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624A -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624A
KR20080041624A KR1020087001203A KR20087001203A KR20080041624A KR 20080041624 A KR20080041624 A KR 20080041624A KR 1020087001203 A KR1020087001203 A KR 1020087001203A KR 20087001203 A KR20087001203 A KR 20087001203A KR 20080041624 A KR20080041624 A KR 20080041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enyl
alkyl
alkyny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릭 에스. 에치. 엘. 김
Original Assignee
대릭 에스. 에치. 엘.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287,080 external-priority patent/US7728043B2/en
Application filed by 대릭 에스. 에치. 엘. 김 filed Critical 대릭 에스. 에치. 엘. 김
Publication of KR20080041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성 황반변성 및 녹내장을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관련 안질환의 치료 방법, 이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 및 화합물, 및 이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관련 안질환의 치료를 위한, 쿠르쿠마 종, 징기버 종, 징코 빌로바, 샐비어 종 및 로즈마리누스 종으로부터 단리되는 천연 생성 화합물, 및 이의 합성 화학 유사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METHODS FOR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OCULAR DISEASE}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5. 11. 23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1/287,080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또한 2005. 11. 23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0/739,797호 및 2005. 6. 15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0/690,81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의 공개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완전히 일체로 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식물로부터 단리된 천연 제품 화합물, 및 이들의 합성 화학 유사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베타-아밀로이드 손상(insult)으로부터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 관련 병리학, 특히, 녹내장 및 노인성 황반변성(AMD)으로부터 눈의 망막 세포 및 기타 시각 기능 관련 세포의 보호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AD)은 진행성 인지 기능장해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 AD는 대략 4백만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매년 100,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유발하고, 연간 총 비용은 $100 십억에 달하고 있다. 2020년에 14 백만명의 미국인이 이 질병에 의해 시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참조 Carr et al., Am J Med 103, 3S (1997) 및 Shastry, Am J Med Sci 315, 266 (1998)). 또한, AD는 수백만의 가족 구성원들과 이 질환을 가진 사람을 위한 대부분의 관리를 담당하는 기타 사랑하는 이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불행히도, AD에 대한 치료는 아직 개발된 바 없다.
AD의 주요 병리학적 특성은 노인성 반점 및 신경섬유 매듭(NTFs)이다. 노인성 반점은 반응성 미세아교세포 및 별아교세포에 의해 침윤되는, 베타-아밀로이드(βA)의 불용성 응집체로 주로 구성된 세포외 침착물이다(참조 Seidl et al., Neurosci. Lett 232, 49 (1997), Yan et al., Nature 382, 685 (1997), Goedert, Trends Neurosci 16, 460 (1993), Haass et al., Cell 7, 1039 (1994), Trojanowski et al., Am J Pathol 144, 449 (1994), Davi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9, 1096 (1992), Pike et al., Neuroscience 13, 1676 (1993), Hensley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1, 3270 (1994), Behl et al, Cell 77, 817 (1994), Meda et al., Nature 374, 647 (1995), 및 Klegeri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 984 (1994)). 반점은 AD 환자들의 대뇌피질 전반에 걸쳐 흩어져 분포되어 있고, 이 질병의 신경병리학적 특징이다(참조 Seidl et al., Neurosci Lett 232, 49 (1997), Yan et al., Nature 382, 685 (1997), Goedert, Trends Neurosci 16, 460 (1993), Haass et al., Cell 7, 1039 (1994) 및 Trojanowski et al., Am J Pathol 144, 449 (1994)). 이들 반점 또는 βA 원섬유 침착물은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많은 신경변성 질환의 병리학에 원인이 된다고 생각된다. NTFs는 비정상 형태의 타우 단백질, 즉 마이크로튜블(microtubule)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마이크로튜블 연관 인단백질로 주로 구성된 대립 나선형 필라멘트의 신경내 축적이다(참조 Goedert, Trends Neurosci 16, 460 (1993), Haass et al., Cell 7, 1039 (1994) 및 Trojanowski et al., Am J Pathol 144, 449 (1994)). AD 뇌에서, NFTs 내 타우 단백질은 고인산화되어 있고(참조 Ihara et al., J Biochem 99, 1807 (1986)), 증상은 마이크로튜블 그물의 불안정화에 원인이 되며, 이에 의해 축삭 그물에 결함이 생기고, 결국 신경 세포사를 야기한다고 제시된 바 있다(참조 Trojariowski et al., FASEB J 9, 1570 (1995)). NTFs는 일차로 내측 측두엽 구조(해마, 내비 피질, 및 편도)에서 발생하며, NTFs 밀도는 치매 중증도와 상관이 있는 듯하다.
노인성 반점 및 NTFs는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간접 신경세포 결손, 및 치매 유발 뇌위축증에 연관되어 있는 듯하다. 연구 결과로서 반점 및 NTFs 모두 신경 세포 기능을 파괴하는데 관련되어 있다고 제시하고 있지만, 병리학을 유발하는 기전은 명백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βA는 AD의 주요 원인들 중 하나로서 제시된 바 있다. βA는 뉴론에 직접적인 독성 작용을 나타내고 용량 의존 방식으로 시험관 내 신경돌기 성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βA 독성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 수단은 AD의 발병을 억제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을 나타낸다고 가정된 바 있다. 신경세포가 βA/노인성 반 점-유발 독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면, AD의 발명이 지연되거나 예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D 예방 및 신경보호 개입에 관련된 기존의 약리적 수단들은 항산화 치료(참조 Lucca et al., Brain Res 764, 293 (1997), Pike et al., J Neurochem 69, 1601 (1997), Manelli et al., Brain Res Bull 38, 569 (1995), Parnetti et al., Drugs 53, 752 (1997), Zhou et al., J Neurochem 67, 1419 (1996), Kumar et al., Int J Neurosci 79, 185 (1994), Preston et al., Neurosci Lett 242, 105 (1998), 및 Tatton et al., Neurology 47, S171 (1996)),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참조 Hoshi et al., J Biol Chem 272, 2038 (1997), Maurice et al., Brain Res 706, 181 (1996), Harkany et al., Brain Res 695, 71 (1995), 및 Lahiri et al., J Neurosci Res 37, 777 (1994)), 니코틴 및 무스카린 작용제(참조 Maurice et al., Brain Res 706, 181 (1996), 및 Kihara et al., Brain Res 792, 331 (1998)), 에스트로겐(참조 Ihara et al., J Biochem 99, 1807 (1986), Henderson, Neurology 48 (5 Suppl. 7), S27 (1997), 및 Green et al., Neuroscience 84, 7 (1998)), 신경성장인자(NGF)(참조 Hefti, Neurobiol Aging 15 (Suppl 2), S 193 (1994), 및 Seiger et al., Behav Brain Res 57, 255 (1993)), 칼슘 채널 차단제(참조 Zhou et al., J Neurochem 67, 1419 (1996) 및 Friedlich et al., Neurobiol Aging 15, 443 (1994)), 아연(참조 Cuajungco et al., Neurobiol Dis 4, 137 (1997)), 설폰화 화합물(참조 Pollack et al., Neurosci Lett 197 211 (1995) 및 Lorenzo, et al., Ann N Y Acad Sci 111, 89 (1996)), 트리아미노피리딘 비아편성 진통제(참조 Muller et al., J Neurochem 68, 2371 (1997)), 신경영양인자 시그널 경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저분자량 친유성 화합물(참조 Mattson, Neurosci Biobehav Rev 21, 193 (1997)), 및 이부프로펜과 아스피린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참조 Parnetti et al., Drugs 53, 752 (1997), Beard et al., Mayo Clin Proc 73, 951 (1998), 및 Pasinetti et al., Neuroscience 87, 319 (1998))를 포함한다. 항-βA 단백질 항체가 노인성 반점을 제거하고 AD의 발병으로부터 변이 PDAPP 새앙쥐를 보호한다고 알려진 소견은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하다(참조 St George-Hyslop et al., Nature 400, 116 (1999)).
βA에 의해 야기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통한 반응성 산소 중간체(ROS)의 생성은 βA-유발 세포독성의 주요 경로인 것으로 제시된 바 있다(참조 Klegeri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un 199, 984 (1994) 및 Lucca et al., Brain Res 764, 293 (1997)). 노인성 반점은 미세아교세포를 자극하여 반응성 산소종(ROS)을 생성함으로써 뉴론에 세포독성 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바 있다(참조 Seidl et al., Neurosci Lett 232, 49 (1997), Yan et al., Nature 382, 685 (1997), Goedert, Trends Neurosci 16, 460 (1993), Haass et al., Cell 7, 1039 (1994), Trojanowski et al., Am J Pathol 114, 449 (1994), Davi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9, 1096 (1992), Pike et al., Neuroscience 13, 1676 (1993), Hensley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1, 3270 (1994), Behl et al., Cell 77, 817 (1994), Meda et al., Nature 374, 647 (1995) 및 Klegeris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 984 (1994)). ROS의 손상 작용은 자유 라디칼 포획 효소 슈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SOD)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참조 Thomas et al., Nature 380, 168 (1996) 및 Manelli et al., Brain Res Bull 38, 569 (1995)).
합성 βA를 변형된 이글 배지 중 37℃에서 7 내지 14일간 노화하면(aging) 신경독성 자유 라디칼 생성을 야기한다고도 알려졌다(참조 Friedlich et al., Neurobiol Aging 15, 443 (1994) 및 Puttfarcken et al., Exp Neurol 138, 73 (1996)). 그러나, 보충 배지 B27(항산화제 및 또한 산화적 손상에 대해 보호작용이 있는 다른 제제를 함유함)의 존재하에 βA를 노화하면 βA-유발 신경독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참조 Thomas et al., Nature 380, 168 (1996) 및 Manelli et al., Brain Res Bull 38, 569 (1995)).
βA 펩티드-유발 ROS 매개 신경독성 외에, βA 펩티드는 종양괴사인자 β(TNFβ)의 미세아교세포 발현을 자극함으로써 신경세포사를 야기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참조 Tarkowski et al., Neurology 54, 2077 (2000) 및 Barger et al., Proc Natl Acad Sd USA 92, 9328 (1995)). βA의 신경돌기 반점으로서 축적은 해마 뉴런에 영양성 및 독성 모두 존재하며, 용량 의존 방식으로 뉴런의 세포자멸사 또는 괴사를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βA 펩티드는 이전에 진행성 당화 최종 산물용 중추 세포 수용체로서 알려진 진행성 당화 최종 산물용 수용체(RAGE)와 결합함으로써 이들 세포 작용을 유발한다고 알려졌다(참조 Arancio et al., EMBO J 23, 4096 (2004), Huttunen et al., J Biol Chem 214, 19919 (1999), 및 Yan etal., Nature 382, 685 (1996)). RAGE는 βA 펩티드의 뉴론 및 미세아교세포와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매개 세포독성을 생성한다고 제시되었다. RAGE를 항-RAGE F(αβ')2로서 차단함으로써 TNFβ 메신저 RNA의 출현을 방지하였고 TNFβ 항원을 미처리 세포에서 나타난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RAGE는 AD 환자에서 신경 손상을 야기하는 세포독성 사이토카인을 생성함으로써 βA 펩티드에 의한 미세아교세포 활성화를 매개한다고 가정된다. 추가로, RAGE는 βA 펩티드와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βA 펩티드-유발 산화적 스트레스를 매개한다고도 알려졌다.
