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237A -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237A
KR20080049237A KR1020060119598A KR20060119598A KR20080049237A KR 20080049237 A KR20080049237 A KR 20080049237A KR 1020060119598 A KR1020060119598 A KR 1020060119598A KR 20060119598 A KR20060119598 A KR 20060119598A KR 20080049237 A KR20080049237 A KR 2008004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lighting
unit
assembl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073B1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073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버튼부와; 상기 키버튼부가 내부에 안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며 상기 키버튼부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는 라이팅부와; 상기 라이팅부가 내부에 안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며 상기 라이팅부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의 백라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키버튼부, 방향키버튼부, 사출, 백라이팅, 엘이디

Description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THE BACK LIGHTING STRUCTURE OF KEY BUTTON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1은 실시예1의 조립 사시도.
도2는 실시예1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배면 사시도.
도4는 실시예2의 주요부의 분해도.
도5는 종래의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키버튼부 110:폰트
120:키버튼 상부 130:키버튼 하부
132:키버튼 삽착홈 140:키버튼 관통공
200:라이팅부 210:제1안착홈
220:내측 지지부 222:내측 돌기
230:외측 지지부 232:외측 돌기
300:고정부 310:제2안착홈
320:고정 상부 330:고정 하부
332:고정 삽입홈 400:조립보조부
410:조립보조 관통홈 412:조립보조 삽착홈
500:기능키 502:기능키 돌기
600:키버튼 받침부 700:보조키버튼
본 발명은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버튼부와 라이팅부를 별개의 부품으로 사출 성형하는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종래의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는 방향키버튼부(10)와 라이팅부(20)를 하나의 금형으로 이중사출하여 실현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는 방향키버튼부(10)와 라이팅부(20)를 서로 다른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는 방향키버튼부(10)에 폰트(12)가 각인 처리되어 있어, 폰트(12)의 형상을 바꾸는 경우 금형을 신규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는 방향키버튼부(10)와 라이팅부(20)가 이중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그 형상을 다양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키버튼부와 라이팅부를 별개의 부품으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그 형 상을 다양화할 수 있는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라이팅부외에도 키버튼부를 통해서도 빛이 발산될 수 있는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그 조립이 간단한 백라이팅 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키버튼부와; 상기 키버튼부가 내부에 안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며 상기 키버튼부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는 라이팅부와; 상기 라이팅부가 내부에 안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며 상기 라이팅부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의 백라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는 상기 제1안착홈에 대응하는 외주연을 갖는 키버튼 상부와, 외주연이 상기 키버튼 상부의 외주연에 내포되도록 상기 키버튼 상부와 단차를 이루며 내입 형성되는 키버튼 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이팅부의 제1안착홈에는 상기 키버튼 하부를 내포하고 상기 키버튼 상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의 외주연에는 외측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 상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가 상기 고정 상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상부와 단차를 이루며 상기 고정 상부의 제2안착홈의 하단부로부터 내입 형성되는 고정 하부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키버튼부, 라이팅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조립보조부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키버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보조부에는 상기 키버튼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조립보조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보조 관통공 및 키버튼 관통공에 삽착되는 기능키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 하부에는 외주연으로부터 키버튼 삽착홈이 내입 형성되고; 상기 라이팅부의 내측 지지부에는 상기 키버튼 삽착홈에 삽착되는 내측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라이팅부의 외측 지지부에는 외측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하부에는 상기 외측 돌기가 삽착되는 고정 삽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조립보조부에는 상기 조립보조 관통공에 연통하며 조립보조 삽착홈이 내입 형성되고; 상기 기능키에는 상기 조립보조 삽착홈에 삽착되는 기능키 돌기가 돌출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는 방향키버튼부이고; 상기 키버튼부, 라이팅부 및 고정부는 동일한 합성수지재로 사출 형성되고; 상기 키버튼부에는 입력신호 인식을 위한 폰트가 스프레이(spray) 방식으로 표시되고; 상기 조립보조부는 투명 사출물이기도 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키버튼 백라이팅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의 조립 사시도를, 도2는 실시예1의 분해 사시도를, 도3은 도2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고정부(300), 조립보조부(400) 및 기능키(500)를 갖는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키버튼부(100)는 이동단말기의 방향키버튼부이다. 키버튼부(10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다. 키버튼부(100)의 상면에는 도료가 스프레이(spray) 형식으로 도포됨으로써 방향표시를 위한 화살표 형태의 폰트(110)가 형성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라이팅부(20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안착홈(210)이 형성된다. 제1안착홈(210)은 홈 내부에 키버튼부(100)가 안치되도록 키버튼부(100)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라이팅부(200)는 키버튼부(100)와 동일한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고정부(30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2안착홈(310)이 형성된다. 제2안착홈(310)은 홈 내부에 라이팅부(200)가 안치되도록 라이팅부(200)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부(300)는 키버튼부와 동일한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다.
