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358A -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358A
KR20050089358A KR1020040014716A KR20040014716A KR20050089358A KR 20050089358 A KR20050089358 A KR 20050089358A KR 1020040014716 A KR1020040014716 A KR 1020040014716A KR 20040014716 A KR20040014716 A KR 20040014716A KR 20050089358 A KR20050089358 A KR 20050089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approval
remot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358A/ko
Publication of KR2005008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로부터 통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컴퓨터 내에 설치한 후, 자녀들이 컴퓨터를 사용할 때마다 통제 프로그램에 의해 부모의 이동 단말기로 자녀의 컴퓨터 사용 승인을 요청하고, 부모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컴퓨터의 사용을 승인하면 컴퓨터가 부팅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컴퓨터의 사용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100)은, 승인자 단말기(110), 승인설정 컴퓨터(112), 이동 통신망(120),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 게이트웨이(140), 인터넷(150), 사용자 컴퓨터(16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녀들의 PC 사용 시간 및 인터넷 접속을 관리하여 무절제한 컴퓨터 사용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원격지에서도 컴퓨터의 사용을 통제함으로써 컴퓨터 중독, 음란 사이트나 폭력 사이트, 마약 사이트의 접속 등을 사전에 차단하여, 자녀들의 PC 사용에 대한 건전성과 PC에 의한 학습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puter Remotely Using by Remoteness Permission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로부터 통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컴퓨터 내에 설치한 후, 자녀들이 컴퓨터를 사용할 때마다 통제 프로그램에 의해 부모의 이동 단말기로 자녀의 컴퓨터 사용 승인을 요청하고, 부모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컴퓨터의 사용을 승인하면 컴퓨터가 부팅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컴퓨터의 사용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확장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가정 내의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한 정보 획득의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각 가정마다 PC를 설치하여 자녀들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 상품을 검색하여 주문하거나, 인터넷 상에서 원격으로 강의를 듣기도 한다.
위와 같이 가정에서 컴퓨터의 활용이 많아지다보니 자녀들의 무분별한 악의적 사용도 늘고 있다. 예컨대, 부모가 집에 없을 경우에 자녀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유해한 온라인 게임을 즐긴다거나, 부모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하여 음란이나 폭력 사이트에 접속하기도 한다.
따라서, 미성년 자녀들의 무분별한 컴퓨터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PC 사용을 제약하는 PC 관리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PC 관리 프로그램은 카드 등을 PC 내부에 설치하여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만 PC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부모가 외출 중이거나 출타 중일 경우에 자녀들이 PC 관리 프로그램의 설정 내용을 임의로 수정하여 컴퓨터를 맘대로 사용하다보니, 자녀들이 인터넷 음란 사이트, 폭력 사이트, 마약 사이트 등의 유해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무절제한 컴퓨터의 사용으로 컴퓨터 사용 중독에 빠지게 되는 문제를 낳고 있다. 이렇게 청소년들의 가정용 PC의 무분별한 사용을 통제하지 못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사회에 물의를 일으키거나, 또는 청소년 교육에 폐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녀들이 컴퓨터를 사용할 때마다 통제 프로그램에 의해 부모의 이동 단말기로 자녀의 컴퓨터 사용 승인을 요청하고, 부모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컴퓨터의 사용을 승인하면 컴퓨터가 부팅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컴퓨터의 사용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한 사용 승인에 의해 컴퓨터의 사용을 원격으로 통제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작성하거나, 부팅 시에 상기 컴퓨터의 사용 승인을 인터넷을 통하여 요청하는 컴퓨터 단말기;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 승인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승인 암호 및 사용 시간을 입력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승인용 이동 단말기; 원격 통제 프로그램을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 다운로드시키고, 이후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부팅시에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암호 및 사용 시간을 수신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부팅이 실행되도록 원격으로 제어하는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 및 가입자 정보를 비롯한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한 사용 승인에 의해 컴퓨터의 사용을 원격으로 통제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으로서, 승인설정 컴퓨터로부터 사용자 컴퓨터의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 승인을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부팅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제2 단계; 가입자의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무선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승인 암호 및 사용 시간이 포함된 승인 여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승인 여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해 주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100)은, 승인자 단말기(110), 승인설정 컴퓨터(112), 이동 통신망(120),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 게이트웨이(140), 인터넷(150), 사용자 컴퓨터(16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승인자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120)을 통하여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인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자녀)가 사용자 컴퓨터(160)를 사용하려고 할 때,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부터 컴퓨터 사용의 승인을 요청하는 부팅 암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부팅 암호와 사용 시간을 입력하여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말기이다. 이때, 부팅 암호 요청 메시지에는 승인자 단말기(110)가 무선 인터넷으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Callback) URL이 포함되어 있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이다.
