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957A -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957A
KR20080041957A KR1020060110220A KR20060110220A KR20080041957A KR 20080041957 A KR20080041957 A KR 20080041957A KR 1020060110220 A KR1020060110220 A KR 1020060110220A KR 20060110220 A KR20060110220 A KR 20060110220A KR 20080041957 A KR20080041957 A KR 20080041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aphragm
engine mount
rubber ball
frequency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957A/ko
Publication of KR2008004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에 따라 엔진에서 발생 되는 저주파 진동 또는 고주파 진동을 감쇠하여 원가절감과 함께 내구성 향상 및 진동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유체챔버상에 설치되며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이격된 다수개의 유동홀이 형성된 격판부; 및 상기 격판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저주파 진동 입력시에 격판부 하측의 유동홀을 폐쇄하고, 고주파 진동 입력시에 격판부의 유동홀 사이의 영역에서 거동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감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60110220
마운트, 유동홀, 감쇠부

Description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The Fluid encapsulation type engine mou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를 도시함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러버부 4 : 다이어프램
10 : 유체챔버 100 : 격판부
110 : 유동홀 200 : 감쇠부
210 : 가이드 씰 220 : 러버볼
본 발명은 차량 주행에 따라 엔진에서 발생 되는 저주파 진동 또는 고주파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내부의 피스톤과 컨넥팅 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인 변화와, 실린더 축 방향으로 생기는 왕복운동부분에서 발생되는 관성력, 커넥팅로드가 크랭크축의 좌우로 흔들림에 따라 발생되는 관성력 및, 크랭크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인 변화에 따른 것 등에 의해 동작중 진동과 소음이 유발된다.
이에 따라 엔진은, 동작중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거나, 엔진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엔진에 다수개(통상 3내지 4곳)의 지점으로 적절한 스프링 강성을 지닌 고무로 제작된 엔진마운트를 장착시켜 엔진룸내에 탑재되고 있다. 또한, 변속기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엔진마운트를 매개로 엔진룸내에 탑재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엔진의 토크가 증대되고 차량의 진동 및 소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엔진마운트에 대한 관심이 증되되고 있다.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고주파 저입력시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강성을 지닌 고무막을 이용하여 상위챔버와 하위챔버의 유체 유동을 억제하였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주행에 따라 엔진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진동 또는 고주파 진동을 감쇠하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엔진의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는 유체챔버상에 설치되며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이격된 다수개의 유 동홀이 형성된 격판부; 및 상기 격판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저주파 진동 입력시에 격판부 하측의 유동홀을 폐쇄하고, 고주파 진동 입력시에 격판부의 유동홀 사이의 영역에서 거동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감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판부의 유동홀은 별도의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쇠부는 격판부 내측의 유동홀상에 각각 마주보게 위치하는 가이드 씰, 상기 가이드 씰 사이에 설치되는 구 형상의 러버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를 도시함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러버부(2)와 다이어프램(4) 사이에 형성된 유체챔버(10)상에 설치되며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이격된 다수개의 유동홀(110)이 형성된 격판부(100); 및 상기 격판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저주파 진동 입력시에 격판부(100) 하측의 유동홀(110)을 폐쇄하고, 고주파 진동 입력시에 격판부(100)의 유동홀(110) 사이의 영역에서 거동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감쇠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판부(100)의 유동홀(110)은 별도의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격판부(100)의 내측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 상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격판부(100)의 중앙과 가장자리를 따라 동일 크기의 유동홀(110) 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쇠부(200)는 격판부(100) 내측의 유동홀(110)상에 각각 마주보게 위치하는 가이드 씰(210)과, 상기 가이드 씰(210) 사이에 설치되는 구 형상의 러버볼(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버볼(220)과 면 접촉되는 가이드 씰(210)은 러버볼(220)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a를 참조하면,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엔진에 시동이 걸려서 아이들(Idle) 상태로 작동하거나 고속 도로와 같이 정속 주행으로 차량이 주행하게 되는 고주파 진동 입력시에는 격판부(100)의 하측에 형성된 유동홀(110)을 통해유로가 개방되면서 유체가 유입되고, 격팜부(100)의 상측에 형성된 유동홀(110)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며 러버볼(220)이 가이드 씰(210) 사이에서 상,하로 거동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주파 진동 입력은 차량이 고 알피엠(rpm)의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러버볼(220)이 작동되면서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2b를 참조하면, 차량이 정속도로 주행하다가 속도가 감소되어 저 알피엠(rpm)의 상태로 주행하게 되어 저주파의 진동이 입력되면 격판부(100)의 상측에 형성된 유동홀(110)을 통해 다량의 유체가 유입되어 러버볼(220)을 하측 방향 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러버볼(220)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부(100)의 하측에 형성된 유동홀(110)을 폐쇄하여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상관없이 저주파 진동 입력 및 고주파 진동 입력에 따라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차량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는 저주파 진동 및 고주파 진동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안정적으로 감쇠하여 차량 주행중에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어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구도가 향상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엔진이 안착되는 상부에 고무로 이루어진 러버부와 하부의 다이어프램 사이에 형성되며 압력 변화에 따라 내부에 위치한 유체가 상,하로 이동되는 유체챔버를 갖는 유체 봉입식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유체챔버상에 설치되며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이격된 다수개의 유동홀이 형성된 격판부; 및
    상기 격판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저주파 진동 입력시에 격판부 하측의 유동홀을 폐쇄하고, 고주파 진동 입력시에 격판부의 유동홀 사이의 영역에서 거동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감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의 유동홀은 별도의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격판부 내측의 유동홀상에 각각 마주보게 위치하는 가이드 씰, 상기 가이드 씰 사이에 설치되는 구 형상의 러버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KR1020060110220A 2006-11-08 2006-11-08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KR20080041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220A KR20080041957A (ko) 2006-11-08 2006-11-08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220A KR20080041957A (ko) 2006-11-08 2006-11-08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957A true KR20080041957A (ko) 2008-05-14

Family

ID=3964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220A KR20080041957A (ko) 2006-11-08 2006-11-08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50B1 (ko) * 2013-08-28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50B1 (ko) * 2013-08-28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1280A (en) Liquid-sealed mounting device
US20100148413A1 (en) Three-state switchable hydraulic mount
JP2002021914A (ja) 液圧式軸受
KR20130003751A (ko)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
KR20130003749A (ko)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
KR100803963B1 (ko) 유압조작밸브
JP2007139081A (ja) 軸系の縦振動制振装置
KR20080041957A (ko)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KR20190043440A (ko)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팅 장치
KR100952776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JP5450250B2 (ja) 防振装置
JP3548990B2 (ja) 防振装置
KR100974708B1 (ko) 액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장치
KR100435595B1 (ko) 유체식 마운팅 조립체
KR100570014B1 (ko)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KR101300045B1 (ko) 하이드로엔진마운트
JP3698186B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2623307B2 (ja) 流体封入型防振装置
JPH0226336A (ja) 流体封入型エンジンマウント
KR20090056409A (ko) 유효면적 가변형 에어 댐핑 마운트
KR100931132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KR100508445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구조
KR100516680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KR100846038B1 (ko) 차량용 액체봉입 엔진마운트
KR100559631B1 (ko)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