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262A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262A
KR20080046262A KR1020087008883A KR20087008883A KR20080046262A KR 20080046262 A KR20080046262 A KR 20080046262A KR 1020087008883 A KR1020087008883 A KR 1020087008883A KR 20087008883 A KR20087008883 A KR 20087008883A KR 20080046262 A KR20080046262 A KR 2008004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ene
content
multimedi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쟌-클라우드 두포르드
세드릭 지고우뜨
꼬끄 엘로앙 르
Original Assignee
스트레아메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레아메조 filed Critical 스트레아메조
Publication of KR2008004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5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provider application, e.g. reverse prox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04L67/5651Reducing the amount or size of exchanged appli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서버(11)로부터 무선통신 단말(12)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및 상기 최초 장면의 움직임에 대한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에 의해, 발명된 방법은 상기 서버(11)로부터 상기 단말(12)에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최초 부분을 기록하고 재구성하고, 상기 단말(12)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12)에 의해 미리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보충의 형태로서 상기 컨텐츠의 보충적인 부분을 상기 서버(11)로부터 상기 단말(12)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상기 보충적인 부분을 저장하고, 상기 단말(12)에 의한 요청에 따라 미리 수신된 상기 부분들로부터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컨텐츠, 업데이트, 서버, 단말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TRANSMISSION OF A MULTIMEDIA CONTENT TO A RADIO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 예를 들어, 무선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용 컴퓨터 등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이러한 콘텐츠의 일부 및/혹은 콘텐츠 일부의 대표적인 구성요소들을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와 관련해서,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그래픽들 장면(animated graphics scene), 소위 멀티미디어 장면 그리고 이러한 장면이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로 구성되는 하나의 세트(set)이다. 멀티미디어 장면은 특히 시간 및 공간에서 일련의 그래픽들 대상의 배열에 대응되고, 무선 통신 단말 사용자는 이러한 일련의 그래픽들과 상호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호작용으로 그래픽 대상들의 공간과 시간상의 배열 형태로 신호를 표현하는 것을 요구하는 모든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은 MPEG-4/BIFS("Binary Format Scene"), SVG("Scalable Vector Graphic"),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과 같이 이미 알려진 그래픽 장면들의 기술 형식에 적용된다.
무선 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술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첫번째 전송 기술과 관련해서, 서비스의 디자인 즉 무선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공은 다음의 흐름에 따라 수행된다.
- 최초 컨텐츠가 단말에 전달되는 단계;
- 사용자가 그것을 소비하고, 요청하는 단계;
- 그 다음, 응답 컨텐츠가 무선 통신 단말 등에 전달되는 단계, 등.
그러므로 그 서비스는 상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단말에 전달되는 일련의 컨텐츠들로 디자인된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가 날씨 서비스를 요청하면, 단말에 전달되는 최초 컨텐츠는 그날의 날씨 예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그것을 소비하고, 즉 사용자가 그날의 날씨 예보를 읽고, 다음 날의 날씨 예보를 얻기 위한 요청을 한다.
그 다음, 다음 날의 날씨 예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응답 컨텐츠는 최초 컨텐츠를 대신해 그 단말의 메모리에 새로운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무선통신 단말에 전 달된다.
첫번째 기술과 관련해서, 전달된 각각의 응답 컨텐츠는 날씨 예보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장면을 변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들(예를 들어 프랑스 언드라잉 맵)을 가지는 요청 컨텐츠의 모든 장면,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앞서 말한 예의 프레임워크내에서 예보 날씨을 표현하는 픽도그램들만 단지 수정된다.
결과적으로, 종래기술 중 첫번째 기술의 주요한 단점은 최초 컨텐츠와 응답 컨텐츠 사이에 일부 수정만 단지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모든 장면의 다운로드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응답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것은 무선통신 단말들에 대해 상호작용하는 멀티미디어가 모바일 네트워크(초당 약 12킬로비트)에 대해 가장 낮은 대역폭을 가지고, 높은 스피드 인터넷의 상호 작용 예로부터 나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더욱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시간 낭비이고 전송 자원의 관점에서 낭비이다.
추가적으로, 새로운 장면을 로딩한다는 사실은 사용자에 대해 단절을 나타낸다. 어떤 용도 선택뿐만 아니라 어떤 로컬 인터랙션의 환경이 무용지물이 된다. 사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라, 최초 컨텐츠는 새로운 컨텐츠에 의해 완전히 대체된다.
결론적으로, 통신 세션이 중단되고, 그 세션의 재설정이 따라오면, 사용자의 사용 선택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시 새로운 컨텐츠를 로드할 필요가 있을 수 있 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있다.
