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567A - 측면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측면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567A
KR20080030567A KR1020077029533A KR20077029533A KR20080030567A KR 20080030567 A KR20080030567 A KR 20080030567A KR 1020077029533 A KR1020077029533 A KR 1020077029533A KR 20077029533 A KR20077029533 A KR 20077029533A KR 20080030567 A KR20080030567 A KR 2008003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s
passenger protection
increased
inn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멜즈
비욘 자이펠
에릭 짐메르멘
베른하르트 시엘호스트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08003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에너지 투입이 차량 도어의 일부 영역에 대해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측방향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차량 시트는 에너지 투입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차량 도어의 측면에 위치되며, 차량 도어에는 차량 시트를 향하는 내측 도어 라이닝이 마련되어 있고,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차량 도어 및 내측 도어 라이닝의 일부 영역에 연결된 구동 유닛에 의해 초기 상태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돌출하는 연장된 상태로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 유닛에 에너지 투입에 의해 작동 가능한 트랜스듀서 재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도어, 측방향 충돌, 승객 보호, 차량 시트, 내측 도어 라이닝, 구동 유닛, 트랜스듀서 재료

Description

측면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DEVICE FOR INCREASING OCCUPANT PROTECTION IN A VEHICLE DURING A SIDE IMPACT}
본 발명은 측면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너지 투입이 차량의 도어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작용하고, 차량 시트는 에너지 투입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차량 도어의 측면에 위치되며, 차량 도어에는 차량 시트를 향하는 내측 도어 라이닝이 마련되어 있다.
제어되지 않은 충돌에 기반한 에너지 투입이 차량 도어에 대한 측방향 충돌에 의해 작용하는 차량 사고로 인해 일반적으로 차량의 승객, 특히 측방향 충돌에 노출되는 차량 도어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승객이 심각한 상해를 입게 된다. 그 이유는 차량 도어에 작용하는 충돌 에너지의 처리에서 변형 경로가 제한되고 차량의 측방향 구조의 에너지 흡수 능력이 상대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측방향 충격 시나리오에서의 상해 위험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독일 실용신안 제22 15 674호, 독일 특허 제41 25 299 C2호 및 독일 특허 제198 28 444 A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를 안정화시키는 데에 적합한 측방향 충격 빔 시스템에 의해 차량의 횡방향에서 차량 도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종래 기술의 제안이 다수 있었다.
측방향 충격을 보호하는 그러한 시스템 중 대표적인 것은 측방향 충격 보호 시스템을 기술하는 독일 특허 제103 41 329 A1호를 참조하는데, 이 시스템 중에 차량 도어를 통해 연장되는 측방향 충격 빔은 이 측방향 충격 빔이 차량 도어를 둘러싸는 샤시 영역과의 지지용 액티브 연결부에 진입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형태에 상관없이 충돌로부터 생기는 에너지 투입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측방향 충격 빔을 작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트랜스듀서 재료를 채용하면 측방향 충격 빔의 작동 방식을 반대로 할 수 있고, 특히 선택된 시기에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진보 개발에 따라 종래의 측방향 충격 보호 시스템은 차량 도어로 향하는 충돌 에너지 투입을 보다 양호하게 흡수하여 그 에너지를 보다 강성인 샤시 영역으로 전달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객의 제어되지 않은 충돌에 기반한 본래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 오히려, 충돌 후에 차량 내측에서 튀어나와 승객용 충격 쿠션으로서 작용하는 에어백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특히, 도어의 내측 라이닝 내에 이 라이닝을 따라 일체로 된 에어백 시스템은 내측 도어 라이닝과 차량 시트에 위치된 승객 사이에 탄성적인 완충 보호를 제공한다. 그러나, 에어백 시스템은 공지된 방식에서처럼 한 번만 사용될 수 있고, 최대로 충만된 경우에만 탄성적인 완충 보호 특성을 갖는다.
