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647A -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647A
KR20080047647A KR1020060117341A KR20060117341A KR20080047647A KR 20080047647 A KR20080047647 A KR 20080047647A KR 1020060117341 A KR1020060117341 A KR 1020060117341A KR 20060117341 A KR20060117341 A KR 20060117341A KR 20080047647 A KR20080047647 A KR 2008004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ilicone elastomer
oil
makeup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153B1 (ko
Inventor
최영진
양정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11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1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4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감이 우수한 고탄성을 가지는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케익 제형으로서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과 왁스를 블랜딩한 성분 및 액체오일을 조성물로 함유하고, 응집체의 결합이 모세관 상태로 존재하여 스폰지 같은 네트워크 구조체를 만들어 고탄성을 가지는 케익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제형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는 고탄성을 가지는 특이한 제형으로 터치감이 좋고 주름 및 피부결을 매끄럽게 해주는 특성을 가진다.
고탄성,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유분산 케익, 메이크업 화장료

Description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Make-up cosmetic composition of oil-dispersed cake type with high elasticity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도 1은 액체가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감이 우수한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는 유분산과 수분산으로 나누어진다. 통상적으로 유분산형은 지속성이 우수하고 커버력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사용감이 무겁고 번들거리는 단점이 있다. 반면, 수분산형은 사용성은 가볍고 산뜻하지만, 지속력과 커버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유분산 제형은 응집체를 구성하는 입자와 액체(오일)의 조성으로 만들어지며 응집체를 구성하는 입자들 사이에 액체가 여러가지 형태로 끼어들어서 입자간의 결합 및 결합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때 액체가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형태에 따라서는 진자 상태(Pendular State), 케이블 상태(Funicular State), 모세관 상태(Capillary State), 부유 상태(Suspended State)로 구분할 수 있다.
제형에 사용되는 액체의 양이 0.1~5.0중량%일 경우, 입자들 사이에 오목렌즈 모양의 액상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는 진자 상태(Pendular state)로서(도 1의 그림 a) 응집체의 결합이 입자들의 접촉점에 국한되고 분백분류가 이에 해당된다. 분백분류는 파우더 상태로써 흐름성을 가지게 되고, 성형은 되지 않으며, 사용시 가루날림이 심한 단점과 화사한 피부 표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들 응집체 내의 액체 함량이 증가하면(5~30중량%) 액체가 연속상을 이루게 되나 일부 공간에는 공기가 분산하게 되고, 인접 액체에 부착(coalesce)하기 시작하면 케이블(Funicular, 도 1의 그림 b)의 상태로 변화된다. 콤팩트, 트윈케이크, 파우더팩트류와 같은 제형이 이에 해당되며, 이는 일정한 압력을 가했을 때 성형이 되는 특성을 가진다. 진자 상태(Pendular state), 케이블 상태(Funicular state)는 엄밀히 말하면 파우더 분산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응집체의 공극이 모두 액체(30~50중량%)로 채워지면 모세관(Capillary) 상태(도 1의 그림 c)로 된다. 모세관 상태의 케익 제형은 커버력과 지속성은 뛰어나지만, 무겁고 화장이 두꺼워 피부가 부담스러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액체의 함량이 더욱 증가하여(50~80중량%) 액체가 입자들을 격리하면서 완전히 둘러싸면(도 1의 그림 d), 응집체는 성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 어 반죽상태나 부유(Suspended) 상태에 가까워지며, 립스틱 및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류가 이에 해당된다.
상기한 진자 상태(Pendicular State), 케이블 상태(Funicular State), 부유 상태(Suspended State) 제형에 대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온 반면, 모세관 상태(Capillary State)의 고탄성을 갖는 유분산 케익 제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모세관 상태의 제형이 가지는 단점들을 개선하고, 터치감이 우수한 모세관 상태의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을 안정화시키 위하여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뿐만 아니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들을 이용함으로써 스폰지 같은 네트워크 구조체를 형성하여 고탄성을 가지는 특이한 제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형은 우수한 터치감, 매끄러운 피부결 정돈 효과, 주름 은폐 효과 등 차별화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탄성을 가지는 특이한 제형으로 터치감이 좋으며, 주름 및 피부결을 매끄럽게 해주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과 왁스를 블랜딩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유분산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에 유상성분의 액체 오일성분 및 왁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헨슬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해쇄하는 단계; 및 상기 해쇄한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유상에 투입한 후 아지 믹서를 사용하여 모세관 상태로 제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유분산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성분, 안료성분 그리고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료성분과 유상성분은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들로서, 안료성분은 이산화티탄, 탈크, 실리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나이론파우더, 산화철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상성분은 오일, 왁스, 실리콘오일, 피그먼트 분산제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특징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은 하이브리 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과 왁스를 블랜딩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성분은 디메티콘/디비닐이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실리콘-11/라우레스-12, 디메치콘/디비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져있고,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폴리실리콘-11/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 