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053A - 수납 용기 부착 스풀 - Google Patents

수납 용기 부착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053A
KR20080033053A KR1020070069378A KR20070069378A KR20080033053A KR 20080033053 A KR20080033053 A KR 20080033053A KR 1020070069378 A KR1020070069378 A KR 1020070069378A KR 20070069378 A KR20070069378 A KR 20070069378A KR 20080033053 A KR20080033053 A KR 2008003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torage container
fishing line
trunk
poly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아끼 와끼사까
야스시 후지이
유우지 나까무라
고오지 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08003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은, 스풀(2)과 수납 용기(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2)은, 통형의 몸통부(21)를 갖고, 상기 몸통부(21)의 외주면(24)에 낚시줄이 권취된다. 수납 용기(3)는, 스풀(2)을 몸통부(21)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납한다. 이 수납 용기(3)에는, 낚시줄을 삽입 관통시켜 외부로 도출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1)의 내주면(23)은, 축선 방향에서 볼 때 다각 형상을 나타내는 다각형부(26)를 갖고 있고, 수납 용기(3)에는 아암(4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48)은, 수납된 스풀(2)의 다각형부(26)에 접촉하고 또한 몸통부(21)를 외주면(24)측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스풀(2)의 회전을 제한한다.
스풀, 수납 용기, 몸통부, 내주면, 아암

Description

수납 용기 부착 스풀 {SPOOL HAVING A CONTAINER}
본 발명은 섬유체를 권취하여 수납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납 용기 부착 스풀로서는, 섬유체가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에 마련되고 섬유체를 압박하는 압박편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서는, 압박편에 의해 섬유체를 압박함으로써 섬유체가 스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도모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64245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스풀에 권취된 섬유체를 인출할 때에, 상기 섬유체에 충분한 장력(텐션)을 부여할 수 없고, 따라서, 인출된 섬유체에 감기는 경향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수납 용기에 수납된 스풀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회전해 버려, 섬유체를 지나치게 인출해 버리기 쉽고, 따라서, 원하는 길이의 섬유체를 인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하는 길이의 섬유체를 적절하고 또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은, 통형의 몸통부를 갖고,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섬유체가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을 몸통부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동시에 섬유체를 삽입 관통시켜 외부로 도출하는 개구가 형성된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몸통부의 내주면은, 몸통부의 축선 방향에서 볼 때 다각 형상을 나타내는 다각형부를 갖고, 수납 용기에는, 스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다각형부에 접촉하고 또한 몸통부를 외주면측으로 압박하는 탄성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본 발명에 관한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서는, 스풀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내주면이 다각형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 다각형부에 접촉하고 또한 다각 형부를 외주면측으로 압박하는 탄성 수단의 변위량은 스풀의 회전에 따라서 변화된다. 즉, 다각형부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변에 상당하는 부분에 탄성 수단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다각형부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꼭지점에 상당하는 부분에 탄성 수단이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그 변위량은 커진다. 따라서, 탄성 수단은, 다각형부의 다각 형상에 따른 강약이 있는 압박력에 의해, 스풀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섬유체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섬유체를 다각 형상의 변에 따른 길이만큼씩 연속하여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의도하지 않은 스풀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따르면, 원하는 길이의 섬유체를 적절하고 또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수단은,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함으로써 탄성을 갖는 아암이며, 기단부측이 수납 용기와 연결되는 동시에, 선단부측에는 다각형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미끄럼 이동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각형부의 다각 형상에 따른 강약이 있는 압박력에 의해, 스풀의 회전을 제한한다는 상기 작용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용기와는 별개의 다른 수납 용기를 축선 방향으로 중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수납 용기와 다른 수납 용기와의 주위 방향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방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부에 의해 다른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축선 방향으로 중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 회전 방지부에 의해 수납 용기끼리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운반하기 쉽고 또한 이들 중으로부터 적절한 섬유체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일측면측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그 일부가 절결된 간극을 갖고, 회전 방지부는, 다른 수납 용기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했을 때에, 다른 수납 용기의 간극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른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축선 방향으로 중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수납 용기끼리의 상대 회전을 제한한다는 상기 작용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용기는 환형을 나타내고 있고, 연결부는 다른 수납 용기의 내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수납 용기의 축선 방향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 방지부는 섬유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이며, 수납 용기의 외주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회전 방지부에 의해 섬유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덧붙여, 회전 방지부가 수납 용기의 외주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다른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축선 방향으로 중첩하여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도, 수납한 섬유체의 정보를 외주면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 외주면에서의 표시를 일렬로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섬유체에 관한 정보의 표시를 한층 보기 쉬워져 상기 정보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용기는, 스풀을 그 내부에 