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91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917A
KR20110136917A KR1020100056833A KR20100056833A KR20110136917A KR 20110136917 A KR20110136917 A KR 20110136917A KR 1020100056833 A KR1020100056833 A KR 1020100056833A KR 20100056833 A KR20100056833 A KR 20100056833A KR 20110136917 A KR20110136917 A KR 20110136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evaporator
compartment
ice making
refrig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731B1 (ko
Inventor
안광운
임지현
이남교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73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73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격벽 내부에 증발기를 설치하여, 냉장고의 고내 용적을 늘이도록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
최근에는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는, 하나의 증발기가 냉동실의 후측에 장착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냉동실, 냉장실 및 제빙실로 공급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단일의 증발기로 다수의 저장 공간을 냉각시키는 냉장고는 냉력이 상당히 큰 증발기를 요구하므로, 증발기의 규격이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증발기를 수용하는 공간, 즉 증발실의 체적이 증가하고, 그 결과 증발기의 앞쪽에 위치하는 저장 공간이 용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증발기의 냉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고내 용적이 증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멀리언;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 또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빙실; 상기 멀리언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냉동실과 제빙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제 1 증발기; 상기 냉장실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제 2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두 개의 증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일의 증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증발실 체적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단일의 증발기에 요구되는 냉력이 두 개의 증발기로 나뉘어지므로, 증발기의 두께가 얇아지고, 그 결과 두 개의 증발기 중 어느 하나를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멀리언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기존의 냉동실 후측에 증발기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냉동실 용적이 증가하므로, 냉동실에 수용할 수 있는 음식물의 양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유동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에서 냉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냉장실(111)과 냉동실(112)이 구비되는 캐비닛(11)과,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에 설치되는 냉장실 증발기(13)와, 상기 냉장실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냉장실로 토출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15)와, 상기 냉장실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기 덕트(15) 쪽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냉장실 팬(14)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111)과 냉동실(112)을 구획하는 멀리언(113)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멀리언(113) 내부에는 냉동실 증발기(도 2 참조)가 수용되고, 상기 냉동실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 내부 또는 상기 냉장실(1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미도시)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증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의 일부는 냉기 유로(후술함)를 따라 상기 제빙실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증발기(13)는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에 장착되는 증발실 벽(12)에 의하여 가려진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과 상기 증발실 벽(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실 벽(12)의 하단에는 냉기 흡입 그릴(121)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 덕트(15)의 상단에는 냉기 토출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토출구(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기 덕트(15)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냉기 덕트(15)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멀리언(113)의 후단에는 상기 냉동실(112)과 제빙실로 냉기를 강제 유동하기 위한 팬들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냉동실 증발기를 제 1 증발기로, 냉장실 증발기를 제 2 증발기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멀리언(113) 내부 구조 및 냉기의 흐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유동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의 멀리언(113) 내부에는 냉동실 증발기(17)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멀리언(113)의 후단에는 냉동실(112)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실 팬(20)과, 제빙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빙실 팬(21)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는 상기 제빙실과 상기 멀리언(113) 간의 냉기 흐름을 안내하는 냉기 덕트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과 연결되는 냉기 덕트는, 상기 멀리언(113) 내부에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22)와, 상기 제빙실 내부에서 순환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 증발기(17)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리턴 덕트(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 덕트(22)의 토출단에는 냉기 토출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리턴 덕트(23)의 흡입단에는 냉기 흡입구(231)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빙실이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구조에 적용되는 냉기 덕트를 보여준다. 상기 냉기 덕트(22,23)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기 토출구(221)와 냉기 흡입구(231)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냉기 토출구(미도시) 및 냉기 흡입구(미도시)와 각각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의 측면에도 상기 냉기 토출구(221) 및 냉기 흡입구(231)와 각각 연통하는 냉기 흡입구 및 냉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리언(113)의 후단에 장착된 상기 제빙실 팬(21)의 토출구는 상기 공급 덕트(22)의 흡입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팬(20)의 토출단은 상기 냉동실(112) 쪽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멀리언(113)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17)가 안착되는 드레인 팬(16)이 놓인다. 그리고, 상기 멀리언(113)의 전단부 하면에는 상기 냉동실(1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냉동실 증발기(17) 쪽으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냉기 흡입 그릴(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기 흡입 그릴(18)은 상기 냉동실(112)의 전면 상단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냉동실(112)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냉기가 상기 냉동실 증발기(17) 쪽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멀리언(113)의 후단부 저면에는 냉기 가이드(19)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가이드(19)의 하단에 근접하는 부분에는 냉기 토출 그릴(1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냉장고의 냉기 유동 메카니즘에 의하면, 상기 멀리언(113) 내부에서 상기 냉동실 증발기(17)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12)과 상기 제빙실 쪽으로만 흐른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실 벽(12)의 하단, 즉 상기 냉장실 후벽과 상기 멀리언(113)이 만나는 모서리에 근접하는 영역에 형성된 냉기 흡입 그릴(121)을 통하여 상기 냉장실 증발기(13) 쪽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냉기와 냉동실 냉기는 서로 섞이지 않고 독립적인 냉기 유동 구조를 가지며, 상기 냉동실 냉기와 제빙실 냉기는 상기 멀리언(113) 내부에서 서로 섞이면서 혼합 유동하게 된다.