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스쿠알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과 왁스를 블랜딩한 성분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폴리실록산-11/밀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왁스로는 밀납, 오조케라이트, 카나우바왁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과 왁스를 블랜딩한 성분)을 포함한 전체 안료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70중량%이며, 안료 함량 중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의 함량은 80~85.7%(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는 40~60중량%)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상분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40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매끄러운 피부결 보정과 주름 은폐 효과는 양호한 수준이나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터치감과 탄성에 대한 효과는 부족하다. 안료의 전체 함량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엘라스토머류를 조성물 총 중량의 60%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우수한 흡유력으로 인해 유상 성분에 대한 흡착 및 흡유를 과다하게 하게 되고, 이는 충진시 흐름성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해 본 발명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케이크형으로 제형화하기 어려우며, 제형이 만들어진다 하더라도 내용물을 취할 때의 뜯김 현상과 바를 시 뭉쳐 발리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안료의 전체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0%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액체가 입자들을 격리하면서 완전히 둘러싸게 되고 응집체는 성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없거나 탄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70중량%를 초과하면 유상 성분을 과다하게 흡착해 제형이 케이블(Funicular)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내용물을 취할 때 뭉쳐 발리며, 탄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유상 성분중 왁스류는 2.0~4.0중량%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안료와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표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충진시 70℃이상의 고온에서 흐름성을 부여하며, 안료와 실리콘 엘라스토머들의 입자 표면에서 결정화되면서 네트워크 구조체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내용물을 취할 때 덩어리져 발리거나, 제형이 쉽게 붕괴되는 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스폰지 같은 구조체를 안정화시켜 주어, 고탄성 케익 제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왁스의 양을 4.0중량% 초과 사용할 경우에는 제형은 경도가 높아져 터치감과 탄성도가 오히려 현저히 떨어지게 되며, 2.0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흐름성과 결정성이 약해 네트워크 구조체의 케익 제형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액체 오일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 오일성분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30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액체 오일 성분은 응집체의 결합이 입자들의 접촉점에 국한되는 진자 상태(Pendular State)로 되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응집체 내의 액체가 연속상을 이루게 되나 일부 공간에는 공기가 분산하게 되어 인접 액체에 부착(coalesce)하기 시작하는 진면 케이블 상태로 변화된다.
본 발명에서 연구한 제형은 제조설비와 제조공정에 따라서 터치감과 탄성도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원료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는 쉽게 응집되는 특성을 가진 원료이기 때문에, 해쇄를 하지 않고 액상에 투입하여 분산시킬 경우에는 완전히 균일하게 분산이 되지 않으며, 응집체로 제형 내에 존재하여 내용물을 취할 때 덩어리지게 발리거나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케익상이 붕괴되었다.
이런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분산 시간과 속도에 따른 연구를 수행한 결과, 500~1000rpm 속도의 헨슬믹서를 이용하여 1~2분 정도 혼합, 해쇄를 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충분히 해쇄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500rpm 미만의 속도에서는 미해쇄 원료가 존재하게 되고, 1000rpm 초과의 고속공정에서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정전기적인 힘에 의해 더 강하게 응집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안료와 해쇄한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을 유상(오일)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공정을 연구하였다. 먼저 안료와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 라스토머 파우더류를 유상에 투입한 후 아지 믹서를 저속(200~500rpm)으로 하여 10분 이상 충분히 분산시켜줌으로써 오일을 모세관 상태로 제조할 수 있었다. 이때 아지믹서의 속도가 200rpm 미만에서는 분산 효율이 떨어졌으며, 500rpm 초과에서는 분산 상태가 반죽상태나 부유 상태(Suspended State)의 제형으로 변화되어, 본 발명자들이 연구하고자 하는 스폰지 같은 네트워크 구조체를 형성하지 못해 탄성도가 현저해 떨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터치감이 우수하고 스폰지 같은 네트워크 구조체를 형성하여 고탄성을 갖는 케익 제형 유분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한정되지만, 그 기능에 있어서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스킨커버 등의 화장료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고탄성은 압력을 가하고 0.01∼1초 이내에 원상태로 회복되는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유분산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조성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디메치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사이클메치콘 5.0 5.0 5.0 5.0 5.0 5.0
(3) 스쿠알란 10.0 10.0 10.0 10.0 10.0 10.0
(4) 오조케라이트 2.0 3.0 4.0 - 5.0 4.0
(5) 피브이피.헥사데켄코폴리머 1.0 1.0 1.0 1.0 1.0 1.0
(6) 메틸 파라벤 0.2 0.2 0.2 0.2 0.2 0.2
(7) 사이클로펜타실록산.폴리실리콘-11.밀납 10.0 15.0 20.0 15.0 5.0 20.0
(8) 디메치콘.디비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25.0 25.0 35.0 20.0 15.0 35.0
(9) 사이클로펜타실록산/폴리실리콘-11/디메치콘 5.0 10.0 5.0 5.0 5.0 5.0
(10) 산화철 5.0 3.0 3.0 3.0 3.0 3.0
(11) 티타늄옥사이드 5.0 5.0 5.0 5.0 5.0 5.0
< 실시예 1~3, 비교예 1~2의 제조방법>
(가) 비이커에 성분 (1)~(6)을 평량 후 70~80?에서 완전 용해시켰다.
