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224A -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및 이 구조를 가지는 신호 표시등 - Google Patents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및 이 구조를 가지는 신호 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224A
KR20080039224A KR1020070101583A KR20070101583A KR20080039224A KR 20080039224 A KR20080039224 A KR 20080039224A KR 1020070101583 A KR1020070101583 A KR 1020070101583A KR 20070101583 A KR20070101583 A KR 20070101583A KR 20080039224 A KR20080039224 A KR 2008003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unit
terminal
connectio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아키 나카모토
마사토 타카키
마사요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타이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타이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Publication of KR2008003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07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 H01R33/7614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the terminals being connected to individual wires
    • H01R33/7621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the terminals being connected to individual wires the wires being connected using screw, clamp, wrap or spring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1Single-blad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3Sliding arrangements, e.g. sliding but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Spring 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10)는 터미널 유닛(3) 및 터미널 유닛(3)에 끼워맞춰진 상부 유닛(7)을 포함하는 신호 표시등을 위해 이용된다. 복수의 터미널 피팅(15)은 터미널 유닛(3)의 절연체 하우징(18)의 외주부(18c)에서 소정의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전기 코드(8)는 터미널 유닛(3)의 중앙부에 제공되는 관통 구멍(18a)을 통하여 터미널 유닛(3)으로 삽입되고 전기 코드(8)의 말단부(8c)에서 노출되는 심선(8a)은 터미널 피팅(15)의 제 1 접속부(15a)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터미널 피팅(15)의 제 2 접속부(15b)는 상부 유닛(7)에서 평면 전극(13)과 각각 접촉한다. 제 1 접속부(15a)는 하부(Z2)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제 2 접속부(15b)는 상부(Z1)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제 1 접속부(15a) 및 제 2 접속부(15b)를 제외한 터미널 피팅(15) 각각의 부분은 터미널 유닛(3)의 절연체 하우징(18)으로 둘러싸인다.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터미널 유닛, 상부 유닛

Description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및 이 구조를 가지는 신호 표시등{SIGNALING INDICATOR PILLAR STRUCTURE AND SIGNALING INDICATOR HAV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점등 및 명멸에 의한 각종 정보를 주는 기계장치 등에 부착하기 위한 신호 표시등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계장치에 신호 표시등을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필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신호 표시등은 전형적으로 여기에 제공되는 램프 또는 LED와 같은 다수의 표시 요소(광 조사 요소), 및 각 표시 요소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전기 코드를 포함한다. 신호 표시등은 사용하는 기계장치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신호 표시등이 기계장치에 부착되면 신호 표시등로 수용되는 전기 코드는 각각 전기적으로 기계장치의 전기 코드에 접속된다.
기계장치에 부착된 신호 표시등은 일반적으로 기계장치로부터 돌출된다. 기계장치가 거기에 부착된 신호 표시등와 같이 공장 등으로 운반될 때 기계장치로부터 돌출되는 신호 표시등은 기계장치의 운반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신호 표시등은 일반적으로 기계장치에 고정되는 터미널 유닛, 및 터미널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부 유닛(신호 표시등의 메인 유닛)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터미널 유닛 및 상부 유닛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신호 표시등에서 접속 구조는 터미널 유닛이 상부 유닛과 맞물릴 때 상부 유닛에서 각 표시 요소에 전기 신호를 확실하게 공급하기 위해 터미널 유닛과 상부 유닛 사이에 전기 접속을 확실하게 성립하도록 터미널 유닛 및 상부 유닛의 맞물림 부분에 제공되어야 한다.
반면에, 터미널 유닛 및 상부 유닛의 맞물림 부분의 구조는 사이즈 감소를 위해 요구조건도 만족시켜야 한다.
상기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종래 기술의 구조의 예는 미국 특허 5,952,915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5,952,915호에 개시된 신호 필러 구조는 L자형 레그(31) 및 U자형 접속 브릿지(27)를 포함하고, 터미널 유닛 및 상부 유닛 사이의 전기 접속은 L자형 레그(31) 및 U자형 접속 브릿지(27)에 의해 성립된다.
터미널 유닛 및 상부 유닛 사이의 접속을 위한 종래 기술의 접속 구조(신호 필러 구조)에서 전속 전극은 유닛의 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서로 접촉시킨다. 그러므로, 힘이 유닛의 축에 수직으로 유닛에 작용한다면 초과 압력은 접속 전극의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이것은 접극을 휘게 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필러 구조의 사이즈가 감소될 때 전극 안전을 위한 소정의 이격된 관계에서 전기적 구성요소를 배치하기 위해 시도가 이루어지면 사이즈 감소는 제한된다. 그러므로, 사이즈 감소의 제한이 있다.
앞에서 보면, 주요부 및 제 2 접속부는 터미널 유닛의 절연체로 둘러싸인다. 제 2 접속부는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터미널 유닛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부 유닛은 적어도 그 외주를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부 유닛이 터미널 유닛에 끼워맞춰질 때 상부 유닛으로부터 제 2 접속부과 각각 압찹 접촉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평면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 유닛에서 제공되는 터미널 피팅(fitting)의 제 2 접속부는 상부 유닛 및 터미널 유닛이 서로 맞물릴 때 상부 유닛에 제공되는 평면 전극과 각각 압착시킨다. 그러므로, 터미널 유닛 및 상부 유닛은 서로 정확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게다가, 평면 전극 자체는 감소된 수직 사이즈를 가진다. 평면 전극은 제 2 접속부에 접속될 때 유닛의 제 2 접속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그러므로, 유닛은 각각 유닛의 축에 수직으로 측정되는 것처럼 감소된 사이즈를 가진다.
평면의 전극은 유닛의 제 2 접속부 축방향으로 각각 마주본다. 그러므로, 제 2 접속부는 예를 들면, 유닛이 서로로부터 해제되기 위해 개별적으로 들어올려질 때 외부 힘이 유닛 축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되면 제 2 접속부는 초과 압력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로서, 터미널 피팅(접속 구조)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더 높은 확실성을 보증한다. 게다가, 전기 코드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 피팅의 제 1 접속부는 더 낮은 위치에서 각각 배치되고, 평면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부는 상부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므로, 터미널 유닛 및 상부 유닛이 서로 접속될 때 터미널 피팅을 가지는 전기 코드의 간섭이 억제된다. 그 결과로서, 간섭으로 인해 전기 코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더 높은 확실성을 보증한다.
