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247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247A
KR20080053247A KR1020077008157A KR20077008157A KR20080053247A KR 20080053247 A KR20080053247 A KR 20080053247A KR 1020077008157 A KR1020077008157 A KR 1020077008157A KR 20077008157 A KR20077008157 A KR 20077008157A KR 20080053247 A KR20080053247 A KR 20080053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valuation value
edge
acquired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43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by performing operations within image blocks; by using histograms, e.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oG]; by summing image-intensity values; Projection analysis
    • G06V10/507Summing image-intensity values; Histogram project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8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 G06V10/993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1Blood vessel; Artery; Vein; Vascula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3Recognition of patterns in medical or anatomical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metry (AREA)
  • Image Analy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화상(畵像)에 소정의 피사체(被寫體)의 상(像)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적절(適切)히 판정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판정 방법과, 해당(當該) 화상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촬상(撮像; captured) 화상의 에지가 강조되고, 이 에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値)에 의거해서,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强度) 및/또는 양(量)에 관한 평가값(評價値) Ev가 취득된다. 이 취득된 평가값 Ev에 의거해서, 촬상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촬상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적확(的確; accurately; 정확하게, 정밀도 좋게)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평가값 Ev에 따라서, 그 피사체 FG의 상이 소정의 용도(用途)(예를 들면, 생체 인증(生體認證)의 템플레이트(template)용(用) 화상)에 적합(相應; suitable; 적당함, 어울림)한 것인지도 판정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JUDGMENT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화상(畵像)에 소정의 피사체(被寫體)의 상(像)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와 그 화상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생체 인증용(生體認證用)으로 촬상(撮像; capture)된 화상에 생체의 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통신의 진전에 따라서(수반해서), 보다 안전성이 높은 개인 인증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바이오메트릭스 인증(생체 인증)은, 인물(人物)의 신체적인 특징, 예를 들면 지문(指紋), 성문(聲紋), 망막(網膜), 수지(手指; 손가락)의 정맥(靜脈) 패턴 등에서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해서, 그 인물이 등록자 본인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다른(別) 인물이 본인 행세(falseness)를 하는(본인인 체하는, 본인으로 위장하는) 것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본 특개(特開) 제2004-329825호 공보에는, 근적외광(近赤外光)을 조사(照射)해서 수지의 혈관 패턴을 촬상하고, 이것을 미리 등록된 혈관의 패턴과 대조비교(照合; compare, collate, check)하는 것에 의해 개인을 인증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생체의 화상에 의거해서 개인의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본인의 생체 화상을 촬상하고, 그곳으로부터 개인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抽出)하고, 이것을 인증 정보로서 그에 적당한 장치에 등록할 필요가 있다. 인증용으로 취득하는 생체의 정보를, 이하에서는 「템플레이트(template)」라고 부르기로 한다.
개인의 인증은 이 템플레이트에 의거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템플레이트용 화상에 등록자(登錄者)의 신체적인 특징, 예를 들면 혈관 패턴을 나타내는 적절(適切)한 상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인증의 신뢰성(信賴性)이 현저(著)하게 저하한다. 예를 들면, 손가락(指)의 혈관 패턴의 화상을 템플레이트로서 등록할 때에, 잘못해서 손가락 이외의 부분의 화상을 등록해 버리면, 등록자 본인이 인증에 패스(pass)하지 못하거나, 혹은(或; or) 전혀 다른 사람이 인증에 패스하거나 하는 문제(不都合; inconvenience, misappropriation, disadvantage)가 생긴다.
취득한 템플레이트가 적절한지 여부는, 예를 들면 인증 정보의 관리자가 육안 관찰(目視; visual inspection)에 의해서 체크한다. 그렇지만, 육안관찰에 의한 체크에서는 개인의 판단의 편차(deviation, variation)에 의해서 인증의 신뢰성을 안정하게 보존(保)할 수 없다고 하는 불이익이 있다. 또, 인증 정보를 대량으로 처리하는 경우, 템플레이트용 화상을 육안관찰로 하나 하나를 체크하는 방법에서는 작업 효율이 매우 낮아진다고 하는 불이익도 있다.
이상으로 인해,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적절히 판정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판정 방법과 그와 같은 화상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實施形態)에 관계(係)된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의 에지를 강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지 강조부와,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値)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强度) 및/또는 에지의 양(量)에 관한 평가값(評價値)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평가값 취득부와, 상기 평가값 취득부에서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정부를 가진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된 화상 처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상기 화상의 에지가 강조된다. 상기 평가값 취득부에서는, 해당(當該)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에 관한 평가값이 취득된다. 그리고, 상기 판정부에서, 해당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예를 들면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全畵素)의 값의 합계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해도 좋다.
혹은,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에지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threshold value)을 넘(超)는 화소의 값의 합계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해도 좋다.
또는,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에지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화소의 수(數)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해도 좋다.
또는,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에지의 강도가 가장 높은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해도 좋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된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윤곽(輪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윤곽 검출부와, 상기 윤곽 검출부에서 검출된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을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영역 특정부를 더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 중(中)의 상기 영역 특정부에서 특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상기 평가값은, 상기 피사체의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취득된다.
또, 상기 에지 강조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되는 화상의 에지를 순차(順次; sequentially, successively) 강조하고,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을 순차 취득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순차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이 제1 기준에 도달(達)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제1 판정부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소정수(所定數) 취득된 경우,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제1 기준을 넘는 제2 기준을 정(定)하는 제2 임계값을 결정하고,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어느것인가 하나 혹은 해당 소정수의 화상에 계속(續)해서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對象)의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를 포함해도 좋다.
또, 상기 판정부는, 상기 평가값 취득부에서 순차 취득되는 평가값과, 상기 제2 기준을 넘는 제3 기준을 정하는 제3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판정부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판정부에서, 순차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과 제1 임계값이 비교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이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가 순차 판정된다. 상기 제2 판정부에서는,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소정수 취득된 경우,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제1 기준을 넘는 제2 기준을 정하는 제2 임계값이 결정된다. 제2 임계값이 결정되면,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어느것인가 하나 혹은 해당 소정수의 화상에 계속해서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이 비교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다른 한편(他方), 상기 제3 판정부에서는, 상기 평가값 취득부에서 순차 취득되는 평가값과, 상기 제2 기준을 넘는 제3 기준을 정하는 제3 임계값이 비교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된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순차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 출력부를 더 가져도 좋다.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1 판정부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취득되는 수에 따른 정보를 출력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화상 판정 방법은, 상기 화상의 에지를 강조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에 관한 평가값을 취득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에서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3 공정을 가진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된 화상 판정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공정에서, 상기 화상의 에지가 강조되고, 상기 제2 공정에서, 해당 에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에 관한 평가값이 취득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공정에서, 해당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상기 화상의 에지를 강조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에 관한 평가값을 취득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3 스텝을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실행시킨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된 프로그램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화상의 에지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강조한다. 상기 제2 스텝에서, 해당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에 관한 평가값을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스텝에서, 해당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판정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을 평가값으로서 수치화(數値化)하는 것에 의해, 해당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간의 애매(曖昧)한 판단에 의지(賴)하는 일없이 적절히 판정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의 (a)∼(c)는 촬상 화상에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한 결과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a)∼(c)는 촬상 화상에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한 결과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 (b)는, 도 2의 (a)∼(c), 도 3의 (a)∼(c)에 도시하는 촬상 화상으로부터 피사체의 윤곽을 검출하고, 그 내측의 영역을 특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a)∼(c)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으로부터, 도 4의 (b)에 도시하는 윤곽의 내측의 영역을 마스크 처리에 의해서 절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a)∼(d)는 촬상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가 포함되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c)에 도시하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상 화상에서의 화소값의 분포와, 도 6의 (d)에 도시하는 피사체를 포함하지 않는 촬상 화상에서의 화소값의 분포를 비교한 도면,
도 8의 (a)∼(d)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에서, 임계값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로 하는 경우와 제로로 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한 도면,
도 9는 도 8의 (a)∼(d)에 도시하는 화상에서, 소정의 임계값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로 한 경우의 평가값과, 임계값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의 평가값을 비교한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평가값의 산출 처리의 1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템플레이트 등록 처리의 1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2는 템플레이트 등록 처리의 실행중에서의 화상 표시부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0…제어부, 20…광원, 30…광학계, 40…촬상부, 50…화상 표시부, 60…조작부, 70…기억부, 101…화상 취득부, 102…윤곽 검출부, 103…영역 특정부, 104…에지 강조부, 105…평가값 취득부, 106…판정부, 1061…제1 판정부, 1062…제2 판정부, 1063…제3 판정부, 107…등록부, 108…대조비교부, 109…표시 처리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는, 제어부(10)와, 광원(光源)(20)과, 광학계(光學系)(30)와, 촬상부(40)와, 화상 표시부(50)와, 조작부(60)와, 기억부(70)를 가진다.