나중에 공개되어 공개일이 본 발명의 출원시 주장된 우선일보다 뒤에 놓이는 독일 특허 제103 51 752 A1호에 기술된 제안은 측방향 충돌 사고시에 차량의 승객에 대한 상해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한단계 진보하였다. 이 경우에, 보호 시스템은 차량에서 승객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작동 장치에 의해 승객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휴지 상태에서 연장된 상태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쿠션 요소를 제공한다. 상기 작동 장치는 차량 본래의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된다. 쿠션 요소의 압출은 스프링 메모리 또는 파이로테크닉 요소에 의해 전동 모터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투입이 차량의 도어 구역에 대해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측방향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으로서, 차량 시트는 에너지 투입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차량 도어의 측면에 위치되며, 차량 도어측에는 특히 차량 도어가 충돌에 기반한 에너지 투입에 노출된 경우에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제어되지 않은 충돌에 대한 보호를 개선시키는 방식으로 차량 시트를 향하는 내측 도어 라이닝이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가능하다면, 상기 장치를 반대로 하여 이용해야 한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상기 목적에 대한 해법은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을 더욱 개선시키는 특징이 종속항의 주제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한 설명이다.
본 발명의 해법에 따르면, 에너지 투입이 차량의 도어 구역에 대해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측방향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 시트는 에너지 투입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차량 도어의 측면에 위치되며, 차량 시트를 향하는 내측 도어 라이닝이 마련되어 있고,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차량 도어 및 내측 도어 라이닝의 일부 영역에 연결된 구동 유닛에 의해 초기 상태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돌출하는 연장된 상태로 운반될 수 있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로서, 상기 구동 유닛에 에너지 투입에 의해 작동 가능한 트랜스듀서 재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법에 따른 장치는 충돌 상황시에 승객의 동적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차량 시트 상에 착석한 승객과 내측 도어 라이닝 사이의 중간 공간을 가능한 한 완전히 충전하는 사상을 기초로 한다. 측방향 충돌 상황에서, 본래의 신체 비활성을 극복한 후에, 차량에 작용하는 힘 모멘트는 시트 벨트 시스템이 갑작스럽게 중지시키는 운동을 트리거하는 힘에 의해 충돌에 기반한 힘의 흐름 방향으로 승객을 먼저 가속시키고, 보호 시스템의 본래의 탄성 뿐만 아니라 승객 신체의 본래의 탄성으로 인해, 움직임은 측방향 충돌의 에너지 흐름에 노출된 차량 도어의 방향에서 역운동으로 변환된다. 승객은 특히 상해 가능성이 높은 머리/목 구역에서 급격한 힘 모멘트의 변화를 경험한다. 그러나, 승객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측을 향하는 차량 도어의 측면에 부딪치는 경우에 목숨을 위협하는 상해를 입는데, 그 도어는 변형되면 충돌의 결과로서 차량의 내측을 향해 각각 변형된다. 본 발명의 해법의 장치는 전술한 충돌에 기반한 힘 유입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역운동이 가능한 많이 억제되고 특히 본 발명의 해법에 따른 트랜스듀서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완만하게 감속된다는 점에서 차량 도어의 내벽에 부딪치는 승객과 관련한 목숨을 위협하는 상해 가능성을 확실하게 감소시킨다. 이를 위한 선행 조건은 승객과 차량의 내측 라이닝 사이의 자유로운 중간 공간을 트랜스듀서 재료에 기반한 구동 요소에 의해 확실하게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내측 도어 라이닝에는 이 내측 라이닝 도어와 승객 사이의 공간을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승객과 약간 접촉하도록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내측 도어 라이닝 평면으로부터 회전 방식으로 또는 병진 방식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승객이 충돌로부터 생기는 동적 거동으로 인해 내측 도어 라이닝의 연장된 일부 영역을 압박하면, 일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초기 위치로의 복귀는 적합한 완충 요소를 이용함으로써 완충되고, 각각 감속된다. 바람직한 완충 유닛으로서는 기본적으로 임의의 타입의 탄성 성형체, 예컨대 발포 고무 쿠션, 엘라스토머 등이 적합하다. 그러나, 완충 특성이 제어된 전기 에너지 투입을 통해 대응하는 활성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트랜스듀서 재료, 예컨대 형상 기억 합금 또는 전기 유변 액체가 특히 적합하다. 승객에게 작용하는 생체 역학 응력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설계된 완충 유닛 내측에서 에너지 소산이 발생한다. 따라서, 트랜스듀서 재료를 이용하여 발명된 해법에 따라 완충 유닛을 구성하면, 내측 도어 라이닝의 각 일부 영역의 선택적인 연장이 가능한 동시에 또한 완충 유닛으로서 작용한다. 이 방식으로, 구동 유닛과 완충 유닛은 자동차 산업에서 원하는 바와 같이 소형의 경량 유닛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단일의 유닛에 조합된다.