본 발명에서, 터미널 유닛은 그 중앙부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통구멍을 가진다. 전기 코드는 관통 구멍을 통하여 터미널 유닛의 바닥으로부터 터미널 유닛의 위를 향하여 삽입되고 터미널 유닛으로 아래를 향하여 180도 구부러진다. 그 다음에, 심선은 제 1 접속부에 각각 접속되기 위해 아래를 향하게 된다. 제 1 접속부는 전기 코드의 심선을 각각 수용하기 위해 탄력있게 수평으로 변위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서 제 1 접속부는 그 탄성에 의해 각 심선을 임의로 유지할 수 있고, 그러므로 심선에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관통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전기 코드에 관하여 상면으로부터 제 1 접속부에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는 전기 코드를 접속하기 쉽다. 이것은 제 1 접속부에 전기 코드를 접속하는 접속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터미널 피팅 각각의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는 소정의 형태 로 단일 금속판을 스탬핑하고 스탬핑된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단일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터미널 피팅은 단순화된 구조를 각각 가짐으로써 사이즈 감소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서 절연 재료의 슬라이더는 수평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제 1 접속부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슬라이더는 전기 코드의 심선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세스(recess)부, 및 슬라이더가 아래를 향하여 이동될 때 심선을 수용하는 제 1 접속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갭을 확장하기 위해 제 1 접속부를 탄력있게 수평으로 변위시키는 가이드 리세스부의 양측의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심선 수용 갭은 아래를 향하여 이동된 슬라이더로 확장된다. 가이드 리세스부에 의해 안내되는 전기 코드의 코어드 와이어는 갭으로 매끄럽게 도입됨에 따라 전기 코드는 제 1 접속부로 쉽게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기 코드의 말단부의 시스(sheath)의 침임을 방지하는 방지 단계는 심선 수용 갭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제 1 접속부 및 전기 코드의 시스 사이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갭으로의 시스의 침입은 방지된다. 결과로서, 제 1 접속부과 전기 코드의 심선 사이의 확실한 접촉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슬라이더는 터미널 유닛의 절연체와 맞물리 수 있고 제한부는 소정의 범위 내에 슬라이더의 수직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실린더의 해제를 방지하고 제 1 접속부 및 전기 코드 사이에 탄력있는 접촉을 보증하기 위해 아래를 향하여 슬라이더가 과도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슬라이더의 변위 범위에 신중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없이 슬라이더를 작동시키고 전기 코드를 제 1 접속부에 접속하는 것을 쉽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제 2 접속부는 그 말단부에 접촉부를 가지는 전극 플레이트부, 및 전극 플레이트부를 전극 플레이트부의 접촉부가 최상의 위치에 배치되기 위해 전극 플레이트부의 표면을 따라 탄력있게 수평으로 배치가능한 방식으로 전극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전극 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구부러진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전극 플레이트부는 구부러진 지지부에 의해 탄력있게 지지되고, 그러므로 초과 압력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접속 구조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전극 플레이트부는 라운드 코너를 가지는 삼각형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고, 구부러진 지지부는 S자형 얇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라운드 코너를 가지는 삼각형 전극 플레이트부는 들어올리는 힘이 평면 전극과의 접속에서 전극 플레이트부를 가지는 유닛에 가해졌을 때에도 걸리는 것없이 평면 전극에 관련하여 매끄럽게 배치된다. 결과로서, 전극 플레이트부가 불필요한 압력을 받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접속 구조의 손상을 방지한다. 들어올리는 힘이 유닛에 작용할 때 삼각형 플레이트부가 배치될 때에도 S자형 얇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지지부가 선형의 얇은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된다. 이것은 접속 구조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 유닛은 터미널 유닛의 상부 주위에 끼워맞춰질 그 하부에 제공되는 터미널 유닛 수용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평면 전극은 아래를 향하여 마주보는 리세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평면 전극은 상부 유닛이 분리될 때 오염될 여지가 적다. 상부 유닛이 다시 터미널 유닛에 부착될 때 유닛은 서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 터미널 유닛은 상부 유닛과 맞물리게 될 제 1 하우징, 및 터미널 피팅을 유지하면서 제 1 하우징에 수용되는 절연체의 제 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더 큰 사이즈의 신호 표시등 및 더 작은 사이즈의 신호 표시등은, 예를 들면 다른 제 1 하우징을 사용하는 동안 제 2 하우징을 공유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표시등은 상기 발명의 양상 중 어느 것에 의한 필러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표시등은 발명의 필러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신호 표시등(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러 형태를 가지고 수직 방향(Z1,Z2)으로 연장되는 그 장축을 가지며 대상, 예를 들면 자동 머신의 메인 바디(2)의 상면에 배치된다. 신호 표시등(1)은 수직 이외의 방향에서 연장되는 그 장축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 실시형태는 신호 표시등(1)가 수직 방향(Z1,Z2)으로 연장되는 그 장축을 가지며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신호 표시등(1)는 자동 머신의 메인 바디(1)에 부착되는 터미널 유닛(3), 및 유닛(3)에 접속되는 신호 표시등 바디(4)를 포함한다.
신호 표시등 바디(4)는 그 윗 부분에 제공되는 커버(5), 광 신호를 조사하는 다수의 표시 유닛(6)[예를 들면, 3개 표시 유닛(6)], 및 표시 유닛(6)에 전력을 공급하는 그 바닥 부분에 제공되는 베이스 유닛(7)[이하, "상부 유닛(7)"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신호 표시등(1)에서 커버(5), 복수의 표시 유닛(6) 및 베이스 유닛(7)은 겹쳐 쌓은 관계로 신호 표시등(1)의 다른 하나에 접속된다. 게다가, 터미널 유닛(3)은 베이스 유닛(7)의 하단부에 접속된다.
커버(5), 표시 유닛(6) 및 베이스 유닛(7)은 각각 예를 들면, 속이 빈 원통형을 가진다. 다른 것에 하나를 축으로 겹쳐 쌓는 그러한 부재에 관하여 그러한 원통형 부재의 축(S0)은 신호 표시등(1)의 장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처럼 서로 중심을 맞춘다. 장축은 커버(5), 표시 유닛(6) 및 베이스 유닛(7)이 겹쳐 쌓이는 겹쳐 쌓은 방향에 대응된다. 아래에서 축(S0)이 연장되는 방향은 유닛 축 방향(Z0)이라고도 한다. 게다가, 각 원통형 유닛의 원주 방향 및 방사 방향은 간단히 각각 "원주 방향" 및 "방사 방향"으로도 말할 것이다.
터미널 유닛(3)은 메인 바디(2)에 고정되고 메인 바디(2)와 신호 표시등 바디(4) 사이에 삽입된다. 신호 표시등 바디(4)는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터미널 유닛(3)에 접속된다.
메인 바디(2)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코드(8)는 터미널 유닛(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전기 코드(8)는 신호 전송용 전기 코드 및/또는 전력 공급용 전기 코드일 수 있다. 메인 바디(2)는 터미널 유닛(3)을 통하여 신호 표시 바디(4)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신호 및 전력은 메인 보드(2)로부터 신호 표시등 바디(4)로 인가된다.
도 2 및 3를 참조하여 신호 표시등(1)는 신호 표시등 바디(4)의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 사이의 기계적 접속을 위하여 기계적 접속 구조(9)를 가진다. 접속 구조(9)는 필러 구조의 일부이다. 접속 구조(9)는 요구되는 것처럼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을 기계적으로 접속시키고 유닛(3 및 7)을 서로 기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신호 표시등(1)는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전기적 접속 구조(10)를 더 가진다. 전기적 접속 구조(10)는 필러 구조로도 포함된다. 접속 구조(9)는 전기적 접속을 성립하고 전기적 접속 구조(10)는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성립한다. 반면에, 접속 구조(9)가 유닛(3 및 7)을 서로 기계적으로 분리하면 전기적 접속 구조(10)는 유닛(3 및 7)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전기적 접속 또는 분리는 기계적 접속 또는 분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간단히 성취될 수 있다.
