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530A -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530A
KR20080051530A KR1020060122836A KR20060122836A KR20080051530A KR 20080051530 A KR20080051530 A KR 20080051530A KR 1020060122836 A KR1020060122836 A KR 1020060122836A KR 20060122836 A KR20060122836 A KR 20060122836A KR 20080051530 A KR20080051530 A KR 2008005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e
error
oscillation
accur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533B1 (ko
Inventor
김영범
염동엽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2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5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y temporarily changing the number of pulses per unit time, e.g. quick-feed metho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3/00Producing timing pul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에 내재된 시간 오차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하기 위상차신호의 절대치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조절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 및 상기 시각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준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위상비교기를 포함한다.
누적, 시간, 오차, 저감, 발진주파수

Description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INTEGRATED TIME ERROR REDUCING DEVICE AND ITS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블럭도, 및
도 3은 누적시간 대비 오차기울기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11: 안테나 213: RF 튜너
215: 시보신호검출기 230: 마이컴
240: 분주기 250: 위상비교기
본 발명은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누적 시간 오차의 기울기를 제어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기준시각과의 시각차를 줄일 수 있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소정 시각마다 상용방송에서 제공되는 시보 신호를 검출하여 현재시각을 기준시각에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기준시각과의 시각차를 줄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고, 본원 출원일 현재 미공개된 기술이며, 상용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독립 생존형 클럭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라디오 등과 같은 각종 상용방송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RF 튜너(110)와, RF 튜너(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신호에 대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기(120)와, 수정 발진기 등과 같은 각종 발진기의 펄스를 분주하여 동기신호 검출기(120)로부터 출력되는 정각신호에 동기되는 초 펄스(1 pps)를 생성하는 분주기(130)와, 분주기(130)로부터 공급되는 초 펄스(1 pps)를 계수하여 년,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시각정보로 변환하는 계수기(140)와, 계수기(140)로부터 출력되는 년, 월, 일, 시, 분, 초에 대한 시각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세서(150), 분주기(130)와 계수기(140) 및 프로세서(150) 등으로 구성된 클럭 회로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즉, 충전회로를 가지는 배터리(160) 및 분주기(130)로부터 공급되는 초 펄스(1 pps)를 증폭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펄스 드라이버(170)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라 상용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시각정보 즉, 년, 월, 일, 시, 분, 초 등을 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클럭 제공장치는 제조하는 과정에서 시리얼 데이터 입력 포트를 통해서 년, 월, 일, 시, 분, 초 등의 시각정보를 입력시켜 현재시각을 설정하게 된다.
계수기(140)에 현재시각의 년, 월, 일, 시, 분, 초 등에 대한 시각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RF 튜너(110)는 튜닝된 채널의 라디오 등과 같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동기신호 검출기(120)에 전달한다.
RF 튜너(110)로부터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가 전달되면, 동기신호 검출기(120)는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로부터 동기신호 즉, 매시 정각신호를 검출한 후 이를 분주기(130)에 전달한다.
분주기(130)는 매시 정각신호에 동기되는 초 펄스(1 pps)를 생성하여 계수기(140)와 펄스 드라이버(170)에 각각 공급하며, 이렇게 생성되는 초 펄스(1 pps)는 수정 발진기와 같은 발진기에서 발진되는 발진주파수를 분주하여 얻어진다.
계수기(140)는 분주기(130)로부터 제공되는 초 펄스(1 pps)를 계수하여 현재 시각 이전의 년, 월, 일, 시, 분, 초의 시각정보를 현재시각의 년, 월, 일, 시, 분, 초의 시각정보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50)에 제공하고, 프로세서(150)는 년, 월, 일, 시, 분, 초의 시각정보에 대한 시리얼 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매시 정각 신호로부터 다음 정각 신호 전까지 발생하는 기준시각과의 오차는 시계에 내재된 시간 오차 기울기를 가지고 발생하게 되고, 이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시계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도 3의 3번 참조). 여기서, 시계에 내재된 시간 오차 기울기는 시계 내 발진기 - 예컨대, 수정 오실레이터 - 의 발진주파수 오차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심지어 위와 같이 종래기술조차 적용할 수 없는 시계에서의 기준 시각과의 오차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점차 더 커지게 되는데, 이는 경년 변화에 따른 오차를 수반하기 때문이다(도 3의 2번 참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시계에 내재된 시간 오차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하기 위상차신호의 절대치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조절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 및 상기 시각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준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위상비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기준 시각과의 오차를 포함하는 외부 명령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오차신호입력수단; 상기 외부 명령 신호를 이용하여 분주 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조절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 및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주기의 조절된 개수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되는 증가 혹은 감소 개수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1
여기서, 개선 정확도라 함은, 기대 정확도에서 측정 정확도를 뺀 값이고, 상기 기대 정확도는 소정 시간 경과 후 발생하는 시간 오차의 한계값을 상기 소정 시간으로 나눈 값이며, 상기 측정 정확도는 실제 오차 시간을 상기 소정 시간으로 나눈 값이고, 상기 최소 조절 정확도라 함은, 상기 분주기에서 발생하는 발진 주파수의 1주기를 1초로 나눈 값임.
