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998A - 냉장고도어 제빙실 - Google Patents

냉장고도어 제빙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998A
KR20080040998A KR1020060109047A KR20060109047A KR20080040998A KR 20080040998 A KR20080040998 A KR 20080040998A KR 1020060109047 A KR1020060109047 A KR 1020060109047A KR 20060109047 A KR20060109047 A KR 20060109047A KR 20080040998 A KR20080040998 A KR 2008004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ice
inner space
air inle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998A/ko
Priority to PCT/KR2007/005486 priority patent/WO2008054152A1/en
Priority to CN200780040461XA priority patent/CN101529175B/zh
Priority to US12/513,289 priority patent/US20100011796A1/en
Publication of KR2008004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도어 제빙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실 도어(45)의 이면에 구비되고 일측에 냉기가 입출되는 냉기입출공(70)이 형성된 내부공간(65)이 구비되는 케이싱(63)과, 상기 케이싱(63)의 개구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빙실 도어(67)와, 상기 케이싱(63)의 내부공간(65)에 구비되고 얼음을 제빙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이빙시키는 제빙어셈블리(80)와, 상기 냉기입출공(70)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관통되어 있는 몸체부(91)와 상기 몸체부(91)를 상기 내부공간(65)의 체결공(71h,73h)에 체결하는 체결부(9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기입출공 덮개(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냉기입출공 덮개에 의해 냉기입출공이 부분적으로 차폐되어 제빙실 내부가 정돈되게 보이고, 냉기입출공 덮개에 의해 냉기입출공의 내부로 이물질이 적게 침투하여 냉기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좋아지므로 제빙실의 냉기효율이 상승되며, 유도루버의 각도를 조정하여 냉기의 유입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제빙실의 제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빙실, 제빙어셈블리, 냉기입출공 덮개

Description

냉장고도어 제빙실{Freezing Room on a Refrigerating Do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의 내부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에 장착되는 냉기입출공 덮개의 외관을 보인 부분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제빙실 61: 도어 플레이트
63: 케이싱 65: 내부공간
67: 제빙실 도어 71: 흡입공
73: 토출공 81: 서포트 플레이트
83: 제빙기 85: 아이스뱅크
89: 이빙기 90,: 냉기입출공 덮개
91: 몸체부 95: 유도루버
97: 관통슬릿 99: 체결부
본 발명은 냉장고도어 제빙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 일측에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냉장고도어 제빙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본체(1)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본체(1)는 냉장실(3)과 냉동실(5)로 구획된다. 상기 냉장실(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본체(1)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5)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5)은 전면이 개구되어 냉장실 도어(7)와 냉동실 도어(9)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7)는 상기 냉장고본체(1)의 좌우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9)의 하단은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바스켓(11)의 하단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바스켓(11)은 상기 냉동실 도어(9)와 함께 연동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9)의 개폐에 따라 상기 냉동실(5)의 내부를 슬라이딩하며 입출한다.
상기 냉동실(5)의 개구된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별도의 냉동실증발기(13)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증발기(13)는 냉매와 상기 냉동실증발기(13) 외측의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5)로 유입되어 상기 냉동실(5) 내부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상기 냉동실증발기(13)에서 발생된 냉기는 상기 냉기덕트(15)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실(20)로 유입되며, 상기 냉기덕트(15)의 일단에는 냉기전달공(15')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전달공(15')과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공(27) 및 토출공(29)을 통해 냉기가 이동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7)의 일측에는 제빙실(20)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20)이 구비된 상기 냉장실 도어(7)는 도어플레이트(21)에 의해 외관이 구성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7)의 내측은 도어라이너(23)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라이너(23)의 일면은 내부로 요입되어 내부공간(23')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23')은 제빙실 도어(2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내부공간(23')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포트 플레이트와 제빙기와 아이스뱅크가 안착된다.
