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648A -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648A
KR20080040648A KR1020080027507A KR20080027507A KR20080040648A KR 20080040648 A KR20080040648 A KR 20080040648A KR 1020080027507 A KR1020080027507 A KR 1020080027507A KR 20080027507 A KR20080027507 A KR 20080027507A KR 20080040648 A KR20080040648 A KR 2008004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input
signa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김경남
더좋은생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남, 더좋은생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경남
Priority to KR1020080027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648A/ko
Publication of KR2008004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정보에 따라 발광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위치 정보 세팅에 따른 명령 입력과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수단과 하나 이상의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생성수단과 위치 선택 명령에 의해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효과 데이터 명령에 의해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생성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효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입력 수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출력 수단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배치된 발광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효과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명제어, 발광 모듈, 위치 정보, LED, 클러스터

Description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본 발명은 위치 정보에 따라 발광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명은 태양광에 의한 채광인 주광조명과 전등 등의 인공광원에 의한 인공조명이 있다.
태양광은 인간이 느끼는 색, 기타 모든 빛의 근원이지만, 계절·시간·기후에 따라 변동이 크고, 인간생활을 위한 조명의 전부는 아니다.
인공 광원은 물체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빛을 조명으로 이용하였다.
근래의 조명의 역할은 어두운 곳을 밝게 하는 것을 떠나서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도록 하거나 무언가를 표현하기 위함에도 있다.
소규모 가게로부터 대형 매장까지 화려한 불빛을 이용하여 소비자를 유혹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명은 일정한 판넬 안쪽에 하나 이상의 형광들을 배치하고 판넬 전면부에 투명 부위로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일정 형태의 모양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근래에는 여러 색이 출력되는 조명을 만들기 위해 판넬 전면부에 투명 색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광 모듈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색을 사용한다.
판넬의 크기가 큰 조명의 경우에는 많은 수의 발광 모듈이 배치되어야 하는데, 제작자가 원하고자하는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배치된 발광 모듈의 동작 순서를 하나하나 세팅하여 결과적으로 표현되는 내용을 파악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것이다.
특히, 조명을 설치하는 소수의 기술자 이외에는 직접 구입하여 설치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따라서, 발광 모듈을 통해 많은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발광모듈이 배치되어야하고 그 배치된 발광 모듈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발광 모듈의 배치와 상관없이 효과 데이터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 모듈의 위치 정보와 효과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위치 정보 세팅에 따른 명령 입력과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수단; 하나 이상의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생성수단; 위치 선택 명령에 의해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효과 데이터 명령에 의해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 수단; 및 상기 생성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효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입력 수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출력 수단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출력수단은,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을 배치하기 위한 일정 간격의 눈금이 표시된 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위치 설정 제어 신 호와 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 신호 입력부; 위치 정보가 포함된 효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위치 설정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효과 데이터 수신 상태와 상기 발광 모듈의 위치 세팅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효과 데이터와 상기 발광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위치 설정 명령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광 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 수단의 효과 표시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효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생성수단은 효과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동영상, 플래시(flash), 이미지(image)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위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위치 설정 명령과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위치 설정 명령에 따라 위치 지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상기 지정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를 다른 발광 모듈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 상기 효과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입력된 위치 설정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다른 발광 모듈로 신호를 전달하고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위치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따라 좌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판넬은 일정 간격으로 된 바둑판 모양의 눈금을 가지며, 상기 눈금의 교차점에 상기 발광 모듈이 위치하도록 하여 좌표점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은, 발광 모듈이 판넬 눈금선 위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발광 모듈의 위치 좌표가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효과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발광 모듈은 눈금의 어느 위치와 상관없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발광 모듈의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될 좌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좌표 신호가 제어수단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어수단이 수신된 좌표 신호를 상기 발광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광 모듈이 선택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좌표 값이 지정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상기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효과 데이터를 상기 발광 모듈이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변환되어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발광 모듈은 효과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위치 좌표가 저장된 위치 좌표와 일치하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성 수단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가 포함된 효과 데이터를 제어 수단에 저장하고, 판넬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에 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효과 동작 명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발광 모듈로 위치 정보가 포함된 효과 데이터를 송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배치한 발광 모듈의 형태와 상관없이 위치 정보의 세팅을 이용하여 한번 생성된 효과 데이터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광 모듈을 배치하여 신호선을 연결함에 있어서, 발광모듈은 일련의 순서와 상관없이 근처에 존재하는 발광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으면 되기 때문에, 설치함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제어 시스템은 위치 정보 세팅에 따른 명령 입력과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수단(20)과 하나 이상의 효 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생성수단(10)과 위치 선택 명령에 의해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효과 데이터 명령에 의해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 수단(40)과 상기 생성수단(10)으로부터 입력된 효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입력 수단(2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출력 수단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생성수단(10)은 컴퓨터(PC)와 같이 효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하며, 생성된 효과 데이터를 위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동영상, 플래시, 이미지등은 픽셀 정보나 백터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파일에서의 위치 정보는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생성 수단(10)은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의 엔지니어링 수단에 해당하며, 발광 모듈(50)을 통해 나타내는 효과 동작 수행 이전에 세팅되어져야 한다.
