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634A -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634A
KR20020075634A KR1020010015762A KR20010015762A KR20020075634A KR 20020075634 A KR20020075634 A KR 20020075634A KR 1020010015762 A KR1020010015762 A KR 1020010015762A KR 20010015762 A KR20010015762 A KR 20010015762A KR 20020075634 A KR20020075634 A KR 20020075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rain
storage tank
grain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숙현
Original Assignee
김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현 filed Critical 김숙현
Priority to KR102001001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5634A/ko
Publication of KR2002007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63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은 금전을 인식하는 금전인식기, 쌀이나 그 밖의 잡곡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 쌀이나 그 밖의 잡곡을 각각 저장하는 쌀저장탱크 및 잡곡저장탱크, 상기 쌀저장탱크 및 잡곡저장탱크의 출구를 전기적 신호로 개폐하는 전자개폐기, 쌀을 정미하는 정미기, 쌀과 그 밖의 잡곡을 포장하는 포장기, 쌀이나 잡곡의 양을 감지하는 쌀감지센서 및 잡곡감지센서, 정미기의 불순물배출구 내의 불순물 양을 감지하는 수거함감지센서, 상기 각 센서, 금전인식기 및 선택버튼의 신호를 받아서 전자개폐기, 정미기 및 포장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곡물의 자동판매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투입되는 동전 및 지폐를 인식하여 금액을 합산하는 금전인식단계, 선택버튼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식하는 선택버튼인식단계, 상기 선택버튼인식단계에서 쌀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쌀선택판단단계, 상기 쌀선택판단단계에서 쌀을 선택하면 정미기와 포장기를 구동하는 정미구동단계, 상기 정미구동단계에서 쌀이 정미되어 포장기에서 쌀과 선택된 잡곡이 포장되어 배출되는지를 판단하는 포장완료단계, 상기 포장완료단계에서 포장이 완료되면 정미기 및 포장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업종료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곡물 중에 쌀을 즉석에서 정미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곡물과 함께 자동자판기로 포장 출력되게 함으로써 곡물을 누구나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맛있는 쌀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발휘한다.

Description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OUTPUTTING GRAIN AND CONTROL METHOD OF IT}
본 발명은 백미, 흑미, 보리, 밀, 조, 콩 등과 같은 다수의 곡물 중에 하나또는 다수를 혼합한 곡물을 포장 출력하는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중에 쌀을 즉석에서 정미하여 자동자판기로 포장 출력되게 함으로써 곡물을 누구나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맛있는 쌀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보리, 밀, 조, 콩 등과 같은 곡물은 한 가지이상 상호 혼합하여 음식을 짓게 되는 바, 상기 쌀은 현미, 백미 및 흑미 등으로 구별된다.
상기 쌀을 정미기로 1차적으로 가공하게 되면 벼에서 껍질만 벗겨진 현미가 되고, 현미를 다시 정미 가공하면 백미가 되며, 흑색의 쌀을 정미기로 가공하면 흑미가 되는 바, 종래에는 건강식으로 현미를 많이 먹게 되나, 현미로 밥을 지어 먹게 되면 그 맛이 깔깔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백미에 현미, 흑미, 콩 및 보리 등을 혼합하여 건강혼합곡식으로 밥을 지어서 먹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현미 등에는 영양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잡곡으로 밥을 지어 먹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창고에 저장된 벼를 정미소에서 즉석 정미하여 백미로 만들어서 밥을 짓게 되면 백미의 맛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영양물질의 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정미소가 근처에 있는 시골에는 즉석 정미한 백미로 밥을 지어 먹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농사를 직접 짓는 일부의 농부들만이 벼를 즉석에서 백미로 가공하여 밥을 지어 먹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미소에서 가공되어 제품화된 백미로 밥을 지어 먹게 되어 진정한 백미의 맛을 음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백미를 