승인자 단말기(110)는 콜백 URL을 이용하여 무선 호 시도(Call Attempt)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 통신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호 시도란 승인자 단말기(110)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거나 통화 버튼이 눌려지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인자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승인자 단말기(11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사이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인설정 컴퓨터(112)는 가입자(학부모)가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인터넷(150)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컴퓨터(160)의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물론, 가입자(학부모)와 사용자(자녀)가 동일한 컴퓨터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 승인설정 컴퓨터(112)는 사용자 컴퓨터(160)와 동일한 컴퓨터이고, 가입자(학부모)와 사용자(자녀)가 서로 다른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인설정 컴퓨터(112)와 사용자 컴퓨터(160)는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지며,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이동 통신망(120)은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부터 송출된 부팅 암호 요청 메시지를 승인자 단말기(110)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또한 승인자 단말기(110)의 무선 인터넷에 대한 호 접속 요구 신호를 처리하여 승인자 단말기(110)가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접속되도록 교환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망(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220), 기지국 전송기(222), 기지국 제어기(224), 이동 교환국(230), HLR(232), VLR(234) 등을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220)은 승인자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승인자 단말기(110)의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220)은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고, 기지국 전송기(222) 및 기지국 제어기(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2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기지국 제어기(2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2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및 기지국 제어기(2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2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2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승인자 단말기(110)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승인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2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22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승인자 단말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224)는 기지국 전송기(222)를 제어하며, 승인자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승인자 단말기(110) 및 기지국 전송기(2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224)는 기지국 전송기(222)를 통하여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국(230)으로 전달한다.
이동 교환국(2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230)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세대 및 4세대를 위한 이동 교환국(230)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로 패킷을 처리함으로써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232)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234)로부터 승인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HLR(232)에는 대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승인자 단말기(11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VLR(234)은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발신 단말기에서 발신의 경우, 착신 단말기로의 착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 교환국(23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한편,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PC 통제 프로그램을 승인설정 컴퓨터(112)에 다운로드시키고, 이후 승인설정 컴퓨터(112)로부터 PC 부팅 제어, 인터넷 유해사이트 접속 제어, PC 사용 시간, 인터넷 접속사항 조회, PC 사용 시간표 등의 컴퓨터 원격 관리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사용자 컴퓨터(160)의 부팅시에 승인자 단말기(110)로 부팅 암호 요청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송하고, 승인자 단말기(110)로부터 승인 여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승인 여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 컴퓨터(160)의 부팅이 실행되도록 원격으로 제어한다.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서 승인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부팅 암호 요청 메시지에는 승인자 단말기(110)가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 무선 접속하기 위한 콜백 URL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가입자(학부모)가 회원으로 가입시 가입자로부터 ID와, 접속 비밀번호, 단말기 번호, 부팅 암호 등의 가입자 정보를 등록받아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하여 보관한다.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는 가입자(학부모)의 가입자 정보를 비롯한 사용자 컴퓨터(160)의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 예컨대, PC 사용 시간표 등의 승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가입자(학부모)가 승인설정 컴퓨터(112)를 통하여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사용 시간 계획표 등을 수정한 경우에는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어 있는 승인 설정 데이터가 갱신되어 저장되고,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갱신된 승인 설정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 컴퓨터(160)를 원격으로 통제하게 된다.
