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804A - Lc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광-반사 및 광-흡수성질을 지닌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Lc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광-반사 및 광-흡수성질을 지닌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804A
KR20080027804A KR1020077031050A KR20077031050A KR20080027804A KR 20080027804 A KR20080027804 A KR 20080027804A KR 1020077031050 A KR1020077031050 A KR 1020077031050A KR 20077031050 A KR20077031050 A KR 20077031050A KR 20080027804 A KR20080027804 A KR 2008002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
pressure sensitiv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후제만
라인하르트 스토르벡크
Original Assignee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8002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반사 성질을 갖는 상부면 및 광흡수 성질을 갖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지지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며, 감압 접착 테이프의 각 면에 외부 감압 접착제를 지니는, 특히 광학적 액정 데이타 디스플레이(LCD) 사이를 접착시키기 위한 감압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광을 흡수하기 위해 검정색으로 착색된 하나 이상의 감압 접착제 층의 외부 감압 층 사이에, 광의 반사를 위한 하나 이상의 금속성 반사층이 제공되며, 적어도 상부면 상의 외부 감압 층이 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를 기술하고 있다.

Description

LC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광-반사 및 광-흡수 성질을 지닌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THE PRODUCTION OF LC DISPLAYS WITH LIGHT-REFLECTIVE AND ABSORBING PROPERTIES}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제작하기 위한, 다층 캐리어 구조 및 다층 접착제 구조를 가지며 광-반사 및 광-흡수 성질을 갖는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시대에서 감압 접착 테이프는 널리 분포된 가공 보조물이다. 특히 컴퓨터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감압 접착 테이프에는 매우 엄격한 요건이 부여된다. 감압 접착 테이프는 낮은 탈기체(outgassing) 거동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사용하기에 적합하여야 하며 특정 광학적 성질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의 한 사용 분야는 컴퓨터, TV, 노트북, PDA, 휴대폰, 디지탈 카메라 등에 필요한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사용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를 위한 검정색 층 및 반사를 위한 층을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대한 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참조 번호에 대한 구성요소는 하기와 같다:
1 LCD 유리 8 반사 필름
2 양면 검정색-백색 접착 테이프 9 LCD 케이싱
3 감압 접착제 10 접착 테이프의 검정색 흡수 면
4 광원 (LED) 11 반사면
5 광빔 12 가시광 영역
6 양면 접착 테이프 13 "보이지 않는(blind)" 영역
7 광 도파관
LC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광원인 LED(발광 다이오드)를 LCD 모듈에 결합시킨다. 일반적으로 검정색의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검정색 착색의 목적은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의 영역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및 외측에서 내측으로 광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검정색 착색을 달성하기 위한 수많은 방법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 한편, 검정색 광 모듈의 광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한쪽 면이 검정색(광-흡수성)이고 다른 한면이 광-반사성을 지니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정색 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많은 방법들이 현존하고 있다.
검정색 양면 접착 테이프를 생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캐리어 물질을 착색시키는 것이다. 전자 산업에서, 매우 양호한 다이절단성(diecuttability)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캐리어(PET)를 지니는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PET 캐리어도 광흡수를 달성하기 위해, 카본 블랙 또는 검정색 안료로 착색될 수 있다. 이러한 기존 방법의 단점은 광흡수 수준이 매 우 낮다는 것이다. 매우 얇은 캐리어 층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의 카본 블랙 또는 다른 검정색 안료의 입자들 만이 도입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광 흡수가 불완전하게 된다. 이후 눈, 또는 비교적 강한 광원(600 칸델라를 초과한 휘도)으로, 불완전한 흡수를 측정할 수 있다.
검정색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를 생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공동압출에 의해 2-층 캐리어 물질을 생성시키는 것과 관련된다. 캐리어 필름은 대개 압출에 의해 생산된다. 공동압출의 결과로서, 통상적인 캐리어 물질 뿐만 아니라, 제 2의 검정색 층이 공동압출되어 광 흡수의 기능을 충족한다. 이러한 방법 역시 여러가지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압출을 위해 필수적으로 블로킹 방지제가 사용되는데, 이는 이후 생성물에 소위 핀홀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핀홀은 광학적 점(point) 결함(광이 이러한 홀들을 통과함)이며, LCD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다른 문제점은 층 두께에 의해 제기되는데, 그 이유는 두개의 층이 먼저 다이(die)에서 개별적으로 형상화되고,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단지 비교적 두꺼운 캐리어 층을 실현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필름이 비교적 두꺼워지고 비가요성이 되며, 이에 따라 결합되는 표면에 대한 이의 배열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검정색 층은 마찬가지로 비교적 두꺼워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완전한 흡수를 실현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다른 단점으로는 캐리어 물질의 변형된 기계적 성질에 있는데, 검정색 층의 기계적 성질이 본래 캐리어 물질(예를 들어, 순수한 PET)의 기계적 성질과 상이하기 때문이다. 2-층 형태의 캐리어 물질의 또다른 단점은 공동압출된 캐리어 물질로의 접착제의 고정성이 상이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체예에서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서 약한 지점이 항상 존재한다.
또다른 방법으로, 검정색으로 착색된 코팅층이 캐리어 물질 상에 코팅된다. 이러한 코팅은 캐리어 상에 단면으로 또는 양면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또한 여러가지 단점을 갖는다. 한편으로, 결함(핀홀)이 용이하게 형성되고, 상기한 결함은 필름 압출 과정 동안 블로킹 방지제 의해 도입된다. 이러한 핀홀은 LC 디스플레이에서 최종 적용을 위해 허용되지 않는 것이다. 더욱이, 최대 흡수 성질은 이러한 요건에 상응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단지 비교적 얇은 코팅 층이 도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층 두께에 대해 상한치가 존재하는데, 이는 그렇지 않으면 캐리어 물질의 기계적 성질이 변형될 것이기 때문이다.