만들 때에 정미소에서 여려 차례 정미 가공하여 만들기 때문에, 백미를 만드는 정미 작업의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 중에 쌀을 즉석에서 정미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곡물과 함께 자동자판기로 포장 출력되게 함으로써 곡물을 누구나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맛있는 쌀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의 껍질만 벗겨진 쌀을 내장하여 아래로 유출하는 쌀저장탱크, 다수의 잡곡을 각각 내장하여 아래로 유출하는 다수의 잡곡저장탱크, 상기 쌀저장탱크와 잡곡저장탱크의 출구를 전기적인 신호로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다수의 전자개폐기, 상기 쌀저장탱크의 아래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쌀을 동력으로 정미하는 정미기, 상기 정미기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쌀과 상기 잡곡저장탱크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잡곡을 모아서 아래로 유도하는 호퍼부재, 상기 호퍼부재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곡물을 받아서 전기적으로 구동하여 유입 곡물을 포장하는 포장기, 지폐와 동전을 인식하는 금전인식기, 쌀과 다수의 곡물을 선택하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선택버튼기, 상기 쌀저장탱크와 잡곡저장탱크의 내부 아래쪽에 설치되어 저장된 내용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쌀감지센서 및 잡곡감지센서, 상기 정미기에 있는 불순물배출구에 설치되어 불순물배출구에 내장된 불순물의 양이 충전될 때에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수거함감지센서, 그리고 상기 금전인식기, 선택버튼기, 쌀감지센서, 잡곡감지센서 및 수거함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전자개폐기, 정미기 및 포장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곡물의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또한 곡물의 자동판매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투입되는 동전 및 지폐를 인식하여 금액을 합산하는 금전인식단계, 선택버튼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식하는 선택버튼인식단계, 상기 선택버튼인식단계에서 쌀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쌀선택판단단계, 상기 쌀선택판단단계에서 쌀을 선택하면 정미기와 포장기를 구동하는 정미구동단계, 상기 정미구동단계에서 쌀이 정미되어 포장기에서 쌀과 선택된 잡곡이 포장되어 배출되는지를 판단하는 포장완료단계, 상기 포장완료단계에서 포장이 완료되면 정미기 및 포장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업종료단계로 이루어지는 곡물의 자동판매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의 자동판매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의 자동판매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의 자동판매기의 제어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쌀저장탱크 2 : 잡곡저장탱크
3a,3b,3c : 전자개폐기 4 : 정미기
5 : 호퍼부재 6 : 포장기
7 : 금전인식기 8 : 선택버튼기
9 : 쌀감지센서 10 : 잡곡감지센서
11 : 수거함감지센서 12 : 제어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곡물의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상기 곡물의 자동판매기는 쌀저장탱크(1), 다수의 잡곡저장탱크(2), 쌀저장탱크(1) 및 잡곡저장탱크(2)의 출구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전자개폐기(3a,3b,3c), 쌀을 정미하는 정미기(4), 정미된 쌀과 잡곡을 모아서 아래로 유도하는 호퍼부재(5), 쌀과 잡곡을 포장하는 포장기(6), 금전인식기(7), 선택버튼기(8), 쌀감지센서(9), 잡곡감지센서(10), 수거함감지센서(11), 그리고 상기 금전인식기(7), 선택버튼기(8), 각 센서(9,10,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전자개폐기(3a,3b,3c), 정미기(4) 및 포장기(6)를 제어하는 제어기(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쌀저장탱크(1)는 정미소에서 벼의 껍질만 벗겨진 쌀 즉 현미를 내장하여 아래로 유출하는 것이고, 상기 잡곡저장탱크(2)는 하나 이상의 다수로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잡곡을 각각 내장하여 아래로 유출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쌀저장탱크(1)와 작곡저장탱크(2) 내의 쌀과 잡곡은 전자개폐기(3a,3b,3c)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바, 상기 전자개폐기(3a,3b,3c)는 상기 쌀저장탱크(1)와 잡곡저장탱크(2)의 출구를 전기적인 신호로 개별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정미기(4)는 상기 쌀저장탱크(1)의 아래에 배치되어 쌀저장탱크(1)로부터 유출되는 쌀을 동력으로 정미하여 즉석에서 백미로 정미하게 된다.
