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080A - 힌지기구 - Google Patents

힌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080A
KR20080056080A KR1020070088413A KR20070088413A KR20080056080A KR 20080056080 A KR20080056080 A KR 20080056080A KR 1020070088413 A KR1020070088413 A KR 1020070088413A KR 20070088413 A KR20070088413 A KR 20070088413A KR 20080056080 A KR20080056080 A KR 20080056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rotrusion
slit
elastic memb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와사키 군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와사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102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888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와사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와사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08005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F16C11/0609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made from two or mor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42Special features of the plug or cover on the blind end of the soc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적, 원활한 회동기능을 갖는 힌지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돌조(5b1)를 갖는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회동부재(5)와, 이 회동부재(5)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어 있어 외주벽에 돌조(5b1)와 계합가능한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릿(8c)을 갖는 원통상 탄력성부재(8)를 구비하고, 돌조(5b1)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내벽면과의 압접접동, 및 돌조(5b1)와 슬릿(8c)과의 계합 및 이탈에 의해, 회동부재(5)와 원통상 탄력성부재(8)와의 회전 규제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Figure P1020070088413
힌지기구, 액정 텔레비젼, 노트북 컴퓨터

Description

힌지기구{HINGE MECHANISM}
본 발명은, 액정 텔레비젼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기체(基體)와 디스플레이와의 연결이나, 그 외의 OA 기기 등에 있어서 본체에 대하여 덮개를 소정의 개방각도 위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목적으로 잘맞게 사용할 수 있는 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힌지기구는, 기기(機器)의 기구(機構) 요소의 하나로서 예전부터 사용되어, 각종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기본구조는, 어느 것이나 독립된 힌지축을 설치하여, 여기에 한 쌍의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부재(기판과 덮개판)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힌지기구는, 용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가 원활하게 회동하는 타입의 것과, 하기의 특허문헌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함부로는 회동하지 않지만 소정치 이상의 회동력을 가하면 회동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 2003-262214호 공보
상기 타입의 힌지기구로는, 힌지축에 한 쌍의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할 때에, 그 한 쌍의 부재간에 복수의 평와셔나 스프링와셔 등을 개재시켜, 상기 한 쌍의 부재간에 소정 크기의 회동 마찰저항이 생길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힌지축을 특정 형상으로 가공하여 탄력성 수단과의 협동작용으로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평와셔나 스프링와셔 등을 개재시켜 상기 한 쌍의 부재간에 소정 크기의 회동 마찰저항이 생기도록 조정하고, 평와셔가 회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조정에는 상당한 시간과, 숙련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가 간편하고, 회동, 정지조작을 안정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나아가,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저가로 제작할 수 있는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힌지기구는,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돌조(突條)를 갖는 원주상(圓柱狀) 또는 원통상(圓筒狀)의 부재와,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감합(嵌合)되어 외주벽에 상기 돌조와 계합(係合) 가능한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갖는 원통상 탄력성부재(바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조와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내벽면과의 탄압접동(彈壓摺動), 및 상기 돌조와 상기 슬릿과의 계합 및 이탈에 의해,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부재와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와의 회전규제가 이루어지도 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에 상기 슬릿을 따라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조와 상기 슬릿과의 계합시에 상기 돌기가 상기 절곡부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에 상기 슬릿을 따라 단부(段部)를 갖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조와 상기 슬릿과의 계합시에 상기 돌조의 정수리부(頂部)를 상기 굴곡부에 당접시켜 크릭계합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돌조 및 상기 슬릿의 단연(端緣)는, 원호면(圓弧面)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에 감장(嵌裝)되어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원주상 및 원통상 부재에 압접력(壓接力)을 