그러한 것으로, 두번째 기술과 관련해서, 장면 명령들(scene commands)은 무선통신 단말에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장면들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그러한 명령들은 ISO/ICE 14496-20:2006, 2006에 공개, 일시적인 버전은 MPEG N7480:"Study Text of ISO/IEC 14496-20/FCD"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BIFS 및 LASeR descriptive format("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에 정의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명 명령들은 그것이 완전히 다운로드되기 전에 명령들이 증가하는 시간 순서로 보내지면 장면 플레이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두번째 기술의 단점은, 이 기술과 관련하여 장면이 다운로드되고 있는 동안에도 심지어 무선통신 단말이 장면 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 상호작용의 응답으로 전체 장면의 충분한 로딩을 또한 요구한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2A와 관련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의해 저장된 최초 장면 211은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제 1 업데이트 장면221, 그 다음 제 2 업데이트 장면231, 그 다음 제 3 업데이트 장면 241 등으로 대체된다.
그래서 그 단말은 최초 장면의 정보를 상실하고, 단말에 저장된 마지막 장면 은 마지막 업데이트 장면(예를 들어, 제 3 업데이트 장면231)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이 기술의 주요한 단점은 전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그 다음에 다시 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심지어 사용자가 그의 선택을 그리고 그의 로컬 인터랙션의 어떤 환경을 다시 회복하고자 하면, 단말은 다시 그 장면을 로드해야한다는 것이다.
결국,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세번째 기술이 소개된다.
이 기술에 의하면, 미디어 플레이어(무선통신 단말)은 ECMAScript or Java(등록된 상표) 형태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 인터프리터(interpreter)를 가진다. 그 장면은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와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a data exchange protocol)(예를 들어, 서버와 교환되는 데이터가 XML format이면 XML document의 파싱(parsing))을 실행하고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장면의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는 복잡한 스크립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번째 기술은 장면의 바로 그 스크립트 내에서 장면 명령들의 동등물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시 돌아간다.
그러나, 그것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environment), 자원(resource) 또는 동작(performance)가지는 단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 기술은 현재 모바일 단말들에 적용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이 기술의 주요한 단점은 현재 자원들의 관점에서 그것이 높은 실행 비용을 발생하고, 그것은 거의 움직임이 없는 단순한 그래픽들 객체를 포함하는 단순한 장면들에 단지 적용된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다른 단점은 컨텐츠 크기, 컨텐츠 생성에 있어서 복잡성 그리고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의 동일한 변형(variant)를 수행하는 콘텐츠와 서버들의 상호의존성에 있다.
사실,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의 프로세싱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컨텐츠는 거의 1000에서 4000 옥텟(octets)의 최소 크기(일반적으로 말하는 장면을 배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스크립트 크기에 있어서 다양성(variability)은 (크기의 관점에서 대형이고, 또는 덜 대형인 바이너리(binary)) "XML" 형태의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가능성 혹은 가능한 장면 변환 명령들의 수의 관점에 있어서 어느 정도 완전한 프로토콜들을 제공하는 가능성으로부터 온다.
이와 같이,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라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에 있어 복잡성의 정도는 간단한 "passive" 컨텐츠, 즉, 스크립트 없는 컨텐츠에 대한 복잡성 보다 휠씬 높다.
결국, 이러한 세번째 기술의 또 다른 단점은, 그러한 컨텐츠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그 서버는 그것이 제공해야 하는 컨텐츠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 서버는 다른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컨텐츠를 채택하기 위해 개조되거나 다른 서버로 대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더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의 목적은 상호작용의 응답으로 완전한 장면들의 다운로딩을 요구하지 않는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상호 작용의 응답시간, 특히, 통신 세션에서 일시적인 중단의 경우에 있어서, 상호 작용의 응답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그러한 기술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은 무선통신 단말에서의 서비스 유동성의 관점에서 더 좋은 동작을 수행하는 그러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원발명은 대역폭의 관점에서 작은 자원(resource)을 요구하는 그러한 전송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저 비용, 그리고 프로세싱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해 많은 수단들을 요구하지 않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나타나는 다른 목적들은,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성취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및 상기 최초 장면의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은:
-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에 적어도 상기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potion)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단말에서 상기 최초 부분의 복원 단계에 의해 이어지는 기억 단계;