광원(20)은, 피사체 FG(도 1 의 예에서는 사람의 손가락)에 조사하는 광선(光線)을 발생한다. 이 광선은, 예를 들면 600㎚∼1300㎚ 정도의 파장(波長)을 가지는 근적외선(近赤外線)이며, 인체 조직에 대한 투과성(透過性)이 비교적 높고, 또한 혈중(血中)의 헤모글로빈에 의해서 특이적(特異的)으로 흡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광원(20)은,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나 할로겐 램프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광학계(30)는, 피사체 FG를 투과한 광을 촬상부(40)의 수광면(受光面)으로 인도(導)한다. 촬상부(40)의 수광면에 투영되는 피사체 FG의 상에서는, 굵은 혈관 부분일수록 어둡게 되어 있다.
촬상부(40)는, 수광면에 투영되는 피사체 FG의 상을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로 변환해서 제어부(10)에 출력한다. 촬상부(40)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촬상 소자(素子)에 의해서 구성된다.
제어부(10)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전체적 동작 제어나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광원(20)에서의 광선의 발생이나, 촬상부(40)에서의 화상의 촬상, 화상 표시부(50)에서의 화상의 표시 등을, 조작부(60)로부터 입력되는 유저(user) 의 지시에 따라서 제어한다. 또, 촬상부(40)에서 촬상된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나, 촬상 화상에 의거해서 작성한 템플레이트를 기억부(70)에 등록하는 처리, 촬상 화상과 템플레이트를 대조비교하는 처리 등, 생체 인증에 관계된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0)는, 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기억부(70)에 격납(格納; store; 저장)되는 프로그램 PRG에 의거해서 상기의 제어나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표시부(50)는, 제어부(10)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표시 처리부(109)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템플레이트용 화상에 관계된 정보를 표시한다.
조작부(60)는, 유저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예를 들면 키, 버튼, 다이얼, 터치 패널, 마우스 등의 입력 기기(機器)에 의해서 구성된다.
기억부(70)는, 제어부(10)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PRG나, 템플레이트 DAT를 기억한다. 또, 제어부(10)의 처리에서 이용하는 정수(定數; constant) 데이터나, 처리 과정에서 일시적(一時的)으로 보존유지(保持; hold)할 필요가 있는 변수(變數)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기억부(70)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나 ROM(read only memory), 불휘발성(不揮發性)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서 구성된다.
제어부(10)의 각 구성 요소(構成要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제어부(10)는, 화상 처리에 관계된 기능적인 구성 요소로서, 화상 취득부(101)와, 윤곽 검출부(102)와, 영역 특정부(103)와, 에지 강조부(104)와, 평가값 취득부(105)와, 판정부(106)와, 등록부(107)와, 대조비교부(108)와, 표시 처리부(109)를 가진다.
화상 취득부(101)는, 본 발명의 화상 취득부 및 화상 취득 수단의 1실시형태이다.
윤곽 검출부(102)는, 본 발명의 윤곽 검출부 및 윤곽 검출 수단의 1실시형태이다.
영역 특정부(103)는, 본 발명의 영역 특정부 및 영역 특정 수단의 1실시형태이다.
에지 강조부(104)는, 본 발명의 에지 강조부 및 에지 강조 수단의 1실시형태이다.
평가값 취득부(105)는, 본 발명의 평가값 취득부 및 평가값 취득 수단의 1실시형태이다.
판정부(106)는, 본 발명의 판정부 및 판정 수단의 1실시형태이다.
화상 취득부(101)는, 촬상부(40)에서 촬상된 화상을 순차 취득한다. 즉, 화상 취득부(101)은, 조작부(60)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템플레이트의 등록 처리나 대조비교 처리가 개시(開始)되면, 광원(20)이나 촬상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피사체 FG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그 투영 화상을 순차 촬상하며,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순차 취입(取入; capturing, take-into, trap)한다.
에지 강조부(104)는 화상 취득부(101)에서 취득되는 화상의 에지를 강조한다.
화상의 에지 강조에는, 예를 들면 가우시안(Gaussian) 필터나 라플라시안(Laplacian) 필터 등의 화상 필터를 이용한다. 즉, 가우시안 필터에 의해서 화상에 포함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라플라시안 필터에 의해서 화소값(畵素値)의 변화를 강조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에 포함되는 점모양(点狀)의 노이즈 성분이 제거되고, 선모양(線狀)의 에지 성분이 강조된다.
도 2의 (a)∼(c)는, 피사체 FG의 촬상 화상에 대해서 상술한 가우시안 필터와 라플라시안 필터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한 결과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는 에지 강조 처리전(處理前)의 화상, 도 2의 (b)에는 에지 강조 처리후(處理後)의 화상을 도시한다. 또, 도 2의 (c)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화상의 화소값을 3차원으로 도해(圖解)한 도면이다.
도 2의 (a)∼(c)의 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촬상부(40)에서 촬상된 화상에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하면, 손가락의 혈관(특히, 정맥) 부분의 화소값이 다른(他) 부분에 비해서 돌출(突出)한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에지 강조 처리전의 화상 및 도 2의 (b), (c)에 도시하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은, 어느것이나 부호 없음(無)의 8비트의 화소값을 가지고 있다. 가우시안 필터와 라플라시안 필터에 의해서 8비트의 화소값을 가지는 화상을 처리한 경우, 그 처리후의 화소값은 8비트를 넘은 값으로 될 수 있다. 그런데, 도 2의 (b), (c)의 예에서는, 처리후의 화소값을 8비트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도 2의 (a)에 도시하는 원래(元)의 화상의 혈관과 도 2의 (b)에 도시하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의 혈관은, 그 시각적(視覺的)인 세기(强)가 그다지 일치하고 있지 않다 . 즉, 가늘고 희미한(薄; 옅은) 혈관도, 굵고 진한(濃) 혈관도,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에서는 거의 같은(同) 세기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3의 (a)∼(c)는, 가우시안 필터와 라플라시안 필터에 의한 마찬가지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한 결과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의 (a)∼(c)에 도시하는 제1 예와의 틀림(違; difference; 차이)은,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소값의 비트 제한을 철폐(撤廢)한 것에 있다. 도 3의 (a)에는 에지 강조 처리전의 화상, 도 3의 (b), (c)에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을 도시한다.