가할 수 있는 토크조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 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외주면에, 윤활제를 저류(貯留)하기 위한 홈(溝)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힌지기구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단면이 요상(凹狀)인 절제부(切除部)를 갖는 원주상 또는 원통상 부재와,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어 외주벽에 상기 절제부에 계탈(係脫) 가능한 설상부(舌狀部)를 형성한 원통상 탄력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제부와 상기 설상부와의 계합 및 이탈에 의해,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부재와 상 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와의 회전규제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상부의 단연(端緣)은 원호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제부가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홈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상 부재는 축교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특히, 액정 텔레비젼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고정기체와 디스플레이부와의 연결이나, 그 외 OA 기기 등에 적용한 경우, 본체에 대한 뚜껑, 커버 등을 장기간에 걸쳐 적당한 힘으로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쾌적한 크릭스톱감(感)을 갖고 소망 위치에 안정하게 보지(保持)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힌지구조를 구비한 힌지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구비한 기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힌지기구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힌지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탄력성부재(크릭ㆍ스프링)의 정면도, 도 3(c)는 탄력성부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힌지기구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힌지기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OA 기기를 보지하는 고정기판, 2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회동체이다. 3은 상기 고정기판(1)에 대하여 회동체(2)를 회동가능하게 취부하기 위한 힌지기구이다. 4는 아암부재로 되는 회동부이고, 취부판(4a)과, 취부공(4b)과, 리브(4c)와, 취부면(4d)과, 취부공(4e 및 4f)을 갖고 있다. 이 취부판(4a)과 회동체(2)는, 취부공(4b)을 통하여 나사 등으로 일체로 연결시킨다. 5는 직경이 다른 4단의 원통부(5a, 5b, 5c 및 5d)와 원통부(5b)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조(5b1)가 형성된 원통상의 회동부재이고, 원통부(5c)에 끼워넣어진 와셔(6)를 개재하여, 후술의 취부판(7)의 취부면에 취부될 수 있다. 7은 상기 고정기판(1)의 취부판이고, 취부공(7a, 7b 및 7c)을 갖고, 취부공(7a)을 통하여 나사 등으로 고정기판(1)과 일체로 연결시킨다.
또한, 8은 소입(燒入)된 SK강(鋼)과 같은 용수철재로 형성된 원통상의 탄력성부재이고, 원통상부분(8a)과,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8b)과, 이 슬릿(8b)과 평행으로 형성된 절곡부(8a1)와, 원통상부분(8a)에서 일어세워진 절곡부(8c)와, 절곡부(8c)의 선단부분을 슬릿(8b)과 평행이 되도록 또 절곡하여 취부공(7b)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계합부(8c1)를 갖고 있다. 9는 파형(波型) 스프링와셔, 10은 누름(抑)와셔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동부재(5)는, 쾌삭강(快削鋼)(SPCC)판을 축교가공(軸絞加工)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직경(徑)이 다른 4단의 원통부(5a, 5b, 5c 및 5d)는 1공정으로 형성된다. 이들 원통부(5a, 5b, 5c 및 5d)의 직경은, 예를들면, 각각, 3.5mm, 3.9mm, 4.5mm 및 5.5mm이고, 또한, 그 길이는, 각각 1mm, 5mm, 2mm 및 2mm 정도이다. 또한, 돌조(5b1)의 길이는 5mm 정도이고, 그 두께는, 약 0.6mm이다. 또한, 돌조(5b1)의 양측 단연은, 고정부재(8)의 절곡부(8a1) 및 슬릿(8b)과의 계합 및 이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면취(面取)시켜 원호상(圓弧狀)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함께, 그 측벽은 매끈한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축교가공에 의하면, 절삭이나 연삭가공 등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여, 원호상을 이루는 면취면(面取面)이나 상기 경사면을, 보다 저가인 것에 관계없이, 매우 원활한 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원통상 탄력성부재(8)는, 소입된 SK재(材)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되는 두께 0.8mm 정도의 판부재를, 바람직하게는, 프레스가공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내경은, 회동부재(5)의 돌조(5b1)를 포함하는 원통부분(5b)이 꼭 끼게 감합할 수 있도록 선정되어 있다. 또한, 슬릿(8b)과 단상(段狀)의 굴곡부(8a1)는, 회동부재(5)의 돌조(5b1)와 계합 및 이탈하는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그 두께는 0.8~1.0mm 정도이고, 굴곡부(8a1)의 높이는 0.2~0.6mm 정도이다. 또한, 취부판(7)의 두께는 1mm 정도이다. 또한, 절곡부(8a1)와 슬릿(8b)의 단연은, 돌조(5b1)의 계합 및 이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면취시켜 원호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어, 상기 힌지장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레스기계 등을 이용하고, 소정의 사이즈와 형상과 취부공을 갖는 회동부(4)와, 회동부재(5)와, 취부 판(7)과, 원통상 탄력성부재(8)를 제조하고, 또한 와셔(6), 파형 스프링와셔(9), 누름와셔(10), 좌금 등의 부품을 준비한다. 그리고나서, 우선, 회동부(4)의 취부면(4d)에 개방된 도시되지 않은 취부공에 회동부재(5)를 삽입하고, 원통부(5d)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취부환(取付環)과 회동부(4)의 취부면(4d)을 당접시켜, 비스를 이용하여 양자를 나사로 고정하거나, 가시메고정하거나, 또는 용접 등의 적의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회동부재(5)를 회동부(4)와 일체로 고정한다.