도 2, 3 및 4르 참조하여 상부 유닛(7)은 하우징(11), 하우징(11)에 의해 유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제공되는 복수의 평면 전극(접속 전극)(13)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은 관형 형태를 가진다. 하우징(11)은 그 하부에 형성되는 터미널 유닛 수용 리세스(11b)를 가진다. 리세스(11b)는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개방되고 터미널 유닛(3)의 상부(돌출부)(3a)를 수용한다. 리세스(11b)는 내주면을 가 진다. 터미널 유닛(3)의 상부(3a)의 외주면은 리세스(11b)의 내주면과 맞물리게 된다. 보다 명확하게, 터미널 유닛(3)의 외주면 상의 돌출부(3b)는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이 축 방향(Z0)으로 서로 맞물린 후에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이 원주 방향(T)으로 서로 관련하여 회전함으로써 상부 유닛(7)의 내주면에서 리세스(11c)와 맞물리게 된다. 그러므로, 유닛(3 및 7)은 서로 맞물려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나사에 의해 하우징(11)의 하부(11a)에서 리세스(11b) 내에 고정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는 디스크 형태를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형태는 디스크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부분적인 디스크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은 하우징(11)의 적어도 외주(11d)를 따라 연장되는 도넛 형태일 수 있다. 상부 유닛(7) 및 터미널 유닛(3)은 서로 분리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저면은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노출된다.
평면 전극(13)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저면(12a)에 프린팅됨으로써 형성되는 동박 패턴을 도금함으로써 각각 형성된다. 이것은 특정 이용 환경에서 전기적 확실성을 보증하는 추가적인 구조를 제공할 필요를 없앤다. 평면 전극(13)은 베이스 플레이트(12)와 개별적으로 금속판(도시되지 않음)을 준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금속판을 고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다시 참조하여 터미널 유닛(3)은 단일 하우징(14) 및 복수의 터미널 피팅(15)[예를 들면, 7개의 터미널 피팅(15)]을 가진다. 터미널 유닛(3)은 복 수의 슬라이더(16)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더(16)는 전기 코드(8)가 각 터미널 피팅(15)에 접속될 때 전기 코드(8)을 안내하는 각 터미널 피팅(15)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하우징(14)은 제 1 하우징(17) 및 제 2 하우징(18)을 포함한다. 적어도 제 2 하우징(18)은 수지 재료(절연체)로 이루어지지만 제 1 하우징(17)은 합성 수지 재료(절연체)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하우징(17)은 메인 바디(2)에 고정되고 상부 유닛(7)을 지지한다. 게다가, 제 2 하우징(18)은 제 1 하우징(17)에서 차례로 끼워진다. 환상 형태의 제 1 하우징(17)의 상부는 터미널 유닛(3)의 상부(3a)를 형성하고 상부 유닛(7)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로서 이용되는 외주면 및 단부면을 가진다.
제 1 하우징(17)은 위를 향하는 방향(Z1)으로 개방되는 리세스 부분(17a)을 가진다. 리세스부(17a)는 내주면 및 바닥벽을 가진다. 제 2 하우징(18)은 리세스부(17a)에서 수용되고 리세스부(17a)에 의해 축 방향(Z0) 및 원주 방향(T)과 관련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7) 및 제 2 하우징(18)은 나사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게다가, 제 1 하우징(17)은 메인 바디(2)에 고정된다.
도 5, 6 및 7를 참조하여 제 2 하우징(18)은 둘러싸인 상태로 터미널 피팅(15)을 유지함으로써 터미널 피팅(15)을 서로 보호하고 분리한다. 게다가, 제 2 하우징(18)은 전기 코드(8)를 보호하기 위해 전기 코드(8)를 둘러싼다. 제 2 하우징(18)은 환상 형태를 가지고 수직 방향(Z1,Z2)으로 그 중앙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명(18a)(제 1 내부), 및 관통 구멍(18a)의 상부(Z1)측에 형성되는 수용실(18b)를 포함한다. 수용실(18b)은 관통 구멍(18a)로 연통되고 전기 코드(8)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구멍(18a)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도 2, 3 및 6을 참조하여 메인 바디(2)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전기 코드(8)는 수용실(18b)로 제 1 하우징(17)의 바닥에서 형성되는 관통 구멍(도시되지 않음) 및 제 2 하우징(18)의 관통 구멍(18a)을 통과하고 아래를 향하여 180도 구부려진다. 전기 코드(8)의 말단부는 아래를 향하게 된다.
접속 구조(9)는 상부 유닛(7)의 하부(11a)의 리세스(11b)의 내주면(맞물림 부분), 및 제 1 하우징[터미널 유닛(3)의 사부(돌출부)(3a)]의 외주면(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한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에 관하여 상부 유닛(7)은 터미널 유닛(3)의 상위 단부면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축 방향(Z0) 및 원주 방향(T)에 관련한 유닛(3,7)의 상대적인 위치는 제한되고 전기적 접속부[평면 전극(13) 및 터미널 피팅(15)에 대응하는]는 서로 접속되기 위해 마주보는 관계로 짝지어진다.
즉, 평면 전극(13)은 상부 유닛(7)이 터미널 유닛(3)에 끼워맞춰질 때 제 2 접속부(15b)를 압착하기 위해 수직 방향(Z1,Z2)으로 대응하는 터미널 피팅(15)의 제 2 접속부(15b)(수술됨)를 마주봄으로써 제 2 접속부(15b)와 전기적 접속도 성취한다.
게다가, 접속 구조(9)는 유닛(3,7)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로서도 이용되는 맞물림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돌출부(3b) 및 리세스(11c)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유닛(3,7)이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닛(3,7)의 축의 상대적 이동은 제한된다.
도 5, 8 및 10을 참조하여 제 2 하우징(18)은 터미널 피팅(15)에 유지되는 복수의 피팅 유지 구멍(유지부)(19), 슬라이더(16)를 보유하는 복수의 홀더부(20), 및 고정 삽입 구멍(21)을 가진다.
삽입 구멍(21)은 제 2 하우징(18)을 통하여 수직 방향(Z1,Z2)으로 연장된다. 볼트(도시되지 않음)는 삽입 구멍(21)으로 삽입되고 메인 바디(2)에 제 1 및 제 2 하우징(17,18)을 함께 고정한다.
피팅 유지 구멍(19)은 터미널 피팅(15)와 관련하여 가각 제공되고 수직 방향(Z1,Z2)으로 제 2 하우징(2)을 통하여 연장된다. 피팅 유지 구멍(19)은 원주 방향(T)으로 소정의 간격에서 각각 서로의 제 2 하우징(18)의 외주부(18c)에서 제공된다. 피팅 유지 구멍(19)은 방사상으로 측정되도록 더 큰 폭을 가지고 하부(Z2) 위치에서 제공되는 제 1 챔버(19a), 및 슬릿 형태를 가지고 높은쪽에서 제공되는 제 2 챔버를 각각 가진다.