물론 소비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현미를 백미로 정미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부재(5)는 상기 정미기(4)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쌀과 상기 잡곡저장탱크(2)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잡곡을 모아서 아래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잡곡저장탱크(2)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잡곡을 모아서 유도하는 제1호퍼(5a)와, 상기 정미기(4)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쌀과 상기 제1호퍼(5a)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잡곡을 모아서 상기 포장기(6)로 입구로 유동하는 제2호퍼(5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기(6)는 상기 호퍼부재(5)의 출구, 본 실시예에서는 제2호퍼(5b)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곡물을 받아서 전기적으로 구동하여 유입 곡물을 포장한 제품(20)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금전인식기(7)는 지폐와 동전을 인식하는 것이며, 상기 선택버튼기(8)는 쌀과 다수의 곡물을 선택하는 다수의 버튼이 구성되어 있고, 예컨대 상기 선택버튼기(8)에는 쌀을 선택하는 버튼, 특정 잡곡을 선택하는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현미를 선택하는 버튼, 백미를 선택하는 버튼, 건강혼합곡물을 선택하는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쌀감지센서(9)는 상기 쌀저장탱크(1)의 내부 아래쪽에 설치되어 저장된 쌀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잡곡감지센서(10)는 상기 잡곡저장탱크(2)의 내부 아래쪽에 설치되어 저장된 잡곡의 유무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쌀감지센서(9)와 잡곡감지센서(10)는 제어기(1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수거함감지센서(11)는 상기 정미기(12)에 있는 불순물배출구(미도시)에 설치되어 불순물배출구에 내장된 불순물의 양이 충전될 때에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기(12)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곡물의 자동판매기는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곡물의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동전이나 지폐를 금전인식기(7)에 투입하면 금액을 합산하여 금액의 전도를 인식하게 되는 금전인식단계(S10)에서, 금액이 쌀이나 그 밖의 잡곡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바, 종래와 마찬가지로 선택버튼에 선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선택버튼을 선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선택버튼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식하게 되는 선택버튼인식단계(S20)로 진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선택버튼인식단계(S20)에서 쌀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기(12)가 쌀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쌀선택판단단계(S30)로 진행하게 되며, 쌀을 선택하지 않고 잡곡만을 선택한 경우에는 잡곡만을 포장기(6)로 포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무튼 상기 쌀선택판단단계(S30)에서 쌀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12)가 이를 인식하여 정미구동단계(S40)로 진행하게 되는 바, 상기 단계(S40)에서는 정미기(4)와 포장기(6)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정미구동단계(S40)에서 쌀이 정미되어 포장기(6)로 이송되고, 포장기(6)에서는 유입되는 쌀을 포장하게 출력하게 되는 포장완료단계(S50)가 되며, 이에 따라 작업을 종료하는 작업종료단계(S60)가 된다.
즉 쌀이나 그 밖의 잡곡이 포장기(6)에 유입되어 포장된 제품(20)으로 유출되는 것을 판단(S50)하여 제어기(12)가 정미기(4)와 포장기(6)의 정지하게 된다(S60).
한편 쌀저장탱크(1) 내의 쌀이 부족할 때에 상기 쌀감지센서(9)가 제어기(12)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잡곡저장탱크(2) 내의 잡곡이 부족할 때에 상기 잡곡감지센서(S11)가 제어기(12)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기(12)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S11).
또한 정미기(4)로 현미를 정미하게 되면 현미의 표면이 정미기의 불순물배출구에 위치한 수거함에 쌓이게 되고, 수거함에 쌓인 불순물을 감지하여 청소할 시기가 될 때에 수거함감지센서(11)가 제어기(12)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기(12)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S12).
여기서 상기 제어기(12)는 쌀감지선세(9), 잡곡감지센서(10), 수거함감지센서(11)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완료한 후에 경고등을 발광함과 더불어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S13).