배치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착탈 가 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폐기할 때에, 스풀과 본체부와 덮개부와의 분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개구는 본체부 또는 덮개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수납 용기는 본체부 또는 덮개부 중 다른 쪽에 마련되고, 개구를 삽입 관통한 섬유체를 걸어 지지하기 위한 걸림 지지부를 갖고, 걸림 지지부는, 수납 용기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주위 방향으로 결합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와 피결합부가 주위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걸림 지지부는 수납 용기에 있어서 주위 방향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수납 용기가, 본체부와 덮개부를 갖는 소위 별개의 부재 구조인 경우에, 걸림 지지부에 의해, 개구를 삽입 관통하여 외부로 도출한 섬유체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섬유체의 도출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걸림 지지부는, 덮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본체부의 외표면에 대면하도록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외표면과 돌출부와의 사이에서 섬유체를 계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구를 삽입 관통하여 외부로 도출한 섬유체를 걸어 지지하는 동시에 섬유체의 도출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상기 작용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그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외표면과 돌출부와의 사이가 좁아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체부의 외표면과 돌출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돌출부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섬유체를 진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돌출부의 기단부측에 섬유체를 당겨 넣음으로써 상기 섬유체를 확실하게 계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풀에 있어서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한쪽의 스풀 측면측에는, 섬유체를 몸통부의 내주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출되는 섬유체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섬유체의 일단부측을 스풀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한편,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섬유체의 일단부측을 고정하는 경우, 상기 고정의 영향이 정돈되지 않은 상태로 감기는 현상으로 나타날 우려가 있다. 특히, 접착제로 섬유체를 몸통부의 외주면에 고정하면, 도포한 접착제의 위에 섬유체를 권취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섬유체의 일단부측 이외에 접착제가 부착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섬유체의 일단부측을 몸통부의 내주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몸통부의 내주면에서 섬유체를 스풀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섬유체를 인출할 때에, 상기 섬유체가 스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몸통부의 외주면의 한쪽의 스풀 측면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가이드부는,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측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의 측면을 지나 몸통부의 내주면에 이르는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가이드부에서 섬유체의 일단부측을 내주면으로 안내하고 상기 내주면에서 섬유체의 일단부측을 고정하는 경우, 가이드부가 홈이기 때문에 섬유체를 용이하게 몸통부의 내주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의 내측의 측면에는,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측의 선단부로부터 몸통부의 외주면을 향해, 직경 방향에 대해 경사져 연장하는 단차가 마련되어 있고, 단차를 통해,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두께가 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차에 의해, 섬유체의 선단부를 용이하게 안내하여 상기 섬유체를 몸통부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의 단부측으로부터 권취 시작할 수 있고, 정돈되지 않은 상태로 감기는 경향 없이 깨끗하게 섬유체를 정렬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몸통부의 내주면에는, 섬유체의 일단부측을 접착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섬유체의 일단부측을 접착 고정하는 고정부가 몸통부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섬유체를 스풀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권취된 섬유체가 정돈되지 않은 상태로 있거나, 섬유체의 일단부측 이외에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풀은, 몸통부의 내주면보다 내측이 중공으로 된 환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몸통부의 내주면보다 내측에 리브가 설치된 스풀에 비해, 스풀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섬유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낚시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길이의 섬유체를 적절하고 또한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은 섬유체를 권취하여 수납하는 것이다. 섬유체로서는, 예를 들어, 면, 양모 등의 천연 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섬유, 금속 섬유, 글래스 섬유,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을 들 수 있고, 그 굵기나 강도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이용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서는, 낚시의 이용에 제공하는 낚시줄(섬유체)(L)을 권취하여 수납한다. 이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은, 낚시줄(L)을 권취하는 스풀(2)과, 상기 스풀(2)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2)은,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지고, 여기서는, 권취되는 낚시줄(L)의 육안 확인성의 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서, 투명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2)은, 도3의 (a)의 스풀의 상면도, 도3의 (b)의 b-b 화살표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부(21)와 플랜지(22)를 갖고, 몸통부(21)의 내주면(23)으로부터 내측이 중공으로 된 비(非) 리브 구조의 환형체로 되어 있다.
몸통체(21)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몸통부(21)의 외주면(24)에는, 낚 시줄(L)이 예를 들어 정렬 권취로 권취된다. 한편, 내주면(23)에는, 낚시줄(L)의 권취의 기점측(일단부측)이 예를 들어 순간 접착제로 접착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주면(23)에는, 낚시줄(L)의 일단부측을 접착 고정하는 고정부(25)가 마련되어 있다(도10 참조). 여기서는, 내주면(23)의 직경을 약 50 ㎜로 하고, 몸통부(21)의 두께를 약 2 ㎜로 하고 있다. 이 내주면(23)에 있어서 축선 방향의 일단부의 영역에는, 축선 방향에서 볼 때 정십이각형을 나타내는 다각형부(26)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2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형을 이루고, 몸통부(21)의 외주면(24)에 있어서 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플랜지(22)의 외형을 약 64 ㎜로 하고, 두께를 약 1.5 ㎜로 하고 있다. 각 플랜지(2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의 동일 위치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하는 오목부(2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의 오목부(27)의 깊이는 약 2 ㎜이다.