제 1 챔버(19a)는 위를 향하는 방향(Z1)으로 개방된다. 제 1 챔버(19a) 및 제 2 챔버(19b)는 서로 연통된다.
제 2 챔버(19b)는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개방되고 제 1 하우징(17)에 의해 폐쇠된다. 제 1 챔버(19a)는 연통 구멍(22)을 통하여 수용실(18b)과 연통한다. 연통 구멍(22)은 수직 방향(Z1,Z2)으로 연장되는 것처럼 수용실(18b)의 바닥벽에서 제공된다. 연통 구멍(22)의 수직적으로 중간 부분은 다른 하나의 독립체인 작은 구멍(22a,22b,22c)으로 분리된다.
홀더부(20)는 수용실(18b)의 내주에서 제공되고 서로 바주보는 가이드 글루브(20a)의 쌍, 및 연통 구멍(22)을 각각 가진다. 가이드 글루브(22a)의 쌍은 서루 마주본다. 홀더부(20)는 수직 방향(Z1,Z2)으로 슬라이더(16)의 이동을 각각 안내한다. 홀더부(20)는 다른 방향으로의 슬아이더(16)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직 방향(Z1,Z2)으로 변위가능하게 슬라이더(16)을 보유한다.
도 5, 6 및 7를 참조하여 터미널 피팅(15)은 제 1 접속부(15a), 제 2 접속부(15b), 및 제 1 및 제 2 접속부(15a,15b)를 서로 지지하고 접속하는 바디부(15c)를 각각 가진다. 제 2 접속부(15b)는 상부 유닛(7)의 평면 전극(접속 전극)(13)과 접촉하게 한다. 제 1 접속부(15a)는 전기 코드의 심선(8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코드(8)는 터미널 유닛(3)에서 중안 관통 구멍(18a)으로부터 수용실(18b)로 연장된다. 전기 코드(8)는 심선(8a), 및 심선(8a)을 시스하는 시스(8b)를 각각 포함한다. 심선(8a)은 그 말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되는 시스(8b)의 부분과 함께 전기 코드(8)의 말단부(8c)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심선(8a)의 노출된 부분은 제 1 접속부(15a)에 접속되기 위해 아래를 향하게 된다. 심선(8a)의 사이드부는 제 1 접속부(15a)의 단부(접촉부)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제 1 접속부는 심선(8a)이 위를 향하여 물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로서 전기적 접속 기능을 성취한다. 대안으로, 심선(8a)의 말단부는 제 1 접속부(15a)의 측면(접촉부)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1A, 11B 및 11C를 참조하여 터미널 피팅(15)의 제 1 접속부(15a), 제 2 접속부(15b) 및 바디부(15c)는 소정의 형태로 단일 금속판(도체)을 스탬핑하고 스 탬핑된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단일 부재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제 1 접속부(15a), 제 2 접속부(15b) 및 바디부(15c)는 단일 금속판 부재(단일 부재)로서 제공된다.
제 1 접속부(15a)는 전기 코드(8)의 심선(8a)을 수용하기 위해 탄력있게 수평으로 변위가능하다. 즉, 제 1 접속부(15a)는 전극 플레이트부(15a1), 및 구부러진 지지부(15a2)를 포함한다. 구부러진 지지부(15a2)는 S자형의 구부러진 플레이트부이다. 구부러진 플레이트부의 일단부는 바디부(15c)에 접속되고 구부러진 플레이트부의 타 단부는 전극 플레이트부(15a1)에 접속된다. 구부러진 지지부(15a2)는 전극 플레이트부(15a1)를 캔틸레버하기 위해 전도 플레이트부(15a1)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속적으로 구부러진다. 게다가, 전극 플레이트부(15a1)가 방사 방향으로 탄력있게 변위가능하게 될 그 상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구부러지도록 탄력있게 변형가능하다. 구부러진 지지부(15a2)는 전극 플레이트부(15a1)가 탄력있는 변형에 의해 생성된 탄력있는 반발력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안을 향하여 배치된 심선(8a)과 압착되게 한다.
제 2 접속부(15b)는 전극 플레이트부(15b1) 및 구부러진 지지부(15b2)를 포함한다.
전극 플레이트부(15b1)는 라운드 코너(15b3)를 가지는 삼각형 플레이트부이다. 전극부(15b1)는 라운드 코너(15b3)의 가장자리에 접촉부를 가진다.
구부러진 지지부(15b2)는 S자형 얇은 부분이다. 얇은 부분의 일단부는 바디부(15c)에 접속되고, 얇은 부분의 타단부는 전극 플레이트부(15b1)에 접속된다. 구 부러진 지지부(15b2)는 전극 플레이트부(15b1)의 접촉부가 최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전극 플레이트부(15b1)를 캔틸레버하기 위해 전극 플레이트부(15b1)의 하부(Z2) 부분에 연속된다. 게다가, 구부러진 지지부(15b2)는 탄력있게 변형가능함으로써 전극 플레이트부(15b1)가 전극 플레이트부의 표면을 따라 수직 탄력있게 방향(Z1,Z2)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전극 플레이트부(15b1)를 지지한다. 게다가, 구부러진 지지부(15b2)는 전극 플레이트부(15b1)가 탄력있는 변형에 의해 생성된 탄력있는 반발력에 의해 평면 전극(13)과 압착되게 한다.터미널 피팅(15)이 하우징(11)에 장착될 때 전극 플레이트부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은 여기서 원주 방향(T)에 대응한다.
바디부(15c)는 피팅 유지 구멍(19)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제 1 접속부(15a)는 방사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탄력있게 지지되고, 제 2 접속부(15b)는 그 말단 코너(15b3)가 수직 방향(Z1,Z2)으로 변위가능하도록 탄력있게 지지된다.
터미널 유닛(3)이 상부 유닛(7)에 접속되지 않은 도 2 및 6을 참조하여 전극 플레이트부(15b1)의 상부 및 다른 인접한 부분은 터미널 유닛(3)의 상면(3c)으로부터 큰 범위로 돌출된다. 서로 접속된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에 관하여 말단 코너(15b3)는 터미널 유닛(3)의 상면(3c)으로부터 작은 범위로 돌출되고 상부 유닛(7)의 평면 전극(13)에 접촉된다.
제 1 접촉부(15a)는 하부(Z2)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접속부(15b)는 상부(Z1) 위치에 배치된다. 제 1 접속부(15a) 및 제 2 접속부(15b)는 제 2 하우징(18)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반면에, 제 1 접속부(15a) 및제 2 접속 부(15b)를 제외한 터미널 피팅의 부분, 예를 들면 바디부(15c)는 제 2 하우징(18)에서 둘러싸인다. 게다가, 제 2 하우징(18)은 제 2 접속부(15b)의 구부러진 지지부(15b2)를 둘러싼다.
도 7, 12 및 13을 참조하여 슬라이더(16)는 제 1 접속부(15a)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수직으로(Z1,Z2)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홀더부(20)에서 각각 유지된다. 슬라이더(16)는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에서 수동으로 압착될 수 있다. 압력이 슬라이더(16)에 가해지지 않을 때 슬라이더는 수용 터미널 피팅(!5)의 제 1 접속부(15a)의 탄력있는 반발력에 의해 위를 향하는 방향(Z1)으로 치우친다.
