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824A - 편광판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824A
KR20080052824A KR1020060124493A KR20060124493A KR20080052824A KR 20080052824 A KR20080052824 A KR 20080052824A KR 1020060124493 A KR1020060124493 A KR 1020060124493A KR 20060124493 A KR20060124493 A KR 20060124493A KR 20080052824 A KR20080052824 A KR 20080052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otective film
contact
adhesive tape
contac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3242B1 (ko
Inventor
조청래
박두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60124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2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7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moving partially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the roller,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fed round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Abstract

편광판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부착장치는,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며, 원주면을 따라 점착성 테이프가 감겨있는 공급롤러; 보호필름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폐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롤러; 공급롤러와 회수롤러 사이에 마련되고, 공급롤러에서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받아 보호필름의 표면으로 점착성 테이프를 접촉 가압시키는 접촉롤러; 및 접촉롤러가 보호필름의 표면에 접촉 가압될 수 있도록 보호필름에 대해 접촉롤러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접촉롤러용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보호필름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PDP패널용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호필름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상의 로스(Loss)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보호필름, 편광판, 부착, 접촉롤러, 가압, 승하강, 점착성 테이프

Description

편광판 부착장치{Apparatus For Attaching Polarizer To LCD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편광판 부착장치의 동작에 대해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편광판에 대해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편광판 F : 보호필름
T : 점착성 테이프 T1 : 폐 점착성 테이프
1 : 장치본체 2 : 프레임
3 : 이동유닛 3a : 회동축
10 : 롤러지지부 12 : 공급롤러
13 : 회수롤러 14 : 접촉롤러
20 : 접촉롤러용 가압부
본 발명은, 편광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보호필름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PDP패널용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호필름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상의 로스(Loss)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편광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FPD)는, 종전에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로서, 이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EL(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
이러한 평면디스플레이(FPD) 중 하나인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액정표시장치(TFT-LCD)는, 2장의 얇은 상하 유리기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하고, 상하 유리기판의 전극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일종의 광스위치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액정표시장치(LCD)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빠른 속도로 기존의 음극선관(CRT)을 대체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시계를 비롯하여 전자계산기, TV, 노트북 PC 등 전자제품에서 자동차,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LCD)는 크게 TFT 공정, Cell 공정 및 Module 공정을 통해 제품으로 출시된다.
TFT 공정은 반도체 제조 공정과 매우 유사한데, 증착(Deposition), 사진식각(Photo lithography), 식각(Etching)을 반복하여 유리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배열하는 공정이다.
Cell 공정은 TFT 공정에 의해 제조된 TFT 하판과 칼라 필터(Color Filter)인 상판에 액정이 잘 정렬될 수 있도록 배향막을 형성하고, 스페이서(Spacer)를 산호하고 실(Seal) 인쇄를 하여 상하판을 합착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모듈(Module)공정은 완성된 LCD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고 집적 회로(Drive-IC)를 실장한 후,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조립한 다음, 그 배면으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과 기구물을 조립하는 일련의 단계를 가리킨다.
이러한 모듈 공정에서 사용되는 편광판은, LCD패널의 양면에 부착되어 액정을 투과한 빛 중 특정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하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편광판이 LCD패널 조립공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편광판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묻으면 곤란하다. 따라서 편광판이 제조되고 나면 편광판에 별도의 보호필름(Protecting Film)이 부착된다. 물론, 실제의 편광판 부착공정이 진행될 때는 보호필름이 박리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초기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편광판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박리하여 왔 다. 하지만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생산 효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바, 근자에 들어서는 편광판 부착장치 내에 점착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수단을 갖추어, 보호필름의 박리 공정을 진행한 후에 LCD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일련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편광판 부착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를 위해 통상적인 편광판 부착장치에는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와, 점착성 테이프가 보호필름에 접착될 수 있도록 보호필름의 표면으로 점착성 테이프를 접촉 가압시키는 접촉롤러와, 보호필름 박리에 사용되어 그 점착력이 소진된 폐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롤러 등이 갖춰진다. 그리고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에는 공급롤러와 회수롤러 각각을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마련된다.