이어, 상기 회동부재(5)를, 상기 원통부(5d)에 와셔(6)를 끼워넣은 상태로, 취부판(7)의 취부공(7c)에 삽입하여, 원통부(5c)를 취부공(7c)에 감착(嵌着)시킨다. 이어, 회동부재(5)의 원통부(5b)에 형성되어 있는 돌조(5b1)에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슬릿(8b)을 끼우고, 동시에 그 계합부(8c1)를 취부판(7)의 취부공(7b)에 꽂아, 원통부(5b)를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내부에 끼워넣는다. 그리고나서, 원통상 탄력성부재(8)로부터 돌출된 회동부재(5)의 원통부분(5a)에 파형 스프링와셔(9)와 누름와셔(10)를 끼우고, 회동부재(5)의 선단연을 누름와셔(10)에 예를들면 가시메 붙임에 의해, 회동부재(5)의 원통상 탄력성부재(8)로부터의 탈출을 방지한다. 또한, 누름와셔(10)와 회동부재(5)의 선단연과의 고정은, 비스고정,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는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체(2)를 회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리브(4c)와 회동부재(5)가 일체적으로 회동하고, 회동부재(5)의 돌조(5b1)는,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내벽면에 압접(壓接)되어 회 동한다. 그리고, 회동부재(5)는, 돌조(5b1)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계합부(절곡부(8a1)와 슬릿(8b1))에 계합할때까지 원활하게 회동하고, 돌조(5b1)와 슬릿(8b)이 감합된 위치에 회동부재(5)를 포함하는 회동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이 경우, 조작자는, 돌조(5b1)의 정수리부와 절곡부(8a1)의 내벽면이 당접함으로써 크릭스톱감을 얻을 수 있다. 이 계합위치에서, 또한, 소정 이상의 회동력을 회동부재(5)에 더하면, 돌조(5b1)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슬릿(8b)으로부터 탈출하고, 그 후는 소정의 회동력을 가함으로써, 회동부재(5)는, 돌조(5b1)가 슬릿(8b)에 다시 계합할 때까지는, 돌조(5b1)와 원통형 탄력성부재(8)의 내벽면과의 마찰력의 근원에서 원활 또한 안정적으로 회동가능하다.
실시예 2
도 4 및 도 5는 실시예 2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는, 토크조정부재(11)가 부가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따라서, 도 4 및 5에 있어서, 실시예 1과 실질상 동일한 부재 및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이용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힌지기구에서는, 회전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외주부를 덮도록 형성된 토크조정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토크조정부재(11)는, 예를 들면, 용수철재로 형성되는 중공원통부(11a)와, 회동부재(5)를 통하는 관통공(11c)을 갖는 단부(端部)(11d)와, 중공 원통부(11a)에 그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1b)을 갖고 있다. 이 토크조정부재(11)의 중공원통부(11a)에 원통상 탄력성부재(8)를 끼워넣고, 중공 원 통부(11a)의 내벽면과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내주면이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누름와셔(10)를 회동부재(5)의 단부에 가시메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통상 탄력성부재(8)에 부가적인 압접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공원통부(11a)의 재질, 치수 등을 적의 선택 설정함으로써, 회전 토크의 크기를 미리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체(2)를 회전시키면,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내벽면과 회동부재(5)의 돌조(5b1)가 보다 강하게 압접하면서, 돌조(5b1)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슬릿(8b)에 계합할 때까지 회동하기 때문에, 실시예 1의 경우와는 다른 적당한 정도(適度)의 중량감을 주면서 회동체를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돌조(5b1)와 슬릿(8b)이, 일단 계합하면, 그 크릭스톱 계합에 의해 회동체(2)를 안정적 또한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 보지할 수 있다. 또한, 돌조(5b1)와 슬릿(8b)이 계합상태에서 이탈한 상태에서는, 회동부재(5)는, 적당한 정도의 마찰력 하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회동부재(5)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상대 회동이 원활하게 되고, 회동체를 소망의 위치로 안정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힌지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기구의 회동조작에 있어서의 원활성, 안정성의 확보,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회동부재(5)의 원통면(5b)의 외주면에 돌조(5b1)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지만, 이 돌조(5b1)는 복수개 설치되어도 좋다. 