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897A -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간헐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간헐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897A
KR20080028897A KR1020077030984A KR20077030984A KR20080028897A KR 20080028897 A KR20080028897 A KR 20080028897A KR 1020077030984 A KR1020077030984 A KR 1020077030984A KR 20077030984 A KR20077030984 A KR 20077030984A KR 20080028897 A KR20080028897 A KR 2008002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ittent reception
channel
mobile station
recep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574B1 (ko
Inventor
미나미 이시이
야스히로 카토
사다유키 아베타
타케히로 나카무라
타카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2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04B7/26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for data ra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이동국이, 시그널링 제어 채널만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간헐수신 수단과,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트래픽 데이터의 유무를 판정하는 수단과,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트래픽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수행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간헐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수단과, 간헐수신 채널을 결정하는 수단과, 간헐수신 채널을 이동국에 대하여 통지하는 수단과,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로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Figure P1020077030984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공유 데이터 채널,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트래픽 데이터

Description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간헐수신방법{MOBILE ST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MITTENT RECEPTION METHOD}
본 발명은,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간헐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국(mobile station)의 배터리 절약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 사용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송신하는 트래픽 양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태를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신할 트래픽 양이 많은 경우는 개별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개별 채널 상태(CELL_DCH), 송신할 트래픽 양이 적은 경우는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공통 채널 상태(CELL_FACH), 송신할 트래픽이 없는 경우는 호출 지시자(Paging Indicator)를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간헐 수신 상태(CELL_PCH 또는 URA_PCH :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가 정의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할 트래픽 양에 따라 각 상태를 천이한다.
송신할 트래픽 양에 따라 상기 상태 천이(state transition)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신 채널을 절환(switch)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2에 도 시한 바와 같은 이동국(1)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로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에 있어서, 이동국(1)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 간에 채널설정 요구신호(channel setup request signal) 및 채널설정 응답신호(channel setup response signal)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채널설정 요구신호의 일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CELL_PCH 상태의 이동국이 CELL_DCH 상태로 천이하는 경우에 대해, 이동국(1)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 간의 채널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는, 이동국(1)에 페이징(Paging) 정보를 송신한다. 이동국(1)은, 현재의 셀을 통지한다(CELL UPDATE).
다음으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는, 셀이 재선택된 것을 확인하고, 또한 통신에 사용할 물리 채널을 지정하는 신호를 송신한다(CELL UPDATE CONFIRM).
다음으로, 이동국(1)은 물리 채널의 재구성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한다(PHYSICAL CHANNEL RECONFIGURATION COMPLETE).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배경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할 트래픽 양에 따라 상태 천이(state transition)를 수행한 결과,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를 송신하기까지 채널 설정에 따른 제어지연(control delay)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의 제어부하(control load)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지연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간헐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국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shared data channel)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signaling control channel)을 설정하고,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으로, 간헐수신(discontinuous reception)을 수행하는 경우에,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간헐수신 수단과, 상기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처가 자 이동국(own mobile station)인 트래픽 데이터의 유무를 판정하는 데이터 유무 판정수단과,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트래픽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수행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헐수신 상태로 천이한 경우에도, 시그널링 제어 채널의 간헐수신을 수행하므로, 통신 채널의 절환(switching)이 필요 없게 되어, 채널 설정에 따른 제어지연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설정하고,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간헐수신 상태로 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간헐수신 관리수단과, 간헐수신 채널을 결정하는 간헐수신 채널 결정수단과,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을 통지하는 간헐수신 채널 통지수단과,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로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케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채널 설정 절차를 수행할 필요없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국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간에 공유 데이터 채널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설정하고,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 상기 이동국은,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시그널링 제어 채널만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간헐수신 수단과, 상기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트래픽 데이터의 유무를 판정하는 데이터 유무 판정수단과,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트래픽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수행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간헐수신 상태로 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간헐수신 관리수단과, 간헐수신 채널을 결정하는 간헐수신 채널 결정수단과,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을 통지하는 간헐수신 채널 통지수단과,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로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케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동국은, 간헐수신 상태로 천이한 경우에도, 시그널링 제어 채널의 간헐수신을 수행하므로, 통신 채널의 절환이 필요 없게 되어, 채널 설정에 따른 제어지연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채널 설정 절차를 수행할 필요없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간헐수신 방법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설정하고,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에서의 간헐수신 방법으로,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간헐수신 단계와, 상기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트래픽 데이터의 유무를 판정하는 데이터 유무 판정 단계와,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트래픽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개시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개시 단계를 갖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국은, 간헐수신 상태로 천이한 경우에도, 시그널링 제어 채널의 간헐수신을 수행하므로, 통신 채널의 절환이 필요 없게 되어, 채널 설정에 따른 제어지연을 저감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지연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간헐수신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접속시의 상태 천이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이동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채널설정 요구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수신 상태와 상태 천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에서의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 상시 수신 상태로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00 이동국
2, 200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부호를 이용하며,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국(100)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로 구성된다.
