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969A -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969A
KR20080055969A KR1020087010365A KR20087010365A KR20080055969A KR 20080055969 A KR20080055969 A KR 20080055969A KR 1020087010365 A KR1020087010365 A KR 1020087010365A KR 20087010365 A KR20087010365 A KR 20087010365A KR 20080055969 A KR20080055969 A KR 20080055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isplay panel
pane
thermal expan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 쵸즈
히로노리 타카세
신지 오히가시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9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8Sealing, e.g. seals specially adapted for leading-in 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4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i.e. for use as seal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e.g. glass and metal; Glass s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3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Abstract

[과제] 판두께가 작고 사이즈가 큰 판유리를 사용한 경우에도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저융점 봉착 유리로 봉착할 때 판유리에 휨이 생기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화면화, 고세밀화, 경량화의 달성에 기여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전면 판유리와 배면판 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를 2.8mm 미만으로 하고,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2.0×10-7/℃ 이하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본 발명은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封着)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고 함)은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접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전면 판유리는 그 표면에 ITO막이나 네사(nesa)막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전극이 성막되고, 그 위에 유전체 유리가 도포된 후에 유전체층이 형성된다. 또한, 배면 판유리는 그 표면에 Al, Ag, Ni 등으로 이루어진 전극이 형성되고, 그 위에 유전체 유리와 격벽 재료가 도포된 후에 격벽(배리어 리브라고도 함)이 형성된다. 그 후,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대향시켜서 전극 등의 얼라이먼트를 행하고 나서, 저융점 봉착 유리를 사용하여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기밀 봉착시킨다.
종래, PDP용 판유리(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로는 건축용 또는 자동차용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다 석회 유리(열팽창계수 약 84×10-7/℃)가 사용되고, 이 열팽창계수에 적합하도록 유전체 유리 등 그 외의 주변 재료가 설계되어 왔 다. 그러나, 소다 석회 유리는 왜곡점이 500℃ 정도로 낮기 때문에 600℃ 부근에서 열처리를 행하면 열변형이나 열수축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소다 석회 유리로 이루어진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대향시킬 때 열변형이나 열수축에 의해 전극 등의 위치를 정밀도 좋게 맞추는 것이 어렵고, 특히 대화면에서 고세밀한 PDP를 제조하는 것이 곤란했다. 여기에서, PDP용 판유리로서 열팽창계수가 소다 석회 유리와 동등하고, 또한 왜곡점이 높은 유리가 실용화되고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판유리에 고왜곡점 유리를 사용한 경우에도 판유리와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차가 크면 유전체층의 형성을 위해서 판유리를 열처리할 때에 판유리에 응력이 가해져서 판유리가 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판유리에 휨이 생기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기밀 봉착할 때 각각의 판유리가 평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얼라이먼트를 할 수 없어 기밀 봉착이 곤란하게 됨과 아울러 판유리가 깨지거나 하는 문제가 생겨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품 수율이 저하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3에 의하면 판유리에 휨이 생겨도 휨의 양을 -1×10-2m-1≤1/R≤1×10-2m-1의 범위로 규정한 판유리를 사용하면 기밀 봉착시 판유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 수율이 향상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R은 판유리의 휨의 곡률반경이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평8-29093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평8-29093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평10-283941호 공보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 특히 PDP의 대화면화이나 고세밀화가 진행되고 있다. PDP의 화면 사이즈가 커지면, PDP의 제조공정에서 판유리에 약간의 열변형이나 열수축이 생겨도 PDP의 화면 전체로서 큰 왜곡이 되어서 나타난다. 또한, 화면 사이즈가 큰 PDP에 휨이 생기면 PDP 내부의 격벽 두부와 전면 판유리의 사이에 큰 틈이 생겨서, 각 셀 간에 오방전이 생길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화상 표시시 전면 판유리의 표시면에서 보았을 때 화상이 만곡하여 PDP의 표면 품위가 열화된다.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된 후 PDP에 휨이 생기면, 그 후에 제공되는 진공 배기, 희가스 봉입, 배기관 봉지공정에 PDP를 투입했을 경우 벨트로 등의 소성로 내에서 PDP가 용이하게 위치 어긋남 등이 발생하고, 그 결과 PDP의 제조 제품 수율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PDP에는 경량화의 요청이 있어, PDP에 사용하는 판유리의 판두께를 작게 하면 PDP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현재, PDP에 사용하고 있는 판유리는 대략 판두께가 2.8mm이지만, 그 판두께를 예를 들면 2.0mm 미만으로 하면, PDP 전체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판유리의 판두께를 작게 하면 PDP의 제조공정에서 판유리에 열변형이나 열수축이 생기기 쉬워져서, 화면 사이즈의 대형화의 경우와 같은 문제가 생기게 된다.