상기 내부공간(23')에서 냉장고 본체(1)의 측면과 접한 일면에는 흡입공(27) 및 토출공(29)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27)은 상기 냉동실증발기(13)에서 발생된 냉기가 냉기덕트(15)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23')으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상기 흡입공(27)은 상기 냉기전달공(15')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공(29)은 상기 흡입공(27)을 통해 유입된 냉기가 상기 내부공간(23')을 순환한 뒤 상기 냉기전달공(15')으로 다시 토출되기 위한 통로이다. 상기 토출공(29)을 통해 토출된 냉기는 상기 냉기덕트(15)를 통해 다시 냉동실증발 기(13)로 유입된다.
상기 내부공간(23')의 하면에는 얼음취출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얼음취출구(31)는 상기 제빙실(20)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홈바(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기 위한 통로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빙실(20)의 내부공간(23')으로 입출되는 냉기는 흡입공(27)과 토출공(29)을 통해 이동된다. 상기 내부공간(23')의 일면이 내외부로 관통되어 상기 흡입공(27)과 토출공(29)이 형성되므로 상기 흡입공(27) 및 토출공(29)의 내부가 그대로 외부에 드러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23')에서 흡입공(27)과 토출공(29)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제빙실(20)의 사용도중 발생하는 이물질이 상기 흡입공(27) 및 토출공(29)의 내부로 유입되어 흡입공(27)과 토출공(29)을 통해 이동하는 냉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23')으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덕트(15)에 의해 안내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23')의 내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23')으로 유입되는 냉기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 적은 흡입공 및 토출공의 내부가 그대로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실 사용시 발생하는 이물질이 흡입공 및 토출공의 내부로 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빙실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이면에 구비되고 일측에 냉기가 입출되는 냉기입출공이 형성된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빙실 도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얼음을 제빙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이빙시키는 제빙어셈블리와; 상기 냉기입출공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냉기입출공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는 일면이 부분적으로 관통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냉기가 입출되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내부공간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관통된 부분에는 다수개의 유도루버가 냉기의 흐름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도루버사이에는 냉기가 통과하는 관통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걸이와; 상기 체결걸이와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에 의하면, 냉기입출공 덮개에 의해 냉기입출공이 부분적으로 차폐되어 제빙실 내부가 정돈되게 보이고, 냉기입출공 덮개에 의해 냉기입출공의 내부로 이물질이 적게 침투하여 냉기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좋아지므로 제빙실의 냉기효율이 상승되고, 유도루버의 각도를 조정하여 냉기의 유입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제빙실의 제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40)의 내부는 상하부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고본체(40)의 상부에는 냉장실(41)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43)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41)과 냉동실(43)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바스켓과 선반 및 서랍들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41)의 전면은 개구되며 상기 냉장실(41)의 개구된 일면은 냉장실 도어(45)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45)는 상기 냉장고본체(40)의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45)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냉장실 도어(45)에는 정수된 물과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47)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45)의 일측에는 내부의 온도조절과 상태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와 조 작버튼이 구비된 조작부(49)가 더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41)의 하부에는 상기 냉장실(41)과 별도로 구획되어 냉동실(43)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43)의 전면도 개구되어 상기 냉동실(43)의 개구된 일면은 냉동실 도어(51)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51)의 하단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박스(53)의 하단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저장박스(53)는 상기 냉동실 도어(51)와 연동되어 상기 냉동실(43)의 내외부로 슬라이딩하며 입출된다.
상기 냉동실(43)의 개구된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냉동실증발기(55)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증발기(55)는 냉기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냉기는 상기 냉동실(43)의 내부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 의해 발생된 냉기 중 일부는 냉기덕트(57)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실(60)로 유입된다. 상기 냉동실(43)의 일측에는 냉기공급팬(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 의해 발생된 냉기가 상기 냉기공급팬에 의해 냉기덕트(57)를 통해 상기 제빙실(60) 내부로 강제유입된다.