본 발명의 해법에 따른 보호 시스템과 급박하고 피할 수 없는 것이라 생각되는 측방향 충돌 상황을 검출할 수 있는 차량 본래의 센서 시스템의 바람직한 조합은 충돌 에너지가 차량에 작용하기 전이라도 구동 유닛의 활성과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관련된 연장 제어를 적시에 가능하게 한다. 이 방식으로, 전술한 내측 도어 라이닝과 승객 사이의 공간이 최소로 감소된다. 시트 벨트 시스템의 탄성과 반응 시간으로 인한 차량 도어에 대한 추가 거리는 대응하는 일부 영역의 추종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승객이 시트 벨트 시스템에 의해 완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일부 영역에 의해 완충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도어 라이닝의 서로 분리된 2개의 일부 영역이 연장된 상태로 운반되어, 일부 영역이 일측으로부터 골반 구역을 측방향으로 지지하고 다른 일부 영역이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몸통 구역을 지지할 수 있다. 양쪽 일부 영역은 승객이 대부분 완만한 완충을 겪는 방식으로 승객 본래의 동역학에 의해 신체의 대응 부분의 각각의 생체 역학 응력 한계에 적합한 동일한 완충 특성 또는 다양한 완충 특성을 갖고 일부 영역에 할당된 완충 유닛에 의해 각자의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2개 이상의 일부 영역이나 심지어는 전체 내측 도어 라이닝이 본 발명의 해법에 따라 승객을 완충시키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방향 충돌시에 차량의 승객이 노출되는, 목숨을 위협하는 상해 가능성을 선택적으로 감소하는 전술한 장치는,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과 도어의 내측 라이닝 사이의 중간 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이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도어의 내측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연장에 의해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원리를 기초로 한다. 더욱이, 그 목적은 도어의 내측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도어의 내측 라이닝 방향으로 충돌에 기반한 상대적인 가속으로부터 생기는 충돌에 기반한 에너지 투입 중에 또는 그 에너지 투입에 후속하여 완충 방식으로 승객을 감속하는 것이다.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연장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에 측방향으로 부착되어 매우 급박하고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되는 측방향 충돌 상황을 검출하는 종래 기술의 전충돌 센서에 의해 충돌에 기반한 에너지 투입 전에 발생한다. 이 경우에,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연장에 필요한 구동 유닛이 작동된다. 적어도 일부 영역의 병진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장용 트랜스듀서 재료의 사용은 일부 영역의 매우 신속한 활성화 및 연장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연장을 반대로 안전하게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에어백을 작동 후에 완전히 교체해야 하는 에어백 시스템을 갖춘 경우처럼 미스 트리거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의 고장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법에 따른 안전 시스템의 역전 가능한 작용 방식은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급박한 상황의 오해석을 면제함으로써, 신뢰성이 덜하고, 이에 따라 저렴한 센서 시스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또는 정신을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일례로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통상적인 측방향 충돌 상황의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해법에 따라 구성된 내측 도어 라이닝의 개략 도.
도 3a, 3b 및 3c는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인 영역의 연장의 연속적인 이미지 도면.
도 1은 매우 급박해서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는 측방향 충돌 상황의 개략적인 모멘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차량 내측에서 차량 시트(2) 상에 착석하고 있는 승객(1)은 차량 도어(4)의 내측 도어 라이닝(3)으로부터 소정 거리(d)에 있다. 도시하지 않은 센서 시스템은 차량(5)이 차량 도어(4)에 측방향으로 근접하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는 측방향 상황을 인지한다. 이 경우에, 내측 도어 라이닝(3)의 일부 영역(6, 7)은 차량 내측(8)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간(d)에 의해 묘사된 승객(1)과 내측 도어 라이닝(3) 간의 중간 공간을 충전하여 승객(1)을 향해 연장된 상태를 취한다.
차량(5)과 개략적으로 도시된 차량 도어(4)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면, 승객(1)은 먼저 차량(5)에 의해 야기된 힘의 충격 방향으로 이동된 다음에, 즉 도시된 경우에 좌측으로 가속된 다음에, 시트 벨트 시스템의 구속력으로 인해 차량 도어(4)의 방향으로 복귀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귀 과정은 내측 도어 라이닝(3)에 연결된 일부 영역(6, 7)이 그 초기 상태(6', 7'; 해치 영역 참조)로 복귀되기 때문에 완충된 상태로 발생하고 각각 감속된다. 부분 상태(6, 7)를 복귀시키는 과정은 특히 트랜스듀서 재료나 발포 고무 요소 등에 의해 복귀되는 적합한 완충 유닛을 이용하여 완충된 상태로 발생하고 각각 감속된다.