-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보충의 형태로서 상기 컨텐츠의 보충적인 부분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보충적인 부분을 전송하는 단계에 이어, 상기 미리 수신된 부분들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상기 단말에 의해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컨텐츠의 최초 부분의 전송 및 상기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되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부분들(예를 들어, 최초 부분) 사이에 있어서 보충 혹은 차이들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보충적인 부분들의 전송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무선통신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완전히 새롭고 진보한 접근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단말은 보충과 최초 장면 혹은 이전에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조합하여 업데이트된 장면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충적인 부분을 전송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단말에 의해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저장하는 단계들은 필요한 수만큼, 그리고 요청들이 있는 수만큼 반복할 수 있고, 그러므로 컨텐츠의 보충적인 부분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초 부분은 일련의 명령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은 적어도 최초 장면 및 최초 장면을 위한 가능한 업데이트 명령들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최초 부분이 단말에 처음으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무선통신 단말에 전송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첫 번째 요청에 대응하여, 보충적인 부분이 최초 부분의 보충 형태로 단말에 전송되고,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새로운 요청이 서버에 전달되면, 또 다른 보충적인 부분이 단말에 의해 먼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보충적인 형태로 단말에 전달되고, 상기 새로운 요청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컨텐츠의 연속적인 부분들의 형태로 서비스들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감소된 크기의 일련의 증가된 부분들이 전달되고, 이것은 모바일 서비스들의 응답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 단말에 있어서 플로우는 멀티미디어 장면의 연속적인 상태들 사이에 있어서 일련의 보충들 혹은 차이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로우는 본원발명에 따라 컨텐츠의 다른 부분들로 나누어진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에 의한 기술은 상호 작용의 응답시간에 있어서 이익을 얻는 것 및 더 작은 데이터를 다운로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및 오퍼레이터를 위한 서비스의 효율성에 있어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은 현재 컨텐츠의 단지 변경 정보만 단말에 전달되므로 시간에 있어서 많은 절약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장면의 연속적인 변경의 형태로 서비스 유동성이 디자인되므로 연속성과 서비스 유동성의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서버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ECMAScript or Java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 인터플리터의 사용을 요구하는 복잡한 스크립트의 사용에 기반한 기술들과 관련해서, 본원발명은 더 적은 자원들을 요구하는 미디어 플레이어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러므로 전화와 같은 저렴한 통신 단말에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선행기술과 관련해서 컨텐츠의 한 부분이 더 간단하고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그것을 재생하는 비용이 작고 그것의 전송 시간도 짧다.
결국, ECMAScript 형태의 선행기술에 의해, 서버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스크립트는 반드시 동일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실행하는데 반해, 본원발명은 모든 서버들과 컨텐츠 사이의 상호 작동성을 허락한다.
또한, 보충적인 부분에서 전송되는 보충(complement)은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에 따라 현재 장면을 업데이트된 장면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면 변경 명령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것으로, 단말은 로컬 컨텍스트(local comtext)에 최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로컬 컨텍스트는 최초 장면, 상기 장면을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어떤 명령들 그리고 그것들이 서버로부터 단말에 전달될 때 다양한 보충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로컬 컨텍스트는 보충적인 부분들(complementary portions)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명령들로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도 2에서 도시된 선행기술에 의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에 의해 다양한 업데이트들이 전송되는 동안에 단말의 메모리에서 최초 장면이 변하는데 반해, 본원발명에 의한 단말은 최초 장면과 로컬 컨텍스트에서 멀티미디어 장면의 업데이트를 가능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항상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통신 세션(communication session)이 단절되고 그 다음에 다시 재설정되는 경우에, 서버가 최초 장면을 다시 전송한거나 혹은 단말에 변경 명령들을 다시 전송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솔루션은 사용자가 어떤 정보의 손실 없이 연결을 끊고 다시 연결하는 점에서 "off-line" 작업을 허락한다.
예로써, "Information" 태브(tab), "Cinema" 태브 그리고 "Music" 태브와 같은 여러 태브들로 구성되는 최초 장면을 취하는 경우에, 단말의 사용자는 "Cinema" 태브를 선택한다. 그러면, 그 주 동안에는 Cinema 프로그램들을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컨텐츠가 단말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스크린)에서 한번 재생되면, 사용자 (혹은 직접적으로 단말은) 연결 끊기(disconnect)("off-line" 모드로 스위치 서택)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는 그 프로그램을 참고한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에 의한 로컬 컨텐츠는 최초 장면 및 "Cinema"에서 디스플레이된 태브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Information" 태브를 선택하여, 그날의 새로운 뉴스를 보기를 희망한다. 그러면 단말은 다시 소위 연결모드(connected mode)라 불리는 "on-line" 모드로 다시 돌아간다. 그리고 로컬 컨텐츠는 최초 장면과 "Cinema"로 디스플레이된 태브를 변경하는 명령어 그리고 "Cinema" 태브를 "Information" 태브로 변경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선행기술에 의하면, 단말은 "Cinema" 태브의 선택 동안 그것의 메모리에 최초 장면을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그것을 그 주 동안 Cinema 프로그램(programme)들 로 대체한다. 그러므로 그 단말은 서버에 요청을 전달해야 하고, 최초 장면을 다시 전달하기 위해 그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로컬 인터랙션의 컨텍스트(context) 사라진다.
본원발명에 의해서, 단말은 여전히 메모리에 로컬 컨텍스트를 가지고, 그러므로 최초 장면에서 연결이 끊어지기 전에 저장된 마지막 장면으로 스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명령어들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는 최초 장면을 다시 전달할 필요가 없다. 멀티미디어 장면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최초 부분의 보충의 형태로, 보충적인 부분을 단말에 전송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보충들은 프로그래머(author) 또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정의되고, 서버에 의해 계산되지는 않는다.
