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912A -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912A
KR20080049912A KR1020060120470A KR20060120470A KR20080049912A KR 20080049912 A KR20080049912 A KR 20080049912A KR 1020060120470 A KR1020060120470 A KR 1020060120470A KR 20060120470 A KR20060120470 A KR 20060120470A KR 20080049912 A KR20080049912 A KR 2008004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s
disposed
driving circuit
circuit devic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준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9912A/ko
Publication of KR2008004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는 장변 및 단변을 갖으며 바닥면을 갖고 회로부가 내장된 구동몸체; 상기 바닥면 상에 배치 및 상기 회로부에 연결된 범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범프들은 상기 장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범프들 중 외곽에 배치된 범프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로 갈수록 상기 장변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구동회로장치;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구동회로장치가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범프 중 중앙범프에서 단변방향으로 진행되는 배열방향에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상기 구동회로장치의 범프들의 배열을 개선함으로써 범프들에 연결되는 패드들은 절곡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콤팩트한 형상으로 표시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DRIVING IC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액정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회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장치 5 : 표시패널
10 : 화소영역 20 : 패드영역
25 : 패드 101 : 구동회로장치
110 : 회로부 120 : 구동몸체
130 : 범프 201 :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220 : 플렉서블한 기판 230 : 신호선
본 발명은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로 시대가 급발전함에 따라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 중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해상도, 컬러표시, 화질 등에서 우수하여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모니터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 하부에 배치되고 광원으로 이용되는 백라이트, 그리고 액정패널 외곽에 위치하며 액정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부는 액정패널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회로(D-IC(drive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데, 상기 구동회로를 액정패널에 실장(packaging)시키는 방법에 따라, 칩 온 글라스(COG : chip on glass),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 칩 온 필름(COF : chip on film)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COG방식은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에 구동회로를 직접 접착시켜 상기 구동회로의 출력전극을 상기 어레이기판 상의 게이트 또는 데이터 패드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공정이 비교적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평판디스플레이 중 액정패널을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501)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패널(505)과 상기 액정패널(505)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부(60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액정패널(505)은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컬러필터기판과, 다수의 신호라인 및 신호라인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기판을 합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 사이에 액정을 개재하여 액정층을 형성하고 상기 액정의 광학적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액정패널(505)은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영역(510)과, 상기 화소영역(510)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라인에 영상신호를 인가하는 패드영역(5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패드영역(520)에는 상기 신호라인의 단부에 형성된 패드(525)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525)는 상기 구동회로부(6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회로부(601)는 원가절감 및 실장성을 고려하여 칩온 글라스 실장방식을 통해 액정패널(505)에 실장된다. 여기서 상기 칩온글라스 방식에 의하면, 상 기 구동회로부(601)와 상기 패드(525) 사이에 이방성도전필름을 개재한 후 고온으로 압착함으로써, 상기 패드(525)와 상기 구동회로부(6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구동회로부(601)는 상기 패드(5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범프(63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5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구동회로부(601)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액정패널(505)을 구동하기에 적합한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지정된 타이밍에 상기 액정패널(505)에 인가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상기 액정패널(505)의 해상도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505)에 포함됨 신호라인, 예를 들면,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의 개수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상기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에 형성된 패드(525)의 개수 또한 증가되고 있다. 또한, 증가된 패드(525)의 개수 때문에 상기 패드(525)와 연결되는 구동회로부(601)의 범프(630)의 개수 또한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범프(630)들은 구동회로부(601)에 직선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범프(630)에 접속되는 상기 패드(525) 역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따라서 신호라인의 일부는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신호라인들의 일부를 적어도 한번 절곡함으로써 패드영역(520)의 사이즈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범프의 배치를 개선하여 패드영역의 면적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구동회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구동회로장치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는 장변 및 단변을 갖으며 바닥면을 갖고 회로부가 내장된 구동몸체; 상기 바닥면 상에 배치 및 상기 회로부에 연결된 범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범프들은 상기 장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범프들 중 외곽에 배치된 범프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로 갈수록 상기 장변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장변 및 단변을 갖으며 바닥면을 갖고 회로부가 내장된 구동몸체, 상기 바닥면 상에 배치 및 상기 회로부에 연결된 범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범프들은 상기 장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범프들 중 외곽에 배치된 범프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로 갈수록 상기 장변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되는 구동회로장치; 상기 구동회로장치가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범프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구동회로장 치;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구동회로장치가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범프 중 중앙범프에서 단변방향으로 진행되는 배열방향에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회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회로장치(101)는 구동몸체(120), 회로부(110) 및 범프(1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몸체(12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구동회로장치(101)는 상면(121), 바닥면(125) 및 상면(121)과 바닥면(125)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123)들을 갖는다. 