슬라이더(16)는 가이드 리세스부(16a) 및 한 쌍의 레그(16b)를 각각 가진다. 가이드 리세스부(16a) 및 한 쌍의 레그(16b)는 합성 수지(절연 물질)로 형성된 단일 부재로서 제공된다. 슬라이더(16)는 제 2 하우징(18)의 홀더부(20)에서 각각 유지된다.
가이드 리세스부(16a)는 전기 코드(8)가 제 1 접속부(15a)에 접속될 때 전기 코드(8)의 말단부(8c)에서 노출되는 심선(8a)을 안내한다. 심선(8a)이 상부(Z1)측에서 하부(Z2)측으로 안쪽을 향하게 구부러진 표면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 리세스부(16a)는 급류와 같이 안쪽을 향하게 구부러진 표면을 가지고, 방사 방향으로 안쪽을 향하게, 그리고 수직 방향(Z1,Z2)으로 개방된다.
가이드 글루부(20a)와 각각 맞물리는 선형 돌출부(16c)(맞물림 부분)는 가이드 리세스부(16a) 뒤에 제공된다. 가이드 글루브(20a)와의 맞물림에서 선형 돌출부(16c)에 관하여 홀더부(20)는 수직 방향(Z1,Z2)으로의 슬라이더(16)의 이동을 허 용하고 방사 방향 및 원주 방향(T)으로의 슬라이더(16)의 이동을 제한한다.
슬라이더(16)의 상면은 선형 리세스(16d)(동작부)를 가진다. 선형 리세스(16d)는 툴(tool)(23)과 맞물리기 위해 제공된다. 슬라이더(16)가 어셈블링에서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프레스될 때 툴(23)(예를 들면, 스크류 드라이버)의 첨단이 선형 리세스(16d)에서 끼워맞춰진다. 그러므로, 슬라이더(16)는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프레스된다.
도 7, 8, 12 및 13을 참조하여 레그(16b)는 리세스부(16a)의 양측의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레그(16b)는 삽입 구멍(22)으로 삽입된다. 더 특히, 레그(16b)는 3개의 작은 구멍(22a,22b,22c) 중 외부의 것(22a,22c)으로 각각 삽입된다. 레그(16b)의 말단부는 제 1 챔버(19a)에 배치된다. 슬라이더(16)가 최상의 위치에 위를 향하는 방향(Z1)으로 배치될 때 레그(16b)의 하단부는 전극 플레이트부(15a1)의 상부(Z1)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작은 갭(24)는 제 1 접속부의 전극 플레이트부(15a1) 및 전극 플레이트부(15a1)의 측면에 제 1 챔버(19a)의 마주보는 내부벽부(19c) 사이에 형성된다. 슬라이더(16)가 최하의 위치에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배치될 때 레그(16b)의 말단부는 밖으로 향하는 방사 방향으로 차례로 프레스되는 제 1 접속부(15a)의 전극 플레이트부(15a1)와 인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 1 접속부(15a)의 전극 플레이트부(15a1)는 탄력있게 수평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1 접속부(15a)의의 측면에 형성된 갭(24)은 심선(8a)을 수용하기 위해 연장된다.
도 7, 9, 12 및 13을 참조하여 수직 방향(Z1,Z2)으로의 슬라이더(16)의 변위 는 소정의 범위 내에 제한된다. 제 2 하우징(18)은 제 1 제한부(25) 및 제 2 제한부(26)을 가진다. 슬라이더(16)는 제 1 제한부(27) 및 제 2 제한부(28)를 가진다.
제 2 하우징(18)의 제 1 제한부(25) 및 제 2 제한부(26)는 제 2 하우징(18)과 일체된다. 제 1 제한부(25)는 삽입 구멍(22)의 측벽에 스텝으로서 제공된다. 제 2 제한부(26)는 수용실(18b)의 바닥벽으로서 제공된다.
제 1 제한부(27)는 레그(16b)의 측면에 돌출부(16e)로서 제공된다. 돌출부(16e)는 경사진 저면을 각각 가진다. 레그(16b)가 상부(Z1)측으로부터 연통 구멍(22)으로 삽입될 때 도출부(16e)의 경사진 면이 연통 구멍(22)의 가장자리에 끼워맞춰짐에 따라 레그(16b)는 탄력있게 변형되고 돌출부(16e)는 연통 구멍(22)의 가장자리에 오버라이드(override)된다. 돌출부(16e)가 연통 구멍(22)의 가장자리에 오버라이드된 후 레그(16b)은 그 탄력있는 복구력에 의해 그들의 원래의 상태로 복구된다. 그러므로, 돌출부(16e)의 상면은 가장자리의 상부(Z2)측에 연통 구멍(22)의 측벽에 제공되는 스텝, 예를 들면 제 1 제한부(25)와 맞물리게 된다. 제 2 제한부(28)은 가이드 리세스부(16a)의 저면으로서 제공된다.
제 2 하우징(18)의 제 1 제한부(25) 및 슬라이더(16)의 제 1 제한부(27)는 위를 향하는 방향(Z1)으로 슬라이더(1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인접하여 맞물리게 됨으로써 슬라이더(16)가 위를 향하는 방향(Z1)으로 물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너로서 기능을 한다. 제 2 하우징(18)의 제 2 제한부(26) 및 슬라이더(16)의 제 2 제한부(28)는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슬라이더(1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맞물리게된다. 그러므로, 수직 방향(Z1,Z2)으로의 슬라이더(16)의 변위의 범위는 제한됨으로써 슬라이더(16)의 변위를 제한한다.
도 6, 8 및 9를 참조하여 제 2 하우징(18)은 전기 코드(8)의 말단부(8c)의 시스(8b)의 절연을 방지하기 위해 방지 스텝(29)을 가진다. 방지 스텝(29)은 심선 삽입 갭(24)의 상부(Z1)측에 각각 배치되고 연통 구멍(22)의 2개의 작은 구멍(22a,22b,22c) 중 중간(22b)의 주변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다. 작은 구멍(22b)은 그 상부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고 그 하부에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늘어진 내부 주면을 가진다. 작은 구멍(22b)의 내부 직경(최소 직경)은 심선(8a)의 외부 직경(최대 직경)보다 크고 시스(8b)의 외부 직경(최대 직경)보다 작아진다. 그러므로, 보호 스템(29)은 시스(8b)의 삽입을 방지하면서 심선(8a)의 삽입을 허용한다.