βA 펩티드에 결합하는 세포 수용체가 확인된 바 있다. 활성화시 세포사 시그널을 생성하는 아포프토시스 수용체과에 속하는 저-친화성 신경영양인자 수용체 p75(p75NTR)이 AD 환자의 뇌 전반에 걸쳐 발견되었다. βA 펩티드는 p75NTR용 리간드이며, p75NTR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때 p75NTR을 발현하는 뉴론 및 정상 신경능선-유도 멜라닌세포의 우선적 세포자멸사를 야기한다고 알려졌다(참조 Zhang et al., J Neurosci 23, 7385 (2003) 및 Perini et al., J Exp Med 195, 907 (2002)).
기저전뇌 콜린성 뉴런은 성인 뇌에서 최고 수준의 p75NTR를 발현하며 AD에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 p75NTR 신경 세포의 발현은 βA 펩티드-유발 세포사를 가능하게 한다고 알려졌다. AD에서 신경세포사를 매개하는, βA 펩티드의 p75NTR과 이러한 상호작용은 치료 개입에 새로운 목표를 제안하였다(참조 Zhang et al., J Neurosci 23, 7385 (2003) 및 Perini et al., J Exp Med 195, 907 (2002)).
최근, AD 뇌의 뉴론에서 과도-발현되는 ERAB는 βA 펩티드와 결합하여 AD에서 신경세포사를 유도한다고 알려졌다. ERAB를 항체, 항-ERAB F(ab')2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βA 펩티드-유발 세포사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졌고 반면에 ERAB 과도발현 은 βA 펩티드-유발 세포사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졌다(참조 Frackowiak et al., Brain Res 907, 44 (2001) 및 Yan et al., J Biol Chem 274, 2145 (1999)).
βA 펩티드 독성 저해제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βA 펩티드의 외견상 2차 구조의 변경이나 βA 펩티드 응집 방지는 βA 펩티드의 세포독성을 폐기하는데 필요하지 않다고 밝혀졌다. 그럼에도, 응집 속도록에서 그리고 βA 펩티드 응집체의 더높은 차수의 구조적 특성에서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또한 βA 펩티드 독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참조 Soto et al., Neuroreport 7, 721 (1996)). βA 펩티드와 상호작용하는 합성 저해제는 PC12 세포에 대해 βA 펩티드 독성을 완전히 차단한다고 알려졌고, 아밀로이드 원섬유 형성의 완전한 파괴가 독성 폐기에 필요하지 않다고 밝혀졌다. 또한 멤브레인의 유효 음전하를 감소시키는 플로레틴과 엑시포네와 같은 쌍극성 화합물이 음하전된 리피드 소포와 βA 펩티드의 결합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βA 펩티드-유발 세포독성을 방지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참조 Hertel et al., Proc . Natl . Acad . Sd . USA 94, 9412 (1997)). 이들 결과는 βA 펩티드 독성이 세포막과 물리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매개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녹내장 및 노인성 황반변성(AMD)은 실명을 유발하는 비가역적인 진행성 시각 기능장해의 가장 일반적인 선도 원인이다. 녹내장은 전세계적으로 추정하여 66.8 백만 인구에게 비가역적 시각 상실의 원인이다(참조 Khaw et al., BMJ 320, 1619 (2000)). AMD는 개발도상국에서 평균수명의 증가 및 노령 인구의 후속적 증가로 인해 실명과 시각 상실의 선도적인 원인이다(참조 VanNewkirk et al., Ophthalmol 108, 960 (2001)). 20 내지 25 백만 인구가 전세계적으로 AMD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다음 30 내지 40년 후 노령 인구의 증가로 3배가 될 형상이다(참조 Smith et al., Ophthalmol 108, 697 (2001) 및 McCarty et al., Arch Ophthalmol 119, 1455 (2001)). 미국에서 매년 신생혈관 변성에 대해 안과의사를 방문한 케이스는 200,000 이상의 케이스가 있다(참조 Bressler et al., BMJ 321, 1425 (2000) 및 Chopdar et al., BMJ 326, 485 (2003)). 녹내장과 AMD는 가족 구성원들과 이 질환을 가진 사람을 위한 대부분의 관리를 담당하는 기타 사랑하는 이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불행히도, 녹내장과 AMD에 대한 치료는 아직 개발된 바 없다.
AMD는 망막 색소상피의 기저면을 따라 축적되는, 드루젠(drusen)(AMD의 표식 사인)으로서 알려진 비정상 세포외 침착물을 특징으로 한다. 드루젠이 더 나이든 개개인에서 일반적이지만, 많은 수의 드루젠 및/또는 광대한 영역의 융합성 드루젠은 AMD에 대한 중요한 위험인자를 나타낸다. 널리 퍼진 드루젠 침착은 망막 색소상피 세포 기능장해와 광수용 세포의 변성과 연관되어 있다(참조 John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 11830 (2002)). AMD에 대해 2개 형태, 건성 및 습성이 존재한다. 건성 AMD는 여러 해에 걸쳐 천천히 진행하는 지도형 위축을 특징으로 한다. 습성 AMD에서, 전체 황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밀집 섬유혈관성 상처를 초래하는 맥락막 혈관신생이 일어난다. 습성 AMD는 건성보다 더 시각 위협적이며 노인 인구에서 심각한 시각 상실 케이스 중 90%가 관련되어 있다(참조 Chopdar et al., BMJ 326, 485 (2003)).
녹내장은 비가역적 시각 상실을 초래하는 시신경, 망막 신경절 세포의 만성 신경변성이다(참조 Khaw et al., BMJ 320, 1619 (2000)).
녹내장과 AMD의 발병기전은 최근에 눈 망막 세포에서 베타-아밀로이드(βA)의 침착에 연결된 바 있다. 최근에 녹내장에서 망막 신경절 세포사가 분자 수준에서 βA 신경독성을 포함하고 있다고 밝혀졌다(참조 McKinnon et al., IOVS 43, 1077 (2002)). βA는 또한 드루젠 내에 부분구조적 소포 요소와 연합한다고 알려졌고 광수용체 및 망막 색소상피 세포를 변성하는 위치와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다(참조 Dentchev et al., Mol Vis 14, 184 (2003)). βA 침착은 망막 색소상피의 위축, 드루젠 생체발생 및 AMD의 발병기전의 원인이 되는 국소 염증 이벤트의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다(참조 John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 11830 (2002)).
따라서, βA 독성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 수단은 녹내장 및 황반 변성의 발병을 조절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을 나타낸다고 가정된 바 있다. 망막 세포가 βA-유발 독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면, 녹내장과 AMD의 발병이 지연되거나 예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기존의 녹내장 치료는 안내압(이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을 낮추는데 집중된다. 녹내장은 질환 진행을 느리게 할 수 있는 안내압을 낮추기 위해 의학적으로, 외과적으로, 또는 레이저에 의해 치료된 바 있다. 약리적 치료 수단은 콜린성 약제(필로카르핀-방수 유출 증가; 베타 차단제-방수 분비 감소), 경구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아세타졸아미드 및 도르졸라미드-방수 분비 감소), 알파-2 아드레날린 작용제(아프라클로니딘 및 브리모니딘), 및 프로스타글란딘 작용제(라타노프로스트-세포외 매트릭스의 저항성을 변경함으로써 방수 유출에 대한 별도 경로 개방)이다(참 조 Khaw et al, BMJ 320, 1619 (2000) 및 Khaw et al., BMJ 328, 156 (2004)).
AMD를 위한 기존의 치료 수단 하나는 광증감제로서 베르테포르핀을 사용하는 광선 역학 요법이라 칭하는 기술이다. 고용량 아연 및 항산화 비타민(A, C, 및 E)에 의한 장기 보충으로 신생혈관 AMD를 발생하는 상대적 위험에서 상당한 감소를 나타냈다. 질환 진행과 AMD의 발병에 대한 예방 수단으로서, 망막 황반에서 고농도로 발견된 강력한 항산화제인, 카로테노이드 루테인과 제아크산틴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참조 Chopdar et al., BMJ 326, 485 (2003)).
βA-유발 신경변성 질환 예방 및 신경보호 개입에 관련된 중요한 약리적 수단 하나는 항산화제 치료일 수 있다(참조 Kumar et al., Int J Neurosci 79, 185 (1994), Lucca, et al., Brain Res 764, 293 (1997), Manelli et al., Brain Res Bull 38, 569 (1995), Parnetti et al., Drugs 53, 752 (1997), Preston et al., Neurosci Lett 242, 105 (1998), 및 Zhou, et al., J Neurochem 67, 1419 (1996)). βA 독성 저해제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응집 운동학에서 그리고 βA 응집체의 더 높은 차수의 구조적 특성에서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βA 독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이 입증될 수 있다고 알려졌다(참조 Ghanta et al., J Biol Chem 211, 29525 (1996)). βA와 상호작용하는 합성 저해제는 PC12 세포에 대한 βA 독성을 완전히 차단한다고 알려졌고, 아밀로이드 원섬유 형성의 완전한 파괴가 독성 폐기에 필수적이지 않다고 밝혀졌다(참조 Yaar et al., J Clin Invest 100, 2333 (1997) 및 Hertel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 9412 (1997)). 이들 결과는 βA 독성이 세포막과 물리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매개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약물 개발을 위해 잠재적으로 유용한 천연 자원을 발견하는데 큰 관심이 있다. 이러한 천연 산물 중 적당한 원료 하나는 다양한 병을 치료하기 위해 역사 전반에 걸쳐 사용되어 온 약용 식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βA 손상으로부터 뉴런을 보호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유용한 식물의 발견이 중요하다.
쿠르쿠마 롱가(Curcuma longa, 생강과)는 카레 향신료와 인도네시아 전통 의약의 잘 알려진 구성물로서 사용된 바 있다(참조 Nurfina et al., Eur J Med Chem 32, 321 (1997)). 심황의 중요한 구성물 중 하나는 항종양 활성이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알려진 쿠르쿠민(curcumin)이다(참조 Ruby et al., Cancer Lett 94, 79 (1995)). 심황으로부터, 항산화 특성이 있는 쿠르쿠미노이드는 βA 손상으로부터 신경 세포를 보호한다고 밝혀진 바 있다(참조 Kim DSHL et al., Neurosci Lett 303, 57 및 Park SY et al., J Nat Prod 65, 1227 (2002)). 쿠르쿠마속(Curcuma sp.)의 대표적인 리스트는 C. longa , C. aromatica , C. domestica , C. xanthorrhiza, C. zedoaria을 포함한다.