상기 바닥면(125)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장변(127)과 단변(128)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회로부(110)는 상기 구동몸체(120)에 내장되며 범프(130)는 상기 구동몸체(120)의 바닥면(125)에 형성되며, 각 범프(130)는 회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범프(130)들은 상기 구동몸체(120)의 바닥면(125)의 장변(127)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범프(130)들은 단변(128)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130)로 갈수록 상기 장변(127)과 이루는 간격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프(130)들은 'V'자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범프(130)는 상기 회로부(110)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범프들 및 상기 회로부(110)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출력 범프들을 'V'자 형상으로 배치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입력 범프들도 'V'자 형상으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범프(130)들의 배열을 개선함으로써 범프(130)들에 연결되는 신호선들은 절곡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콤팩트한 형상으로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동회로장치는 범프의 배열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의한 구동회로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회로장치(101)는 회로부(110)가 상기 구동몸체(120)에 보호되어 있고, 상기 구동몸체(120)의 바닥면(125)에는 회로부(110)에 연결되어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범프(135)들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범프(135)들은 상기 장변(127)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범프(135)들 중 외곽에 배치된 범프(135)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135)로 갈수록 상기 장변(127)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범프(135)들을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곡선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범프(135)들의 배열을 개선함으로써 범프(135)들에 연결되는 신호선들은 절곡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콤팩트한 형상으로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장치(101)는 앞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201)는 플렉서블한 기판(220), 상기 기판(220) 상에 배치되는 구동회로장치(101) 및 상기 기판(220) 상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회로장치(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선(23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회로장치(101)는 범프(130)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범프(130)들은 제1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몸체(120)의 바닥면(125)의 장변(127)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범프(130)들은 단변(128)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130)로 갈수록 상기 장변(127)과 이루는 간격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프(130)들은 'V'자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프(135)들은 제2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변(127)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범프(135)들 중 외곽에 배치된 범프(135)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135)로 갈수록 상기 장변(127)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범프(135)들을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곡선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범프(130, 135)들은 V자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상기 구동 몸체(120)의 중앙에 배치된 범프(130, 135)로 갈수록 상기 구동회로장치(101)의 장변(127)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범프(130)는 제1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220) 상에 상기 구동회로장치(101)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구동회로장치(101)은 표시패널의 기판 등에 실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220) 상에서 상기 범프(130)들과 연결되는 신호선(230)들은 상기 구동회로장치(101)의 범프(130)에서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220)의 일측 단부까지 형성된 라인으로 상기 신호선(230)은 표시패널 등의 패드와 연결된다.
따라서 배열을 개선한 상기 범프(130)에 상기 신호선(230)을 절곡하지 않고 연결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220)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에 실장된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220)을 절곡하여 표시장치를 형성하는데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220)의 사이즈를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01)에 상기 범프(130)의 배치가 변경된 구동회로장치(101)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01)의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01)를 이용하는 표시장치의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패널(5)과 상기 표시패널(5)에 구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구동회로장치(10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시패널(5)은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영역(10)과, 상기 화소영역(10)에 마련된 다수의 신호라인 및 상기 화소영역(10)의 스위칭소자 등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패드영역(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5)은 액정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및 유기EL 등의 다양한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영역(20)으로는 상기 화소영역(10)에 형성된 다수의 신호라인이 연장되어 패드(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영역(20)에는 구동회로장치(101)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회로장치(101)는 회로부(110)가 내장되며, 장변(127) 및 단변(128)을 갖는 구동몸체(120)의 바닥면(125)에 범프(130)들이 형성된다.
상기 범프(130)들은 제1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몸체(120)의 바닥면(125)의 장변(127)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범프(130)들은 단변(128)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130)로 갈수록 상기 장변(127)과 이루는 간격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범프(130)들은 'V'자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프(135)들은 제2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변(127)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범프(135)들 중 외곽에 배치된 범프(135)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135)로 갈수록 상기 장변(127)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범프(135)들을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곡선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실시예의 범프(130, 135)들을 갖는 구동회로장치(101)를 플렉서블한 기판(220) 상에 형성하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01)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범프(130)는 상기 패드(25)와 연결된다. 상기 패드(25)는 상기 화소영역(10)에 마련된 신호라인과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25)은 또한 상기 범프(130)와 일대일로 대응하여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구동회로장치(101)와 패드(25)의 연결영역을 확대한 도면과 같이, 상기 구동회로장치(101)의 상기 범프(130)들은 장변(127)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범프(130)들은 상기 표시패널(5)의 화소영역(10)에 형성된 신호라인들에서 연장된 패드(25)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25)는 상기 구동회로장치(101)에 마련된 회로부(110)에 연결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범프(130)들의 배치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패드(25)의 배치 및 형상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드(25)는 상기 범프(130)들이 중앙 범프를 중심으로 장변(127)을 따라 나열되는 방향에 예각을 이루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열을 개선한 상기 범프(130)에 상기 패드(25)를 절곡하지 않고 연 결함으로써 상기 표시패널(5)의 패드영역(20)의 사이즈(L)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5)의 상기 패드영역(20)에 구동회로장치(101)를 형성하여 표시장치(1)를 형성하는데 상기 패드(25)의 형상을 절곡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상기 표시장치(1)의 사이즈(L)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201)에서 상기 범프(130)들과 연결되는 신호선(230)들은 상기 구동회로장치(101)의 범프(130)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220)의 일측 단부까지 형성된 라인으로 상기 신호선(230)은 표시패널(5) 등의 패드(25)와 연결된다.