도4의 (a)의 플랜지의 외측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22) 중 한쪽의 플랜지(플랜지부)(22R)에 있어서 외측의 측면(한쪽의 스풀 측면)(22a)에는, 오목부(27)의 바닥으로부터 몸통부(21)의 내주면(23)에 이르는 홈(가이드부)(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8)의 폭은 낚시줄(L)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4의 (b)의 플랜지의 내측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의 측면(22b)에는 상기 홈(28)에 연속하고, 오목부(27)의 바닥으로부터 몸통부(21)의 외주면(24)을 향해, 직경 방향에 대해 경사져 연장하는 단차(2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29)는, 축선 방향에서 볼 때 몸통부(2l)의 외주면(24)에 연접하도록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단차(29)를 통해,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의 플랜지(22)의 두께가, 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두께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도10 참조). 즉, 이러한 플랜지(22)의 두께 차에 의한 단차(29)가 내측의 측면(22b)에 형성되도록 플랜지(22)의 내측이 절결되어 있다.
도1 및 도2로 복귀하여, 수납 용기(3)는, 스풀(2)을 몸통부(21)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 용기(3)는, 스풀(2)의 형상에 따른 환형을 나타내고, 내부에 스풀(2)을 대략 동축으로 수납한다. 또한, 이 수납 용기(3)는, 스풀(2)을 진열할 때의 소위 패키지(포장)로서 취급되는 것이다. 수납 용기(3)는, 그 내부에 스풀(2)을 배치하는 본체(본체부)(4)와, 본체(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덮개부)(5)를 갖고 있다.
본체(4)는,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지고, 여기서는, 스풀(2)과 마찬가지로 육안 확인성의 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서, 투명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4)는, 상방(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으로 개방하는 환형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5의 (a)의 본체의 상면도, 도5의 (b)의 b-b 화살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4)는, 바닥벽(41)과 내주벽(42)과 외주벽(43)을 갖고, 내주벽(42) 및 외주벽(43)이 바닥벽(41)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41)은 링형을 나타내고,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의 일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서 넓어지는 부채형으로 절결된 절결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41)의 상방측의 면(41a)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에는, 절결 부(44)를 사이에 두고 주위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내주벽(42)이 설치되어 있다. 즉, 내주벽(42)은 간극(피결합부)(45)을 갖고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한편, 바닥벽(41)의 하방(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측)측의 면(41b)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에는, 절결부(44)를 사이에 두고 주위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하는 결합부(연결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부(46)는, 간극(45)과 마찬가지인 간극(47)을 갖고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결합부(46)는 내주벽(42)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하방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그 선단부(하단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축 방향의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되어 있다(도7 참조).
내주벽(42)의 직경 방향 내측의 면(42a)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볼록부(63)(도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63)는, 직경 방향 내측의 면(42a)의 상방측의 단부에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마찬가지인 다른 수납 용기를 중첩하여 연결할 때에, 다른 수납 용기의 결합부와 결합한다. 내주벽(42)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42b)에는, 내주벽(42)에 두께 차를 마련함으로써 단차(64)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방향 외측의 면(42b)에 있어서, 상방측의 직경은 스풀(2)의 다각형부(26)의 다각 형상에 내접하는 내접원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방측의 직경은 상기 내접원보다도 약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단차(64)에 의해, 스풀(2)을 본체(4)에 배치할 때에, 스풀(2)의 다각형부(26)가 형성된 측의 단부가 상방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스풀(2)을 수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내주벽(42)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42c)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아암(탄성 수단)(4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48)은, 수납된 스풀(2)의 다각형부(26)에 접촉하고(도8 참조) 또한 몸통부(21)를 외주면(24)측으로 압박한다.