도 6에는, 이 돌조를 3개 설치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에서는, 절곡부(8a1)가 돌조(5b1)의 우측의 측벽을 따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절곡부를 돌조의 좌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도 6(a)는, 돌조의 하나(5b1)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계합부(절곡부(8a1)와 슬릿(8b))에 계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3개의 돌조 중, 어느 돌조도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계합부에 계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3개의 돌조(5b1, 5b2, 5b3)의 측벽은, 돌조와 계합부와의 계합 및 이탈이 원활하게 되도록, 매끈매끈하고 적당한 정도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돌조를 원통부(5b)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회동체를 회동시켰을때, 3개의 돌조(5b1, 5b2, 5b3)의 어느 것을 고정부재(8)의 계합부와 계합시키거나, 또한, 이탈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3개의 위치에 있어서, 회동체를 안정적으로 보지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계합이 이루어질 때에는, 돌조(5b1, 5b2, 5b3)의 정수리부와 단상의 절곡부(8a1)의 내벽면이 당접함으로써 크릭감(感)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계합부가 절곡부(8a1)와 슬릿(8b)을 갖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계합부에는 절곡부(8a1)를 형성하지 않고 슬릿(8b)만을 설계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7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계합부를 슬릿(8b)만으로 구성하고, 돌조를 3개 설치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돌조의 하나(5b1)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슬 릿(8b)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는, 3개의 돌조 중, 어느 돌조도 고정부재(8)의 슬릿(8b)에 계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회동부재(5)가 3개의 돌조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회동부재(5)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4개 이상의 돌상부(突狀部)를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동부재(5)의 돌조(5b1)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계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원통부(5b)에 형성된 돌조(5b1)를 하나만 설치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하나의 돌조(5b1)가 통상 탄력성부재(8)의 슬릿(8b)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는, 이 돌조(5b1)를 갖는 원통부(5b)와 슬릿(8b)을 갖는 원통상부분(8a)의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들 도에 있어서는, 원통상부분(8a)의 좌측 단부와 원통부(5b)의 돌조(5b1)의 좌측의 측벽(5b11)은 동일한 것 같은 각도의 경사면을 갖고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이와 같은 경사면을 돌조(5b1)의 우측의 측벽에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의 예에서는, 돌조(5b1)의 좌측면과 원통상부분(8a)의 계합부 단면(8a11)은, 매끈매끈하고 동일한 것과 같은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조(5b1)의 다른 방향의 측벽면(5b12)은, 원통상부분(8a)의 직경 방향과 거의 평행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8(a)의 계합상태에서, 원통부(5b)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가했을 때는, 슬릿(8b)으로부터의 돌조(5b1)의 이탈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원통부(5b)에 시계방향으로 통상의 회동력을 가한 경우에는, 측벽면(5b12)과 이에 대면하는 원통상부분(8a)의 측벽면(8a12)과 대면상태로 접하기 때문에, 회동체 즉 원통부(5b)는 이 이상 회동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회동체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보지시킴과 동시에, 소정의 회동위치로부터 또한, 특정의 방향으로는 회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원통부(5b)가 하나의 돌조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조의 수는 2 이상으로 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도 9(a)는 돌조(5b1)와 절곡부(8e)가 계합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9(b)는 돌조(5b1)와 절곡부(8e) 각각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들 도에서는, 절곡부(8e)는 돌조(5b1)의 좌측의 측벽에 따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절곡부(8e)를 돌조(5b1)의 