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673A - 핀 고정식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핀 고정식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673A
KR20080035673A KR1020087005245A KR20087005245A KR20080035673A KR 20080035673 A KR20080035673 A KR 20080035673A KR 1020087005245 A KR1020087005245 A KR 1020087005245A KR 20087005245 A KR20087005245 A KR 20087005245A KR 20080035673 A KR20080035673 A KR 20080035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ixing
pair
ben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지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Publication of KR2008003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02Simple pins
    • A44B9/08Tie-p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7/00Cards for buttons, collar-studs, or sleeve-lin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02Simple pins
    • A44B9/10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1/00Fastening by snap action
    • A44D2201/02Fastening by snap action with both stud and socket members made from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1/00Fastening by snap action
    • A44D2201/06Fastening by snap action with an elastic socket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3Article holder attachable to apparel or body
    • Y10T24/1365Pin attached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고정부를 형성한 핀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로서,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단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핀 고정 구멍에 있어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고정구. 본 발명에 의해 핀 삽입력은 작지만 핀 추출력은 크고, 더욱이 간단한 조작으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핀 고정식의 고정구가 제공된다.
Figure 112008015542560-PCT00001
고정구, 핀, 고정재, 스프링재, 고정 구멍, 둘레홈.

Description

핀 고정식의 고정구{Pin-retained clip}
본 발명은 핀과 핀 고정재로 이루어지는 핀 고정식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넥타이핀, 핀 브로우치, 피어싱 귀걸이(pierced earring), 목걸이 등의 장식품의 고정구에 적용되지만, 장식품 이외의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각종 물품의 고정구에도 적용된다.
종래, 예를 들면 피어싱 귀걸이 등의 신체 장식품에서의 핀 고정식의 고정구는 도 1a에 간단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2)을 갖는 핀(1)을 핀 고정구(도시 생략)에 삽입하여, 핀 고정구의 고정부재(3)를 둘레홈(2)에 결합하는 위치로 진입시켜 고정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적절한 조작에 의해 고정부재(3)를 둘레홈(2)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핀 고정구로부터 핀(1)을 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최근의 핀 고정식의 고정구에 있어서는 핀의 둘레홈에 대한 고정부재의 진입과 이탈을, 탄성적인 변형 기능을 가지는 스프링재를 이용하여 행하는 구조가 많다. 통상의 핀 고정구는 작은 사이즈이기 때문에, 스프링재를 이용하는 핀고정 기구에 의해서 고정구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6014
제1종래 기술로서, 상기 문헌 1에서 제안된 귀장신구(피어싱 귀걸이)의 고정구에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4)의 중앙부인 가이드부(5)에 구멍(6)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구멍(6)에는 통형의 가이드 피스(7)를 끼워넣어, 이 가이드 피스(7)의 관통구멍(8)으로부터 핀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판(4)의 주위부에는 가이드홈(10)을 따르는 탄성편(9)을 형성하고 있다. 탄성편(9)은 기판(4)의 뒤쪽으로 완만하게 구부려서, 루프부(11)를 구성하고 있다. 요컨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12)을 기판(4)의 가이드부(5)측으로부터 삽입하여, 그 둘레홈(13)에 루프부(11)를 파고들어가게 하여 핀(12)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다음에, 제2종래 기술로서, 도 3a 및 도 3b에 단면도로 도시하는 핀 고정구도 제안되어 있다. 이 핀 고정구(14)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인 커버(15)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고정부재(16)가 수납되어 있다. 이들 고정부재(16)는 중앙의 핀 삽입부(17)를 중심으로 하여 거의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도시하는 형상의 핀 고정 아암(18)과 누름 아암(19)을 구비하고 있다.
핀 고정 상태에 있어서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쌍방의 고정부재(16)의 누름 아암(19)이 각각 다른 쪽의 고정부재(16)를 반대 방향으로 누르고, 그 결과, 한 쌍의 핀 고정 아암(18)이 핀 삽입부(17)의 방향으로 눌러지고 있다. 그 때문에, 핀 삽입부(17)에 있는 핀(도시 생략)은 한 쌍의 핀 고정 아암(18)에 의해서 고정된다.
핀 고정구(14)로부터 핀을 뽑는 경우는 고정부재(16)로부터 커버(15)의 외측 으로 돌출한 버턴부(20)를 중앙 방향으로 밀어넣는다. 그렇게 하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고정 아암(18)이 각각 누름 아암(19)의 가압력에 맞서서 핀으로부터 이탈하여, 핀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한 제1 및 제2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핀 고정구의 고정부재(즉, 제1종래 기술에서의 루프부(11), 제2종래 기술에서의 핀 고정 아암(18))가 핀의 둘레홈에 대하여 직경 방향(정확히 횡 방향)으로부터 맞닿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핀 삽입력(핀 고정구에 대한 핀의 삽입 시에 요하는 힘)과, 핀 추출력(고정부재의 이탈 조작 없이 핀이 빠지기 위해서 요하는 힘)은 기본적으로 같은 강도가 된다. 따라서, 핀 고정 조작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핀 삽입력을 작게 설정하면, 핀 추출력도 작아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피어싱 귀걸이가 머리카락 등에 걸림으로써, 핀 추출 조작을 하지 않는 데도 핀이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모르는 사이에 피어싱 귀걸이가 탈락하거나, 피어싱 귀걸이를 분실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다음에, 상기한 제1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매우 작은 통형 가이드 피스(7)를 제조하고, 또한, 이것을 기판(4)의 구멍(6)에 끼워넣을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끼워 넣는 부분을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한 제2종래 기술에서는 매우 작고 복잡한 형상의 한 쌍의 핀 고정구(14)를 정확하게 제조하여, 커버(15)에 대하여 부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들 제조 비용 및 부착 비용의 증대가 부득이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핀 고정식의 고정구로서, 핀 삽입력은 작지만 핀 추출력은 크고, 더욱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핀 고정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고정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그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다.
(제1발명)
본원의 제1발명은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하고,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한 것이며,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를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시키는 핀 고정 상태 해제 조작에 대한 스토퍼(stopper)를 형성시킨 고정구이다.
제1발명에 따른 고정구에 있어서는 고정구의 핀 고정 시, 핀 고정재의 삼각형 형상에서의 밑변측으로부터, 꼭지부의 핀 고정 구멍에 대하여 핀을 삽입한다. 그 때, 핀은 핀 고정 구멍으로 돌출한 한 쌍의 고정부재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밀어 젖히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핀의 고정부가 고정부재의 돌출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부재가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여, 핀 고정이 완료한다. 핀의 고정부가 둘레홈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경우, 고정부재가 고정부로 진입할 때는 가벼운 타격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핀 고정 완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부재는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핀의 삽입에 대한 저항은 약하고,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의 빠짐에 대한 저항은 극히 강하다. 즉, 핀 삽입력은 작고 핀 추출력은 크다.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는 핀 고정재의 한 쌍의 경사부의 양단부를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잡고, 단부 간을 압축하도록 힘을 가하는(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시킴)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 조작에 의해, 핀 고정재의 꼭지부가 보다 날카롭게 굽도록 탄성적 변형을 일으키고, 경사부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고정부재가 서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고정부재가 핀의 고정부로부터 이탈하여, 핀 고정재로부터 핀을 뽑을 수 있다.
그리고, 핀 고정재의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를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스토퍼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 해제 조작에서는 스토퍼가 핀에 닿을 때까지, 핀 고정재를 압축 변형시키면 좋다. 그 결과, 핀 고정 상태 해제 조작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되고, 더구나 핀 고정재를 지나치게 압축 변형시키는 것에 의한 꼭지부의 파손이나, 꼭지부의 탄성적 변형능의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발명)
본원의 제2발명은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한쪽 또는 쌍방을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밑변부에서의 상기 핀 고정 구멍의 바로 아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한 고정구이다.