이에, 보호필름의 박리 공정이 개시되면 공급롤러와 회수롤러가 각각 회전구동하며, 이에 따라, 공급롤러에서 풀려 공급되는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의 일부는 접촉롤러의 외면으로 향하여 보호필름 박리에 사용되고, 점착력이 소진된 폐 점착성 테이프는 회수롤러에 회수되는 일련의 과정이 다수의 편광판마다 반복적으로 진행됨으로써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호필름이 박리된 후에는 LCD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보호필름 박리 공정에 의해 LCD패널에 부착될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즉, LCD패널에 부착될 LCD패널용 편광판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의 점착력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전술한 편광판 부착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보호필름의 박리가 실패로 돌 아가는 경우가 적다.
하지만, PDP패널에 부착될 PDP패널용 편광판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은 LCD패널용 편광판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의 점착력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술한 편광판 부착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PDP패널용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고자 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보호필름이 박리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공정상의 로스(Loss)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보호필름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PDP패널용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호필름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상의 로스(Loss)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편광판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며, 원주면을 따라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감겨있는 공급롤러;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폐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회수롤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급롤러에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받아 상기 보호필름의 표면으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접촉 가압시키는 접촉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보호필름의 표면에 접촉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필름에 대해 상기 접촉롤러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접촉롤러용 가 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롤러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와 상기 보호필름 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롤러용 가압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회수롤러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롤러 및 상기 회수롤러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롤러들을 독립적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공급롤러 구동부 및 회수롤러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롤러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수롤러의 회전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롤러용 가압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보호필름에 접촉 가압될 때, 상기 회수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수롤러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접촉롤러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접촉롤러용 가압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급롤러, 상기 회수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롤러용 가압부는 상기 접촉롤러를 독립적으로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접촉롤러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롤러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롤러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보호필름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촉 가압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롤러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롤러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은 수직축선에 대해 틸팅(tilting)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지지부를 가압하는 틸팅가압유닛일 수 있다.
상기 롤러지지부에는 상기 공급롤러, 상기 회수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 및 상기 폐 점착성 테이프의 텐션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조절용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보호필름의 표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PDP(Plasma Display Panel)패널용 편광판일 수 있다.
상기 롤러지지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가압유닛을 일체로 지지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를 상기 보호필름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편광판에 대해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는 한 쌍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한 쌍의 장치본체를 상기 보호필름의 모서리부에서 대각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편광판 부착장치의 동작에 대해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7은 편광판에 대해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편광판(P, 도 2 내지 도 6 참조)에 대해 보호필름(F, 도 2 내지 도 6 참조)을 박리하는 장치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와, 장치본체(1)를 보호필름(F)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편광판(P)으로부터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이동유닛(미도시)을 구비한다.
여기서 말하는 편광판(P)이란 보호필름(F)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PDP패널용 편광판(P)을 가리킨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아니므로 LCD패널용 편광판(미도시)으로부터 보호필름(미도시)을 박리하고자 할 때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장치본체(1)에는 후술할 롤러지지부(10), 프레임(2) 및 가압유닛(3) 등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지지부(10), 프레임(2) 및 가압유닛(3)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본체(1)는 경우에 따라 1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장치본체(1)를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2개의 장치본체(1)가 적용될 경우, 각각의 장치본체(1)는 보호필름(F)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며, 접촉롤러(14)를 통해 보호필름(F)이 일부 박리되도록 한 다음, 이동유닛 에 의해 보호필름(F)의 대각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동작을 보인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장치본체(1)에 구비된 롤러지지부(10), 프레임(2) 및 가압유닛(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10)에는 공급롤러(12), 회수롤러(13) 및 접촉롤러(14)가 결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롤러지지부(10)에는 점착성 테이프(T) 및 폐 점착성 테이프(T1)의 텐션을 조절하는 다수의 텐션조절용 롤러(15)가 더 구비되어 있다. 텐션조절용 롤러(15)는 공급롤러(12)와 접촉롤러(14), 그리고 접촉롤러(14)와 회수롤러(13) 사이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공급롤러(12), 회수롤러(13) 및 접촉롤러(14)에는 점착성 테이프(T)가 권취되어 있다. 여기서, 공급롤러(12)에서 풀려서 접촉롤러(14)에 공급되는 점착성 테이프(T)는 새 것인 반면, 접촉롤러(14)에서 회수롤러(13)롤 향하는 점착성 테이프(T)는 점착력이 소진된 폐 점착성 테이프(T1)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들(T,T1)을 각기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롤러지지부(10)의 일측에 결합된 공급롤러(12)는 아직 사용되지 않은 점착성 테이프(T)가 감겨져(권취되어)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T)는 최초 공급롤러(12)를 통해서 풀리면서 접촉롤러(14)를 경유하고, 최종적으로 회수롤러(13)에 회수된다.
