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014B1 -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014B1
KR100570014B1 KR1020040031814A KR20040031814A KR100570014B1 KR 100570014 B1 KR100570014 B1 KR 100570014B1 KR 1020040031814 A KR1020040031814 A KR 1020040031814A KR 20040031814 A KR20040031814 A KR 20040031814A KR 100570014 B1 KR100570014 B1 KR 10057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late
membrane
plate cover
nozz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784A (ko
Inventor
정시섭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01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결합된 방진고무와, 상기 방진고무와 하부 바디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오리피스공이 형성된 상,하부 노즐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유체가 이동되는 복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플레이트 덮개와,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와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 사이에 개재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 및 상기 멤브레인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은 단면이 H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의 하면 및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멤브레인의 양측 상하단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됨으로써 대하중 발생시에는 마운트의 중앙에 형성된 오리피스공을 통해 유체가 이동되면서 진동을 감쇄시키고, 아이들이나 고알피엠으로 주행하는 상용영역에서는 멤브레인의 진동에 의해 입력진동을 감쇄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하부 노즐플레이트, 환형의 멤브레인, 노즐플레이트 덮개

Description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Fluid type engine mount of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체형 엔진 마운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형 엔진 마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멤브레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노즐플레이트 덮개의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의 손실각 실험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메인 바디 12 ; 하부 바디
13 ; 방진고무 14 ; 캡
15,16 ; 상,하부 노즐플레이트 15 ; 상부 노즐플레이트의 결합홈
17 ; 멤브레인 18 ; 오리피스공
19,20 ; 상,하부 챔버 21 ; 노즐플레이트 덮개
21 ; 노즐플레이트 덮개의 결합홈 22 ; 노즐공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 형 멤브레인과 노즐플레이트 덮개를 구비하고 상,하부 노즐플레이트의 중앙에 오리피스공을 형성하여 진동감쇄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는데, 진동 및 소음의 유발 요인은 엔진 내부의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인 변화, 실린더 축방향으로 발생되는 왕복운동시 발생되는 관성력, 커넥팅로드가 크랭크축의 좌우로 유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관성력 및 크랭크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인 변화 등에 기인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유체형 엔진 마운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의 하부에 하부 바디(2)가 결합되어 있고, 메인 바디(1)의 상부에는 방진고무(3)가 결합되어 있으며, 방진고무(3)의 상부 중앙에는 캡(4)이 복개되어 있다.
방진고무(3)와 하부 바디(2)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5a)(6a)이 각각 형성된 상,하부 노즐플레이트(5)(6)가 구비되어 있어 내부 공간을 상,하부 챔버(9)(10)로 구획하고 있고, 상,하부 노즐플레이트(5)(6) 사이에는 멤브레인(7)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하부 노즐플레이트(5)(6)은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오리피스공(8)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챔버(9)에는 유체가 충진되어 있으며, 하부 챔버(10)는 상부 챔버(9)에서 하강되는 유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유체형 엔진 마운트는 엔진 키의 온/오프시와 같은 대하중 발생시는 방진고무(3)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유체가 상부 챔버(9)에서 오리피스공(8)을 통해 하부 챔버(10)로 이동되면서 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또한, 아이들이나 고 알피엠에 의한 주행시와 같은 상용영역에서는 상,하부 챔버 간의 유체의 이동은 발생되지 않게 되고, 상부 챔버(9)의 유체가 상부 노즐플레이트(5)의 통공(5a)을 통해 이동되면서 멤브레인(7)을 진동시켜 멤브레인(7)의 진동에 의하여 입력 진동이 감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유체형 엔진마운트는 대하중 발생시 상,하부 노즐플레이트(5)(6)에 의해 가장자리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리피스공(8)을 유체가 통과하므로 유체의 이동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진동에 대한 반응속도 즉, 진동감쇄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마운트의 중앙에 멤브레인(7)이 위치하고 있어 상용영역에서 진동발생시 진동감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손실계수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멤브레인(7)은 상,하부 노즐플레이트(5)(6) 사이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부 노즐플레이트(5)(6)와 멤브레인(7)이 각각 0.25mm 정도의 갭이 발생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멤브레인(7)의 진동시 멤브레인(7)과 상,하부 노즐플레이트(5)(6)가 부딪히는 타음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운트의 중앙에 오 리피스공을 형성하여 대하중 발생시 유체의 이동시간을 감소시켜 진동감쇄 속도를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운트의 원주방향으로 멤브레인을 형성하여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에 적합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멤브레인을 구속시켜 멤브레인에 의한 진동 소음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결합된 방진고무와, 상기 방진고무와 하부 바디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오리피스공이 형성된 상,하부 노즐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유체가 이동되는 복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플레이트 덮개와,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와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 사이에 개재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 및 상기 멤브레인은 환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멤브레인은 단면이 H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의 하면 및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멤브레인의 양측 상하단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형 엔진 마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멤브레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노즐플레이트 덮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의 손실각 실험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바디(11)의 하부에 하부 바디(12)가 결합되어 있고, 메인 바디(11)의 상부에는 방진고무(13)가 결합되어 있으며, 방진고무(13)의 상부 중앙에는 캡(14)이 복개되어 있다.
또한, 방진고무(13)와 하부 바디(12) 사이에는 상,하부 노즐 플레이트(15)(16)가 구비되어 있어 내부 공간을 상,하부 챔버(19)(20)로 구획하는데, 이러한 상,하부 노즐플레이트(15)(16)중 상부 노즐플레이트(15)의 상면에는 멤브레인(17)이 결합되어 있으며, 멤브레인(17)의 상면에는 노즐플레이트 덮개(21)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플레이트 덮개(21) 및 멤브레인(17)은 고리(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멤브레인(1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H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멤브레인(17)의 안착구조는 노즐플레이트 덮개(21)의 하면에는 멤브레인(17)의 양측 상단이 끼워지는 결합홈(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노즐플레이트(15)의 가장자리에도 멤브레인(17)의 양측 하단이 끼워지는 결합홈(15a)이 형성되어 있어 멤브레인(17)의 양측 상하단이 노즐플레이트 덮개(21)와 상부 노즐플레이트(15)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가 된다.
상,하부 노즐플레이트(15)(16) 사이에는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오리피스공(18)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부 노즐플레이트(15)(16)에 의해 구획된 상부 챔버(19)에는 유체가 충진되어 있다.
또한, 노즐플레이트 덮개(21)에는 노즐공이 원주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플레이트 덮개(21)의 노즐공(22)이 복수개씩 노즐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대하중 발생시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부 챔버(19)에 충진되어 있는 유체가 상,하부 노즐플레이트(15)(16)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오리피스공(18)을 통해 하부 챔버(20)쪽으로 이동되면서 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마운트의 오리피스공(18)은 상,하부 노즐플레이트(15)(16)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에 대한 유체의 이동시간이 짧아 반응속도가 커지게 되므로 진동감쇄 속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아이들 및 고알피엠 주행시 진동이 발생되는 상용영역에서는 유체의 이동경로가 상부 챔버(19)에서 노즐플레이트 덮개(21)의 노즐공(22)을 통해서 멤브레인(17)으로 전달되어 멤브레인(17)이 진동되면서 입력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때, 진동되는 멤브레인(17)은 노즐플레이트 덮개(21)와 상부 노즐플레이트 (15)사이에 끼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되어 멤브레인(17)의 타음으로 인한 미세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의 손실각(Loss Angle:입력진동/출력진동)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에서 현저하게 손실각이 증대되는 효과를 나타냄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는 마운트의 중앙에 상,하부 노즐플레이트에 의하여 오리피스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대하중 발생시 유체의 이동시간을 감소시켜 진동감쇄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운트의 원주방향으로 멤브레인을 설치함으로써 유동되는 유체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노즐의 단면적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멤브레인은 상부 노즐플레이트 및 노즐플레이트 덮개에 의하여 구속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멤브레인이 노즐과 부딪혀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결합된 방진고무와;
    상기 방진고무와 하부 바디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오리피스공이 형성된 상,하부 노즐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유체가 이동되는 복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플레이트 덮개와;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와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 및 상기 멤브레인은 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단면이 H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플레이트 덮개의 하면 및 상기 상부 노즐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멤브레인의 양측 상하단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 운트.
KR1020040031814A 2004-05-06 2004-05-06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KR10057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814A KR100570014B1 (ko) 2004-05-06 2004-05-06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814A KR100570014B1 (ko) 2004-05-06 2004-05-06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84A KR20050106784A (ko) 2005-11-11
KR100570014B1 true KR100570014B1 (ko) 2006-04-10