제2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발명에서의 스토퍼에 기초하는 작용·효과를 제외하고, 제1발명과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다음의 작용·효과가 있다. 즉,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과 핀 고정재는 꼭지부의 핀 고정 구멍과 밑변부의 핀 통과 구멍의 2점에서, 서로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 때문에, 핀 고정재가 핀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의 고정구가 불안정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제3발명)
본원의 제3발명은 상기 제2발명에서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쌍방에 상기 밑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한쪽의 밑변부에 설치하고 다른쪽의 밑변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耳片)에 의해, 쌍방의 밑변부를,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서로 구속시킨 고정구이다.
제3발명에 있어서는 한 쌍의 경사부로부터 굴곡 성형한 쌍방의 밑변부가 귀형 부재에 의해서 서로 구속되기 때문에, 핀 고정재의 구조적인 강도가 높다. 또, 쌍방의 밑변부는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의 귀형 부재를 설치하더라도, 제1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핀 고정재의 탄성적 변형을 동반하는 핀 고정 상태의 해제 조작에 지장은 없다.
(제4발명)
본원의 제4발명은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경사부로부터는 각각 짧은변 방향으로 되돌아감 태브(turnback tab)를 돌출시켜 상기 경사부의 표면(상기 삼각형의 외측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고, 이들 한 쌍의 되돌아감 태브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상기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킨 고정구이다.
제4발명에 따른 고정구에서는 제1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박판형 스프링재를 가공하여 간단하게 핀 고정재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종래의 핀 고정재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저비용의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발명의 경우와 비교하여 핀 고정재의 구조가 약간 복잡하지만, 핀 고정 구멍과 고정부재를 박판형 스프링재의 동일 부분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핀 고정 구멍과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이 용이하다.
(제5발명)
본원의 제5발명은 상기 제4발명에서의 되돌아감 태브의 짧은변 방향 선단부에 설치되어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되돌아감 태브의 선단부를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킨 고정구이다.
경사부의 표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한 되돌아감 태브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핀을 핀 고정재에 삽입하는 조작을 할 때마다, 되돌아감 태브를 경사부의 표면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려고 하는 힘을 받는다. 되돌아감 태브가 경사부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 버리면, 양호한 핀 고정 상태를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5발명과 같이 귀형 부재를 사용하여 되돌아감 태브를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켜 두면, 이러한 불량 상태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제6발명)
본원의 제6발명은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경사부로부터는 각각 짧은변 방향으로 되돌아감 태브를 돌출시켜 상기 경사부의 표면(상기 삼각형의 외측 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고, 이들 한 쌍의 되돌아감 태브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상기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한쪽 또는 쌍방을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밑변부에서의 상기 핀 고정 구멍 바로 아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한 고정구이다.
제6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5발명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점에 더하여, 다음의 작용·효과가 있다. 즉,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과 핀 고정재는 꼭지부의 핀 고정 구멍과 밑변부의 핀 통과 구멍의 2점에서, 서로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 때문에, 핀 고정재가 핀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의 고정구가 불안정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제7발명)
본원의 제7발명은 상기 제6발명에서의 되돌아감 태브의 짧은변 방향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되돌아감 태브의 선단부를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킨 고정구이다.
경사부의 표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한 되돌아감 태브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핀을 핀 고정재에 삽입하는 조작을 할 때마다, 되돌아감 태브를 경사부의 표면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려고 하는 힘을 받는다. 되돌아감 태브가 경사부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 버리면, 양호한 핀 고정 상태를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7발명의 같이 귀형 부재를 사용하여 되돌아감 태브를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켜 두면, 이러한 불량 상태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제8발명)
본원의 제8발명은 상기 제6발명 또는 제7발명에서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쌍방에 상기 밑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한쪽의 밑변부에 설치되어 다른쪽 밑변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쌍방의 밑변부를,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서로 구속시킨 고정구이다.
제8발명에 있어서는 한 쌍의 경사부에서 굴곡 성형한 쌍방의 밑변부가 귀형 부재에 의해서 서로 구속되기 때문에, 핀 고정재의 구조적인 강도가 높다. 또, 쌍방의 밑변부는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귀형 부재를 설치하여도, 제1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핀 고정재의 탄성적 변형을 동반하는 핀 고정 상태의 해제 조작에 지장은 없다.
(제9발명)
본원의 제9발명은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의 긴변 방향 단부를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밑변부에서의 상기 핀 고정 구멍 바로 아래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다른쪽의 긴변 방향 단부를 상기 삼각형의 꼭지부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입상부(立上部)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입상부의 선단에 설치한 귀형 부재를 굴곡 성형하여,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선단을 둘러싸는 쉘터(shelter)부재를 형성한 고정구이다.
제9발명에 따른 고정구에서는 제1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박판형 스프링재를 가공하여 간단하게 핀 고정재를 제조할 수 있고, 더구나 종래의 핀 고정재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저비용의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9발명에 있어서는 다음의 작용·효과가 있다.
즉, 첫 번째로서,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과 핀 고정재는 꼭지부의 핀 고정 구멍과 밑변부의 핀 통과 구멍의 2점에서 서로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 때문에, 핀 고정재가 핀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의 고정구가 불안정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두 번째로서, 입상부를 설치하여, 이 입상부에,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선단을 둘러싸는 쉘터부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의 선단이 쉘터부재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 결과, 고정구를 부주의하게 취급하여 핀의 뾰족한 선단이 장착자의 손가락이나 피부에 찔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10발명)
본원의 제10발명은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를 상기 경사부의 표면(상기 삼각형의 외측면)또는 이면(상기 삼각형의 내측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여 핀 고정편을 형성하고, 이들 한 쌍의 핀 고정편의 긴변 방향 단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상기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킨 고정구이다.
제10발명에 따른 고정구에서는 제1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박판형 스프링재를 가공하여 간단하게 핀 고정재를 제조할 수 있고, 더욱이 종래의 핀 고정재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저비용의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발명의 경우와 비교하여 핀 고정재의 구조가 약간 복잡하지만, 핀 고정 구멍과 고정부재를 박판형 스프링재의 동일 부분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핀 고정 구멍과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이 용이하다.
(제11발명)
본원의 제11발명은 상기 제10발명에서의 핀 고정편을 경사부의 표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는 경우에 있어서, 핀 고정편의 짧은변 방향에 설치되어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핀 고정편을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킨 고정구이다.
경사부의 표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한 핀 고정편은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핀을 핀 고정재에 삽입하는 조작을 할 때마다, 핀 고정편을 경사부의 표면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려는 힘을 받는다. 핀 고정편이 경사부의 표면으로부터 일어서 버리면, 양호한 핀 고정 상태를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1발명과 같이 귀형 부재를 사용하여 핀 고정편을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켜 두면, 이러한 불량 상태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2발명)
본원의 제12발명은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를 스프링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베이스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직선형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 또는 쌍방에 상기 고정 베이스를 고정함으로써, 고정 베이스의 고정부재가 상기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또한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로 돌출하도록 구성한 고정구이다.
제12발명에 따른 장식품의 고정구에서는 핀 고정재를 구성하는 스프링 부재와,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베이스를 일체로 성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스프링 부재의 구성 재료는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재료이면 좋고, 굴곡 가공이 가능한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재료 선정이나 고정구의 설계가 용이하다. 또한, 핀 고정재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비용의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구의 핀 고정 시에는 스프링 부재의 삼각형 형상에서의 밑변측으로부터, 꼭지부의 핀 고정 구멍에 대하여 핀을 삽입한다. 그때, 핀은 핀 고정 구멍으로 돌출한 고정부재에 대하여, 이것을 밀어 젖히고자 하는 힘을 미치게 한다. 이 힘은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베이스를 통하여 스프링 부재에 전달되어, 스프링 부재가 얼마간의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핀이 고정부재를 밀어 젖혀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다.
