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354A -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354A
KR20080045354A KR1020060114376A KR20060114376A KR20080045354A KR 20080045354 A KR20080045354 A KR 20080045354A KR 1020060114376 A KR1020060114376 A KR 1020060114376A KR 20060114376 A KR20060114376 A KR 20060114376A KR 20080045354 A KR20080045354 A KR 2008004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video
editing
inpu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5354A/ko
Publication of KR2008004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1 영상과 무선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표시영역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화상 통화시 상대방의 모습을 저장하는 기능에서 더 나아가 상대방과 내 모습을 캡쳐하여 편집함으로써 마치 한 공간에 있는 듯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 캡쳐, 편집

Description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thereof}
도 1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을 나타낸 화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 무선수신 모듈 210 : 키입력부
220 : 영상입력 모듈 230 : 음향 출력부
240 : 표시부 250 : 제어부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방 영상과 내 영상을 한 화면에서 편집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통신 단말기 하나로 인터넷, 모바일 뱅킹, 위치 확인서비스 및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찍기 등 다양한 편의를 누리고 있다. 그리고 바야흐로 화상 국제전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한국과 외국에 서로 떨어진 가족이 목소리뿐 아니라 마주 대하듯 얼굴을 보며 휴대전화로 통화하는 일이 일상화되는 것이다.
편리함은 항상 수요를 창출한다. 지금 당장은 화상통화가 낯설고 불필요하게 느낄지 모르지만, 어느 순간 화상통화는 우리의 일상에 한부분이 될지도 모른다.
화상통화가 사생활을 침해하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한다. 하지만 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될 것 같다. 화상전화가 왔는데 내 모습을 보여주고 싶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음성통화만 해도 되기 때문이다.
WCDMA의 화상통화기술은 주말부부나 지방에 있는 부모님처럼,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사람들을 연결해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화상통화 중 화면에 보이는 상대방의 모습을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내 모습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통화 중 영상 캡쳐 기능은 단순히 본인 또는 상대방의 영상만 저장하는 형태였으며 특정 이미지를 내 영상에 합성하여 전송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없었다.
그림을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편집 방법을 나타낸 화면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대영상은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됨 과 동시에 내 모습도 함께 표시된다. 물론 자신의 모습은 특정 영상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때, 상대영상 또는 내 영상을 각각 캡쳐하여 배경화면으로 등록하거나 멀티메일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는 있지만, 편집 또는 합성할 수는 없다. 물론, 저장된 영상을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는 있지만 이것은 저장후의 작업일 뿐 실시간으로 편집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영상과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화상 통화시 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상대 영상과 내 영상을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꾸밀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입력 모듈과; 외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수신 모듈과; 상기 영상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1 영상과 상기 무선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2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은 영상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1 영상과 무선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표시영역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 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수신 모듈(200)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한다.
키입력부(21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복수개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 신호를 제어부(250)로 출력한다.
영상입력 모듈(220)은 외부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다수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어,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음향출력부(230)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로 구성되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도면엔 미도시 하였지만 마이크를 구비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
표시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키입력부(210)로부터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 형태로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240)는 터치 스크린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생성된 영 상을 표시한다.
제어부(260)는 상기 영상입력 모듈로(220)부터 입력된 제1 영상과 상기 무선수신 모듈(200)로부터 입력된 제2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표시부(240)에 상기 생성된 영상의 일 부분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표출한다. 즉, 생성된 영상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배경화면과 카메라 촬영시 기능 중의 하나인 액자, 스티커 모양을 삽입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방법으로 연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표시될 제1 UI 표시 영역과 제2 UI 표시 영역을 조정한다.
즉,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제2 UI로 구성된다. 복합적인 UI의 표시 영역을 조정하고, 각 UI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한다. 종래의 영상 편집 방법은 단지 화면에 보이는 상대 영상과 내 영상을 캡쳐만 하지만, 본 발명의 복합적인 UI를 분할하여 꾸미기 때문에 캡쳐하여 편집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도 3를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영상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화상통화 중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여 편집하는 것 외에 근거리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IRDA를 이용하여 영상을 편집하고 새로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화상통화는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말을 하지만,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편집하는 것은 꼭 음성이 필요하지는 않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더라도 음성을 제외한 화상을 캡쳐하고 편집하는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따라서 도 3에서는 화상통화 중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수신 모듈과 영상 입력 모듈로부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한다(S300).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입력 모듈은 메모리 또는 카메라이다. 왜냐하면 화상 통화시 상대 영상과 내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지만, 사생활 보호를 위해 내 영상이 아니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또는 특정 그림을 표시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캡쳐하기 위해 표시 영역을 조정하고(S310),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캡쳐한다(S320). 그리고 캡쳐한 영상을 편집한다.
상기 영상 편집시 음성과, 문자와 음원 데이터를 추가하여 편집하고,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캡쳐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편집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한다(S330). 바람직하게 상기 편집된 영상을 제2 영상 발신측 즉, 상대방에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편집 방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상기 제2 영상에서 배경과 피사체를 분리하여 상기 피사체를 추출한다. 상기 피사체라 함은 인물사진으로 주지기술인 영상 분할 알고리즘,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물과 배경을 분리한다.
둘째, 이렇게 분리된 상기 제2 영상의 피사체와 상기 제1 영상을 합성한다.
셋째, 기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영상에 배경화면으로 삽입하여 사용자가 연출하고 싶은 영상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새롭게 생성된 영상을 상대방에서 전송시 음성도 함께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배경음악 등 음원 데이터도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새롭게 생성된 영상에 문자를 삽입하여 꾸밀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할 경우엔 음성 통화를 제외한 화상을 수신하여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나열한 화상통화 시 방법과 동일하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e를 통해 본 발명의 영상 편집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도 화상통화 중인 경우를 예로 들면, 화면의 일 부분을 양분하여 각자 상대방의 모습을 보며 화상통화를 한다. 상기 도면에는 배경이 표시되지 않았지만, 실제는 있다. 사용자들은 스티커 사진과 같은 같이 찍는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서로의 모습을 보면서 다양한 포즈를 취하고, 캡쳐를 한다(도 4a).
또한 좀더 사실적인 모습을 담아내기 위해 어깨동무를 취한다(도 4b). 화면을 세로로 분할하여 캡쳐하기 때문에 몸이 반절밖에 보이질 않지만, 실제로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때는 제어부에서 반대쪽 부분도 실시간 이미지의 합성 수행과 자연스런 합성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도 4c는 상기 도 4a에서 새로운 영상을 생성한 것으로, 여기에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이미지 즉, 배경화면과 문자를 입력하여 꾸민다(도 4d).
마찬가지로, 상기 도 4b에서 어깨동무하고 캡쳐한 영상도 배경화면를 삽입하여 꾸민다(도 4e).
더 나아가, 상기 한 화면에서 두 개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편집하여 생성하는 기술을 이용하면, 화상통화가 아닌 DMB방송을 시청하면서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 상기 DMB방송의 한 화면을 캡쳐하여 내 모습과 편집함으로써 새로운 영상
화상통화가 아닌 DMB방송을 시청하면서 상기 DMB방송의 한 화면을 캡쳐하고 카메라 또는 메모리에서 영상 정보를 불러와 상기 DMB방송의 한 화면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은 화상 통화시 상대방의 모습을 저장하는 기능에서 더 나아가 상대방과 내 모습을 캡쳐하여 편집함으로써 마치 한 공간에 있는 듯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획일화된 컨텐츠 보다 직접 편집할 수 있으므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화상통화를 하는 것만으로도 함께 꾸민 영상을 가질 수 있어 재미와 함께 추억을 제공한다.
또한, 화상통화가 아닌 DMB방송을 시청하면서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 상기 DMB방송의 한 화면을 캡쳐하여 내 모습과 편집함으로써 새로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Claims (12)