각 저장 공간에서의 냉기 유로를 살펴본다.
먼저, 냉장실 내부에서 음식물과의 열교환을 통하여 가열된 공기는 상기 냉기 흡입 그릴(121)을 통하여 상기 냉장실 증발기(13)가 수용된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증발기(13)를 가로질러 통과하면서 상기 냉장실 증발기(13) 내부를 따라 흐르는 냉매와 상기 흡입된 냉장실 냉기가 열교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15)의 하단부 후측에 장착된 냉장실 팬(14)에 의하여 강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팬(14)은 횡류팬일 수 있다. 횡류팬이 적용됨으로써, 냉장실 냉기의 유동량을 확보하면서 냉장실 용적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증발기(13)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냉장실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15)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냉기 덕트(15)의 상단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냉기 토출구(151)를 통하여 냉장실 내부로 다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냉기 덕트(15)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냉기 토출구가 더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증발실 벽(12) 후측에 제공되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13)는 상기 냉장실을 냉각하는 데에만 사용되므로, 큰 냉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냉장실 증발기(13)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여도 좋으며, 그 결과 냉장실(111)의 전후 방향 깊이가 깊어져서 고내 용적률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멀리언(113) 내부에서 상기 냉동실 증발기(17)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12)과 제빙실 중 어느 한 쪽으로 흐르거나 양 쪽으로 나뉘어 흐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112)로 공급되는 냉기의 유동은 상기 냉동실 팬(20)에 의하여 유발되며, 상기 냉동실 팬(20)도 상기 냉장실 팬(14)과 마찬가지로 횡류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유동은 상기 제빙실 팬(21)에 의하여 유발된다. 상기 제빙실 팬(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팬일 수 있으나, 이에 제안되는 것은 아니므로, 횡류팬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팬(14)과 냉동실 팬(20)도 원심팬일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냉동실 팬(20)이 구동하면, 상기 냉기 흡입 그릴(18)을 통하여 냉동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냉동실 증발기(17)가 수용된 공간, 즉 상기 멀리언(113)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흡입 그릴(18)을 통하여 흡입된 냉동실 냉기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17)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쪽으로 흐르면서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증발기(17)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냉기 가이드(19)에 의하여 냉동실(112) 쪽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가이드(19)의 하단에 형성된 냉기 토출 그릴(191)을 통하여 냉동실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 팬(21)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 증발기(17)를 통과한 냉기의 일부가 상기 공급 덕트(2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덕트(22)로 유입된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냉기 토출구(221)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의 측면에 형성된 냉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냉기 토출구(221)로 토출된 냉기가 상기 제빙실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내부에 있는 공기는 상기 리턴 덕트(23)의 냉기 흡입구(231)를 통하여 상기 리턴 덕트(23)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 덕트(23)로 유입된 냉기는 다시 상기 냉동실 증발기(17)가 수용된 멀리언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리턴 덕트(23)가 상기 공급 덕트(2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멀리언(113) 내부에서 냉기의 흐름과 일치하도록 한다. 즉, 상기 냉동실(112)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상기 제빙실로부터 귀환된 공기 모두가 상기 멀리언(113)의 전단으로부터 후단 쪽으로 흐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 내부에서 냉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드레인 팬(16)의 전단부 쪽에는 상기 냉기 흡입 그릴(18)이 설치되고, 후단부 쪽에는 냉기 가이드(1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 팬(16)은 실제로 상기 멀리언(113)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냉동실 내부에 직접 노출되지는 않는다. 상기 냉동실 증발기(17)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냉기는 상기 냉기 가이드(19)에 의하여 하강하고, 상기 냉기 가이드(19)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냉기 토출 그릴(191)을 통하여 상기 냉동실(12) 내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내부(12)에서 음식물과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한 냉기는 상기 냉기 흡입 그릴(18)을 통하여 다시 멀리언(113)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 팬(16)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17)가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놓이기 때문에, 상기 냉동실 증발기(17)의 전단부 쪽에 생성되어 상기 드레인 팬(16)으로 낙하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드레인 팬(16)의 전단부 쪽에 모이는 응축수가 상기 멀리언(113)의 후단 쪽으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멀리언(113)의 전단부에서 응축수가 결빙되어 냉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Claims (7)

