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66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666A
KR20230027666A KR1020210109705A KR20210109705A KR20230027666A KR 20230027666 A KR20230027666 A KR 20230027666A KR 1020210109705 A KR1020210109705 A KR 1020210109705A KR 20210109705 A KR20210109705 A KR 20210109705A KR 20230027666 A KR20230027666 A KR 20230027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air
flow guide
front panel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석
백우경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666A/ko
Publication of KR2023002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기계실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기계실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공기가 기계실로의 재흡입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전면에 기계실 내로의 공기 흡입과 토출을 위한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빌트인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로 다양한 식품을 장시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가전 기기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보관 대상물을 냉동하여 보관하기 위한 하나 혹은, 복수의 저장실이 서로 구획되면서 제공된다. 상기한 저장실은 보관 대상물의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과, 보관 대상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냉동실 혹은, 둘 이상의 냉장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하 혹은, 좌우로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양문형 냉장고의 경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어느 한 측의 냉동실과 다른 한 측의 냉장실로 구획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주변 가구들과의 조화를 위한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써 냉장고의 설치 공간(전후 깊이와 좌우 폭 및 상하 높이)이 해당 냉장고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 공간과 냉장고의 크기가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될 경우 기계실이 하단 후방에 위치된 냉장고의 경우는 해당 기계실로 공기가 흡입 및 토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성능 저하가 야기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계실을 냉장고의 바닥에 배치하고,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은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빌트인 구조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9-0010342호(선행기술 1), 공개특허 제10--2019-0010383호(선행기술 2), 공개특허 제10-2021-0058234호(선행기술 3), 공개특허 제10-2021-0058238호(선행기술 4)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냉장고의 후벽면을 설치 공간 내의 후벽면에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전술된 선행기술 3 및 선행기술 4의 경우는 싱크대 등에 빌트인되는 소형의 특수 목적용 냉장고(예컨대, 와인 냉장고 등)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방으로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노출되더라도 디자인 문제는 적다.
이에 반해, 싱크대가 아닌 가구장에 설치되는 냉장고의 경우는 가구장과의 조화를 위해 상기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의 외부 노출이 차단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예컨대,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가구장과 같은 디자인의 전면패널을 추가로 설치하여 가구장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면서도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면패널로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의 전방을 막도록 형성된 냉장고의 경우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된 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공기 흡입구로 재흡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의 도면 2에서와 같이 기계실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패널의 하단 배면에 구획부재를 제공하여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 흡입구로 곧장 흡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구획부재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공기 토출구로 토출된 공기가 전면패널에 부딪히면서 하향 유동되는 도중 힌지조립체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면서 공기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공기 토출구와 전면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해당 공간에 잔류되면서 계속되는 공기 토출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토출구의 공기는 구획부재와 기계실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기 흡입구로 재흡입되는 현상이 여전히 발생되었다.
특히, 전술된 공기 토출의 불안정으로 충분한 량의 공기 토출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기계실 내의 냉각 성능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야기되었고, 고온의 공기가 재유입됨에 따른 열교환 효율의 저하로 인해 소비전력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9-0010342호 공개특허 제10--2019-0010383호 공개특허 제10-2021-0058234호 공개특허 제10-2021-005823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공기 토출구로 토출된 공기가 바닥을 향해 원활히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토출량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공기의 난류화를 방지하여 해당 공기가 공기 흡입구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조립체가 위치된 곳으로 토출되면서 전면패널에 부딪히는 공기의 일부도 바닥을 향해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공기가 공기 흡입구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기계실의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유동가이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가이드에 의해 기계실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 흡입구로 재흡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는 공기 토출구를 통과하여 힌지조립체로 토출된 공기의 유동과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과하여 유동가이드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서로 만나면서 전면패널의 저부로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도어의 전면에는 하단이 기계실의 전방에 이르도록 형성된 전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는 전면패널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는 상측으로 갈수록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도록 경사진 경사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도어의 저면에는 공기 흡입구의 전방과 공기 토출구의 전방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는 전면패널의 배면 중 구획부재를 기준으로 공기 토출구와 대향되는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는 상하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의 개방된 상면은 힌지조립체의 저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의 개방된 상면은 힌지조립체의 하단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의 내부는 저부로 갈수록 전후 공간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는 경사벽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측부벽은 공기 흡입구와 인접된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측부벽은 유동가이드의 양 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는 측부벽의 선단에 형성되면서 전면패널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경사벽의 하단은 전면패널의 배면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이격 부위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경사벽의 하단에는 전면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안내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동가이드의 내측을 따라 유동된 공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의 저면은 공기 토출구와 같거나 더욱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온전히 유동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의 저면은 전면패널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동가이드의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유동가이드의 개방된 저면을 통과하여 지면에 이르기까지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유동가이드의 저면은 공기 토출구에 구비되는 복수의 토출그릴 중 가장 하측의 토출그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각 