도3을 참조하면 키버튼부(100)는 키버튼 상부(120)와 키버튼 하부(130)를 갖는다. 키버튼 상부(120)는 제1안착홈(210)에 안치되도록 제1안착홈(210)에 대응하는 그 외주연이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키버튼 하부(130)는 키버튼 상부(120)의 하면에 연접하여 형성되는데, 그 외주연이 키버튼 상부(120)의 외주연에 내포되도록 키버튼 상부(120)와 단차를 이루며 내입 형성되는 원형상이다. 즉, 키버튼 하부(130)의 외주연의 지름은 키버튼 상부(120)의 외주연의 지름보다 작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키버튼부(10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키버튼 관통공(140)이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라이팅부(200)의 제1안착홈(210)에는 내측 지지부(220)가 형성된다. 내측 지지부(220)는 제1안착홈(210)의 벽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데, 키버튼 하부(130)가 인입 안치되고 키버튼 상부(12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환테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즉, 내측 지지부(220)는 제1안착홈(210)의 둘레를 이루는 벽부와 계단턱을 이루며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키버튼 상부(120)의 하단면을 지지하게 된다.
도2를 참조하면 라이팅부(200)의 외주연에는 외측방향으로 외측 지지부(230)가 연장 형성된다. 외측 지지부(230)는 환테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고정 상부(320)와 고정 하부(330)를 갖는다. 고정 상부(320)에는 상기한 원형상의 제2안착홈(310)이 형성된다. 한편, 고정 하부(330)는 라이팅부(200)의 외측 지지부(230)가 고정 상부(320)의 하단면을 지지하도록, 고정 상부(320)와 단차를 이루며 고정 상부(320)의 제2안착홈(310)의 하단부 로부터 내입 형성된다. 즉, 고정 하부(330)에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 홈은 라이팅부(200)의 외측 지지부(230)를 내포하도록 외측 지지부(230)의 외주연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조립보조부(400)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조립보조부(400)는 투명 사출물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조립보조부(40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조립보조 관통공(410)이 형성된다. 또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및 고정부(300)의 조립시 키버튼부라이팅부(200), 키버튼 하부(130) 및 고정 하부(330)의 하단면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조립보조 관통공(410)은 키버튼 관통공(140)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3을 참조하면 키버튼 하부(130)에는 외주연으로부터 키버튼 삽착홈(132)이 내입 형성되고, 라이팅부의 내측 지지부(220)에는 키버튼 삽착홈(132)에 삽착되는 내측 돌기(222)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키버튼부(100)를 라이팅부(200)의 제1안착홈(210)에 안착시키는 경우 키버튼부(100)와 라이팅부(200)가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3을 참조하면 라이팅부(200)의 외측 지지부(230)에는 외측 돌기(232)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 하부(330)에는 외측 돌기(232)가 삽착되는 고정 삽착홈(332)이 요입 형성된다. 이는 라이팅부(200)가 고정부(300)의 제2안착홈(310)에 안치되는 경우 라이팅부(200)와 고정부(300)가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및 고정부(300) 의 조립시 이들 하단면은 조립보조부(400)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는데, 조립된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및 고정부(300)를 조립보조부(400)의 상면에 접착 고정시키기 위해 양면 테이프가 사용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기능키(500)는 조립보조 관통공(410) 및 키버튼 관통공(140)에 삽착된다. 