도 2a는 차량 도어(4)의 내측 도어 라이닝(3)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2개의 평면을 나타내는 일부 영역(6, 7)은 연장된 상태에서 차량 내측 방향으로 내측 도어 라이닝(3)의 표면 밖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부 영역(6)은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몸통 구역을 차단하고 각각 완충하며 어깨 구역을 각각 완충하는 반면에, 일부 영역(7)은 승객의 골반 구역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b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내측 도어 라이닝(해치 참조)은 차량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연장된 상태로 운반될 수 있다.
매 경우에, 내측 도어 라이닝의 일부 영역의 연장은 병진 방식으로 선형 축선을 따르거나 도 3a 내지 3c의 연속적인 도면에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연속적인 도면은 우측 차량 도어(4)의 내부 측면(3)에서의 개략적인 평면도에 대응하는데, 그 내부 측면에는 차량 내측(8)으로 부딪치고 각각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일부 영역(6)이 부착된다. 차량 도어는 A 칼럼과 B 칼럼 사이에 로킹된다. 일부 영역(6)은 축(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분절되어 있는데, 그 일부 영역은 전방측 에지 구역과 차량 내측(8)으로 회전 가능한 분절식 운동부(11)에 연결된 반대측의 단부 구역을 구비한다. 분절식 운동부(11)는 한편으로는 일부 영역(6)의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 도어(4)에 연결된다. 분절식 운동부(11)는 일부 영역(6)을 연장시키고(도 3b에 따른 도면 참조), 연장된 일부 영역(6)을 완충 방식으로 초기 상태(도 3c)로 복귀시키는 구동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구동 유닛 뿐만 아니라 완충 유닛으로서 구성된 분절식 운동 부(11)는 트랜스듀서 재료로 제조되거나, 예컨대 기억 합금 형태의 트랜스듀서 재료 또는 연장이 바람직하게는 전기 에너지 형태인 에너지 투입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전기 유변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를 포함하는 부분이 적어도 구비되어 있다. 다른 트랜스듀서 재료, 예컨대 압전 세라믹, 특히 무연 압전 세라믹(unleaded piezo-ceramics), 압전 폴리머(piezo-polymers), 전왜 세라믹(electrostrictive ceramics), 전기 유변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s), 폴리머 겔(polymer gels), 자석 유변 유체(magnet rheological fluids) 뿐만 아니라 형상 기억 폴리머(shape memory polymers)를 또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되는 트랜스듀서 재료에 따라, 각각의 일부 영역의 연속적인 연장에 대해 대응하는 행위자 설계가 필요하다.
분절식 운동부(11)는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완충 거동, 연장된 일부 영역(6)을 개별적인 감속 특성을 이용하여 복귀시키는 전술한 각각의 완충 거동을 갖는 트랜스듀서 재료의 적어도 몇몇 부분을 포함한다. 물론, 분절식 운동부(11)를 다른 완충 유닛, 예컨대 엘라스토머 또는 발포 고무 쿠션 등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승객
2: 차량 시트
3: 내측 도어 라이닝
4: 차량 도어
5: 차량
6, 7: 일부 영역
8: 차량 내측
9: 시트 벨트 시스템
10: 회전축
11: 분절식 운동부

Claims (16)

  1. 에너지 투입이 차량 도어의 일부 영역에 대해 측방향으로 작용하고, 측방향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 시트는 에너지 투입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차량 도어의 측면에 위치되며, 차량 도어에는 차량 시트를 향하는 내측 도어 라이닝이 마련되어 있고,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차량 도어 및 내측 도어 라이닝의 일부 영역에 연결된 구동 유닛에 의해 초기 상태로부터 차량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운반될 수 있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로서,
    상기 구동 유닛에는 에너지 투입에 의해 작동 가능한 트랜스듀서 재료가 제공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와 내측 도어 라이닝의 일부 영역 사이에는 차량 내측으로부터 나오는 힘 유입시에 완충되어 상기 일부 영역을 초기 상태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완충 유닛이 제공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에는 매우 급박한 측방향 충돌을 검출할 수 있는 평가 유닛을 갖춘 센서 시스템이 마련되고,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되는 측방향 충돌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구동 유닛은 작동되어 측방향 충돌에 기반한 에너지 투입이 차량 도어에 작용하기 전에 적어도 일부 영역을 연장된 상태로 운반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유닛에는 트랜스듀서 재료가 제공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재료의 완충 거동은 에너지 투입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과 완충 유닛은 트랜스듀서 재료에 기반한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구성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유닛에는 탄성 요소 및/또는 팽창 및 수축 요소가 제공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유닛은 발포 쿠션인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적어도 일부 영역을 차량 내측을 향하는 선형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선형 드라이브로서 구성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차량 내측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 라이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몸통 레벨, 어깨 레벨 또는 골반 구역 레벨에 배치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내측 도어 라이닝 중 연장 가능한 부분이 다수 마련되고, 이들 부분 중 하나는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몸통 레벨, 어깨 레벨 및/또는 골반 구역 레벨에 각각 배치되고, 단일의 연장 가능한 부분은 균일한 또는 다양한 연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가능한 부분에는 승객 신체의 각각의 일부 영역의 생체 역학적 