외주벽(43)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방으로 개방하는 슬릿(개구)(49)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9)은, 낚시줄(L)을 삽입 관통시켜 상기 낚시줄(L)을 외부로 도출한다. 이 슬릿(49)은, 낚시줄(L)을 적절하게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방에서 볼 때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져 연장하고 있다. 즉, 슬릿(49)에서는, 낚시줄(L)을 인출할 때에 상기 낚시줄(L)과 슬릿(49)과의 접촉으로 낚시줄(L)에 부하되는 불필요한 힘이 저감되어 있다. 이 외주벽(43)의 상방측의 단부에는, 덮개(5)와 결합하여 상기 덮개(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5)는,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지고,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4)에 장착부(61)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덮개(5)는, 이러한 장착에 의해, 본체(4)의 내부에 배치된 스풀(2)을 상기 내부에 유치시켜 수납하는 동시에, 슬릿(49)의 개구를 폐색하여 삽입 관통된 낚시줄(L)이 상기 슬릿(49)의 상방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도6의 (a)의 덮개의 상면도, 도6의 (b)의 b-b 화살표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5)는, 링형의 상부판(51)과, 상기 상부판(51)의 주연부에 결합된 외주판(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판(51)의 일부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삽입부(회전 방지부 ; 표시부 ; 위치 결정부)(53)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부(53)는, 덮개(5)를 본체(4)에 장착되었을 때에 본체(4)의 결합부(46)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부채형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53)는, 덮개(5)를 본체(4)에 장착했을 때에, 내주벽(42)의 간극(45)에 삽입되고, 삽입부(53)와 간극(45)이 주위 방향으로 결합된다(도2 참조). 한편, 삽입부(53)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 마찬가지인 다른 수납 용기 부착 스풀(1D)[이하, 동일한 구성이므로, 수납 용기 부착 스풀(1D)에 관련하는 부호에는 모두 마지막에 D를 붙임]을 중첩하여 연결할 때에, 다른 수납 용기 부착 스풀(1D)의 결합부(46D)의 간극(47D)에 삽입되고, 삽입부(53)와 간극(47D)이 주위 방향으로 결합된다(도11 참조). 삽입부(53)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낚시줄(L)의 호수를 표시하는 라벨(54)이 마련되어 있다. 외주판(52)은, 덮개(5)를 본체(4)에 장착할 때에, 본체(4)의 장착부(61)에 결합한다.
도6 및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판(52)에는 돌출부(걸림 지지부 ; 표시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55)는 삽입부(53)에 연속하여 덮개(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덮개(5)를 본체(4)에 장착했을 때에, 외주벽(43)의 외주면(외표면)(43a)에 대면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즉, 돌출부(55)는, 덮개(5)를 본체(4)에 장착했을 때에 외주면(43a)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55)와 외주면(43a)과의 사이에서 슬릿(49)을 삽입 관통한 낚시줄(L)을 걸어 지지한다. 또한, 덮개(5)를 본체(4)에 장착했을 때에, 돌출부(55)의 선단부측으로부 터 기단부측을 향해, 상기 돌출부(55)와 외주면(43a)과의 사이가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55)가 도7에 있어서의 하측을 향해 약간 넓어지는 테이퍼형을 나타내고 돌출하고 있는 동시에, 외주벽(43)의 외주면(43a)에 있어서 상방측의 단부가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그 직경이 커지고 있다. 또한, 외주면(43a)에 있어서 하방측의 단부는, 낚시줄(L)을 걸어 지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그 직경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55)의 표면에도, 삽입부(53)와 마찬가지인 예를 들어 낚시줄(L)의 호수를 표시하는 라벨(56)이 마련되어 있다(도1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서는, 스풀(2)의 내주면(23)에 다각형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 용기(3)의 본체(4)에는 다각형부(26)에 접촉하고 또한 몸통부(21)를 외주면(24)측으로 압박하는 아암(48)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5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48)은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그 기단부(48a)측이 내주벽(42)의 일단부면(42b)과 연결되는 한편, 선단부(48b)측에, 수납된 스풀(2)의 다각형부(2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미끄럼 이동부(62)를 갖고 있다. 이 아암(48)은,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함으로써 탄성에 의해 있고, 이러한 탄성에 의해 다각형부(26)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다. 미끄럼 이동부(62)는, 상방에서 볼 때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아암(48)은, 삽입부(53)를 간극(45)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삽입부(53)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 있어서 낚시줄(L)을 인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 있어서는, 슬릿(49)으로부터 도출한 낚시줄(L)을 잡아 당김으로써, 스풀(2)이 수납 용기(3) 내에서 회전하고, 낚시줄(L)이 수납 용기 부착 스풀(1)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48)이 스풀(2)의 내주면(23)의 다각형부(26)와 접촉하고 또한 스풀(2)을 직경 방향 외측[외주면(24)측]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스풀(2)의 회전이 제한되고, 따라서, 낚시줄(L)을 인출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것은, 이와 같이 아암(48)이 접촉하고 또한 압박함으로써, 이하의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아암(48)의 미끄럼 이동부(62)와 다각형부(26)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는 것에 부가하여, 다각형부(26)에 있어서 아암(48)에 접촉하는 측과 반대측의 영역이 수납 용기(3)의 본체(4)의 내주벽(42)에 압박되는 것이 되고, 상기 영역과 내주벽(42)과의 사이에도 마찰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여기서, 낚시줄(L)을 더 잡아 당김으로써, 스풀(2)이 수납 용기(3) 내에서 상기 수납 용기에 대해 더 회전하고, 낚시줄(L)이 수납 용기 부착 스풀(1)로부터 더 인출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48)이 다각형부(26)에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아암(48)의 휨량(변위량)은 스풀(2)의 회전에 따라서 변화된다. 즉, 다각형부(26)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변에 상당하는 부분에 아암(48)이 접촉하는 경우[도9의 (a) 참조]와, 다각형부(26)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꼭지점에 상당하는 면에 아암(48)이 접촉하는 경우[도9의 (b) 참조]에는, 그 휨량이 다르다. 예를 들어 후자의 경우에는, 아암(48)의 휨량은, 전자의 경우에서의 아암(48)의 휨량에 비해 작아진다. 따 라서, 아암(48)의 압박력은, 다각형부(26)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변화되는, 즉, 아암(48)은 다각 형상에 따른 강약이 있는 압박력에 의해 스풀의 회전을 제한한다. 따라서, 낚시줄(L)을 인출하는 경우, 아암(48)에 의한 압박력이 비교적 약하고 원활하게 스풀(2)이 회전하여 낚시줄(L)이 비교적 원활하게 인출되는 상태[도9의 (a) 참조]와, 아암(48)에 의한 압박력이 비교적 강하고 스풀(2)이 회전하기 어려워 낚시줄(L)이 비교적 인출되기 어려운 상태[도9의 (b) 참조]가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생기는 것이 된다.