바람직하게는, 본원 발명의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전달되는 방송신호를 동조하기 위한 고주파 동조부; 및 동조된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을 알리는 시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시보신호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준 신호는 상기 시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의 제3 발명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방법은, 하기 위상차신호의 절대치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준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제4 발명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방법은, 기준 시각과의 오차를 포함하는 외부 명령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명령 신호를 이용하여 분주 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누적 시간 오차 저감 방법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를 동조하는 단계; 및 동조된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을 알리는 시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준 신호는 상기 시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 기 위한 안테나(211), 안테나를 통하여 전달되는 방송신호를 동조하기 위한 고주파 동조부(213, RF 튜너), 동조된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을 알리는 시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시보신호검출기(215), 마이컴(230)으로부터 출력되는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 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240), 분주기(240)로부터 출력되는 시각 신호와 시보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위상비교기(250), 위상차신호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분주기(240)의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조절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230)을 포함한다.
분주기(240)에 결합된 발진기는, 예컨대, 32.768 kHz의 기준 발진 주파수로 발진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로 발진하게 되면 시계의 현재시각은 기준시각에 비해 앞서거나 뒤지게 되고, 이러한 오차가 누적되는 경우 표준시각과의 차이는 점차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발진기의 실제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보다 소정 값 이상 높으면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보다 소정 값 이하 낮으면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저감시킨다.
실제 발진 주파수와 기준 발진 주파수 간의 차이는 실제 발진 주파수의 1주기와 기준 발진 주파수의 1주기 간의 차이와 비례하므로,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증감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발진기(OSC)의 정확도(Accuracy, y)와 장기 안정도(drift rate, K)를 고려할 때, 소정 시간(T) 경과 후 기준 시각과의 시간차(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2
)는 다음 수학식1과 같다.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3
여기서, 소정 시간(T)이라 함은 직전 측정시각과 현재 측정시각 사이의 간격으로서, 마이컴은 직전에 측정될 때 입력된 위상차신호와 현재 입력되는 위상차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초기값(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4
)을 0이라 하고, 장기 안정도(K)를 무시할 경우, 즉, 짧은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수학식1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5
따라서, 정확도(y)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6
이때, 시계가 지시하는 지시 시각이 기준 시각보다 앞설 수도 있고 혹은 뒤질 수도 있기 때문에 기준 시각과의 시간차(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7
)는 + 혹은 -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위상비교기(250)가 소정 시간(T) 경과 후 기준 시각과의 시간 차(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8
)를 측정하여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면 마이컴(230)은 시간차(
Figure 112006090348510-PAT00009
)를 이용하여 측정 정확도(Detection Accuracy,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0
)를 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되는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아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차 측정은 위상비교기 대신 시간간격 계수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목에 의한 측정, 즉, 사람의 눈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개선 정확도(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1
)는 기대 정확도(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2
)에서 측정 정확도(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3
)를 뺀 값으로 계산된다.
yc = ye - yd
예컨대, 30일에 1초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기를 기대한다면 기대정확도(ye)는 3.85*10- 7 이고, 이상적인 경우, 기대 정확도(ye)는 0 이다. 그리고, 실제 5일에 1초의 오차가 실제 발생한다면 측정 정확도(yd)는 2.31*10- 6 이다.