우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도 9(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곡부(8e)의 내벽면(8e1)은, 이 부분에 접하는 돌조(5b1)의 측벽면(5b11)의 형상에 따라 적당한 정도의 경사를 갖는 매끈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회동부재(5)를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동력을 가하여 회동시킬때, 도 9(a)의 계합상태로부터 돌조(5b1)는 이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조(5b1)의 타측 측벽면(5b2)(도에서 우측의 측벽면)을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직경방향과 거의 평행인 각도, 즉, 회동부재(5) 및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외주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도 9(a)의 계합상태에서, 회동부(5)에 시계방향으로 통상의 회동력을 가하여도, 상기 측벽면(5b12)과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단면(8e2)이 미끄러지지 않을 듯한 각도이고, 속박력(束縛力)의 근원에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체는 이 이상, 회동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회동체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 회동위치로부터 또한, 특정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절곡부(8e)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이 될 때에 돌조(5b1)의 정수리면(頂面)과 당접하도록 단상으로 절곡된 절곡부(8f)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도 10(a)는, 돌조(5b1)와 단상의 절곡부(8f)가 계합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돌조(5b1)를 갖는 회동부재(5b)와 단상의 절곡부(8f)를 갖는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들의 도면에 서, 단상의 절곡부(8f)가 돌조(5b1)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돌조(5b1)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상 탄력성부재(8)를 구성하는 원통부(8a)의 단부를 계단상으로 절곡하여 단상의 절곡부(8f)를 형성하고, 돌조(5b1)의 좌측의 측벽면(5b11)을 매끈하게 하고, 적당한 정도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또한 돌조(5b1)의 타측 측벽면(5b12)(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측벽면)을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직경 방향, 즉, 회동부재(5) 및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외주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조(5b1)가 절곡부(8f)에 계합할때, 돌조(5b1)의 정수리면(5b13)이 절곡부(8f)의 내벽면(8f3)에 탄발력(彈撥力)의 근원에서 당접하기 때문에, 크릭스톱감을 얻을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체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보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 회동위치로부터 또한, 특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원주상 또는 원통상 부재의 외주면 또는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내주면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고, 조립시에 상기 홈에 윤활제를 충전(充塡)하여 두면, 장기간에 걸쳐 원활한 회동운동을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11 내지 도 13은 실시예 3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사실상, 회동부재(5)와 원통상 탄력성부재(8)의 구조가 상기 실시예와 다른 것뿐이기 때문에, 도 11 내지 도 13에서, 상술된 실시예와 실질상 동일한 부재 및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회동부(4)에 고착된 회동부재(12)는, 외주면의 일부를 대향하는 평행면을 이루도록 절제(切除)하여 되는 차양부(鍔部)(12a)와, 외주면부(12b)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요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절제부(12b1 및 12b2)와, 원통부(12c)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상 탄력성부재(13)는, 회동부재(12)의 외주면부(12b)에 회동가능하게 감합하는 원통부(13a)와, 슬릿(13b)과, 슬릿(13b)에 인접하여 원통부(13a)에 형성된 설상부(13a1)와, 한 쌍의 취부공(13c)을 갖고 있다. 또한, 설상부(13a1)는, 도 13에 명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13a)의 내주면 보다도 한단계 내측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단연이 원호면을 이 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체로서 회동부재(12)의 절제부(12b1) 내에 감입할 수 있는 윤곽(輪郭)을 갖고 있다.