(나) (7)을 담은후 아지믹서로 2000rpm으로 충분히 섞었다.
(다) (8)~(11)을 평량후 헨슬믹서(500~1000rpm)를 이용하여 1~2분정도 혼합, 해쇄하였다.
(라) (다)를 (나)에 넣고 아지믹서를 저속(200~500rpm)으로 하여 10분 이상 충분히 분산시켰다.
(마) (라)를 탈기한 후 용기에 충진하였다.
<비교예 3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중 (다)항에 대한 공정을 생략하여 비교예 3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탄성에 대한 효과 검증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의 탄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기기로는 SUN RHEOMETER CR-500DX(SUN SCIENTIFIC사)을 이용하였으며, 5㎜의 일정한 깊이로 눌렀을 때, 복원되는 깊이에 대한 비율과 5㎜의 변형에 필요한 힘(경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탄성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탄성도 72% 81% 86% 26% 8% 42%
경도 28 24 18 58 78 43
(탄성도 = 5mm의 깊이로 눌렀을 때 복원되는 깊이에 대한 비율로 측정함
경도 = 5mm의 변형에 필요한 힘.)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대로 제조한 유분산 케익 제형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 비하여 탄성도가 우수하고 경도는 낮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터치감 , 쿠션감 및 매끄러운 피부결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일주일에 3일 이상 메이크업 화장을 하는 20~40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 3을 사용하고 난 후의 터치감, 쿠션감 및 매끄러운 피부결에 대한 반응을 설문조사를 통해 주관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각 항목에 대하여 제품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1~5점(숫자가 클수록 만족도 높음)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터치감 4.2 4.5 5.0 2.1 1.5 2.5
쿠션감 4.3 4.6 5.0 1.8 1.0 2.3
매끄러운 피부표현 4.2 4.5 4.7 2.8 2.1 3.4
상기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경우 터치감, 쿠션감, 매끄러운 피부표현에 대한 평가 결과 4점 이상의 우수한 만족도를 나타낸 반면, 비교예 2는 터치감과 쿠션감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 낮았으며, 비교예 1, 비교예 3은 쿠션감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매끄러운 피부표현의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평가를 나타내었다.
왁스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케익 제형으로 안정화되지 않았음을 예측할 수 있으며,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분산 공정이 없는 비교예 3은 탄성도와 터치감에 대한 평가 결과가 나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과 왁스를 블랜딩한 성분 및 액체 오일성분을 이용하여 응집체의 결합이 모세관 상태로 존재하는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을 안정화시킨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고탄성을 가지는 특이한 제형으로 스폰지 같은 외관을 가지어 내용물을 취할 때 터치감이 우수하고, 화장 후 주름 및 피부결을 매끄럽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과 왁스를 블랜딩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유분산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에 유상성분으로 액체 오일성분 및 왁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60중량%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을 포함한 전체 안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70중량%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오일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50중량%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4중량% 함 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또는 스킨커버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폰지 같은 외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터치감이 우수하고, 화장 후 주름 및 피부결을 매끄럽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0.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헨슬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해쇄하는 단계; 및
    상기 해쇄한 하이브리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를 유상에 투입한 후 아지 믹서를 사용하여 모세관 상태로 제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유분산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헨슬믹서의 속도는 500~1000rpm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지믹서의 속도는 200~500rpm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60117341A 2006-11-27 2006-11-27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22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341A KR101221153B1 (ko) 2006-11-27 2006-11-27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341A KR101221153B1 (ko) 2006-11-27 2006-11-27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647A true KR20080047647A (ko) 2008-05-30
KR101221153B1 KR101221153B1 (ko) 2013-01-11

Family

ID=3966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341A KR101221153B1 (ko) 2006-11-27 2006-11-27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9997A (zh) * 2015-06-30 2018-05-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无水粉末剂型化妆品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068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고탄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217B1 (ko) * 2004-11-01 2010-09-20 (주)아모레퍼시픽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9997A (zh) * 2015-06-30 2018-05-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无水粉末剂型化妆品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153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3735B (zh) 粉体化妆料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5236380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67570A (ko)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36132B1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28032B1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117219B1 (ko)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53B1 (ko)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566826B1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CN105764476B (zh) 使用茶氨酸的表面处理粉体及含有其的化妆品
KR101135252B1 (ko)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레진을 함유하는 케이크 타입의 습식성형 팩트 조성물
JP6219603B2 (ja) 固形粉体化粧料
KR102101885B1 (ko) 성형성을 향상시킨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859284B1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19138793A1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68370B1 (ko) 2층상 과립형 펄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KR101483974B1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CN116782874A (zh) 化妆品
JP6281058B2 (ja) 粉末固型化粧料の製造方法及び粉末固型化粧料
KR101854536B1 (ko)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5099B1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070020587A (ko) 수분산 무기 점증제를 함유한 유중수형 에멀젼을 이용한소성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