이를 위해, 공급롤러(12)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공급 롤러(12)의 회전은 공급롤러 구동부(미도시)가 담당한다. 즉, 도시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공급롤러 구동부가 공급롤러(1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점착성 테이프(T)의 풀림량을 조절하게 된다.
회수롤러(13)는 공급롤러(12)와 이격된 위치에서 롤러지지부(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회수롤러(13)에는 보호필름(F)의 박리에 사용이 완료되어 그 점착력이 소진된 폐 점착성 테이프(T1)가 회수된다. 회수롤러(13) 역시 공급롤러(12)와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회수롤러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면서 회수롤러(13)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공정 진행 시에 공급롤러(12)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지만, 회수롤러(13)의 경우에는 접촉롤러(14)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역 방향 모두로 회전한다. 물론, 회전 속도와 동작되는 타이밍(timing)에 있어서도 공급롤러(12)와 회수롤러(13)가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접촉롤러(14)는 공급롤러(12)와 회수롤러(13)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롤러지지부(10)에서 접촉롤러(14)는 공급롤러(12) 및 회수롤러(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보호필름(F)에 접촉되는 부분이 접촉롤러(14)이기 때문이다.
접촉롤러(14)는 공급롤러(12)에서 일정량만큼 풀린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받아 보호필름(F) 박리 시에 보호필름(F)의 표면으로 점착성 테이프(T)를 접촉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촉롤러(14)는 공급롤러(12)와 회수롤러(13)와는 달리 해당 위치에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롤러(12)에서 점착성 테이프(T)가 풀려 공급되는 경우에는 접촉롤러(14)가 도 2 내지 도 6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 반대로 회수롤러(13)가 공급롤러(12)와는 달리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접촉롤러(14)가 도 2 내지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접촉롤러(14)의 외면에 위치하는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완전히 접촉하기 위해서는 접촉롤러(14)를 하강시켜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접촉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접촉롤러용 가압부(20)가 구비된다.
접촉롤러용 가압부(20)는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의 표면에 접촉 가압될 수 있도록 보호필름(F)에 대해 접촉롤러(14)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접촉롤러용 가압부(20)는 접촉롤러(14)만을 독립적으로 승하강시킨다. 즉, 접촉롤러용 가압부(20)의 승하강 동작 시, 접촉롤러(14)만이 승하강 동작된다. 따라서 접촉롤러용 가압부(20)는 접촉롤러(14)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며, 접촉롤러(14)에 독립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의 표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편광판 부착장치에는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의 표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된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감지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접촉롤러용 가압부(20)는 전술한 공급롤러 구동부 및 회수롤러 구동부와 함께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즉, 제어부는 접촉롤러용 가압부(20)의 하 강 동작에 의해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에 접촉 가압될 때, 회수롤러(13)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수롤러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회수롤러(13)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보호필름(F)에 접촉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접촉롤러용 가압부(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접촉롤러(14)를 상승시킨다.
