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699A - 곡물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곡물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699A
KR20080049699A KR1020080044841A KR20080044841A KR20080049699A KR 20080049699 A KR20080049699 A KR 20080049699A KR 1020080044841 A KR1020080044841 A KR 1020080044841A KR 20080044841 A KR20080044841 A KR 20080044841A KR 20080049699 A KR20080049699 A KR 20080049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inline
vending machine
grain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284B1 (ko
Inventor
전하늘
Original Assignee
전하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하늘 filed Critical 전하늘
Priority to KR102008004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2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4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weigh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2Auxiliary equipment, e.g. for lighting cigars, openin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또는 곡물을 작은 크기로 포장된 상태로 원하는 만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음은 물론 구매 후 쌀 또는 곡물이 남더라도 보관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없으며, 자동판매기 운영측에서는 쌀 또는 곡물의 충전이 매우 쉽도록 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곡물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라인 형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는 등간격의 소규모 포장용기에 쌀 또는 곡물을 1인분 또는 2인분 기준으로 각각 포장하여 이를 박스 형태로 자동판매기에 채우고, 구매를 위해 설정한 곡물의 종류 및 개수에 맞게 커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따라서 곡물이 1인분 또는 2인분 단위로 소규모 포장된 등간격의 인라인 곡물띠를 박스에 담은 상태 그대로 자동판매기에 채울 수 있으므로 자동판매기의 관리가 매우 편리하며, 구매자는 소포장 단위로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잘라 사용하면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남은 곡물을 별도로 관리하지 않아도 밀폐된 소규모 포장용기에 담겨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곡물을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보관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곡물, 자동판매기

Description

곡물 자동판매기{Grai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곡물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을 소포장 단위로 선택하여 살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구조가 점차 전문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가족 문화는 소가족 중심으로 변화하고, 맞벌이 부부, 독신 생활자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식생활 문화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외식과 인스턴트 식품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의 실정에서는 아직까지는 직접 밥을 지어먹는 것이 일반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현재의 소규모 가족 구조에서 기존의 양곡 유통 방식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독신자나 맞벌이 부부의 경우, 필요 이상의 쌀을 구매하여 보관 기간이 오래되면 질이 떨어지는 식사를 하는 것을 비롯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잡곡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소량으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시장이나 소매점에서는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양곡의 종류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백화점이나 규모가 큰 소매점에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몇 종류의 잡곡을 소량으로 포장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또한 구매를 위해 먼 거리를 오 가는 불편을 동반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쌀 또는 각종 곡물을 자신이 원하는 만큼 선택하여 자동으로 구매할 수 있는 곡물 자동판매기가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일반적인 곡물 자동판매기의 경우 큰 크기의 저장탱크에 쌀 또는 곡물을 채워넣은 상태에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양만큼 설정을 해주면 호퍼방식으로 저장탱크의 쌀 또는 곡물을 배출하여 하부의 배출용기에 떨어뜨려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저장탱크에 담기는 쌀 또는 곡물을 항상 신선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고, 저장탱크에 쌀 또는 곡물을 채워넣어주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특히 배출용기를 통해 나온 쌀 또는 곡물을 사용자가 별도의 봉지 또는 용기에 담아주어야 하였으므로 사용상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쌀 또는 곡물을 구매한 후 이를 모두 소비하지 않는한 어느 정도는 각 가정에서 보관하여야 하였으므로 쌀 또는 곡물을 상하지 않도록 보관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하였다.