LC 디스플레이의 개발에서, 트랜드 개발이 있다. 한편, LC 디스플레이는 더욱 경량화되고 더욱 평탄화되고 있으며,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더욱 큰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플레이의 디자인은 변하고 있으며, 따라서 광원은 LCD 판넬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으며, 그 결과 외측으로부터 LCD 판넬의 주변 영역("보이지 않는 구역(blind area)")으로 보다 많은 광이 침투할 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발달과 함께,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의 차양 성질(블랙아웃(blackout) 성질)에 부여된 요건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검정색 접착 테이프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양면 접착 테이프는 반사성을 지녀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한쪽 면에는 금속층을 지니고 다른 한면에는 검정색 층 을 지니는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감압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면, 한면 상의 광-반사 및 반대면 상의 광-흡수와 관련하여 개별적인 개선이 얻어짐에도 불구하고, 캐리어 층 내의 블로킹 방지제로 인해 반사 면에서 불균일이 발생한다.
반사층을 수득하기 위해서 감압 접착제(PSA)에 반사성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수득가능한 반사 성질은 비교적 불충분하다.
JP 2002-350612호는 광-보호 성질을 지닌 LCD 판넬용 양면 접착 테이프를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캐리어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된 금속층에 의해 달성되며, 또한 부가적으로 캐리어 필름을 착색시킬 수 있다. 금속화의 결과로서, 접착제 테이프의 생산은 비교적 고가가 되고 불편하며, 접착 테이프 자체는 불충분한 플랫 라이(flat lie)를 갖는다.
JP 2002-023663호는 또한 광-보호 성질을 갖는 LCD 판넬용 양면 접착 테이프를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캐리어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된 금속층에 의해 달성된다.
DE 102 43 215 A는 한면에 광-흡수 성질을 지니고 다른 한면에 광-반사 성질을 지닌 LC 디스플레이용 양면 접착 테이프를 기술하고 있다. 이 문헌은 검정색/은(silver)의 양면 PSA 테이프를 기술하고 있다. 투명하거나 착색된 캐리어 필름의 한면은 금속화되어 있고 다른 한면은 검정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호한 반사 특성은 달성되나 흡수 특성은 여전히 불충분한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블로킹 방지제로 인한 필름으로부터의 결함이 단지 덮혀지기만 해서 광이 이 점 (핀홀)을 통해 계속하여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LC 디스플레이의 접착제 결합 및 이의 제작을 위해서는, 상술된 결점들을 지니지 않거나 단지 이들을 감소된 정도로 갖는 양면 PSA 테이프가 계속하여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핀홀의 존재를 방지하며 광을 완전하게 흡수할 수 있고 개선된 광 반사를 특징으로 하는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에 따르는 본 발명의 감압 접착 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정황에서,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상기한 특징이 2-층 감압 접착제 및 PET 필름의 금속화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감압 접착 테이프의 유리한 구체예, 및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 테이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독립항은, 광-반사 성질을 갖는 상부면 및 광-흡수 성질을 갖는 하부면을 지니고, 상부면 및 하부면을 지닌 캐리어 필름을 추가로 지니는 감압 접착제 테이프, 특히 광학적 액정 데이타 디스플레이(LCD)의 접착제 결합을 형성시키기 위한 감압 접착제 테이프로서, 양면에 외측 감압 접착제 층이 제공되고, 부가적으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금속성 반사 층 및 광을 흡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검정색-착색된 감압 접착제 층 각각이 외측 감압 접착제 층들 사이에 제공되고, 적어도 상부면의 외측 감압 접착제 층이 투명한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유리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금속성 반사층이 캐리어 필름과, 상부면 상의 감압 접착제 층 사이에 위치한다.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금속성 반사층은 캐리어 필름과 검정색-착색된 감압 접착제 층 사이에 제공된다. 이 경우, 캐리어 필름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는, 하나가 캐리어 필름과 상부면 상의 감압 접착제 층 사이에 제공되고 나머지 하나가 캐리어 필름과 검정색으로 착색된 감압 접착제 층 사이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개의 금속성 반사층이 존재한다. 이 구체예의 유리한 형태에서, 캐리어 필름은 마찬가지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 테이프의 몇몇 유리한 구체예를 이하에 제공하나, 이는 하기한 실시예의 선택을 통해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 테이프의 양면 상의 감압 접착제 층 (d) 및 (d')은 각각의 경우에 특히 이들 구성 (층 두께 등) 및 화학적 조성의 측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PSA는 적어도 감압 접착제 테이프의 적어도 한면 상에서는 투명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감압 접착제 테이프의 양면 상의 PSA를 투명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제 1의 유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감압 접착 테이프는 캐리어 필름층(a), 금속성 반사층(b), 발색성 감압 접착제(c), 및 2개의 감압 접착제 층(d) 및 (d')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2개의 감압 접착제 층 적어도 상부면 상의 감압 접착제 층(d)은 투명하다. 여기서, 금속성 반사층 및 발색성 PSA는 캐리어 필름의 상이한 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체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는 캐리어 필름(a), 두개의 금속성 반사층(b), 발색성 감압 접착제(c), 및 2개의 감압 접착 테이프 층(d) 및 (d')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면 상의 감압 접착제 층(d)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는 캐리어 필름(a), 금속성 반사층(b), 발색성 PSA 층(c), 및 2개의 감압 접착제 층(d) 및 (d')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금속성 반사층(b) 및 발색성 PSA 층(c)이 캐리어 필름과 동일 면 상에 위치한다.