Family

ID=3728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814A KR100570014B1 (ko) 2004-05-06 2004-05-06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968B1 (ko) 2008-01-11 2009-11-04 평화산업주식회사 유체 봉입식 마운트의 노즐 튜닝 장치
KR20180056169A (ko) * 2016-11-18 2018-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마운트 노즐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일체형 실링 멤브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426B1 (ko) * 2017-11-24 2022-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968B1 (ko) 2008-01-11 2009-11-04 평화산업주식회사 유체 봉입식 마운트의 노즐 튜닝 장치
KR20180056169A (ko) * 2016-11-18 2018-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마운트 노즐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일체형 실링 멤브레인
KR101894887B1 (ko) 2016-11-18 201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마운트 노즐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일체형 실링 멤브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84A (ko)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133B1 (ko) 전자식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US20100148413A1 (en) Three-state switchable hydraulic mount
KR102485332B1 (ko) 차량용 진동 감쇠 장치
JPH0663550B2 (ja) 流体制振ブロック
KR20210125645A (ko) 엔진 마운트
KR100570014B1 (ko)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 마운트
KR100828692B1 (ko) 차량용 롤로드 유닛
KR20180102233A (ko) 차량용 엔진마운트
KR20140038327A (ko) 자력을 이용한 마운트
KR101251487B1 (ko) 유체봉입형 엔진 마운팅 유닛
KR100508445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구조
KR20170040594A (ko) 공압식 엔진마운트 구조
KR100516680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KR100435595B1 (ko) 유체식 마운팅 조립체
KR100931132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KR101134425B1 (ko) 유체형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0192491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0559873B1 (ko) 차량의 엔진마운트
KR20220025382A (ko) 차량용 유체마운트
KR100192317B1 (ko) 감쇠력이 조절가능한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2488B1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9980061233A (ko) 전후방향의 진동억제형 엔진마운트
KR101738059B1 (ko) 메인러버 서포트브라켓 일체형 엔진마운트
JP6122376B2 (ja) 防振装置
KR20080041957A (ko)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