상기 냉기덕트(57)는 상기 냉장고본체(40)를 구성하는 단열층 내부를 통과한다. 상기 냉기덕트(57)가 냉장고본체(40)의 단열층 내부를 통과함에 의해 주위와의 열교환이 차단된다. 상기 냉기덕트(57)는 2개가 구비되며 각각은 냉기의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냉기덕트(57)에서 상기 냉장실(41)의 일측면과 접하는 일단에는 냉기이동공(59)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덕트(57)를 통해 이동하는 냉기는 상기 냉기이동 공(59)을 통과하여 상기 제빙실(60) 내부로 입출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45) 중 상기 디스펜서(47)가 설치된 냉장실 도어(45)의 내측에는 제빙실(60)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60)은 냉동실(43)이 상대적으로 하방에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45)에 제빙실(60)을 구비하여 얼음을 취출하기 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45)의 외관은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 도어플레이트(61)로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45)의 배면은 합성수지 재질의 도어라이너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라이너의 일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어셈블리(80)가 안착될 케이싱(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63)은 도어라이너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63)의 일부분은 요입되어 내부공간(65)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65)에는 상기 제빙어셈블리(80)가 안착된다. 상기 내부공간(65)의 바닥면에는 내외부로 관통되어 취출구(65')가 형성된다. 상기 취출구(65')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어셈블리(80)에 의해 제빙된 얼음이 외부로 취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케이싱(63)의 일면은 개구되며 상기 케이싱(63)의 개구된 일면은 제빙실 도어(67)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내부공간(65)에서 상기 냉장실(41)의 측면과 접하는 일측면에는 내외부로 관통된 냉기입출공(70)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입출공(70)은 흡입공(71)과 토출공(73)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공(71)과 토출공(73)은 상기 냉장실 도어(45)가 닫혔을때 상기 냉동실증발기(55)와 연결된 냉기이동공(59)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 의해 발생된 냉기는 상기 흡입공(71)을 통해 내부공 간(65)으로 흡입되며, 상기 내부공간(65)을 순환한 냉기는 상기 토출공(73)을 통해 상기 냉동실증발기(55)쪽으로 토출된다.
상기 내부공간(65)에서 상기 흡입공(71)이 형성된 일면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65)의 일면에서 내부로 단차지게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냉기입출공 덮개(90)가 안착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에는 체결공(71h)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71h)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걸이(99b)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공(71h)은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65)에서 상기 토출공(73)이 형성된 일면에도 단차지게 형성된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3')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3')에도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가 안착되고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3')에도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걸이(99b)가 삽입되는 체결공(73h)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65)에는 제빙어셈블리(80)가 안착된다. 상기 제빙어셈블리(80)는 상기 냉동실증발기(55)로부터 유입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제빙어셈블리(80)에는 서포트 플레이트(81)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상기 제빙어셈블리(8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65)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45)의 전면방향에 위치한 일면에 세워져서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일단은 상기 내부공간(65)의 개구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부(8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81')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로 체 결되어 상기 내부공간(65)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81')에 의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상기 내부공간(65)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81')의 일면에는 상기 취출구(65')의 위치에 대응되게 통공(81h)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상부에는 제빙기(83)가 장착되며 상기 제빙기(83)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제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하부에는 아이스뱅크(85)가 장착되며, 상기 아이스뱅크(85)는 상기 제빙기(83)에 의해 제빙된 얼음을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외부로 취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빙기(83)와 상기 아이스뱅크(85)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5)는 상기 제빙기(83)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케이스(87)와 상기 저장케이스(87)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취출구(65')로 취출시키는 이빙기(89)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케이스(87)는 상기 제빙기(83)에서 저장되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기(83)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65)에 안착되도록 상기 내부공간(65)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상기 저장케이스(87)는 청소 또는 서비스를 위해 내부가 완전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본체(87a)와 상기 케이스본체(87a)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커버(87b)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87a)의 하부에는 이빙기(89)가 구비된다. 상기 이빙기(89)는 상기 제빙기(83)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상기 취출구(65')로 이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빙기(89)는 상기 저장케이스(87)에 저장된 얼음을 보다 용이하게 상 기 취출구(65')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케이스(87)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된다.