이를 감안하여 쌀 또는 곡물의 배출과정에서 포장수단을 구비하여 배출되는 쌀 또는 곡물을 자동으로 포장해줄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곡물 자동판매기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까지 쌀 또는 곡물가격에 반영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곡물을 구매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쌀 또는 곡물을 작은 크기로 포장된 상태로 원하는 만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음은 물론 구매 후 쌀 또는 곡물이 남더라도 보관에 특별한 주 의가 필요없으며, 자동판매기 운영측에서는 쌀 또는 곡물의 충전이 매우 쉽도록 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곡물 자동판매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라인 형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는 등간격의 소규모 포장용기에 쌀 또는 곡물을 1인분 또는 2인분 기준으로 각각 포장하여 이를 박스 형태로 자동판매기에 채우고, 구매를 위해 설정한 곡물의 종류 및 개수에 맞게 커팅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곡물이 1인분 또는 2인분 단위로 소규모 포장된 등간격의 인라인 곡물띠를 박스에 담은 상태 그대로 자동판매기에 채울 수 있으므로 자동판매기의 관리가 매우 편리하며, 구매자는 소포장 단위로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잘라 사용하면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남은 곡물을 별도로 관리하지 않아도 밀폐된 소규모 포장용기에 담겨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곡물을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보관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자동판매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라인 곡물띠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라인 곡물띠를 박스에 담은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자동판매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라인 곡물띠를 나선형으로 추린 다른 실시예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자동판매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본체(100) 전면에 도어(101)가 설치되고, 도어(101)의 상부에는 지자체 또는 생산업체의 광고를 실을 수 있는 광고면(102)이 형성되며, 광고면(102)의 하부에는 본체(100) 내부의 곡물의 종류 및 개수를 확인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03)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중간부에는 구매하고자 하는 곡물의 종류 및 개수를 설정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104)이 형성되며, 터치스크린(104)의 주변에는 동전투입구(105), 지폐투입구(106) 또는 카트리더(107)와 같은 결재수단이 형성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스크린(104)과 각 결재수단은 곡물 자동판매기의 모든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됨은 자명하다. 또한, 본체(100)의 중간부에는 곡물을 인출하는 인출구(119)가 형성된다.
곡물 자동판매기의 본체(100) 내하부에는 각기 다른 곡물을 채울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칸으로 구획된 곡물충전공간(108)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도어(101) 하부에는 상기 구획된 각 칸과 통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충전용 도어(109)가 구성된다.
이러한 곡물 자동판매기에는 인라인 형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는 소규모 포장용기(201)에 종류에 맞게 곡물이 각각 포장하여 인라인 곡물띠(200)를 구성하고, 이러한 인라인 곡물띠(200)를 곡물포장박스(300)에 지그재그 형태 또는 나선형으로 추려 담은 상태에서 곡물포장박스(300)의 상부 일측을 통해 인라인 곡물띠 (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곡물포장박스(300)를 곡물충전공간(108)의 각 칸에 그대로 채우게 된다.
본체(100)의 중간부에는 곡물충전공간(108)의 상부를 막아 곡물충전공간(108)과 곡물배출공간(110)으로 구획해주면서 후위에는 곡물충전공간(108)에 채워진 각 곡물포장박스(300)로부터 인라인 곡물띠(200)를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공(111)이 형성된 중간판(112)이 고정되며, 곡물배출공간(108)에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된 피딩롤러(113)가 회전가능하게 위치되어 인라인 곡물띠(200)를 강제로 인출해줌과 동시에 구매자가 설정한 만큼씩 인라인 곡물띠(2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곡물배출공간(108)의 각 코너에는 피딩롤러(113)에 의해 이동하는 인라인 곡물띠(200)를 팽팽하게 안내하는 안내롤러(114)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위치된다.