이에 대한 도면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접촉롤러용 가압부(2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에 접촉 가압된 상태에서, 회수롤러(1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수롤러(13)와 접촉롤러(14) 사이의 점착성 테이프(T)가 풀리면서 접촉롤러(1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때 접촉롤러(14)를 상승시키게 되면 풀린 만큼의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점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R1)이 증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에 접촉 가압될 때, 회수롤러(1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촉롤러(14) 영역의 점착성 테이프(T)가 일정량만큼 풀리도록 하면서 접촉롤러(14)를 상승시킴으로써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가 보다 넓은 영역에서 보호필름(F)과 점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보호필름(F)의 초기 박리 과정이 실패로 돌아가는 현상을 최대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 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을 보다 더 늘리기 위해, 프레임(2) 및 가압유닛(3)이 더 구비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2)은 롤러지지부(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유닛(3)은 그 일단이 롤러지지부(10)에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2)에 결합되어 프레임(2)에 대해 롤러지지부(1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압유닛(3)은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촉 가압될 수 있도록, 즉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을 보다 더 늘리면서 그 면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해지도록 가압유닛(3)은 수직축선에 대해 틸팅(tilting)된 상태에서 롤러지지부(10)를 가압하는 틸팅가압유닛(3)으로 마련된다. 이 때의 틸팅 각도는 대략 45도 정도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의 수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가압유닛(3)과 롤러지지부(10) 간에는 회동축(3a)이 마련된다.
가압유닛(3)에 대한 동작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가압유닛(3)이 도 5의 B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롤러지지부(10)를 가압하는 경우, 접촉롤러(14)는 소정의 각도만큼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R2)이 더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압유닛(3)의 동작은 접촉롤러용 가압부(20)의 동작이 완료된 후에 진행된다.
이처럼 접촉롤러용 가압부(20) 및 회수롤러(13)의 동작과 이후에 진행되는 가압유닛(3)에 대한 동작을 통해,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R1, R2)은 매우 커질 수 있게 됨으로써 보호필름(F)이 박리되지 못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편광판 부착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클래스(Class) 공정이 진행되어 편광판 부착장치 측으로 보호필름(F) 박리 대상의 편광판(P)이 진입한다. 작업위치에 도달되어 박리 대상의 편광판(P)은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의 A 방향으로 장치본체(1)가 소정 거리 하강한다. 장치본체(1)가 하강함으로써 장치본체(1)에 마련되어 있는 롤러지지부(10), 프레임(2) 및 가압유닛(3)은 함께 일체로 하강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롤러용 가압부(2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롤러(14)가 단독으로 하강하여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점착되도록 한다. 이 때, 감지부는 접촉롤러(14)가 보호필름(F)의 표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된 값을 제어부로 전송한다.
접촉롤러용 가압부(2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접촉되어 점착될 경우,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 간에는 실질적으로 점 접촉의 형태를 띤다.
이처럼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가 보호필름(F)에 접 촉되었을 때, 제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롤러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회수롤러(1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는 다시 접촉롤러용 가압부(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접촉롤러(14)를 상승시킨다. 회수롤러(1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수롤러(13) 측에서 풀린 만큼의 점착성 테이프(T)가 늘어지게 되고, 이 때에 상승하는 접촉롤러(1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R1)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에 대해 가압유닛(3)이 도 5의 B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롤러지지부(10)를 가압한다. 그러면 접촉롤러(14)는 소정의 각도만큼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보호필름(F)을 가압하기 때문에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R2)이 더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롤러용 가압부(20) 및 회수롤러(13)의 동작에 의해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R1)이 증대되고, 또한 가압유닛(3)에 대한 동작에 의해 접촉롤러(14)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 간의 접촉면적(R2)이 증대되기 때문에, 점착성 테이프(T)는 보다 넓은 영역에서 보호필름(F)에 점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의 C 방향으로 장치본체(1)가 상승되면, 장치본체(1)에 마련되어 있는 롤러지지부(10), 프레임(2) 및 가압유닛(3)은 함께 일체로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보호필름(F)의 일부는 편광판(P)으로부터 초기 박리된다. 이 때, 장 치본체(1)를 보호필름(F)의 대가 방향(도 7 참조)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호필름(F)이 편광판(P)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초기 박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과 같이, 보호필름(F)의 일부가 편광판(P)으로부터 초기 박리되면, 도시 않은 그립퍼(Gripper)가 동작하여 초기 박리 완료된 보호필름(F)의 일부 영역을 척킹한다. 이후, 이동유닛(미도시)이 동작함으로써 보호필름(F)은 편광판(P)으로부터 완전히 박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보호필름(F)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PDP패널용 편광판(P)으로부터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호필름(F)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상의 로스(Loss)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보호필름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PDP패널용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호필름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상의 로스(Loss) 발생을 저지할 수 있 다.