상기 이빙기(89)는 상기 저장케이스(87)에 저장된 얼음을 일정한 개수만큼 상기 취출구(65')로 안내하기 위해서 스탭모터와 같은 회전구동장치가 사용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이빙기(89)는 상기 저장케이스(87)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기입출공(70)에는 냉기입출공 덮개(9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는 상기 흡입공(71) 및 토출공(73)에 형성되는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73')에 안착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에는 상기 냉기입출공(7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몸체부(91)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91)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유도루버(9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71)에 구비된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의 유도루버(9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65)으로 흡입되는 냉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토출공(73)에 구비된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의 유도루버(95)는 상기 내부공간(65)의 외부로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하방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가 상기 토출공(73)에 체결될 때 180°회전하여 체결되기 때문이다.
상기 유도루버(95)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관통슬 릿(97)을 통해 유입되는 냉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유도루버(95)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냉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공(71)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65)으로 흡입되는 냉기는 상기 유도루버(95)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내부공간(65)으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공(73)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65)의 외부로 토출되는 냉기도 상기 유도루버(95)에 의해 안내되어 토출된다.
상기 유도루버(95)의 선단에는 내외부가 관통된 관통슬릿(9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릿(97)을 통해 냉기가 상기 내부공간(65)으로 흡입된다.
상기 몸체부(91)에서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73')에 안착되는 일면에는 체결부(99)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99)는 상기 체결공(71h,73h')에 체결되므로 상기 체결공(71h,73h')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몸체부(91)의 일면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99)에는 상기 몸체부(9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편(99a)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편(99a)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공(71h,73h')에 걸어지도록 형성된 체결걸이(99b)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걸이(99b)가 상기 체결공(71h,73h')에 삽입되어 걸어져서 상기 몸체부(91)가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73')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99)도 상기 체결공(71h,73h)에 대응되게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어셈블리(80)는 상기 내부공간(65)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65)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 빙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의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빙어셈블리(80)를 내부공간(65)에 장착하기 전에 먼저 냉기입출공 덮개(90)를 상기 내부공간(65)의 냉기입출공(70)에 체결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를 흡입공(71) 및 토출공(73)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흡입공(71)과 토출공(73)을 통과하는 냉기의 흐름이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흡입공(71)에 체결되는 냉기입출공 덮개(90)의 장착각도에 대해 180°회전한 각도로 상기 토출공(73)에 장착해야 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에 구비된 체결부(99)를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73')에 형성된 체결공(71h,73h)에 삽입한다. 상기 체결부(99)의 체결걸이(99b)는 상기 체결공(71h,73h)에 걸어지면서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가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안착단(71',73')에 고정된다.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가 상기 내부공간(65)에 장착되면 제빙기(83)와 아이스뱅크(85)를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지정된 위치에 장착하고 상기 제빙기(83)와 아이스뱅크(85)가 장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제빙어셈블리(80)를 상기 내부공간(65)의 내측에 안착시킨다.
상기 내부공간(65)에 안착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를 상기 내부공간(65) 내측으로 밀어넣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상기 내부공간(65)의 저면과 측면 일부와 밀착되도록 장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81')를 상기 내부공간(65)의 저면에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시킨다.
상기 제빙어셈블리(80)와 냉기입출공 덮개(90)가 상기 내부공간(65)에 장착되면 상기 내부공간(65)의 일측단에 제빙실 도어(67)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장고본체(40)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냉장고본체(40) 내부의 전기장치와 부품들이 작동한다. 이러한 전기장치와 부품들의 작동으로 상기 냉장고본체(40) 내부의 증발기 내부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냉장실(41)과 냉동실(43)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냉장실(41) 및 냉동실(43)의 온도를 음식물의 저장에 필요한 적절한 온도까지 낮추게 된다.
상기 냉동실(43)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냉동실증발기(55)에서 발생된 냉기 중 일부는 냉기덕트(57)를 따라서 냉기이동공(59)을 통해 이동한다. 상기 냉기이동공(59)과 흡입공(71)은 연통되므로 상기 냉기이동공(59)을 통과한 냉기는 상기 흡입공(71)을 통과한다. 상기 흡입공(71)을 냉기가 통과할 때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의 유도루버(95)에 의해 냉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유도되어 상기 내부공간(65)으로 유입된다.