토출그릴 중 적어도 일부의 토출그릴은 유동가이드를 이루는 경사벽을 향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각 토출그릴 중 적어도 일부의 토출그릴은 유동가이드보다 저부를 향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기 토출구의 전방에 제공되는 유동가이드에 의해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면패널에 부딪혀 발생되는 난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토출구로 토출된 공기가 공기 흡입구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가이드에 의해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면패널의 저부를 향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가 전면패널에 부딪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가이드가 상하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동가이드의 상측으로 토출되면서 전면패널에 부딪힌 공기도 유동가이드 내를 따라 유동된 후 지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즉, 전면패널에 공기의 부딪힘이 발생되더라도 저부를 향한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로의 재흡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기계실이 위치된 부위의 전면을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기계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기계실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구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하측 힌지조립체 및 유동가이드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부 확대도
도 8은 도 7에서 하측 힌지조립체를 생략한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유동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유동가이드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B”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유동가이드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유동가이드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중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유동가이드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C”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각팬 동작에 의한 기계실 내의 공기가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방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공기의 흡토출이 전방으로 이루어지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기계실(2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가이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기계실(200)로부터 힌지조립체(320)가 설치되는 부위와 그 하측 부위로 각각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가이드(400)의 안내를 받아 서로 합쳐진 후 함께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공기가 기계실(200)로의 재흡입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00)는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며, 첨부된 도 2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서로는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기계실(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은 냉기 생성을 위한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도록 설치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계실(200)은 내부에 설치 공간을 가지는 박스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실(200)은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바닥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계실(200)과 냉장고 본체(10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200)은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공기 흡입구(210) 및 공기의 토출을 위한 공기 토출구(2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흡입구(210) 및 공기 토출구(220)는 해당 기계실(2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공기의 흡입 혹은, 공기의 토출을 위한 부위는 기계실(200)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이나 배면 혹은, 바닥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0)와 공기 토출구(220)는 기계실(200)의 전면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실(200)의 전면 중 일측에는 공기 흡입구(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 토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10)는 상기 공기 토출구(220)보다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 흡입량이 공기 토출량보다 많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계실(200) 내로 흡입된 공기가 기계실(200) 내를 유동하는 도중 유동 손실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구(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그릴(221,2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그릴(221,222)은 상기 공기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직진성을 가지면서 특정 방향을 향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공기 흡입구(210)에도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흡입그릴(211)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토출그릴(221,222)은 공기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전방을 향해 토출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기가 저부를 향해 토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써, 각 토출그릴(221,222) 중 상측의 일부 토출그릴(221)은 수평하게 배치하여 공기가 직후방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측의 일부 토출그릴(222)은 저부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공기가 저부를 향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전술된 구조에 의해 상기 수평하게 배치되는 일부의 토출그릴(221)을 지나는 공기는 후술될 유동가이드(400)의 경사벽(410)을 향해 토출되고, 상기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른 일부의 토출그릴(222)을 지나는 공기는 유동가이드(400)보다 낮은 위치를 향해 토출된다.
한편,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기계실(200) 내에는 공기 흡입구(210)가 형성된 측과 공기 토출구(220)가 형성된 측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2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플레이트(230)에 의해 상기 기계실(200) 내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210)와 연통되는 일측 공간과 상기 공기 토출구(220)와 연통되는 타측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플레이트(230)의 후단은 기계실(200)의 후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획플레이트(230)의 후단과 기계실(200)의 후벽면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200) 내에는 압축기(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40)는 저장실 내의 냉기 공급을 위한 냉동싸이클의 한 구성이다. 이러한 압축기(240)는 상기 기계실(200) 내부의 구획플레이트(230)에 의해 구분된 양 측 공간 중 공기 토출구(220)가 위치된 측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200) 내에는 응축기(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250)는 저장실 내의 냉기 공급을 위한 냉동싸이클의 또 다른 구성이다. 이러한 응축기(250)는 상기 기계실(200) 내부의 구획플레이트(230)에 의해 구분된 양 측 공간 중 공기 흡입구(210)가 위치된 측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200) 내에는 냉각팬(2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260)은 상기 구획플레이트(230)의 후단과 기계실(200)의 후벽면 사이에 구비되는 팬하우징(270)의 공기 출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하우징(270)의 공기 입구측에는 상기 응축기(250)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 본체(100) 내의 후방에는 증발기(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는 상기 기계실(200) 내의 압축기(240)와 응축기(250)를 순차적으로 유동한 냉매를 전달받아 저장실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0)는 상기 냉장고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어(300)는 힌지조립체(310,320)에 의해 냉장고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조립체(310,320)는 일단이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300)의 상면과 도어(300)의 저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300)의 저면에는 상기 힌지조립체(3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브라켓(330)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결합브라켓(330)의 선단은 하향 절곡되면서 상기 힌지조립체(320)의 전면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2와 같다.