이동국(100)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는 공유 데이터 채널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통해 쌍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100)은, 안테나를 구비하는 간헐수신 수단으로서의 데이터 송수신부(102), 데이터 송수신부(102)와 접속된 데이터 유무 판정부(104) 및 간헐수신 요구부(108), 데이터 유무 판정부(104)와 접속된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수단으로서의 공유 데이터 채널 복조부(106)를 구비한다.
데이터 송수신부(102)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송수신부(102)는,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시그널링 제어 채널만 간헐수신을 수행한다.
데이터 유무 판정부(104)는,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 수신처가 자 이동국(100)인 데이터의 유무 판정을 수행한다.
공유 데이터 채널 복조부(106)는,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시그널링 제어 채널과 대응한 타이밍에 수신한 공유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수행한다. 즉, 공유 데이터 채널 복조부(106)는,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트래픽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수행한다.
간헐수신 요구부(108)는, 공유 데이터 채널을 상시 수신(continuously receiving)시에, 간헐수신으로의 천이가 필요한지 여부 판정을 수행하며, 간헐수신으로의 천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향 시그널링 제어 채널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간헐수신을 요구하는 정보를 통지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는, 송신부(202), 송신부(202)에 접속된 간헐수신 채널 통지부(208), 스케줄링 수단으로서의 공유 데이터 채널 제어부(204) 및 시그널링 제어 채널 제어부(206), 공유 데이터 채널 제어부(204) 및 시그널링 제어 채널 제어부(206)에 접속된 간헐수신 관리부(210), 간헐수신 관리부(210) 및 간헐수신 채널 통지부(208)에 접속된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를 구비한다.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는, 간헐수신 개시 타이밍, 간헐수신 주기, 및 간헐수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한다. 또,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는, 간헐수신 상태로 천이한 이동국의 간헐수신 채널을 다른 이동국과 겹치지 않도록 결정한다. 예를 들면,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는, 시그널링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 채널을 선택하여, 간헐수신 채널로 한다. 또,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는,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을 간헐수신 관리부(210)에 저장한다.
간헐수신 채널 통지부(208)는,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에 의해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을, 해당 이동국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간헐수신 채널 통지부(208)는, 간헐수신을 실시할 타이밍, 간헐수신 주기, 및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해야 할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지한다.
간헐수신 관리부(210)는, 각 이동국의 상태, 예를 들면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상태 및 간헐수신 상태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간헐수신 관리부(210)는, 간헐수신 상태로 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간헐수신 관리부(210)는, 간헐수신 개시 타이밍 및 간헐수신 채널을 관리하고, 간헐수신 상태의 이동국에,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에 의해 결정된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타이밍을 후술하는 시그널링 제어 채널 제어부(206)에 통지한다.
시그널링 제어 채널 제어부(206)는, 통지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공유 데이터 채널 제어부(204)는, 이동국의 우선도나 데이터량 등을 고려하 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제어 장치의 기능과, 무선 기지국 장치의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무선 제어 장치(220)에는 간헐수신 관리부(210),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 및 간헐수신 채널 통지부(208)가 배치되고, 무선 기지국 장치(230)에는 공유 데이터 채널 제어부(204) 및 시그널링 제어 채널 제어부(206)가 배치된다.