응력 한계에 적합한 동일한 또는 다양한 완충 특성을 갖는 완충 유닛이 제공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된 상태에서 내측 도어 라이닝의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일부 영역은 차량 내측을 향하는 일부 영역과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 사이의 중간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차량 내측으로 돌출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부 영역의 완충 복귀는 연장된 일부 영역에서 차량 시트 상에 착석한 승객의 충돌시에 승객의 생리학적 응력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완충을 선택함으로써 발생하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재료는, 압전 세라믹, 무연 압전 세라믹, 압전 폴리머, 전왜 세라믹, 전기 유변 유체, 전기활성 폴리머, 폴리머 겔, 자석 유변 유체, 형상 기억 합금 및 형상 기억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차량 내의 승객 보호 증가 장치.
KR1020077029533A 2005-05-19 2006-05-12 측면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 KR20080030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3073 2005-05-19
DE102005023073.3 2005-05-19
DE102005041079A DE102005041079A1 (de) 2005-05-19 2005-08-30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höhung des Insassenschutzes in einem Fahrzeug bei einem Seitenaufprall
DE102005041079.0 2005-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567A true KR20080030567A (ko) 2008-04-04

Family

ID=3661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533A KR20080030567A (ko) 2005-05-19 2006-05-12 측면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05517B2 (ko)
EP (1) EP1881915B1 (ko)
JP (1) JP2008540236A (ko)
KR (1) KR20080030567A (ko)
AT (1) ATE460316T1 (ko)
DE (2) DE102005041079A1 (ko)
WO (1) WO2006122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7002B4 (de) * 2007-02-08 2010-06-02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vorrichtung
DE102007013543A1 (de) * 2007-03-16 2008-09-25 Takata-Petri Ag Insassenrückhalte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Rückhalten eines Insassen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7056295A1 (de) 2007-11-22 2009-05-2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sowie eine Fahrzeugtür mit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US8201850B2 (en) * 2008-04-26 2012-06-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justable belt tensioning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DE102009000199A1 (de) * 2009-01-14 2010-07-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Schützen und Halten eines Insassen eines Fahrzeugs und Schutz- und Haltevorrichtung zum Schutz eines Insassen eines Fahrzeugs
US8452494B2 (en) 2010-06-08 2013-05-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urtain air bag deployment using an actuator attached to a headliner
CN104192089B (zh) * 2014-08-25 2017-07-14 葛国明 一种具有逃生系统的车辆
JP6464689B2 (ja) * 2014-11-14 2019-02-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構造
AT519655B1 (de) * 2017-04-24 2018-09-15 Blue Danube Robotics Gmbh Erkennung einer Kollision eines Handhabungsgeräts mit einem Hindernis
US10919477B2 (en) * 2019-02-21 2021-02-16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Deployable vehicle interior door panel
FR3093050B1 (fr) 2019-02-22 2021-01-29 Psa Automobiles Sa Elément de garnissage de panneau d’habillage intérieur d’un véhicule automobile, porte de véhicule équipé de l’élément de garnissage
DE102021101920B4 (de) 2021-01-28 2022-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eitentür für einen Kraftwagen, insbesondere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sowie Kraftwagen wenigstens einer solchen Seitentür
KR20220126136A (ko) * 2021-03-08 2022-09-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5674C2 (de) * 1972-03-30 1973-12-20 August Thyssen-Huette Ag, 4100 Duisburg Fahrzeugtür, insbesondere fur Kraft fahrzeuge
DE4125299C2 (de) * 1991-07-31 1996-09-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Tür für ein Kraftfahrzeug mit Aufprallschutz
DE19507988C2 (de) * 1995-03-07 1997-02-13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r Erhöhung der Sicherheit von Personen in Fahrzeugen
SE9701288L (sv) * 1997-04-09 1998-10-10 Lear Corp Skyddsanordning för åkande i motorfordon
US6170871B1 (en) * 1998-06-24 2001-01-09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able trim panel assembly for safety restraint systems