징기버 오피시날레(Zingiber officinale, 생강과)는 동남 아시아의 열대지방에서 발견될 수 있는, 세계의 유명 향신료들 중 하나이다. 생강은 유사이래 경이로운 약물로서 인류에게 이로운 바 있다(참조 Jitoe et al., J Agric Food Chem 40, 1337 (1992), Kikuzaki et al., J Food Sci 58, 1407 (1993) 및 Schulick, Herbal Free Press, Ltd. (1994)). 생강으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있는 쇼가올(shogaol)이 또한 βA 손상으로부터 신경 세포를 보호한다고 밝혀진 바 있다(참조 Kim et al., Planta Medica 68, 375 (2002)). 징기버속(Zingiber sp.)의 대표 적인 리스트는 Z. officinale , Z. zerumbet , Z. mioga를 포함한다.
은행(Ginkgo biloba, 은행과)은 아시아 전통 의약으로서 천년간 신경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된 바 있다. 은행잎 추출물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바 있고 영양 보조식품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은행의 항산화 활성은 깅콜리드(ginkgolides), 빌로빌리드(bilobilide),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및 깅콜산(ginkgolic acids)과 같은 디테르펜에 의해 일차로 기여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참조 Hopia et al., J Agric Food Chem 44, 2030 (1996) 및 Nakatani et al., Agric Biol Chem 47, 353 (1983)).
샐비어(Salvia officinalis L. (Lamiaceae)) 및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Labiatae))는 식품의 향미와 양념을 위해 널리 사용된 향신료이다. 이들 향신료는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카르노솔(carnosol),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로즈마놀(rosmanol), 에피로즈마놀(epirosmanol), 로즈마디알(rosmadial), 이소로즈마놀(isorosmanol) 등과 같은 강력한 디테르페노이드 항산화제를 함유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참조 Haraguchi et al., Planta Med 61, 333 (1995), Inatani et al, Agric Biol Chem 47: 521 (1983), Nakatani et al., Agric Biol Chem 48: 2081 (1984), Inatani et al., Agric Biol Chem 46: 1661 (1982), Wang et al., J Agric Food Chem 46: 2509 (1998), Wang et a., J Agric Food Chem 46: 4869 (1998)).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잠재 항-βA 펩티드 활성을 나타내는 심황, 생강, 징코 빌로바, 샐비어 및 로즈마리에 존재하는 천연 화합물의 확인 및 단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녹내장 및 AMD의 병인과 관련한 망막 세포에 대한 아밀로이드 단백질 매개된 세포 독성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잠재 항-βA 펩티드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합성 화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뉴런을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 및 βA 단백질-유발 질환을 상기 동일물에 의해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공유된 동시계류중인 2005년 11월 23일자 출원의 미국 특허 가출원 제60/ [참조 번호 제30443/41465](발명의 명칭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ful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Disease Including Sage and Rosemary Derived Compounds'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화합물이 샐비어 및 로즈마리 및 이의 유사체 및 동족체로부터 유도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상기 문헌의 개시는 본 발명에서 참조 인용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으로 잠재 항-베타 아밀로이드 활성을 갖거나 다른 심황, 생강 및 징코 빌로바 유도된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고, 이의 유사체 및 동족체는 노인성 황반변성(AMD) 및 녹내장을 포함하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을 치료하는 항-베타 아밀로이드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합성 심황, 생강, 징코 빌로바, 샐비어 또는 로즈마리 화합물은 각각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심황 종, 생강 종, 징코 빌로바, 샐비어 종 또는 로즈마리 종 화합물뿐만 아니라 항-βA 펩티드 활성을 갖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합물의 유사체 및 동족체의 화학적으로 합성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항-βA 펩티드 활성은 신경독성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단백질 매개된 세포독성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βA-관련 안질환 녹내장 및 AMD의 치료(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경우 예방 또한 포함함)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주성분 또는 구성 성분으로서 심황에서 발견되는 천연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합성 유사체 또는 동족체)을 함유하는 추출물, 및 심황에서 발견되는 천연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합성 유사체 또는 동족체)를 투여하여 βA-관련 세포독성으로부터 망막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천연 화합물로는 4''-(3'"-메톡시-4'"-히드록시페닐)-2''-옥소-3''-엔부타닐 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페노에이트(칼레빈-A) 및 1,7-비스(4-히드록시-3-메톡시페닐)-1,4,6-헵타트리엔-3-온, 및 7개의 알려진 화합물, 1,7-비스(4-히드록시-3-메톡시페닐)-1,6-헵타디엔-3,5-디온(쿠르쿠민), 1-(4-히드록시-3-메톡시페닐)-7-(4-히드록시페닐)-1,6-헵타디엔-3,5-디온(디메톡시쿠르쿠민), 1,7-비스(4-히드록시페닐)-1,6-헵타디엔-3,5-디온(비스디메톡시쿠르쿠민), 1-히드록시-1,7-비스(4-히드록시-3-메톡시페닐)-6-헵텐-3,5-디온, 1,7-비스(4-히드록시페닐)-1-헵텐-3,5-디온, 1,7-비스(4-히드록시페닐)-1,4,6-헵타트리엔-3-온 및 1,5-비스(4-히드록시-3-메톡시페닐)-1,4-펜타디엔-3-온, 2-쇼가올, 4-쇼가올,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12-쇼가올, 2-진저롤, 4-진저롤, 6-진저롤, 8-진저롤, 10-진저롤, 12-진저롤, 깅콜산, 로즈마놀, 이소로즈마놀, 로즈마디알, 카르노솔, 카르노스산, 에피로즈마놀, 로즈마린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AD), 노인성 황반변성(AMD) 및 녹내장을 비한정적으로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질환의 치료 방법으로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 하기 화학식(I)을 갖는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1
(I)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다. 일반적으로, R1은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은 OH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I)의 점선 배열이 이중 결합인 경우, R1은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점선 배열이 단일 결합인 경우, R1은 H 및 OH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R2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2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고, n은 1-7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2는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2는 OH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I)의 점선 배열이 이중 결합인 경우, R2는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점선 배열이 단일 결합인 경우, R2는 H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다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Ⅱ)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2
(Ⅱ)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다. 일반적으로, R3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3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3는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3는 H이다. 일반적으로, R4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4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4는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4는 H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Ⅱ)의 제1 점선 배열이 이중 결합이고 화합물(Ⅱ)의 제2 점선 배열이 단일 결합인 경우, R4는 H이고, 상기 둘 모두의 점선 배열이 단일 결합인 경우, R4는 H이며, 상기 둘 모두의 점선 배열이 이중 결합인 경우 R4는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R5는 H,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5는 H,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5는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5는 OH이다.
화학식(Ⅱ)의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디케톤으로서 나타내어지고, 화학식(I)의 화합물이 에놀로서 나타내어지는 경우, 당업자는 디케톤 및 에놀이 하기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호변체로서 용액 중에 공존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3
(식 1)
따라서, 본 발명은 호변체 형태 및 상기 두 형태의 혼합물로서의 화합물의 용도 및 제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을 갖는 천연 생성 화합물은 심황으로부터 단리하였으며,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다른 심황 관련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Ⅲ)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4
(Ⅲ)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다. Z는 등전자 변화를 나타내고, 여기서 Z는 O, S, NH, NR60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6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일반적으로, R6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6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6는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6는 OH이다. 일반적으로, R7은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 람직하게는, R7은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7은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7은 H이다. 일반적으로, R8은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8은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8은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8은 OH이다. 일반적으로, R9은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9은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9은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9은 H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화합물의 제2 세트는 징코 빌로바로부터 추출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천연 화합물뿐만 아니라, 항-βA 활성을 공유하는 천연 징코 빌로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동족체 및 유사체를 포함하는 합성 징코 빌로바 화합 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Ⅳ)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를 가진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5
(Ⅳ)
상기 식 중, R은 고급 알킬, 고급 알케닐 및 고급 알키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은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6
이고, n은 1-7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은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7
.
그리고, R은 또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8
,
y는 1-9이고, 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09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0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화합물의 제3 세트는 징기버 종(생강)으로부터 추출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천연 화합물뿐만 아니라 항-βA 활성을 공유하는 천연 생강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동족체 및 유사체를 포함하는 합성 생강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V)을 갖는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1
(V)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R10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0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0은 OH이다. 바람직하게는, R11은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1은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1은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12는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2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2
,
y는 1-9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2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3
y는 1-9이며, 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4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며,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5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그리고, 하기 화학식(Ⅵ)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6
(Ⅵ).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R13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3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H2)nCH3이고, n은 1-7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3은 OH이다. 바람직하게는, R14는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4는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4는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15는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5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7
,
y는 1-9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5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8
,
y는 1-9이며, 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19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0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측쇄의 길이가 생물학적 활성의 발현에 중요하다는 것은 생강-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의 생물학적 결과로부터 명백하다. 예를 들어, 생강-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 화합물 (11), (12) 및 (14)과 관련하여, 생물학적 활성은 화합물 측쇄 길이의 증가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이하고 보다 긴 측쇄를 갖는 유사체를 제조하는 것이 관심의 대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쇼가올 화합물은 R12의 탄소가 5개 이상인 측쇄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2는 탄소가 9개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2는 탄소가 11개 이상이다. 더욱이, 합성된 쇼가올 유사체 화합물 중 둘인, 화합물 (45) 및 (50)은 또한, 상기 화합물이 생강-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 이외의 다른 치환체를 가진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예를 들어, 화합물(45)은 포화 탄화수소 측쇄를 갖기 때문에 생강-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과는 다르고, 화합물(50)은 메톡시 치환체를 갖지 않기 때문에 생강-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과는 다르다. 상기 데이타는, 활성 화합물의 페닐 고리 상의 치환체 성질 변화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약학 조성물, 화합물 및 용도에 대한 관심의 대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알킬'은 2개 이상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은 2개 내지 20개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은 2개 내지 8개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 을 의미한다. 용어 '알케닐'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케닐은 2개 내지 20개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어 알케닐은 2개 내지 8개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용어 '알키닐'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키닐은 2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키닐은 2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고급 알킬'은 5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킬은 5개 내지 20개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킬은 5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고급 알케닐'은 5개 이상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케닐은 5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케닐은 5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용어 '고급 알키닐'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5개 이상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 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키닐은 5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어 고급 알키닐은 5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화합물의 제4 세트는 항-βA 활성을 공유하는 샐비어 종(샐비어) 및 로즈마리누스 종(로즈마리)로부터 추출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천연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Ⅶ), (Ⅷ) 및 (Ⅸ)을 가진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1
(Ⅶ)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2
(Ⅷ)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3
(Ⅸ)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항-베타 아밀로이드 화합물의 각각의 조합을 투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이한 부류의 심황, 징코 빌로바, 생강, 샐비어 및 로 즈마리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 중의 화합물의 조합을 부가적이거나 상조적인 효과를 위해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유도된 화합물 및 이의 동족체 및 유사체를, 콜린성 제제(예컨대, 필로카르핀, 베타 차단제), 경구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예컨대, 아세타졸아미드 및 도르졸라미드), 알파-2 아드레날린 작용제(예컨대, 아프라클로니딘 및 브리모니딘), 프로스타글란딘 작용제(라타노프로스트), 카로테노이드, 루테인 및 제아잔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제를 포함하는 기타 제제와 배합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 양태 및 장점은 하기 설명,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첨부된 도면을 고려하여 더욱 잘 이해되게 된다.