이 경우, 금속성 반사층(b)이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한 캐리어 필름과 발색성 PSA 층 (c)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면 상의 감압 접착제 층(d)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지시된 모든 한정 수치는 포함 수치로서, 즉 특정된 한정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캐리어 필름(a)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50 ㎛, 매우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6 ㎛이다. 층(b)는 금속성의 광택을 지니며 광-반사성이다. 금속성 반사층으로서 은으로 착색된 코팅 시스템이 유리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필름(a)의 한쪽 면 또는 양면 상에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은이 증기-코팅된다. 상기 언급된 구성의 조합 (즉, 연속적인 코팅 시스템을 사용한 증기 코팅, 또는 그 반대)이 또한 실시될 수 있다. 층(b)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200 nm이다. 층(c)는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인 어두운 색을 나타내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검정색의 PSA 층이다. (c)에 대한 PSA는 화학적 특성이 상이할 수 있고 상이한 검정색 안료를 함유할 수 있으는데, 이는 광-흡수 특성에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PSA 층(d) 및 (d')의 각각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이다. 개개의 층들 (b), (c), (d) 및 (d')는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내에서 두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두께가 상이한 PSA 층(d) 및 (d')가 도포될 수 있거나, 개개의 층, 둘 이상의 층 또는 모든 층을 동일하게 선택할 수 있다.
캐리어 필름 (a)
필름 캐리어로서, 원칙적으로 투명한 모든 필름유사 폴리머 캐리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불화된 폴리머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필름들은 탈응력화된(detensioned)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선택적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방향은 하나 또는 두개의 방향으로의 연신(drawing)에 의해 얻어진다. 필름, PET 필름의 생산 조작을 위해, 예를 들어 블로킹 방지제, 예를 들어 실리콘 디옥사이드, 실리카 쵸크(silica chalk), 쵸크 또는 제올라이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블로킹 방지제는 블록을 형성시키는 압력 및 온도 하에서 평평한 폴리머 필름이 함께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형적인 방법은 블로킹 방지제를 열가소성 혼합물 내로 혼입시키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 입자들이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종류의 필름이 본 발명의 양면 접착 테이프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감압 접착 테이프에서는, 블로킹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이 블로킹 방지제를 단지 매우 낮은 분율로만 함유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필름의 예로는,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Mitsubishi Polyester Film) (PET 5211, PET 5333, PET 5210) 제품인 호스타판 (Hostaphan)TM 5000 시리즈가 있다.
또한, 두께가 12 ㎛인 매우 얇은 PET 필름이, 예를 들어 이 필름이 양면 접착 테이프로 사용되게 하는 매우 양호한 접착 특성으로 인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 경우 필름이 매우 가요성이고 접합시킬 기판의 표면 거칠기에 잘 순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코팅층의 고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필름을 사전처리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들은 에칭(예를 들어,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되거나,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사전처리되거나, 프라이머(예를 들어, Saran)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특히 필름 물질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경우에 필름 물질에 색 안료 또는 발색성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검정색 착색을 위해서는 카본 블랙이 적합하고 백색의 착색을 위해서는 티타늄 디옥사이드가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안료 또는 입자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필름의 최종 층 두께보다 작아야 한다. 최적의 착색은 필름 물질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입자 분율로 달성될 수 있다.
반사층 (b)
고도로 반사성을 지닌 면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한편으로는 은 착색된 코팅 물질을 필름 층(a)에 도포시키거나, 필름 층(a)의 한면 또는 양면 상에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은을 증기-코팅시킬 수 있다. 은-착색된 코팅 물질을 위해, 결합제 매트릭스를 은색 안료 및/또는 금속 입자와 배합시킨다. 적합한 결합제 매트릭스의 예로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가 있고, 이들은 높은 굴절율 및 높은 투명도를 지닌다. 다르게는, 색 안료를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내로 결합되어 코팅 물질로 경화될 수 있다.
하나의 매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코팅 층(a)의 양면 상에 알루미늄 또는 은이 증기-코팅 (스퍼터링)된다. 특히 우수한 반사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증기 증착을 위한 스퍼터링 조작이 최적의 반사 (산란 효과의 방지)를 얻도록 알루미늄 또는 은이 매우 균일하게 도포되게 하는 방식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또한, 하나의 매우 바람직한 형태에서, PET 필름을 알루미늄 또는 은으로 증기-코팅시키기 전에 플라스마로 전처리한다. 반사층(b)의 사용은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고, 캐리어 물질을 통해 광의 투과를 감소시키는 이중 효과를 갖는다. 또한, 캐리어 필름의 표면 거칠기가 보상된다.
생산 조작을 위해서는, PSA로 코팅하기 전에 반사면을 클리어코트로 추가로 보호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PSA 층(c)
PSA 층(c)은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체예에서, 층(c)은 외부 광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 300 내지 800 nm의 파장 범위에서 감압 접착 테이프의 투과는 0.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미만, 매우 바람직하게는 0.01% 미만이다. 이는 검정색 PSA 층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하게 달성된다.
매우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카본 블랙 또는 흑연 입자가 감압 접착 매트릭스 내로 검정색 착색 입자로서 혼합된다. 매우 높은 첨가 수준 (20중량% 초과)에서, 이러한 첨가는 실질적으로 완전한 광 흡수를 생성시킬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을 생성시켜,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가 마찬가지로 대전방지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사용된 감압 접착 매트릭스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PSA 시스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PSA 시스템의 예에는 아크릴레이트,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또는 EVA 조성물이 포함된다. 더욱이,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PSA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예를 들어 들어 문헌[Donatas Satas에 의한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van Nostrand, New York 1989)]에 기재되어 있다.