한편, 도3을 참조하면 조립보조부(400)에는 조립보조 관통공(410)에 연통하며 조립보조 삽착홈(412)이 내입 형성되고, 기능키(500)에는 조립보조 삽착홈(412)에 삽착되는 기능키 돌기(502)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기능키(500)와 조립보조부(400)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후술하는 실시예2에서 기술하겠지만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고정부(300), 조립보조부(400) 및 기능키(500)로 이루어지는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는 키버튼 받침부에 탑재된다. 키버튼 받침부의 하면 아래쪽에는 엘이디가 구비된다. 따라서, 엘이디로부터 발광된 빛이 키버튼 받침부, 조립보조부(400)를 투과하여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및 고정부(300)의 상면으로 발산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1은 키버튼 상부(120)의 하단면이 라이팅부(200)의 내측 지지부(220)에 안착 지지되고, 이때 키버튼 하부(130)에 형성되는 키버튼 삽착홈(132)에 라이팅부(200)의 내측 돌기(222)가 삽착되므로, 키버튼부(100)와 라이팅부(200)의 조립이 신속 용이하다.
또한, 실시예1은 고정 상부(320)의 하단면이 라이팅부(200)의 외측 지지부(230)에 안착 지지되고, 이때 고정 하부(330)에 형성되는 고정 삽입홈(332)에 라 이팅부(200)의 외측 돌기(232)가 삽착되므로, 고정부(300)와 라이팅부(200)의 조립이 신속 용이하다.
또한, 실시예1은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및 고정부(300)의 하단면이 동시에 조립보조부(400)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므로 조립이 견고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1은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및 고정부(300)가 조립보조부(400)의 상면에 접착 고정된 후 기능키(500)가 조립보조 관통공(410) 및 키버튼 관통공(140)에 삽착되고, 이때 기능키 돌기(502)가 조립보조부(400)의 조립보조 삽착홈(412)에 삽착되므로 조립이 신속 용이하다.
한편, 실시예1은 키버튼부(100)인 방향키버튼부와 라이팅부(200)를 동일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므로, 엘이디로부터 발광된 빛이 라이팅부(200) 외에도 키버튼부(100)를 통해서 전파되므로 발광효과가 뛰어나고 발광시 미관이 수려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1은 키버튼부(100)인 방향키버튼부와 라이팅부(200)를 별도의 부품으로 나누어 사출 성형하므로, 키버튼부(100)인 방향키버튼부와 라이팅부(200)가 하나의 금형으로 이중 사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그 형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1의 경우 키버튼부(100)인 방향키버튼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폰트(110)를 각인 처리하지 않고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하므로, 신규금형의 제작 없이 다양한 형상의 폰트(110)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키버튼 상부(120)의 외주연 및 제1안착홈(210)은 원 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이들 형상은 사각형, 육각형, 타원형 등 기타의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키버튼 삽착홈(132) 및 내측돌기(222)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내측 지지부(220)는 환테 고리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내측 지지부(220)는 톱니 형상 등으로 돌출 형성되는 1 이상의 돌기 일 수 있다. 이 경우 키버튼부(100)는 키버튼 상부(120)와 키버튼 하부(130)가 단차를 형성함이 없이 그 외주연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키버튼부(100) 하단면에 상기 내측 지지부의 톱니 형상 등으로 된 돌기가 삽착되는 삽착홈이 형성된다. 이 경우 키버튼 삽착홈(132) 및 내측돌기(222)는 별도로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외측 지지부(230)는 환테 고리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외측 지지부(230)는 톱니 형상 등으로 돌출 형성되는 1 이상의 돌기 일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300)는 고정 상부(320)와 고정 하부(330)가 단차를 형성함이 없이 그 내주연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고정부(300) 하단면에 상기 외측 지지부(230)의 톱니 형상 등으로 된 돌기가 삽착되는 삽착홈이 형성된다. 이 경우 외측 돌기(232) 및 고정 삽입홈(332)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는다.