따라서 배열을 개선한 상기 범프(130)에 상기 신호선(230)을 절곡하지 않고 연결함으로써 상기 표시패널(5)의 패드영역(20)의 사이즈(L)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에 실장된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220)을 절곡하여 표시장치(1)를 형성하는데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220)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범프(135)들의 배열을 개선함으로써 상기 범프(135)들에 연결되는 상기 패드(25)들은 절곡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콤팩트한 형상으로 상기 표시장치(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상기 구동회로장치의 범프들의 배열을 개선함으로써 범프들에 연결되는 패드들은 절곡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콤팩트한 형상으로 표시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장변 및 단변을 갖으며 바닥면을 갖고 회로부가 내장된 구동몸체;
    상기 바닥면 상에 배치 및 상기 회로부에 연결된 범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범프들은 상기 장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범프들 중 외곽에 배치된 범프들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로 갈수록 상기 장변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되는 구동회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들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곡선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장치.
  4. 장변 및 단변을 갖으며 바닥면을 갖고 회로부가 내장된 구동몸체, 상기 바닥 면 상에 배치 및 상기 회로부에 연결된 범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범프들은 상기 장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범프들 중 외곽에 배치된 범프로부터 중앙에 배치된 범프로 갈수록 상기 장변과 이루는 간격이 감소되는 구동회로장치;
    상기 구동회로장치가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범프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들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곡선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7. 제 1항 내지 제 3항의 구동회로장치;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구동회로장치가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패드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범프 중 중앙범프에서 단변방향으로 진행되는 배열방향에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4항 내지 제 6항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구동회로장치가 배치되는 패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연결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화소영역에 마련된 다수의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60120470A 2006-12-01 2006-12-01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080049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470A KR20080049912A (ko) 2006-12-01 2006-12-01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470A KR20080049912A (ko) 2006-12-01 2006-12-01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912A true KR20080049912A (ko) 2008-06-05

Family

ID=3980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470A KR20080049912A (ko) 2006-12-01 2006-12-01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991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661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369895A (zh) * 2020-04-23 2020-07-0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383554A (zh) * 2019-11-06 2020-07-07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564111A (zh) * 2020-05-29 2020-08-2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650793A (zh) * 2020-06-28 2020-09-1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阵列基板
CN111681554A (zh) * 2020-06-30 2020-09-18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883039A (zh) * 2020-07-31 2020-11-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驱动芯片及显示装置
CN112867244A (zh) * 2021-02-26 2021-05-2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2262079A1 (zh) * 2021-06-17 2022-12-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驱动芯片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661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383554A (zh) * 2019-11-06 2020-07-07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048132B2 (en) * 2019-11-06 2021-06-29 Shanghai Avic Opto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1383554B (zh) * 2019-11-06 2021-12-17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369895A (zh) * 2020-04-23 2020-07-0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369895B (zh) * 2020-04-23 2022-05-1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564111A (zh) * 2020-05-29 2020-08-2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650793A (zh) * 2020-06-28 2020-09-1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阵列基板
CN111681554A (zh) * 2020-06-30 2020-09-18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883039A (zh) * 2020-07-31 2020-11-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驱动芯片及显示装置
CN112867244A (zh) * 2021-02-26 2021-05-2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2262079A1 (zh) * 2021-06-17 2022-12-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驱动芯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306B1 (ko) 표시 소자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080049912A (ko) 구동회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716446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771258B2 (en) Semiconductor device
TW574581B (en) Flexible substrat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ical equipment
US8541888B2 (en) Pad layout structure of a driver IC chip
US9118324B2 (en) Driver IC chip and pad layout method thereof
CN108663863B (zh) 阵列基板
WO2010013530A1 (ja) 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20110064287A (ko) 외곽영역이 최소화된 액정표시장치
KR20060080756A (ko) 신호전송필름,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98156B1 (ko)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
KR101292569B1 (ko) 액정표시소자
US20190162994A1 (en) Electronic device
KR101424037B1 (ko) 액정표시장치
JP4343328B2 (ja) 表示装置
KR20090046406A (ko) 씨오지 타입 액정표시장치
KR100919190B1 (ko)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KR20080001511A (ko) 액정표시소자
KR100766895B1 (ko) 표시 장치
KR200160829Y1 (ko)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JP2011059339A (ja) 液晶表示装置
KR101033119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80060436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9901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19

Effective date: 201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