Claims (13)

  1.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며, 원주면을 따라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감겨있는 공급롤러;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폐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회수롤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급롤러에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받아 상기 보호필름의 표면으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접촉 가압시키는 접촉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보호필름의 표면에 접촉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필름에 대해 상기 접촉롤러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접촉롤러용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의 외면에 권취된 점착성 테이프와 상기 보호필름 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롤러용 가압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회수롤러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 및 상기 회수롤러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롤러들을 독립적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공급롤러 구동부 및 회수롤러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롤러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수롤러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롤러용 가압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보호필름에 접촉 가압될 때, 상기 회수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수롤러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접촉롤러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접촉롤러용 가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 상기 회수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롤러용 가압부는 상기 접촉롤러를 독립적으로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접촉롤러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롤러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보호필름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촉 가압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롤러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롤러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수직축선에 대해 틸팅(tilting)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지지부를 가압하는 틸팅가압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에는 상기 공급롤러, 상기 회수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 및 상기 폐 점착성 테이프의 텐션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조절용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가 상기 보호필름의 표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PDP(Plasma Display Panel)패널용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가압유닛을 일체로 지지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를 상기 보호필름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편광판에 대해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한 쌍 마련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한 쌍의 장치본체를 상기 보호필름의 모서리부에서 대각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KR1020060124493A 2006-12-08 2006-12-08 편광판 부착장치 KR10086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93A KR100863242B1 (ko) 2006-12-08 2006-12-08 편광판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93A KR100863242B1 (ko) 2006-12-08 2006-12-08 편광판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824A true KR20080052824A (ko) 2008-06-12
KR100863242B1 KR100863242B1 (ko) 2008-10-15

Family

ID=3980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493A KR100863242B1 (ko) 2006-12-08 2006-12-08 편광판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2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697B1 (ko) * 2012-11-21 2014-01-03 주식회사 화인알텍 디스플레이 캐비닛의 보호테이프 부착 지그
CN105093587A (zh) * 2015-08-24 2015-11-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片贴附设备
CN105842772A (zh) * 2016-05-19 2016-08-10 深圳市易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无气泡贴膜机构
CN113134453A (zh) * 2021-04-07 2021-07-20 刘霞 一种胶带生产用离型纸涂胶设备及涂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038B1 (ko) 2009-07-31 2011-08-16 주식회사 신도기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표면투명부재의 접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579A (ko) * 2003-03-24 2004-10-06 이종수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보호필름 제거방법 및 장치
KR100445763B1 (ko) * 2003-11-04 2004-08-25 (주)신세계엔지니어링 엘씨엠 보드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697B1 (ko) * 2012-11-21 2014-01-03 주식회사 화인알텍 디스플레이 캐비닛의 보호테이프 부착 지그
CN105093587A (zh) * 2015-08-24 2015-11-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片贴附设备
CN105093587B (zh) * 2015-08-24 2018-11-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片贴附设备
CN105842772A (zh) * 2016-05-19 2016-08-10 深圳市易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无气泡贴膜机构
CN113134453A (zh) * 2021-04-07 2021-07-20 刘霞 一种胶带生产用离型纸涂胶设备及涂胶方法
CN113134453B (zh) * 2021-04-07 2022-03-29 福建友谊胶粘带集团有限公司 一种胶带生产用离型纸涂胶设备及涂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242B1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210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0863242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0969626B1 (ko)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102092017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711957B1 (ko) 회전이동형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단자 인쇄 시스템
KR101711956B1 (ko) 평행이동형 디스플레이 패널 측면단자 인쇄 시스템
KR101095511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0880554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190078799A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0832774B1 (ko)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
KR100846323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190053373A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20190053371A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TWI386704B (zh) 用以將偏光片貼合在液晶顯示面板的設備
KR100915201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0797572B1 (ko) 수직형 기판 이송장치
KR100847697B1 (ko)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
KR100840985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1404057B1 (ko) 기판 합착 장치용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
KR100799236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KR101396222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130005999A (ko) 표시패널의 외곽부 잉크 전사장치
KR101430670B1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KR102132436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