천연 고무 접착제에 있어서, 천연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약 100,000 달톤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00 달톤 이상의 분자량(수평균)으로 밀링되어 첨가된다.
접착제에 대한 출발 물질로서 고무/합성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는 광범위하게 변형될 수 있다.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 및/또는 합성 고무의 임의의 요망되는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 고무 또는 천연 고무들은 본래 요망되는 순도 수준 및 점도 수준에 따라 모든 이용가능한 등급, 예를 들어 크레프(crepe), RSS, ADS, TSR 또는 CV 타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합성 고무 또는 합성 고무들은 무작위적으로 공중합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합성 폴리이소프렌(IR), 부틸 고무(IIR), 할로겐화된 부틸 고무(XIIR), 아크릴레이트 고무(ACM),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및 폴리우레탄 및/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무의 가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무에 전체 엘라스토머 분율을 기초로 하여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중량 분율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첨가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측면에서 특히 상용성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타입이 구체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레이트 PSA가 사용될 수 있다.
자유-라디칼 부가 중합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메트)아크릴레이트 PSA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로 구성된다:
Figure 112007095156805-PCT00001
상기 식에서, 라디칼 R1은 H 또는 CH3이고, 라디칼 R2는 H 또는 CH3이거나 1개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지되고 비분지된 포화 알킬기를 함유하는 기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는 바람직하게는, 얻어진 폴리머가 PSA로서 실온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되며, 특히 얻어진 폴리머가 문헌[Donatas Satas에 의한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van Nostrand, New York 1989)]에 따라 감압 접착 성질을 지니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c)로부터의 감압 접착제 매트릭스가 PSA (d) 및/또는 (d')와 동일한 경우가 특히 유리하다. 동일한 PSA의 사용은 층 (c) 및 (d) 및/또는 (d')의 점탄성 프로필이 강화되도록 하며, 이는 공업용 접착제 성질의 현저한 개선을 초래한다(이는 검정색 코팅 물질로 코팅된 접착 테이프 또는 두꺼운 검정색 캐리어가 제공된 접착 테이프에 비해 특히 유리하다). 아크릴레이트 PSA에 대해 이는 25℃ 이하의 바람직한 폴리머 유리전이온도 Tg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Fox 방정식 (E1)(T.G.Fox, Bull.Am.Phys. Soc. 1(1956) 123)과 유사한 방정식 (E1)에 따른 폴리머에 대해 요망되는 Tg를 초래하는 방식으로 모노머가 매우 바람직하게는 선택되고, 모노머 혼합물의 정량적 조성이 유리하게 선택된다:
Figure 112007095156805-PCT00002
상기 방정식에서, n은 사용되는 모노머의 시리얼 넘버이며, wn은 개개 모노머 n의 질량 분율(% 중량)이며, Tg ,n은 K 단위의 개개 모노머 n의 동종폴리머의 개개 유리전이온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 잇점은 발색성 검정색 입자가 결합시킬 기재로 이동할 수 없다는 점인데, 이는 투명 PSA가 감압 접착 테이프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는 재위치화 능력에 있어 중요한 특성인데, 왜냐하면 극단적인 경우의 부정확한 접착제 결합 상황에서 상응하는 탈착으로 인해 LCD 필름 상에 검정색 잔류물이 남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전체 성분이 사용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에서, 층 (c) 및 (d) 및/또는 (d')는 동일한 감압 접착제 매트릭스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동일한 감압 접착제 매트릭스의 또다른 잇점은 염료 또는 발색성 입자가 접착제 층 (d) 및/또는 (d')로 이동하려는 성향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발색성 입자가 하나의 매트릭스 내에서 더욱 가용성이고 이쪽으로 이동할 위험이 없다.
더욱이, 2-층 구조의 결과로서, 또한 부가적 기능이 충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제가 층(c)에 첨가되어 후속하여 진동성질을 증가시킬 수 있거나, 추가 충진제가 이에 첨가되어 그 결과로서 PSA 층 (d) 및/또는 (d')를 접착제로 결합시키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접착 테이프의 생산 비용을 보다 낮출 수 있다.
PSA (d) 및 (d')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PSA (d) 및 (d')는 감압 접착 테이프의 양면 상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하나의 특정 구체예에서, PSA (d) 및 (d')가 특히 이들의 층 두께 및/또는 화학적 조성에서 상이한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상이한 감압 접합 특성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에 대해 사용된 PSA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또는 EVA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가 적어도 한면 상에서는 높은 반사성을 지니는 경우에, PSA가 적어도 그 면에서 높은 투명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PSA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예를 들어 들어 문헌[Donatas Satas에 의한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van Nostrand, New York 1989)]에 기재되어 있다.
천연 고무 접착제에 있어서, 천연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약 100,000 달톤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00 달톤 이상의 분자량(수평균)으로 밀링되어 첨가된다.
접착제에 대한 출발 물질로서 고무/합성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는 광범위하게 변형될 수 있다.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 및/또는 합성 고무의 임의의 요망되는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 고무 또는 천연 고무들은 본래 요망되는 순도 수준 및 점도 수준에 따라 모든 이용가능한 등급, 예를 들어 크레프(crepe), RSS, ADS, TSR 또는 CV 타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합성 고무 또는 합성 고무들은 무작위적으로 공중합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합성 폴리이소프렌(IR), 부틸 고무(IIR), 할로겐화된 부틸 고무(XIIR), 아크릴레이트 고무(ACM),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및 폴리우레탄 및/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무의 가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무에 전체 엘라스토머 분율을 기초로 하여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중량 분율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첨가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점에서 특히 상용성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타입이 구체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레이트 PSA가 사용될 수 있다.