도 2의 (a)∼(c)와 도 3의 (a)∼(c)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소값의 비트 제한을 철폐한 경우, 원래의 화상에서의 농담(濃淡)의 틀림이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에 민감(敏感)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진한 혈관의 화소값은 크게, 희미한 혈관의 화소값은 작게 되어 있다.
혈관의 정보를 템플레이트로서 등록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인증에 이용할 수 있는 안정된 혈관의 상을 추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촬상부(40)에서 촬상되는 화상에는, 가능한 한 굵고 진한 혈관의 상이 많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에지 강조부(104) 는, 예를 들면 도 2의 (a)∼(c)의 화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트 제한을 철폐하고,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소값의 비트길이(長)를 적절한 길이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평가값 취득부(105)에서 취득되 는 평가값 Ev는, 템플레이트에 적합(相應; suitable; 적당함, 어울림)한지 여부를 보다 적절하게 표현한 값으로 된다.
단,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소값의 비트 제한을 철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혈관의 농담을 정확하게 반영한 화상이 얻어지는 한편(一方)으로, 도 3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템플레이트로서 불필요(不要)한 손가락의 윤곽 부분의 에지도 강조되어 버린다. 특히, 피사체 FG의 배경이 밝은 경우에는, 혈관보다 윤곽이 강하게 나타나 버린다. 윤곽이 너무 강조되면, 임시(假)로 윤곽을 따라서 정확하게 피사체 FG를 절취(切取; cut oftt; 도려냄, 잘라냄)하는 마스크를 작성해도, 윤곽으로부터 더욱더 내측의 부분에까지 윤곽의 영향이 미치(及)고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평가값 Ev의 신뢰성이 저하해 버린다.
그래서, 다음에 기술하는 윤곽 검출부(102) 및 영역 특정부(103)에서는, 윤곽 부분의 영향을 배제(排除)한 상태에서 평가값 Ev가 취득되도록, 손가락의 윤곽으로부터 확실하게 내측의 영역을 절출(切出; cutout, extract, separate; 잘라내어 반출)하는 마스크를 작성한다.
윤곽 검출부(102)는, 촬상부(40)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피사체 FG의 윤곽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적당(適當)한 차분(差分) 오퍼레이터를 이용하여 촬상 화상의 에지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이나, 적당한 임계값에 의해서 피사체 FG와 배경이 분리(分離)되도록 촬상 화상을 2값화(2値化; binarize)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피사체 FG의 윤곽을 검출한다.
영역 특정부(103)는, 윤곽 검출부(102)에서 검출된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 역을 특정하고, 이 특정한 영역을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으로부터 절출하는 마스크를 작성한다.
도 4의 (a), (b)는, 도 2의 (a)∼(c), 도 3의 (a)∼(c)에 도시하는 촬상 화상으로부터 피사체 FG의 윤곽을 검출하고, 그 내측의 영역을 특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는, 윤곽 검출부(102)에서 검출되는 피사체 FG의 윤곽의 1예를 도시한다. 도 4의 (a)의 검은(黑) 부분은 피사체 FG의 배경을 나타내고, 흰(白) 부분은 피사체 FG의 내부를 나타낸다. 또, 흰색(白)과 검은색(黑)의 경계는, 윤곽 검출부(102)에서 검출되는 윤곽에 상당(相當)한다.
도 4의 (b)에는, 영역 특정부(103)에서 특정되는 피사체 FG의 내측의 영역의 1예를 도시한다. 도 4의 (b)의 흰 부분은, 영역 특정부(103)에서 특정되는 피사체 FG의 내측의 영역을 나타낸다. 또, 회색 부분은, 윤곽 검출부(102)에서 검출되는 윤곽의 내부로서, 영역 특정부(103)에서 특정되는 영역으로부터는 제외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4의 (a), (b)의 예에서, 피사체 FG의 윤곽은, 상하 좌우의 4개의 변(邊)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사체 FG의 윤곽이 이와 같이 복수(複數)의 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영역 특정부(103)는, 예를 들면 이들 변을 윤곽의 내측으로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후의 각 변에 의해서 둘러싸인(圍; surrounded, defined) 영역을, 피사체 FG의 내측의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도 4의 (b)의 예에서는, 상측의 변을 화상의 아래(下) 방향으로, 하측의 변을 화상의 위 (上) 방향으로, 각각 거리 dLR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좌측의 변을 화상의 오른쪽(右) 방향으로, 우측의 변을 화상의 왼쪽(左) 방향으로, 각각 거리 dUD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후의 4개의 변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피사체 FG의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이와 같이, 영역 특정부(103)에 의해서 특정되는 영역은, 피사체 FG의 윤곽으로부터 확실히 떨어(離)진다. 그 때문에, 도 3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윤곽의 화소값이 이상(異常; abnormal)하게 높은 경우에서도, 그 영향이 영역의 내부에 거의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으로부터, 영역 특정부(103)에 의해서 특정되는 영역만을 마스크 처리에 의해서 절출하면, 윤곽의 영향이 배제된 순수(純粹)한 혈관의 상을 얻을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사체 FG의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을 마스크 처리로 절출한 경우, 윤곽 근방에 있는 혈관의 상은, 평가값 Ev를 구할 때의 대상으로부터 배제된다. 즉 , 혈관의 정보의 일부가 손실(失)되어 버리게 된다. 그렇지만, 윤곽 근방에 존재하는 혈관의 상은, 손가락 놓는 방법(置方)에 따라서 변화하기 쉽고, 예를 들면 손가락을 조금(少) 회전할 뿐으로 촬상 화상에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혈관의 상은, 원래 템플레이트의 등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상이기 때문에, 이것을 마스크 처리에 의해서 배제한 결과로부터 평가값 Ev를 구해도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평가값 취득부(105)는, 에지 강조부(104)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 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촬상부(40)로부터 입력한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에 관한 평가값 Ev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의 값의 합계를 산출하고, 이것을 평가값 Ev로서 취득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평가값 취득부(105)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영역 특정부(103)에서 특정된 피사체 FG의 내부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평가값 Ev를 취득하고, 이 영역외(領域外)의 화소의 값은 평가값 Ev의 결정시에 이용하지 않는다. 즉, 영역 특정부(103)에 의해서 작성된 마스크에 의해 절출되는 윤곽의 내측 영역의 화소값에 의거해서, 평가값 Ev를 취득한다.