그리고, 핀의 고정부가 고정부재의 돌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한 스프링 부재의 얼마간의 변형이 원래로 되돌아오고, 그 결과로서, 고정부재의 선단부가 원래의 돌출 위치로 복귀하여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여, 핀 고정이 완료한다. 핀의 고정부가 둘레홈 또는 오목부인 경우, 고정부재가 고정부에 결합할 때는 가벼운 타격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핀 고정재의 완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핀 삽입에 대한 저항은 약하고,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 빠짐에 대한 저항은 극히 강하다. 즉, 핀 삽입력은 작고, 핀 추출력은 크다.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는 스프링 부재의 한 쌍의 경사부의 양단부를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잡고, 단부 간을 압축하도록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 조작에 의해, 스프링 부재의 꼭지부가 보다 날카롭게 굽도록 탄성적 변형을 일으키고, 경사부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고정부재가 서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고정부재가 핀의 고정부로부터 이탈하여, 핀 고정재로부터 핀을 뽑을 수 있다.
(제13발명)
본원의 제13발명은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를, 스프링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베이스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직선형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 또는 쌍방에 상기 고정 베이스를 고정함으로써, 고정 베이스의 고정부재가 상기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또한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로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가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밑변부를 갖고, 이들 밑변부의 선단 간에는 일정한 스페이스가 남아 있고, 또한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되는 핀을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부(notch)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이다.
제13발명에 따른 장식품의 고정구에서는 상기 제12발명과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점에 더하여, 다음의 작용·효과가 있다. 즉,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과 핀 고정재는 스프링 부재의 꼭지부의 핀 고정 구멍과 밑변부의 2점에서 서로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 때문에, 핀 고정재가 핀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의 고정구가 불안정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도 1은 핀 고정식의 고정구의 일반적인 구조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핀 고정식의 고정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실시예 1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핀 고정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c는 핀 고정재의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실시예 2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핀 고정재의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실시예 2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도 5b에 도시하는 형판 부재의 변경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a는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 고정재의 꼭지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b는 핀 고정재의 해제 상태에 있는 핀 고정재의 꼭지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c는 고정부재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있어서의 핀 고정재의 꼭지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핀 고정재의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는 실시예 3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b는 실시예 3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는 실시예 4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b는 실시예 4에 따른 핀 고정재의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a는 실시예 5에 따른 핀 고정재의 제 1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b는 제 2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a는 실시예 6에 따른 핀 고정재를, 그 스프링 부재를 평탄하게 전개시킨 상태에서 도시하는 저면도.
도 13b는 도 13a에서의 한 쌍의 고정 베이스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a는 핀 고정 상태에 있는 실시예 6에 따른 핀 고정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b는 핀 고정재의 해제 상태에 있는 실시예 6에 따른 핀 고정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핀 고정 상태에 있는 실시예 6에 따른 핀 고정재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예 7에 따른 핀 고정재의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예 7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측면도.
도 19는 도 18에서의 핀 고정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실시예 8에 따른 핀 고정재의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실시예 8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실시예 9에 따른 핀 고정재의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실시예 9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실시예 10에 따른 핀 고정재의 형판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실시예 10에 따른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다음에, 본원의 제1발명 내지 제13발명의 실시형태를, 그 최량의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간단히 「본 발명」이라고 할 때는 제1발명 내지 제13발명을 전체적으로 가리킨다.
〔고정구의 전체적인 설명〕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 로 이루어지는 핀 고정식의 고정구이다. 그리고,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핀의 고정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또 핀의 고정부는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인 둘레홈은 반드시 핀의 전 둘레에 걸쳐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둘레홈의 깊이는 한정되지 않고, 마찰 저항도 감안하여 고정부재의 결합력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둘레홈이 매우 얕게 형성되거나, 또는, 거의 둘레홈이 확인되지 않을 정도이어도 좋다. 고정부인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상은 고정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정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장식품의 고정구에 적용된다. 장식품 이외의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각종 물품, 예를 들면 장난감, 일용 잡화 등에 대해서도, 그 부품끼리를, 한쪽에 핀 고정재를 다른쪽에 핀을 설치함으로써,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물품을 벽면이나 보드 등에, 한쪽에 핀 고정재를 다른쪽에 핀을 설치함으로써, 고정시키는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사용되는 장식품의 종류는 핀 고정식의 고정구를 구비하는 장식품 내에서 한정되지 않지만, 넥타이핀, 핀 브로우치, 피어싱 귀걸이, 목걸이 등이 대표적으로 예시된다. 이들 장식품에 있어서, 예를 들면, 보석 등을 취급한 장식부재측에 핀을 장착하고, 이 장식부재를 핀 고정구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장착 방식으로서, 전선이나 전기 코드의 조인트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톱이나 무늬가 있는 칼에 있어서, 무늬 부분과 칼 부분의 접 속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제1발명 내지 제11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
핀 고정재에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있지만, 상기한 제1발명 내지 제11발명에서는 어느 핀 고정재라도 박판형 스프링재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박판형 스프링재는 굴곡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단일의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를 가공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핀 고정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평탄하고 직사각형의 단일의 박판형 스프링재를 준비하여, 예를 들면 다이컷팅(die cutting)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핀 고정 구멍이나 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가열 처리를 동반하여 필요한 굴곡 성형을 한다. 따라서, 단일의 박판형 스프링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부품의 부착이 불필요하고, 더구나 핀 고정재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비용의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박판형 스프링재는 탄성적인 변형 능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놋쇠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스프링강은 물론 사용할 수 있지만, 금이나 백금 등의 귀금속도 일정한 탄성적 변형 능력을 갖고 있어, 이용할 수 있다. 경질 플라스틱제의 박판형 스프링재도 사용 가능하다.
박판형 스프링재의 두께는 스프링재의 탄성적 변형 능력의 정도나, 굴곡 가공의 용이함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결정된다.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의 치수는 기본적으로는 제조해야 할 핀 고정재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동시에, 후술하는 형판 부재를 성형하기 위해서 필요한 종횡의 치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박판형 스프링재에 필요로 하는 종횡 치수는 핀 고정재의 실시형태에 의해서 다른 경우가 있다.
박판형 스프링재를 가공하여 핀 고정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효율적이며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의 제1공정과 제2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1공정으로서, 박판형 스프링재에 다이컷팅 가공을 실시하여, 형판 부재(핀 고정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의 형상을 구비한 평탄한 박판형 스프링재)를 성형한다. 형판 부재는 예를 들면 커터를 사용한 가공 등의, 다이컷팅 가공 이외의 적절한 가공방법에 의해서 성형하여도 좋다.
제2공정으로서, 형판 부재에 대하여 필요한 굴곡 가공을 실시하여, 핀 고정재를 구성한다. 제2공정에서는 굴곡부의 형상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가열 처리하면서 굴곡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 가공으로서는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공통하는 꼭지부의 굴곡 가공, 제1실시형태에서의 스토퍼의 굴곡 가공, 제2, 제4 및 제5실시형태에서의 밑변부의 굴곡 가공, 제2 내지 제6실시형태에서의 귀형 부재의 굴곡 가공, 제3 및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되돌아감 태브의 굴곡 가공, 제5실시형태에서의 입상부의 굴곡 가공, 제6실시형태에서의 핀 고정편의 굴곡 가공이 포함된다.
(제12발명 및 제13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
제12발명 및 제13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는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와,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베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스프링 부재의 구성 재료는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범위 내에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놋쇠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스프링강 외에, 일정한 탄성적 변형 능력을 갖는 금이나 백금 등의 귀금속도 이용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질의 스프링재료인 플라스틱재나 고무재(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재)를 이용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는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직선형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 또는 쌍방으로는 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한 고정 베이스를 고정한다. 고정 베이스의 구성 재료는 한정되지 않지만,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적인 변형능은 반드시 요구되지 않는다.
스프링 부재의 경사부에 고정 베이스를 고정함으로써, 고정 베이스에 설치한 고정부재가, 상기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또한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둘레홈으로 파고들어가는 길이로 돌출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스프링 부재의 경사부에 고정 베이스를 「고정하는」것이란 고정 베이스가 적어도 그 고정위치보다도 경사부의 선단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의 내용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형태나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고정 베이스를 굴곡 가공이 가능한 재료로써 구성하는 동시에, 이 고정 베이스에 설치한 되돌아감 태브를 스프링 부재의 경사부에 감도록 하여 되돌아가게 하거나, 그 되돌아감 태브의 단부를 경사부의 선단측에 설치한 굴곡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가 비교적 연질의 플 라스틱재나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굴곡한 되돌아감 태브를 스프링 부재의 경사부에 대하여 파고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의 경사부와, 고정 베이스의 각 한쪽에, 고정 베이스의 고정 위치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고정 베이스의 경사부 선단측으로의 이동을 제약하게 되는 적절한 걸림 수단을 구성하여도 좋다.