게이트웨이(140)는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IWF(Inter Working Function) 변환 기능을 가지며, 셀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써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함께 이용하여 셀 단위로 스위칭한다. 게이트웨이(14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ISDN(Broad ISDN), IN(Intelligent Network),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의 타 통신망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게이트웨이(140)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도 포함되는데, WAP 브라우저가 설치된 승인자 단말기(110)가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접속되기 위해서는 WAP 게이트웨이 및 인터넷(150)을 경유하게 된다. 여기서, WAP 게이트웨이는 승인자 단말기(110)로부터의 WAP 프로토콜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요구를 요청 받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역으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부터의 TCP/I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 데이터를 받아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승인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인터넷(150)은 승인자 단말기(110)가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사용자 컴퓨터(16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전원에 의하여 항상 전원이 대기 상태로 있으며, 부팅 암호를 통하여 부팅하게 되고,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인터넷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접속 프로그램 및 IC 칩 형태의 카드가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자녀)가 사용자 컴퓨터(160)의 전원을 온 시키는 순간 접속 프로그램에 의해 부팅 승인 요청 신호를 인터넷(150)을 통해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승인자 단말기(110)에서 사용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동 통신망(120)을 통해 승인자 단말기(110)가 접속하면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후 승인자 단말기(110)로부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승인자 단말기(110)가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과 같은 웹 언어로 구축된 무선 접속용 웹 사이트를 운용한다. 따라서, 가입자가 승인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 접속하는 경우에 별도로 MIN을 입력하지 않아도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가 승인자 단말기(110)의 접속 요구 데이터를 자신에게 접속된 승인자 단말기(110)의 MIN과 함께 저장한다. 이때,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해당 승인자 단말기(110)의 MIN, 접속 요구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한다.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는 새로 업그레이된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무선으로 접속된 승인자 단말기(110)의 MIN 정보나 접속 요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접속이 해제되면 삭제한다.
한편,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또는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또는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또는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Elements)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도 3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가입자(학부모)는 승인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으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사용자 컴퓨터(160)의 사용 승인에 대하여 설정하거나, 승인설정 컴퓨터(112)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사용자 컴퓨터(160)의 사용 승인에 대하여 설정하게 된다.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가입자(학부모)로부터 승인자 단말기(110)나 승인설정 컴퓨터(112)를 통하여 입력받은 사용 승인 설정 데이터를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해 둔다(S302).
여기서, 가입자(학부모)가 승인자 단말기(110)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승인자 단말기(110)에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를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가입자(학부모)는 승인자 단말기(110)를 휴대한 채 고객 센터에 가서 해당 단말기에 WAP 브라우저를 설치한다. 즉, 고객 센터의 직원이 브라우저 다운로드 장치(PC)와 승인자 단말기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WAP 브라우저를 다운로드시켜 설치한다. 이때, 고객 센터의 직원은 사용자에게 자주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가 있는지를 질의하여 해당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이미지나 WML 등의 로컬 데이터도 함께 다운로드시키게 된다. 따라서, 브라우저 다운로드 장치(PC)에서 WAP 브라우저 및 로컬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200)로 다운로드되고(S404), WAP 브라우저는 승인자 단말기(110)의 메모리에 저장되면서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또는 이에 상응하는 플랫폼(Platform)의 상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승인자 단말기(110)는 현재 위치한 지역을 관할하는 무선 기지국(220)에 대해 위치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상시에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즉, 승인자 단말기(110)는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고, 이를 근거로 단말기의 동작을 전화 통화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승인자 단말기(110)는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자녀)는 사용자 컴퓨터(160)를 통하여 학습을 수행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학습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컴퓨터(160)의 전원을 온 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컴퓨터(160)는 접속 프로그램에 따라 부팅 승인 요청 신호를 인터넷(150)을 경유하여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준다(S304). 이때, 부팅 승인 요청 신호에는 가입자(학부모)의 ID가 포함되어 있다.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컴퓨터(160)로부터 부팅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132)를 통해 가입자(학부모)의 ID를 검색하여 ID에 대응된 가입자의 단말기 번호를 얻고, 가입자의 단말기 번호로 콜백 URL이 포함된 부팅 승인 요청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306).