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를, 무선 제어 장치(220)와 무선 기지국 장치(230)로서 실현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이동국(100)의 수신상태와, 공유 데이터 채널, 시그널링 제어 채널의 수신상태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100)의 수신상태로는, 공유 채널 (상시) 수신 상태,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가 있다. 이동국(100)에 있어서, 공유 채널 수신 상태에서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로의 천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수행된다.
또,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에서 공유 채널 상시 수신 상태로는, 이동국(100)이 하향 데이터(downlink data)를 수신함으로써 천이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는, 이동국(100)이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인 경우 하향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이동국의 간헐수신 타이밍에 맞추어 하향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신 데이터 또는 송신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이동국(100)은,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상태에서의 이동국(100)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상태의 이동국(100)의 데이터 유무 판정부(104)는, 상시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수신한 시그널링 제어 채널에 자 이동국의 식별자(identifier)가 들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902). 자 이동국의 식별자는 시그널링 제어 채널에 직접 들어 있어도 좋으며, 또는 자 이동국의 식별자로 규정 연산 처리된 신호로부터 검출하여도 좋다.
자 이동국의 식별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단계 S902:NO), 데이터 유무 판정부(104)는, 다음 타이밍의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즉, 단계 S902로 돌아간다.
한편, 자 이동국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송수신부(102)는, 대응하는 타이밍의 공유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단계 S904).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상태에 있어서,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데이터가 쌍방향 모두 일정시간 동안 없는 경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의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는 이동국(100)이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로 천이해야 함을 판단한다. 간헐수신 채널 통지부(208)는, 간헐수신 상태로 천이해야 함을 이동 국(100)에 지시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의 공유 데이터 채널 제어부(204)는 하향 데이터 유무의 측정을 수행한다. 또, 이동국(100)의 간헐수신 요구부(108)는, 상향 데이터(uplink data) 유무의 측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100)의 간헐수신 요구부(108)는, 상향 송신 데이터의 유무를 측정한 결과, 일정시간 동안 송신 데이터가 없는 경우는, 송신 데이터가 없음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에 통지한다.
송신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의 간헐수신 채널 결정부(212)는, 간헐수신 채널 통지부(208)를 통해,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로 천이할 것을 통지한다.
지시를 받은 이동국(1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유 채널 상시 수신 상태에서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로 상태 천이한다.
다음으로,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로 천이한 이동국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100)의 데이터 송수신부(102)는, 간헐수신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2).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의 이동국(1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지정된 간헐수신 타이밍에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간헐수신 상태가 아닌 경우(단계 S1102:NO), 단계 S1102로 돌아간다.
한편, 간헐수신 상태인 경우(단계 S1102:YES),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데이터 유무 판정부(104)는,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4).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데이터가 없는 경우, 즉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간헐수신한 경우에, 하향 송신 데이터에 자 이동국의 식별자가 들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104:NO), 단계 S1102로 돌아간다. 이 경우,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상태로는 천이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동국(100)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의 지시에 따라, 적어도 일부의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수신처가 자 이동국인 데이터가 있는 경우, 즉 간헐수신한 시그널링 제어 채널에 자 이동국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단계 S1104:YES),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단계 S1106). 이 경우,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 상시 수신 상태로 천이한다.
시그널링 제어 채널 간헐수신 상태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 상시 수신 상태로 천이한 경우의 이동국(100) 동작 흐름의 일 예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의 시그널링 제어 채널 제어부(206)는, 시그널링 제어 채널로 호출을 수행한다(단계 S1202).
이동국(100)은, 자 이동국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공유 데이터 채널 상시 수신 상태로 천이한다(단계 S1204).
이동국(100)은,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을 개시한다(단계 S1206).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상태 천이나 채널 절환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는, 시그널링 제어 채널로 이동국(100)을 호출한 후, 즉시 하향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채널 절환이 불필요하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상 수신시와 간헐 수신시에서의 통신채널의 절환이 불필요하므로, 간헐 수신시에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도 직접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국의 데이터 수신까지의 제어지연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통신 채널의 절환 절차도 불필요하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부하도 경감 가능하다.