〔핀 고정재의 제1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의 제1실시형태에서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를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스토퍼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 스토퍼는 핀 고정 상태 해제 조작에 있어서 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시킬 때에, 핀에 닿음으로써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말할 수 있지만, 꼭지부의 굴곡 각도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어싱 귀걸이용의 핀 고정재에서는 100° 내지 150° 정도의 완만한 굴곡 각도로서, 한 쌍의 경사부의 확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예를 들면 목걸이용의 핀 고정재에서는 40° 내지 70° 정도의 급한 굴곡 각도로서, 핀 고정재를 가는 본체에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 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핀 고정재의 제2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한쪽 또는 쌍방을 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밑변부에서의 핀 고정 구멍 바로 아래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쌍방에 밑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한쪽의 밑변부에 설치되어 다른쪽의 밑변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쌍방의 밑변부를,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서로 구속시키고 있다.
〔핀 고정재의 제3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한 쌍의 경사부로부터는 각각 짧은변 방향으로 되돌아감 태브를 돌출시켜 경사부의 표면(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외측 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고, 이들 한 쌍의 되돌아감 태브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되돌아감 태브의 짧은변 방향 선단부에 설치한 귀형 부재를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경사부에 걸어 고정시키고, 이 귀형 부재에 의해서 되돌아감 태브를 경사부에 밀착시키고 있다.
〔핀 고정재의 제4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한 쌍의 경사부로부터는 각각 짧은변 방향으로 되돌아감 태브를 돌출시켜 경사부의 표면(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외측 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고, 이들 한 쌍의 되 돌아감 태브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한쪽 또는 쌍방을 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밑변부에서의 핀 고정 구멍 바로 아래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되돌아감 태브의 짧은변 방향 선단부에 설치한 귀형 부재를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경사부에 걸어 고정시키고, 이 귀형 부재에 의해서 되돌아감 태브를 경사부에 밀착시키고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쌍방에 밑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한쪽의 밑변부에 설치되어 다른쪽의 밑변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쌍방의 밑변부를,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서로 구속시키고 있다.
〔핀 고정재의 제5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정 구멍에 있어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의 긴변 방향 단부를 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고, 이 밑변부에서의 핀 고정 구멍 바로 아래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경사부의 다른쪽의 긴변 방향 단부를 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꼭지부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입상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입상부의 선단에 설치한 귀형 부재를 굴곡 성형하여,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선단을 둘러싸는 쉘터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핀 고정재의 제6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의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를 경사부의 표면(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외측 면) 또는 이면(裏面)(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안쪽의 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여 핀 고정편을 형성하고, 이들 한 쌍의 핀 고정편의 긴변 방향 단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 고정편을 경사부의 표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는 경우에 있어서, 핀 고정편의 짧은변 방향 선단부에 설치한 귀형 부재를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경사부에 걸어 고정시키고, 이 귀형 부재에 의해서 핀 고정편을 경사부에 밀착시키고 있다.
〔핀 고정재의 제7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핀 고정재의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핀 고정재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베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스프링 부재는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구부린 형상을 갖는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직선형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고, 또한,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구비하고,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 또는 쌍방에는 고정 베이스를 고정함으로써, 고정 베이스의 고정부재가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또한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로 돌출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가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밑변부를 갖고, 이들의 밑변부의 선단 간에는 일정한 스페이스가 남아 있고, 또한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되는 핀을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제조 공정과 구성)
고정구(21)는 핀 고정재(22)와, 핀(23)으로 이루어진다.
도 4c에, 핀 고정재(22)를 제조하기 위한 형판 부재(24)를 도시한다. 이 형판 부재(24)는 굴곡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탄성적인 변형 능력을 갖는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에 대하여, 다이컷팅 가공 그 외의 적절한 가공을 실시하여 성형한 것이다. 형판 부재(24)의 중앙부(25;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는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중앙부(25)에는 일정한 형상으로 노치(26)를 형성함으로써, 형판 부재(24)의 긴변 방향을 따라서 마주 향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27)를 선단을 향하여 점차로 폭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고정부재(27)를 형성하는 것은 설계상의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만, 그 점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서 후술한다.
한 쌍의 고정부재(27)의 선단부 간에는 정확하게 계산하여 설계된 작은 스페이스(28)를 오려 내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중앙부(25)에는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고, 이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한 쌍의 고정부재(27)를 돌출시키고, 이들 고정부재(27)의 선단 간에 스페이스(28)를 남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판 부재(24)의 중앙부(25)를,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굴곡 가공한다. 그때, 가열 처리를 함으로써 구부려 형상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한 쌍의 고정부재(27)는 굴곡하지 않는다. 형판 부재(24)의 긴 변 방향의 양단부도 파선(29)을 따라서 되돌아 가게 하여도 좋다. 파선(29) 부분에는 이 되돌아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얕은 홈형의 노치를 넣어도 좋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핀 고정재(22)는 단일의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로 이루어지고, 이 스프링재의 중앙부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된 꼭지부(30)로 되고, 꼭지부(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경사부(31)를 구비하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된 꼭지부(30)에서는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 한 쌍의 고정부재(27)를 돌출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부재(27)는 굴곡 가공되지 않기 때문에,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고정부재(27)는 핀 고정 구멍에 핀(23)이 삽입되었을 때, 핀의 둘레홈(32)으로 파고들어가는 길이로 돌출하고 있다.
(실시예 1의 사용 상태)
실시예 1에 따른 고정구(21)는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즉, 고정구(21)를 핀고정할 때는 핀 고정재(22)의 삼각형의 형상에서의 밑변측으로부터, 꼭지부(30)의 핀 고정 구멍에 대하여 핀(23)을 삽입한다. 그때, 핀(23)은 핀 고정 구멍으로 돌출한 한 쌍의 고정부재(27)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외측으로 밀어 젖히면서 삽입된다. 한 쌍의 고정부재(27)는 경사부(31)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핀의 삽입에 대하여 강한 저항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리고, 핀(23)의 둘레홈(23a)이 고정부재(27)의 돌출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부재(27)가 탄성적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서 핀(23)의 둘레홈(23a)으로 진입하여, 핀 고정이 완료한다.
고정부재(27)가 핀(23)의 둘레홈(23a)으로 진입하였을 때는 가벼운 타격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핀 고정재의 완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구(21)를 확실하게 핀 고정할 수 있다. 핀 고정 상태에 있는 고정구(21)에서는 고정부재(27)가 핀(23)이 빠지는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에서 둘레홈(23a)으로 파고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핀(23)은 핀 고정구(22)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핀 고정재(22)나 핀(23)이 예를 들면 머리카락이나 다른 부재에 걸리거나 핀 고정 상태가 유지되어, 장식품의 탈락에 의한 분실 등의 불량 상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고정구(21)의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핀 고정재(22)의 한 쌍의 경사부(31)의 각 단부를,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잡고, 도 4b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경사부(31)의 단부 간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 조작에 의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고정재(22)의 꼭지부(30)가 더욱 날카롭게 굽도록 탄성적 변형을 일으킨다.