따라서, 낚시줄(L)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낚시줄(L)을 다각형부(26)의 다각 형상의 변에 따른 길이만큼씩 연속하여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의도하지 않은 스풀(2)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상태의 반복[즉, 낚시줄(L)이 비교적 원활하게 인출되는 상태와 낚시줄(L)이 비교적 인출되기 어려운 상태와의 반복]에 의해, 낚시줄(L)을 인출할 때에 사용자는, 소위 클릭감을 느낄 수 있어, 원하는 길이의 낚시줄(L)을 적절하고 또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낚시줄(L)을 인출한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49)을 삽입 관통하여 외부로 도출한 낚시줄(L)이, 돌출부(55)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동시에 외주면(43a)과 돌출부(55)와의 사이에서 계지된다(도7 참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53)와 내주벽(42)의 간극(45)이 주위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덮개(5)와 본체(4)와의 상대 회전이 억지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55)가 수납 용기(3)의 주위 방향의 일정한 위치에 항상 배치된다. 따라서, 슬릿(49)을 삽입 관 통하여 외부로 도출한 낚시줄(L)을 돌출부(55)에 확실하게 걸어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낚시줄(L)의 도출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55)는, 그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주면(43a)과 돌출부(55)와의 사이가 좁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주면(43a)과 돌출부(55)와의 사이에 있어서 돌출부(55)의 선단부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낚시줄(L)을 진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돌출부(55)의 기단부측에 낚시줄(L)을 당겨 넣음으로써 낚시줄(L)을 확실하게 계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동안에 있어서 낚시줄(L)을 계지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낚시줄(L)의 계지의 상태나 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납 용기가 본체와 덮개를 갖는 소위 별개의 부재 구조의 경우에는, 외부로 도출하는 낚시줄(L)을 걸어 지지하면서 그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그 구조 등의 점으로부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효과, 즉, 낚시줄(L)을 확실하게 걸어 지지하는 동시에 낚시줄(L)의 도출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효과는 특히 현저하게 된다.
다음에,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 있어서 스풀(2)에 낚시줄(L)을 권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1O의 (a) 내지 도10의 (c)의 상단은 상면도, 도10의 (a) 내지 도10의 (c)의 하단은 종단면도이다.
스풀(2)에 낚시줄(L)을 권취하는 경우, 도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한쪽의 플랜지(22R)에 있어서의 오목부(27)를 통해 낚시줄(L)의 보빈(도시하지 않음)측을 몸통부(21)로 유도하는 동시에, 단차(29)를 따라 낚시줄(L)의 보빈측을 몸통부(21)의 외주면(24)으로 유도하여, 외주면(24)에 있어서 축선 방향의 일단 부측(도시 좌측)으로부터 낚시줄(L)을 권취하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도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24)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해 순차 낚시줄(L)을 권취한다(정렬 권취). 또한, 여기서는, 낚시줄(L)에 부하되는 장력을 억제하여 권취하는 소프트 권취를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도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줄(L)의 권취 시작한 일단부측을 홈(28)을 따라 내주면(23)으로 유도하고, 내주면(23)에서 고정부(25)에 의해 낚시줄(L)의 권취 시작의 일단부측을 접착 고정한다.