특허문헌 1, 2에 따르면, 570℃ 이상의 왜곡점을 갖는 고왜곡점 유리를 판유리로서 사용하면, PDP 제조공정에서 판유리의 열특성(왜곡점 등)에 기인하는 열변형 및 열수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특허문헌 3에 의하면, 판유리와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차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면 판유리에 유전체층을 형성할 때에 생기는 판유리의 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570℃ 이상의 왜곡점을 갖는 고왜곡점 유리를 사용함과 아울러 판유리에 형성하는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해도 판유리의 판두께가 작고 판유리의 사이즈가 큰 경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할 때 판유리에 큰 휨이 생겨서 PDP의 대화면화, 고세밀화, 경량화의 달성에 있어서 큰 장애가 된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판두께가 작고 사이즈가 큰 판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할 때 판유리에 휨이 생기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화면화, 고세밀화, 경량화의 달성에 기여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가지 실험을 행한 결과,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를 2.8mm 미만으로 하고,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2.0×10-7/℃ 이하로 함으로써 휨이 없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얻을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화면화, 고세밀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면 PDP는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간격(갭)은 저융점 봉착 유리의 봉착 두께에 상당하여 대단히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가 부정합이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한 후 열팽창계수가 큰 판유리측에 오목 형상의 휨이 발생하여, 이것이 원인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휨이 발생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특히, PDP의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가 2.8mm보다도 작은 경우, 즉 판유리의 판두께가 2.8mm 미만인 경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가 부정합이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한 후 열팽창계수가 큰 판유리측에 오목 형상의 휨이 발생하는 경향이 큰 것이 명확해졌다.
여기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노력한 결과, 판유리의 판두께가 2.8mm 미만인 경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2.0×10-7/℃ 이하로 규제하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한 후 열팽창계수가 큰 판유리측에 오목 형상의 휨이 발생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2.0×10-7/℃ 이하로 규제하는 방법으로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같은 생산 이력을 갖는 유리로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판유리의 재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빈도 높게 열팽창계수를 측정하여, 열팽창계수가 정합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선정하는 방법 등이 고려된다.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판유리의 제조조건(예를 들면, 플로트법으로 제조한 경우, 주석 배스 내에 유입하는 유리 융액의 정밀한 온도제어, 용융 주석의 정밀한 온도제어, 히터 출력의 정밀한 제어와 출력 변동의 방지, 배치 성분의 성분 변동의 엄밀한 관리 등)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0.5×10-7/℃ 이하로 규제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방법을 적당히 병용할 필요성이 크다.
