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613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613A
KR20080045613A KR1020070112499A KR20070112499A KR20080045613A KR 20080045613 A KR20080045613 A KR 20080045613A KR 1020070112499 A KR1020070112499 A KR 1020070112499A KR 20070112499 A KR20070112499 A KR 20070112499A KR 20080045613 A KR20080045613 A KR 2008004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case
rear wal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118B1 (ko
Inventor
세이지 하야시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된 직사각형 판형상의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정 패널의 표시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면의 외주부에 맞닿는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후벽과; 상기 액정 패널 표시면의 외주에 맞닿고 상기 후벽과 협동하여 상기 액정 패널을 끼워지지하는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앞벽을 구비한다. 상기 후벽 또는 상기 앞벽의 한쪽에 상기 액정 패널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 맞닿아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액정 패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편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 결정편은 상기 액정 패널의 면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 위치 결정편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일본 특허출원 JP2006-312582(2006.11.20)의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액정 패널이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종래, 액정 패널의 4변에 따라 연재되는 케이스의 측벽에 액정 패널의 4변이 맞닿음으로써 표시면의 면에 따른 방향에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고, 이와 같이 위치 결정이 된 상태에서, 액정 패널은, 표시면의 외주부와, 표시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면의 외주부가 케이스 또는 케이스에 부착된 부재에 의해 끼워지지됨으로써 지지되어 있다(JP-A-2004-296193 참조).
그런데, 많은 경우, 케이스는 합성 수지제이고, 액정 패널은 2장의 유리 기재와 그 사이에 끼운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의 열팽창계수는 유리의 열팽창계수보다도 1자리(桁) 정도 큰 값이기 때문에, 환경 온도가 저하되면, 케이스는 액정 패널보다도 더욱 큰 치수로 수축하게 된다.
그 결과, 액정 패널의 4변이 케이스의 측벽에 의해 강하게 가압되고, 액정 패널에 표시면에 따른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액정 패널의 표시 화면이 흐트러지는 이상이 생기고, 이와 같은 이상은, 액정 패널 및 케이스의 치수가 커지고, 액정 표시 장치가 대형화할수록 현저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환경 온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표시 화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액정 패널의 표시면에 따른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고, 대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된 직사각형 판형상의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정 패널의 표시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면의 외주부에 맞닿는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후벽과; 상기 액정 패널 표시면의 외주에 맞닿고 상기 후벽과 협동하여 상기 액정 패널을 끼워지지하는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앞벽을 구비한다. 상기 후벽 또는 상기 앞벽의 한쪽에 상기 액정 패널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 맞닿아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액정 패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편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 결정편은 상기 액정 패널의 면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패널의 면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위치 결정편이 액정 패널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 맞닿음으로써 케이스에 대한 액정 패널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의 표시면에 따른 방향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온도의 저하에 의해 케이스가 액정 패널에 비교하여 큰 치수로 수축하여도, 위치 결정편이 탄성 변형함에 의해, 액정 패널의 측부에 작용하는 힘을 저감시키고, 액정 패널의 표시 화면이 흐트러지는 이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의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30)를 이용한 텔레비전 장치(10)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텔레비전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텔레비전 장치(10)는, 외장을 구성하는 몸체(12)와, 베이스(12A)를 구비한다. 베이스(12A)는 몸체(12)의 하부에 마련되고 재 치면에 재치된다. 몸체(12) 내부에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30)가 조립되고, 또한, 몸체(12)에 전장부(20)(도 2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텔레비전 장치(10)의 전장부(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장부(20)는, 수신부(20A), 영상 신호 처리부(20B), 음성 신호 처리부(20C), 제어부(20D), 조작부(20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신부(20A)는, 제어부(20D)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선국을 행하고,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텔레비전 신호를 복조하여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20B)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해 필요한 신호 처리를 행하고, 액정 표시 장치(30)(도 1 참조)의 액정 패널(32)에 공급한다. 이로써, 액정 패널(32)에 화상이 표시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20C)는,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해 필요한 신호 처리 및 증폭 처리를 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스피커(18)에 공급한다. 이로써 스피커(18)로부터 음성이 발생된다.