한편, 마이컴(230)은 최소로 조절가능한 최소 조절 정확도(Resolution Accuracy,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4
)를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예컨대, 발진주파수(f)가 1MHz이면 발진주파수의 1주기는 1마이크로초이므 로, 최소 조절 정확도(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5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6
또는, 발진주파수가 32.768KHz이면, 발진주파수의 1주기는 약 30마이크로초이므로, 최소 조절 정확도(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7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8
또한, 최소 조절 정확도는 초당 1주기의 펄스를 조절할 때이므로, T=1(s)가 된다. 따라서, 발진 주파수가 32.768kHz이면, yr=3*10-5 이 된다.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되는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진기가 디지트 형태로 출력한다면, 마이컴(230)은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증가 혹은 감소되는 디지트 수(D)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90348510-PAT00019
이에 따른 조절 후 발진신호의 초 신호 발생을 위한 발진신호 펄스의 카운트수는 다음과 같다.
조절 후 발진신호의 펄스 카운트 수(Nc) = 조절 전 발진신호의 펄스 카운트 수(N) +/- 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주기는 조절 후 발진신호의 펄스 카운트 수(Nc)만큼을 카운트한 후 초 펄스를 발생시키고, 마이컴은 이를 출력시킨다. 예컨대, 발진기의 발진주파수가 1MHz 이고, 디지트 수(D)가 (-)100인 경우 종래기술에 따르면 1000000개의 디지트를 카운트해서 1개의 초펄스를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999900개의 디지트를 카운트해서 1개의 초펄스를 발생하도록 마이컴은 조절신호를 분주기로 출력하게 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안테나(211), 고주파 동조부(213, RF 튜너), 및 시보신호검출기(215)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기준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기준 신호와 시각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마이컴(230)으로부터 출력되는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 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240), 분주기(240)로부터 출력되는 시각 신호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기준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위상비교기(250), 위상차신호의 절대치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분주기(240)의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조절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230)을 포함한다.
한편,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증가 혹은 감소되는 디지트 수(D)는 제1 실시예에서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자명한 사항이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안테나(211), 고주파 동조부(213, RF 튜너), 시보신호검출기(215) 및 위상비교기(250)를 사용하지 않고, 오차신호 입력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위상차 신호를 직접 마이컴에 인가함으로써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명령신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목오차, 즉, 실생활에서 인간의 눈을 통해 인식되는 오차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는, 기준 시각과의 오차를 포함하는 위상차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오차신호입력수단(260), 위상차 신호가 인가되면 수학식3으로부터 측정 정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측정정확도를 이용하여 분주기(240)의 분주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조절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230),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분주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240)를 포함한다. 이 때,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이컴은 소정의 측정 간격마다 오차신호 입력수단으로부터 위상차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기준 시각과의 시간차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컴은 오차신호 입력수단으로부터 현재 측정되는 시각과 위상차 신호를 동시에 입력받아 소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기준 시각과의 시간차를 계산할 수 있다.
도 3은 누적시간 대비 오차기울기 그래프로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3번과 같이 오차 기울기를 줄이지 못하나, 본 발명에 따른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를 이용하면 4번과 같이 시간에 대한 누적 오차 기울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1은 시보 펄스가 항상 기준 시각과 일정한 편차를 가지고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고, 도면부호2는 발진기 자체 특성에 따라 기준 시각에 대비하여 실제 시각이 일정한 기울기로 빨라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tsync는 동기명령에 따라 실제 시각이 기준 시각에 일치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면부호3은 종래기술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제 시각이 기준 시각에 일치하지만 발진기 자체 특성에 따라 누적 오차 기울기가 정해짐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면부호4 및 5는 본 발명의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에 따라 누적 오차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것을 보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에 대한 누적 오차의 기울기 자체를 줄일 수 있어 소정 시간 경과 후 기준 시각에 대비하여 늦어지거나 빨라지는 정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Claims (8)

  1. 하기 위상차신호의 절대치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조절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 및
    상기 시각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준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위상비교기
    를 포함하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2. 기준 시각과의 오차를 포함하는 위상차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오차신호입력수단;
    상기 위상차 신호를 이용하여 분주 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조절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컴; 및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분주기
    를 포함하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기의 조절된 개수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되는 증가 혹은 감소 개수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Figure 112006090348510-PAT00020
    여기서, 개선 정확도라 함은, 기대 정확도에서 측정 정확도를 뺀 값이고,
    상기 기대 정확도는 소정 시간 경과 후 발생하는 시간 오차의 한계값을 경과된 소정 시간으로 나눈 값이며,
    상기 측정 정확도는 실제 오차 시간을 상기 소정 시간으로 나눈 값이고,
    상기 최소 조절 정확도라 함은, 상기 분주기에서 발생하는 발진 주파수의 1주기를 1초로 나눈 값임.