도 6, 12 및 13을 참조하여 심선(8a)이 제 1 접속부(15a)의 전극 플레이트부(15a1)에 접속될 때 심선(8a)은 슬라이더(16)의 가이드 리세스부(16a)를 통하여 상부(Z1)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연통 구멍(22)에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배치되며, 그 다음에 연통 구멍(22)의 중간의 작은 구멍(22b)으로 삽입된다. 전기 코드가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이동되는 것처럼 슬라이드(16)는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배치된다. 슬라이드(16)가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배치될 때 갭(24)은 상술된 바와 같이 연장된다. 그러므로, 심선(8a)은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매끄럽게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코드(8)가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더 이동될 때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의 전기 코드(8)의 시스(8b)의 변위는 방지 스텝(29)에 의해 최종적으로 방지된다. 그러므로, 전기 코드(8)의 변위도 방지된다. 이때, 심선(18a)은 제 1 접속부(15a)의 측면에 배치된다. 전기 코드(1)의 이 동이 정지될 때 슬라이더(16)는 제 1 접속부(15a)의 탄력있는 복구력에 의해 아래를 향하는 방향(Z1)으로 물러난다. 그 다음에, 심선(8a)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플레이트부(15a1) 및 대향하는 내부벽부(19c) 사이에 탄력있게 보유된다.
상술된 것 이외에 슬라이더(16)는 갭(24)의 확장된 부분으로 심선(8a)을 삽입하기 위해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수동으로 프레스될 수 있다. 슬라이더(16)를 프레스하기 위해 가해진 힘은 이러한 상태에서 해방되어 심선(8a)은 전극 플레이트부(15a1) 및 대향하는 내부벽부(19c) 사이에 탄력있게 샌드위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한 신호 표시등(1) 필러 구조는 터미널 유닛(3) 및 터미널 유닛(3)에 끼워맞춰진 상부 유닛(7)을 포함한다. 터미널 유닛(3)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는 복수의 터미널 피팅(15)을 외주부(18c)에 포함한다. 터미널 피팅(15) 각각은 터미널 유닛의 중앙부로부터 삽입되는 전기 코드(8)의 말단부(8c)에서 노출되는 심선(8a)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제 1 접속부(15a), 및 상부 유닛(7)의 접속 전극[평면 전극(13)]과 접촉될 제 2 접속부(15b)를 포함한다. 제 1 접속부(15a)는 하부(Z2) 위치에서 배치되고, 제 2 접속부(15b)는 상부(Z1) 위치에서 배치된다. 제 1 접속부(15a) 및 제 2 접속부(15b)을 제외한 터미널 피팅(15) 각각의 부분은 터미널 유닛(3)의 제 2 하우징(18)(절연체)으로 둘러싸여진다. 제 2 접속부(15b)는 수직으로(Z1,Z2)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터미널 유닛(3)의 상면(3c)으로부터 돌출된다. 상부 유닛(7)은 적어도 그 외주(11d)를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 및 상부 유닛(7)이 터미널 유닛(3)에 끼워맞춰질 때 상부(Z1)측으로부터 제 2 접속부(15b)와 각각 압착될 베이 스 플레이트(12)의 저면(12a)에 제공되는 복수의 평면 전극(13)(접속 전극)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터미널 유닛(3)에 제공된 터미널 피팅(15)의 제 2 접속부(15b)는 상부 유닛(7) 및 터미널 유닛(3)이 서로 맞물릴 때 상부 유닛(3)에 제공되는 평면 전극(13)과 각각 압착하게 된다. 그러므로,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은 서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게다가, 평면 전극(13)은 제 2 접속부(15b)에 접촉하기 위해 유닛 축 방향(Z0)으로 제 2 접속부(15b)와 각각 대향한다. 그러므로, 제 2 접속부(15b)는 외부 힘이 유닛 축 방향(Z0)에 수직으로 적용될 때, 예를 들면 유닛(3,7)이 서로 해제되기 위해 분리될 때 초과 압력을 받는 것이 각각 방지된다. 결과로서, 터미널 유닛(15)(접속 구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높은 확실성을 보증한다.
게다가,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이 서로 접속될 때 터미널 피팅(15)의 전기 코드(8)의 간섭이 억제된다. 결과로서, 전기 코드(8)는 간섭으로 이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확실성을 보증할 수 있다.
터미널 피팅(15)이 절연체로 구성된 제 2 하우징(18)으로 둘러싸였기 때문에 전기 코드(8) 및 터미널 피팅(15)의 간섭은 더 억제된다. 전기 코드(8)가 상부 유닛(7)의 평면 전극에 의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은 없다. 그 결과로서, 전기 코드(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평면 전극(13)은 수직 방향(Z1,Z2)에서 측정되는 것처럼 작은 사이 즈를 각각 가진다. 평면 전극(13)은 유닛 축 방향(Z0)으로 제 2 접속부(15b)와 각각 일직선이 되므로 유닛(3,7)은 유닛 축 방향(Z0)과 수직으로 측정되는 것처럼 작은 사이즈를 각각 가진다.
다시 말해, 다루기 쉬움 및 더 큰 사이즈 구성요소는 전기적 접속 구성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유닛(3 및 7)의 용이한 접속 및 분리를 보증한다. 게다가, 이것은 유닛(3,7)에서 수행되는 코드 루팅(routing) 및 접속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터미널 유닛(3)은 수직 방향(Z1,Z2)으로 그 중앙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18a)을 가진다. 전기 코드(8)는 관통 구멍(18a)을 통하여 터미널 유닛(3)의 바닥(3d)으로부터 터미널 유닛(3)의 위를 향하여 삽입되고 터미널 유닛(3)의 아래를 향하여 180도 구부러진다. 그 다음에, 전기 코드(8)의 말단부(8c)에서 노출되는 심선(8a)은 제 1 접속부(15a)에 각각 접속되기 위해 아래를 향하게 된다. 제 1 접속부(15a)는 전기 코드(8)의 말단부(8c)에서 노출되는 심선(8a)을 각각 수용하기 위해 탄력있게 수평 방향(X)으로 변위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서, 제 1 접속부는 그 탄성에 의해 각 심선(8a)을 임의로 유지함으로써 심선(8a)에 확실하게 탄성있게 접속된다. 관통 구멍(18a)을 통하여 삽입된 전기 코드(8)에 관하여 상부(Z1)측으로부터 제 1 접속부(15a)에 아래를 향하게 되는 전기 코드(8)를 접속하는 것은 쉽다. 이것은 제 1 접속부(15a)에 전기 코드(8)를 접속하는 접속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전기 코드(8)는 예를 들면, 접속 후에 관통 구멍(18a)으로 부분적으 로 밀어낼 수 있다. 이것은 터미널 유닛(3)에서의 전기 코드(8)의 위를 향하는(Z1) 돌출부가 억제되기 때문에 전기 코드(8)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터미널 피팅(15) 각각의 제 1 접속부(15a) 및 제 2 접속부(15b)는 소정의 형태로 단일 금속판을 스탬핑하고 스탬핑된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단일 부재로서 제공된다. 이것은 터미널 피팅(15)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게다가, 제 1 접속부(15a)는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므로, 심선(8a)을 유지하는 제 1 접속부(15a)의 탄성력은 금속판의 탄성을 이용한 단순한 구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절연 물질의 슬라이더(16)는 수직으로(Z1,Z2)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인접한 제 1 접속부(15a)가 각각 제공된다. 슬라이드(16)는 전기 토드(8)의 말단부(8c)에서 노출되는 심선(8a)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세스부(16a), 및 슬라이더가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배치될 때 심선(8a)을 수용하는 제 1 접속부(15a)의 측면에 형성되는 갭(24)을 연장하기 위해 제 1 접속부(15a)을 탄력있게 수평 방향(X)으로 변위시키는 가이드 리세스부(16a)의 양측의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연장되는 레그(16b)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심선(8a)을 수용하는 갭(24)은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으로 배치된 슬라이더(16)와 함께 연장된다. 