상기 내부공간(65)으로 유입된 냉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65)을 순환한 후 상기 토출공(73)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공(73)에도 냉기입출공 덮개(90)가 구비되고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90)에 유도루버(95)가 구비되어 상기 유도루버(95)에 의해 냉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유도되어 상기 내부공 간(65)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냉기의 순환에 의해 제빙기(83)는 얼음을 제빙하며 얼음은 아이스뱅크(85)에 저장되고 상기 아이스뱅크(85)에 저장된 얼음은 이빙기(89)에 의해 취출구(65')를 통해 디스펜서(47)로 취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도어 제빙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빙실의 내부공간에는 냉기입출공 덮개가 냉기입출공을 부분적으로 차폐한다. 따라서 냉기입출공 덮개가 냉기입출공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냉기입출공의 내부를 외부에서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제빙실 내부의 외관이 정돈되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가 냉기입출공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상기 냉기입출공이 형성된 내부공간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일부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로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적게 침투하므로 이물질로 인한 냉기의 흐름이 방해되는 현상이 줄어들어 제빙실의 냉기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냉기입출공의 유도루버의 각도를 조정하여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는 냉 기의 흐름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냉기의 흐름방향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위치로 냉기를 유도함으로써 제빙실의 제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장고 도어의 이면에 구비되고 일측에 냉기가 입출되는 냉기입출공이 형성된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빙실 도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얼음을 제빙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이빙시키는 제빙어셈블리와;
    상기 냉기입출공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냉기입출공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도어 제빙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입출공 덮개는;
    일면이 부분적으로 관통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냉기가 입출되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내부공간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도어 제빙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관통된 부분에는 다수개의 유도루버가 냉기의 흐름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도루버사이에는 냉기가 통과하는 관통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도어 제빙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걸이와;
    상기 체결걸이와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도어 제빙실.
KR1020060109047A 2006-11-03 2006-11-06 냉장고도어 제빙실 KR20080040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047A KR20080040998A (ko) 2006-11-06 2006-11-06 냉장고도어 제빙실
PCT/KR2007/005486 WO2008054152A1 (en) 2006-11-03 2007-11-01 Refrigerator
CN200780040461XA CN101529175B (zh) 2006-11-03 2007-11-01 冰箱
US12/513,289 US20100011796A1 (en) 2006-11-03 2007-11-0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047A KR20080040998A (ko) 2006-11-06 2006-11-06 냉장고도어 제빙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998A true KR20080040998A (ko) 2008-05-09

Family

ID=3964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047A KR20080040998A (ko) 2006-11-03 2006-11-06 냉장고도어 제빙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9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422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138958A (ko) * 2012-06-12 2013-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422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138958A (ko) * 2012-06-12 2013-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264B1 (en) Refrigerator having centrifugal fan with volute
KR101343092B1 (ko) 냉장고도어 제빙실
US7921668B2 (en) Refrigerator having controlled ice maker and dispenser
KR101390448B1 (ko) 냉장고
KR101670086B1 (ko) 냉장고
KR100809749B1 (ko) 냉장고의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
KR102409750B1 (ko) 냉장고
US20130086936A1 (en) Refrigerator
US10775093B2 (en) Refrigerator
KR20180069638A (ko) 냉장고
KR20190013112A (ko) 냉장고
KR101132455B1 (ko) 냉장고
KR20080040998A (ko) 냉장고도어 제빙실
KR100688672B1 (ko) 냉장실도어
KR20170096326A (ko) 냉장고
KR100901033B1 (ko) 그릴팬 어셈블리
JP3863697B2 (ja) 冷却庫
KR20110136917A (ko) 냉장고
KR101694663B1 (ko) 냉장고
KR100366528B1 (ko) 냉장고의냉기순환구조
AU2021286426B2 (en) Refrigerator
KR101132481B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KR200292006Y1 (ko) 냉장고
KR101660155B1 (ko) 냉장고
KR2023002766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