여기서, 종래, 인출되는 낚시줄(L)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낚시줄(L)의 일단부측을 스풀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부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낚시줄(L)의 일단부측을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낚시줄(L)이 중첩하여 권취되기 때문에, 고정의 영향이 정돈되지 않은 상태로 감기는 현상으로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접착제로 낚시줄(L)을 외주면(24)에 고정하면, 도포한 접착제의 위에 낚시줄(L)이 권취되기 때문에, 낚시줄(L)의 일단부측 이외에 접착제가 부착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홈(28)을 마련함으로써, 낚시줄(L)의 일단부측을 내주면(23)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고, 내주면(23)에서 고정부(25)로 낚시줄(L)의 일단부측을 접착 고정하는 것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플랜지(22R)의 외측의 측면(22a)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낚시줄(L)이 방해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시줄(L)이 홈(28)으로 진입하여 안내됨으로써, 낚시줄(L)과 스풀(2) 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낚시줄(L)의 스풀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홈(28)의 폭이 낚시줄(L)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L)과 스풀(2)은 홈(28)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홈(28)의 양측면에서도 서로 접촉하는, 즉, 접촉 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낚시줄(L)을 스풀(2)에 확실하고 또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낚시줄(L)을 인출할 때에, 상기 낚시줄(L)이 스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낚시줄(L)을 끝까지 확실하고 또한 적절하게 다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29)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단차(29)를 따라 낚시줄(L)의 보빈측을 몸통부(21)의 외주면(24)으로 안내하고, 외주면(24)에 있어서 축선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낚시줄(L)을 권취 시작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감기는 경향 없이 깨끗하게 낚시줄(L)을 정렬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이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 마찬가지인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3)의 결합부(46)와, 수납 용기 부착 스풀(1)과 마찬가지인 다른 수납 용기 부착 스풀(1D)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3D)의 볼록부(63D)를 축선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수납 용기(3, 3D)가 동축으로 중첩되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따라서, 수납 용기 부착 스풀(1)과 마찬가지인 수납 용기 부착 스풀(1D)이 동축으로 중첩되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5)에는 삽입부(53)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결합부(46)는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간극(47)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 있어서의 결합부(46)의 간극(47)에, 수납 용기 부착 스풀(1D)에 있어서의 덮개(5D)의 삽입부(53D)가 삽입된다. 즉, 결합부(46)의 간극(47)에 삽입부(53D)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결합부(46)와 삽입부(53D)가 간섭하여 결합부(46)와 볼록부(63D)가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부(46)의 간극(47)에 삽입부(53D)가 삽입되는 상태에서만, 결합부(46)와 수납 볼록부(63D)가 축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서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1)과 마찬가지인 다른 수납 용기 부착 스풀(1D)을 축선 방향으로 중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 수납 용기(3)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면서 상기 수납 용기(3)를 주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복수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운반하기 쉽고 또한 이들 중으로부터 적절한 낚시줄(L)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53)에 라벨(54)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서는, 낚시줄(L)의 정보를 삽입부(53)에서 표시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부가하여,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55)에도 라벨(56)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을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도 수납한 낚시줄(L)의 정보를 본체(4)의 외주면(43a)에서 육 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덧붙여, 이러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 수납 용기(3)가 주위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는 것으로부터 돌출부(55)의 주위 방향 위치가 일렬로 정렬되기 때문에, 외주면(43a)에서의 라벨(56)이 일렬로 정렬되어 상기 라벨(56)을 한층 보기 쉽게 할 수 있어, 낚시줄(L)의 정보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46)가 간극(47) 갖고, 상기 간극(47)에 다른 수납 용기 부착 스풀(1D)의 삽입부(53D)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결합부(46)는, 연결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회전 방지부로서의 기능도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53)에는 라벨(54)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삽입부(53)는 회전 방지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표시부로서의 기능도 발휘하는 것이다. 즉, 이들은 서로 관련하여 일체로 작용하고 있다.
덧붙여, 낚시줄(L)에 있어서는, 그 종류의 선별이, 기후 등의 낚시 현장에서의 환경에 따라서, 상기 현장에서 행해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낚시줄(L)을 낚시 현장에서 선별할 때의 용이성이나 편리성의 향상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것에 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 회전 방지부 및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러한 용이성이나 편리성이 높아지고, 따라서, 원할 때에 원하는 장소에서 적절한 낚시줄(L)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풀(2)에 있어서의 몸통부(21)의 내주면(23)이 다각형부(26)를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 다각형부(26)에 접촉하고 또한 다각형부(26)를 외주면(24)측으로 압박하는 아암(48)의 휨량은 스풀(2)의 회전에 따 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아암(48)은, 다각형부(26)의 다각 형상에 따른 강약이 있는 압박력에 의해, 스풀(2)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낚시줄(L)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낚시줄(L)을 다각 형상의 변에 따른 길이만큼씩 연속하여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의도하지 않은 스풀(2)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길이의 낚시줄(L)을 적절하고 또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그 결과, 인출된 낚시줄(L)로부터 감기는 경향이 적절하게 제거되고, 또한, 낚시줄(L)을 지나치게 인출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연장된 낚시줄(L)로부터 감기는 경향이 적절하게 제거됨으로써, 낚시줄(L)이 얽히는 것이 억제되고, 릴에 감아 넣는 등의 작업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수중에 투입된 낚시줄(L)의 이완이 저감되고, 어신(소위, 물림 신호)에 대한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은, 스풀(2)과 본체(4)와 덮개(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풀(2)과 본체(4)와 덮개(5)와의 분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폐기시의 분별이 촉진되어, 지구 환경으로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중공의 환형체인 스풀에서는, 권취된 섬유체의 열 수축 등으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파괴되기 쉽고, 따라서, 중공의 환형체의 스풀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몸통부(21)의 두께를 종래의 일반적인 것보다도 두껍게 하고 있다. 