자유-라디칼 부가 중합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메트)아크릴레이트 PSA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로 구성된다:
Figure 112007095156805-PCT00003
상기 식에서, 라디칼 R1은 H 또는 CH3이고, 라디칼 R2는 H 또는 CH3이거나 1개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지되고 비분지된 포화 알킬기를 함유하는 기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는 바람직하게는, 얻어진 폴리머가 PSA로서 실온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되며, 특히 얻어진 폴리머가 문헌[Donatas Satas에 의한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van Nostrand, New York 1989)]에 따라 감압 접착 성질을 지니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코모노머 조성물은 PSA가 열-활성화가능한 PSA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된다.
폴리머는 아크릴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 에스테르 및/또는 이의 유리산으로 이루어진 모노머 혼합물을 화학식 CH2=CH(R1)(COOR2)(여기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1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사슬 또는 H임)의 화합물과 중합시키므로써 수득될 수 있다.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의 몰질량 Mw(중량 평균)은 바람직하게는 Mw≥200,000 g/mol이다.
매우 바람직한 하나의 방법에서, 4개 내지 14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9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 및 메타크릴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모노머가 사용된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n-노닐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분지된 이성질체, 예를 들어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있으며, 이러한 열거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의 또다른 부류로는 6개 이상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브릿지된 시클로알킬 알코올의 일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시클로알킬 알코올은 또한 예를 들어 C-1-6 알킬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될 수 있다. 특정 예로는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3,5-디메틸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유리한 과정에서, 극성기, 예를 들어 카르복실 라디칼, 술폰산 및 포스폰산, 히드록실 라디칼, 락탐 및 락톤, N-치환된 아미드, N-치환된 아민, 카르바메이트, 에폭시, 티올, 알콕시 또는 시아노 라디칼, 에테르 등을 수반하는 모노머가 사용된다.
중간정도의 염기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N,N-디알킬-치환된 아미드, 예를 들어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락탐,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가 있으며, 이러한 열거는 모두 기재된 것이 아니다.
또다른 바람직한 예로는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알코올,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이타콘산, 글리세리딜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 메타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비닐아세트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β-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트리클로로아크릴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및 디메틸아크릴산이 있으며, 이러한 열거는 모두 기재된 것이 아니다.
또다른 매우 바람직한 하나의 과정에서 비닐 에스테르, 비닐 에테르, 비닐 할라이드, 비닐리덴 할라이드 및 방향족 고리를 지닌 비닐 화합물, 및 α-위치의 헤테로사이클의 모노머가 사용된다. 본원에서는 또한 몇몇 예,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포름아미드, 비닐피리딘, 에틸 비닐 에테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아크릴로니트릴이 언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또다른 하나의 유리한 과정에서, 공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갖는 광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광개시제는 노리쉬(Norrish) I 및 II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예로는 벤조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화된 벤조페논(UCB로부터의 Ebecryl P 36®)을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고 UV 조사하에서 자유-라디칼 메카니즘에 의해 폴리머를 가교시킬 수 있는 임의의 광개시제를 공중합시킬 수 있다. 사용될 수 있고 이중 결합에 의해 작용화될 수 있는 가능한 광개시제의 개관은 문헌[Fouassier: "Photoinitiation, Photopolymerization and Photocuring: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Hanser-Verlag, Munich 1995]에 제공되어 있다. 문헌[Carroy et al., in "Chemistry and Technology of UV and EB Formulation for Caotings, Inks and Paints", Oldring (Ed.), 1994, SITA, London]은 보충자료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다른 과정에서, 기술된 코모노머는 높은 정적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모노머와 배합된다. 적절한 성분들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스티렌을 포함하며, 여기서 방향족 핵은 바람직하게는 C4 내지 C18 유닛으로 구성되고 또한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예로는 4-비닐피리딘, N-비닐프탈이미드, 메틸스티렌, 3,4-디메톡시스티렌, 4-비닐벤조산, 벤질 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페닐 아크릴레이트, t-부틸페닐 메타크릴레이트, 4-비페닐릴 아크릴레이트, 4-비페닐릴 메타크릴레이트, 2-나프틸 아크릴레이트, 2-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러한 모노머의 혼합물이 있으며, 이러한 열거는 모두 기재된 것이 아니다.
방향족의 분율이 증가하므로써, PSA의 굴절률 및 LCD 유리와 PSA 사이의 산란이 증가하며, 이로써 외부광이 최소화된다.
추가 개발을 위해, PSA에 수지가 배합될 수 있다. 첨가를 위한 점착성 수지로서, 이미 문헌에 공지되고 기술된 모든 점착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대표적인 예는 피넨 수지, 인덴 수지 및 로신, 이의 불균형화되고, 수소첨가되고, 중합되고, 에스테르화된 유도체 및 염,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 및 테르펜-페놀성 수지, 및 C5, C9, 및 기타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지 및 또다른 수지의 임의의 요망되는 조합물은 요구사항에 따라 얻어진 접착제의 성질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체로, 고려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상용성인(가용성인) 임의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모든 지방족, 방향족 및 알킬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단일 모노머 기재의 탄화수소 수지,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수지, 작용성 탄화수소 수지, 및 천연 수지가 참조될 수 있다. 문헌[Donatas Satas에 의한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van Nostrand, 1989)]에서의 기술 분야의 설명이 참고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머와 매우 상용성인 투명한 수지를 사용하여 투명성이 개선된다. 수소첨가되거나 부분적으로 수소첨가된 수지가 종종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게 한다.