도 5의 (a)∼(c)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으로부터, 도 4의 (b)에 도시하는 윤곽의 내측의 영역을 마스크 처리에 의해서 절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는 에지 강조 처리전의 화상을 도시한다. 또, 도 5의 (b), (c)에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으로부터 윤곽의 내측의 영역만을 마스크 처리에 의해서 절출한 화상을 도시한다.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으로부터 영역 특정부(103)에서 특정된 영역만을 절출하면, 도 5의 (b), (c)의 화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체 FG의 윤곽의 영향이 배제되고, 피사체 FG의 내부에 존재하는 혈관의 상만이 부각(浮彫)된다. 이 혈관의 상은, 원래의 화상에서의 혈관의 굵기(太)나 진함(濃; 농도)에 따라서 화소의 값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평가값 취득부(105)는, 이와 같이 혈관의 농담(濃淡)의 상태가 적절히 반영된 화상에서의 화소값의 합계를, 평가값 Ev로서 산출한다. 이 평가값 Ev는, 템플레이트용 화상으로서 적합한 피사체 FG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으로 된다.
도 6의 (a)∼(d)는, 촬상부(40)에서 촬상된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되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는, 피사체 FG를 포함하는 촬상 화상을 도시하고, 도 6의 (c)에는, 이 도 6의 (a)에 도시하는 화상에 에지 강조 처리와 마스크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을 도시한다.
도 6의 (b)는, 피사체 FG를 포함하지 않는 촬상 화상을 도시하고, 도 6의 (d)에는, 이 도 6의 (b)에 도시하는 화상에 에지 강조 처리와 마스크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을 도시한다.
도 6의 (a)의 화상에는 손가락의 내부의 혈관이 깨끗(綺麗; excellent, good)하게 영출(映出; display; 비추어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에지 강조 처리와 마스크 처리를 행한 도 6의 (c)의 화상에서는, 혈관 부분에 국소적(局所的)으로 강한 에지가 집중(集中)되어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하는 화상에는 혈관의 상이 완전히 영출되고 있지 않고, 농담이 부족(乏; little)하기 때문에, 이것에 에지 강조 처리와 마스크 처리를 행한 도 6의 (d)의 화상에서는, 약한 에지가 전체에 산재(散在)하고, 혈관의 상에 대응하는 명확(明確)한 에지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
양자(兩者)의 화소값의 합계를 비교하면, 도 6의 (c)의 화상은 '2434244', 도 6의 (d)의 화상은 '1177685'로 되었다. 이와 같이, 피사체 FG를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서는, 화소값의 합계에 큰 차이(差異)가 있다. 따라서, 평가값 취득부(105)에 의해 취득되는 평가값 Ev(즉, 에지 강조 처리 및 마스크 처리를 행한 화상의 화소값의 합계)는, 그 값의 틀림에 따라서, 피사체 FG의 유무(有無)를 나타낼 수가 있다.
도 6의 (c)와 도 6의 (d)를 비교하면, 피사체 FG를 포함하지 않는 화상은 피사체 FG를 포함하는 화상에 비해서 화소값이 작은 화소(즉, 약한 에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고, 화소값이 큰 화소(즉, 강한 에지)가 적게 되어 있다. 그래서, 평가값 취득부(105)는, 단지(단순히) 전부(全部)의 화소값을 합계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certain) 임계값보다 큰 화소값만을 합계하고, 이것을 평가값 Ev로서 취득해도 좋다. 즉, 에지 강조부(104)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단, 영역 특정부(103)에 의해서 특정된 영역내(領域內)) 중, 에지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화소 값의 합계에 의거해서, 평가값 Ev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피사체 FG를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평가값 Ev의 틀림을, 보다 한층더(一層) 두드러지게(際立; remarkable) 할 수가 있다.
도 7은, 도 6의 (c)에 도시하는 화상(피사체 FG를 포함하는 경우)에서의 화소값의 분포와, 도 6의 (d)에 도시하는 화상(피사체 FG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화소값의 분포를 비교한 도면이다. 횡축(橫軸)은 화소값을 나타내고, 종축(縱軸)은 화소수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에지 강조 처리와 마스크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에는, 일정(一定; certain, predetermined) 화소값(도 7의 예에서는 '500')보다 작은 범위에 대부분의 화소가 분포되어 있다. 한편,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은 화소값부터 큰 화소값까지 넓은 범위에 화소가 분포되어 있다.
도 8의 (a)∼(d)는,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에서, 임계값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zero)로 하는 경우와 제로로 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의 (a), (b)에는, 도 6의 (c), (d)와 같은 화상이며, 임계값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로 하지 않는 경우의 화상을 도시한다.
다른 한편, 도 8의 (c), (d)에는, 각각 도 8의 (a), (b)의 화상에 포함되는 임계값 '255' 이하의 화소값을 모두(全) 제로로 한 경우의 화상을 도시한다.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도 8의 (a)와 도 8의 (c)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계값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로 해도 에지의 주요한 특징(즉, 혈관의 상)이 유지(維持; maintain)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8의 (b)와 도 8의 (d)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계값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로 하면 에지의 대부분(大半)이 사라져 버리고, 에지의 특징이 크게 변화한다.
도 9는, 도 8의 (a)∼(d)에 도시하는 화상에서 임계값 '255'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로 한 경우의 평가값(화소값의 합계)과 임계값을 마련(設; provide)하지 않는 경우의 평가값을 비교한 도면이다.
임계값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 피사체 FG를 포함하는 화상(도 8의 (a))의 평 가값 Ev는 '2434244', 피사체를 포함하지 않는 화상(도 8의 (b))의 평가값 Ev는 '1177685'로 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임계값 '255'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로 한 경우, 피사체 FG를 포함하는 화상(도 8의 (c))의 평가값 Ev는 '2145659', 피사체 FG를 포함하지 않는 화상(도 8의 (d))의 평가값 Ev는 '117921'로 되었다. 이 도 9로부터 분명(明)한 바와 같이,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에서 소정의 임계값 이하의 화소값을 제외하고 평가값 Ev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피사체 FG의 유무에 따른 평가값 Ev의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할 수가 있다.
판정부(106)는, 평가값 취득부(105)에서 취득된 평가값 Ev에 의거해서, 촬상부(40)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부(106)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판정부(1061)와, 제2 판정부(1062)와, 제3 판정부(1063)를 가진다.
제1 판정부(1061)는, 화상 취득부(101)에서 순차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 Ev와 임계값 Td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취득된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이 최저(最低) 기준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판정부(1062)는, 제1 판정부(1061)에서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소정수 취득된 경우,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평가값 Ev에 의거해서, 상기의 최저 기준을 넘은 중간의 기준을 정하는 임계값 Th를 결정한다. 그리고,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어느것인가 하나 혹은 해당 소정수의 화상에 계속해서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 Ev와 임계값 Th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3 판정부(1063)는, 평가값 취득부(105)에서 순차 취득되는 평가값 Ev와, 상기의 중간 기준을 넘은 가장 높은 기준을 정하는 임계값 Tu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앞서(先) 설명한 바와 같이, 평가값 취득부(105)에서 취득되는 평가값 Ev는, 템플레이트용 화상으로서 적합한 피사체 FG의 상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고, 이 값의 대소(大小)에 따라서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판정부(106)는,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평가값 Ev와 단일(單一)의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에 의거해서, 그 비교 대상의 화상을 등록할지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그렇지만, 실제의 템플레이트 등록시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자주(종종) 일어나기 때문에, 단일의 임계값에 의한 간이(簡易)한 판정에서는 적절한 템플레이트를 등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1) 촬상시에 손가락이 움직였다;
(2) 노출(露出) 등의 영향으로 그다지 깨끗하게 촬상할 수 없다;
(3) 손가락의 정맥이 가늘고 희미하다;
(1)의 경우나 (2)의 경우, 템플레이트의 등록은 가능할지도 모르지만, 본래(本來)보다도 나쁜 상태(혈관 패턴의 정보가 적은 등)의 템플레이트를 등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통상(通常)은 용이하게 대조비교할 수 있는데 좀처럼 대조비교할 수 없기도 하고, 혹은 대조비교에 실패하거나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 (3)의 경우에는, 평가값 Ev에 대해서 임계값이 너무 높아 버려, 템플레이트를 등록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만, 임계값을 너무 내리면, 나쁜 상태의 템플레이트를 등록해 버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도 1에 도시하는 판정부(106)는, 단일의 임계값이 아니라 3개의 임계값(Td, Tu, Th)을 이용하여 등록의 가부(可否)를 판정한다.