또한, 상기 도어(300)의 전면에는 전면패널(3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340)은 도어(300)의 전면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주방 가구의 디자인(색상 등)을 고려하여 제작된 후 상기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340)은 상기 도어(300)보다는 상하 높이가 높게 형성되면서 상측 힌지조립체(310) 및 하측 힌지조립체(320)를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340)의 하단은 기계실(200)의 전방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패널(340)에 의해 기계실(200)의 전면이 실내로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공기 토출구(220)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가 실내에 위치된 사용자를 향해 곧장 토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0)의 저면에는 구획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350)는 공기 흡입구(210)의 전방과 공기 토출구(220)의 전방 사이를 구획하며, 이로써 공기 토출구(220)로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 흡입구(210)로 곧장 흡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350)는 판재나, 블럭체 혹은, 판재를 다단 절곡하여 형성된 성형체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면서 공기 흡입구(210)의 전방과 공기 토출구(220)의 전방 사이를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6은 구획부재(350)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구획부재(350)의 상단에는 결합단(3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단(351)은 상면이 상기 도어(30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볼팅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350)의 저면은 상기 전면패널(340)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구획부재(350)가 실내로 노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획부재(350)는 전면패널(340)의 배면에 결합 또는, 일체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전면패널(340)의 경우 주방 가구와의 디자인 맞춤을 위해 교체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성요소임을 고려한다면 조립 구조가 최대한 적을 수록 유리하다. 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구획부재(350)는 도어(300)의 저면에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유동가이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가이드(400)는 전술된 구획부재(350)와 함께 기계실(200)의 공기 토출구(220)로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 흡입구(210)로 재흡입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첨부된 도 7과 도 8,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유동가이드(400)는 기계실(200)의 전방 중 공기 토출구(22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동가이드(400)는 전면패널(340)의 배면 중 구획부재(350)를 기준으로 공기 토출구(220)와 대향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기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유동가이드(400)의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가이드(400)는 상측으로 갈수록 공기 토출구(220)에 인접하도록 경사진 경사벽(4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벽(410)의 제공으로 공기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을 향해 유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가이드(400)는 상하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계실(200)로부터 힌지조립체(320)가 설치되는 부위로 향하는 공기는 상기 유동가이드(400) 내를 통과한 후 전면패널(340)의 저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기계실로부터 힌지조립체(320)가 설치된 부위와 그 하측 부위로 각각 토출되는 공기는 유동가이드(400)의 내외부에 의한 안내를 받아 유동되면서 유동가이드(400)의 하단에서 서로 합쳐진 후 함께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가이드(400)는 상기 경사벽(410)의 측부에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벽(42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부벽(420)은 해당 유동가이드(400)의 개방된 상면(경사벽과 측부벽에 의해 형성되는 상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 흡입구(210)가 위치된 측으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부벽(420)은 상기 경사벽(410)의 양 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측부벽(420)은 경사벽(410)의 어느 한 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측부벽(420)이 경사벽(410)의 어느 한 측에만 형성될 경우에는 공기 흡입구(210)와 인접된 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210)로의 공기 재흡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동가이드(400)의 내부는 저부로 갈수록 전후 공간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가이드(4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유동가이드(400) 내의 저부로 갈수록 점차 집중되면서 유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경사벽(410)의 전면(전면패널과 대향되는 벽면) 역시 경사벽(410)의 배면(공기 토출구와 대향되는 벽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가이드(400)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공기 토출구(220)의 전방 중 하측 힌지조립체(320)의 저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토출구(220)를 통과하여 하측 힌지조립체(320)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하측 