색부재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8.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 및
    상기 물 공급원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는 상기 물 공급원에 구비된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1전극과 제2 전극이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는 스팀건조기의 전원과 연결되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이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물 공급원의 동일한 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물 공급원의 다른 수위에 위치하는 물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가 더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14.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 및
    상기 물 공급원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물 위에 뜨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원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원에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물 공급원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적정수위까지 채워지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공급구를 막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18. 제 1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원에는 물이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이 포함되는 스팀건조기.
KR1020060129859A 2006-12-19 2006-12-19 스팀건조기 KR101342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859A KR101342367B1 (ko) 2006-12-19 2006-12-19 스팀건조기
PCT/KR2007/006428 WO2008075849A2 (en) 2006-12-19 2007-12-11 Laundry machine
DE112007003110.7T DE112007003110B4 (de) 2006-12-19 2007-12-11 Wäschemaschine
CN2007800474275A CN101568680B (zh) 2006-12-19 2007-12-11 衣物处理机
US12/448,349 US20100095716A1 (en) 2006-12-19 2007-12-11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859A KR101342367B1 (ko) 2006-12-19 2006-12-19 스팀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833A true KR20080056833A (ko) 2008-06-24
KR101342367B1 KR101342367B1 (ko) 2013-12-16

Family

ID=3953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859A KR101342367B1 (ko) 2006-12-19 2006-12-19 스팀건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95716A1 (ko)
KR (1) KR101342367B1 (ko)
CN (1) CN101568680B (ko)
DE (1) DE112007003110B4 (ko)
WO (1) WO2008075849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277B1 (ko) * 2008-12-15 2014-10-2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부레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1521930B1 (ko) * 2008-12-23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540664B1 (ko) * 2008-12-24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981968B1 (ko) * 2018-12-07 2019-05-24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원단 스팀기
KR20220152795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KR20230064447A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워터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7354B4 (de)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1461B1 (ko) * 2006-12-15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건조기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016748A2 (ko) * 2008-08-07 2010-02-11 (주)엘지전자 탑플레이트에 향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1072023B1 (ko) * 2008-09-26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저장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KR101056942B1 (ko) * 2008-09-26 201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자를 이용한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104531B1 (ko) * 2008-09-26 201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저장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KR101072088B1 (ko) * 2008-09-26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저장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KR101276861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276857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819510B1 (ko) 2011-08-22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40032262A (ko) 2012-09-06 201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797493B1 (ko) 2012-09-06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JP2014150814A (ja) * 2013-02-05 2014-08-25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DE102015102252A1 (de) * 2015-02-17 2016-08-18 Miele & Cie. Kg Dampfeinheit für ein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Waschtrockner oder Trockner
CN112538708B (zh) * 2019-09-23 2022-11-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端面进水结构及衣物处理设备
KR20210112169A (ko)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KR102586574B1 (ko) 2021-10-06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정수 장치 및 방법과, 이에 대한 의류 케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3267A (en) * 1965-10-22 1966-09-20 Mc Graw Edison Co Water level indicator for electric iron
AU553417B2 (en) * 1984-03-16 1986-07-17 Toshiba, Kabushiki Kaisha Washing machine
US4741448A (en) * 1987-06-02 1988-05-03 Kenneth Ali Alley Container with buoyant fluid flow restrictor
DE4317629A1 (de) * 1993-05-27 1994-12-01 Vdo Schindling Füllhöhenanzeigevorrichtung
US5385044A (en) * 1993-08-25 1995-01-31 Ecolab Inc. Method of using a thermo-chromatic detergent level indicator
DE10247759A1 (de) * 2002-10-14 2004-04-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Zuführung von Feuchtigkeit in den Innenraum eines Wäschetrockners
DE10260151A1 (de) *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Geruchsentfernung aus Textilien
KR100500887B1 (ko) * 2003-08-13 2005-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그 방법
WO2005032735A2 (en) * 2003-09-29 2005-04-14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Ltd. Floor cleaning device
US8438755B2 (en) * 2005-05-31 2013-05-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US20060272120A1 (en) * 2005-06-01 2006-12-07 Kenneth Barrick Extraction cleaner
KR100640811B1 (ko) 2005-08-19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40788B1 (ko) 2005-11-10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EP2317003B1 (en) * 2006-06-01 2012-08-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omestic appliance with a water reservoi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277B1 (ko) * 2008-12-15 2014-10-2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부레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1521930B1 (ko) * 2008-12-23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540664B1 (ko) * 2008-12-24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981968B1 (ko) * 2018-12-07 2019-05-24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원단 스팀기
KR20220152795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KR20230064447A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워터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7003110B4 (de) 2015-04-02
KR101342367B1 (ko) 2013-12-16
WO2008075849A2 (en) 2008-06-26
CN101568680B (zh) 2012-07-25
US20100095716A1 (en) 2010-04-22
CN101568680A (zh) 2009-10-28
DE112007003110T5 (de) 2009-11-19
WO2008075849A3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367B1 (ko) 스팀건조기
KR101253179B1 (ko) 건조기
KR10125318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3180B1 (ko) 스팀건조기
KR101328920B1 (ko) 건조기
KR100833865B1 (ko) 스팀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8532B1 (ko) 건조기
KR20080055394A (ko) 스팀 건조기
EP2039824A2 (en) Laundry machine
KR20080058590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AU2007240254A1 (en) Laundry machine
KR20080054916A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07869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80056431A (ko) 스팀건조기
KR101387474B1 (ko) 스팀 건조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1008653B1 (ko) 건조기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100983279B1 (ko) 건조기
KR101265610B1 (ko) 건조기
KR101342364B1 (ko) 스팀건조기
KR10144361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스팀발생장치
KR100833864B1 (ko) 스팀건조기
KR20080058539A (ko) 스팀 건조기
KR101208533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