이 모양을 도 8에 의해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8a는 핀 고정 상태에 있는 꼭지부(30)를 도시하고, 도 8b는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할 때의 꼭지부(30)를 도시한다.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고정구(22)의 꼭지부(30)가 더욱 날카롭게 굽도록 탄성적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한 쌍의 고정부재(27)가 서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한 쌍의 고정부재(27)가 핀(23)의 둘레홈(23a)으로부터 이탈한다. 그 때문에, 핀 고정재(22)로부터 핀(23)이 간단하게 빠진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제조 공정과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32)는 핀 고정재(33)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핀(23)으로 이루어진다. 핀 고정재(33)는 도 5b에 도시하는 형판 부재(34)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형판 부재(34)는 굴곡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탄성적인 변형 능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형판 부재(34)는 상기한 형판 부재(24)와 마찬가지로 중앙부에 노치(26)를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고정부재(27)와 스페이스(28)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형판 부재(34)에서는 긴변 방향의 양단부에, 후술하는 밑변부(37)를 구성하기 위한 연장부분(35)을 설치하고 있다. 연장부분(35)에 있어서, 밑변부(37)를 구성하였을 때에 꼭지부(30)의 바로 아래가 되는 부분에는 핀 통과 구멍(36)을 형성하고 있다. 핀 통과 구멍(36)은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된 핀(23)이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형판 부재(34)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12)으로 굴곡 가공하여, 꼭지부(30)와 한 쌍의 경사부(31)를 형성한다. 또한, 경사부(31)의 단부인 연장부분(35)을, 도 5b의 파선을 따라서 굴곡 가공함으로써, 서로 겹치는 한 쌍의 밑변부(37)를 형성한다. 이들의 파선 부분에는 이 되돌아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얕은 홈형의 노치를 넣어도 좋다. 밑변부(37)에 있어서의 꼭지부(30)의 바로 아래부에는 상기 핀 통과 구멍(36)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밑변부(37)의 선단은 각각, 다른쪽의 밑변부(37)의 기부(基部)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길이이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32)의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할 때에 핀 고정구(33)의 꼭지부(30)를 더욱 예리하 게 굽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조작의 방해로는 되지 않는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부분(35)의 한쪽의 선단에는 귀형 부재(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밑변부(37)를 형성한 후, 이 귀형 부재(38)를 다른쪽의 밑변부(37)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한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귀형 부재에 대해서도 동일하지만, 귀형 부재(38)에서는 도시하는 파선을 따라서 되돌아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얕은 홈형의 노치를 넣어도 좋다. 상기 귀형 부재(38)의 굴곡 성형에 의해, 쌍방의 밑변부(37)를,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서로 구속시키고 있다.
상기 실시예 1이나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도 공통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한 쌍의 고정부재(27)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동일 폭을 가지는 형상이어도 좋지만,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을 향하여 차례로 폭이 가늘어지는 형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 쌍의 고정부재(27)가 도 5b에 도시하는 형상인 경우, 형판 부재(34)에서의 꼭지부(30)에 상당하는 부분(폭 A로 나타내는 부분)이, 형판 부재(34)에서의 고정부재(27)의 기단부(폭 B로 나타내는 부분)보다도 폭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형판 부재(34)를 굴곡 가공하여 핀 고정재(33)의 꼭지부(30)를 형성할 때, 폭 A로 나타내는 부분에 굴곡력이 집중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A로 나타내는 부분으로부터, 그 양측의 폭 B로 나타내는 부분에 도달하기까지, 전체를 균등하게 완만한 원호형으로 굴곡할 수 있다. 이러한 굴곡 형상을 갖는 꼭지부(30)는 핀 고정재(33)의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시키는 핀 고정 상태 해제 조작의 반복에 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낸다.
한 쌍의 고정부재(27)가 가령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동일 폭을 가지는 형상인 경우, 형판 부재(34)의 굴곡 가공에 있어서, 꼭지부(30)에 상당하는 부분에 굴곡력이 집중하여, 이 부분이 날카로운 원호형으로 구부러진다. 이 때문에,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재(27)의 선단 간의 거리 W가 후술하는 도 8b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아진다. 요컨대, 한 쌍의 고정부재(27)를 핀(23)의 둘레홈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핀 고정재(33)를 보다 크게 압축 변형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큰 압축 변형의 반복은 꼭지부(30)의 탄성적인 변형 능력의 내구성에는 악영향을 준다.
(실시예 2의 사용 상태)
실시예 2에 따른 고정구(32)의 사용 상태는 다음에 기술하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즉, 고정구(32)의 핀 고정재에 있어서, 핀(23)은 핀 고정재(33)의 삼각형의 형상에서의 밑변측으로부터, 핀 통과 구멍(36)을 통과시키고, 이어서 꼭지부(30)의 핀 고정 구멍에 삽입한다.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23)과 핀 고정재(33)는 꼭지부(30)의 핀 고정 구멍과 밑변부(37)의 핀 통과 구멍(36)의 2점에서, 서로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 때문에, 핀 고정재(33)가 핀(23)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의 장식품이 불안정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쌍방의 밑변부(37)가 귀형 부재(38)에 의해서 서로 구속되기 때문에, 핀 고정재(33)의 구조적인 강도가 높다. 또, 쌍방의 밑변부(37)는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귀형 부재(38)를 설치하더라도, 실 시예 1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핀 고정재(33)의 변형에 지장은 없다.
도 7은 핀 고정 상태에 있는 고정구(32)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2의 변경예〕
실시예 2에서는 도 6b에 도시하는 형판 부재(39)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형판 부재(39)에서는 상기한 형판 부재(24, 34)와 비교하여, 한 쌍의 고정부재(40)가 선단을 향하여 점차로 가늘어지는 형상이 아니라,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동일 폭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제조 공정과 구성)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41)는 핀 고정재(42)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핀(23)으로 이루어진다. 핀 고정재(42)는 도 9에 도시하는 형판 부재(43)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 형판 부재(43)는 실시예 1에 따른 형판 부재(24)와 같이, 굴곡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탄성적인 변형 능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에 대하여, 다이컷팅 가공 등의 적절한 가공을 실시하여 성형한 것이다. 형판 부재(43)의 중앙부(44)에는 단지 핀 고정 구멍(45)을 형성하고 있다. 중앙부(44)의 긴변 방향의 양단부에는 실시예 2에 따른 형판 부재(34)와 동일한 연장부분(35)을 설치하고, 또한, 이들의 연장부분(35)에는 핀 통과 구멍(36)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중앙부(44)에서의 핀 고정 구멍(45)의 좌우 양측의 부분으로부터는 짧은변 방향으로 되돌아감 태브(46)를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이들의 되돌아감 태브(46)로부터는 중앙부(44)상으로 되돌아가게 하였을 때에 핀 고정 구멍(45)중으로 돌출하도록, 한 쌍의 고정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부재(47)의 선단 간에는 상기 형판 부재(24)의 경우의 스페이스(28)와 동등한 스페이스(49)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되돌아감 태브(46)에는 각각, 귀형 부재(48)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형판 부재(43)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호형으로 굴곡 가공하여, 꼭지부(30)와 한 쌍의 경사부(31)를 형성한다. 또한, 경사부(31)의 단부인 연장부분(35)을, 도 9의 파선을 따라서 굴곡 가공함으로써, 서로 겹치는 한 쌍의 밑변부(37)를 형성한다. 연장부분(35)에는 도시하는 파선을 따라서, 되돌아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얕은 홈형의 노치를 넣어도 좋다. 밑변부(37)에서의 꼭지부(30)의 바로 아래에는 상기 핀 통과 구멍(36)이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밑변부(37)의 선단은 각각, 다른쪽의 밑변부(37)의 기부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길이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되돌아감 태브(46)를, 도시하는 파선을 따라서, 각각 경사부(31)의 표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한다. 되돌아감 태브(46)에는 도시하는 파선을 따라서, 되돌아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얕은 홈형의 노치를 넣어도 좋다. 이러한 굴곡 성형의 결과, 한 쌍의 되돌아감 태브(46)로부터 돌출시킨 한 쌍의 고정부재(47)가, 핀 고정 구멍(45)의 중앙부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또, 상 기한 귀형 부재(48)를 경사부(31)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경사부(31)에 걸어 고정시키고, 이 귀형 부재(48)에 의해서 되돌아감 태브(46)을 각각 경사부(31)에 밀착시킨다.
