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884A -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884A
KR20080045884A KR1020060115114A KR20060115114A KR20080045884A KR 20080045884 A KR20080045884 A KR 20080045884A KR 1020060115114 A KR1020060115114 A KR 1020060115114A KR 20060115114 A KR20060115114 A KR 20060115114A KR 20080045884 A KR20080045884 A KR 20080045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lock
lock mode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720B1 (ko
Inventor
전소정
Original Assignee
전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소정 filed Critical 전소정
Priority to KR102006011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7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단말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작동을 강제로 정지시킴과 동시에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부팅 모드를 실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컴퓨터 사용 제한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입력 기법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사용을 제한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원격 단말(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작동중인 컴퓨터에 잠금 신호를 제공할 때 컴퓨터를 로그아웃시킨 후 컴퓨터의 부팅을 강제 차단하는 잠금 모드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무분별한 컴퓨터의 사용을 매우 능동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COMPUT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컴퓨터 내부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컴퓨터에 접속되는 수신기의 접속 여부를 체크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원격 단말 120 : 수신기
130 : 컴퓨터 132 : 제어 블록
134 : 하드 블록 136 : RAM
138 : 모니터
본 발명은 컴퓨터를 제어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단말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작동 및 부팅 모드를 원격으로 제어하는데 적합한 컴퓨터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컴퓨터는 문서 작업, 온라인 쇼핑 등과 같은 일상적인 것 뿐만 아니라 메모리에 자체 저장해 둔 게임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거나 혹은 인터넷 등을 통해 원격지의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장시간 동안의 컴퓨터 사용으로 인해 폐해(시력저하, 게임 중독 등)가 급증하면서 컴퓨터의 사용을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기법 등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사용 제한 기법으로는 비밀번호를 이용한 기법(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만 컴퓨터를 부팅시키는 기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사용을 제한하는 기법의 경우 비밀번호의 노출이 쉬운 관계로 근본적인 사용 제한 대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 단말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작동을 강제로 정지시킴과 동시에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부팅 모드를 실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컴퓨터 사용 제한을 실현할 수 있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작동 중지를 위한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착탈 여부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부팅 모드를 실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컴퓨터 사용 제한을 실현할 수 있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운용 프로그램 및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컴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작동 중일 때 원격지의 단말로부터 잠금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잠금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컴퓨터를 로그아웃시킨 후 상기 컴퓨터의 부팅을 강제 차단하는 잠금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잠금 모드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실행한 후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컴퓨터의 부팅이 가능한 부팅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비밀번호 입력 기법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사용을 제한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원격 단말(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작동중인 컴퓨터에 잠금 신호를 제공할 때 컴퓨터를 로그아웃시킨 후 컴퓨터의 부팅을 강제 차단하는 잠금 모드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에 대한 강제적인 사용 제한(통제 관리)을 실현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의 계통도로서, 원격 단말(무선 단말)(110), 수신기(120) 및 컴퓨터(130)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단말은 잠금 신호의 발생을 위한 조작 버튼(도시 생략)을 구비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조작 버튼을 조작할 때 그에 상응하는 잠금 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으로 원격 송출하며, 이와 같이 무선 송출된 잠금 신호는 USB 등을 통해 컴퓨터(130)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수신기(120) 측으로 전달된다. 