또한, 가소제, 추가의 충진제(예를 들어, 섬유, 카본 블랙, 아연 옥사이드, 쵸크(chalk), 고형 또는 중공의 유리 비드, 다른 물질로 제조된 마이크로비드, 실리카, 실리케이트), 핵형성제, 전기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콘쥬게이트된 폴리머, 도핑되고 콘쥬게이트된 폴리머, 금속 안료, 금속 입자, 금속 염, 흑연 등, 연장제, 배합제 및/또는 에이징(aging) 억제제가, 예를 들어 1차 및 2차 항산화제의 형태로 또는 광안정화제 형태로 임의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구체예에서, 검정색 층(c)에 도포된 PSA (d')은 예를 들어 충전제로서, 광-흡수성 입자, 예컨대 검정색 착색 안료 또는 카본 블랙 입자 또는 흑연 입자를 포함한다.
또한, 가교를 위해 가교제 및 가교용 증진제가 배합될 수 있다. 전자빔 가교 및 UV 가교를 위한 적절한 가교제의 예는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아크릴레이트,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블로킹된 형태를 포함), 및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에폭시드를 포함한다. 또한,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가교제, 예를 들어 루이스산, 금속 킬레이트 또는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가 첨가될 수 있다.
UV 광을 사용하여 임의적으로 가교시키기 위하여, PSA에 UV-흡수 광개시제가 첨가될 수 있다. 매우 효과적인 유용한 광개시제로는 벤조인 에테르, 예를 들어 벤조인 메틸 에테르 및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치환된 아세토페논,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Ciba Geigy®로부터 Irgacure 651®로서 입수가능함), 2,2-디메톡시-2-페닐-1-페닐에타논, 디메톡시히드록시아세토페논, 치환된 α-케톨, 예를 들어 2-메톡시-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2-나프틸술포닐 클로라이드, 및 광활성 옥심, 예를 들어 1-페닐-1,2-프로판디온, 2-(O-에톡시카르보닐)옥심이 있다.
상기 언급된 광개시제 및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광개시제, 및 노리쉬 I 또는 노리쉬 II 타입의 다른 광개시제는 하기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으며: 벤조페논, 아세토페논, 벤질, 벤조인, 히드록시알킬페논, 페닐 시클로헥실 케톤, 안트라퀴논, 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메틸티오페닐모르폴린 케톤, 아미노케톤, 아조벤조인, 티옥산톤, 헥사아릴비스이미다졸, 트리아진, 또는 플루오레논, 이러한 라디칼 각각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기 또는 히드록시기로 부가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개관은 문헌[Fouassier "Photoinitiation, Photopolymerization and Photocuring: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Hanser-Verlag, Munich 1995]에 제공되어 있다. 문헌[Carroy et al., in "Chemistry and Technology of UV and EB Formulation for Coatings, Inks and Paints", Oldring (Ed.), 1994, SITA, London]은 보충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PSA의 제조 방법
중합반응을 위하여, 모노머는 바람직하게는, 얻어진 폴리머가 실온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 PSA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되며, 특히 얻어진 폴리머가 문헌[Donatas Satas에 의한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van Nostrand, New York 1989)]에 따라 감압 접착 성질을 지닐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된다.
상기에 언급된 기술에 따라 PSA에 대해 25℃ 이하의 바람직한 폴리머 유리전이온도 Tg를 달성하기 위해, Fox 방정식 (E1)(T.G.Fox, Bull.Am.Phys. Soc. 1(1956) 123)에 따라 폴리머에 대해 요망되는 Tg를 얻도록 하는 방식으로 모노머가 매우 바람직하게 선택되고, 모노머 혼합물의 정량적 조성이 유리하게 선택된다:
Figure 112007095156805-PCT00004
상기 방정식에서, n은 사용되는 모노머의 시리얼 넘버이고, wn은 개개 모노머 n의 질량 분율(% 중량)이며, Tg ,n은 K 단위의 개개 모노머 n의 동종폴리머의 개개 유리전이온도이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PSA의 제조를 위해 통상적인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자유 라디칼에 의해 진행되는 중합반응을 위하여, 중합반응을 위한 추가 자유-라디칼 개시제, 특히 열적으로 분해하는 자유-라디칼-형성 아조 또는 퍼옥소 개시제를 또한 함유하는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아크릴레이트에 대해 당업자에게 알려진 모든 통상적인 개시제가 적합하다. C-중심 라디칼의 생산은 문헌[Houben 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 E 19a, pp.60-147]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유사하게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자유-라디칼 공급원의 예로는 퍼옥사이드, 히드로퍼옥사이드, 및 아조 화합물이 있으며, 본원에서 언급될 수 있는 통상적인 자유-라디칼 개시제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칼륨 퍼옥소디술페이트,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쿠멘 히드로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시클로헥실술포닐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퍼카르보네이트, t-부틸 퍼옥토에이트, 및 벤즈피나콜을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에서, 사용된 자유-라디칼 개시제는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Dupont로부터의 Vazo 88™) 또는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이다.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으로 형성된 PSA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200,000 내지 4,000,000 g/mol이도록 선택되며; 특히 복원력을 지닌 전기 전도성 핫멜트 PSA로 사용하기 위하여 400,000 내지 1,400,000 g/mol의 평균분자량 Mw를 갖는 PSA가 제조된다. 평균분자량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GPC) 또는 매트릭스-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 플러스 질량 분광법(MALDI-MS)으로 측정된다.