조작부(20E)는, 텔레비전 장치(10)에 의한 방송의 시청에 관련되는 여러가지의 조작이나 설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면, 선국 스위치, 음량 조정 스위치, 입력 전환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20D)는, 조작부(20E)의 조작에 의거하여, 수신부(20A), 영상 신호 처리부(20B), 음성 신호 처리부(20C)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어부(20D)는 외부 입력단자와 입력 전환 회로도 구비한다. 외부 입력단자는 DVD 플레이어나 비디오 덱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 전환 회로는 이들 외부 입력단자에 공급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부(20B) 및 음성 신호 처리부(20C)에 전환하여 입력한다.
조작부(20E)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부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상기 입력 전환 회로를 통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20B) 및 음성 신호 처리부(20C)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30)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액정 표시 장치(3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반사판(38)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반사판(38)에 형광관(40)이 배설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해진 반사판(38)의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액정 패널(32)이 후벽(48)상에 재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텔레비전 장치(10)의 몸체(12)는, 그 외면을 구성하는 앞부분 패널(14)과 뒷부분 패널(16)을 구비하여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30)는, 액정 패널(32)과, 백라이트 장치(34)와, 케이스(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텔레비전 장치(10)의 몸체(12)의 일부는 액정 표시 장치(30)의 케이스(36)의 일부를 겸하고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전 장치(10)의 앞부분 패널(14)은 액정 표시 장치(30)의 앞면을 구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30)의 앞부분 패널(14)이기도 하고, 액정 표시 장치(30)의 케이스(3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앞부분 패널(14)의 앞면의 내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1402)가 형성되고, 몸체(12) 내부에,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30)가 조립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스피커(18)가 앞부분 패널(14)의 앞면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30)는, 케이스(36)와, 액정 패널(32)과, 후벽(48)과, 앞벽(46)과, 위치 결정편(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벽(46)은, 앞부분 패널(14)의 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벽(46)은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액정 패널(32)의 표시면의 외주에 맞닿고 후벽(48)과 협동하여 액정 패널(32)을 끼워 지지한다.
액정 패널(32)은 직사각형 판형상을 나타내고 케이스(36)의 내부에 조립된다. 액정 패널(32)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32A)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면(32B)을 갖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32)은 직사각형 판형상을 나타내고, 액정 패널(32)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을 갖고 있다.
액정 패널(32)은, 2장의 투명한 유리 기재와, 그들 유리 기재의 사이에 끼워진 액정층과, 그들 유리 기재의 내면에 마련된 투명 전극과, 컬러 필터와, 편광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32)은, 유리 등으로 구성된 2장의 투명한 기판을 서로 대향 배치시키고, 그 간극에, 액정을 봉입(封入)한 액정층을 마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기판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신호선, 주사선, 신호선과 주사선의 교점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박막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는 주사선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됨과 함께, 신호선에서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대응하는 화소 전극에 기록한다.
다른쪽의 기판에는, 대향 전극,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는 각 화소에 대응한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있고, 예를 들면, 3원색인,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의 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이들 2장의 기판은 2장의 편광판으로 끼워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액정 패널(32) 자체의 구조에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그리고, 후술하는 백라이트 장치(34)로부터의 조명광이 액정 패널(32)을 후방에서(후면으로부터) 조사한 상태에서, 화상 표시용의 구동 신호가 상기 주사선, 신호선, 대향 전극에 공급되고 액정층의 액정이 구동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도 3 및 도 7에서, 부호 33은 액정 패널(32)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성하는 구동 기판을 나타내고, 구동 기판(33)은 플렉시블 기판(3302)을 통하여 액정 패널(32)의 상연(上緣)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 장치(34)는, 케이스(36) 내부에 마련되고 액정 패널(3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 장치(34)는, 반사판(38)과, 복수의 형광관(40)과, 확산판(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사판(38)은 복수의 형광관(40)의 후방에 배치되고, 형광관(4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확산판(42)에 반사시킨다. 반사판(38)은 높은 반사율을 갖는 백색의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합성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 polycarbonate) 등의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채용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38)은, 직사각형 판형상의 판부(38A)와, 2개의 장변측 측벽(38B)과, 2개의 단변측 측벽(38C)과, 2개의 사이드 몰드(44)로 구성된다. 