도 1은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PC12, IMR32 및 HUVEC 세포를 보호하는 심황-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디히드로- 및 테트라히드로-쿠르쿠미노이드의 합성에 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도 3은 대칭 및 비대칭 쿠르쿠민 유사체 및 관련 화합물의 합성에 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도 4는 심황-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6)의 합성에 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도 5는 합성 제조되고 βA 펩티드-유발 독성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분석된 쿠르쿠미노이드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는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PC12, IMR32 및 HUVEC 세포를 보호하 는 생강-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생강-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13)의 합성에 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도 8은 [9]-디히드로쇼가올, 화합물(45)의 합성에 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도 9는 [9]-데모톡시쇼가올, 화합물(50)의 합성에 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도 10은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PC12 및 HUVEC 세포를 보호하는 징코 빌로바-유도 천연 생성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깅콜산 및 이의 유사체에 대한 제안된 합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쿠르쿠마(Curcuma) 에스피 [진기버아케아이(Zingiberaceae)], 진기버(Zingiber) 에스피 [(진기버아케아이(Zingiberaceae)],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살비아(Salvia) 에스피 [라미아케아이(Lamiaceae)] 및 로즈마리누스(Rosmarinus) 에스피 [라비아타이(Labiatae)]의 메탄올 및 다른 추출물을 사용하여 세포를 βA 손상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추출물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부탄올 등, 및 다른 비알콜계 용매, 예컨대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 포르메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석유 에테르 및 디에틸 에테르와 같은 비알콜계 용매 유형, 및 물과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에 의하여 얻어진다. 이들 식물 추출물은 βA 손상으로부터 PC 12, IMR32, 및 HUVEC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분석으로 가이드되는 분별을 통하여, 유효한 항-βA 펩티드 활성을 보이는 12종의 천연 생성 화합물 (11종은 공지이고 1종은 신규함)을 단리하고 확인하였다. 이들 천연 생성 화합물은 βA 펩티드 (25∼35 및 1∼42 모두) 손상으로부터 PC 12, IMR32, HUVEC, 및 래트의 1차 대뇌 피질 뉴런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경우, 천연 생성 화합물은 합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화합물 중 소량만을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생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비용에 있어 효과적이다. 합성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은 식물로부터 단리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동일하였다. 단리된 천연 생성 화합물만큼 효과적으로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일련의 천연 생성물 유사체도 또한 합성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AD, AMD 및 녹내장을 비롯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로 유발되는 안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 이상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 치료약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 화합물의 용도도 또한 본원에 개시된다.
하기 화학식을 갖는 천연 생성 화합물을 호변체로부터 단리하였으며 이것은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화학식에 의하여 표시되는 천연 생성 화합물의 일부를 합성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4
(I)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다. 일반적으로, R1은 H, OH, OMe,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H, OH, OMe, 및 OR6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I)의 점선 배열이 이중 결합인 경우, R1은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점선 배열이 단일 결합인 경우, R1은 H 및 OH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R2는 H, OMe,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바람직하게는, R2는 H, OMe, 및 OR6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고, n은 1-7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2는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I)의 점선 배열이 이중 결합인 경우, R2는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점선 배열이 단일 결합인 경우, R2는 H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다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Ⅱ)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5
(Ⅱ)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다. 일반적으로, R3는 H, OMe,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바람직하게는, R3는 H, OMe, 및 OR6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3는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3는 H이다. 일반적으로, R4는 H, OH, OMe,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바람직하게는, R4는 H, OH, OMe, 및 R6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4는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화합물(Ⅱ)의 제1 점선 배열이 이중 결합이고 화합물(Ⅱ)의 제2 점선 배열이 단일 결합인 경우, R4는 H이고, 상기 둘 모두의 점선 배열이 단일 결합인 경우, R4는 H이며, 상기 둘 모두의 점선 배열이 이중 결합인 경우 R4는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R5는 H,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5는 H, OH, OMe, OR6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5는 H,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5는 OH이다.
화학식(Ⅱ)의 화합물이 본 발명에서 디케톤으로서 나타내어지고, 화학식(I)의 화합물이 에놀로서 나타내어지는 경우, 당업자는 디케톤 및 에놀이 하기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호변체로서 용액 중에 공존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6
(식 1)
따라서, 본 발명은 호변체 형태 및 상기 두 형태의 혼합물로서의 화합물의 용도 및 제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을 갖는 천연 생성 화합물은 심황으로부터 단리하였으며, 이것은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다른 심황 관련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Ⅲ)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7
(Ⅲ)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다. Z는 등전자 변화를 나타내고, 여기서 Z는 O, S, NH, NR60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일반적으로, R6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6는 OH, OMe, OR6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6는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6는 OH이다. 일반적으로, R7은 OH, OMe,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바람직하게는, R7은 H, OMe, 및 OR6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7은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7은 OH이다. R8는 OH, OMe, OR5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바람직하게는, R8는 OH, OMe, OR60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6는 O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8은 OH이다. 일반적으로, R9는 H, OMe, 및 OR5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바람직하게는, R9은 H, OMe, 및 OR6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9은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9은 OMe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화합물의 제2 세트는 징코 빌로바로부터 추출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천연 화합물뿐만 아니라, 항-βA 활성을 공유하는 천연 징코 빌로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동족체 및 유사체를 포함하는 합성 징코 빌로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Ⅳ)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를 가진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8
(Ⅳ)
상기 식 중, R은 고급 알킬, 고급 알케닐 및 고급 알키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은
Figure 112008003434556-PCT00029
이고, n은 1-7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은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0
.
그리고, R은 또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1
,
y는 1-9이고, 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2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3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화합물의 제3 세트는 징기버 종(생강)으로부터 추출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천연 화합물뿐만 아니라 항-βA 활성을 공유하는 천연 생강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동족체 및 유사체를 포함하는 합성 생강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V)을 갖는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4
(V)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R10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0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H2)nCH3이며, n은 1-7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0은 OH이다. 바람직하게는, R11은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1은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1은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12는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2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5
,
y는 1-9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2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6
y는 1-9이며, 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7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며,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8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그리고, 하기 화학식(Ⅵ)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08003434556-PCT00039
(Ⅵ).
상기 식에서,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R13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3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H2)nCH3이고, n은 1-7이며, X는 F, Cl, Br 또는 I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3은 OH이다. 바람직하게는, R14는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4는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H2)nCH3이며, n은 1-7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4는 H 및 OM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15는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5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0
,
y는 1-9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5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1
,
y는 1-9이며, 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2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3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측쇄의 길이가 생물학적 활성의 발현에 중요하다는 것은 생강-유도 천연 생산 화합물의 생물학적 결과로부터 명백하다. 예를 들어, 생강-유도 천연 생산 화합물, 화합물 (11), (12) 및 (14)과 관련하여, 생물학적 활성은 화합물 측쇄 길이의 증가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이하고 보다 긴 측쇄를 갖는 유사체를 제조하는 것이 관심의 대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쇼가올 화합물은 R12의 탄소가 5개 이상인 측쇄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2는 탄소가 9개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R12는 탄소가 11개 이상이다. 더욱이, 합성된 쇼가올 유사체 화합물 중 둘인, 화합물 (45) 및 (50)은 또한, 상기 화합물이 생강-유도 천연 생산 화합물 이외의 다른 치환체를 가진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예를 들어, 화합물(45)은 포화 탄화수소 측쇄를 갖기 때문에 생강-유도 천연 생산 화합물과는 다르고, 화합물(50)은 메톡시 치환체를 갖지 않기 때문에 생강-유도 천연 생산 화합물과는 다르다. 상기 데이타는, 활성 화합물의 페닐 고리 상의 치환체 성질 변화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약학 조성물, 화합물 및 용도에 대한 관심의 대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알킬'은 2개 이상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은 2개 내지 20개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은 2개 내지 8개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용어 '알케닐'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케닐은 2개 내지 20개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어 알케닐은 2개 내지 8개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용어 '알키닐'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키닐은 2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키닐은 2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고급 알킬'은 5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킬은 5개 내지 20개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킬은 5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고급 알케닐'은 5개 이상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케닐은 5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케닐은 5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용어 '고급 알키닐'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5개 이상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급 알키닐은 5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어 고급 알키닐은 5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화합물의 제4 세트는 항-βA 활성을 공유하는 샐비어 종(샐비어) 및 로즈마리누스 종(로즈마리)로부터 추출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천연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Ⅶ), (Ⅷ) 및 (Ⅸ)을 가진다: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4
(Ⅶ)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5
(Ⅷ)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6
(Ⅸ)
본 발명의 천연 생성물 및 천연 생성물 유사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치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과 함께 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공지의 항생물질, 계면활성제 또는 기타 치료제와 함께 또는 이들 없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 또는 다른 동물에게 경구, 직장, 비경구, 분비액 저장소내, 복강내, 주사 또는 데포에 의하여 안내, 국소(예컨대, 산제, 연고 또는 점적제에 의하여), 안내, 구강내, 비강내로, 또는 임의의 다른 효과적인 투여 경로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따르면, βA 단백질-유도 질환은 인간 또는 더 하등한 동물과 같은 대상체에게 소정 결과를 얻기에 필요한 시간 동안 소정 결과를 얻기에 필요한 양으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에서 치료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질환"은 예컨대 알츠하이머병, 다운증후군, 노인성 황반 변성(AMD) 및 녹내장과 같은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펩티드 섬유 침착물 또는 반점의 형성 및 응집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방법은 βA 단백질-유발 질병 과정이 개시되었으나 대상체가 명백한 외부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질병의 병리가 현재 이용 가능한 기술로는 검출될 수 없는 대상체의 치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βA 단백질-유발 질환과 관련된 통상의 증상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질환의 병리적 치료도 고려한다. 따라서, 본원에 제공된 치료 방법은 예컨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기억 상실 및 치매와 같은 βA 단백질-유발 질환과 관련된 증상의 치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노인성 반점 형성 예방 및/또는 이러한 형성의 제거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녹내장 및 AMD와 같은 βA 단백질-유발 안질환과 관련된 증상의 치료에 유용하며, 또한 이러한 질환의 병리도 치료한다. 노인성 반점의 형성은 인간 및 다른 포유동물에서 규칙적으로 발생하며 진행되는 과정인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또한, 이 과정의 평형은 실질적으로 βA 단백질-유발 질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환자에서 교란되어 노인성 반점 및 안반점의 축적 및 형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치료 유효량"은 βA 단백질-유발 질환의 증상 및/또는 병리를 경감, 개선, 예방 및/또는 제거하기에 충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AD의 치료 방법은 βA 단백질-유발 질환 유사 증상이 명백하든 명백하지 않든 본 발명 활성 화합물의 투여를 고려한다.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에게 투여되는 본 발명의 천연 생성 화합물(6)의 총 1일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당 1∼200 mg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총 1일 용량은 체중 1 kg당 20∼160 mg이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총 1일 용량은 체중 1 kg당 40∼100 mg이다. 당업자는 화합물의 ED50 값(예컨대, 표 1, 2, 3 및 4에 나타낸 ED50 값)으로부터 추정하여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용량 범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의 총 1일 용량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 범위내에서 임상의가 결정한다. 임의의 측정 환자에 대한 특정 치료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증증도 및 진행 정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대상체의 크기,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분비 속도, 치료 지속 시간,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과 조합되는 추가의 치료제를 비롯한 다양한 인자 및 의료계에 널리 공지된 유사 인자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천연 생성 화합물 및 천연 생성물 유사체 화합물의 작용 기전은 항산화 및 비항산화 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본 발명의 기전에 관한 이론에 구속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1) 항산화 경로, (2) βA 펩티드에 직접 결합하여 그 구조 형성을 변화시켜 비독성으로 함으로써 βA 펩티드의 응집을 방지, 및/또는 (3) 세포 상의 수용체 부위에 결합하여 세포 작용을 변화시킴으로써 βA 펩티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뉴런을 보호하는 치료제 및 예방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 실시의 예시로서 의도되며 어떤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닌 이하의 실시예에 비추어 보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
베타 아밀로이드-유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심황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단리 및 확인
이 실시예에 따르면,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능있는 항-AD 천연 생성 화합물을 하기 생물학적 분석에 따른 분할 계획에 의해 심황으로부터 단리하였다. 요약하면, 분쇄한 심황을 90% 메탄올로 밤새 추출하고(2x), 진공 하에서 35℃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석유 에테르/물, 디클로로메탄/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물 사이에 연속적으로 분배하였다. 진공 하에서 35℃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βA 펩티드-유발 세포 독성에 대한 억제 활성을 이 실시예에 기재된 MTT 어세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분으로부터의 잔류물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활성 성분을 다양한 수지(Amberchrom 비이온성 수지 및 실리카 겔)를 이용하는 일련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반분취용 HPLC 역상 분리(이소프로필 알콜/물 또는 아세토니트릴/물 용매계)에 의해 활성 분획의 잔류물로부터 단리하였다. 6개의 쿠르쿠미노이드, 천연 생성 화합물 (1), (2), (3), (4), (5) 및 (6)을 심황으로부터 단리하고, 이들의 구조를 NMR(1-D 및 2-D 1H, 13C, APT, HMBC) 및 질량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여 밝혔다. 이들 화합물을 도 1에 도시한다.