  1. 냉장실 및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멀리언;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 또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빙실;
    상기 멀리언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냉동실과 제빙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제 1 증발기;
    상기 냉장실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제 2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리언과 상기 제빙실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냉기 덕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제 1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공급 덕트 및
    상기 제빙실로 공급된 냉기를 상기 제 1 증발기로 보내는 리턴 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로 공급하는 냉동실 팬과;
    상기 제 1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제빙실 팬; 및
    상기 제 2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공급하는 냉장실 팬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팬 및 상기 냉장실 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횡류팬 또는 원심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증발기를 덮고, 하단에 냉기 흡입 그릴이 형성되는 증발실 벽; 및
    상기 증발실 벽의 상측에서 상기 냉장실의 후벽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냉기 덕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멀리언은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기 위하여 수평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056833A 2010-06-16 2010-06-16 냉장고 KR10164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833A KR101645731B1 (ko) 2010-06-16 2010-06-1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833A KR101645731B1 (ko) 2010-06-16 2010-06-1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917A true KR20110136917A (ko) 2011-12-22
KR101645731B1 KR101645731B1 (ko) 2016-08-04

Family

ID=4550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833A KR101645731B1 (ko) 2010-06-16 2010-06-1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576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92756B2 (en) 2019-12-09 2023-07-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57093A1 (en) * 2019-09-03 2022-11-10 Winia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536A (en) * 1990-12-31 1993-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frost assembly
KR20060124942A (ko)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제빙실의 제빙시스템
KR20070074209A (ko) * 2006-01-07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536A (en) * 1990-12-31 1993-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frost assembly
KR20060124942A (ko)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제빙실의 제빙시스템
KR20070074209A (ko) * 2006-01-07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576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92756B2 (en) 2019-12-09 2023-07-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731B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086B1 (ko) 냉장고
KR101390448B1 (ko) 냉장고
EP3745059B1 (en) Built-in refrigerator
US11466924B2 (en) Refrigerator
KR20180129472A (ko) 냉장고
KR20070109690A (ko) 냉장고의 냉기유동구조
JP5254578B2 (ja) 冷蔵庫
CN107120894B (zh) 变容积冷冻冷藏风冷式制冷设备
KR20110136917A (ko) 냉장고
KR20190127027A (ko) 냉장고
KR101132455B1 (ko) 냉장고
JP6389075B2 (ja) 冷蔵庫
KR101052971B1 (ko) 냉장고
KR100901033B1 (ko) 그릴팬 어셈블리
KR20190019428A (ko) 냉장고
KR102615061B1 (ko) 냉장고
KR101694663B1 (ko) 냉장고
KR101048222B1 (ko) 냉장고
CN107120896B (zh) 蒸发器顶置式制冷设备
JP2009068800A (ja) 冷蔵庫
JP5617003B2 (ja) 冷蔵庫
JP5620538B2 (ja) 冷蔵庫
KR20110078656A (ko) 냉장고
CN107120897B (zh) 多温区制冷设备
CN107120898B (zh) 蒸发器底置式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