(실시예 3의 사용 상태)
실시예 3에 따른 고정구(41)에서는 고정부재(47)가 되돌아감 태브(4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점에서 구성상의 차이는 있지만, 고정구(41)를 핀 고정하는 조작이나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23)과 핀 고정재(42)는 꼭지부(30)의 핀 고정 구멍(45)과 밑변부(37)의 핀 통과 구멍(36)의 2점에 있어서 서로 움직임을 구속하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의 장식품이 불안정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실시예 3의 변경예〕
도시하지 않지만, 실시예 3의 변경예로서,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밑변부(37)의 한쪽에 설치한 귀형 부재를 다른쪽의 밑변부(37)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쌍방의 밑변부(37)를,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서로 구속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제조 공정과 구성)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50)는 핀 고정재(51)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핀(23)으로 이루어진다. 이 고정구(50)는 예 를 들면 목걸이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것이며, 핀 고정재(51)와 핀(23)은 각각 목걸이의 쇠사슬(52)에 연결되어 있다.
핀 고정재(51)는 도 11b에 도시하는 형판 부재(53)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형판 부재(53)는 실시예 1에 따른 형판 부재(24)와 마찬가지로, 굴곡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탄성적인 변형 능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에 대하여, 다이컷팅 가공 등의 적절한 가공을 실시하여 성형한 것이다. 형판 부재(53)의 중앙부(54)에는 일정한 형상으로 노치(26)를 형성함으로써, 중간에 스페이스(28)를 남기고 한 쌍의 고정부재(27)를 형성하고 있다.
중앙부(54)의 긴변 방향의 일 단부에는 실시예 2에 따른 형판 부재(34)와 동일한 연장부분(35)을 설치하고, 연장부분(35)에는 핀 통과 구멍(36)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중앙부(54)의 긴변 방향의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입상부(55)를 형성하기 위한 연장부분(56)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연장부분(56)에서의 선단 부분에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굴곡 예정부(57)를 통하여, 짧은변 방향으로 한 쌍의 귀형 부재(58)를 돌출하고 있다.
이러한 형판 부재(53)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호형으로 굴곡 가공하여, 꼭지부(30)와 한 쌍의 경사부(31)를 형성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꼭지부(30)의 굴곡 각도를 예각형으로 하여, 장식품의 고정구(50)를 가는 몸체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연장부분(35)을 도 11b의 파선을 따라서 굴곡 가공함으로써, 핀 통과 구멍(36)을 갖는 밑변부(37)를 형성한다. 밑변부(37)의 선단은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쪽의 경사부(31)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길이이다. 따라서, 고정구(50)의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할 때에, 핀 고정재(51)의 꼭지부(30)를 보다 날카롭게 굽도록 탄성적 변형시키는 조작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한편, 또 하나의 연장부분(56)은 도시하는 파선을 따라서, 핀 고정재(51)의 삼각형의 꼭지부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입상부(55)를 형성한다. 연장부분(56)에는 도시하는 파선을 따라서, 되돌아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얕은 홈형의 노치를 넣어도 좋다. 이어서, 이 입상부(55)의 선단에 설치한 상기 귀형 부재(58)를 굴곡 예정부(57)로 구부리고, 또한 그 선단의 파선부를 따라서 구부려,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23)의 선단을 둘러싸는 쉘터부재(59)를 통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4의 사용 상태)
실시예 4에 따른 고정구(50)에서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23)과 핀 고정재(51)는 꼭지부(30)의 핀 고정 구멍과 밑변부(37)의 핀 통과 구멍(36)의 2점에서 서로 움직임을 구속하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의 장식품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경우가 없다.
또한, 고정구(50)가 가는 몸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목걸이로서 사용한 경우에 의류 아래에 숨은 고정구의 팽창이 작기 때문에, 외관이나 체면이 좋다. 또한, 입상부(55)의 존재에 의해서, 고정구(50)가 안정된다. 또한,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23)의 선단을 둘러싸는 쉘터부재(59)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고정구(50)를 부주의하게 취급하여, 핀의 뾰족한 선단이 장착자의 손가락이나 피부에 찔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제조 공정과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도, 핀 고정재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핀(23)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 및 도시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핀 고정재를 제조하기 위한 형판 부재(60 또는 61)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12a,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형판 부재(60)도, 제 2 형판 부재(61)도, 실시예 1에 따른 형판 부재(24)와 마찬가지로, 굴곡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탄성적인 변형 능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에 대하여, 다이컷팅 가공 등의 적절한 가공을 실시하여 성형한 것이다.
제1형판 부재(60)에서, 그 중앙부(62)에는 단지 핀 고정 구멍(45)을 형성하고 있다. 중앙부(62)의 긴변 방향의 양 단부에는 각각, 핀 고정편을 형성하기 위한 연장부분(63)을 설치하여, 각각의 연장부분(63)에서의 선단 부분에는 짧은변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귀형 부재(64)와, 긴변 방향으로 돌출하는 약간 폭이 좁은 고정부재(65)를 설치하고 있다.
이 형판 부재(60)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구를 제조할 때는 형판 부재(60)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호형으로 굴곡 가공하여, 꼭지부와 한 쌍의 경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연장부분(63)을 도 12a의 파선(63a)을 따라서 경사부의 표면측에 겹치도록 구부려 핀 고정편을 형성한다. 연장부분(63)에는 이 파선을 따라서, 되돌아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얕은 홈형의 노치를 넣어도 좋다. 이 굴곡 가공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재(65)가 핀 고정 구 멍(45)중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핀 고정편의 귀형 부재(64)를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경사부에 걸어 고정시키고, 이 귀형 부재(64)에 의해서 핀 고정편을 경사부에 밀착시킨다.
제2형판 부재(61)에서는 제1형판 부재(60)와 비교하여 한 쌍의 귀형 부재(64)를 구비하지 않는 점만이 다르다. 이 형판 부재(61)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구를 제조할 때에는 형판 부재(61)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굴곡 가공하여 꼭지부와 한 쌍의 경사부를 형성한 후, 연장부분(63)을 도 12b의 파선을 따라서 경사부의 이면측에 겹치도록 구부려, 핀 고정편을 형성한다. 이 경우, 핀 고정편은 경사부의 이면측으로부터 겹쳐지고 있기 때문에, 귀형 부재 등을 사용하여 경사부에 걸어 고정시킬 필요는 없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구성)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는 핀 고정재(66)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핀(23)으로 이루어진다. 핀 고정재(66)는 스프링 부재(67)와, 고정 베이스(6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67)는 적절한 경도와 탄성적 변형 능력을 갖는 실리콘고무의 성형품으로서,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구부린 형상을 갖는 꼭지부(69)와, 그 양측의 한 쌍의 직선형의 경사부(70)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꼭지부에는 핀(23)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7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경사부(70)의 긴변 방향 단부에서는 각각, 핀(23)의 삽입방향 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굴곡한 수직부(72)를 개재하여,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밑변부(73)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의 밑변부(73)의 선단 간에는 일정한 스페이스(74)가 남아 있고, 또한 핀 고정 구멍(71)에 삽입되는 핀(23)을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부재(67)에서의 경사부(70)에 있어서, 상기 밑변부(73)를 형성하지 않고, 또한 밑변부(73) 및 수직부(72)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경사부(70)에는 각각 고정 베이스(68)를 고정하고 있다. 단지, 고정 베이스(68)는 한쪽의 경사부(70)에만 1개만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 베이스(68)는 굴곡 가공이 가능한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부재로서, 도 13b에 실제의 고정 위치 관계에 있어서 한 쌍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76)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돌출한 고정부재(77)와, 고정부재(77)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되돌아감 태브(78)를 구비한다.
그리고, 고정 베이스(68)는 경사부(70)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이 경사부(70)에 감도록 되돌아감 태브(78)를 굴곡시킴으로써, 경사부(7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68)에서의 경사부(70) 선단측의 단부는 상기한 수직부(72)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그 고정위치보다도 경사부(70) 선단측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스프링 부재(67)에 수직부(72)나 밑변부(73)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 베이스(68)를 고정하기 위해서, 「실시형태」 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적절한 고정수단이 실시된다.
상기 고정상태에서, 고정 베이스(68)의 고정부재(77)는 경사부(70)와 동일 방향으로, 또한, 핀 고정 구멍(71)에 삽입된 핀(23)의 둘레홈(23a)으로 파고들어가는 길이로 돌출하고 있다.
