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971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편집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편집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971A
KR20080051971A KR1020060123868A KR20060123868A KR20080051971A KR 20080051971 A KR20080051971 A KR 20080051971A KR 1020060123868 A KR1020060123868 A KR 1020060123868A KR 20060123868 A KR20060123868 A KR 20060123868A KR 20080051971 A KR20080051971 A KR 2008005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m
contents
content
file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세실
유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971A/ko
Priority to US11/950,902 priority patent/US8516598B2/en
Publication of KR2008005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7License processing; Key processing
    • G06F21/1075Ed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함)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DRM 파일 편집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DRM 파일 내에 포함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설정받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상기 DRM 파일의 편집 가능 영역에 명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멀티 DRM 파일내의 편집 가능 영역을 이용하여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명시함으로써, 하나의 DRM 파일 내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음악 앨범 및 테마 패키지와 같은 패키지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DRM, 컨텐츠, 편집, 용도, OMA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DIGITAL RIGHT MANAGEMENT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의 DRM 컨텐츠로 구성된 DRM 파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DRM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의 용도를 명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DRM 파일의 편집 가능 영역에 각 컨텐츠의 용도를 명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DRM 파일의 편집 가능 영역에 각 컨텐츠의 용도를 명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함)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DRM 컨텐츠를 포함하는 DRM 파일의 편집 가능한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명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상기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생성 및 공유가 급격히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터넷을 통해 공유되는 정보(혹은 컨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논쟁이 가열되어 상기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DRM 컨텐츠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여기서, 상기 DRM 컨텐츠 기술은 컨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고, 상기 컨텐츠의 사용에 따른 과금, 유통 및 관리를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종래의 DRM 파일은 하나의 DRM 컨텐츠를 의미하는 개념이었으나, 최근에는 복수의 DRM 컨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즉, 하나의 DRM 파일 내에 이미지 컨텐츠,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마임(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타입, 즉, 서로 다른 미디어 타입을 갖는 복수 개의 컨텐츠가 포함된 멀티 DRM 파일이 제공되고 있다. 상술한 멀티 DRM 파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F(DRM Content Format) 파일 헤더와 서로 다른 마임 타입을 가지는 복수의 컨텐츠, 그리고 편집 가능한 영역(101)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멀티 DRM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는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될 가능성을 갖고 있으나, 이를 위한 방법들이 제기되지 않고 있다. 또한, 상기 멀티 DRM 파일 내에는 편집 가능한 영역(101)이 존재하고 있으나, 현재는 상기 편집 가능한 영역(101)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함)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DRM 파일에 포함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명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DRM 파일의 편집 가능한 영역에 DRM 컨텐츠 각각의 용도를 명시하여 테마 패키지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함) 컨텐츠 편집 방법은, 특정 DRM 파일 편집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DRM 파일 내에 포함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설정받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상기 DRM 파일의 편집 가능 영역에 명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함) 컨텐 츠 편집 장치는, 특정 DRM 파일 편집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DRM 파일 내에 포함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상기 DRM 파일의 편집 가능 영역에 명시하는 DRM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DRM 컨텐츠를 포함하는 DRM 파일의 편집 가능한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명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DRM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DRM 컨텐츠를 포함하고, OMA(Open Mobile Alliance) DRM v2.0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편집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DRM 파일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DRM 편집부(202), 통신모듈(204), 저장부(206), 표시부(208), 입력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 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20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DRM 편집부(202)를 포함함으로써, DRM 파일에 포함된 DRM 컨텐츠의 용도를 설정하기 위한 DRM 컨텐츠 편집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저장부(206) 혹은 상기 통신모듈(204)로부터 입력된 DRM 파일 내에 포함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RM 편집부(202)는 상기 저장부(206) 혹은 상기 통신모듈(204)로부터 입력된 멀티 DRM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DRM 파일 내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컨텐츠 식별자(Content ID; CID)와 미디어 타입(type)을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각각의 컨텐츠 식별자와 미디어 타입을 상기 표시부(208)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표시부(208)에 컨텐츠 용도 설정 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후, 상기 DRM 편집부(202)는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DRM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용도가 입력될 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 DRM 파일 내의 편집 영역에 상기 입력된 각각의 컨텐츠 용도를 명시하고 상기 저장부(206)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M 파일 내의 편집 가능 영역(401)에 컨텐츠 식별자가 222.jpg이고 미디어 타입이 image/gif인 두 번째 컨텐츠의 사용 용도를 "subLCD-image"(403)로 명시하고, 컨텐츠 식별자가 777.jpg이고 미디어 타입이 audio/mid인 일곱 번째 컨텐츠의 사용 용도를 "msg-alert"(405)와 "01101230123"(407)로 명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DRM 컨텐츠의 사용 용도를 명시함으로써, 상기 두 번째 DRM 컨텐츠인 111.jpg 이미지를 부화면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일곱 번째 DRM 컨 텐츠인 777.mid 오디오 파일을 메시지 도착 알림음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01101230123의 발신 전화번호에 대한 벨소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신모듈(204)은 안테나(116)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DRM 컨텐츠 제공 서버 혹은 다른 단말기로부터 DRM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단말기로 사용 용도가 명시된 멀티 DRM 파일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6)는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일시적인 데이터 및 보관용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206)는 상기 통신모듈(204)로부터 수신된 DRM 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DRM 편집부(202)에 의해 각 컨텐츠별로 사용 용도가 명시된 DRM 파일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2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208)는 상기 DRM 편집부(202)로부터 상기 컨텐츠 각각의 컨텐츠 식별자와 미디어 타입을 입력받아 해당 DRM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의 용도를 설정받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입력부(210)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DRM 파일 내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의 