가이드 리세스부(16a)에 의해 안내되는 전기 코드(8)의 심선(8a)은 갭(24)으로 매끄럽게 도입됨에 따라 전기 코드(8)는 제 1 접속부(15a)에 쉽게 접속될 수 있다. 즉, 제 1 접속부(15a)가 갭(24)에서 배치되는 전기 코드(8)와 함께 제 1 접속부(15a)의 탄성에 의해 수평 방향(X)으로 배치될 때 슬라이더(16)는 제 1 접속부(15a)에 전기 코드(8)를 접속하기 위해 위를 향하는 방향(Z1)으로 물러선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 2 하우징(18)은 전기 코드(8)의 말단부(8c)의 시스(8b)의 침입을 방지하는 심선 수용 갭(24)이 각각 위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갭(24)으로의 시스(8b)의 침입은 방지됨으로써 전기 코드(8)의 시스(8b)가 제 1 접속부(15a)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로서, 전기 코드(8)의 심선(8a)은 제 1 접속부(15a)와 확실하게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슬라이더(16)는 터미널 유닛(3)의 제 2 하우징(18)(절연체)과 맞물린다. 제한부(25,26,27,28)는 소정의 범위내에 수직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은 슬라이더(16)의 해제를 방지하고 제 1 접속부(15a) 및 전기 코드(8) 사이의 탄력있는 접촉을 보증하기 위해 아래를 향하는 방향(Z2)(즉, 플라스틱 변형)으로 슬라이더(16)가 과도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슬라이더(16)의 변위 범위에 신중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없이 슬라이더(16)를 작동시키고 전기 코드(8)를 제 1 접속부(15a)에 접속하는 것을 쉽게 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 2 접속부(15b)는 그 말단부에 접촉부[코너부(15b3)]를 가지는 전극 플레이트부(15b1), 및 전극 플레이트부(15b1)의 접촉부를 최상의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전극 플레이트부(15b1)가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 탄력있게 수평 방향(Z1,Z2)으로 배치가능한 방식으로 전극 플레이트부(15b1)를 지지하는 전극 플레이트부(15b1)의 하부(Z2) 단부에 접속되는 구부러진 지지부(15b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전극 플레이트부(15b1)는 구부러진 지지부(15b2)에 의해 탄력 있게 지지되고, 그러므로 초과 압력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터미널 피팅(15)(접속 구조)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전극 플레이트부(15b1)는 라운드 코너(15b3)를 가지는 삼각형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고, 구부러진 지지부(15b2)는 S자형 얇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라운드 코너(15b3)를 가지는 삼각형 전극 플레이트부(15b1)는 들어올리는 힘이 평면 전극(13)과의 접촉에서 전극 플레이트부(15b1)를 가지는 유닛(3,7)에 가해졌을 때에도 평면 전극(13)에 관련하여 매끄럽게 배치된다. 결과로서, 전극 플레이트부(15b1)가 불필요한 압력을 받는 것이 방지하는것이 가능함으로써 접속 구조의 손상을 방지한다. 들어올리는 힘이 유닛에 작용할 때 삼각형 플레이트부가 배치될 때에도 S자형 얇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지지부가 선형의 얇은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된다. 이것은 접속 구조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부 유닛(7)은 터미널 유닛(3)의 상부(3a) 주위에 끼워맞춰질 그 하부(11a)에 제공되는 터미널 유닛 수용 리세스(11b)를 포함하고, 평면 전극(13)은 아래를 향하여 마주보는 것처럼 리세스(11b)에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평면 전극(13)은 상부 유닛(7)이 분리될 때 오염될 여지가 적다. 결과로서, 상부 유닛(7)이 다시 터미널 유닛(3)에 부착될 때 유닛(3,7)은 서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터미널 유닛(3)은 상부 유닛(7)과 맞물리게 될 제 1 하우징(17), 및 제 1 하우징(17)에 수용되고 터미널 피팅(15)을 유지하는 절연체의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더 작은 사이즈 신호 표시등 및 더 큰 사이즈를 가지는 더 큰 사이즈의 신호 표시등은, 예를 들면 다른 제 1 하우징(17)을 사용하는 동안 제 2 하우징(18)을 공유한다.
게다가, 제 2 하우징(18)의 피팅 유지 구멍(19)은 제 1 하우징(17)의 리세스부(17a)의 바닥에 의해 하부측으로부터 폐쇄된다. 그러므로, 터미널 피팅(15) 및 전기 코드(8)의 심선(8a)은 메인 바디(2)와 의도하지 않게 접촉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결과로서, 전기적 확실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쉽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신호 표시등(1)은 상술된 실시형태의 필러 구조(10)를 가지므로 필러 구조(1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효과를 가진다.
다음의 변형은 상술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다. 다음에서 상술된 실시형태와 차이는 주로 설명될 것이고, 같은 구성요소는 같은 참조 부호에 의해 지시될 것이고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어떠한 다른 유닛은 유닛이 신호 지시등 바디(4)의 베이스로서 제공되는 한 상부 유닛(7)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신호 지시등 바디(4)[상부 유닛(7)]는 상술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유닛의 다른 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어떠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유닛, 예를 들면 오디오 신호에 의해 알람을 주는 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닛(5,6,7) 중 몇몇을 제거하거나 유닛(5,6,7)을 단일 유닛으로 결합하는 것도 생각될 수 있다.
제 1 접속부(15a)는 원주 방향(T)으로 원형 배열되지만 제 2 하우징(18)의 중앙부에서 수평 방향(X)에 평행하여 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하우 징(17,18)은 단일 하우징으로서 제공되는 것도 생각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에서 필러 구조(10) 및 접속 구조(9)는 터미널 유닛(3) 및 상부 유닛(7) 사이의 접속을 위해 이용되지만 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터미널 유닛(3)에서 제공되는 것과 유사한 필러 구조(10)의 일부는 대상측에 제공되는 언더라잉(underlying) 유닛에서 제공될 수 있고 상부 유닛(7)에서 제공되는 것과 유사한 필러 구조(10)의 일부는 언더라잉 유닛에 끼워맞춰지는 오버라잉(overlying)에 제공될 수 있다.
접속 구조(9)의 돌출부 및 리세스 사이의 관계를 반대로 하는 것도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미널 유닛(3)의 상부(3a)는 맞물림 리세스를 가질 수 있고 상부 유닛(7)의 하부(11a)는 맞물림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유닛(3,7)은 맞물림 리세스에서 맞물림 돌출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자동 머신의 메인 바디(2)는 터미널 유닛(3)이 고정되는 대상으로서 이용되지만 대상의 다른 예는 다양한 기계 장치와 시설 및 빌딩의 일부를 포함한다. 게다가, 다양한 설계 변경이 추가되는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정신 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신호 표식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S1-S1 부분을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4는 상부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5는 터미널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S6-S6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터미널 유닛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8은 제 2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의 S9-S9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S10-S10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 투시도이다.