또한, 사용하는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동일한 모(母) 유리로부터 잘라내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는 동일한 모 유리로부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잘라내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조합에 부당한 제약이 부과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성이 저하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제조일이 다른 판유리끼리의 조합이 불가피하게 되어, 판유리의 제조공정을 엄밀하게 관리하여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한편,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는 0.01×10-7/℃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0.01×10-7/℃ 미만으로 규제하면 판유리의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를 2.8mm 미만으로 하여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2.0×10-7/℃ 이하로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에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될 때 판유리에 휨이 생길 일이 없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화면화, 고세밀화, 경량화의 달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르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에 기인하는 판유리의 휨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의 왜곡, 만곡, 흐려짐 등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셀 내부가 적절히 구획된 내부구조를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발광색의 탁도(크로스 토크)가 없는 고세밀한 화질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열팽창계수차」란 30∼380℃의 온도범위에서의 평균 열팽창계수차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는 유리 조성이 상위한 실시형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P에는 판두께가 2.8mm인 판유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판유리의 판두께를 작게 하면 PDP 전체의 중량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판유리의 판두께를 작게 하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에 의한 판유리의 휨이 커지고, 그 경향은 판두께가 2.5mm 미만인 경우가 크고, 2.0mm 미만인 경우가 보다 크고, 1.5mm 미만인 경우가 더욱 크다. 판유리의 판두께가 반으로 되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에 기인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은 약 2배가 된다. 즉, 판유리의 판두께가 작아질수록 본 발명의 디스플레 이 패널이 가져오는 효과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판유리의 판두께가 2.8mm 이상이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에 차이가 있어도 저융점 봉착 유리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기밀 봉착할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어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져오는 효과가 부족해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는 2.0×10-7/℃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0-7/℃,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7/℃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4×10-7/℃ 이하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세밀하게 될수록 디스플레이의 휨이 디스플레이의 화상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다. 특히, 40인치 이상의 고세밀 PDP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0.5×10-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판유리의 판두께가 2.0mm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휨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0.5×10-7/℃ 이하로 규제하는 의의는 크다.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2.0×10-7/℃ 보다 크면 디스플레이의 휨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의 화상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커진다.
또한, 판유리의 판두께를 t(mm),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10-7/℃ ),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10-7/℃)로 하여, 판유리의 사이즈가 40인치 미만인 경우,
2.0≤t<2.8일 때, -2.0≤(α12)≤2.0
1.5≤t<2.0일 때, -1.1≤(α12)≤1.1
0.5<t<1.5일 때, -0.9≤(α12)≤0.9
로 규제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을 보다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판유리의 판두께를 t(mm),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10-7/℃),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10-7/℃)로 하여, 판유리의 사이즈가 40인치 이상 120인치 이하인 경우,
2.0≤t<2.8일 때, -1.0≤(α12)≤1.0
1.5≤t<2.0일 때, -0.5≤(α12)≤0.5
0.5<t<1.5일 때, -0.4≤(α12)≤0.4
로 규제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을 보다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 설명하면, 판유리의 판두께를 t(mm),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 10-7/℃),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10-7/℃)로 하여, 판유리의 사이즈가 40인치 이상 120인치 이하인 경우,
2.0≤t<2.8일 때, -0.5≤(α1―α2)≤0.5
1.5≤t<2.0일 때, -0.25≤(α12)≤0.25
0.5<t<1.5일 때, -0.2≤(α12)≤0.2
로 규제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을 보다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련된 판유리의 사이즈는 32인치(예를 들면, 종 450mm × 횡 800mm) 이상이 바람직하고, 37인치(예를 들면, 종 500mm × 횡 900mm) 이상, 42인치(예를 들면, 종 550mm × 횡 1000mm) 이상, 50인치(예를 들면, 종 700mm × 횡 1200mm) 이상, 58인치(예를 들면, 종 800mm × 횡 1350mm) 이상, 65인치(예를 들면, 종 850mm × 횡 1500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판유리의 사이즈가 커지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에 기인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이 커진다. 즉, 판유리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져오는 효과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판유리의 사이즈가 32인치 미만이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에 차이가 있어도 저융점 봉착 유리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기밀 봉착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에 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어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져오는 효과가 부족해 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련된 저융점 봉착 유리의 봉착 두께는 500㎛ 미만이 바람직하고, 40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250㎛ 미만이 가장 바람직하다. 저융점 봉착 유리의 봉착 두께가 작아지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고착 정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이 커진다. 즉, 저융점 봉착 유리의 봉착 두께가 작아질수록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져오는 효과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저융점 봉착 유리의 봉착 두께가 500㎛ 이상으로 되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에 열팽창계수에 차이가 있어도 저융점 봉착 유리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기밀 봉착할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어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져오는 효과가 부족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저융점」이란, 시차열분석(DTA) 장치로 측정한 연화점이 600℃ 이하인 경우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른 판유리의 왜곡점은 570℃ 이상이 바람직하고, 5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600℃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리의 왜곡점이 570℃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할 때의 열처리 공정에서 판유리의 열특성에 기인하여 판유리에 깨짐이나 휨이 생기기 쉬워짐과 아울러 열수축이나 열변형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른 판유리는 소다 석회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 바륨스트론튬 유리 등의 여러가지 유리를 사용할 수 있 지만,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 표시로 SiO2 50∼70%, Al2O3 0∼10%, MgO 0∼10%, CaO 0∼10%, SrO 0∼15%, BaO 0∼15%, ZrO2 0∼10%, B2O3 0∼5%, Na2O 0∼10%, K2O 0∼10%을 함유하고, 또한 열팽창계수가 60∼90×10-7/℃인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의 % 표시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질량%를 가리킨다.