용도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00)내에 포함된 상기 DRM 편집부(202)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DRM 파일에 포함된 각각의 컨텐츠 용도를 명시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단말은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DRM 파일 내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사용 용도를 명시하기 위한 DRM 컨텐츠 편집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DRM 컨텐츠 편집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단말은 30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된 DRM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DRM 파일 내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의 컨텐츠 식별자와 미디어 타입을 확인한 후, 상기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설정받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 설정이 완료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컨텐츠 각각의 용도 설정이 완료될 시, 상기 단말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상기 DRM 파일 내의 편집 가능 영역에 명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컨텐츠 용도의 명시는 XML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의 이미지 컨텐츠와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DRM 파일에서 상기 하나의 이미지를 음악 재생 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 이미지로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는 순서를 설정하고자 한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RM 파일 내의 편집 가능 영역(501)에 컨텐츠 식별자가 111.jpg이고 미디어 타입이 image/gif인 첫 번째 컨텐츠의 사용 용도를 "album jacket"(503)으로 명시하고, 컨텐츠 식별자가 222.mp3이고 미디어 타 입이 audio/mp3인 일곱 번째 컨텐츠의 사용 용도를 "music1"(505)으로 명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DRM 파일 내의 첫 번째 컨텐츠는 상기 DRM 파일내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재생 시 배경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며 두 번째 컨텐츠는 상기 음악 컨텐츠 재생 시 항상 첫 번째로 재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9단계에서 상기 사용용도가 명시된 멀티 DRM 파일을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 DRM 파일내의 편집 가능 영역을 이용하여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명시함으로써, 하나의 DRM 파일 내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음악 앨범 및 테마 패키지와 같은 패키지 서비스에 활용할 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함) 컨텐츠 편집 방법에 있어서,
    특정 DRM 파일 편집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DRM 파일 내에 포함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설정받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상기 DRM 파일의 편집 가능 영역에 명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설정받는 과정은,
    상기 특정 DRM 파일 내에 포함된 DRM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표시부에 상기 DRM 컨텐츠의 정보를 나타내어 상기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 설정을 요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의 정보는, 컨텐츠 식별자(content ID)와 미디어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용도의 명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함) 컨텐츠 편집 장치에 있어서,
    특정 DRM 파일 편집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DRM 파일 내에 포함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를 상기 DRM 파일의 편집 가능 영역에 명시하는 DRM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RM 편집부는, 상기 특정 DRM 파일 내에 포함된 DRM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DRM 편집부에서 분석된 상기 DRM 컨텐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DRM 컨텐츠 각각의 사용 용도 설정을 요구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의 정보는, 컨텐츠 식별자(content ID)와 미디어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RM 편집부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상기 편집 가능 영역에 상기 사용 용도를 명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123868A 2006-12-07 2006-12-07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편집 방법및 장치 KR20080051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868A KR20080051971A (ko) 2006-12-07 2006-12-07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편집 방법및 장치
US11/950,902 US8516598B2 (en) 2006-12-07 2007-12-05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868A KR20080051971A (ko) 2006-12-07 2006-12-07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편집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971A true KR20080051971A (ko) 2008-06-11

Family

ID=3954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868A KR20080051971A (ko) 2006-12-07 2006-12-07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편집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6598B2 (ko)
KR (1) KR20080051971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9617A1 (en) * 2002-05-09 2003-11-11 Shachar Or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synd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digital assets through a network
US7318236B2 (en) * 2003-02-27 2008-01-08 Microsoft Corporation Tying a digital license to a user and tying the user to multiple computing devices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JPWO2005010762A1 (ja) * 2003-07-25 2006-09-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US20050132207A1 (en) * 2003-12-10 2005-06-16 Magda Mourad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learning material using digital ownership rights
KR100533680B1 (ko) 2003-12-10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장치및 방법
KR100619940B1 (ko) 2004-10-13 200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접속방법
KR20060085863A (ko) 2005-01-25 2006-07-28 (주)이한씨앤티 오디오파일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디오파일 편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6598B2 (en) 2013-08-20
US20080154972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11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7240033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7215779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200500337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rendering an advertisement
US20070294177A1 (en) Mobile content publishing system and method
US9043242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078507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 재생 방법 및장치
CN100490374C (zh) 内容分配系统和方法、服务器、用户终端、加密设备、管理设备和成流设备
JPWO2003040930A1 (ja) 情報配信装置、情報処理端末、コンテンツの外部保存方法、コンテンツの外部出力方法、コンテンツデータ、出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US9197609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tecting multimedia data of multimedia message
US20070157071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s
US200900374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8005197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편집 방법및 장치
JP4326494B2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20090011152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2911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EP2263358B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US8635160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2005235170A (ja) 注文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7028142A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47616B2 (ja) 復号処理装置、端末装置、復号処理方法及び復号処理プログラム
KR2008000409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제작 및접근 장치 및 방법
JP4726132B2 (ja) 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219345A (ja) 合成装置、合成システム、合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67434A (ja) サーバ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