(실시예 6의 사용 상태)
실시예 6에 따른 고정구의 사용 상태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와 같다.
즉, 고정구를 핀 고정할 때에는 핀 고정재(66)에서의 스프링 부재(67)의 삼각형 형상의 밑변측으로부터, 꼭지부(69)의 핀 고정 구멍(71)에 대하여 핀(23)을 삽입한다. 그때 핀(23)은 핀 고정 구멍(71)으로 돌출한 고정부재(77)를 외측으로 밀어 젖히면서 삽입된다. 한 쌍의 고정부재(77)는 경사부(70)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핀(23)의 삽입에 대하여 강한 저항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리고, 핀(23)의 둘레홈(23a)이 고정부재(77)의 돌출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부재(77)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핀(23)의 둘레홈(23a)으로 진입하여, 핀고정이 완료한다.
고정부재(77)가 핀(23)의 둘레홈(23a)으로 진입하였을 때는 가벼운 타격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핀 고정의 완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구를 확실히 핀 고정할 수 있다. 핀 고정 상태에 있는 고정구에서는 고정부재(77)가 핀(23)이 빠지는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에서 둘레홈(23a)으로 파고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핀(23)은 핀 고정재(66)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핀 고정재(66)나 핀(23)이 예를 들면 머리카락이나 다른 부재에 걸리거나, 핀 고정 상태가 유지되어, 장식품의 탈락에 의한 분실 등의 불량 상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고정구의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67)의 한 쌍의 경사부(70)의 각 단부를,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잡고, 경사부(70)의 단부 간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 조작에 의해,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67)의 꼭지부(69)가, 보다 날카롭게 굽도록 탄성적 변형을 일으킨다. 한 쌍의 밑변부(73)의 선단 간에 남긴 스페이스(74)가, 이 탄성적 변형을 허용한다. 이 탄성적 변형에 의해서,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스(74)가 없어졌을 때, 핀(23)은 한 쌍의 노치부(75)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멍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67)의 탄성적 변형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재(77)가 서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한 쌍의 고정부재(77)가 핀(23)의 둘레홈(23a)으로부터 이탈한다. 그 때문에, 핀 고정재(66)로부터 핀(23)이 간단히 빠진다.
또한, 고정구의 핀 고정재에 있어서, 핀(23)은 스프링 부재(67)의 삼각형 형상에 있어서의 밑변측으로부터 스페이스(74)를 통과시키고, 이어서 꼭지부(69)의 핀 고정 구멍(71)에 삽입한다. 핀 고정 상태에 있는 핀(23)과 핀 고정재(66)는 꼭지부(69)의 핀 고정 구멍(71)과 밑변부(73)의 2점에서, 서로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 때문에, 핀 고정재(66)가 핀(23)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의 장식품이 불안정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실시예 7〕
(실시예 7의 제조 공정과 구성)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79)는 핀 고정재(80)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핀(23)으로 이루어진다. 핀 고정재(80)는 도 16에 도시하는 형판 부재(81)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형판 부재(81)는 굴곡 가공이 가능하고 탄성적인 변형 능력을 갖는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에 다이컷팅 가공을 실시하여 성형한 것이다. 형판 부재(81)의 중앙부에는 일정한 형상으로 노치(82)를 설치함으로써, 선단부 간에 작은 스페이스를 남기고 한 쌍의 고정부재(83)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노치(82)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브형으로 설치함으로써, 한 쌍의 고정부재(83)가 선단을 향하여 커브를 동반하여 점차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형판 부재(81)를 굴곡 가공하여 핀 고정재(80)의 꼭지부를 형성할 때, 특히 완만한 원호형으로 굴곡할 수 있다.
형판 부재(81)의 긴변 방향의 양단부는 2개소의 굴곡 예정선(85, 86)의 선단측에, 스토퍼(87; 도 17 참조)가 되어야 할 연장부분(88)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2개소의 굴곡 예정선(85, 86)에 끼워진 부분에는 작은 사각형의 기립편(89; 도 17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각 한 쌍의 노치(90)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판 부재(81)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호형으로 굴곡 가공하여,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꼭지부(84)와 한 쌍의 경사부(91)를 형성한다. 또한, 경사부(91)의 단부를 굴곡 예정선(85, 86)을 따라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 가공함으로써, 밑변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는 스토퍼(87)를 형성하고, 또한, 밑변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기립편(89)을 굴곡 가공한다.
(실시예 7의 사용 상태)
실시예 7에 따른 고정구(79)의 사용 상태는 고정구(79)를 핀 고정하는 조작이나,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같다. 단, 핀 고정재(80)를 도 19의 같이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시킬 때, 손가락을 기립편(89)에 대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그 조작은 스토퍼(87)가 핀(23)에 닿음으로써 규제되기 때문에, 핀 고정재(80)를 지나치게 압축 변형시킬 우려가 없다.
〔실시예 8〕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92)는 핀 고정재(93)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핀(23)으로 이루어진다. 핀 고정재(93)는 도 20에 도시하는 형판 부재(94)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7의 스토퍼(87)에 상당하는 스토퍼(95)의 선단부에, 한 쌍의 아암편(96)을 형성하고 있다. 핀 고정재(93)를 구성할 때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쌍방의 스토퍼(95)에서의 한 쌍의 아암편(96)을 서로 상하로 횡단하여 겹치도록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쌍방의 아암편(96)이 서로 구속되기 때문에, 핀 고정재(93)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쌍방의 아암편(96)이 핀(23)을 통과시키는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이외의 점은 실시예 7과 같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형판 부재(97)를 도 22에 도시하고, 고정구(98)를 도 23에 도시한다. 도 2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고정구(98)에서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핀 고정재(99)의 한쪽의 경사부(100)로부터는 실시예 7의 경우와 동일한 스토퍼(10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른쪽의 경사부(100)로부터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한 밑변부(102)를 형성하고, 밑변부(102)에는 꼭지부(103)의 바로 아래에서, 핀(23)을 통과시키는 핀 통과 구멍(104)을 설치하고 있다.
형판 부재(97)는 굴곡 가공에 의해서 상기 핀 고정재(99)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형판 부재(97)에는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개소의 굴곡 예정선(105, 106)에 끼워진 부분에, 기립편(107; 도 23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각 한 쌍의 노치(108)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의 제조 공정과 구성)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109)는 핀 고정재(110)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핀(23)으로 이루어진다. 핀 고정재(110)는 도 24에 도시하는 형판 부재(111)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형판 부재(111)는 직사각형의 박판형 스프링재에 다이컷팅 가공을 실시하여 성형한 것이다. 형판 부재(111)의 중앙부에는 실시예 7의 경우와 동일한 한 쌍의 고정부재(112)를 형성하고 있다.
형판 부재(111)에서의 양단측에는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립 편(113; 도 25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각 한 쌍의 노치(114′)를 형성하고 있다. 형판 부재(111)에서의 또한 양단측의 부분에서, 한쪽의 단부에는 한 쌍의 아암편(115)을 구비한 삽입부(116)를 형성하고, 다른쪽의 단부에는 밑변부(117)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밑변부(117)에는 핀 통과 구멍(118)과, 상기의 삽입부(116)를 꽂아넣을 수 있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119)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형판 부재(111)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호형으로 굴곡 가공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꼭지부(120)와 한 쌍의 경사부(121)를 형성한다. 또한, 한쪽의 경사부(121)의 단부인 밑변부(117)의 선단 부분(창(119)을 형성한 부분)을, 굴곡 예정선(122)을 따라서 미리 굴곡 가공한다. 다음에, 밑변부(117)와, 반대측의 단부인 삽입부(116)를, 각각 소정의 굴곡 예정선을 따라서, 핀 고정재(110)의 밑변방향으로 굴곡 가공한다. 그때, 삽입부(116)를 창(119)에 꽂아넣는다. 이상의 가공에 의해, 도 25에 도시하는 핀 고정재(110)가 구성된다.