잔류물 및 확인된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βA 펩티드(25-35 및 1-42 모두) 처리 세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βA 펩티드(25-35 및 1-42) 처리 세포 및 DMSO 대조군의 세포 생존성의 차이를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βA 손상 정도를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 환원 어세이에 의해 측정하였다. 문헌[Kim et al., Neurosci Lett 303, 57 (2001), Park et al., J Nat Prod 65, 1227 (2002) 및 Kim et al., Plant Medica 68, 375 (2002)] 참고. 세포 성장 또는 세포사의 검출은 MTT가 착색된 생성물인 MTT 포르마잔으로 전환되는 것을 관찰하여 측정할 수 있는데, MTT 포르마잔의농도는 550 nm에서 비색계로 측정할 수 있다. 문헌[Kim et al., Neurosci Lett 303, 57 (2001)] 참조.
화합물의 βA 펩티드-유발 독성 억제 효과를 PC12 세포에 대해 시험하였다. 콜라겐 코팅된 96 웰 조직 배양판에서 다양한 농도(25, 5.0, 1.0 및 0.2 ㎍/㎖)에서 24 시간 동안 세포를 βA 펩티드(25-35)(1.0 ㎍/㎖, DMSO 중 1.0 mg/㎖ 모액으로부터 제조) 또는 βA 펩티드(1-42)(2.0 ㎍/㎖, DMSO 중 1.0 mg/㎖ 모액으로부터 제조) 및 시험 화합물과 함께 배양하였다. 양성 대조군(1% DMSO만) 및 음성 대조군(1% DMSO 중 1.0 ㎍/㎖ βA 펩티드만)에 대해 PC12 세포의 MTT를 환원시키는 효능을 비색계 및 현미경으로 평가하여 화합물의 βA 펩티드-유발 독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를 2 시간 동안 37℃에서 MTT 용액(5 mg/㎖) 중에서 배양하였다. 이 시간 동안 매 15 분마다 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하였다. 세포를 37℃에서 밤새 용해 완충액(100 ㎕) 중에서 배양하였다. 550 nm에서 MTT 환원을 비색계로 측정하 였다. IMR32, HUVEC 및 원발성 피질 래트 뉴런 세포에 대한 화합물의 βA 펩티드-유발 세포 독성 억제 활성을 또한 평가하였다.
PC12 래트 크롬 친화 세포종 및 IMR32 인간 신경 모세포종 세포를 미국 미생물 보존 센터(ATCC)로부터 얻었다. HUVEC 정상 제대 인간 정맥 내피 세포를 클로네틱스(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소재)로부터 얻었다. 세포를 조직 배양판(미국 뉴욕주 뉴욕 소재의 코닝사 제품) 상에서 관례대로 배양하였다. PC12 세포를 포도당 농도가 높은 둘베코의 변형 이글 배지(DMEM), 10% 말 혈청, 5% 우태아 혈청 및 1% 페닌실린/스트렙토마이신에서 성장시켰다. IMR32 세포를 1% 페닌실린/스트렙토마이신과 함께 10% 우태아 혈청 및 90% DMEM에서 성장시켰다. HUVEC 세포를 EGM-2 Bullet Kit(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소재의 클로네틱스 제품)에서 성장시켰다. βA 펩티드(25-35) 및 βA 펩티드(l-42)를 사용하는 생물학적 분석을 위해, 100 ㎕의 대수 증식 PC12 세포(2,000 세포/㎖)를 콜라겐 코팅된 96 웰 조직 배양판에서 평판 배양하였다.
PC12 세포를 관례대로 폴리스티렌 코팅된 코닝 조직 배양판 상에서 배양하였다. PC12 세포는 콜라겐 코팅된 96 웰 플레이트를 사용할 때에만 일치하는 결과를 제공하였다. 96 웰 플레이트를 래트 꼬리 콜라겐(독일 만하임 소재 베링거사 제품)으로 코팅하여 일정한 PC12 세포 부착 및 성장을 촉진하였다. 실험 조건 하에서 βA 펩티드(25-35) 및 βA 펩티드(l-42)는 ED50 = 1.0 및 5.0 ㎍/㎖에서 각각 PC12 세포에 대해 독성이 있었다
PC12 세포를 사용하는 어세이에 의해 확인된 화합물의 항 βA 펩티드 활성을 확인 및 보충하기 위해 IMR32 및 HUVEC 세포를 선택하였다. βA 펩티드는 IMR32 및 내피 세포에 세포 독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실험 결과는 IMR32 및 HUVEC 세포가 각각 ED50 = 3.0 및 6.0 ㎍/㎖에서 βA 펩티드(25-35)에 대해 감작성이 있고, 각각 ED50 = 6.0 및 10.0 ㎍/㎖에서 βA 펩티드(1-42)에 대해 감작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원발성 피질 래트 뉴런 세포는 다음 방식으로 얻었다. 18 일령 스프라그 돌리(Sprague-Dawley) 래트 태아로부터 해리된 원발성 뉴런 세포를 배양하였다. 어미를 에테르로 마취시킨 동안 제왕 절개 수술에 의해 새끼를 분만시켰다. 18 일령의 스프라그 돌리 래트 새끼의 배아로부터의 해마 조직을 해부한 후, 20 mM HEPES, 4.2 mM 중탄산나트륨, 1 mM 피루베이트 및 3 mg/㎖의 소혈청 알부민(BSA)으로 보충된 저온의 Ca2 +/Mg2 + 무함유 행크 균형 염 용액으로 헹구었다. 저온 완충액 중에서 수축 피펫으로 조직을 가만히 분쇄한 후, DMEM 중 2배 부피의 10% 우태아 혈청(FBS)을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2 분 동안 현탁액을 가라앉힌 후, 상청액을 수집하고, 2 분 동안 200 x g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세포 펠렛을 혈청 무함유 DMEM(pH 7.3)에 재현탁시키고, 2.4 mg/㎖ BSA 및 브루어의 B16 합성 성분의 변형물(250 nM 비타민 B12 함유 및 카탈라아제, 글루타티온 및 과산소디스뮤타아제 무함유)로 보충하였다. 세포를 15,000 세포/cm2의 밀도로 평판 배양하고 37℃에서 성장시켰다. 세포 부착되도록 24 시간 배양한 후, 혈청 함유 배지를 소 트랜스페린(100 ㎍/㎖), 소 인슐린(5 ㎍/㎖), 푸트레신(0.1 mM), 프로게스테론(10 nM), 아셀렌산나트륨(30 nM), 피루브산나트륨(1 mM) 및 중탄산나트륨(15 mM)을 함유하는 DMEM/F12 함유 합성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지의 1/3을 신선한 배지로 교체하여 장기간 동안 유지한 세포를 주 2회 공급하였다.
실시예 2
베타 아밀로이드 독성에 대한 심황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억제 활성 및 항산화제 효능
이 실시예에 따라, βA 펩티드-유발 독성에 대한 심황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 (1), (2), (3), (4), (5) 및 (6)(도 1에 도시됨)의 억제 활성을 실시예 1에 기재된 MTT 환원 어세이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 6개의 심황에서 유도된 쿠르쿠미노이드는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PC12, IMR32 및 HUVEC 세포를 보호하였다(하기 표 1). 이 화합물은 또한 βA 펩티드(l-42) 손상에 대해 5 ㎍/㎖에서 원발성 피질 뉴런 세포를 보호하였다(10 ㎍/㎖).
ED50 값은 MTT 어세이로부터 나온 결과를 반영하고 있으며, 50% 세포 생존성, 양성 대조군 값과 음성 대조군 값 사이의 중간 점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샘플 농도를 나타낸다. MTT 어세이에 의해 측정시 βA 펩티드 처리 웰의 값 이하의 값을 제공하는 샘플을 세포 독성이 있거나 소정 활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고려하고, "독성 있음"으로 라벨링하였다.
세포외 배씽(bathing) 배지로 방출된 락트산 탈수소 효소 활성의 측정을 또한 세포 배양물의 세포 생존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였다. 배지 내 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문헌[Kimura et al., Brain Res 1047, 72 (2005) 및 Loudina et al., Exp Neurol 184, 923 (2003)] 참조. 이 어세이를 MTT 어세이에서 얻어진 ED50 결과를 확인하는 데 사용하였다. 96 웰 세포 배양판으로부터의 배지 샘플을 96 웰 플레이트(100 ㎕)의 빈 웰에 옮기고, 2.0 μmol의 피루브산나트륨 및 0.1 ㎎의 환원 형태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0.1 M K2PO4 완충액(25℃에서 pH 7.5) 중 NADH]를 첨가하였다(총 부피 400 ㎕). 340 nm에서 반응 혼합물의 흡광도는 NADH 농도의 지표를 제공하며, 이를 시약 혼합 5 분 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실험을 3 회 수행하고, 흡광도 곡선의 기울기로부터 LDH 농도를 계산한 후, 곡선의 선형(초기) 부분에 대한 선형 회귀에 의해 보정하였다. LDH의 농도를 통상적인 단위(u)/㎖로 표시하였다. 어세이의 정확도를 표준 LDH 효소 용액(시그마사 제품)의 주기적인 체크로 검증하였다.