피딩롤러(113)의 하부에는 피딩롤러(113)에 의해 이동된 인라인 곡물띠(200)를 구매자가 설정한 만큼 커팅해주도록 피스톤로드(115)의 선단부에 커팅날(116)이 형성된 실린더(117)와 커팅시 이를 받쳐주는 받침판(118)이 고정되며, 중간판(112)의 상부에는 도어(101)의 인출구(119)와 통하도록 커팅수단에 의해 커팅된 인라인 곡물띠(200)를 인출구(119) 방향으로 모아주는 호퍼형의 안내판(120)이 고정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라인 곡물띠(200)의 각 포장용기에는 곡물이 일반 포장될 수도 있으나, 곡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진공포장되거나, 질소충전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인라인 곡물띠(200)의 각 포장용기(201) 사이의 바닥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절취선(202)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자동판매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관리자는 인라인 곡물띠(200)가 담긴 곡물포장박스(300)를 종류별로 곡물충전공간(108)에 각각 채운 상태에서 중간판(112)의 인출공(111)을 통해 각 곡물포장박스(300)의 인라인 곡물띠(200)를 상부로 인출하여 각각의 안내룔러(114)를 거쳐 피딩롤러(113)의 사이에 끼워 준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매자는 터치스크린(104)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곡물의 종류 및 개수를 설정하고 터치스크린(104)을 통해 요구되는 금액을 지폐 또는 동전을 통해 현금 결재하거나 카드를 통해 결재하게 되면 중앙처리부에서는 피딩롤러(113)를 구동하여 인라인 곡물띠(200)를 설정된 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피딩롤러(113)를 통해 인라인 곡물띠(200)가 이동완료되면 실린더(117)가 신장되어 피스톤로드(115) 선단부의 커팅날(116)이 인라인 곡물띠(200)의 포장용기(201) 사이를 커팅해주게 되고, 커팅된 인라인 곡물띠(200)는 호퍼형의 안내판(120)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101)의 인출구(119) 근접부위에 위치하게 되며, 구매자는 인출구(119)를 열어 곡물을 빼내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매한 인라인 곡물띠(200)는 마치 줄줄이 연결되어 있는 비엔나 소시지와 같이 여러개가 인라인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또 각 포장용기(201)의 사이에는 절취선(202)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원하는 개수만큼 힘을 주어 각 포장용기(201)를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것이며, 남은 곡물은 별도 로 관리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진공포장되어 있거나 질소충전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항상 신선한 상태로 곡물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곡물이 모두 매진되어 곡물 교체를 요할시에는 터치스크린(104) 또는 별도의 경보 등을 통해 관리자에게 표시해줄 수 있으며, 관리자는 각 충전용 도어(109)를 열어 빈 곡물포장박스(300)를 빼내고 새로운 곡물포장박스(300)를 그대로 채워 간편하게 교체해줄 수 있으므로 관리의 편의성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적용시 곡물충전공간(108)의 크기를 쌀과 곡물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판매율에 따라 곡물충전공간에 채워지는 각 곡물의 비율을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곡물을 인라인 형태로 연결하여 포장하는 것을 예로 하였지만 각 곡물을 개별적으로 포장하여 적층한 상태에서 하나씩 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것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피딩수단의 예로 설명한 피딩롤러(113)나 커팅수단의 예로 설명한 실린더(117)는 얼마든지 다른 장치로 교체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자동판매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라인 곡물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라인 곡물띠를 박스에 담은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자동판매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라인 곡물띠를 나선형으로 추린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01 : 도어 102 : 광고면
103 : 투시창 104 : 터치스크린 105 : 동전투입구
106 : 지폐투입구 107 : 카트리더 108 : 곡물충전공간
109 : 충전용 도어 110 : 곡물배출공간 111 : 인출공
112 : 중간판 113 : 피딩롤러 114 : 안내롤러
115 : 피스톤로드 116 : 커팅날 117 : 실린더
118 : 받침판 119 : 인출구 120 : 안내판
200 : 인라인 곡물띠 201 : 포장용기 202 :절취선
300 : 곡물포장박스

Claims (12)

  1. 장방형의 본체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곡물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형성된 곡물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구매자가 자신이 원하는 곡물의 종류 및 수량을 설정할 수 있는 곡물설정수단;
    상기 곡물설정수단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곡물설정수단을 통해 설정한 곡물의 종류와 개수에 맞게 현금 또는 카드로 결재해주는 결재수단;
    각기 다른 곡물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도어 하부에는 상기 구획된 각 칸과 통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충전용 도어가 구성된 곡물충전공간;
    인라인 형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는 소규모 포장용기에 종류에 맞게 곡물이 각각 포장되어 상기 곡물충전공간의 각 칸에 충전되는 인라인 곡물띠;
    상기 곡물충전공간의 상부를 막아 상기 본체를 상기 곡물충전공간과 곡물배출공간으로 구획해주면서 후위에는 상기 곡물충전공간에 채워진 각 인라인 곡물띠를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공이 형성된 중간판;