한편 본 발명의 곡물의 자동판매기는 현미만을 선택하는 버튼을 설치할 수 있는 바, 이는 현미를 선택하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정미기로 정미할 필요가 없으므로 잡곡저장탱크에 현미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와 마찬가지로 동전 등의 반환장치, 작동불능시에 곧바로 동전 등의 반환장치, 사용가능 여부의 표시등을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은 즉석에서 현미를 정미한 백미를 이용하여 밥을 지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기름기가 많은 백미의 맛을 쉽게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은 곡물 중에 쌀을 즉석에서 정미하여 밥을 지어 먹을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다른 곡물과 함께 자동판매기로 포장 출력되게 하기 때문에, 맛있는 쌀을 포함한 곡물을 누구나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즉석에서 정미한 쌀을 소비자에게 장소에 관계없이 공급하기 때문에, 맛있는 쌀을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정미소의 가동력을 절감함과 더불어 정미 작업을 분산시켜서 작업 활동의 분산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더 있다.

Claims (3)

  1. 벼의 껍질만 벗겨진 쌀을 내장하여 아래로 유출하는 쌀저장탱크, 다수의 잡곡을 각각 내장하여 아래로 유출하는 다수의 잡곡저장탱크, 상기 쌀저장탱크와 잡곡저장탱크의 출구를 전기적인 신호로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다수의 전자개폐기, 상기 쌀저장탱크의 아래에 배치되어 쌀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쌀을 동력으로 정미하는 정미기, 상기 정미기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쌀과 상기 잡곡저장탱크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잡곡을 모아서 아래로 유도하는 호퍼부재, 상기 호퍼부재의 출구에서 유출되는 곡물을 받아서 전기적으로 구동하여 유입 곡물을 포장하는 포장기, 지폐와 동전을 인식하는 금전인식기, 쌀과 다수의 곡물을 선택하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선택버튼기, 상기 쌀저장탱크와 잡곡저장탱크의 내부 아래쪽에 설치되어 저장된 내용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쌀감지센서 및 잡곡감지센서, 상기 정미기에 있는 불순물배출구에 설치되어 불순물배출구에 내장된 불순물의 양이 충전될 때에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수거함감지센서, 그리고 상기 금전인식기, 선택버튼기, 쌀감지센서, 잡곡감지센서 및 수거함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전자개폐기, 정미기 및 포장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곡물의 자동판매기.
  2. 금전을 인식하는 금전인식기, 쌀이나 그 밖의 잡곡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 쌀이나 그 밖의 잡곡을 각각 저장하는 쌀저장탱크 및 잡곡저장탱크, 상기 쌀저장탱크 및 잡곡저장탱크의 출구를 전기적 신호로 개폐하는 전자개폐기, 쌀을 정미하는 정미기, 쌀과 그 밖의 잡곡을 포장하는 포장기, 쌀이나 잡곡의 양을 감지하는 쌀감지센서 및 잡곡감지센서, 정미기의 불순물배출구 내의 불순물 양을 감지하는 수거함감지센서, 상기 각 센서, 금전인식기 및 선택버튼의 신호를 받아서 전자개폐기, 정미기 및 포장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곡물의 자동판매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투입되는 동전 및 지폐를 인식하여 금액을 합산하는 금전인식단계,
    선택버튼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식하는 선택버튼인식단계,
    상기 선택버튼인식단계에서 쌀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쌀선택판단단계,
    상기 쌀선택판단단계에서 쌀을 선택하면 정미기와 포장기를 구동하는 정미구동단계,
    상기 정미구동단계에서 쌀이 정미되어 포장기에서 쌀과 선택된 잡곡이 포장되어 배출되는지를 판단하는 포장완료단계,
    상기 포장완료단계에서 포장이 완료되면 정미기 및 포장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업종료단계로 이루어지는 곡물의 자동판매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쌀감지센서, 잡곡감지센서 및 수거함감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완료한 후에 경고등을 발광함과 더불어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곡물의 자동판매기의 제어방법.