IC50 값은 이 실시예에 기재된 항산화제 어세이의 결과를 반영하며, DPPH 유리 라디칼의 50%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샘플 농도를 나타낸다. 문헌[Kim et al., Neurosci Lett 303, 57 (2001) 및 Bank et al., Free Radic Biol Med 39, 811 (2005)] 참조.
항산화제 어세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산화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1,1-디페닐-피크릴히드라질(DPPH)은 수용액 및 에탄올 용액에서 안정한 유리 라디칼을 생성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이들 유리 라디칼의 제거능을 515 nm에서 DPPH 라디칼의 광학적 농도 변화를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문헌[Kim et al., Neurosci Lett 303, 57 (2001) 및 Barik et al., Free Radic Biol Med 39, 811 (2005)] 참조.
모액(5 ㎎/㎖)을 연속 희석하여 다양한 농도(200, 20, 2.0 및 0.2 ㎍/㎖)의 샘플을 제조하고, 다음 절차에 의해 시험하였다. (DMSO에 용해된) 시험 화합물 및 300 βM DPPH 에탄올 용액을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96 웰 미량 역가판에서 30 분 동안 37℃에서 배양하고,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MSO 처리된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샘플 처리에 의한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샘플의 억제율(%)로부터 IC50 값을 결정하였다. IC50 값은 DPPH 유리 라디칼의 50%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시험 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화합물의 유리 라디칼 제거능을 측정함으로써 천연 생성 화합물의 항산화제 효능을 평가하여 화합물의 세포 보호능에 있어서 항산화제 경로의 관련 가능성을 밝혔다(하기 표 1 및 2). 결과는 화합물 (1) 및 (2)만이 강한 항산화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항산화제 경로를 수반하지 않는 기전을 통해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C12, IMR32 및 HUVEC 세포에 있어서 βA 펩티드-유발 독성에 대한 심황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억제 활성 및 화합물의 항산화제 활성
화합물 항 βA 펩티드(25-35) ED50(㎍/㎖) PC12 항 βA 펩티드(1-42) ED50(㎍/㎖) PC12 항 βA 펩티드(25-35) ED50(㎍/㎖) IMR32 항 βA 펩티드(25-35) ED50(㎍/㎖) HUVEC 항 βA 펩티드(1-42) ED50(㎍/㎖) HUVEC 항산화제 IC50(㎍/㎖)
1 7.0 10 6.0 12 13 28.2
2 4.0 5.0 4.0 4.5 5.0 36.2
3 2.0 3.5 2.5 2.4 2.0 > 200
4 0.5 1.0 1.2 0.8 1.0 > 200
5 2.5 3.0 1.5 2.0 1.5 > 200
6 1.0 2.0 1.0 1.5 1.0 > 200
실시예 3
쿠르쿠미노이드 유사체 합성
이 실시예에 따라, 쿠르쿠미노이드 및 쿠르쿠미노이드 유사체를 합성하였다.
디히드로- 및 테트라히드로-쿠르쿠미노이드를 도 2에 도시된 절차에 의해 합성하였다. 3-(4-히드록시페닐)프로판산, 화합물(18)을 THF/CH2Cl2(50/50) 용액 중 1.1 당량의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TMSCl(1.3 당량)로 처리하여 백색 고체로서 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침전시켰다. 반응은 수 분 이내에 완료되었고, 페놀 위치만이 보호되었다. 백색 암모늄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물로 3 회 세정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한 후,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TMS로 보호된 카르복실산, 화합물(19)을 정량적인 수율로 얻었다. 30 분 동안 염화옥살일 중에서 환류시켜 TMS로 보호된 카르복실산, 화합물(19)을 상당하는 염화아실, 화합물(20)로 전환시키고, 나머지 염화옥살일을 N2 가스의 스트림 하에서 제거하였다.
4-(4-히드록시페닐)-2-부타논, 화합물(21)을 CH2Cl2 중 트리에틸아민(1.1 당량)의 존재 하에 TMSCl(1.3 당량)로 처리하여 TMS로 보호된 생성물, 화합물(22)을 얻었다. 염화암모늄 침전을 여과하고,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물로 세정하고(3x), 건조시킨 후(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화합물(22)을 정량적인 수율로 얻었다. 화합물(22)을 20 분 동안 N2 하에서 -78℃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중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LDA, THF 중 1.5 M, 1 당량)로 처리하고, THF에 용해된 TMS로 보호된 염화아실, 화합물(20)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 분 동안 -78℃에서 교반하고, 천천히 실온으로 승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급냉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에 부었다. 유기층을 물로 3 회 세정하고,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다시 세정하였다(2x).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한 후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30 분 동안 K2CO3의 존재 하에 메탄올 중에서 교반하여 TMS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용액을 2N HCl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에 부었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 회 분배하고, 유기층을 배합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한 후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의 구배 용리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화합물(9)을 얻었다. 화합물(9)을 아세토니트릴/물(90/10) 용매계를 사용하는 반분취용 HPLC를 이용하여 더 정제하여 45% 총 수율로 순수한 합성 쿠르쿠미노이드 화합물(9)을 얻었다. 유사하게, 비대칭의 합성 쿠르쿠미노이드 화합물(4)을 40% 총 수율로 제조하였다.
대칭 및 비대칭 쿠르쿠민 유사체 모두 및 관련 화합물을 도 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벤즈알데히드, 화합물(24), 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화합물(25), 2,4-펜타디온, 화합물(26) 및 붕산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용해시키고, 소량의 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 및 빙초산으로 처리하였다. 이 반응으로 3개의 생성물을 얻었는데, 디페닐기 치환된 생성물, 화합물(27)을 31% 수율로, 디히드록시페닐기 치환된 생성물, 화합물(3)을 6% 수율로, 그리고 히드록시페닐 페닐 치환된 생성물, 화합물(28)을 11% 수율로 얻었다. 반응물을 워크 업 처리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물에 분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수성층을 재차 세정한 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진공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반분취용 HPLC(75% 이소프로필 알콜/H2O 용리계)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디히드록시페닐 생성물(3)의 물리적 데이터(1H NMR)는 심황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물(3)의 것과 동일하였다.
도 4에 도시된 절차에 따라 천연 생성 화합물(6)을 합성 제조하였다. 아세톨, 화합물(29)의 알콜 작용기 및 바닐린, 화합물(31)을 THF 중 피리디늄 파라-톨루엔 설포네이트(PPTS)의 존재 하에 디히드로피란(DHP)을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피란(THP) 에테르로서 정량적인 수율로 보호하였다. 아세톨의 THP 에테르, 화합물(30)을 -78℃에서 THF 중 LDA와 반응시킨 후, 바닐린의 THP 에테르, 화합물(32)과 반응시켜 β-히드록시 케톤, 화합물(33)을 73% 수율로 얻었다. THP 에테르를 PPTS의 존재 하에 제거하자 β-히드록실기의 탈수가 일어났고 화합물(34)이 72% 수율로 얻어졌다. 화합물(34)의 페놀기를 정량적인 수율로 TMS기로 선택 보호하여 알콜, 화합물(35)을 얻었다. 4-히드록시-3-메톡시페닐 프로펜산, 화합물(36)의 페놀기를 정량적인 수율로 TMS기로 선택 보호하였다. TMS로 보호된 카르복실산, 화합물(37) 및 알콜, 화합물(35)을 실온에서 THF 중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의 존재 하에 커플링시켜 68%의 커플링된 생성물, 화합물(38)을 얻었다. THF(1/1/5) 중 아세트산/H2O의 혼합물 중에서 교반함으로써 화합물(38)의 TMS 보호기를 제거하여 소정의 생성물을 53% 수율로 얻었다. THF 중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를 사용하여 화합물(38)의 TMS기를 제거하려고 시도하자 소정의 반응 생성물이 분해되었다. 생성물의 1H NMR은 심황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6)의 것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4
베타 아밀로이드-유발 독성에 대한 쿠르쿠미노이드 합성 유사체의 억제 활성 및 항산화제 효능
이 실시예에 따라, βA 펩티드-유발 독성에 대한 합성 쿠르쿠미노이드 유사체의 억제 활성을 실시예 1에 기재된 MTT 환원 어세이에 의해 측정하였다. 합성 화합물 (1), (3), (4) 및 (9)(도 5에 도시됨)는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였다(하기 표 2). 합성 쿠르쿠미노이드 화합물 (3) 및 (4)를 더 포함하는 βA 펩티드 처리 세포의 현미경 분석은 또한 이들 화합물이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함을 입증하였다. 양성 대조군 및 화합물 (3) 및 (4)로 처리한 세포는 생활 가능한 세포의 신호인 시토졸 내에 MTT 포르마잔 과립을 유지한 반면, 음성 대조군은 활성 불가능한 세포의 신호인 광범위한 MTT 포르마잔 스파이크 과정을 보여주었다. 구조적으로 유사한 천연 생성 화합물의 경우에 그러하듯이, 천연 생성 화합물(4), 합성 쿠르쿠미노이드 화합물(4)은 최고의 보호 기능을 제공하였다. 흥미롭게도, 합성 쿠르쿠미노이드 화합물 (7), (8) 및 (10)은 세포 독성이 있었다. 페닐 고리의 4번 위치에 존재하는 히드록실기 및 이 위치에 있는 치환체의 크기는 소정의 생물학적 활성의 발현에 중요함은 명백하다. MTT 어세이의 결과를 실시예 2에 기재된 LDH 방법론에 의해 확인하였다. 합성 쿠르쿠미노이드 화합물을 도 5에 도시하였다.
합성 쿠르쿠미노이드 화합물의 DPPH 유리 라디칼의 제거능을 실시예 2에 기재된 항산화제 어세이에 따라 515 nm에서 라디칼의 광학적 밀도 변화를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화합물 1 및 3만이 유의적인 항산화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하기 표 2).