승인자 단말기(110)로 부팅 승인 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한 가입자(학부모)는 콜백 URL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으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로 접속하고, 사용자 컴퓨터(160)의 사용에 대한 승인 여부 및 사용 시간을 입력하여 전송한다(S308).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승인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승인 여부, 즉 부팅 암호와, 사용 시간을 인터넷(150)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160)로 전송해 준다(S310).
따라서, 사용자 컴퓨터(160)는 수신한 부팅 암호가 일치할 경우 사용이 승인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사용 시간을 모니터로 표시하게 되고, 사용자(자녀)는 확인 버튼을 입력하게 되어 사용자 컴퓨터(160)의 부팅이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 컴퓨터(160)는 부팅된 이후 시간을 계수하게 되는데, 사용 시간 한도가 가까와지면, PC 오프(OFF) 경보 메시지 창을 화면에 표시하게 되고, 시간을 연장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한다.
사용 시간을 연장할 경우에 사용자(자녀)는 사용 승인을 요청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가입자(학부모)의 승인자 단말기(110)로 요청하게 되고, 승인자 단말기(110)에서는 가입자(학부모)가 사용 시간을 입력하여 전송해 줌으로써, 사용자 컴퓨터(160)의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컴퓨터(160)가 인터넷(150)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이트에 대하여 사이트 방문 내역으로 기록 관리해 두며, 사용자 컴퓨터(160)가 특정 유해 사이트에 접속할 시, 가입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 승인 설정 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유해 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컴퓨터(160)로 전송해 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자녀)가 인터넷 음란 사이트나 폭력 사이트, 마약 사이트 등에 접속하려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청소년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녀들이 컴퓨터를 사용할 때마다 통제 프로그램에 의해 부모의 이동 단말기로 자녀의 컴퓨터 사용 승인을 요청하고, 부모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컴퓨터의 사용을 승인하면 컴퓨터가 부팅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컴퓨터의 사용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녀들의 PC 사용 시간 및 인터넷 접속을 관리하여 무절제한 컴퓨터 사용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원격지에서도 컴퓨터의 사용을 통제함으로써 컴퓨터 중독, 음란 사이트나 폭력 사이트, 마약 사이트의 접속 등을 사전에 차단하여, 자녀들의 PC 사용에 대한 건전성과 PC에 의한 학습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110 : 승인자 단말기
112 : 승인설정 컴퓨터 120 : 이동 통신망
130 :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 132 :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
140 : 게이트웨이 150 : 인터넷
160 : 사용자 컴퓨터(160) 220 : 무선 기지국
222 : 기지국 전송기 224 : 기지국 제어기
230 : 이동 교환국 232 : HLR
234 : VLR

Claims (20)

  1. 이동 통신망을 통한 사용 승인에 의해 컴퓨터의 사용을 원격으로 통제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작성하거나, 부팅 시에 상기 컴퓨터의 사용 승인을 인터넷을 통하여 요청하는 컴퓨터 단말기;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 승인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승인 암호 및 사용 시간을 입력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승인용 이동 단말기;
    원격 통제 프로그램을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 다운로드시키고, 이후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부팅시에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암호 및 사용 시간을 수신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부팅이 실행되도록 원격으로 제어하는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 및
    가입자 정보를 비롯한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부팅 후에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얻는 사용자용 컴퓨터이거나, 상기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승인설정용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는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으로 상기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Callback) URL이 포함되어 있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는 부팅 제어, 인터넷 유해사이트 접속 제어, 사용 시간, 인터넷 접속사항 조회, 사용 시간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ID와, 접속 비밀번호, 단말기 번호, 부팅 암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는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가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WML(Wireless Markup Language)을 포함하는 웹 언어로 구축된 무선 접속용 웹 사이트를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는, 가입자가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로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에서 별도로 MIN을 입력하지 않아도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의 접속 요구 데이터를 자신에게 접속된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의 MIN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또는 DB2를 포함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또는 O2를 포함하는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또는 세카이주(Sekaiju)를 포함하는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망과,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및
    상기 이동 통신망과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 사이에 연결되고, 셀(Cell)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써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함께 이용하여 셀 단위로 스위칭하는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의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시스템.