    상기 곡물배출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인라인 곡물띠를 강제로 인출해줌과 동시에 구매자가 설정한 만큼씩 상기 인라인 곡물띠를 이동시키는 피딩수단;
    상기 피딩수단에 의해 이동된 인라인 곡물띠를 구매자가 설정한 만큼 커팅해 주는 커팅수단; 및
    상기 중간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구와 통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커팅수단에 의해 커팅된 인라인 곡물띠를 상기 인출구 방향으로 모아주는 안내판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설정수단은 구매자가 원하는 곡물의 종류 및 수량을 설정해주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설정된 설정치와 상기 결재수단을 통해 결재된 금액을 비교하여 서로 합치하는 경우 상기 피딩수단과 상기 커팅수단을 구동해주는 중앙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수단은 현금을 입금해주는 동전투입구 및 지폐투입구와,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리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곡물띠를 곡물포장박스에 추려 담은 상태에서 상기 곡물포장박스의 상부 일측으로 상기 인라인 곡물띠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 곡물포장박스를 상기 곡물충전공간의 각 칸에 채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곡물포장박스에는 상기 인라인 곡물띠가 지그재그 형태 또는 나선형으로 담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배출공간의 각 코너부위에는 상기 피딩수단에 의해 상기 인라인 곡물띠가 이동할 때 상기 인라인 곡물띠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롤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곡물띠의 각 포장용기에는 곡물이 진공포장되거나, 질소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수단은 구동모터와 연결된 피딩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은 선단부에 커팅날이 형성된 피스톤로드를 갖는 실린더와, 상 기 피스톤로드의 커팅날이 상기 인라인 곡물띠의 각 포장용기 사이를 커팅해줄 때 이를 받쳐주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곡물띠의 각 포장용기 사이의 바닥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면부에는 광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면부에는 곡물의 종류 및 개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판매기.
KR1020080044841A 2008-05-15 2008-05-15 곡물 자동판매기 KR100953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841A KR100953284B1 (ko) 2008-05-15 2008-05-15 곡물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841A KR100953284B1 (ko) 2008-05-15 2008-05-15 곡물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699A true KR20080049699A (ko) 2008-06-04
KR100953284B1 KR100953284B1 (ko) 2010-04-16

Family

ID=3980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841A KR100953284B1 (ko) 2008-05-15 2008-05-15 곡물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3057A (zh) * 2017-07-11 2019-01-18 相汇网络科技(杭州)有限公司 早餐售卖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84A (ko) * 1998-09-02 2000-04-06 안재우 벼를 즉석에서 정미하는 쌀 자동판매기.
KR20000036937A (ko) * 2000-04-01 2000-07-05 변명현 곡물자동판매기
KR20020075634A (ko) * 2001-03-26 2002-10-05 김숙현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95176Y1 (ko) 2002-08-29 2002-11-18 안황 즉석 도정 쌀 자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3057A (zh) * 2017-07-11 2019-01-18 相汇网络科技(杭州)有限公司 早餐售卖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284B1 (ko) 201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0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bulk products
US20110295417A1 (en) Vending machine
CN101658373A (zh) 商品陈列系统
JP2014533591A (ja) 製品陳列及び装填システム
JP5879147B2 (ja) 貨幣取引装置および貨幣取引方法
KR100953284B1 (ko) 곡물 자동판매기
US200500923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bulk products
US20170224134A1 (en) Money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JP6637454B2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装置
CN204740667U (zh) 水果沙拉自助售货机
WO2010032055A1 (en) Coin handling apparatus
US20110264607A1 (en) Display For Food Bags
CN210271092U (zh) 一种散装零食自动销售机
CN210428675U (zh) 一种多功能智能柜
KR20090110027A (ko) 자동판매기능을 갖춘 매장용 진열대
CN207503338U (zh) 一种旋转盛货架
KR20090001088A (ko) 다수개의 물품을 한번에 판매 가능한 자동판매기의판매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53853A (ko) 쓰레기 수거장치가 결합된 일회용 돗자리 자동판매기
KR101360006B1 (ko) 컴팩트 자동판매기
JP2005267231A (ja) 物品送出装置
CN212460688U (zh) 一种智能零售机
CN212541450U (zh) 一种可方便移动的卫生棉自动售货柜
CN206893007U (zh) 直扫二维码出货的格子机
BR202017006300U2 (pt)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dispensador automático para comércio de produtos alimentícios a granel
JP6134426B1 (ja) 決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