SiO2는 유리의 네트워크 형성재(network former)이다. 적절한 함유량은 50∼70%, 특히 54∼70%이다. SiO2이 많아지면 용융성이 악화하고, 또한 적어지면 유리의 왜곡점이 저하하여 열변형이나 열수축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Al2O3는 유리의 왜곡점을 높이는 성분이다. 적절한 함유량은 0∼10%, 특히 0∼8%이다. Al2O3가 많아지면 고온 점도가 높아져서 유리의 형성이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MgO은 유리의 고온 점도를 저하시켜서 유리의 형성성이나 용융성을 높이거나, 유리의 왜곡점을 높이거나 하는 성분이다. 적절한 함유량은 0∼10%, 특히 1∼9%이다. MgO이 많아지면 유리의 실투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CaO은 MgO와 같이 유리의 고온 점도를 저하시켜서 유리의 형성성이나 용융성을 높이거나, 유리의 왜곡점을 높이거나 하는 성분이다. 적절한 함유량은 0∼10%, 특히 0∼6%이다. CaO이 많아지면 유리의 실투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SrO는 유리의 고온 점도를 저하시켜서 유리의 형성성이나 용융성을 높이거 나, 유리의 왜곡점을 높이거나 하는 성분이다. 적절한 함유량은 0∼15%, 특히 2∼13%이다. SrO이 많아지면 유리의 밀도가 높아지고, 또한 유리의 실투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BaO는 SrO와 같이 유리의 고온 점도를 저하시켜서 유리의 형성성이나 용융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적절한 함유량은 0∼15%, 특히 0∼8%이다. BaO가 많아지면 유리의 밀도가 높아지고, 또한 유리의 실투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BaO는 환경 부하 물질이기 때문에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정도로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ZrO2는 유리의 왜곡점을 높이는 성분이다. 적절한 범위는 0∼10%, 특히 0∼6%이다. ZrO2가 많아지면 유리의 밀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B2O3는 유리의 점도를 저하시켜서 용융성이나 형성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지만, 유리의 왜곡점도 현저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2O3의 함유량이 5% 보다 많아지면 PDP를 제조할 때의 열공정에서 판유리에 깨짐이나 휨이 발생하기 쉬워짐과 아울러 판유리에 열변형이나 열수축 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Na2O는 유리의 열팽창계수를 제어하거나 유리의 용융성을 높이거나 하는 성분이다. 적절한 함유량은 0∼10%, 특히 1∼7%이다. Na2O이 많아지면 유리의 왜곡점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K2O는 Na2O와 같이 유리의 열팽창계수를 제어하거나 유리의 용융성을 높이거나 하는 성분이다. 적절한 함유량은 0∼10%, 특히 2∼10%이다. K2O가 많아지면 유리의 왜곡점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판유리에는 여러가지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에 의한 착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TiO2, CeO2를 5%까지, 액상 온도를 낮추어서 성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Y2O3, La2O3, Nb2O5을 각각 3%까지,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ZnO를 5%까지, 내크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P2O5을 4%까지 첨가할 수 있다. 또한 As2O3, Sb2O3, SO3, SnO2, Cl 등의 청징제 성분을 합계량으로 1%까지, Fe2O3, CoO, NiO, Cr2O3 등의 착색제 성분을 각 1%까지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른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는 30∼380℃의 온도 범위에서 60∼90×10-7/℃가 바람직하고, 65∼85×10-7/℃가 더욱 바람직하다. 열팽창계수가 90×10-7/℃ 보다 커지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에서 유리의 열팽창계수에 기인하는 판유리의 열깨짐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열팽창계수를 60×10-7/℃ 미만으로 하면 유전체 유리나 저융점 봉착 유리 등과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에 부정합이 생겨서,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에서 판유리의 열깨짐 문제가 생기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른 판유리는 소망의 유리 조성이 되도록 조합한 유리 원료를 연속 용융로에 투입하고, 유리 원료를 가열 용융하고, 탈포한 후, 형성장치에 공급한 후에 용융 유리를 판형상으로 성형하고, 서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련된 판유리의 형성방법으로서는, 플로트법, 슬롯 다운드로우법,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 등의 여러가지 형성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플로트법으로 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플로트법의 경우 비교적 저렴하게 대형 판유리를 얻기 쉽기 때문이다.