그 다음에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i.e. develop the "Information") 에 따라 최초 부분(initial portion) 및 보충적인 부분(그리고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된 다른 보충적인 부분들)을 이용해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모드/ 연결 끊김 모드(connected mode/disconnected mode)로부터 스위칭의 유익한 점은 신속함과 증가하는 요청 수의 동시 처리에 있다. 만일 모든 사용자가 서버와의 연결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면, 즉 만일 그 서비스가 서비스의 시작부터 끝까지 독특한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시간을 넘겨 변경을 수신하고, 서버가 서비스하는 클라이언트의 제한된 수는 N이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들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응답 후에 연결을 끊는다면, 그리고 서버로부터 다음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연결을 다시 설정하면, 그 서버는 단지 N번의 동시 요청에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은 단말의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고 혹은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의 복원에 연속된 요청이다.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보충들은 장면의 복원에 수반되는 요청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및 저장 동안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가 "내일의 날씨" 태브를 클릭하면, 그 다음 날에 대한 날씨가 한번 복원되면, "오늘의 날씨" 버튼이 나타난다.
요청들은 또한 사용자로부터 오고, 이것은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요청들의 동적인 섹션닝을 야기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본원발명의 전송 방법은 컨텐츠의 다른 부분들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전송 채널(transmission channel)을 실행하고, 혹은 다른 전달 세션(transport session)들(심지어 다른 전달 프로토콜을 가지고)을 실행한다.
전송되는 보충적인 부분은 간단하고 적은 전송 자원들을 요구하므로, 보충적인 부분은 낮은 전송속도 네트워크들 상에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의 최초 부분은 높은 속도 채널(예를 들어, 인터넷 네트워크)을 이용해 전송되고, 그리고/혹은 미리 단말에 저장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부분들(최초 그리고/혹은 보충 부분들)은 서버에서의 분리된 문서(separate documents)들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문서들은 "Wag" 페이지 형태이고, 혹은 "streamed" 혹은 "broadcasted" 형태의 일반적인 컨텐츠이다.
예를들어, 프로그래머(author)(혹은 서비스 프로그래머)는 직접적으로 컨텐츠 A를 생성하고, 그 다음 컨텐츠 C로 언급되는 다른 문서를 생성한다. 여기서 컨텐츠 C는 컨텐츠 B와 컨텐츠 C 사이의 차이로 정의된다.(컨텐츠 C = 컨텐츠 B - 컨텐츠 A)
본원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해, 컨텐츠 B를 그것의 메모리에서 실질적으로 재생하는 것은 단말이다. 그래서, 컨텐츠 B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다른 문서들은 구별될 수 있는, 그리고 다른 데이터 전송 수단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주소들에 의해 인용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해, 서버는 또한 단말에 "LASeR" 포맷으로 "Append" 형태의 멀티미디어 장면의 형상 신호(configuration signal)를 전송한다.
이러한 신호는 구체적으로 단말에 전달되는 명령어들이 장면의 요소들을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이고, 전체 화면이 다운로드되지 않는다는 것을 단말에 전달한다.
장면을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LASeR Commends" 장면 명령어들이다.
본원발명의 다른 면은 앞서 설명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지지(support)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또 다른 면은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신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호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부분의 적어도 컨텐츠의 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보충적인 부분은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보충의 형태로 상기 단말에 전송된다.
다른 실시 예로 최초 부분 그리고 보충적인 부분들은 독립적인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전송 프로토콜 등에 따라, 다른 채널들로 전송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면은 더욱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에 관련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은 적어도 상기 최초 장면 및 상기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보충의 형태로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최초 부분과 상기 보충적인 부분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최초 부분과, 상기 미리 수신된 부분들을 이용해 상기 요청에 따라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의 수신하는 수단은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전송 채널들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컨텐츠 부분들을 수신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면은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일련의 적어도 하나의 최초 장면을 저장하는 단계을 포함하고, 하기의 단계들인
- 멀티미디어 컨텐츠 브로드캐스트 서버에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저장된 멀티미디어 장면의 보충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최초 장면 혹은 이전에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보충을 조합하여 업데이트 멀티미디어 장면을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적어도 한번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원발명의 다른 면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적어도 상기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을 전달하는 수단;
요청을 처리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보충의 형태로 상기 컨텐츠의 보충적인 부분을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간단하고, 설명적이지만 제한적인 예가 아닌 것으로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 은 무선통신 단말에 전달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최초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부분(여기서 최초 부분은 단말에 처음으로 전달되는 최초 부분이고, 그 다음 보충 부분은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에 전달되는 보충적인 부분이다.)의 적어도 두 개의 부분들로 나누어지는 것에 의한, 본원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나타낸다.
도 2A(선행기술과 관련해서 이미 언급됨) 및 도 2B는 최초 장면 및 선행기술에 따라 그리고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각각 그것의 업데이트들을 나타낸다.
도 3A, 3B 및 3C는 각각 최초 장면, 요청에 이어서 단말에서 복원되는 것으로 최초 장면의 업데이트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도 1 에 따라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보충적인 부분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말 구조의 부분을 나타낸다.