상기 입력수단(20)은 하나 이상의 키로 구성되며, 발광 모듈(50)의 위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키 구성과 상기 제어수단(30)에 저장된 효과 데이터를 상기 출력 수단(40)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40)은 발광 모듈(50)과 판넬(60)로 구성되는데, 상기 판넬(50)은 일정 간격으로 바둑판 모양의 눈금선이 그어져 있으며, 가로와 세로의 교차점이 표기된다.
제작할 판넬의 크기에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간격으로 눈금선을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판넬(60)은 잔넬안쪽에 임의의 공간상에 가상 눈금선에 해당하는 가상판넬일 수도 있다.
이는, 발광 모듈(50)을 배치하고 위치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임의의 좌표를 정하는데 보다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발광 모듈(50)은 상기 눈금 선의 교차점상에 배치되며, 가로, 세로 즉, X 좌표와 Y 좌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배열된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은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배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근접해있는 발광 모듈(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입력 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효과에 따른 신호가 결정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배열 순서나 신호 전달 순서와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무관하다.
상기 제어수단(30)은 메인 컨트롤러로써, 상기 생성 수단(10)으로부터 효과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입력수단(20)의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서 상기 발광 모듈(50)의 위치 값 설정과 발광 동작의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한다.
상기 생성수단(10)과 상기 제어수단(30)은 유/무선 통신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상기 리모콘을 포함하는 입력수단(20)은 상기 제어수단(30)과 적외선, 블루투스, 지그비, RFID형식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력수단(40)은 상기 제어 수단(30)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수신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수단(20)으로부터 위치 설정 명령이 상기 제어 수단(30)의 제어신호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36)는 출력부(33)를 통해 발광 모듈(50)로 현재 세팅하고자 하는 좌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세팅하고자 하는 좌표 신호를 수신한 발광 모듈(50)은 설정 대기 상태가 되며, 입력받은 신호를 출력부(56)를 통해 다른 발광 모듈(5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입력수단(20)으로부터 위치 설정 제어 신호와 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 신호 입력부(31)와 위치 정보가 포함된 효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35)와 위치 설정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3)와 상기 효과 데이터 수신 상태와 상기 발광 모듈(50)의 위치 세팅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4)와 상기 생성 수단(10)으로부터 전송받은 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2)와 상기 제어 신호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된 위치 설정 명령신호를 상기 출력부(33)를 통해 상기 발광 모듈(5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 수단(20)의 효과 표시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효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 모듈(50)은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의 위치 설정 명령과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51)와 상기 위치 설정 명령에 따라 위치 지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52)와 상기 지정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저 장부(53)와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를 다른 발광 모듈(50)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56)와 상기 효과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54)와 상기 입력된 위치 설정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다른 발광 모듈(50)로 신호를 전달하고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3)는 위치 정보에 대한 갱신 입력이 될 때까지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형식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위치 설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도 3a는 입력수단(20)으로 리모콘의 실시 예로 구성된 도면이다.