KR1020010015762A 2001-03-26 2001-03-26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75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762A KR20020075634A (ko) 2001-03-26 2001-03-26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762A KR20020075634A (ko) 2001-03-26 2001-03-26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634A true KR20020075634A (ko) 2002-10-05

Family

ID=2769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762A KR20020075634A (ko) 2001-03-26 2001-03-26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56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80B1 (ko) * 2006-07-05 2007-11-02 전병현 현미 자동판매기
KR100914155B1 (ko) * 2009-04-09 2009-08-28 임도영 즉석 도정 쌀 자동판매기
KR100953284B1 (ko) * 2008-05-15 2010-04-16 전하늘 곡물 자동판매기
CN108109271A (zh) * 2018-01-09 2018-06-01 深圳市农大田园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现碾不同精度鲜米的智能售米机及其售米方法
CN109191692A (zh) * 2018-08-08 2019-01-11 徐州广勤米业有限公司 一种大米自动销售贩卖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468A (ja) * 1995-03-15 1996-10-01 Iseki & Co Ltd 精米自動販売機
KR20000018684A (ko) * 1998-09-02 2000-04-06 안재우 벼를 즉석에서 정미하는 쌀 자동판매기.
KR20000036937A (ko) * 2000-04-01 2000-07-05 변명현 곡물자동판매기
KR20010058002A (ko) * 1999-12-23 2001-07-05 손영석 곡식 자동 판매기
KR20020061014A (ko) * 2001-01-12 2002-07-20 허원숙 곡물자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468A (ja) * 1995-03-15 1996-10-01 Iseki & Co Ltd 精米自動販売機
KR20000018684A (ko) * 1998-09-02 2000-04-06 안재우 벼를 즉석에서 정미하는 쌀 자동판매기.
KR20010058002A (ko) * 1999-12-23 2001-07-05 손영석 곡식 자동 판매기
KR20000036937A (ko) * 2000-04-01 2000-07-05 변명현 곡물자동판매기
KR20020061014A (ko) * 2001-01-12 2002-07-20 허원숙 곡물자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80B1 (ko) * 2006-07-05 2007-11-02 전병현 현미 자동판매기
KR100953284B1 (ko) * 2008-05-15 2010-04-16 전하늘 곡물 자동판매기
KR100914155B1 (ko) * 2009-04-09 2009-08-28 임도영 즉석 도정 쌀 자동판매기
CN108109271A (zh) * 2018-01-09 2018-06-01 深圳市农大田园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现碾不同精度鲜米的智能售米机及其售米方法
CN109191692A (zh) * 2018-08-08 2019-01-11 徐州广勤米业有限公司 一种大米自动销售贩卖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9929A1 (en) Method for Adjusting a Banknote Processing Machine
KR20020075634A (ko) 곡물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109271B (zh) 一种现碾不同精度鲜米的智能售米机及其售米方法
KR200373819Y1 (ko) 도서 자동판매장치
KR20000018684A (ko) 벼를 즉석에서 정미하는 쌀 자동판매기.
KR20160081153A (ko)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JP2009217761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TWM461840U (zh) 碾米販賣設備電路控制裝置
KR20010058034A (ko) 떡 자동 판매기
KR20010058003A (ko) 잡곡 자동 판매기
KR20010058002A (ko) 곡식 자동 판매기
KR20010058018A (ko) 과일 자동 판매기
KR200154070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 감지 제어 장치
KR950002961Y1 (ko) 도시락 자판기
KR20010058008A (ko) 식육 자동 판매기
KR20020091555A (ko) 자기 컵을 이용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
KR20010068915A (ko) 수산물 가공식품 자동 판매기
KR19990004479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장치 및 방법
KR20010068869A (ko) 바베큐 자동 판매기
KR20010058036A (ko) 사료 자동 판매기
KR20010068889A (ko) 튀밥 자동 판매기
KR20040070549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및 방법
KR20010068916A (ko) 곡류 가공식품 자동 판매기
KR20000009347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품절 감지방법
KR20010058041A (ko) 오징어 자동 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