본원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분할(partitioning)에 기초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그리고 최초 장면 및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부분의 적어도 두 부분에서 이러한 장면을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소위 최초 부분(initial portion)의 첫 번째 컨텐츠 부분은 무선통신 단말에 처음으로 전송된다. 그 다음, 소위 보충적인 부분이 무선통신 단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은 단말에 의해 다운로드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반면, 서비스 유동성의 효과를 주는 상호 작용 멀티미디어 장면들을 재설정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인크리멘털 장면들(incremental scenes)로 나누는 것은 또한 서버들에 있어서 상당한 절약을 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사실, 하나의 서버는 병렬적으로 N 개의 클라이언트를 처리하는 것에 일반적으로 제한되고, 여기서 N은 장치의 파워와 서비스의 복잡성 등에 의존한다.
만일, 모든 사용자들이 서버와의 연결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면, 예를 들어, 서비스가 서비스 시작부터 끝까지 독특한 장면들로 디자인되면, 변경은 시간을 넘기고, 서버가 서비스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들의 제한된 수는 N으로 된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서버로부터 각각의 응답이 수신된 후에 그 연결을 끊으면, 그리고 서버로부터 다음 응답을 수신하는 연결을 재설정하면, 상기 서버는 단지 N 개의 동시 요청에 제한될 뿐이다. 서버에 의해 서비스되는 클라이언트 수는 훨씬 더 많다. 보충적인 부분의 전송 횟수들 사이에서 관계와 사용자 상호 작용들 사이의 평균 시간에 연결된 사실에 의해 비율은 100을 초과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전송되는 보충적인 부분은 "LASeR" 포맷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면 요소("LASeR Commends")의 변경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글로벌 장면 변경 명령(global scene modification command)의 형태의 보충(complemen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글로벌 장면 변경 명령(global scene modification command)은 또한 "append" 형태의 장면 형성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append" 모드는 현재 장면은 최초 장면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단말에 이미 다운된 장면에 적용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LASeR 표준에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본원발명에 따라, 응답이 현재 장면에 추가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append" 모드를 서버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서버와의 연결을 끊는다.
더욱이 서버는 필수적으로 클라이언트 세션이 오픈되도록 유지할수 없으므로,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침묵 클라이언트(silent client), 즉 그것의 의도로 어떤 요청을 하지 않는 클라이언트는 주어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연결을 끊을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원발명에 의해, 전송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인크리멘털 장면(incremental)들로 나누는 것은 서버가 즉각적으로 연결을 차단하고, 임의의 시 간 이후 연결을 재설정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전송되는 보충적인 부분은 "LASeR" 포맷에서 장면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변경 명령("LASeR Commands")들을 포함하는 글로벌 장면 변경 명령(global scene modification command)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하 보여진다.
소위 장면 요소에 대한 변경 명령어들로 불리는 장면 명령어들은 구체적으로 단말에 미리 복원된 장면의 보충과 같은 장면의 변경을 표현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1 은 구체적으로 서버(11)가 무선통신 단말(12)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서비스는 일련의 컨텐츠 혹은 상호 작용 요청들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단말에 전달되는 컨텐츠의 부분들로 디자인되는 것을 생각한다.
본원발명에 의해, 무선통신 단말(12)에 전달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면을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서버(11)는 먼저 소위 최초 부분(initial potion)으로 불리는 첫 번째 부분을 전송 단계(13)동안 무선통신 단말(12)에 전송한다.
서버(11)은 그 다음에 단말로부터 전달된 요청의 응답으로 전송 단계(14) 동안 단말(12)에 LASeR 장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보충적인 부분을 전송한다.
도 5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계 52 동안, 단말(12)은 단계 51 동안 서 버(11)에 의해 전달된 최초 부분을 로컨 컨텍스트(local context)에 에 저장한다.
그 다음에 단말(12)은 단계 53 동안에 최초 장면을 복원한다.
그 다음, 서버(11)는 단말로부터 전달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보충적인 부분의 전송 단계(54) 동안 최초 장면의 보충의 형태 그리고/또는 이미 수신된 보충적인 부분의 형태로 보충적인 부분을 전송한다. 단말은 단계 55 동안 보충적인 부분을 저장하고, 혹은 최초 부분을 포함하는 로컬 컨텍스트에서 이러한 보충적인 부분에 대응하는 장면들에 대한 변경 명령어들을 직접 저장한다.
그 다음, 단말은 저장된 최초 부분 및 보충적인 부분을 이용해 단계 56 동안 업데이트 장면을 복원한다.
단계들 54, 55 및 56은 필요하면 여러 차례 반복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단말로부터 전달된 요청에 따라 여러 차례 반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의 예를 보여주는 도 3A, 3B 및 3C와 관련해서 무선통신 단말(12)에 날씨 서비스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최초 멀티미디어 장면에 대응하고, 그 날에 대한 프랑의 날씨 예보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무선통신 단말(12)의 사용자가 날씨 서비스에 접근하고자 할 때, 그는 서버(11)에 요청을 보낸다.