제1 판정부(1061)의 임계값 Td는, 템플레이트에 이용하는 화상의 최저 기준을 정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술한 (3)과 같이 손가락의 정맥이 가늘고 희미한 사람이 안정적으로 촬상할 수 있었을 때에 얻어지는 평가값 Ev의 값에 의거해서 설정된다. 평가값 Ev가 임계값 Td보다 작은 경우, 그 화상은 템플레이트에 이용하지 않는다.
제3 판정부(1063)의 임계값 Tu는, 템플레이트에 이용하는 화상의 가장 높은 기준을 정한다. 이것은, 촬상부(40)에서 안정된(안정적인) 상태에서 촬상되고, 또한 충분히 깨끗한 손가락 정맥이 촬상된 경우에 얻어지는 평가값 Ev에 의거해서 설정된다. 혈관의 굵기에는 개인차(個人差)가 있기 때문에, 만약 안정하게 촬상할 수 있었다고 해도, 모든 유저가 임계값 Tu의 최고(最高) 기준을 패스하는 템플레이트에서 등록할 수 있다고는 한정(限)할 수 없다.
제2 판정부(1062)의 임계값 Th는, 임계값 Td의 최저 기준은 넘지만 임계값 Td의 최고 기준은 만족시키지 않는 중간의 기준을 정한다. 임계값 Th는, 연속적으로 촬상된 화상의 평가값 Ev에 의거해서 결정된다. 임계값 Td, Tu는 미리 설정된 고정값(固定値)이며, 임계값 Th는 피사체마다, 촬상시마다 변화하는 값이다.
등록부(107)는, 제1 판정부(1061) 또는 제3 판정부(1063)에서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된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으로부터 혈관 패턴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것을 템플레이트 DAT로서 기억부(70)에 격납한다.
대조비교부(108)는, 제1 판정부(1061) 또는 제3 판정부(1063)에서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된다고 판정된 촬상 화상으로부터 혈관 패턴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정보와 기억부(70)에 격납되는 템플레이트 DAT를 대조비교한다.
표시 처리부(109)는, 화상 취득부(101)에서 순차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 Ev에 따른 정보를 화상 표시부(50)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제1 판정부(1061)에서 최저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취득되는 수에 따른 정보를 화상 표시부(50)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평가값 Ev의 산출 처리의 1예를 설명한다.
화상 취득부(101)는, 광원(20) 및 촬상부(40)를 제어해서 피사체 FG의 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 If를 취득한다(스텝 ST101).
윤곽 검출부(102)는, 화상 If에 포함되는 피사체 FG의 윤곽을 검출하고, 윤곽의 내부를 절출하는 마스크 Mf를 작성한다. 또, 영역 특정부(103) 는, 윤곽 검출부(102)에서 검출된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을 특정하고, 그 내측 영역을 절출하 는 마스크 eMf를 작성한다(스텝 ST102).
한편, 에지 강조부(104)는, 화상 If의 에지를 강조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가우시안 필터에 의해서 화상 If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스텝 ST103), 이 노이즈 제거후의 화상 Gf에 대해서 라플라시안 필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에지 부분을 강조한다(스텝 ST104).
평가값 취득부(105)는, 라플라시안 필터에 의해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 Lf로부터, 영역 특정부(103)에 의해서 특정된 내부 영역을 절출하는 마스크 처리를 행한다(스텝 ST105). 그리고, 이 마스크 처리후의 화상 Of에 포함되는 임계값 Vunder 이하의 화소값을 제로로 하고(스텝 ST106), 화소값의 합계를 계산한다(스텝 ST107).
계산된 화소값의 합계는, 평가값 Ev로서 판정부(106)에 공급된다.
이상(以上)이, 평가값 Ev의 산출 처리의 설명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템플레이트 등록 처리의 1예를 설명한다.
판정부(106)는, 연속해서 취득된 평가값 Ev의 수를 대입(代入)하기 위한 변수(變數) i와, n개(個)의 연속해서 취득된 평가값 Ev를 대입하기 위한 변수 hEvi(i=0, 1, …, n-1)를 각각 초기화(初期化)한다(ST201).
그 다음에, 윤곽 검출부(102), 영역 특정부(103), 에지 강조부(104) 및 평가 값 취득부(105)는, 스텝 ST202∼ST207의 처리에 의해서, 촬상 화상 If의 평가값 Ev를 산출한다.
도 10과 도 11을 비교하면, 스텝 ST202는 스텝 ST101, 스텝 ST203 은 스텝 ST102, 스텝 ST204 는 스텝 ST103 및 ST104, 스텝 ST205 는 스텝 ST105, 스텝 ST206은 스텝 ST106, 스텝 ST207은 스텝 ST107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스텝 ST203의 마스크 생성 처리에서 마스크의 생성에 실패한 경우(예를 들면, 손가락이 장치로부터 떨어져서 촬상되지 않은 경우), 판정부(106)는, 스텝 ST201로 되돌아가서(戾; return) 변수 i, hEvi를 초기화한다. 이것에 의해, 촬상의 연속성(連續性)이 중단(途切; 도중에서 끊김)된 경우에는 즉석(卽座; 즉시, 신속하게)에서 평가값 Ev의 이력(履歷)(hEv0, hEv1, …, hEvn-1)이 소거(消去)되고, 새로운 이력의 기록이 개시된다.
평가값 Ev가 계산되면, 제3 판정부(1063)는, 이 평가값 Ev와 임계값 Tu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평가값 Ev가 최고 기준을 넘고 있는지 여부 판정한다(스텝 ST208). 평가값 Ev가 최고 기준을 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등록부(107)는, 이 평가값 Ev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혈관 패턴의 정보를 추출하고, 템플레이트 DAT로서 기억부(70)에 격납한다(스텝 ST214).
제3 판정부(1063)에서 평가값 Ev가 최고 기준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제1 판정부(1061)는, 이 평가값 Ev와 임계값 Td를 비교하고, 평가값 Ev가 최저 기준을 넘고 있는지 여부 판정한다(스텝 ST209). 평가값 Ev가 최저 기준 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예를 들면, 손가락의 배치가 부적절(不適切)한 경우), 판정부(106)는, 스텝 ST201로 되돌아가서 변수 i, hEvi를 초기화한다. 이것에 의해, 촬상의 연속성이 중단된 경우에는 즉석에서 평가값 Ev의 이력(hEv0, hEv1, …, hEvn-1)이 소거되고, 새로운 이력의 기록이 개시된다.