장변측 측벽(38B)은 판부(38A)의 2개의 장변으로부터 기립되고, 단변측 측벽(38C)은 판부(38A)의 2개의 단변으로부터 기립되고, 2개의 사이드 몰드(44)는 2개의 단변측 측벽(38C)의 내측에서 판부(38A)상에 부착되고 상기 단변(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몰드(44)가 판부(38A)에 면하는 사이드 몰드(44)의 내면)에 따라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38)이, 액정 표시 장치(30)의 케이스(36)중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부재로 되어 있고,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반사판(38)은, 액정 표시 장치(30)의 후면을 구성하는 뒷부분 패널에 상당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벽(48)은, 2개의 장변측 측벽(38B)과 2개의 사이드 몰드(44)에 의해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벽(48)에는, 전방을 향한 제 1 당접면(3802)과, 전방을 향한 제 2 당접면(3804)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당접면(3802)은 2개의 장변측 측벽(38B)과 2개의 사이드 몰드(44)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제 1 당접면(3802)은,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동일 평면상을 액정 패널(32)의 4변에 따라 연재되어 있고, 액정 패널(32)의 후면(32B)의 외주부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당접면(3804)은 2개의 장변측 측벽(38B)과 2개의 사이드 몰드(44)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제 2 당접면(3804)은, 제 1 당접면(3802)의 내측에서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제 1 당접면(3802)보다도 후방으로 변위한 개소에서 확산판(42)의 4변에 따라 연재되고, 확산판(42)의 후면(42B)의 외주부가 맞닿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형광관(40)은, 전류가 공급됨에 의해 백색광을 발광하는 냉음극관(형광 램프)으로 구성되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38)과 확산판(42) 사이에서 상하로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연재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들 형광관(40)의 좌우 양단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몰드(44)의 내부에 조립되어 은폐되어 있고, 액정 패널(32)의 표시면(32A)의 좌우 양단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도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형광관(40)은, 양측에 전극이 형성되고, 내벽에 소정의 형광 재료가 도포되고, 관 내에 Hg(수은), Xe(키세논) 등의 희유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전극에 전류가 흐르면, 필라멘트로부터 열전자가 형광관(40) 내로 방출되어, 방전이 시작되고, 그에 따라, 열전자가 관 내의 Hg 원자와 충돌하여 여기되고, 자외선을 방사한다. 이와 같은 자외선의 방사로 인해, Hg 원자는 기저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이 관벽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 재료에 의해 흡수되어 백색광을 외부에 출사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형광관(40)의 긴변 방향의 양단이 도시하지 않은 홀더를 통하여 반사판(38)에 부착되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광관(40)의 배설 구조에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확산판(42)은,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형광관(4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확산판(42)은, 형광관(40)으로부터 조사된 광, 및 반사판(38)에서 확산판(42)에 반사된 광의 쌍방을 확산시켜서 액정 패널(32)을 후방에서 조사시키는 것이고, 확산판(42)은 반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확산판(42)을 구성하는 반투명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MS 수지(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채용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판(42)이 액정 패널(32)에 면하는 면에, 확산판(42)으로부터의 광을 액정 패널(32)에 유도하기 위한 광학 시트(43)가 마련되어 있지만, 확산판(42)의 구조에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확산판(42)은, 직사각형 판형상을 나타내고 그 후면(42B)의 외주부가 후술하는 후벽(48)에 맞대어져서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편(50)은, 액정 패널(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 맞닿아 케이스(36)에 대한 액정 패널(32)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편(50)은, 판부(38A)로부터 일체로 돌설되고, 액정 패널(32)의 양측의 단변(측부)에 맞닿아 후벽(48)에 대한 액정 패널(32)의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판부(38A)는 후벽(48)의 서로 대향하는 개소인 단변측 측벽(38C) 가까이에 있는 부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편(50)은, 좌우 폭이 상하 높이보다도 작은 치수의 상하로 세로가 길다란 단면(斷面)을 갖고 있고, 후벽(48)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편(5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위치 결정편(50)은, 액정 패널(32)의 면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환언하면, 액정 패널(32)의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편(50)은, 액정 패널(32)의 한 쌍의 단변의 복수 개소에 맞닿도록 복수 배설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5,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몰드(44)의 앞면에, 위치 결정편(50)이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편(50)보다도 큰 윤곽의 개구(4410)가 복수 형성된다. 위치 결정편(50)은, 그들 개 구(4410)를 통과하여 사이드 몰드(44)의 앞면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몰드(44)의 제 1 당접면(3802)에 맞닿아지는 액정 패널(32)의 단변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후벽(48)의 하부에, 액정 패널(32)의 한 쌍의 장변중의 하방(측부)에 위치하는 장변에 맞닿고 케이스(36)에 대한 액정 패널(32)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당접부(4810)가 마련되어 있다.