키 구성으로는 X 좌표와 Y 좌표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X세팅키(21), Y세팅키(22), 세팅하고자 하는 열과 행의 수 선택과 효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숫자 패드(23)와 설정하고자 하는 좌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24)와 선택 명령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키(25), X, Y 세팅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세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완료키(26), 세팅 정보와 효과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 창(27)이 있다.
도 3b는 "가"라는 문자에 대한 위치를 세팅하는 예를 나타낸 것인데, X좌표와 Y좌표에 따라서 배열된 발광 모듈(50)의 위치가 선택된다.
물론 판넬(60)의 눈금 수에 따라서 좌표의 수가 많아지겠지만, 실제 구현하 고자 하는 문자는 어디에 배치되어도 상관이 없다.
도 3b를 참조하면, X좌표는 총 6개, Y좌표는 총 8개로 구성되며, 상기 도 3b에서와 같은 판넬의 구조에는 48곳에 발광 모듈(50)을 배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48개의 위치 정보가 생성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도 3b에서 배치된 "가"의 위치 정보를 표기한 것인데, 11개의 발광 모듈이 각각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구성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도 3a 내지 상기 도 3c를 참조하여 "가"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b에서와 같이 X = 1에는 발광 모듈(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X = 2에 존재하는 발광 모듈(50)에 대한 세팅을 시작한다.
먼저 X 좌표를 세팅하기 위하여, 리모콘에 구비된 X 세팅키(21)를 선택하고 설정하고자 하는 열 번호인 2를 선택하면 상기 정보 표시 창(27)에 표시된 입력 정보를 확인한다.
입력 정보가 맞으면 선택 키(24)를 눌러서 해당 좌표를 세팅하겠다는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은 전부 설정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대기 상태의 발광 모듈(50)은 키 입력부(52)를 통해 선택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X = 2에 해당하는 위치 값이 결정 되게 된다.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이 결정되면 완료 키(26)를 선택하여 X = 2에 대한 세팅을 완료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중 선택된 발광 모듈(50)은 X 좌표 값이 2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X = 3, X = 4, X = 5, X = 6에 대한 세팅을 완료한다.
X 좌표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Y 세팅키(22)를 선택하고 X 좌표 세팅과 마찬가지로 발광 모듈(50)이 존재하는 Y = 2 부터 세팅을 시작한다.
숫자 패드(23)를 이용하여 2를 선택하고 선택키(24)가 입력되면 세팅 신호가 전송되어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은 다시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중 선택된 발광 모듈(50)은 Y 좌표 값이 2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Y = 3, Y = 4, Y = 5, Y = 6, Y = 7, Y = 8에 대한 좌표 값을 세팅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좌표 세팅이 완료되면 도 3c와 같이 각각의 발광 모듈(50)에 위치 정보가 생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모콘을 통해 세팅하고자 하는 열과 행의 좌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수단(30)으로 세팅할 좌표 신호를 전송한다(S400,S402).
상기 제어수단(30)은 상기 좌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발광 모듈(50)로 세팅 하려는 좌표값의 신호를 전송한다(S404,S406).
상기 좌표 신호를 수신받은 발광 모듈(50)은 선택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S408).
대기 중인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좌표가 결정된다(S410).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좌표 선택이 완료되면, 각각의 발광 모듈(50)은 선택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412).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효과 데이터에 따른 위치 좌표의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가"라는 문자에 가로 이동 효과를 적용할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인 발광이 진행되도록 설정된 입력데이터에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이 동작하도록 위치 정보가 설정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가로 이동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Y좌표가 총 8개이기 때문에 8번의 프레임 정보 신호를 전송해야한다.
물론 생성된 입력데이터는 X, Y좌표의 최대치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최대치가 X = 6, Y = 8 인 경우의 예로 설명된 것이며,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한다.