제1 판정부(1061)에서 평가값 Ev가 최저 기준을 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판정부(106)는, 평가값 Ev를 이력용 변수 hEvi에 대입하고, 이력수(履歷數)를 나타내는 변수 I에 '1'을 가산(加算)한다(스텝 ST210).
그 다음에, 판정부(106)는, '1'을 가산한 변수 i와 소정의 수 n0을 비교한다(스텝 ST211). 변수 i가 소정의 수 n0보다 작은 경우, 판정부(106)는, 스텝 ST202로 처리를 되돌린다(戾; 리턴시킨다)(스텝 ST211). 이것에 의해, 스텝 ST202∼ST207의 처리가 다시(再) 실행되고, 새로운 촬상 화상 If의 평가값 Ev가 산출된다.
한편, 변수 i가 소정의 수 n0에 도달해 있는 경우, 제2 판정부(1062)는, 변수 hEv0, hEv1, …, hEvn0에 대입되어 있는 (n0+1)개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임계값 Th를 결정한다. 즉, (n0+1)개의 평가값에서의 최대의 값에 계수 k(k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實數)를 나타낸다)를 곱(乘)한 것을, 임계값 Th로서 결정한다(스텝 ST212). 계수 k는, 예를 들면 '0.9' 정도의 값으로 설정된다. 계수 k를 '1'에 근접(近付)시킬 수록, 안정적으로 높은 평가값 Ev를 취득하는 것이 요구된다.
스텝 ST212에서 임계값 Th를 결정하면, 다음에 제2 판정부(1062)는, 평가값 Ev와 임계값 Th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현재의 촬상 화상의 평가값 Ev가 중간의 기준을 넘고 있는지 여부 판정한다(스텝 ST213). 스텝 ST213에서 평가값 Ev가 중간의 기준에 도달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판정부(106)는, 스텝 ST202로 처리를 되돌린다(스텝 ST211). 이것에 의해, 스텝 ST202∼ST207 의 처리가 다시 실행되고, 새로운 촬상 화상 If의 평가값 Ev가 산출된다. 다른 한편, 스텝 ST213에서 평가값 Ev가 중간의 기준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 등록부(107)는, 이 평가값 Ev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혈관 패턴의 정보를 추출하고, 템플레이트 DAT로서 기억부(70)에 격납한다(스텝 ST214).
이력 보존용(保存用) 변수 hEv0, hEv1, …, hEvn-1에는, 도중(途中)에서 변수의 초기화 처리(스텝 ST201)로 되돌아가지 않는 한(限), 템플레이트 등록용 화상이 확정될 때까지 순차 평가값 Ev가 격납된다. 이들 변수에 예를 들면 FIFO(first in first out) 형식(形式)으로 평가값 Ev를 격납하면, 바로 최근(直近)의 최대 n개의 이력을 남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이, 템플레이트 등록 처리의 설명이다.
상술한 템플레이트 등록 처리의 실행중(實行中)에서의 화상 표시부(50)의 표시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유저는 템플레이트의 등록중(登錄中)에, 현재 촬상되고 있는 손가락의 화상 이 템플레이트로서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스스로(自分; 자신이) 판단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어떠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손가락의 각도나 놓는 방법을 어떻게 하면 적절한 촬상 화상이 얻어지는지 유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장치가 패스를 판정할 때까지 끝없이(延延) 시행 착오(試行錯誤)를 계속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템플레이트 등록중의 상태를 피드백하는 것에 의해, 템플레이트용 화상이 스무스하게(순조롭게) 얻어지도록 한다.
표시 처리부(109)는, 예를 들면 화상의 평가값 Ev에 관한 정보를, 화상 표시부(50)의 화면(900)에 표시시킨다. 도 12의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임계값 Td와 Tu 사이를 10단계로 구분하고, 현재 취득된 평가값 Ev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막대(棒) 그래프(903)로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어떻게 손가락을 배치하면 적절한 상이 얻어지는지를 적확(的確; accurately; 정확하게, 정밀도 좋게)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표시 처리부(109)는, 평가값 Ev가 임계값 Td보다 크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취득되는 수(즉, 도 11의 변수 i)에 관한 정보를, 화면(900)에 표시시킨다. 도 12의 예에서는, 변수 i의 값을 막대 그래프(904)에 의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현재의 손가락의 배치를 어느 정도의 시간 보존유지하면 판정에 패스하는지 파악할 수가 있다.
또, 표시 처리부(109)는, 촬상부(40)에서 촬상가능한 범위에 대해서 유저의 손가락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900)에 표시시킨다. 도 12 의 예에서는, 촬상가능 범위를 나타내는 점선의 테두리(frame)(902)에 유저의 손가락을 나타내는 그림(繪)(901)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촬상가능 범위에 대한 현재의 손가락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어떻게 손가락을 배치하면 적절한 상이 얻어지는지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된 화상의 에지가 강조되고, 이 에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에 관한 평가값 Ev가 취득된다. 그리고, 취득된 평가값 Ev에 의거해서, 촬상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것에 의해, 촬상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사람의 애매한 판단에 의지하지 않고 적확하게 판정할 수가 있다.
또, 평가값 Ev는,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에 관련(關連)된 값이기 때문에,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뿐만 아니라, 그 피사체 FG의 상이 소정의 용도(用途)에 적합한 것인지도, 평가값 Ev의 값에 따라서 판정가능하다. 예를 들면, 템플레이트 등록 처리에서,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뿐만 아니라, 그것이 템플레이트용 화상으로서 적합한 것인지 여부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 FG의 윤곽이 검출되고, 그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이 특정된다. 그리고, 에지 강조 처리후의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이 특정된 내측의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평가값 Ev가 취득된다. 이것에 의해, 피사체 FG의 윤곽 부분에 생기는 에지의 영향이 효과적으로 배제되고, 피사체 FG의 내측에 포함되는 에지의 상태가 올바르게(正; correctly, exactly; 정확하게) 반영된 평가값 Ev를 취득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혈관 패턴 등, 피사체 FG의 내측에 포함되는 상의 특징에 따라서,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나, 그 피사체 FG가 소정의 용도(템플레이트용 등)에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적절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순차 촬상되는 화상의 평가값 Ev와 임계값 Td가 비교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이 최저 기준에 도달해 있는지 순차 판정된다. 그리고, 최저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소정수 취득된 경우,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평가값 Ev에 의거해서, 최저 기준을 넘는 중간 기준을 정하는 임계값 Th가 결정된다. 임계값 Th가 결정되면,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어느것인가 하나 혹은 해당 소정수의 화상에 계속해서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 Ev와 임계값 Th가 비교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즉, 일련(一連)의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이 소정의 최저 기준을 안정적으로 넘고 있지 않으면, 일련의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된다고 판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촬상중에 피사체가 움직여 버리는 경우나, 배경의 밝기(明)에 대해서 노출 등의 조건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등, 촬상 조건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촬상 화상에 피사체 FG가 포함된다고 판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판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일련의 촬상 화상의 평가값 Ev에 의거해서, 최저 기준을 넘는 중간 기준의 임계값 Th가 설정되기 때문에, 피사체 FG의 특징(혈관 패턴의 특징)이 피사체마다 여러가지로 다른(異) 경우에서도, 상기의 최저 기준을 넘는 판정 기준을 피사체마다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일률적으로 고정 기준을 정하는 경우에 비해서, 피사체의 다름에 따른 적절한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템플레이트 등록 처리에서, 피사체마다 보다 적절한 템플레이트를 취득할 수가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순차 촬상되는 화상의 평가값 Ev와, 상기의 중간 기준을 넘는 최고 기준을 정하는 임계값 Tu가 비교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피사체 FG의 상이 포함되는지 순차 판정된다.