DE19828444A1 (de) * 1998-06-25 1999-12-30 Oliver Horsky Seitenaufprallschutzsystem für Fahrzeuge aller Art
EP1046551B1 (de) * 1999-04-22 2003-06-18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Knie-Rückhaltevorrichtung
US6152488A (en) * 1999-06-16 2000-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teering column with variable collapse force
JP4273604B2 (ja) * 2000-01-21 2009-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乗員保護装置
DE10043290C1 (de) * 2000-09-02 2002-04-18 Act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chutz der Insassen eines Fahrzeuges bei einem Aufprall des Fahrzeuges auf ein Hindernis
US7055853B2 (en) * 2002-01-31 2006-06-0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apparatus
US6786508B2 (en) * 2002-09-30 2004-09-07 Lear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US6910714B2 (en) * 2003-04-02 2005-06-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assembly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DE10341328B4 (de) * 2003-09-08 2005-09-0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zum Insassenschutz in einem Fahrzeug
DE10341329B4 (de) * 2003-09-08 2005-09-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höhung des Insassenschutzes in einem Fahrzeug bei einem Seitenaufprall
DE10351752A1 (de) * 2003-11-06 2005-06-09 Daimlerchrysler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GB2408239A (en) * 2003-11-19 2005-05-25 Autoliv Dev Safety arrangement actuated to restrain forward movement of a vehicle occupant's knees
US7267367B2 (en) * 2004-04-01 2007-09-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versibly expandable energy absorbing assembly utilizing shape memory foams for impact management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7392876B2 (en) * 2004-06-09 2008-07-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Hood assembly utilizing active materials based mechanisms
US7140478B2 (en) * 2004-08-13 2006-1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versibly expandable energy absorbing assembly utilizing actively controlled and engineered materials for impact management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7264271B2 (en) * 2004-08-13 2007-09-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versibly deployable energy absorbing assembly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05517B2 (en) 2011-03-15
EP1881915A1 (de) 2008-01-30
JP2008540236A (ja) 2008-11-20
US20090218794A1 (en) 2009-09-03
EP1881915B1 (de) 2010-03-10
DE502006006397D1 (de) 2010-04-22
ATE460316T1 (de) 2010-03-15
WO2006122725A1 (de) 2006-11-23
DE102005041079A1 (de)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0567A (ko) 측면 충돌 중에 차량 내의 승객 보호를 증가시키는 장치
US8594894B2 (en) Method for protecting a vehicle occupant in a vehicle seat of a vehicle
US8267445B1 (en) Inertia-locking reactive bumper for motor vehicle
EP1266804B1 (en) Vehicle occupant side crash protection system
JP2012071834A (ja) 安全装置
KR101309184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의 완충장치
US11685297B2 (en) Vehicle seat console
US11059400B2 (en) Vehicle seat console
JP2019500276A (ja) 自動車のための車両座席アレンジメント及び車両座席アレンジメント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
JP4489779B2 (ja) 衝突時の車両ドアに対するエネルギーの衝撃から搭乗者を保護するための自動車用装置
JP3100296U (ja) 歩行者の安全保護のための変形制御が可能な車両のフロント部用構造
KR101216150B1 (ko) 충격력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
JP2007534539A (ja) 側面衝突での車内の搭乗者保護を向上するための装置
US20050062330A1 (en) Method for moving a headrest in the event of a rear-end collision and arrangement of a headrest on a vehicle seat
JP2010047209A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及び車両用乗員保護装置
CN106985776B (zh) 一种抗撞结构的导向刚度补偿装置
CN108367720A (zh) 用于机动车的行人保护装置
KR100489986B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시트
KR100366585B1 (ko) 충격 흡수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CN111942310A (zh) 用于机动车辆的撞车盒
CN210116471U (zh) 车辆防撞装置和车辆
KR100376473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장치
RU214928U1 (ru) Устройство энергопоглощения для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440227B1 (ko) 승객보호용 버스의 시트백 프레임구조
KR100558861B1 (ko) 자동차의 탑승객 무릎보호용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