플로트법으로 유리 기판을 형성하면 용융 주석이나 수소나 질소 등의 환원 분위기에 의해 유리가 착색하는 경우가 있다. 착색된 유리 기판을 전면 판유리로서 사용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만, 배면 판유리로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의 형식에 따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PDP의 경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표면 상에 유전체층이 형성된다. 형성되는 유전체층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값으로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를 규제함으로써, 판유리와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차에 기인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층에 무납계 유전체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판유리와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차에 기인하는 판유리의 휨이나 깨짐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판유리에 잔존하는 잔류 스트레스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면 좋지만, 판유리에 잔존하는 잔류 스트레스를 -800∼1500(psi)의 범위(바람직 하게는 -700∼1300(psi),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00(psi))로 규제하면 상기 문제는 생기기 어려워진다. 한편, 「판유리에 잔존하는 잔류 스트레스」란, 소성 후의 판유리에서 판유리와 유전체층의 계면을 스트레인 인디케이터(strain indicator)로 관찰했을 때에 관찰되는 판유리에 존재하는 잔류 스트레스를 의미한다. 한편, 잔류 스트레스가 압축 응력인 경우는 「음」의 값으로 나타내고, 인장 응력인 경우는 「양」의 값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되는 저융점 봉착 유리에는, PbO-B2O3계 유리, Bi2O3-B2O3계 유리, SnO-P2O5계 유리, V2O5-P2O5계 유리 등의 여러가지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Bi2O3-B2O3계 유리, SnO-P2O5계 유리, V2O5-P2O5계 유리는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는 유리 조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의 환경적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는」은 유리 조성 중의 PbO의 함유량이 1000ppm 이하인 경우를 가리킨다.
Bi2O3-B2O3계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 표시로 Bi2O3 30∼50%, B2O3 20∼35%, ZnO 1∼25%(바람직하게는 10∼25%), BaO 0∼15%(바람직하게는 1∼15%), BaO+SrO+MgO+CaO 0∼20%(바람직하게는 3∼15%)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조성 범위를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하면 저융점이고 열적 안정성이 양호한 유리를 얻을 수 있다.
SnO-P2O5계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 표시로 SnO 40∼70%, P2O5 20∼40%, SiO2 0∼10%, ZnO 0∼25%(바람직하게는 1∼20%), B2O3 0∼25%(바람직하게는 1∼20%)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조성 범위를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하면 저융점이고 내수성이나 열적 안정성이 양호한 유리를 얻을 수 있다.
V2O5-P2O5계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 표시로 V2O5 10∼60%, P2O5 5∼40%, Bi2O3 0∼30%(바람직하게는 1∼10%), ZnO 0∼40%, TeO2 0∼40%, RO(R은 Mg, Ca, Ba, S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35%(바람직하게는 3∼25%)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조성 범위를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하면 저융점이고 내수성이나 열적 안정성이 양호한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저융점 봉착 유리는 판유리와의 열팽창계수의 정합·저융점 봉착 유리의 기계적 강도 향상의 목적으로 내화성 필러를 적당히 첨가(예를 들면, 유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화성 필러 5∼80중량부 첨가)해서 사용한다. 저융점 봉착 유리의 열팽창계수는 판유리에 약간의 텐션 응력이 들어가는 정도로 조정된다. 또한, 내화성 필러로서 코디에라이트, 윌레마이트 및 산화 주석은 Bi2O3-B2O3계 유리, SnO-P2O5계 유리 및 V2O5-P2O5계 유리와 상성(相性)이 좋아 바람직하다.