당접부(4810)는, 하방에 위치하는 장변의 긴변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액정 표시 장치(30)의 조립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반사판(38)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반사판(38)상에 형광관(40), 사이드 몰드(44)를 부착한다.
뒤이어, 반사판(38)의 후벽(48)의 제 2 당접면(3804) 위에, 확산판(42)의 후면(42B)의 외주부를 재치하여 부착한다.
또한, 확산판(42)은, 예를 들면, 케이스(36)에 끼워넣은 홀더나 손잡이(lug piece) 등에 의해 그 4변을 후벽(48)에 맞대여 부착하는 등, 확산판(42)의 부착 구조에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뒤이어, 반사판(38)의 상방에서, 액정 패널(32)의 좌우 양측의 단변을 위치 결정편(50)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액정 표시 장치(30)가 기립한 상태에서 하방에 배치되어야 할 액정 패널(32)의 장변중 하나를 당접부(4810)에 면하게 하고, 액정 패널(32)의 후면(32B)의 외주부를 후벽(48)의 제 1 당접면(3802)의 위에 면하게 하고, 그 상태에서 액정 패널(32)을 하방으로 움직이고, 액정 패널(32)의 후면(32B)의 외주부를 후벽(48)의 제 1 당접면(3802)에 재치한다.
이로써 액정 패널(32)의 좌우의 단변이 위치 결정편(50)에 탄접(彈接)됨으로써 액정 패널(32)의 반사판(38)(케이스(36))에 대한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뒤이어, 앞부분 패널(14)(앞벽(46))을 액정 패널(32)의 표시면(32A)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앞부분 패널(14)에 의해 표시면(32A)의 외주를 덮고, 앞부분 패널(14)의 앞벽(46)을 표시면(32A)의 외주에 재치한다.
뒤이어, 이 상태에서 반사판(38), 확산판(42), 액정 패널(32), 앞부분 패널(14)을 기립시키고 상하로 향하게 한다.
이로써, 액정 패널(32)은, 확산판(42)과 앞부분 패널(14) 사이에서 그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액정 패널(32)의 하단이 당접부(4810)상에 맞대여지고, 액정 패널(32)의 반사판(38)(케이스(36))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뒤이어, 이와 같이 위치 결정되었으면, 앞부분 패널(14)과 반사판(38)을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체결함에 의해, 앞벽(46)과 후벽(48)에 의해 액정 패널(32)이 끼워지지되고, 이로써 액정 패널(32)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액정 표시 장치(30)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액정 패널(32)의 면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위치 결정편(50)이 액정 패널(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 맞닿음으로써 케이스(36)에 대한 액정 패널(32)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액정 패널(32)의 표시면(32A)에 따른 방향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온도의 저하에 의해 케이스(36)가 액정 패널(32)에 비교하고 큰 치수로 수축하여도, 액정 패널(32)의 측부에 맞닿는 위치 결정편(50)이 탄성 변형함에 의해, 액정 패널(32)의 측부에 작용하는 힘을 저감시키고, 액정 패널(32)의 표시 화면이 흐트러지는 이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 온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표시 화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액정 패널의 표시면에 따른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고, 대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한 액정 표시 장치(3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편(50)이 후벽(48)에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갯수의 삭감화를 도모하고, 액정 표시 장치(30)의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큰 치수를 갖고 수축도가 큰 액정 패널(32)의 장변의 양측에 위치 결정편(50)을 각각 마련하였기 때문에, 환경 온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표시 화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케이스(36)에 대한 액정 패널(32)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정확하게 행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편(50)을 액정 패널(32)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부에 맞닿도록 마련하였지만, 위치 결정편(50)을 액정 패널(32)의 서로 대향하는 상하의 측부에 맞닿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편(50)을 후벽(48)에 마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위치 결정편(50)은 앞벽(46)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30)가 텔레비전 장치(10)에 적용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데스크톱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장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 PDA, 휴대전화기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여러가지의 전자 기기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수정 및 조합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텔레비전 장치(10)의 사시도.