중합반응은 용매 부재하에,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 물의 존재하에, 또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이의 목적은 사용된 용매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적절한 유기 용매로는 순수한 알칸(예를 들어, 헥산, 헵탄, 옥탄, 이소옥탄),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스테르(예를 들어,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헥실 아세테이트), 할로겐화된 탄화수소(예를 들어, 클로로벤젠), 알칸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에테르(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이 있다. 반응 혼합물이 모노머 전환 동안에 균일한 상의 형태로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수-혼화성 또는 친수성 보조용매가 수성 중합 반응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보조용매는 지방족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테르, 피롤리딘, N-알킬피롤리디논, N-알킬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미드, 카르복실산, 및 이의 염, 에스테르, 유기 술피드, 술폭사이드, 술폰, 알코올 유도체, 히드록시 에테르 유도체, 아미노 알코올, 케톤 등, 및 이의 유도체 및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전환율 및 온도에 따라 중합 시간은 2 내지 72 시간이다. 선택될 수 있는 반응 온도가 높을수록, 즉 반응 혼합물의 열적 안정성이 높을 수록, 선택된 반응시간이 보다 짧아질 수 있다.
중합의 개시와 관련하여, 열의 도입은 열 분해 개시제에 있어 필수적이다. 열 분해 개시제에 대해, 중합 반응은 개시제 타입에 따라 50 내지 160℃로 가열하므로써 개시될 수 있다.
제조를 위해, 용매 없이 (메트)아크릴레이트 PSA가 중합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기술은 예비중합 기술이다. 중합반응은 UV 광으로 개시되지만 약 10 내지 30%의 낮은 전환율로 수행된다. 얻어진 폴리머 시럽은 이후 예를 들어, 필름(가장 단순한 경우, 얼음 큐브)에 결합되고 수중에서 높은 전환율로 중합될 수 있다. 이러한 펠렛은 이후 아크릴레이트 핫-멜트 접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용융과정을 위해서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상용성인 필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조방법을 위해서는, 중합반응 전 또는 후에 열전도성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PSA에 대한 또다른 유리한 제조방법은 음이온 중합반응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된 반응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그밖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리빙 폴리머(living polymer)는 이러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구조 PL(A)-Me(여기서, Me는 I족의 금속, 예컨대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이며, PL(A)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의 성장 폴리머(growing polymer)임)로 표시된다. 제조시에 폴리머의 몰 질량은 모노머 농도에 대한 개시제 농도의 비에 의해 조절된다. 적절한 중합반응 개시제의 예로는 n-프로필리튬, n-부틸리튬, 2차-부틸리튬, 2-나프틸리튬, 시클로헥실리튬, 및 옥틸리튬이며, 이러한 열거는 완전하게 청구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사마륨 착물을 기재의 개시제가 아크릴레이트의 중합반응을 위해 공지되어 있고 (Macromolecules, 1995, 28, 7886), 이는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작용성 개시제, 예컨대 1,1,4,4-테트라페닐-1,4-디리티오부탄 또는 1,1,4,4-테트라페닐-1,4-디리티오이소부탄이 사용될 수 있다. 보조개시제(coinitiator)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보조개시제는 리튬 할라이드, 알칼리 금속 알콕사이드, 및 알킬알루미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에서, 리간드 및 보조개시제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예를 들어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직접 중합될 수 있고 상응하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해 폴리머 중에서 생성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PSA를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은 또한 조절된 자유-라디칼 중합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중합반응을 위해 하기 화학식의 조절 시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95156805-PCT00005
상기 식에서, R 및 R1은 하기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동일하게 선택된다:
- 분지되고 비분지된 C1 내지 C18 알킬 라디칼; C3 내지 C18 알케닐 라디칼; C3 내지 C18 알키닐 라디칼;
- C1 내지 C18 알콕시 라디칼;
- 하나 이상의 OH기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실릴 에테르로 치환된 C3 내지 C18 알키닐 라디칼; C3 내지 C18 알케닐 라디칼; C1 내지 C18 알킬 라디칼;
- 탄소 사슬에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 및/또는 하나의 NR*기(R*는 임의의 라디칼, 특히 유기 라디칼임)를 갖는 C2-C18 헤테로알킬 라디칼;
-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기, 아민기, 카르보네이트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노기, 및/또는 에폭시드기 및/또는 황으로 치환된 C3 내지 C18 알키닐 라디칼, C3 내지 C18 알케닐 라디칼, C1 내지 C18 알킬 라디칼;
- C3 내지 C12 시클로알킬 라디칼;
- C6 내지 C18 아릴 또는 벤질 라디칼;
- 수소.
타입 (I)의 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F, Cl, Br 또는 I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l 및 Br이다. 다양한 치환기에서 매우 적합한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라디칼은 선형 및 분지된 사슬 모두를 포함한다.
1개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2-펜틸, 헥실, 헵틸, 옥틸, 2-에틸헥실, t-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및 옥타데실이 있다.
3개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케닐 라디칼의 예로는 프로페닐, 2-부테닐, 3-부테닐, 이소부테닐, n-2,4-펜타디에닐, 3-메틸-2-부테닐, n-2-옥테닐, n-2-도데세닐, 이소도데세닐 및 올레일이 있다.
3개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키닐 라디칼의 예로는 프로피닐, 2-부티닐, 3-부티닐, n-2-옥티닐, 및 n-2-옥타데시닐이 있다.
히드록시-치환된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히드록시프로필, 히드록시부틸, 및 히드록시헥실이 있다.
할로겐-치환된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디클로로부틸, 모노브로모부틸, 및 트리클로로헥실이 있다.
탄소 사슬 중에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를 갖는 적절한 C2-C18 헤테로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CH2-CH2-O-CH2-CH3이 있다.
C3-C12 시클로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 있다.
C6-C18 아릴 라디칼의 예로는 페닐, 나프틸, 벤질, 4-3차-부틸벤질, 및 다른 치환된 페닐, 예를 들어 에틸페닐,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이소프로필벤젠, 디클로로벤젠 또는 브로모톨루엔을 포함한다.