실시예2
실시예2는 실시예1의 키버튼 백라이팅구조를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4는 실시예2의 주요부의 분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실시예1에 의한 키버튼부(100), 라이팅부(200), 고정부(300), 조립보조부(400) 및 기능키(500)를 갖는다. 이에 관한 설명은 실시예 1에 준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4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키버튼 받침부(600)를 갖는다. 실시예1에 의한 키버튼 조립구조는 키버튼 받침부(600)의 상면 탑재된다. 이때, 조립보조부(400) 및 기능키(500)의 하단면은 양면 테이프를 통해 키버튼 받침부(600) 상면에 접착 고정된다.
도4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보조키버튼(700)을 갖는다. 보조키버튼(700)은 실시예1에 의한 키버튼 조립구조를 감싸며 키버튼 받침부(600) 상면에 탑재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키버튼 받침부(600) 하단면 아래에는 엘이디가 구비된다. 따라서,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이팅부(200) 외에도 키버튼부(100) 및 고정부(300)의 상면을 통해 발산된다.
본 발명은 키버튼 상부의 하단면이 라이팅부의 내측 지지부에 안착 지지되고, 이때 키버튼 하부에 형성되는 키버튼 삽착홈에 라이팅부의 내측 돌기가 삽착되므로, 키버튼부와 라이팅부의 조립이 간단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 상부의 하단면이 라이팅부의 외측 지지부에 안착 지지되고, 이때 고정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삽입홈에 라이팅부의 외측 돌기가 삽착되므로, 고정부와 라이팅부의 조립이 간단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키버튼부, 라이팅부 및 고정부의 하단면이 동시에 조립보조부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므로 조립이 견고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키버튼부, 라이팅부 및 고정부가 조립보조부의 상면에 접착 고정 된 후 기능키가 조립보조 관통공 및 키버튼 관통공에 삽착되고, 이때 기능키 돌기가 조립보조부의 조립보조 삽착홈에 삽착되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키버튼부인 방향키버튼부와 라이팅부를 동일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므로, 엘이디로부터 발광된 빛이 라이팅부 외에도 키버튼부를 통해서 전파되므로 발광효과가 뛰어나고 발광시 미관이 수려하게 된다.
본 발명은 키버튼부인 방향키버튼부와 라이팅부를 별도의 부품으로 나누어 사출 성형하므로, 키버튼인 방향키버튼부와 라이팅부가 하나의 금형으로 이중 사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그 형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키버튼부인 방향키버튼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폰트를 각인 처리하지 않고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하므로, 신규금형의 제작 없이 다양한 형상의 폰트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키버튼부와;
    상기 키버튼부가 내부에 안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며 상기 키버튼부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는 라이팅부와;
    상기 라이팅부가 내부에 안치되도록, 상하를 관통하며 상기 라이팅부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의 백라이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는 상기 제1안착홈에 대응하는 외주연을 갖는 키버튼 상부와, 외주연이 상기 키버튼 상부의 외주연에 내포되도록 상기 키버튼 상부와 단차를 이루며 내입 형성되는 키버튼 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이팅부의 제1안착홈에는 상기 키버튼 하부를 내포하고 상기 키버튼 상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의 외주연에는 외측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 상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가 상기 고정 상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상부와 단차를 이루며 상기 고정 상부의 제2안착홈의 하단부로부터 내입 형성되는 고정 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 백라이팅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 라이팅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조립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 백라이팅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키버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보조부에는 상기 키버튼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를 관통하는 조립보조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보조 관통공 및 키버튼 관통공에 삽착되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 백라이팅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 하부에는 외주연으로부터 키버튼 삽착홈이 내입 형성되고;