PC12 및 IMR32에 있어서 βA 펩티드-유발 독성에 대한 합성 쿠르쿠미노이드의 억제 활성 및 화합물의 항산화제 활성
화합물 항 βA 펩티드(25-35) ED50(㎍/㎖) PC12 항 βA 펩티드(1-42) ED50(㎍/㎖) PC12 항 βA 펩티드(25-35) ED50(㎍/㎖) IMR32 항 βA 펩티드(1-42) ED50(㎍/㎖) IMR32 항산화제 IC50(㎍/㎖)
1 5.5 6.0 6.0 6.0 28.5
3 3.0 4.5 3.0 3.5 32.6
4 0.5 1.0 1.5 2.0 > 200
7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 200
8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 200
9 10.0 9.0 12.0 11.0 > 200
10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 200
실시예 5
베타 아밀로이드-유발 독성 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생강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단리 및 확인
이 실시예에 따라,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천연 생성 화합물을 생물학적 분석에 따른 분할 계획에 의해 생강으로부터 단리하였다. 요약하면, 분쇄된 생강을 90% 메탄올로 밤새 추출하고(2x), 용매를 35℃에서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석유 에테르/물, 디클로로메탄/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물 사이에 연속적으로 분배하였다. 진공 하에서 35℃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βA 펩티드-유발 세포 독성에 대한 억제 활성을 25, 5.0 및 1.0 βg/㎖에서 PC12, IMR32 및 HUVEC 세포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분으로부터의 잔류물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활성 성분을 다양한 수지(Amberchrom 비이온성 수지 및 실리카 겔)를 이용하는 일련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반분취용 HPLC 역상 분리(이소프로필 알콜/물 또는 아세토니트릴/물 용매계)에 의해 활성 분획의 잔류물로부터 단리하였다. 4개의 쇼가올에 대해, 천연 생성 화합물 (11), (12), (13) 및 (14)(도 6에 도시됨)를 생강으로부터 단리하고, 이들의 구조를 NMR(1-D 및 2-D 1H, 13C, APT, HMBC) 및 질량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여 밝혔다.
실시예 6
베타 아밀로이드 독성에 대한 생강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억제 활성
이 실시예에 따라, βA 펩티드-유발 독성에 대한 천연 생성 화합물 (11), (12), (13) 및 (14)(도 6에 도시됨)의 억제 활성을 실시예 1에 기재된 MTT 환원 어세이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들 천연 생성 화합물은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PC12, IMR32 및 HUVEC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표 2). MTT 어세이의 결과를 실시예 2에 기재된 LDH 방법론에 의해 확인하였다.
천연 생성 화합물 (11), (12), (13) 및 (14)의 DPPH 유리 라디칼의 제거능을 실시예 2에 기재된 항산화제 어세이에 따라 515 nm에서 라디칼의 광학적 밀도 변화를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화합물 중 어느 것도 유의적인 항산화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C12, IMR32 및 HUVEC 세포에 있어서 βA 펩티드-유발 독성에 대한 생강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억제 활성 및 화합물의 항산화제 활성
화합물 항 βA 펩티드(25-35) ED50(㎍/㎖) PC12 항 βA 펩티드(1-42) ED50(㎍/㎖) PC12 항 βA 펩티드(25-35) ED50(㎍/㎖) IMR32 항 βA 펩티드(25-35) ED50(㎍/㎖) HUVEC 항 βA 펩티드(1-42) ED50(㎍/㎖) HUVEC 항산화제 IC50(㎍/㎖)
11 15 12 15 20 20 > 200
12 9.0 10 8.0 20 18 > 200
13 3.0 4.0 2.0 8.0 8.0 > 200
14 2.0 2.0 1.5 4.0 5.0 > 200
실시예 7
쇼가올 유사체 합성
이 실시예에 따라, 쇼가올 및 이의 유사체를 100 mg 규모로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진저론을 상당하는 O-트리메틸실릴 에테르로 전환시키고,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또는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LDA)로 탈양성자화한 후 위치 선택적 아돌 축합에 의해 진저론으로부터 진저롤을 합성하였다. 쇼가올은 5-히드록시기를 제거하여 생기는 4,5-이중 결합을 갖는 진저롤 유사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닐린, 화합물(31)의 페놀기를 THP 에테르(DHP/PPTS/CH2Cl2)로서 보호하여 화합물(32)을 얻고, THF 중 NaBH4를 사용하여 화합물(32)의 알데히드기를 알콜로 환원시킨 후 화합물(39)을 얻었다. 생성된 알콜, 화합물(39)을 메실화시킨 후(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트리에틸아민/THF), N2 하에서 -78℃에서 제자리 생성된 리튬 아세토나이드(아세톤/LDA/THF/-78℃)와 반응시켜 화합물(41)을 얻었다. 화합물(41)을 N2 하에서 THF 중에서 -78℃에서 LDA와 반응시켜 리튬 에놀레이트를 생성시킨 후, 이를 옥틸 알데히드와 반응시켜 β-히드록시 케톤, 화합물(42)을 얻었다. THP 에테르 보호기를 제거하기 위해 50℃에서 에탄올 중 PPTS로 처리하는 동안 탈수가 일어나 [9]-쇼가올, 화합물(13)을 얻었는데, 이는 생강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13)과 동일하였다(총 수율 3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닐린, 화합물(31)의 페놀기를 THP 에테르(DHP/PPTS/CH2Cl2)로서 보호하여 화합물(32)을 얻고, THF 중 NaBH4를 사용하여 화합물(32)의 알데히드기를 알콜로 환원시킨 후 화합물(39)을 얻었다. 생성된 알콜, 화합물(39)을 메실화시킨 후(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트리에틸아민/THF), N2 하에서 -78℃에서 제자리 생성된 리튬 2-운데카노나이드, 화합물(44)(2-운데카논/LDA/THF/-78℃)과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에탄올 중 PPTS로 추가 처리하여 THP 에테르 보호기를 제거하여 [9]-디히드로쇼가올, 화합물(45)을 얻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4-히드록시-페닐)-2-부타논, 화합물(46) 상의 페놀기를 TMS 에테르(TMSCl/트리에틸아민/THF)로서 보호하였다. 생성된 케톤, 화합물(47)을 N2 하에서 -78℃에서 LDA와 반응시켜 리튬 에놀레이트를 생성시키고, 이를 옥틸 알데히드 화합물(48)과 반응시켜 β-히드록시 케톤, 화합물(49)을 얻었다. 실온에서 메탄올 중에서 NaHCO3과 함께 교반하여 TMS기를 제거하였다. 실온에서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 HCl(1 N)로 추가 처리하여 β-히드록시기를 탈수시켜 [9]-디메톡시쇼가올, 화합물(50)을 얻었다.
실시예 8
베타 아밀로이드-유발 독성 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은행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단리 및 확인
이 실시예에 따라, 새로 분쇄한 신선한 은행(1 ㎏)을 메탄올로 추출하고(2 x 2000 ㎖),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및 부탄올로 연속적으로 분배하였다. 석유 에테르 및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은 ED50 = 10 ㎍/㎖에서 βA 펩티드(25-35) 유도된 세포 독성으로부터 PC12 및 HUVEC 세포를 보호하였다. 활성 성분을 다양한 수지(Amberchrom 비이온성 수지 및 실리카 겔)를 이용하는 일련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반분취용 HPLC 역상 분리(이소프로필 알콜/물 또는 아세토니트릴/물 용매계)에 의해 활성 분획의 잔류물로부터 단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를 1H, 13C, HMBC 및 ATP를 포함하는 1-D 및 2-D 기술을 이용하여 밝혔다. 이중 결합의 cis 배좌가 1H NMR 스펙트럼에 명백하게 나타나 있었다. 이중 결합을 산 작용기로 산화 분할(KMnO4 산화)하고 질량 스펙트럼 분열 패턴(EI 70 eV)을 관찰하여 이중 결합의 위치를 밝혔다. 2개의 화합물 (15) 및 (16)은 깅콜산(ginkgolic acid) 구조를 가졌으며, 이들을 도 10에 도시하였다. 이들 화합물을 은행잎으로부터 이미 단리하였다. 문헌[Jaggy et al., Pharmazie 52, 735 (1997)] 참조.
실시예 9
베타 아밀로이드 독성에 대한 은행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억제 활성
이 실시예에 따라, βA 펩티드-유발 독성에 대한 은행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MTT 환원 어세이에 의해 측정하였다. 항산화제 특성을 갖지 않는 2개의 은행에서 유도된 천연 생성 화합물, 화합물 (15) 및 (16)이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PC12, IMR32 및 HUVEC 세포를 보호함이 밝혀졌다. MTT 어세이의 결과를 실시예 2에 기재된 하기 LDH 방법론에 의해 확인하였다. 이 실시예는 또한 징코라이드 A, B 및 C, (-)-빌로발라이드 및 케르세틴이 종래 기술에서 주장된 바와 같이 βA 펩티드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지 않음을 시사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PC12, IMR32 및 HUVEC 세포에 있어서 β-손상에 대한 깅콜산 1 및 2, 징코라이드 A, 징코라이드 B, 징코라이드 C, (-)-빌로발라이드 및 케르세틴의 억제 활성
화합물 항 βA 펩티드(25-35) ED50(㎍/㎖) PC12 항 βA 펩티드(1-42) ED50(㎍/㎖) PC12 항 βA 펩티드(25-35) ED50(㎍/㎖) IMR32 항 βA 펩티드(1-42) ED50(㎍/㎖) IMR32 항 βA 펩티드(25-35) ED50(㎍/㎖) HUVEC 항 βA 펩티드 (1-42) ED50(㎍/㎖) HUVEC
15 3.0 2.0 3.5 2.5 5.0 1.5
16 2.0 1.0 2.0 1.0 2.5 1.0
징코라이드 A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징코라이드 B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징코라이드 C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빌로발라이드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독성 있음
케르세틴 > 20 > 20 > 20 > 20 > 20 > 20
실시예 10
깅콜산 합성 제안
이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깅콜산 합성을 제안하였다. 벤조산, 화합물(60) 및 말단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알킨, R을 디이소프로필 아민 및 요오드화구리(I)의 존재 하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으로 처리하여 알킨 치환된 벤조산, 화합물(61)을 얻었다. 화합물(61)을 THF 중 LDA로 처리하고, 온도를 -78℃로 낮춘 후, 반응 혼합물을 옥소디퍼옥시몰리브덴(피리딘)-(헥사메틸포스포릭 트리아미드)(MoOPh)로 처리하여 히드록시 작용화 생성물, 화합물(62)을 얻었다. 그 다음 화합물(62)을 팔라듐/탄소 촉매 상에서 수소 가스와 반응시키고, 아세트산으로 처리하여 소정의 깅콜산 생성물, 화합물(63)을 얻었다.