힌지조립체(320)를 경유한 후 유동가이드(400) 내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가이드(400)를 이루는 경사벽(410)의 하단은 상기 전면패널(340)의 배면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벽(410)의 하단과 전면패널(340)의 배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유동가이드(4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동가이드(40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경사벽(410)의 전면(유동가이드의 내측에 위치되는 벽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틈새를 통과하여 지면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경사벽(410)의 하단에는 상기 전면패널(340)의 배면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안내단(4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단(430)의 연장 형성에 의해 상기 틈새를 통과하는 공기가 해당 틈새에서 정체 현상없이 원활히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가이드(400)의 저면(경사단의 저면 혹은, 안내단의 저면)은 공기 토출구(220)와 같거나 더욱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동가이드(400)의 저면은 공기 토출구(220)에 구비되는 복수의 토출그릴(221,222) 중 가장 하측의 토출그릴(222)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온전히 유동가이드(400)의 안내를 받아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가이드(400)의 저면은 전면패널(340)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동가이드(400)의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유동가이드(400)의 개방된 저면(틈새)을 통과한 후 전면패널(340)의 벽면을 타고 지면을 향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동가이드(400)는 상기 전면패널(34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패널(340)은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볼팅 결합의 어려움이 있어 도어(300)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유동가이드(400)는 하측 힌지조립체(320)의 직하방에 위치됨을 고려할 때 상기 하측 힌지조립체(320)로 인해 도어(300)에의 설치가 더욱 어려울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유동가이드(400)는 전면패널(340)의 배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가이드(400)에는 전면패널(340)의 배면에 설치되기 위한 결합플랜지(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랜지(440)는 측부벽(420)의 선단으로부터 외향 절곡되면서 전면패널(340)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플랜지(440)는 상기 전면패널(340)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결합플랜지(44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패널(340)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혹은, 또 다른 결합부재(도시는 생략됨)를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200)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유동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저장실 내의 온도가 불만 온도(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될 경우 압축기(240)가 동작된다.
이러한 압축기(240)의 동작에 의해 냉매가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50)와 팽창기(도시는 생략됨) 및 증발기(도시는 생략됨)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해당 압축기(240)로 재유입되는 순환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240)가 동작될 경우에는 기계실(200) 내에 위치된 냉각팬(260)이 동작된다.
이렇게 냉각팬(260)이 동작되면 기계실(200) 내부를 공기가 유동하면서 응축기(250)를 방열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즉, 냉각팬(260)의 동작으로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응축기(250)을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250) 내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응축기(250)를 통과한 공기는 냉각팬(260) 및 압축기(2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압축기(240)를 추가로 냉각한 후 공기 토출구(220)를 통해 기계실(200) 전방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공기는 공기 토출구(220)에 구비된 각 토출그릴(221,222)을 통과하면서 유동을 안내받는다.
즉, 공기 토출구(220) 중 상측 부위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측에 위치된 토출그릴(221)의 안내를 받아 직후방을 향해 유동되고, 공기 토출구(220) 중 하측 부위를 통과하는 공기는 하측에 위치된 토출그릴(222)의 안내를 받아 유동가이드(400)보다 저부측을 향해 유동된다.
이때, 상기 상측 토출그릴(221)의 안내를 받아 직후방으로 유동되는 공기 중 유동가이드(40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경사벽(410)의 배면(공기 토출구와 대향되는 면)에 부딪혀 해당 경사벽(410)의 경사를 따라 하향 유동된다.
또한, 상기 상측 토출그릴(221)의 안내를 받아 토출되는 공기 중 유동가이드(400)보다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하측 힌지조립체(320)에 부딪힘과 더불어 전면패널(340)의 배면에 부딪히면서 유동가이드(400)의 개방된 상면(경사벽과 두 측부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가이드(400)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상기 유동가이드(400) 내를 따라 점차 하향 유동된다. 이때 상기 유동가이드(400) 내부는 저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측 힌지조립체(320)와 전면패널(340)에 부딪히면서 난류화가 이루어지더라도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동가이드(400) 내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경사벽(410)의 하단에 연장된 안내단(430)에 의해 직하방을 향해 토출되도록 안내된다.