즉, 최고 기준을 넘는 평가값 Ev를 가진 촬상 화상에 대해서는 즉시(直) 피사체 FG를 포함하는 화상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판정 처리의 스피드를 고속화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차 촬상되는 화상의 평가값 Ev에 관한 정보나, 임계값 Td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적으로 취득되는 수에 관한 정보 등, 각각의 촬상 화상에서의 피사체 FG의 상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화상 표시부(50)에 시시각각(刻刻)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 FG의 상이 적절한 상태로 되도록 유저 자신(自身)에 의해서 촬상 조건(피사체 FG의 배치 등)을 조정(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소망(所望; 원하는)의 피사체 FG의 상을 보다 스무스하게 촬상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배리에이션(variation; 변경, 변형)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영역 특정부(103)는, 피사체 FG의 윤곽을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좁히고(狹) 있지만, 이 거리는 고정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윤곽의 폭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의 (b)에서, 영역 특정부(103)는, 윤곽의 상하의 변을 화상의 종방향(縱方向)의 선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윤곽의 좌우의 변을 화상의 횡방향(橫方向)의 선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있지만, 이 때 각 변에 위치하는 각 화소의 이동 거리를, 그 이동 방향에서의 윤곽의 폭에 따라서 설정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영역 특정부(103)는, 종방향으로 신장(伸; extend)하는 선(線)과 윤곽이 교차(交)하는 2개의 점(点)의 거리에 따라서, 이 2개의 점에 위치하는 2개의 화소의 이동 거리를 설정한다. 이 이동 거리는, 예를 들면 2개의 점의 거리에 대해서 일정 비율(10% 등)로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2개의 화소 중 상측의 화소는 아래방향으로, 하측의 화소는 위방향으로, 각각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윤곽의 좌우의 변을 구성하는 각 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선과 윤곽이 교차하는 2개의 점의 거리에 따라서, 이 2개의 점에 위치하는 2개의 화소의 이동 거리를 설정한다. 그리고, 2개의 화소 중 좌측의 화소는 오른쪽 방향으로, 우측의 화소는 왼쪽 방향으로, 각각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윤곽을 내측으로 좁힐 때의 거리를 윤곽의 폭에 따라서 화소마다 설정하면, 개인차 등에 따라서 피사체 FG가 매우 작은 경우에서도, 영역 특정부(103)에서 특정되는 영역이 극단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피사체 FG의 윤곽이 4개의 변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사체 FG의 윤곽은 임의(任意; arbitrary)의 형상(形狀)으로 좋다. 즉, 영역 특정부(103)는, 피사체 FG의 윤곽이 임의의 형상이더라도, 그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을 특정가능하다.
예를 들면, 영역 특정부(103)는, 윤곽 검출부(102)에서 검출된 윤곽을, 화상의 위방향, 아래 방향, 오른쪽 방향, 왼쪽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각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의 윤곽의 내부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영역을, 피사체 FG의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이 경우의 윤곽의 이동 거리는,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고정값이라도 좋고, 화소마다 윤곽의 폭에 따라서 설정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에지 강조 처리 및 마스크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에서의 화소값의 합계로서 평가값 Ev를 산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평가값 취득부(105)는, 에지 강조부(104)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에지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화소의 수에 의거해서, 평가값 Ev를 취득해도 좋다. 도 7의 분포도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사체 FG를 포함하는 화상은 피사체 FG를 포함하지 않는 화상에 비해서 강한 에지 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에지 강조 처리 및 마스크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에서, 어떤 임계값보다 큰 화소값을 가지는 화소(즉, 에지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화소)의 수를 평가값 Ev로서 취득해도, 피사체 FG의 유무를 정밀도 좋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평가값 취득부(105)는, 에지 강조부(104)에서 에지가 강조된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에지의 강도가 가장 높은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평가값 Ev를 취득해도 좋다. 구체예를 들(擧)면, 도 6의 (c)에 도시하는 화상에서 화소값의 최대값(最大値)은 '2257', 도 6의 (d)에 도시하는 화상에서 화소값의 최대값은 '428'로 되어 있다. 윤곽 검출부(102)와 영역 특정부(103)에 의한 마스크 처리에서 피사체 FG의 윤곽의 영향이 충분히 배제되어 있는 것이면, 상기의 예와 같이, 피사체 FG의 유무에 따라서 화소값의 최대값에 큰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단순하게 화소값의 최대값(즉, 에지의 강도가 가장 높은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평가값 Ev를 취득해도, 피사체 FG의 유무를 정밀도 좋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평가값을 이용하여 템플레이트의 등록에 적합한 촬상 화상이 얻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예가 들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촬상 화상과 템플레이트와의 대조비교 처리를 행하기 전에, 대조비교에 적합한 촬상 화상이 얻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얻어진 경우에 한해서 대조비교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쓸데없는(needless, unnecessary) 대조비교 처리가 실행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消費電力)을 삭감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해도 좋고, 그의 적어도 일부를, 신호 처리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생체 인증 처리(템플레이트 등록 처리, 대조비교 처리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내부에 에지를 포함하는, 피사체의 상과 무지(無地; 무늬 없는)의 배경을 판별할 필요가 있는 여러 가지 화상 처리에 본 발명은 널리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와 그 화상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생체 인증용으로 촬상된 화상에 생체의 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등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이용가능하다.

Claims (24)

  1. 화상(畵像)의 에지를 강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지 강조부와,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畵素)의 값(値)에 의거해서, 상기 제1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强度) 및/또는 에지의 양(量)에 관한 평가값(評價値)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평가값 취득부와,
    상기 평가값 취득부에서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被寫體)의 상(像)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정부
    를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全畵素)의 값의 합계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에지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threshold value)을 넘(超)는 화소의 값의 합계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에지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화소의 수(數)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전화소 중, 에지의 강도가 가장 높은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윤곽(輪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윤곽 검출부와,
    상기 윤곽 검출부에서 검출된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을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영역 특정부
    를 가지고,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상기 에지 강조부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중(畵像中)의 상기 영역 특정부에서 특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특정부는, 상기 윤곽 검출부에서 검출된 윤곽을 상기 화상의 평면 위(上)에 설정되는 소정의 복수(複數)의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 경우에, 각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의 윤곽의 내부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영역을, 상기 피사체의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특정부는, 상기 윤곽의 이동거리를, 상기 윤곽 위의 화소마다, 그 이동 방향을 따른 직선과 상기 윤곽이 교차(交)하는 2개의 점(点)의 거리에 따라서 설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순차(順次; sequentially, successively)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상 취득부를 가지고,
    상기 에지 강조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에지를 순차 강조하고,
    상기 평가값 취득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을 순차 취득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순차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當該)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이 제1 기준에 도달(達)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제1 판정부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상기 화상이 연속해서 소정수(所定數) 취득된 경우,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제1 기준을 넘는 제2 기준을 정(定)하는 제2 임계값을 결정(決定)하고,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어느것인가 하나 혹은(或; or) 해당 소정수의 화상에 계속해서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對象)의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평가값 취득부에서 순차 취득되는 평가값과, 상기 제2 기준을 넘는 제3 기준을 정하는 제3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3 판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부에서 순차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에 관한 정보를 출 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 출력부를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부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취득되는 수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
  13.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판정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의 에지를 강조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양에 관한 평가값을 취득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에서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3 공정
    을 가지는 화상 판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윤곽을 검출하는 제4 공정과,
    상기 제4 공정에서 검출된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을 특정하는 제5 공정을 가지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공정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중의 상기 제5 공정에서 특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하는, 화상 판정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순차 취득하는 제6 공정을 가지고,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제6 공정에서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에지를 순차 강조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6 공정에서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을 순차 취득하고,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제6 공정에서 순차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이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7 공정과,
    상기 제7 공정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상기 화상이 연속해서 소정수 취득된 경우,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제1 기준을 넘는 제2 기준을 정하는 제2 임계값을 결정하고,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어느것인가 하나 또는 해당 소정수의 화상에 계속해서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8 공정
    을 포함하는, 화상 판정 방법.