또, 간헐수신 상태로의 천이시에도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간헐수신하면 되므로, 통신채널의 절환이 불필요하며, 또,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도 채널 설정 절차를 수행할 필요없이,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므로, 데이터 수신까지의 제어지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간헐수신방법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05년 6월 1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05-17577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5-175778호의 전 내용을 여기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9)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와의 사이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shared data channel)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signaling control channel)을 설정하고,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으로,
    간헐수신(discontinuous reception)을 수행하는 경우에,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간헐수신 수단;
    상기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자 이동국(own mobile station)으로의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의 유무를 판정하는 데이터 유무 판정 수단;
    자 이동국으로의 트래픽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수행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 제 1항에 있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간헐수신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향(uplink) 시그널링 제어 채널로 통지하는 간헐수신 요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설정하고,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간헐수신 상태로 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간헐수신 관리수단;
    간헐수신 채널을 결정하는 간헐수신 채널 결정수단;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을 통지하는 간헐수신 채널 통지수단;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로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케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채널 결정수단은, 시그널링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채널 통지수단은, 간헐수신을 실시할 타이밍, 간헐수신 주기, 및 간헐수신을 수행할 경우에 수신해야 할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6. 이동국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간에 공유 데이터 채널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설정하고,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
    상기 이동국은,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시그널링 제어 채널만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간 헐수신 수단;
    상기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자 이동국으로의 트래픽 데이터의 유무를 판정하는 데이터 유무 판정 수단;
    자 이동국으로의 트래픽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수행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간헐수신 상태로 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간헐수신 관리수단;
    간헐수신 채널을 결정하는 간헐수신 채널 결정수단;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을 통지하는 간헐수신 채널 통지수단;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에, 결정된 간헐수신 채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로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케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7.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유 데이터 채널과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설정하고,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에서의 간헐수신방법으로,
    시그널링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간헐수신 단계;
    상기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자 이동국으로의 트래픽 데이터의 유무를 판정하는 데이터 유무 판정 단계;
    자 이동국으로의 트래픽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개시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 수신 개시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간헐수신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단계는,
    시그널링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 채널을 간헐수신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수신방법.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단계는,
    간헐수신을 실시할 타이밍, 간헐수신 주기, 및 간헐수신을 수행할 경우에 수신해야 할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수신방법.
KR1020077030984A 2005-06-15 2006-06-14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간헐수신방법 KR101235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5778 2005-06-15
JP2005175778A JP2006352489A (ja) 2005-06-15 2005-06-15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間欠受信方法
PCT/JP2006/311963 WO2006134984A1 (ja) 2005-06-15 2006-06-14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間欠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897A true KR20080028897A (ko) 2008-04-02
KR101235574B1 KR101235574B1 (ko) 2013-02-22

Family

ID=3753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984A KR101235574B1 (ko) 2005-06-15 2006-06-14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간헐수신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340028B2 (ko)
EP (1) EP1892856B1 (ko)
JP (1) JP2006352489A (ko)
KR (1) KR101235574B1 (ko)
CN (1) CN101208883A (ko)
BR (1) BRPI0612292B1 (ko)
ES (1) ES2884824T3 (ko)
HU (1) HUE056015T2 (ko)
PL (1) PL1892856T3 (ko)
RU (1) RU2416164C2 (ko)
TW (1) TW200709705A (ko)
WO (1) WO2006134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5507B2 (en) 2007-01-15 2011-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plink data by DRX-mode termina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EP2129149A4 (en) * 2007-03-01 2014-07-23 Ntt Docomo Inc BASIC ST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RPI0808045A2 (pt) 2007-03-01 2014-06-24 Ntt Docomo Inc Aparelho de estação base e método de controle de comunicação
BRPI0807883A2 (pt) 2007-03-01 2014-06-17 Ntt Docomo Inc Aparelho de estação base e método de controle de comunicação.