따라서, 공기 토출구(220)로 토출되는 공기는 경사벽(410)의 배면이 이루는 경사의 안내를 받아 전면패널(340)의 저부로 유동됨과 더불어 유동가이드(400) 내를 따라 지면을 향해 유동되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210)로 흡입되는 흡입 유동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은 첨부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더욱이, 도어(300)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획부재(350)는 공기 토출구(220)의 전방측 공간과 공기 흡입구(210)의 전방측 공간을 구획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문에 상기 유동가이드(400)의 상측으로 토출되어 하측 힌지조립체(320)와 전면패널(340)에 부딪히는 공기의 일부가 공기 흡입구(210)로 유동되는 현상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기 토출구(220)의 전방에 제공되는 유동가이드(400)에 의해 공기 토출구(220)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면패널(340)에 부딪혀 발생되는 난류가 최소화되며, 이로써, 공기 토출구(220)로 토출된 공기가 공기 흡입구(210)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를 구성하는 유동가이드(400)는 공기 토출구(220)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면패널(340)의 저부를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가 전면패널(340)에 부딪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를 구성하는 유동가이드(400)는 상하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동가이드(400)의 상측으로 토출되면서 전면패널(340)에 부딪힌 공기도 유동가이드(400) 내를 따라 유동된 후 지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100. 냉장고 본체 200. 기계실
210. 공기 흡입구 211. 흡입그릴
220. 공기 토출구 221,222. 토출그릴
230. 구획플레이트 240. 압축기
250. 응축기 260. 냉각팬
270. 팬하우징 300. 도어
310,320. 힌지 조립체 330. 결합브라켓
340. 전면패널 350. 구획부재
351. 결합단 400. 유동가이드
410. 경사벽 420. 측부벽
430. 안내단 440. 결합플랜지

Claims (20)

  1. 냉장고 본체;
    냉장고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전면의 일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의 타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기계실;
    힌지조립체에 의해 냉장고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하단이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이르도록 형성된 전면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도록 경사진 경사벽을 가지면서 상기 공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하향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저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의 전방과 공기 토출구의 전방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 중 상기 구획부재를 기준으로 공기 토출구와 대향되는 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하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힌지조립체의 저부에 인접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힌지조립체의 하단과 이격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의 내부는 저부로 갈수록 전후 공간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경사벽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벽은 공기 흡입구와 인접된 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벽은 상기 유동가이드의 양 측 모두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측부벽의 선단에 형성되면서 전면패널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의 하단은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과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의 하단에는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안내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의 저면은 상기 공기 토출구의 하단과 같거나 더욱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의 저면은 상기 전면패널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에는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토출그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의 저면은 상기 각 토출그릴 중 가장 하측의 토출그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출그릴 중 적어도 일부의 토출그릴은 상기 유동가이드를 이루는 경사벽의 전면을 향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출그릴 중 적어도 일부의 토출그릴은 상기 유동가이드보다 저부를 향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냉장고 본체;
    냉장고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기계실;
    힌지조립체에 의해 냉장고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는 하단이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이르도록 형성된 전면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기계실의 공기 토출구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공기 토출구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가이드는,
    전면패널의 배면 중 힌지조립체의 저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과하여 힌지조립체로 토출된 공기의 유동과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과하여 유동가이드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전면패널의 저부로 안내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10109705A 2021-08-19 2021-08-19 냉장고 KR20230027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705A KR20230027666A (ko) 2021-08-19 2021-08-1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705A KR20230027666A (ko) 2021-08-19 2021-08-1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666A true KR20230027666A (ko) 2023-02-28

Family

ID=8532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705A KR20230027666A (ko) 2021-08-19 2021-08-1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66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42A (ko)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10383A (ko)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58234A (ko) 2019-11-13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계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58238A (ko) 2019-11-13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계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42A (ko)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10383A (ko)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58234A (ko) 2019-11-13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계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58238A (ko) 2019-11-13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계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5059B1 (en) Built-in refrigerator
US7114345B2 (en) Air circulation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machine room
US7878015B2 (en) Radiating apparatus of built-in refrigerator
JP2005172413A (ja) ビルトイン冷蔵庫の放熱装置
US6666045B1 (en) Kimchi refrigerator
KR20190020386A (ko) 냉장고
EP2196754B1 (en) Refrigerator
KR102377630B1 (ko) 냉장고
KR20230027666A (ko) 냉장고
KR20210072579A (ko) 냉장고용 그릴팬어셈블리
KR101645731B1 (ko) 냉장고
US20230152024A1 (en) Refrigerator
KR101052971B1 (ko) 냉장고
US20100018227A1 (en) Refrigerated Case
KR101519136B1 (ko) 냉장고
KR20100092277A (ko) 냉장고
CN114174742B (zh) 能够改善机械室内空气循环的冰箱
KR20210081010A (ko) 냉장고
KR20210116087A (ko) 냉장고
KR102279053B1 (ko) 냉장고
KR20080040998A (ko) 냉장고도어 제빙실
KR101203993B1 (ko) 냉장고
KR20210072578A (ko) 냉장고용 그릴팬어셈블리
KR20060081806A (ko) 냉장고
KR20060078134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