  16.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상기 화상의 에지를 강조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에 관한 평가값을 취득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에서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3 스텝
    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윤곽을 검출하는 제4 스텝과,
    상기 제4 스텝에서 검출된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을 특정하는 제5 스텝
    을 상기 제1 화상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고,
    상기 제2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스텝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중의 상기 제5 스텝에서 특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하는, 프로그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순차 취득하는 제6 스텝을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고,
    상기 제1 스텝에서는, 상기 제6 스텝에서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에지를 순차 강조하고,
    상기 제2 스텝에서는, 상기 제6 스텝에서,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을 순차 취득하고,
    상기 제3 스텝은,
    상기 제6 스텝에서 순차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이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7 스텝과,
    상기 제7 스텝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상기 화상이 연속해서 소정수 취득된 경우,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제1 기준을 넘는 제2 기준을 정하는 제2 임계값을 결정하고,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어느것인가 하나 혹은 해당 소정수의 화상에 계속해서 취득되는 화상의 평가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상기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8 스텝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19. 화상의 에지를 강조하는 에지 강조 수단과,
    상기 에지 강조 수단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에 관한 평가값을 취득하는 평가값 취득 수단과,
    상기 평가값 취득 수단에서 취득된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에 소정의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윤곽을 검출하는 윤곽 검출 수단과,
    상기 윤곽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윤곽으로부터 내측의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
    을 가지고,
    상기 평가값 취득 수단은, 상기 에지 강조 수단에서 에지가 강조된 상기 화상중의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서 특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의 값에 의거해서 상기 평가값을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순차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을 가지고,
    상기 에지 강조 수단은,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서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에지를 순차 강조하고,
    상기 평가값 취득 수단은,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서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을 순차 취득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서 순차 취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취득된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에지의 강도 및/또는 에지의 양이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제1 판정 수단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상기 화상이 연속해서 소정수 취득된 경우, 해당 소정수의 상기 화상의 평가값에 의거해서, 상기 제1 기준을 넘는 제2 기준을 정하는 제2 임계값을 결정하고, 해당 소정수의 화상의 어느것인가 하나 혹은 해당 소정수의 화상에 계속해서 취득되는 제1 화상의 평가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평가값 취득 수단에서 순차 취득되는 평가값과, 상기 제2 기준을 넘는 제3 기준을 정하는 제3 임계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해당 비교 대상의 화상에 상기 피사체의 상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3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서 순차 취득되는 제1 화상의 평가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수단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 수단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화상이 연속해서 취득되는 수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수단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
KR1020077008157A 2005-09-06 2006-08-31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80053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7858A JP4992212B2 (ja) 2005-09-06 2005-09-06 画像処理装置、画像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5-00257858 2005-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247A true KR20080053247A (ko) 2008-06-12

Family

ID=3783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157A KR20080053247A (ko) 2005-09-06 2006-08-31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12293B2 (ko)
EP (1) EP1923833A4 (ko)
JP (1) JP4992212B2 (ko)
KR (1) KR20080053247A (ko)
CN (1) CN100592337C (ko)
WO (1) WO2007029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5431B2 (ja) * 2005-09-06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マスク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82794B2 (ja) * 2007-02-26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判定装置、画像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87436A (ja) * 2007-05-16 2008-11-27 Sony Corp 静脈パターン管理システム、静脈パターン登録装置、静脈パターン認証装置、静脈パターン登録方法、静脈パターン認証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静脈データ構造
JP5356728B2 (ja) * 2008-05-26 2013-12-04 株式会社トプコン エッジ抽出装置、測量機、およびプログラム
JP6769899B2 (ja) * 2017-03-21 2020-10-14 Kddi株式会社 照合装置、照合システム、及び照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22923T2 (de) * 1997-06-02 2005-04-28 Seiko Epson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antenhervorhebung
US6738527B2 (en) * 1997-06-09 2004-05-18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 medium on which an image processing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n image evaluation device, and image evaluation method and a medium on which an image evaluation program is recorded
JP2983019B1 (ja) * 1998-12-18 1999-11-29 株式会社エム・シー・シー 目標検出方法および目標検出装置
JP3655496B2 (ja) * 1999-06-07 2005-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検知装置および車両検知方法ならびに車両検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1101415A (ja) * 1999-09-29 2001-04-13 Fujitsu Ten Ltd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1216515A (ja) * 2000-02-01 2001-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物の顔の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825222B2 (ja) * 2000-03-24 2006-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本人認証装置および本人認証システムならびに電子決済システム
CN1213592C (zh) * 2001-07-31 2005-08-03 佳能株式会社 采用自适应二值化的图象处理方法和设备
JP4389489B2 (ja) 2003-05-06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5056282A (ja) * 2003-08-06 2005-03-03 Sony Corp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3714350B2 (ja) * 2004-01-27 2005-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中の人物候補領域抽出方法及び人物候補領域抽出システム並びに人物候補領域抽出プログラム
US7376269B2 (en) * 2004-11-22 2008-05-20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mage quality def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9592A1 (ja) 2007-03-15
CN101052994A (zh) 2007-10-10
US20090129681A1 (en) 2009-05-21
US7912293B2 (en) 2011-03-22
CN100592337C (zh) 2010-02-24
EP1923833A4 (en) 2013-06-19
JP4992212B2 (ja) 2012-08-08
JP2007072677A (ja) 2007-03-22
EP1923833A1 (en)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402B1 (ko) 개인 인증 장치 및 개인 인증용 혈관 패턴 추출 장치
KR101266422B1 (ko) 화상 처리 장치, 마스크 작성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40184774A1 (en) Personal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US8811681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KR20080053247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
JP4251067B2 (ja) 個人認証装置及び個人認証用の血管パターン抽出装置
JP5134655B2 (ja) 個人認証システム、個人認証装置、及び血管画像撮影装置
JP5789691B2 (ja) 個人認証装置、及び血管画像撮影装置
JP4555561B2 (ja) 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装置
JP2012128868A (ja) 特徴画像撮影装置、及び個人認証装置
JP6082766B2 (ja) 血管画像撮影装置
JP4603609B2 (ja) 個人認証装置
JP4961492B2 (ja)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JP2009087364A (ja)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JP2013168170A (ja) 生体画像撮影装置
JP2013168171A (ja) 生体画像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