이어, 실시예 3에 의한 힌지 장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회동부재(12)를, 그 원통부(12c)에 와셔(6)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취부판(7)의 취부공(7c)에 삽입하고, 외주면부(12b)를 취부공(7c)에 감합시킨다. 이어, 회동부재(12)의 절제부(12b1)를, 취부판(7)의 위치결정핀(7d)에 원통상 탄력성부재(13)의 취부공(13c)을 감착시킴으로써 위치결정된 원통상 탄력성부재(13)의 설상부(13a)에, 끼워넣는다. 절제부(12b1)와 설상부(13a1)와의 계합위치는, 도 1에 도시된 OA 기기 등에서 액정디스플레이를 사용상태에 보지시키는 위치가 되도록 미리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절제부(12b1 및 12b2) 내에는, 적당한 량의 그리스와 같은 윤활제가 미리 충전된다. 그리고나서, 원통상 탄력성부재(13)로부터 돌출된 회동부재(12)의 외주면부(12b)에, 파형 스프링와셔(9)와, 감합부(14a)를 원통상 탄력성부재(13)에 감착하여 위치결정된 누름와셔(14)를 끼워넣고, 최후로, 차양부(12a)에 누름와셔(10)를 끼우고, 예를들면 이를 가시메붙임에 의해, 회동부재(12)의 원통상 탄력성부재(13)로부터 탈출을 방지한다. 또한, 누름와셔(10)와 차양부(12a)와의 고정은, 비스로 고정시키거나,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실시예 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부(4) 즉 회동부재(12)를, 취부판(7) 즉 기판(1)(도 1)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부재(12)의 외주면부(12b)는, 원통상 탄력성부재(13)의 설상부(13a1)를 바깥쪽(外方)으로 밀어올리면서 통과하고, 그 내주면상을 소정 위치까지 접동하고, 회동 체(2)를 닫는 위치로 회동시켜 정지한다. 따라서, 상기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은 초기에는 소정의 크기의 회동력을 요하지만, 이후는 정지위치까지 비교적 약한 힘으로 회동하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이 정지위치로부터 역으로 회동부(4) 즉 회동부재(1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회동체(12)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비교적 약한 힘으로 회동하고, 최후에 비교적 큰 회동력을 필요로 한 직후, 회동부재(12)의 절제부(12b1)가 원통상 탄력성부재(13)의 설상부(13a)과 계합함으로써 정지하고, 이 정지위치에 회동체(2)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한 것과 같이, 회동부재(12)를 축교가공으로 형성하면, 단연을 포함하는 면전체가 매우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회동체(2)의 개폐에 특히 맞는(好適) 크릭스톱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절제부(12b1 및 12b2) 내에 충전된 윤활제가 회동부재(12)와 원통상 탄력성부재(13)와의 접동면 전체에 균일하게 널리퍼지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회동운동을 항상 원활 또한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서, 절제부(12b1)와 동일한 형상의 절제부를 복수개 배치하면, 상기 크릭스톱감을 복수 배치에서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체(2)를 복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절제부(12b1 및 12b2)를 윤활제 저류홈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의 회동면에서 외부로 윤활제가 누출하는 것과 같은 것이 없고, OA 기기 등에 호적한 힌지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각종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회동체의 크기, 중량 등에 따라, 원통상 탄력성부재 및 회동부재 등의 형상, 치수, 및 재질 등은, 필요로 하는 회전력 등을 고려하여, 적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회동부재를 원통체로 구성하고 있지만, 원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힌지기구는, 액정 텔레비젼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기대(基臺)와 디스플레이와의 연결이나, 그 외 OA 기기 등에서 본체에 대하여 뚜껑을 임의의 개방각도 위치로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기구를 갖춘 힌지장치의 사시도로, (a)는 요부확대도, (b)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 장치를 구비한 기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힌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힌지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로, (a)는 전체도, (b)는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정면도, (c)는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힌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힌지기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힌지기구에 이용되는 3개의 돌조를 갖는 회동부재와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a)는 돌조의 하나가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계합부에 계합되어 있는 상태를, (b)는 어느 돌조도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계합부에 계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힌지기구에 이용되는 3개의 돌조를 갖는 회동부재와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a)는 돌조의 하나가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계합부에 계합되어 있는 상태를, (b)는 어느 돌조도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계합부에 계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힌지기구에 이용되는 하나의 돌조를 갖는 회동부재와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 (a)는 단면도, (b)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힌지기구에 이용되는 하나의 돌조를 갖는 회동부재와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 (a)는 단면도, (b)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힌지기구에 이용되는 하나의 돌조를 갖는 회동부재와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로, (a)는 단면도, (b)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힌지기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이용되는 회동부재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 이용되는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고정기판 2 : 회동체
3 : 힌지기구 4 : 회동부
4a : 회동체의 취부판 4b, 4e, 4f : 취부공
4c : 리브 4d: 회동부재 취부면
5, 12 : 회동부재 5a, 5b, 5c, 5d: 회동부재의 원통부