이때, 원격 단말(110)로부터 발생되는 잠금 신호는 AM 또는 FM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20)는 주파수 복조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원격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잠금 신호를 복조하여 컴퓨터(130)로 제공하고, 컴퓨터(130)로부터 접속 확인용 신호가 수신될 때 그에 상응하는 접속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컴퓨터(130)로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컴퓨터(130)는 데스크탑 등과 같은 통상의 컴퓨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컴퓨터(130)는,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블록(132), 하드 블록(134), RAM(136), 모니터(138)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블록(132)은, 예컨대 컴퓨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잠금 모드와 통상적인 부팅 모드 등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이를 위하여, 하드 블록(134)에는 컴퓨터 운용 프로그램,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며, RAM(136)에는 부팅 모드 등을 실행할 때 필요로 하는 컴퓨터 운용 프로그램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그리고, 모니터(138)는 제어 블록(132)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화면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의 사용을 제한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터가 부팅되어 프로그램 실행 모드를 진행하는 중에 제어 블록(132)에서는 수신기(120)를 통해 원격 단말(110)로부터 잠금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02, 304). 즉, 원격 단말 사용자(예컨대, 부모, 보호자 등)는 누군가(예컨대, 자녀 등)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중에 조작 버튼을 눌러 컴퓨터의 작동을 강제 정지시키는 잠금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304)에서의 체크 결과, 원격 단말(110)로부터 무선 송출된 잠금 신호가 수신기(120)를 통해 수신되어 제어 블록(132)으로 전달되면, 제어 블록(132)에서는 컴퓨터의 로그아웃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로그아웃시킴과 동시에 컴퓨터를 부팅시킬 수 없는 잠금 모드를 실행한다(단계 306). 여기에서, 잠금 모드를 기 설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1H, 2H, 3H 등) 동안 실행되는데, 이러한 잠금 모드의 설정 지속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어 블록(132)에서는 잠금 모드의 실행과 동시에 강제 잠금에 의해 로그아웃되었으며 일정 시간 동안 부팅을 시킬 수 없는 잠금 모드를 실행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잠금 모드 실행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모니터(138) 측으로 전달하고, 그 결과 모니터(138)를 통해 잠금 모드 실행 안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단계 308), 컴퓨터 사용자는 자신의 보호자(원격 단말 사용자)가 컴퓨터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켰음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자는 잠금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에 컴퓨터를 재부팅시킬 수 없게 되므로, 컴퓨터의 사용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단말을 이용하는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해 컴퓨터의 사용을 제한, 즉 컴퓨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부팅되지 않도록 강제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원격 단말 사용자는 컴퓨터가 잠금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에 조작 버튼을 눌러 컴퓨터의 잠금 모드를 해제, 즉 부팅 모드로 절환할 수 있는데, 단계(310)에서는 수신기(120)를 통해 원격 단말(11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즉, 컴퓨터가 잠금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버튼 조작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이러한 체크는 잠금 모드의 실행 지속 시간(t)이 기 설정된 일정 시간(n)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행해진다(단계 312). 즉, 본 발명에서는 원격 단말(110)의 조작 버튼을 한번 누르면 컴퓨터가 잠금 모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조작 버튼을 다시 누르면 잠금 모드가 해제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단계(310)에서의 체크 결과, 수신기(120)를 통해 원격 단말(11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블록(132)에서는 잠금 모드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컴퓨터를 부팅시킬 수 있는 부팅 모드를 실행시킨다(단계 314). 따라서, 사용자는 이 시간 이후부터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로부터 수신기를 제거하는 경우에 대비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델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모델은 자녀 등의 기타 사용자가 수신기를 컴퓨터로부터 빼고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4는 컴퓨터에 접속되는 수신기의 접속 여부를 체크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컴퓨터의 전원을 온 시키면 부팅 지령이 발생하게 되는데(단계 402), 부팅을 실행하기 전에 제어 블록(132)에서는 수신기(120)의 접속 상태를 체크(단계 404), 즉 접속 확인용 신호를 발생하여 수신기(120)로 전달하고, 수신기(120)에서는 접속 확인용 신호에 상응하는 접속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 블록(132)으로 전달한다.
즉, 제어 블록(132)에서는 접속 확인용 신호와 접속 상태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수신기(120)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단계 406), 판단 결과 수신기(120)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부팅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컴퓨터를 부팅시킨다(단계 408).
상기 단계(406)에서의 체크 결과, 수신기(12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 즉 수신기(120)로부터 접속 상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블록(132)에서는 수신기(120)의 접속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컴퓨터를 부팅시킬 수 없는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시킨다(단계 410).