그 다음에 서버는 최초 부분에 대응하는 그 날에 대한 날씨 맵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최초 부분이 다용량 이고, 결과적으로 다운로드 하는데 오래 걸리는 때, 그것은 상호 작용 단계(interactive phase) 동안 전달되지 않는다고 생각 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이러한 최초 부분이 단말(12)에서 미리 로드될 수 있고, 멀티 브로드 캐스트 채널(예를 들어,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혹은 멀티캐스트 형태)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의 크기는 덜 중요하다.
만일, 단말(12) 사용자가 다음 날에 대한 날씨 맵을 보고자 한다면, 그는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다음날의 날씨 맵을 다시 전달할 것을 요구하는 요청을 서버(11)에 전달해야 한다.
선행기술의 기술에 있어서는, 오늘의 맵(도 3A)과 다음날의 맵(도 3B) 사이의 변경이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도 3B의 날씨 맵을 전부 다시 서버(11)가 전송한다.
이러한 변경은 도 3에 보여지는데, 점 선에 의한 그림은 최초 부분에 대응되고 실선에 의한 그림은 보충적인 부분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서버(11)는 LASeR 포맷 장면 명령어들을 이용해 추가적인 장면의 형태로 무선통신 단말(12)에 이러한 보충적인 부분을 전송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다른 요청 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의 요청과 단말(12)에서 응답의 도달 사이의 시간은(서버(11)가 응답을 생성하는 시간은 뺀다) 응답의 크기에 비례하고, 대역폭에 반비례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답의 크기에 있어서 이득은 응답 시간에 있어서 아주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그러므로 상호작용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부분들 혹은 컨텐츠의 크기를 감소하기 위해, 그리고 서비스의 유동성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응답 컨텐츠는 사용자가 요청을 보낸 장면에 대한 변경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들은 장면 명령어들의 리스트의 형태로 전달된다. 하나의 예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을 포함하는 최초 장면 그리고 상기 장면의 삽입 명령어(insertion command)의 구조를 이하에서 나타낸다.
- 서비스의 원리와 관련된 다양한 추가 정보를 가진 프랑스 백그라운드 맵;
- a text T0 : 폰트(font), 스타일(style), 컬러(colour) 그리고 포지션닝(positioning)과 관련된 모든 정보들을 가진 "오늘의 날씨";
- five texts T1 to T5 : 관련된 폰트(font), 스타일(style), 컬러(colour) 그리고 포지션닝(positioning)의 모든 것을 가지는 맵의 다섯 지점들 상에서 "15℃" 형태의 온도를 나타내는 five texts T1 to T5;
- 내일 그리고 그 이어지는 날들에 대한 날씨를 얻기 위한 일련의 링크들과 버튼들;
증가하는 장면에 대응하는 보충적인 부분은 본원발명에 따라 이하의 구조를 가진다.
- 이러한 실시예의 선택으로 존재하지만 임의의 "append" 형태의 형상 신호;
- 캐릭터 스트링 T1을 "내일 날씨"로 변경하는 명령어;
- 온도를 나타내는 캐릭터 스트링 T1 내지 T5을 변경하기 위한 다섯 가지 명 령들;
- "내일" 버튼 또는 링크를 "오늘" 버튼 또는 링크로 대체하는 명령.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증가하는 장면은 "내일(tomorrow)" 버튼 또는 링크의 사용에 응답으로, 즉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생긴다. 단지 캐릭터 스트링들이 대체되고, 그것들의 폰트, 스타일, 컬러 및 포지션들은 그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러한 예를 통해 관찰할 수 있다.
"append" 모드의 장면 형상 신호(scene confoguration signal)를 포함하는 이러한 글로벌 변경 명령어(global modification command) 및 적어도 하나의 장면 요소의 변경 명령어들("LASeR Commands")은 멀티미디어 장면들의 모든 기술 포맷(descriptive format)에 잠재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 BIFS 포맷은 "LASeR Commands"에 유사한 "BIFS Commands"를 이미 정의한다. 그리고, "LASeR Commands"는 SVG 포맷에 수정없이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기능들은 본원발명이 현재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에서 효율적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무선통신 단말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본원발명은 단말에서의 서비스 계속성과 유동성을 얻기 위해 단말에 전송되는 컨텐츠 부분의 크기를 감소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것은 대역폭 소비를 줄이고, 응답시간을 감소시키는 이중의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완전한 응답 컨텐츠 보다 차라리 현재 컨텐츠의 보충(complement)을 단지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 부분의 각각의 수신으로 인크리멘트되는, 단말에 의해 저장되는 로컬 컨텍스트(local context)는 최초 부분이 경험한 연속적인 변경들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것으로, 최초 장면 212의 업데이트 No. 3(242) 이후에 단말은 서버와의 연결을 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업데이트 No. 1(222), No. 2(232) 및 No. 3(242)에 대응하는 장면을 변경하는 다른 명령들을 저장한다. 이에 반해, 선행기술에서는 단말이 단지 업데이트 No. 3(도 2A)를 저장한다. 다음 연결 동안에, 단말은 로컬 컨텍스트를 사용하고, 업데이트 장면을 복원하기 위해 보충적인 부분을 이용한다.