5b1, 5b2, 5b3: 돌조 6: 와셔
6a: 관통공 7 : 고정기판과의 취부판
7a, 13c : 취부공 7b: 고정부재의 돌기부의 삽입공
7c: 관통공 7d: 위치결정핀
8, 12 : 원통상 탄력성부재 8a, 12c, 13a: 원통부
8a1: 단상의 절곡부 8b, 13b : 슬릿
8c, 8e, 8f: 절곡부 8c1: 계합부
9: 파형 스프링와셔 10: 누름와셔
11: 토크조정부재 11a: 중공원통부
11b: 슬릿 11c: 관통공
11d: 단부 12a : 차양부
12b : 외주면부 12b1, 12b2 :삭제부
13a1 : 설상부 14a : 감합부

Claims (11)

  1.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돌조를 갖는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부재와,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어 외주벽에 상기 돌조와 계합가능한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갖는 원통상 탄력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돌조와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내벽면과의 압접접동, 및 상기 돌조와 상기 슬릿과의 계합 및 이탈에 의해,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부재와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와의 회전규제가 행해지도록 하는 힌지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에 상기 슬릿을 따라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조와 상기 슬릿과의 계합시에 상기 돌조가 상기 절곡부에 당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에 상기 슬릿을 따라 단부를 갖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조와 상기 슬릿과의 계합시에 상기 돌조의 정수리부를 상기 절곡부에 당접시켜 크릭계합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의 단연부는 원호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단연부는 원호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에 감장되어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의 부재에 압접력을 더할 수 있는 토크조정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 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의 내주면에,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8.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단면이 요상인 절제부를 갖는 원주상 또는 원통상 부재와,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어 외주벽에 상기 절제부에 계탈가능한 설상부를 형성한 원통상 탄력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제부와 상기 설상부와의 계합 및 이탈에 의해, 상기 원주상 또는 원통상 부재와 상기 원통상 탄력성부재와의 회전규제가 행해지도록 하는 힌지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상부의 단연은 호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절제부가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홈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부재는 축교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기구.
KR1020070088413A 2006-12-15 2007-08-31 힌지기구 KR20080056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8733 2006-12-15
JPJP-P-2006-00338733 2006-12-15
JP2007152925 2007-06-08
JPJP-P-2007-00152925 2007-06-08
JP2007210268A JP4358880B2 (ja) 2006-12-15 2007-08-10 ヒンジ機構
JPJP-P-2007-00210268 2007-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080A true KR20080056080A (ko) 2008-06-20

Family

ID=3980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413A KR20080056080A (ko) 2006-12-15 2007-08-31 힌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60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4162A1 (en) * 2009-07-28 2011-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KR101368142B1 (ko) * 2011-02-15 2014-02-27 유안 뎅 메탈즈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 응력흡수 기능을 갖춘 회전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4162A1 (en) * 2009-07-28 2011-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GB2484433A (en) * 2009-07-28 2012-04-1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Hinge
KR101368142B1 (ko) * 2011-02-15 2014-02-27 유안 뎅 메탈즈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 응력흡수 기능을 갖춘 회전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8880B2 (ja) ヒンジ機構
US20060272128A1 (en) Friction hinge with angularly dependent torque
US7100240B2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JP3270334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ヒンジ構造
US6220759B1 (en) Positioning pivot
EP1382786B1 (en) Hinge
JP3131417B2 (ja) ブラケットに対するテンプルの回動機構及びその眼鏡
JP2004204983A (ja) ヒンジ装置
EP1524394A2 (en) Hinge assembly and housing
AU1544199A (en) Hinge construction with a snap-open, snap-shut feel, for a folding mobile phone handset
JP2008133680A (ja) フリーストップヒンジ
JP3834821B2 (ja) 液晶テレビ用スタンド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20080307605A1 (en) Hinge Assembly
KR20080056080A (ko) 힌지기구
US6122801A (en) Hinge mechanism
JP2004239058A (ja) ドアヒンジ、取外し可能ドアチェ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車両ドアヒンジに配置する方法
EP3643862A1 (en) Hinge device
JP3068688U (ja) 枢軸装置
JP4829656B2 (ja) 回転ダンパー
JPH0537165Y2 (ko)
JP2004278659A (ja) ヒンジ構造体
KR200158840Y1 (ko) 에치엠디의 스피커 회동위치 조절장치
JPH078642U (ja) 開閉機構における潤滑構造
KR200259595Y1 (ko) 힌지장치
KR100482489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