또한, 제어 블록(132)에서는 잠금 모드(수신기 부재에 의한 잠금 모드)의 실행과 동시에 수신기가 빠져 있어 컴퓨터의 부팅을 강제 정지시크는 잠금 모드를 실행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잠금 모드 실행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모니터(138) 측으로 전달하고, 그 결과 모니터(138)를 통해 잠금 모드 실행 안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단계 412), 컴퓨터 사용자는 수신기의 부재로 인해 컴퓨터를 부팅시킬 수 없음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 사용되는 사용 제한 프로그램은 CD 등에 담아 컴퓨터에 탑재(로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 제한 프로그램은, 해당 프로그램의 삭제 방지 등을 위해, 프로그램 아이콘이 메인 바탕 화면에 뜨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밀번호 입력 기법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사용을 제한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원격 단말(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작동중인 컴퓨터에 잠금 신호를 제공할 때 컴퓨터를 로그아웃시킨 후 컴퓨터의 부팅을 강제 차단하는 잠금 모드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무분별한 컴퓨터의 사용을 매우 능동적으로 통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6)

  1. 컴퓨터 운용 프로그램 및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컴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작동 중일 때 원격지의 단말로부터 잠금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잠금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컴퓨터를 로그아웃시킨 후 상기 컴퓨터의 부팅을 강제 차단하는 잠금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잠금 모드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실행한 후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컴퓨터의 부팅이 가능한 부팅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잠금 모드를 실행하는 중에 상기 단말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팅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잠금 모드의 실행과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잠금 모드 실행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터의 부팅 지령이 발생할 때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상기 컴퓨터의 접속 위치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잠금 모드를 자동 실행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잠금 모드의 실행과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잠금 모드 실행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AM 또는 FM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0060115114A 2006-11-21 2006-11-21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86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114A KR100861720B1 (ko) 2006-11-21 2006-11-21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114A KR100861720B1 (ko) 2006-11-21 2006-11-21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884A true KR20080045884A (ko) 2008-05-26
KR100861720B1 KR100861720B1 (ko) 2008-10-06

Family

ID=3966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114A KR100861720B1 (ko) 2006-11-21 2006-11-21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271A (ko) * 2017-01-16 2018-07-25 김지환 Pc방 관리 방법
KR102103593B1 (ko) * 2019-07-29 2020-04-23 김창석 외장형 운영체제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912B1 (ko) * 2002-04-04 2004-12-04 모승기 컴퓨터 사용 제어 단말기
KR20050089358A (ko) * 2004-03-04 2005-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KR100764646B1 (ko) * 2005-12-27 2007-10-08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원격 제어 시스템 및컴퓨터 원격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271A (ko) * 2017-01-16 2018-07-25 김지환 Pc방 관리 방법
KR102103593B1 (ko) * 2019-07-29 2020-04-23 김창석 외장형 운영체제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720B1 (ko) 200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148B1 (ko)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의 자동 활성화 및 비활성화
JP4984899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8898321B2 (en) Remote device communication platform user interface
EP2879028A1 (en) Electronic device unlock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US201701048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of computers
KR100385020B1 (ko)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동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동 암호확인 방법
JP2000322363A (ja) 遠隔制御され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CN107103224B (zh) 一种解锁方法及移动终端
CN109491573B (zh) 电子装置控制方法以及执行此方法的电子装置
US20090031417A1 (en) KVM switc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861720B1 (ko)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TWI539276B (zh) 操作時間監控系統
CN105426166A (zh) 借助热检测控制电子装置的方法及其设备
US20170065894A1 (en) Extensible Video Game Time Limiter
JPWO2018029800A1 (ja) 空気調和機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101402629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원격제어시스템
JP4403222B2 (ja) 電子機器、センサ、電子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プログラム
US20120056731A1 (en) Device control system
CN112328980A (zh) 设备访问的控制方法及装置
JP2005202691A (ja) 情報処理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641058B1 (ko) 유에스비 커넥터를 이용한 자동 게임장치
JP2005534097A (ja) スタイラスを備えるpdaデバイス
US114033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I599913B (zh) 電腦裝置以及其光碟機的控制方法
TWI706645B (zh) 遠端喚醒方法以及遠端喚醒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