저융점 봉착 유리의 연화점은 4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저융점 봉착 유리의 연화점이 450℃ 보다 커지면 봉착 온도를 530℃ 보다 높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할 때에 판유리의 열특성(왜곡점 등)에 기인하는 열변형, 열수축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PDP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DP는 대화면화, 고세밀화, 경량화의 요청이 강하여 판유리의 판두께를 작게 하고 판유리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PDP는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기밀 봉착을 보통 450∼520℃ 정도의 열공정에서 행하여 봉착 공정에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에 기인하는 판유리의 휨이 발생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이하, FED라고 함)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유리의 휨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간격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서 FED의 장치 내부에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사이에 인가되는 가속 전압에 편차가 생기거나, 형광체에 충돌하는 전자의 속도가 변화되거나 하여 FED의 휘도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사태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FED는 PDP과 마찬가지로 대화면화, 고세밀화, 경량화의 요청이 강하여 판유리의 판두께를 작게 하고 판유리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성이 크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FED에는 각종의 전자 방출소자를 갖는 각종 형식의 FED가 모두 포함되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구조체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가 2.8mm 미만이고,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2.0×1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구조,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체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특징을 병유할 수 있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판유리 세트는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판유리 세트로서,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로 했을 때에, -2.0×10-7/℃≤(α12)≤2.0×10-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판유리 세트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면, 얻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 이외에 같은 특징을 병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면 판유리는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전면 판유리로서,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라고 했을 때에, -2.0×10-7/℃≤(α12)≤2.0×10-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면 판유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면, 얻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 이외에 같은 특징을 병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배면 판유리는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 널을 제조하기 위한 배면 판유리로서,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로 했을 때에, -2.0×10-7/℃≤(α12)≤2.0×10-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면 판유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면, 얻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 이외에 같은 특징을 병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표 4에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우선,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열팽창계수, 왜곡점, 판두께를 갖는 전면 판유리 및 배면 판유리를 준비했다. 표 1∼4에 나타낸 전면 판유리 및 배면 판유리에는 일정한 전극, 유전체층이 형성되어 있고,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하기 전에 판유리에 깨짐, 휨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사용했다. 또한, 저융점 봉착 유리와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는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와 부정합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 그 결과 저융점 봉착 유리·유전체층과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의 부정합에 기인하는 열변형이나 열수축 등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경미한 값으로 설정했다. 또한, 상기 이외의 부재에 대해서는 통상의 PDP의 제조 부재를 사용하고, 통상의 PDP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PDP를 제조했다.
표 1, 2, 4에 사용한 판유리는 종:횡=16:9의 대각 42인치 사이즈의 것을 사 용했다. 표 3에 사용한 판유리는 종:횡=16:9의 대각 50인치 사이즈의 것을 사용했다.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는 실시예에 기재된 판유리를 시료로서 사용하고, 딜라토미터로 30∼380℃의 온도범위에서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산출했다.
판유리의 왜곡점은 ASTM C336-71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왜곡점은 그 온도가 높을수록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열공정에 의한 판유리의 열변형이나 열수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왜곡점은 저융점 유리의 봉착 온도보다 상당 정도 높기 때문에 유리의 열특성에 기인하는 유리의 변형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경미하다.