실시예 11
대조 연구
대조 연구로서, 비타민 A, β-카로틴, 비타민 C 및 비타민 E에 대해 항 βA 펩티드(25-35) 및 항 βA 펩티드(l-42) 활성 모두를 시험하였다. 이들 비타민은 AD의 발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제안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이들 비타민과 비교하였다. 실험 조건 하에서, 이들 비타민은 200 ㎍/㎖에서도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PC12 세포를 보호하지 않았다. PC12 세포에 대해 βA 펩티드 피브릴에서 유도된 독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콩고 레드도 시험하였다. 고농도의 콩고 레드(> 25 ㎍/㎖)에서, 염료가 진한 적색이기 때문에 MTT 환원 어세이를 이용하는 세포 생존성 평가로부터의 데이터는 신뢰성이 높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연 생성 화합물 (1), (2), (3) 및 (4) 및 천연 생성 화합물 (11), (12), (13) 및 (14)(ED50 = 20.0-0.5 ㎍/㎖)가 이들 비타민 및 다른 제제에 비해 βA 펩티드 손상에 대해 PC12 세포를 보호하는 데 20-40 배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12
환원된 글루타티온 보조 βA 펩티드 독성 억제 어세이
이 실시예에 따라, 환원된 글루타티온과 함께 투여시 항산화제 효능이 증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평가하였다. 에스트로겐과 세포내 항산화제, 환원된 글루타티온(GSH) 사이의 시너지 상호 작용이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뉴런을 보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문헌[Barkats et al., J Neurochem 75, 1438 (2000) 및 Muller et al., J Neurochem 68, 2371 (1997)]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PC12 세포를 사용하여 이 기전의 관련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GSH의 용량은, 뇌척수액에서 발견되고 Green 등이 사용한 저 마이크로몰 GSH(3.25 μM) 농도와 유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βA 펩티드-유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능력이 화합물의 항산화 효능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라면, GSH와 동시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시 화합물의 ED50 및 IC50 값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가정하였다. 실험 조건 하에서, GSH는 화합물의 βA 펩티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화합물의 항산화제 효능을 증강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화합물의 혈액 뇌 장벽 통과능의 측정
이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혈액 뇌 장벽 통과능을 측정하였다. 혈액 뇌 장벽을 횡단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물과 옥탄 알콜 사이에서의 본 발명의 분자의 분배 계수의 로그(P)로 표시한다. 천연 생성 화합물 (1) 및 (3)은 각각 3.4 및 3.1의 로그 P 값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옥탄 알콜 분획은 물 분획보다 1000 배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이 결과는 화합물이 혈액 뇌 장벽을 횡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헌[Hau et al., Regul Toxicol Pharmacol 35, 273 (2002) 및 Salminen et al., J Pharm Biomed Anal 15, 469 (1997)] 참조.
본 발명을 이의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고로 하여 상당히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따라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바람직한 구체예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1)

  1.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으로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 (a) 항-βA 펩티드 활성을 갖는 천연 또는 합성 심황 화합물; (b) 항-βA 펩티드 활성을 갖는 천연 또는 합성 징코 빌로바 화합물; (c) 항-βA 펩티드 활성을 갖는 천연 또는 활성 생강 화합물; (d) 항-βA 펩티드 활성을 갖는 천연 또는 합성 샐비어 화합물; 및 (e) 항-βA 펩티드 활성을 갖는 천연 또는 합성 로즈마리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 (a)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b) 하기 화학식(Ⅱ)의 화합물, 및 (c) 하기 화학식(Ⅲ)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7
    (I)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8
    (Ⅱ)
    Figure 112008003434556-PCT00049
    (Ⅲ)
    상기 식 중,
    점선 배열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0
    은 임의로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고;
    Z는 등전자 변화를 나타내며, 여기서 Z는 O, S, NH, NR60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R1은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I이고, m은 1~3이며;
    R2는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I이고, m은 1~3이며;
    R3는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I이고, m은 1~3이며;
    R4는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I이고, m은 1~3이며;
    R5는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I이고, m은 1~3이며;
    R6는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O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I이고, m은 1~3이며;
    R7은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X는 F, Cl, Br, I이며, m은 1~3이며;
    R8은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I이고, m은 1~3이며;
    R9은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X는 F, Cl, Br, I이고, m은 1~3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질환은 망막 세포에 대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로 유발된 세포독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질환은 노인성 황반변성(AMD) 및 녹내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 하기 화학식(Ⅳ)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1
    (Ⅳ)
    상기 식 중, R은 고급 알킬, 고급 알케닐 및 고급 알키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6. 제6항에 있어서,
    R은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2
    이고, n은 1-7이며, 점선은 임의로 단일 결합,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거나, R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3
    ,
    R은 또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4
    ,
    y는 1-9이고, 또는 R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5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6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 하기 화학식(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7
    (V)
    상기 식 중,
    점선 배열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8
    은 임의로 단일 결합,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고,
    R10은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X는 F, Cl, Br, I이며, m은 1~3이고;
    R11은 H, OH, OMe, CXm, F, Cl, Br, I 및 OR5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50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X는 F, Cl, Br, I이며, m은 1~3이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59
    ,
    y는 1-9이며, 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0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 이며,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1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 하기 화학식(Ⅵ)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2
    (Ⅵ)
    상기 식 중,
    점선 배열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3
    은 임의로 단일 결합,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이고,
    R13은 OH, OMe, OR' 및 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X는 F, Cl, Br 또는 I이며;
    R14은 H, OH, OMe 및 O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며;
    R15은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4
    ,
    y는 1-9이고, 또는 R15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1 이상의 이중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지며: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5
    ,
    상기 식 중, 점선 배열은 임의로 단일 결합(cis 또는 trans) 또는 삼중 결합이며, 여기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기는 에테르 및/또는 티오에테르 또는 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6
    상기 식 중, z는 O, S, NRn이고, 여기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이며; n은 1 또는 2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 (a) 하기 화학식(Ⅶ)의 화합물, (b) 하기 화학식(Ⅷ)의 화합물, 및 (c) 하기 화학식(Ⅸ)의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7
    (Ⅶ)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8
    (Ⅷ)
    Figure 112008003434556-PCT00069
    (Ⅸ)
  10.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a) 내지 (e) 군 중 1 이상으로부터의, 항-βA 펩티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콜린성 제제, 경구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알파-2 아드레날린 작용제, 프로스타글란딘 작용제, 카로테노이드, 루테인 및 제아잔틴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087001203A 2005-06-15 2006-06-14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KR20080041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081205P 2005-06-15 2005-06-15
US60/690,812 2005-06-15
US73979705P 2005-11-23 2005-11-23
US60/739,797 2005-11-23
US11/287,080 US7728043B2 (en) 1999-10-22 2005-11-23 Methods for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ocular disease
US11/287,080 2005-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624A true KR20080041624A (ko) 2008-05-13

Family

ID=375707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203A KR20080041624A (ko) 2005-06-15 2006-06-14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KR1020087001207A KR20080041625A (ko) 2005-06-15 2006-06-14 세이지 및 로즈마리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유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유용한 상승 작용성 약학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207A KR20080041625A (ko) 2005-06-15 2006-06-14 세이지 및 로즈마리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유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유용한 상승 작용성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03641A1 (ko)
EP (1) EP1896005A4 (ko)
KR (2) KR20080041624A (ko)
CA (1) CA2611489A1 (ko)
WO (1) WO2006138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227397A1 (en) * 2006-03-17 2007-09-27 Herbalscience Singapore Pte. Ltd. Extracts and methods comprising curcuma species
WO2008042755A2 (en) 2006-09-29 2008-04-10 Cognition Therapeutics, Inc. Inhibitors of cognitive decline
EP2288362A4 (en) * 2008-04-19 2012-05-02 Nisarga Biotech Pvt Ltd PLANT-BASED COMPOSITION FOR DECREASING ADD / L ADHD, AND METHOD THEREOF
WO2010045395A2 (en) * 2008-10-14 2010-04-22 Danyang Chen Curcumin analog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9844521B2 (en) * 2008-11-19 2017-12-19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ginger extract or shogaol
ES2545795T3 (es) 2009-04-09 2015-09-15 Cognition Therapeutics, Inc. Inhibidores del deterioro cognitivo
SG178191A1 (en) 2009-07-31 2012-03-29 Cognition Therapeutics Inc Inhibitors of cognitive decline
EP2670402B1 (en) 2011-02-02 2017-09-20 Cognition Therapeutics, Inc. Isolated compounds from turmeric oil and methods of use
EP2863929B1 (en) 2012-06-22 2016-07-20 Nestec S.A. Probiotic and polyphenol against neurodegeneration
NZ722599A (en) 2014-01-31 2022-05-27 Cognition Therapeutics Inc Isoindoli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CN108143738A (zh) * 2016-12-02 2018-06-1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治疗阿尔茨海默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AU2018269964B2 (en) 2017-05-15 2022-07-07 Cognition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MX2020009241A (es) 2018-03-09 2020-10-12 Unilever Ip Holdings B V Composicion antioxidante.
WO2021242044A1 (ko) * 2020-05-28 2021-12-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히비스커스, 로즈마리, 및 포도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747A (ja) * 1988-08-12 1990-02-20 Kobe Steel Ltd 抗酸化剤
KR940002795B1 (ko) * 1989-06-16 1994-04-02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은행잎에서 징코라이드를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DE4137540A1 (de) * 1991-11-14 1993-05-19 Steigerwald Arzneimittelwerk Verwendung von praeparaten der curcuma-pflanzen
US5587358A (en) * 1994-05-09 1996-12-24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otentiators of antimicrobial activity
AU2300001A (en) 1999-10-22 2001-05-08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ful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disease
US6887898B1 (en) 1999-10-22 2005-05-03 Darrick S. H. L. Ki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ful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disease
US20040101578A1 (en) * 2001-08-03 2004-05-27 Min-Young Kim Compositon containg ginkgo biloba that inhibit angiogenesis and matrix metalloprotin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6005A1 (en) 2008-03-12
WO2006138349A1 (en) 2006-12-28
EP1896005A4 (en) 2009-11-11
US20070003641A1 (en) 2007-01-04
CA2611489A1 (en) 2006-12-28
KR20080041625A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624A (ko)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유발 안질환의 치료 방법
US728252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ful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disease
US7728043B2 (en) Methods for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ocular disease
Lewis et al. 4 anti-ulcer drugs of plant origin
CA2686468C (en) Polyhydroxylated aromat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myloidosis
Alasbahi et al. Plectranthus barbatus: a review of phytochemistry, ethnobotanical uses and pharmacology–part 2
Liang et al. Brazilein from Caesalpinia sappan L. antioxidant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nduces apoptosis through Caspase‐3 activity and anthelmintic activities against Hymenolepis nana and Anisakis simplex
Wang et al. In vitro and in vivo comparisons of the effects of the fruiting body and mycelium of Antrodia camphorata against amyloid β-protein-induced neurotoxicity and memory impairment
WO2001030335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ful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disease
KR100336182B1 (ko)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당귀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668135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которая содержит,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смешанный экстракт коры корня пиона полукустарникового, корня дудника даурского и корня володушки или его фракцию
EP1895849A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beta-amyloid protein-induced ocular disease
Bhadada et al. Effect of flavonoid rich fraction of Tephrosia purpurea (Linn.) Pers. on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treptozotocin-induced type I diabetes mellitus
Shenoy et al. Antibacterial and wound healing activity of the leaves of Annona squamosa Linn.(Annonaceae)
WO2006122274A2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rhodiola crenulata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0889806B1 (ko) 사가퀴노익산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및 피부암의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361090B1 (ko) 꾸지나무로부터 분리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플레닐레이티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주성분으로함유하는 꾸지나무 추출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EP2224938B1 (en) Extract of piper betel leaves for the treatment of human malignancies by inducing oxidative stress
KR20020084336A (ko) 커큐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588477B1 (ko)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38707A (ko)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증진용 조성물
KR20130044256A (ko) 백지 추출물 또는 임페레이토린을 함유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완화 또는 미토콘드리아 기능개선용 조성물
Peace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rude ethanol extract of Combretum zenkeri Engl. & Diels leaves
HASAN PHARMACOLOGICAL SCREENING OF ALOE BARBADENSIS AND OTHER ALOE SPECIES
Karthikeyan Evalu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rbal extract of Halodule uninervis and its anti diabetic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