또한, 이 파괴의 기점이 플랜지의 오목부인 것이 많은 것을 발견하고, 플랜지(22)의 오목부(27)의 깊이를 종래의 일반적인 것보다도 얕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줄(L)을 소프트 권취에 의해 권취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풀(2)을 중공의 환형체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스풀의 수지 사용량을 저감시켜 지구 환경으로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2)의 내주면(23)에 있어서의 다각형부(26)의 형상이 정십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다각형부(26)가 정십육각형인 경우에는, 다각형부의 두께의 성형시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아암(48)에 의한 압박력의 강약 및 클릭감을 적절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 용기(3)는, 스풀(2)을 진열할 때의 소위 패키지(포장)로서 취급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는, 패키지에 상술한 다양한 기능을 탑재시켜 스풀에 높은 부가 가치를 갖게 한 것이고, 시장의 수요에 따라 적응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로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48)에 의해 스풀(2)의 회전을 제한했지만, 고무형인 것이나 스프링형인 것이라도 좋고, 다각형부에 접촉하고 또한 그 탄성에 의해 몸통부를 압박하는 것이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용기(3)의 축선 방향의 콤팩트화의 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서, 단면 L자형의 결합부(46)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볼록 부(63D)에 결합함으로써, 수납 용기(3)에 같은 수납 용기(3D)를 중첩하여 연결했지만, 결합부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볼록, 볼록부를 단면 L자형으로 하여 수납 용기(3)에 같은 수납 용기(3D)를 연결해도 좋고, 다양한 구성의 요철 구조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서는, 다각형부(26)는 축선 방향에서 볼 때 정십이각형의 형상을 나타냈지만, 다각형부의 축선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은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해도 좋고, 그 형상에 따른 강약의 압박력이 탄성 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1)에서는, 낚시줄(L)을 권취하여 수납했지만, 재봉용의 실, 끈, 또는 전기 코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라벨(54, 56)은 낚시줄(L)의 호수를 표시했지만, 낚시줄의 호수 대신에 또는 부가하여 낚시줄의 굵기, 단면적, 강도, 혹은 이들의 조합한 것을 표시해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있어서의 스풀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3의 스풀에 있어서의 한쪽의 플랜지에 있어서 내, 외측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의 본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의 덮개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있어서의 돌출부와 외주벽과의 사이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8은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있어서 낚시줄을 인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있어서 낚시줄을 더 인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있어서 스풀에 낚시줄을 권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마찬가지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중 첩하여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도1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에 마찬가지의 수납 용기 부착 스풀을 중첩하여 연결했을 때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D : 수납 용기 부착 스풀
2 : 스풀
3, 3D : 수납 용기
4 : 본체(본체부)
5, 5D : 덮개(덮개부)
21 : 몸통부
22a : 한쪽의 플랜지에 있어서의 외측의 측면(한쪽의 스풀 측면)
22b : 한쪽의 플랜지에 있어서의 내측의 측면
22R : 한쪽의 플랜지(플랜지부)
23 : 몸통부의 내주면
24 : 몸통부의 외주면
25 : 고정부
26 : 다각형부
28 : 홈(가이드부)
29 : 단차
42a : 내주벽의 직경 방향 내측의 면
43a : 외주벽의 외주면(외표면)
45 : 간극(피결합부)
46, 46D : 결합부(연결부)
47, 47D : 간극
48 : 아암(탄성 수단)
49 : 슬릿(개구)
53, 53D : 삽입부(회전 방지부, 표시부, 위치 결정부)
55 : 돌출부(걸림 지지부, 표시부)
L : 낚시줄(섬유체)

Claims (16)

  1. 통형의 몸통부를 갖고,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섬유체가 권취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상기 몸통부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 섬유체를 삽입 관통시켜 외부로 도출하는 개구가 형성된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몸통부의 축선 방향에서 볼 때 다각 형상을 나타내는 다각형부를 갖고,
    상기 수납 용기에는,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다각형부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몸통부를 상기 외주면측으로 압박하는 탄성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함으로써 탄성을 갖는 아암이며,
    기단부측이 상기 수납 용기와 연결되는 동시에, 선단부측에는 상기 다각형부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미끄럼 이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는 별도의 다른 상기 수납 용기를 상기 축선 방향으로 중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수납 용기와 다른 상기 수납 용기와의 상기 주위 방향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방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일측면측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그 일부가 절결된 간극을 갖고,
    상기 회전 방지부는, 다른 상기 수납 용기를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했을 때에, 다른 상기 수납 용기의 상기 간극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환형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다른 상기 수납 용기의 내주면에 상기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섬유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이며,
    상기 수납 용기의 외주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스풀을 그 내부에 배치하는 본체부 와,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 중 다른 쪽에 마련되고, 상기 개구를 삽입 관통한 상기 섬유체를 걸어 지지하기 위한 걸림 지지부를 갖고,
    상기 걸림 지지부는, 상기 수납 용기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상기 주위 방향으로 결합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지지부는,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부의 외표면에 대면하도록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표면과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섬유체를 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상기 외표면과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가 좁아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한쪽의 스풀 측면측에는, 상기 섬유체를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주면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외주면의 상기 한쪽의 스풀 측면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측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의 측면을 지나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주면에 이르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의 측면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측의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상기 직경 방향에 대해 경사져 연장하는 단차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단차를 통해, 상기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가 상기 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주면에는, 상기 섬유체의 일단부측을 접착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주면보다 내측이 중공으로 된 환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체는 낚시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부착 스풀.