  1. 영상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1 영상과 무선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의 표시영역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한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편집시 음성과, 문자와 음원 데이터를 추가하여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한 영상을 상기 제2 영상 발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 모듈은 메모리 또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배경과 피사체로 분리하여 상기 피사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편집은, 상기 제2 영상에서 배경과 피사체를 분리하여 상기 피사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의 피사체를 합성하는 과정과;
    기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합성된 영상에 배경화면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8.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입력 모듈;
    외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수신 모듈;
    상기 영상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1 영상과 상기 무선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된 제2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 모듈은 카메라 또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생성된 영상의 일 부분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표시될 제1 UI 표시 영역과 제2 UI 표시 영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060114376A 2006-11-20 2006-11-20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KR20080045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76A KR20080045354A (ko) 2006-11-20 2006-11-20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76A KR20080045354A (ko) 2006-11-20 2006-11-20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354A true KR20080045354A (ko) 2008-05-23

Family

ID=3966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376A KR20080045354A (ko) 2006-11-20 2006-11-20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5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05B1 (ko) * 2009-01-29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05B1 (ko) * 2009-01-29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05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generation of user theme videos for ring tones and transmittal of context information
KR20070117284A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영상합성방법
JP2005094696A (ja) テレビ電話装置
KR20060118838A (ko) 영상데이터에 특정효과 표시방법
JP2010157906A (ja) 映像表示装置
EP1635569A2 (en) Television telephone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ed therefor, and program
KR20130096983A (ko)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703290B1 (ko)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JP2003143257A (ja) 携帯電話装置、携帯端末装置、携帯電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45354A (ko) 통신 단말기 및 통신 단말기의 영상 편집 방법
JP2007158945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433171B1 (ko) 화상통화 단말기 및 방법
KR20070025270A (ko) 휴대단말기의 다자간 화상통화수행방법
JP4296976B2 (ja) 通信端末装置
KR200400253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편집 및 전송방법
JP2003339034A (ja) ネットワーク会議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会議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会議プログラム
KR100703333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775190B1 (ko) 멀티미디어 합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0690713B1 (ko) 휴대폰의 스킨 제작 방법
KR20040029751A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에서 배경그림과 촬영사진을 합성하는 방법
KR101364844B1 (ko) 화상통화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GB2351638A (en) Telephone that receives image of caller
JP4226210B2 (ja) 音声合成電子メール端末
KR10067815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표시방법
KR100678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