도 4에는, 본원발명의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구조의 일부분이 나타난다.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최초 부분에 링크되는 로컬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41)를 사용하고,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보충적인 부분들을 저장하기 위해 그것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42)는 업데이트된 장면을 재생하기 위해 로컬 컨텍스트 및 각각의 보충적인 부분을 이용하고, 업데이트된 장면을 복원하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43)로 그것을 전달한다.

Claims (13)

  1.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및 상기 최초 장면의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에 적어도 상기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potion)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단말에서 상기 최초 부분의 복원 단계에 의해 이어지는 기억 단계;
    -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보충의 형태로서 상기 컨텐츠의 보충적인 부분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보충적인 부분을 전송하는 단계에 이어, 상기 미리 수신된 부분들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상기 단말에 의해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부분은 또한 상기 일련의 명령어들을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단말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의 복원에 연속되는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디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의 다른 부분들을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전송 채널들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상기 최초 부분은 고속 채널을 이용해 전송 및/또는 상기 단말에 미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들은 상기 서버에 있어서 분리된 문서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문서들은 다른 주소들에 의해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1)는 상기 단말(12)에 "LASeR" 포맷에서 "Append" 형태의 멀티미디어 장면의 형상 신호를 또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지지(support)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
  10.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신호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및 상기 최초 장면의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부분의 적어도 컨텐츠의 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보충적인 부분은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보충의 형태로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로부터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는 신호.
  11.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위해 의도된 무선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및 상기 최초 장면의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은 적어도 상기 최초 장면 및 상기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보충의 형태로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최초 부분과 상기 보충적인 부분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최초 부분과, 상기 미리 수신된 부분들을 이용해 상기 요청에 따라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
  12.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및 상기 최초 장면의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일련의 적어도 하나의 최초 장면을 저장하는 단계을 포함하고,
    하기의 단계들인
    - 멀티미디어 컨텐츠 브로드캐스트 서버에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저장된 멀티미디어 장면의 보충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최초 장면 혹은 이전에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보충을 조합하는 업데이트 멀티미디어 장면을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업데이트된 멀티미디어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적어도 한번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법.
  13.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장면 및 상기 최초 장면의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적어도 상기 최초 장면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부분을 전달하는 수단;
    요청을 처리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보충의 형태로 상기 컨텐츠의 보충적인 부분을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단말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서버.
KR1020087008883A 2005-09-14 2006-09-14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KR200800462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9409A FR2890815B1 (fr) 2005-09-14 2005-09-14 Procede de transmission d'un contenu multimedia vers un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programme d'ordinateur, signal,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et serveur de diffusion correspondants
FR0509409 2005-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262A true KR20080046262A (ko) 2008-05-26

Family

ID=3644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883A KR20080046262A (ko) 2005-09-14 2006-09-14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37690B2 (ko)
EP (1) EP1925141A1 (ko)
JP (1) JP2009508245A (ko)
KR (1) KR20080046262A (ko)
CN (1) CN101352010A (ko)
AU (1) AU2006290666A1 (ko)
CA (1) CA2621472A1 (ko)
FR (1) FR2890815B1 (ko)
WO (1) WO2007031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0815B1 (fr) * 2005-09-14 2007-11-23 Streamezzo Sa Procede de transmission d'un contenu multimedia vers un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programme d'ordinateur, signal,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et serveur de diffusion correspondants
FR2917880A1 (fr) * 2007-06-20 2008-12-26 France Telecom Adaptation du format d'une scene multimedia pour l'affichage de cette scene sur un terminal
KR101525248B1 (ko) * 2008-07-16 2015-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치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8519820B2 (en) * 2008-09-02 2013-08-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and restoring scenes in a multimedia system
CL2009000409A1 (es) * 2009-02-23 2009-05-04 Rojas Alejandro Markovits Proceso para obtener una dispersión de fitoesteroles sólidos en agua.