전면 판유리 및 배면 판유리의 기밀 봉착에는 Bi2O3-B2O3계 저융점 무연 봉착 유리를 사용하고, 30∼250℃에서 열팽창계수가 69×1O-7/℃이고, 마크로형 시차 열분석 장치(DTA)에 의해 측정한 연화점이 425℃인 것을 사용했다.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기밀 봉착은 배면 판유리의 외주상에 상기 저융점 봉착 유리의 페이스트를 디스펜서로 도포하고, 그 후 벨트식 소성로로 소성함으로써 행했다. 봉착 조건은 승강 온도를 2℃/분으로 하여 표 중의 봉착 온도에서 30분 유지함으로써 행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 파손은 목시에 의해 관찰했다. 판유리에 크랙이 생기지 않은 것을 「○」, 판유리에 크랙이 생긴 것을 「×」로 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량은 판유리에 판폭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판유리의 휨의 크기에 의한 레이저빔의 차광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했다. 전면 판유리의 각 네 변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폭을 측정하고, 휨폭이 가장 큰 값을 「휨량」이라고 했다. 휨량이 3.5mm 미만인 디스플레이는 화면의 왜곡, 만곡, 흐려짐 등의 영향이 적어서, 화질의 선명도가 저하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30912445-PCT00001
Figure 112008030912445-PCT00002
Figure 112008030912445-PCT00003
Figure 112008030912445-PCT00004
표 1~3의 실시예 No. 1∼15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2.0×10-7/℃ 이하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파손이 생기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량이 0.4∼3.4mm이었다. 그 결과, 표 1∼3의 실시예 No. 1∼15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의 왜곡, 만곡, 흐려짐 등의 영향이 적어서, 화상의 선명도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 4의 비교예 No.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6.0×10-7/℃ 보다 크기 때문에 기판이 파손되어 있었다. 표 4의 비교예 No. 2∼4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2.1∼4.0×10-7/℃로 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량이 3.9∼6.7mm로 큰 값이 되어 있었다. 그 결과, 표 4의 비교예 No. 2∼4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의 왜곡, 만곡, 흐려짐 등의 영향이 커서, 화상의 선명도가 손상되었다고 판단된다. 표 4의 비교예 No. 5는 판유리의 판두께가 3.5mm으로 크지만,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3.0×10-7/℃로 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량이 3.9mm이었다.
참고로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가능한 판유리의 유리 조성예를 표 5에 나타낸다. 예컨대, 전면 판유리의 유리 조성을 유리 A, 배면 판유리 유리 조성을 유리 B라고 하여 표 1의 실시예 No. 1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한 경우, 얻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량은 표 1의 실시예 No. 1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값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8030912445-PCT00005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를 2.8mm 미만으로 하고,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를 2.0×10-7/℃ 이하로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에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로 기밀 봉착될 때, 판유리에 휨이 생기는 경우가 없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화면화, 고세밀화, 경량화의 달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르면,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에 기인하는 판유리의 휨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의 왜곡, 만곡, 흐려짐 등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셀 내부가 적절히 구획된 내부구조를 확보할 수 있어, 그 결과 발광색의 탁토(크로스 토크)가 없는 고세밀한 화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PDP에 적합함과 아울러 다른 디스플레이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면 FED, 플라즈마 어드레스 액정 패널(PALC)에도 적합하다.

Claims (15)

  1.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가 2.8mm 미만이고,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2.0×1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1.0×1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0.5×1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가 2.0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사이즈가 32인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봉착 유리의 봉착 두께가 5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봉착 유리는 Bi2O3-B2O3계 저융점 봉착 유리이고, 또한 연화점이 4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왜곡점이 5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 표시로,
    SiO2 50∼70%, Al2O3 0∼10%, MgO 0∼10%, CaO 0∼10%, SrO 0∼15%, BaO 0∼15%, ZrO2 0∼10%, B2O3 0∼5%, Na2O 0∼10%, K2O 0∼10%을 함유하고, 또한 30∼380℃의 온도범위에서의 열팽창계수가 60∼90×1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가 저융점 봉착 유리를 통해 기밀 봉착된 구조체에 있어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판두께가 2.8mm 미만이고, 또한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차가 2.0×1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13.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판유리 세트로서,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라고 했을 때에, -2.0×10-7/℃≤(α12)≤2.0×10-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판유리 세트.