JP5247674B2 (ja) 2007-03-01 2013-07-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EP2120476A4 (en) * 2007-03-01 2014-01-01 Ntt Docomo Inc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L2547031T3 (pl) 2007-03-15 2014-07-31 Interdigital Tech Corp Sposób i urządzenie do zmiany kolejności danych w systemie ulepszonego szybkiego dostępu do pakietów
JP4702376B2 (ja) * 2008-02-14 2011-06-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制御情報の送信条件設定方法
CN101656978B (zh) * 2008-08-22 2014-01-01 株式会社Ntt都科摩 动态指示用户设备改变非连续接收状态的方法及装置
WO2013109300A1 (en) * 2012-01-19 2013-07-25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 discovery
KR101687289B1 (ko) 2016-06-10 2016-12-16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동작 기반 입력신호를 이용하는 사이니지
US20230175851A1 (en) * 2021-12-07 2023-06-08 Kyndryl, Inc. Data-analysis-based navigation system as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111A (ja) * 1994-09-09 1996-03-26 Canon Inc 無線システム
JP2606169B2 (ja) 1994-12-16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間欠受信機能を有する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414932B1 (ko) * 1998-01-24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데이타통신방법
JPH11313370A (ja) * 1998-04-28 1999-11-09 Toshiba Corp 移動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とそのデータ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JP4177924B2 (ja) * 1998-08-17 2008-11-0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移動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基地局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送信方法
JP3606812B2 (ja) 1999-04-12 2005-01-0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広帯域符号分割多重接続方式の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専用チャンネルの断続送信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4215926B2 (ja) * 2000-02-24 2009-01-28 株式会社Kddi研究所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WO2003063426A1 (en) * 2002-01-18 2003-07-3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y-based state transition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and wireless access networks
US20050107105A1 (en) * 2002-05-10 2005-05-19 Hideji Wakabayashi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WO2004047474A1 (ja) * 2002-11-19 2004-06-03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集線装置、無線基地局、移動局及び通信方法
JP3641268B2 (ja) * 2003-02-13 2005-04-20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装置とその制御ユニット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8335533B2 (en) * 2004-04-19 2012-12-18 Zte Corporation Trunking and push-to-talk mechanisms for WCDMA wireless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2856B1 (en) 2021-08-04
US8340028B2 (en) 2012-12-25
EP1892856A1 (en) 2008-02-27
US20090219862A1 (en) 2009-09-03
TWI334287B (ko) 2010-12-01
BRPI0612292B1 (pt) 2019-07-30
PL1892856T3 (pl) 2022-01-10
JP2006352489A (ja) 2006-12-28
KR101235574B1 (ko) 2013-02-22
RU2416164C2 (ru) 2011-04-10
RU2008100221A (ru) 2009-07-20
TW200709705A (en) 2007-03-01
EP1892856A4 (en) 2014-07-02
WO2006134984A1 (ja) 2006-12-21
BRPI0612292A2 (pt) 2010-11-03
HUE056015T2 (hu) 2022-01-28
CN101208883A (zh) 2008-06-25
ES2884824T3 (es)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574B1 (ko)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간헐수신방법
KR950000052B1 (ko)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KR101124132B1 (ko) 셀 전용 채널로의 직접 이행
CN109155958B (zh) 一种切换到中继节点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KR101176357B1 (ko) 무선 액세스 제어장치, 이동국 및 방법
EP34479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JP4834471B2 (ja) 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並びにページング方法
JP2008078891A5 (ko)
JP2008118204A (ja) ユーザ装置及びユーザ装置で使用される方法
EP2597928B1 (en) Discontinuous communication
JP3533353B2 (ja) Phs向けの移動局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
JP2004320602A (ja) 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制御装置
JP2009273185A (ja)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間欠受信方法
KR101082057B1 (ko) 이동국,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 시스템 및통신방법
US20220394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f data transmission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early data transmission
JP4998206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
CN110169092B (zh) 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02495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9296194A (ja) 移動端末、並びにそ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84830A1 (en) Communication link establis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