(실시예 10의 사용 상태)
실시예 10에 따른 고정구(109)의 사용 상태는 고정구(109)를 핀 고정하는 조작이나,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에 있어서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같다. 핀 고정재(110)의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시킬 때, 그 조작은 한 쌍의 아암편(115)이 밑변부(117)측의 벽(123)에 닿음으로써 규제되기 때문에, 핀 고정재(110)를 과잉으로 압축 변형시킬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 삽입력은 작지만 핀 추출력은 크고, 더욱이 간단한 조작으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또한 가공이 간단하고 저비용인 핀 고정식의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하여,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한 것이며,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를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핀 고정재의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시키는 핀 고정 상태 해제 조작에 대한 스토퍼를 형성시킨 고정구.
  2.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 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한쪽 또는 쌍방을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밑변부에서의 상기 핀 고정 구멍 바로 아래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한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쌍방으로 상기 밑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그 한쪽의 밑변부에 설치되어 다른쪽의 밑변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쌍방의 밑변부를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서로 구속시킨 고정구.
  4.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경사부로부터는 각각 짧은변 방향으로 되돌아감 태브를 돌출시켜서 상기 경사부의 표면(상기 삼각형의 외측 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고, 이들 한 쌍의 되돌아감 태브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상기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킨 고정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되돌아감 태브의 짧은변 방향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되돌아감 태브의 선단부를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킨 고정구.
  6.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경사부로부터는 각각 짧은변 방향으로 되돌아감 태브를 돌출시켜 상기 경사부의 표면(상기 삼각형의 외측 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고, 이들 한 쌍의 되돌아감 태브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상기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한쪽 또는 쌍방을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밑변부에서의 상기 핀 고정 구멍 바로 아래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한 고정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되돌아감 태브의 짧은변 방향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되돌아감 태브의 선단부를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킨 고정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의 쌍방에 상기 밑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그 한쪽의 밑변부에 설치되어 다른쪽의 밑변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쌍방의 밑변부를, 긴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서로 구속시킨 고정구.
  9.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핀 고정 구멍에서의 긴변 방향의 주변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를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의 긴변 방향 단부를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밑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밑변부에서의 상기 핀 고정 구멍 바로 아래의 부분에는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핀 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다른쪽의 긴변 방향 단부를 상기 삼각형의 꼭지부 방향으로 굴곡 성형하여 입상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입상부의 선단에 설치한 귀형 부재를 굴곡 성형하고,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선단을 둘러싸는 쉘 터(shelter)부재를 형성한 고정구.
  10.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는 박판형 스프링재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를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굴곡 성형함으로써,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게 하고,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를 상기 경사부의 표면(상기 삼각형의 외측 면)또는 이면(상기 삼각형의 안쪽의 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여 핀 고정편을 형성하고, 이들 한 쌍의 핀 고정편의 긴변 방향 단부로부터는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의 상기 고정부재를 핀 고정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킨 고정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핀 고정편을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 겹치도록 굴곡 성형하는 경우에, 핀 고정편의 짧은변 방향에 설치되어 경사부의 방향으로 굴곡 성형된 귀형 부재에 의해 핀 고정편을 경사부에 대하여 밀착시킨 고정구.
  12.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를, 스프링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베이스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꼭지부와, 그 양측의 한 쌍의 직선형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 또는 쌍방에 상기 고정 베이스를 고정함으로써, 고정 베이스의 고정부재가 상기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또한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로 돌출하도록 구성한 고정구.
  13. 핀 고정재와, 선단부 부근에 둘레홈,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설치한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고정재의 고정부재를 상기 핀의 고정부에 결합시켜 핀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시켜 핀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구로서,
    상기 핀 고정재를 스프링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베이스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예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꼭지부 와, 그 양측의 한 쌍의 직선형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꼭지부에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고정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한쪽 또는 쌍방에 상기 고정 베이스를 고정함으로써, 고정 베이스의 고정부재가 상기 경사부와 동일 방향으로 또한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된 핀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길이로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의 긴변 방향 단부가 상기 삼각형의 측면 형상의 밑변을 따르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밑변부를 갖고, 이들의 밑변부의 선단 간에는 일정한 스페이스가 남아 있고, 또한 상기 핀 고정 구멍에 삽입되는 핀을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
KR1020087005245A 2005-10-07 2006-05-22 핀 고정식의 고정구 KR200800356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8915 WO2007043179A1 (ja) 2005-10-07 2005-10-07 ピン留め式の留め具
WOPCT/JP2005/018915 2005-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673A true KR20080035673A (ko) 2008-04-23

Family

ID=3794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245A KR20080035673A (ko) 2005-10-07 2006-05-22 핀 고정식의 고정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300886A1 (ko)
EP (1) EP1938704A1 (ko)
JP (1) JPWO2007043212A1 (ko)
KR (1) KR20080035673A (ko)
CN (1) CN101282666A (ko)
CA (1) CA2622364A1 (ko)
WO (2) WO2007043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5380A1 (en) * 2006-11-27 2008-06-05 Gary Bryant Earring back
GB0623641D0 (en) * 2006-11-27 2007-01-03 Bryant Gary Retention device
GB201001795D0 (en) 2010-02-04 2010-03-24 Brylock Innovations Ltd Earring back
CN108497633A (zh) * 2018-05-25 2018-09-07 蔡汉荣 插孔钉式锁定结构
BE1026997B1 (nl) * 2019-01-28 2020-08-27 Giovanni Daems Verbeterde oorbel- of brochesluiting
CN112167777A (zh) * 2020-09-24 2021-01-05 深圳市海瑞泰克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自救用安保手环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453A (en) * 1985-06-20 1986-12-23 Burkett Cullen L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fastening various pierced earring posts
JPS6416806A (en) * 1987-07-09 1989-01-2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roduction of polypropylene
JPH0358105A (ja) * 1989-07-26 1991-03-13 Honda Motor Co Ltd 自走車の操向制御装置
JPH0358105U (ko) * 1989-10-09 1991-06-05
JPH0658105U (ja) * 1993-01-14 1994-08-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ローラタペット
JP2002336014A (ja) * 2001-05-15 2002-11-26 Satoshi Iwami 耳飾りの止金具
US6612131B2 (en) * 2001-06-19 2003-09-02 Howard Cheng Earring post and connector assembly
US8086872B2 (en) * 2005-12-08 2011-1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etting security channel based on MPCP between OLT and ONUs in EPON, and MPCP message structure for controlling fram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8704A1 (en) 2008-07-02
JPWO2007043212A1 (ja) 2009-04-16
CA2622364A1 (en) 2007-04-19
WO2007043212A1 (ja) 2007-04-19
US20090300886A1 (en) 2009-12-10
CN101282666A (zh) 2008-10-08
WO2007043179A1 (ja)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4017B2 (ja) 装身具用留め具
KR20080035673A (ko) 핀 고정식의 고정구
US7343760B2 (en) Body jewelry
JP5279845B2 (ja) ピン留め具
KR20190045226A (ko) 일회용 수동 작동 카트리지 바디 피어싱 기구
US6854625B2 (en) Apparatus for fastening jewelry clasps
US7654422B2 (en) Needle threader
JP5419227B2 (ja) 止め具、止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US20050155383A1 (en) Push type fittings
KR101354465B1 (ko) 장식용 체인의 암수 연결고정구
US5010630A (en) Clasp mechanism
JPH09191912A (ja) 装身具用留め金具
KR100895097B1 (ko) 손발톱 장식을 위한 악세서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
JP2002336014A (ja) 耳飾りの止金具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US20140283345A1 (en) Flexible Fastener for Removable Attachment to Fabric
JP2768269B2 (ja) 装身具等用係止具
JP4344118B2 (ja) 装飾品の連結構造および装飾品
JPH0852013A (ja) ピアス
JP3134549U (ja) ピアス構造。
JP3108115U (ja) 金属製バンド状装身具
JPH11113613A (ja) 装身具用止め金具
JP2013048682A (ja) ピン留め具
JP2020141791A (ja) 留具
JP2006218245A (ja) ピア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