WO2013102962A1 (ja) * 2012-01-04 2013-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ャッシュ装置、キャッシュ置換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5983B1 (fr) * 1997-07-11 2004-12-03 France Telecom Signal de donnees de modification d'une scene graphique, procede et dispositif correspondants
US6456288B1 (en) * 1998-03-31 2002-09-24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real time graphic scene database having increased resolution and improved rendering speed
AU2000220901A1 (en) * 2000-02-01 2001-08-14 Swisscom Mobile Ag System and method for diffusing image objects
US20010027468A1 (en) * 2000-03-09 2001-10-04 Sanyo Electric Co., Ltd. Transmission system, reception system,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 scene with high quality
US7000180B2 (en) * 2000-06-29 2006-02-14 Balthaser Online, Inc. Methods, systems, and processes for the design and creation of rich-media applications via the internet
US7059261B2 (en) * 2004-01-21 2006-06-13 Ncl Corporation Wastewater ballast system and method
AU2001288820A1 (en) * 2000-09-12 2002-03-26 Citrix Systems, Inc. A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web pages
US7934008B2 (en) * 2000-10-20 2011-04-26 Sony Corporation Delivery of multimedia descriptions using access units
US7631277B1 (en) * 2001-12-14 2009-12-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media objects
US7751628B1 (en) * 2001-12-26 2010-07-06 Reisman Richard 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essively deleting media objects from storage
KR100497497B1 (ko) * 2001-12-27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엠펙 데이터의 송수신시스템 및 송수신방법
KR100476781B1 (ko) * 2001-12-28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캐싱기법을 이용한 mpeg-4 시스템 단말의 제어방법
US7739601B1 (en) * 2002-01-23 2010-06-15 Microsoft Corporation Media authoring and presentation
FR2839176A1 (fr) * 2002-04-30 2003-10-3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e d'animation pour robot comprenant un ensemble de pieces mobiles
US7080059B1 (en) * 2002-05-13 2006-07-18 Quasm Corporation Search and presentation engine
US20040111677A1 (en) * 2002-12-04 2004-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means for creating MPEG-4 intermedia format from MPEG-4 textual representation
US7805746B2 (en) * 2003-03-14 2010-09-28 Tvworks, Llc Optimized application on-the-wire format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enhanced television content
US7088374B2 (en) * 2003-03-27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isual structure, timing, and animation in a graphics processing system
WO2004090899A1 (en) * 2003-04-07 2004-10-21 Internet Pro Video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media manipulation capabilities
US20050128991A1 (en) * 2003-05-08 2005-06-16 Sriram Dayanandan Coordination between simultaneously operating Pico-Nets in high mobility wireless networks
KR100695126B1 (ko) * 2003-12-02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데이터 압축에 관한 메타표현을 이용한 입력파일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afx부호화 방법 및 장치
WO2005088927A1 (fr) * 2004-02-13 2005-09-22 France Telecom Procede d’edition d’une page multimedia avec pre-memorisation
US7808900B2 (en) * 2004-04-12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considering terminal capability
EP1771976A4 (en) * 2004-07-22 2011-03-23 Korea Electronics Telecomm SAF SYNCHRONIZATION LAYER PACKAGE STRUCTURE AND SERVER SYSTEM THEREFOR
US20070192818A1 (en) * 2004-10-12 2007-08-16 Mikael Bourges-Sevenier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distributing, and executing rich multimedia applications
FR2890815B1 (fr) * 2005-09-14 2007-11-23 Streamezzo Sa Procede de transmission d'un contenu multimedia vers un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programme d'ordinateur, signal,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et serveur de diffusion correspond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1570A1 (fr) 2007-03-22
FR2890815B1 (fr) 2007-11-23
CN101352010A (zh) 2009-01-21
US8437690B2 (en) 2013-05-07
AU2006290666A1 (en) 2007-03-22
US20090197525A1 (en) 2009-08-06
JP2009508245A (ja) 2009-02-26
EP1925141A1 (fr) 2008-05-28
FR2890815A1 (fr) 2007-03-16
CA2621472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1930B1 (en) Partitioning of file for emulating streaming
US7529806B1 (en) Partitioning of MP3 content file for emulating streaming
US6185602B1 (en) Multi-user interaction of multimedia communication
CN101359996B (zh) 媒体业务呈现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US7917644B2 (en) Extensions to rich media container format for use by mobile broadcast/multicast streaming servers
US20080222504A1 (en) Script-based system to perform dynamic updates to rich media content and services
EP0984584A1 (en) Internet multimedia broadcast system
US20020049852A1 (en) Global messaging with distributed adaptive streaming control
Peng Digital television applications
KR20080046262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CN1997160A (zh) 一种多路节目接收显示系统和方法
EP1142341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streaming video from an html web page as mpeg video
CN113727178A (zh) 投屏资源控制方法及其装置、设备与介质
KR100641635B1 (ko) 개인 창조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그 방법
CN113727177A (zh) 投屏资源播放方法及其装置、设备与介质
US11778011B2 (en) Live streaming architecture with server-side stream mixing
US20020194301A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Ibrahim et al. TV graphics personalization using in-band events
CN116528001A (zh) 一种交互式网络电视iptv业务的用户行为控制系统及方法
KR20050001978A (ko) 모바일 광고방법 및 광고시스템
KR100279562B1 (ko) 웹을 이용한 데이빅 시스템 및 그 데이빅 서버액세스 방법
Ahl IDUN: A Broadcast Multimedia System
CN101554030A (zh) 用于管理通信信道的方法和相应的信号及终端
KR20000015610A (ko) 웹을 이용한 데이빅 시스템 및 그 데이빅 서버액세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