총 8번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프레임 정보가 전송되는데, 먼저 1번째 프레임에는 (1,1)(2,1)(3,1)(4,1)(5,1)(6,1)에 대한 발광 동작 명령 신호가 포함된다.
하지만, 상기 위치에는 발광 모듈(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발광 모 듈(50)도 동작하지 않는다.
2번째 프레임에는 (1,2)(2,2)(3,2)(4,2)(5,2)(6,2)에 대한 발광 동작 명령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 신호중 (2,2)에 해당하는 발광 모듈(50)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3번째 프레임에는 (1,3)(2,3)(3,2)(4,3)(5,3)(6,3)에 대한 발광 동작 명령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 신호중 (2,3)에 해당하는 발광 모듈(50)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 진행으로 나머지 9개의 모듈의 위치 정보 입력 신호에 따라 발광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발광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는 "가"라는 문자에 물결 효과를 적용할 때, 중앙에서 밖으로 순차적인 발광이 진행되도록 설정된 입력데이터에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이 동작하도록 위치 정보가 설정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에서와 같이 물결의 효과를 내기 위해 X,Y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최대한 물결과 같은 형상을 구성하였고, 해당 선상에 존재하는 발광 모듈(50)이 동작 되도록 총 7개의 프레임 신호가 전송된다.
1번째 프레임에는 (6,3)(5,4)(5,5)(6,6)에 대한 발광 동작 명령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 신호중 (5,4)에 해당하는 발광 모듈(50)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2번째 프레임에는 (6,2)(5,3)(4,4)(4,5)(5,6)(6,6)에 대한 발광 동작 명령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 신호중 (4,4)(5,6)에 해당하는 발광 모듈(50)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 진행으로 나머지 8개의 모듈의 위치 정보 입력 신호에 따라 발광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중앙에서 밖으로 퍼져나가는 물결 형상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 5a, 도 5b에서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배치와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출력 수단(40)을 이용하여 별개의 세팅과정이 필요 없이 여러 가지 효과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판넬(60)을 설정하는 있어서, 일정 간격의 눈금선이 존재하는 어느 것이어도 상관이 없으며, 발광 모듈(50)을 배치할 임의의 위치는 결정한다(S600).
상기 눈금선이 존재하는 판넬(60)이 설정되면 임의의 위치에 따라 발광 모듈(50)을 배치한다(S602).
상기 발광 모듈(50)의 배치가 완료되면, 리모콘을 이용해 X,Y 값에 대한 신호 입력을 통해 상기 배치된 발광 모듈(50)의 위치 값을 설정한다(S604).
상기 설정된 발광 모듈(50)은 각각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608).
상기 발광 모듈(50)에 위치 정보가 저장된 후, 상기 리모콘을 통해 효과 번호가 입력되어 제어 수단(30)으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 수단(30)이 상기 발광 모 듈(50)로 수신된 효과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 효과 데이터를 전송한다(S608).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은 상기 입력된 효과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S610).
상기 대기 상태의 발광 모듈(50)은 신호가 입력되면, 위치 설정 신호인지 효과 동작 신호인지를 구분한다.