    상기 라이팅부의 내측 지지부에는 상기 키버튼 삽착홈에 삽착되는 내측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라이팅부의 외측 지지부에는 외측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하부에는 상기 외측 돌기가 삽착되는 고정 삽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조립보조부에는 상기 조립보조 관통공에 연통하며 조립보조 삽착홈이 내입 형성되고;
    상기 기능키에는 상기 조립보조 삽착홈에 삽착되는 기능키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 백라이팅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는 방향키버튼부이고;
    상기 키버튼부, 라이팅부 및 고정부는 동일한 합성수지재로 사출 형성되고;
    상기 키버튼부에는 입력신호 인식을 위한 폰트가 스프레이(spray) 방식으로 표시되고;
    상기 조립보조부는 투명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 백라이팅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키버튼 백라이팅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60119598A 2006-11-30 2006-11-30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120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598A KR101209073B1 (ko) 2006-11-30 2006-11-30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598A KR101209073B1 (ko) 2006-11-30 2006-11-30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237A true KR20080049237A (ko) 2008-06-04
KR101209073B1 KR101209073B1 (ko) 2012-12-06

Family

ID=3980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598A KR101209073B1 (ko) 2006-11-30 2006-11-30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463A1 (ko) * 2013-07-22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2947858A1 (en) * 2014-05-19 2015-11-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rear-surfac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708A (ja) 2001-04-16 2003-01-10 Kyocera Corp 携帯情報端末
KR200372539Y1 (ko) 2004-10-25 2005-01-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키패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463A1 (ko) * 2013-07-22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393459A (zh) * 2013-07-22 2016-03-09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US9912792B2 (en) 2013-07-22 2018-03-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5393459B (zh) * 2013-07-22 2018-10-09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EP2947858A1 (en) * 2014-05-19 2015-11-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rear-surface sensor
CN105094225A (zh) * 2014-05-19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US9629268B2 (en) 2014-05-19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5094225B (zh) * 2014-05-19 2019-10-01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073B1 (ko)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7457A (zh) 车辆用杯架
JP6018666B2 (ja) 携帯時計または測定器のような携帯物のための発光表示針のセット
KR101209073B1 (ko) 키버튼의 백라이팅구조 및 이를 갖는 이동단말기
JP2009123662A (ja) スイッチ装置
US20080010879A1 (en) Commercial sign
USD483904S1 (en) Lighting fixture cap with bezel
US7472506B2 (en) Lighted sign
US7116279B1 (en) Lighted antenna
KR101768412B1 (ko) 엘이디 시계
CN109377895A (zh) Imd面板和具有该imd面板的显示装置及其安装方法
JP2005222786A (ja) 照光式キーシート
JP2016142524A (ja) 車載用アナログ時計の組立構造
KR200263141Y1 (ko) El을 이용한 발광 멜로디 카드
CN211747609U (zh) 一种具有发光辨识的口红盒
CN218819719U (zh) 一种导光圈及使用该导光圈的开关面板
CN210776206U (zh) 具有发光功能的手表
CN218032807U (zh) 一种侧发光投射感应夜灯
US20020097568A1 (en) Wall lamp structure with projective clock
CN220842405U (zh) 一种车载发光标牌
CN211118946U (zh) 一种发光装饰装置
JP3052597U (ja) 発光点滅するマスコット部材を備えたアラーム時計
JPH10229592A (ja) スピーカシステム及びその振動板
JP2500069Y2 (ja) 照明装置付き時計
KR200296274Y1 (ko) 전화기 숫자를 이용한 십자가 문양 발광장치
JP3073604U (ja) 携帯電話の発光可能アンテ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