  14.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전면 판유리로서,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라고 했을 때에, -2.0×10-7/℃≤(α12)≤2.0×10-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판유리.
  15. 전면 판유리와 배면 판유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배면 판유리로서, 전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1, 배면 판유리의 열팽창계수를 α2라고 했을 때에 -2.0×10-7/℃≤(α12)≤2.0×10-7/℃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판유리.
KR1020087010365A 2006-03-29 2007-02-15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55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9661 2006-03-29
JP2006089661 2006-03-29
JP2007009728A JP2007294395A (ja) 2006-03-29 2007-01-19 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JP-P-2007-00009728 2007-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969A true KR20080055969A (ko) 2008-06-19

Family

ID=3854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365A KR20080055969A (ko) 2006-03-29 2007-02-15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294395A (ko)
KR (1) KR20080055969A (ko)
CN (1) CN101361155B (ko)
WO (1) WO20071110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3B1 (ko) * 2009-04-01 2011-09-15 주식회사 다이온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링 소자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링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0238B2 (ja) * 2006-03-29 2011-09-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924989B2 (ja) * 2007-12-13 2012-04-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並びに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WO2011105036A1 (ja) * 2010-02-25 2013-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010125A (zh) * 2010-07-29 2011-04-13 彩虹集团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显示器用基板玻璃及其制备方法
CN103771707A (zh) * 2013-05-06 2014-05-07 杨德宁 一种具有低热膨胀系数的平板玻璃及其制造工艺
CN104556689B (zh) * 2015-01-05 2017-03-29 武汉理工大学 一种新型高膨胀光学玻璃及其制备方法
CN105837035B (zh) * 2016-03-07 2019-05-03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用组合物和高模量玻璃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939A (ja) * 1995-04-14 1996-11-0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基板用ガラス
JP2000162977A (ja) * 1998-11-25 2000-06-16 Futaba Corp フィルターを有する陽極基板とフィルター付き基板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47986B1 (en) * 1998-12-23 2001-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precise molding and alignment of structures on a substrate using a stretchable mold
JP3412548B2 (ja) * 1999-03-16 2003-06-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554778B2 (ja) * 2000-07-18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差検定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3109521A (ja) * 2001-09-28 2003-04-11 Canon Inc 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封着方法ならびにそ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JP4313067B2 (ja) * 2002-03-29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封着部材として用いた磁気ヘッド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5194137A (ja) * 2004-01-07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基板
JP2006066332A (ja) * 2004-08-30 2006-03-09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3B1 (ko) * 2009-04-01 2011-09-15 주식회사 다이온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링 소자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링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1155A (zh) 2009-02-04
JP2007294395A (ja) 2007-11-08
CN101361155B (zh) 2010-06-16
WO2007111054A1 (ja)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3052B1 (en) Glass for a substrate
US8377834B2 (en) Glass composition for substrate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6500778B1 (en) Glass substrate for a display
KR20080055969A (ko)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0990B1 (ko) 기판용 고 변형점 유리 조성물
EP0782552B1 (en) Substrate glasses for plasma displays
JP5013304B2 (ja)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
JP4692915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用前面ガラス基板。
JP4962898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
US20060068209A1 (en) Glass plate for display substrate
JP2005089286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用ガラス基板
JP2006188406A (ja) 平板ディスプレイ用真空外囲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平板ディスプレイ
JP4947486B2 (ja) 平面画像表示装置用ガラ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基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830571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ガラス基板
US20210380465A1 (en) Alkali-free glass plate
KR100238117B1 (ko) 프라즈마 영상표시판넬용 기판유리조성물
JP4780238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600061B2 (ja) ガラススペーサ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
KR19990044439A (ko) 기판용 유리와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31727B1 (ko) 프라즈마영상표시판넬용기판유리조성물
KR100394094B1 (ko) 프라즈마 영상 표시판넬용 기판유리조성물
KR100437139B1 (ko) 프라즈마영상표시판넬용기판유리조성물
JPWO2007099974A1 (ja) 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用外囲器
KR19980036419A (ko) 영상표시판넬용 기판유리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06

Effective date: 201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