위치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효과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와 효과 데이터에 따라서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데, 입력받은 RGB 데이터에 따라서 효과가 달라지게 되며, 위치 정보에 따른 또 다른 효과 데이터가 입력될 때까지 발광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 수단(10)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가 포함된 효과 데이터를 제어 수단(30)에 저장하고, 판넬(60)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50)에 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30)은 입력수단(20)을 통해 입력된 효과 동작 명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발광 모듈(50)로 위치 정보가 포함된 효과 데이터를 송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배치한 발광 모듈(50)의 형태와 상관없이 위치 정보의 세팅을 이용하여 한번 생성된 효과 데이터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위치 설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효과 데이터에 따른 위치 좌표의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생성 수단 20...입력 수단
30...제어 수단 40...출력 수단
50...발광 모듈 60...판넬

Claims (12)

  1. 위치 정보 세팅에 따른 명령 입력과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수단;
    하나 이상의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생성수단;
    위치 선택 명령에 의해 위치 정보가 저장되며 효과 데이터 명령에 의해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출력 수단; 및
    상기 생성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효과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입력 수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출력 수단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을 배치하기 위한 일정 간격의 눈금이 표시된 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위치 설정 제어 신호와 효과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 신호 입력부;
    위치 정보가 포함된 효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위치 설정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효과 데이터 수신 상태와 상기 발광 모듈의 위치 세팅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위치 설정 명령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발광 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 수단의 효과 표시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효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수단은 효과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동영상, 플래쉬(flash), 이미지(image)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위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위치 설정 명령과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위치 설정 명령에 따라 위치 지정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상기 지정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를 다른 발광 모듈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
    상기 효과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입력된 위치 설정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다른 발광 모듈로 신호를 전달하고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효과 동작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위치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따라 좌표가 설정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일정 간격으로 된 바둑판 모양의 눈금을 가지며, 상기 눈금의 교차점에 상기 발광 모듈이 위치하도록 하여 좌표점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8. 발광 모듈이 판넬 눈금선 위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발광 모듈의 위치 좌표가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효과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눈금의 어느 위치와 상관없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의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될 좌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좌표 신호가 제어수단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어수단이 수신된 좌표 신호를 상기 발광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광 모듈이 선택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좌표값이 지정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상기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효과 데이터를 상기 발광 모듈이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변환되어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효과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위치 좌표가 저장된 위치 좌표와 일치하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KR1020080027507A 2008-03-25 2008-03-25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80040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507A KR20080040648A (ko) 2008-03-25 2008-03-25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507A KR20080040648A (ko) 2008-03-25 2008-03-25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648A true KR20080040648A (ko) 2008-05-08

Family

ID=3964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507A KR20080040648A (ko) 2008-03-25 2008-03-25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6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164B1 (ko) * 2009-05-28 2009-12-02 (주)아트웨어 통신 컨버젼스를 통한 led 전광판 및 그 방법
WO2009152527A2 (en) * 2008-06-13 2009-12-17 Element Labs, Inc. Smart pixel address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2527A2 (en) * 2008-06-13 2009-12-17 Element Labs, Inc. Smart pixel addressing
WO2009152527A3 (en) * 2008-06-13 2010-04-01 Element Labs, Inc. Smart pixel addressing
US9400212B2 (en) 2008-06-13 2016-07-26 Barco Inc. Smart pixel addressing
US10255018B2 (en) 2008-06-13 2019-04-09 Barco, Inc. Smart pixel addressing
KR100929164B1 (ko) * 2009-05-28 2009-12-02 (주)아트웨어 통신 컨버젼스를 통한 led 전광판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21299T3 (es) Control remoto de fuente de luz
JP2023087069A (ja) 公演会場での複数の応援用発光装置を制御する方法
EP2704529A1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JP6933862B2 (ja) ライト調整システムおよびライト
JP2009162952A (ja) 発光制御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03687188A (zh) 照明控制系统和照明控制器
KR202000035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341798A (zh) 用于控制照明系统的系统和方法
JP7425240B2 (ja) 情報設定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WO1997025705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CN102449595A (zh) 用于模块化照明系统的画面选择方法
KR20080040648A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920023B1 (ko) 엘이디 조명 수단을 제어하는 확장형 제어시스템
JP7055320B2 (ja) 照明装置
CN117238236A (zh) 基于灯带的显示控制方法、系统、介质以及设备
JP2008209809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
CN201402594Y (zh) 数码管及动态数字显示装置
JP6370733B2 (ja) 情報発信装置および情報取得装置
JP2012215982A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39525B1 (ko) 휴대용 플렉서블 led 현수막
KR100929164B1 (ko) 통신 컨버젼스를 통한 led 전광판 및 그 방법
KR101545466B1 (ko) 전광판 컨트롤러
KR102084482B1 (ko) 복합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복합 조명 제어 방법
JP2007248981A (ja) 疑似フルカラー表示装置および道路標識
KR20060089836A (ko) 광고용 블라인드, 광고용 블라인드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