도 2는 텔레비전 장치(10)의 전장부(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액정 표시 장치(3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반사판(38)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반사판(38)에 형광관(40)이 배설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반사판(38)에 형광관(40)이 배설된 상태의 또다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해진 반사판(38)의 단면도.
도 8은 액정 패널(32)이 후벽(48)상에 재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액정 패널(32)이 후벽(48)상에 재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액정 표시 장치
32 : 액정 패널
36 : 케이스
46 : 앞벽
48 : 후벽
50 : 위치 결정편

Claims (8)

  1.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된 직사각형 판형상의 액정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정 패널의 표시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면의 외주부에 맞닿는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후벽; 및
    상기 액정 패널 표시면의 외주에 맞닿고 상기 후벽과 협동하여 상기 액정 패널을 끼워지지하는 직사각형 테두리형상의 앞벽을 구비하고,
    상기 후벽 또는 상기 앞벽의 한쪽에 상기 액정 패널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 각각 맞닿아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액정 패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편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 결정편은 상기 액정 패널의 면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편은, 상기 후벽의 서로 대향하는 개소로부터 돌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은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위치 결정편은, 상기 후벽의 서로 대향하는 개소로부터 돌설되고 상기 후벽과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액정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을 가지며,
    상기 위치 결정편은, 상기 한 쌍의 단변에 맞닿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액정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을 가지며,
    상기 위치 결정편은, 상기 한 쌍의 단변 상에서 복수 개소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액정 패널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을 가지며,
    상기 위치 결정편은,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액정 패널의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상기 한 쌍의 단변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벽 또는 상기 앞벽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장변중의 하방에 위치하는 장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액정 패널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당접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앞면을 구성하는 앞부분 패널을 가지며,
    상기 앞벽은, 상기 앞부분 패널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후면을 구성하는 뒷부분 패널을 가지며,
    상기 후벽은, 상기 뒷부분 패널의 앞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70112499A 2006-11-20 2007-11-06 액정 표시 장치 KR101418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2582A JP4257617B2 (ja) 2006-11-20 2006-11-20 液晶表示装置
JPJP-P-2006-00312582 2006-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613A true KR20080045613A (ko) 2008-05-23
KR101418118B1 KR101418118B1 (ko) 2014-07-09

Family

ID=3948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499A KR101418118B1 (ko) 2006-11-20 2007-11-06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52730B2 (ko)
JP (1) JP4257617B2 (ko)
KR (1) KR101418118B1 (ko)
CN (1) CN101187738B (ko)
TW (1) TWI3653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2067B (zh) 2010-04-27 2014-11-21 Lg Display Co Ltd 顯示設備
JP2012220762A (ja) * 2011-04-11 2012-11-12 Funai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
JP2015158681A (ja) * 2015-04-01 2015-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583U (ko) 1990-05-17 1992-01-30
JP3322629B2 (ja) * 1997-12-25 2002-09-09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013886A (ja) * 1999-06-29 2001-01-19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308750C (zh) * 2002-07-05 2007-04-04 Nec液晶技术株式会社 液晶显示器件
JP2004296193A (ja) 2003-03-26 2004-10-21 Sharp Corp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639580B2 (ja) 2003-08-29 2011-02-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4327110B2 (ja) * 2005-02-23 2009-09-0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5321B (en) 2012-06-01
CN101187738B (zh) 2011-08-10
JP2008129227A (ja) 2008-06-05
US7652730B2 (en) 2010-01-26
TW200837438A (en) 2008-09-16
CN101187738A (zh) 2008-05-28
KR101418118B1 (ko) 2014-07-09
JP4257617B2 (ja) 2009-04-22
US20080143922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2293A1 (en) Liquid crystal module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20081097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203319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6235425A (ja) 薄型表示装置および薄型表示装置の組立方法
US2012028735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4225341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23211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418118B1 (ko) 액정 표시 장치
JPH11146305A (ja) 平板状表示装置
JP4438322B2 (ja) パネル型表示装置
JP2008176105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US10788612B2 (en) Light-emitting unit, display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KR20080058795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4168840B2 (ja) パネル型表示装置
KR100421915B1 (ko) 액정표시장치의 하부커버 결합구조
JP2009289597A (ja) 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01417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42711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51990A (ko) 액정표시장치
JP2008197208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731298B1 (ko) 시트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6319623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システム
KR101191449B1 (ko) 액정 표시 모듈
JP2010156926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354599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