도 11A, 11B 및 11C는 각각 도 2에서 나타낸 터미널 피팅의 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최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가지는 터미널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가장 아래 위치에서 각각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가지는 터미널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신호 표시등
3: 터미널 유닛
3a: 터미널 유닛의 상부
3c: 터미널 유닛의 상면
3d: 터미널 유닛의 저면
7: 베이스 유닛(상부 유닛)
8: 전기 코드
8a: 심선
8b: 시스
8c: 전기 코드의 말단부
10: 전기적 접속 구조
11a: 상부 유닛의 하부
11b: 리세스(터미널 유닛 수용 리세스)
11d: 상부 유닛의 외주
12: 베이스 플레이트
12a: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13: 평면 전극(접속 전극)
15: 터미널 피팅
15a: 제 1 접속부
15b: 제 2 접속부
15b1: 제 2 접속부의 전극 플레이트부(삼각형 플레이트부)
15b2: 구부러진 지지부(얇은 부분)
15b3: 삼각형 플레이트부의 코너(전극 플레이트부의 상부, 가장자리, 접촉부)
16: 슬라이더
16a: 가이드 리세스부
16b: 레그
17: 제 1 하우징
18: 제 2 하우징(절연체)
18a: 관통 구멍(터미널 유닛의 중앙부)
18c: 터미널 유닛의 외주부
24: 갭
25, 26, 27, 28: 제한부
29: 방지 스텝
T: (전극 플레이트부의 표면을 따른) 원주 방향
X: 수평 방향
Z1: 위를 향하는 방향(수직 방향)
Z2: 아래를 향하는 방향(수직 방향)

Claims (11)

  1. 터미널 유닛; 및
    상기 터미널 유닛에 끼워맞춰진 상부 유닛을 포함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유닛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는 복수의 터미널 피팅을 그 외주부에서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피팅 각각은 상기 터미널 유닛의 중앙부로부터 삽입된 전기 코드의 말단부에서 노출되는 심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제 1 접속부, 및 상기 상부 유닛의 접속 전극과 접촉될 제 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속부는 하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접속부를 제외한 상기 터미널 피팅 각각의 부분은 상기 터미널 유닛의 상기 절연체로 둘러싸여지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터미널 유닛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 유닛은 적어도 그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부 유닛이 터미널 유닛에 끼워맞춰질 때 상측으로부터 제 2 접속부와 각각 압착될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평면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유닛은 그 중앙부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전기 코드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터미널 유닛의 바닥으로부터 터미널 유닛의 위를 향하여 삽입되고 터미널 유닛의 아래를 향하여 180도 구부러지며, 상기 전기 코드의 심선은 상기 제 1 접속부에 접속되기 위해 아래를 향하게 되고,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전기 코드의 심선을 수용하기 위해 탄력있게 수평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피팅 각각의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는 소정의 형태로 단일 금속판을 스탬핑하고 스탬핑된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단일 부재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절연 재료의 슬라이더는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 1 접속부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전기 코드의 심선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세스부, 및 슬 라이더가 아래를 향하여 변위될 때 심선을 수용하는 상기 제 1 접속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갭을 확장하기 위해 제 1 접속부를 탄력있게 수평으로 변위시키는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의 양측의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방지 스텝은 상기 전기 코드의 말단부의 시스의 침입을 방지하는 심선 수용 갭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터미널 유닛의 절연체와 맞물리고, 상기 제한부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더의 수직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는 그 말단부에 접촉부를 가지는 전극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전극 플레이트부의 접촉부를 최상의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전극 플레이트부가 전극 플레이트부의 표면을 따라 탄력있게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전극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전극 플레이트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구부러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플레이트부는 라운드 코너를 가지는 삼각형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부러진 지지부는 S자형 얇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터미널 유닛의 상부 주위에 끼워맞춰질 그 하부에 제공되는 터미널 유닛 수용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전극은 아래를 향하여 마주보는 리세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유닛은 상부 유닛과 맞물리게 될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 수용되고 터미널 피팅을 유지하는 절연체의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러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KR1020070101583A 2006-10-30 2007-10-09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및 이 구조를 가지는 신호 표시등 KR200800392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4481 2006-10-30
JP2006294481A JP4719123B2 (ja) 2006-10-30 2006-10-30 信号表示灯のピラー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有する信号表示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224A true KR20080039224A (ko) 2008-05-07

Family

ID=3857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583A KR20080039224A (ko) 2006-10-30 2007-10-09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및 이 구조를 가지는 신호 표시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18633B1 (ko)
JP (1) JP4719123B2 (ko)
KR (1) KR20080039224A (ko)
CN (1) CN101173737A (ko)
AT (1) ATE448440T1 (ko)
DE (1) DE60200700317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2531A1 (de) * 2011-12-29 2013-07-04 Werma Holding Gmbh + Co. Kg "Warnleuchtsäule"
NO2662933T3 (ko) * 2012-05-10 2018-03-17
KR20220002289A (ko) * 2019-05-29 2022-0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캔틸레버 전극을 갖는 발광 소자, 그것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7021B1 (fr) 1981-11-23 1986-09-05 Telemecanique Electrique Colonne lumineuse
JPH0745318A (ja) * 1993-07-29 1995-02-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端子台および照明器具
JP3207695B2 (ja) * 1995-01-09 2001-09-10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の電球支持構造
JPH10223343A (ja) * 1997-02-10 1998-08-21 Sony Corp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3660468B2 (ja) * 1997-06-12 2005-06-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
JP3796978B2 (ja) * 1998-09-04 2006-07-12 株式会社パトライト 信号表示灯
EP1146280B1 (de) 2000-04-12 2009-12-09 WERMA Holding GmbH + Co. KG Signalgerät
JP4134748B2 (ja) 2003-02-21 2008-08-20 株式会社パトライト 信号表示灯用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8633B1 (en) 2009-11-11
DE602007003174D1 (de) 2009-12-24
CN101173737A (zh) 2008-05-07
JP4719123B2 (ja) 2011-07-06
ATE448440T1 (de) 2009-11-15
EP1918633A1 (en) 2008-05-07
JP2008112632A (ja)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3317B (zh) 具有触点保护的电连接器
KR101198734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US20100055952A1 (en) Fixture and floating connector using the same
US9941630B2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US9806442B2 (en) Plug connection device
JP2013016410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EP33164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US9673542B1 (en) Poke-i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tact with a base extending through an opening in a bottom of a housing
KR20080039224A (ko) 신호 표시등 필러 구조 및 이 구조를 가지는 신호 표시등
US20090053922A1 (en) Connector for jack
CN107666047B (zh) 连接器
US20210408737A1 (en) Plug connector
CN104682090B (zh) 具有线保持管的电连接器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US9172190B2 (en) Connector
EP3766140A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US11075488B2 (en) Impedance control connector with dielectric seperator rib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TWI740139B (zh) 板端連接器
EP3703195B1 (en) Terminal for connector and connector comprising same
CN215266964U (zh) 线端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EP2293394B1 (en) Connection terminal and AC adapter.
CN111952762B (zh) 板端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