  13. 이동 통신망을 통한 사용 승인에 의해 컴퓨터의 사용을 원격으로 통제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으로서,
    승인설정 컴퓨터로부터 사용자 컴퓨터의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 승인을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부팅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제2 단계;
    가입자의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무선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승인 암호 및 사용 시간이 포함된 승인 여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승인 여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해 주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는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으로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Callback) URL이 포함되어 있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승인에 대한 설정 데이터는 부팅 제어, 인터넷 유해사이트 접속 제어, 사용 시간, 인터넷 접속사항 조회, 사용 시간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승인 여부 데이터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망과,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및 상기 이동 통신망과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 사이에 연결되고, 셀(Cell)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써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함께 이용하여 셀 단위로 스위칭하는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사용 승인을 설정하기 전에,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상기 가입자가 회원으로 등록하고, 상기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가입자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3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정보는 ID와, 접속 비밀번호, 단말기 번호, 부팅 암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가입자가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컴퓨터 원격관리 서버로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에서 별도로 MIN을 입력하지 않아도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의 접속 요구 데이터를 자신에게 접속된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의 MIN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용 이동 단말기가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때,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또는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를 이용해 상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
KR1020040014716A 2004-03-04 2004-03-04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KR20050089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716A KR20050089358A (ko) 2004-03-04 2004-03-04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716A KR20050089358A (ko) 2004-03-04 2004-03-04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358A true KR20050089358A (ko) 2005-09-08

Family

ID=3727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716A KR20050089358A (ko) 2004-03-04 2004-03-04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3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811B1 (ko) 2006-05-09 2007-11-26 (주)엘스윈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KR100861720B1 (ko) * 2006-11-21 2008-10-06 전소정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1027412B1 (ko) * 2009-03-18 2011-04-11 (주)다인시스 디지털티비와 네트워크 사용의 감시가 가능한 원격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811B1 (ko) 2006-05-09 2007-11-26 (주)엘스윈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KR100861720B1 (ko) * 2006-11-21 2008-10-06 전소정 컴퓨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1027412B1 (ko) * 2009-03-18 2011-04-11 (주)다인시스 디지털티비와 네트워크 사용의 감시가 가능한 원격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1613B (zh) 基于位置和公司服务等级约定来限制电子设备功能的使用
EP22002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smart card
US200801670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84945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M application toolk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82179A (ko) 상호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CN102187714A (zh) 移动终端接入无线网络的方法、设备及通信系统
KR20150026654A (ko) 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GB2366942A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040096331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1168A (ko) 이동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0391A (ko)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89358A (ko) 이동 통신망의 원격승인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관리 방법및 시스템
KR100704837B1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쇼핑리스트와 할인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32366B1 (ko) 인바운드 로머에 무 SIM 기기를 통한 WiFi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97049B1 (ko) 특정 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시스템 및 장치
KR100723693B1 (ko) 코드 서명 모듈을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5051A (ko) 유무선 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713479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識別情報送信装置
KR100974792B1 (ko) 홈 네트워킹 출입문 점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09670B1 (ko) 영상 통신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062236A1 (en) Method of chatting through a cellular phone system
EP1317843B1 (e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method therefor
KR101354705B1 (ko) 통신 서비스 이용 이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02368B1 (ko) 차세대이동통신(imt-2000) 사용자 인증 절차를 선택적으로 생략하는 방법
KR100673239B1 (ko) 홈네트워크 기반의 친구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