  4. 제3항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전달되는 방송신호를 동조하기 위한 고주파 동조부; 및
    동조된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을 알리는 시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시보신호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명령신호는 상기 시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5. 하기 위상차신호의 절대치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준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방법.
  6. 기준 시각과의 오차를 포함하는 위상차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위상차 신호를 이용하여 분주 대상 발진신호의 개수를 조절하는 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만큼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시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된 개수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되는 증가 혹은 감소 개수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방법.
    Figure 112006090348510-PAT00021
    여기서, 개선 정확도라 함은, 기대 정확도에서 측정 정확도를 뺀 값이고,
    상기 기대 정확도는 소정 시간 경과 후 발생하는 시간 오차의 한계값을 상기 소정 시간으로 나눈 값이며,
    상기 측정 정확도는 실제 오차 시간을 상기 소정 시간으로 나눈 값이고,
    상기 최소 조절 정확도라 함은, 상기 분주기에서 발생하는 발진 주파수의 1주기를 1초로 나눈 값임.
  8. 제7항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를 동조하는 단계; 및
    동조된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매시 정각을 알리는 시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명령신호는 상기 시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적 시간 오차 저감 방법.
KR1020060122836A 2006-12-06 2006-12-06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0840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836A KR100840533B1 (ko) 2006-12-06 2006-12-06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836A KR100840533B1 (ko) 2006-12-06 2006-12-06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530A true KR20080051530A (ko) 2008-06-11
KR100840533B1 KR100840533B1 (ko) 2008-06-23

Family

ID=3980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836A KR100840533B1 (ko) 2006-12-06 2006-12-06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5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4282B2 (ja) * 1993-03-02 2003-04-07 富士通株式会社 リズム生成装置
JPH07113829A (ja) * 1993-10-18 1995-05-02 Advantest Corp 時間・周波数測定装置
KR960009539B1 (en) * 1993-12-27 1996-07-20 Hyundai Electronics I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ime using satellite
JP3085511B2 (ja) * 1994-11-24 2000-09-11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基準周波数発生装置
KR100421056B1 (ko) 2003-08-06 2004-03-04 청호정보통신 주식회사 씨디엠에이 신호를 이용한 디지털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533B1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2920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keeping time
EP3454089A1 (en) Geolocalization system with spoofing detection
US8975970B2 (en) Producing a desired frequency using a controlled oscillator with known temperature sensitivity
AU687177B2 (en) Time correction of an electronic clock
US8749313B2 (en) Correction of low accuracy clock
JP2009300128A (ja) サンプリング同期装置、サンプリング同期方法
JP2007078405A (ja) ソフトウェア時計の計時プログラム
US6590376B1 (en) Method of deriving a frequency of a pulse signal from alternate sources and method of calibrating same
US7013119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reception timing estimating method
CA2744253C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iming signal
JP2016512896A (ja) クオーツ電子時計の高精度計時方法
KR101795199B1 (ko) 신호 처리 장치
WO2000058794A1 (fr) Dispositif electronique, dispositif de reglage externe de dispositif electronique et procede de reglage de dispositif electronique
JP6687930B2 (ja) 人工衛星、衛星システム、及び人工衛星の内部時刻確定方法
EP2854294A1 (en) Temperature compensated timing signal generator
US6442704B1 (en) Ring oscillator clock frequency measuring method, ring oscillator clock frequency measuring circuit, and microcomputer
KR100840533B1 (ko) 누적 시간 오차 저감 장치 및 방법
US8896359B1 (en) Temperature compensated timing signal generator
KR100697799B1 (ko) 상용방송의 시보 서비스에 동기되는 독립 생존형 클럭제공방법
KR100335457B1 (ko) 위상동기루프회로, 편향보정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7333705B2 (ja) 回路システム
JP2005140595A (ja) 電波時計及びその時刻修正方法
CN110572233B (zh) 一种利用ntp辅助作源的守时方法及装置
Riley A DDS clock measurement module
JPH11281778A (ja) 電源同期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