KR1020070069378A 2006-10-12 2007-07-11 수납 용기 부착 스풀 KR20080033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79127 2006-10-12
JP2006279127A JP4829068B2 (ja) 2006-10-12 2006-10-12 収納容器付きスプ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53A true KR20080033053A (ko) 2008-04-16

Family

ID=3929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378A KR20080033053A (ko) 2006-10-12 2007-07-11 수납 용기 부착 스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29068B2 (ko)
KR (1) KR20080033053A (ko)
CN (1) CN101161578B (ko)
TW (1) TWI3839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5567B2 (ja) * 2009-06-08 2013-11-06 株式会社ワイ・ジー・ケー スプール用ケース
GB2477955B (en) * 2010-02-19 2015-01-28 Belron Hungary Kft Zug Branch Wire handling for vehicle glazing panel cut out
CN102464230A (zh) * 2010-11-19 2012-05-23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线材收纳装置
TWI395705B (zh) * 2010-12-06 2013-05-11 Inventec Corp 線材收納裝置
JP6750354B2 (ja) * 2015-07-22 2020-09-02 マックス株式会社 リール
EP4029096A4 (en) 2019-09-12 2024-01-24 Greenlee Tools, Inc. PULL TAPE HOUSING
WO2021065867A1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の引き出し装置、光ファイバの引き出し方法、及び光ファイバ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33258Y1 (ko) * 1965-04-22 1970-12-18
US5490793A (en) * 1994-03-11 1996-02-13 Methode Electronics, Inc. Automobile clockspring with vibration dampener
CN2197828Y (zh) * 1994-07-02 1995-05-24 林木河 便利鱼线盒
US5857285A (en) * 1997-01-22 1999-01-12 Little; Joe Storage device for hooks and leaders
DE19936445B4 (de) * 1999-08-03 2004-03-04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3550519B2 (ja) * 1999-11-25 2004-08-04 株式会社ヨネプラ 釣糸用糸巻及び糸止めバンド
JP3837326B2 (ja) * 2001-12-03 2006-10-25 株式会社ヨネプラ スプール収納ケース及びケース入り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7267A (en) 2008-04-16
JP4829068B2 (ja) 2011-11-30
CN101161578B (zh) 2011-07-13
TWI383943B (zh) 2013-02-01
JP2008094568A (ja) 2008-04-24
CN101161578A (zh)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3053A (ko) 수납 용기 부착 스풀
US7494506B2 (en) Method for fixing traction threads to ends of a prosthetic ligament
US4102478A (en) Needle threader
JP2014226411A (ja) ボビン
US20180317741A1 (en) Endoscope cover, endoscope, cover unit, and endoscope unit
US9982376B2 (en) Bobbin holder
JP2011153031A (ja) 収納容器付きスプール
JP4971742B2 (ja) スプール
US10342530B2 (en) Ambidextrous support base for a suture thread
JP4885681B2 (ja) 収納容器付きスプール
KR102188800B1 (ko) 권취 선재 인출이 용이한 선재 권취장치
KR20210023732A (ko) 결속기
JP2008092877A (ja) 収納容器付きスプール
US1234051A (en) Holder for surgical sutures.
JP5203863B2 (ja) 長尺体用スプール
JP4179429B2 (ja) 糸通し具
JP5118103B2 (ja) ケース入り長尺体用止め具付きスプール、及び長尺体用止め具付きスプール
JP6368141B2 (ja) 墨壷
JP4114175B1 (ja) 糸巻保護フィルム、該フィルムを備えた糸巻、並びに糸端保持方法
JP4420366B2 (ja) 中通し竿
JP2006271502A (ja) ミシン用ボビンにおける糸解れ防止用の保持具
JP3209922U (ja) 草刈りコード包装ケース及び草刈りコード包装体
JP3172915U (ja) 釣糸用スプール
JP5102237B2 (ja) 長尺体用スプール
JP2010213611A (ja) 長尺体用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