상기 열거는 단지 화합물의 대표적인 기의 예를 제공하는 것으로 완전하게 청구된 것은 아니다.
또한 조절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화합물로 하기 타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95156805-PCT00006
상기 식에서, R2는 R 및 R1과는 독립적으로, 이러한 라디칼에 대해 상기에 인용된 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인 'RAFT' 공정의 경우에, 중합반응은 일반적으로 매우 좁은 분자량 분포를 생성하기 위하여 단지 낮은 전환율 이하(WO 98/01478 A1)로 수행된다. 그러나, 낮은 전환율의 결과로서 이러한 폴리머는 PSA로서 사용될 수 없으며, 특히 핫멜트 PSA로서 사용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높은 분율의 잔류 모노머가 공업용 접착제의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고; 잔류 모노머가 농축과정에서 용매 재생물을 오염시키며; 상응하는 자가-접착 테이프가 매우 높은 탈기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낮은 전환율의 단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과정에서 중합반응이 2회 이상 개시된다.
또다른 조절된 자유-라디칼 중합 방법으로서, 니트록사이드-조절된 중합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자유-라디칼의 안정화를 위하여, 바람직한 과정에서 타입 (Va) 또는 (Vb)의 니트록사이드가 사용된다:
Figure 112007095156805-PCT00007
상기 식에서,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화합물 또는 원자를 의미한다:
i) 할라이드, 예를 들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ii)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거나 방향족일 수 있는 1개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선형, 분지형, 환형 및 헤테로시클릭 탄화수소,
iii) 에스테르 -COOR11, 알콕사이드 -OR12, 및/또는 포스포네이트 -PO(OR13)2(여기서, R11, R12 또는 R13은 기 ii)로부터의 라디칼이다).
화학식 (Va) 또는 (Vb)의 화합물은 또한 임의의 부류의 폴리머 사슬에 부착될 수 있으며(주로 하나 이상의 상술된 라디칼이 이러한 부류의 폴리머 사슬을 구성하도록), 이에 따라 폴리아크릴레이트 PSA의 합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합반응을 위한 하기 타입의 화합물의 제어된 조절제가 사용된다:
● 2,2,5,5-테트라메틸-1-피롤리디닐옥실(PROXYL), 3-카르바모일-PROXYL, 2,2-디메틸-4,5-시클로헥실-PROXYL, 3-옥소-PROXYL, 3-히드록실이민-PROXYL, 3-아미노메틸-PROXYL, 3-메톡시-PROXYL, 3-t-부틸-PROXYL, 3,4-디-t-부틸-PROXYL,
●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실(TEMPO), 4-벤조일옥시-TEMPO, 4-메톡시-TEMPO, 4-클로로-TEMPO, 4-히드록시-TEMPO, 4-옥소-TEMPO, 4-아미노-TEMPO, 2,2,6,6-테트라에틸-1-피페리디닐옥실, 2,2,6-트리메틸-6-에틸-1-피페리디닐옥실,
● N-3차-부틸 1-페닐-2-메틸프로필 니트록사이드,
● N-3차-부틸 1-(2-나프틸)-2-메틸프로필 니트록사이드,
● N-3차-부틸 1-디에틸포스포노-2,2-디메틸프로필 니트록사이드,
● N-3차-부틸 1-디벤질포스포노-2,2-디메틸프로필 니트록사이드,
● N-(1-페닐-2-메틸프로필) 1-디에틸포스포노-1-메틸에틸 니트록사이드,
● 디-3차-부틸 니트록사이드,
● 디페닐 니트록사이드,
● 3차-부틸 3차-아밀 니트록사이드.
PSA가 대안적인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일련의 또다른 중합방법은 선행 기술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US 4,581,429A에는 개시제로서 화학식 R'R"N-O-Y(여기서, Y는 불포화 모노머를 중합시킬 수 있는 자유-라디칼 종임)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제어된-성장 자유-라디칼 중합 공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반응은 낮은 전환율을 갖는다. 구체적인 문제점은 아크릴레이트의 중합반응인데, 이는 매우 낮은 수율 및 몰 질량으로 수행된다. WO 98/13392A1호에는 대칭적 치환 패턴을 갖는 열린-사슬 알콕시아민 화합물을 기술하고 있다. EP 735 052 A1에는 좁은 몰질량 분포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WO 96/24620 A1에는 매우 특별한 자유-라디칼 화합물, 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딘 기재의 인-함유 니트록사이드가 사용되는 중합 공정을 기술하고 있다. WO 98/44008 A1에는 모르폴린, 피페라지논 및 피페라진디온 기재의 특정 니트록실을 기술하고 있다. DE 199 49 352 A1에는 제어된-성장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에서 조절제로서의 헤테로시클릭 알콕시아민을 기술하고 있다. 알콕시아민 또는 상응하는 유리 니트록사이드의 또다른 상응하는 개발은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제조 효율을 개선시킨다.
또다른 조절된 중합 방법으로서,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반응(ATRP)이 폴리아크릴레이트 PSA를 합성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개시제로서 일작용성 또는 이작용성 2차 또는 3차 할라이드가 사용되며, 할라이드를 추출하기 위해, Cu, Ni, Fe, Pd, Pt, Ru, Os, Rh, Co, Ir, Ag 또는 Au의 착물이 사용된다(EP 0 824 111 A1; EP 826 698 A1; EP 824 110 A1; EP 841 346 A1; EP 850 957 A1). ATRP의 다양한 가능성은 명세서 US 5,945,491 A, US 5,854,364 A, 및 US 5,789,487 A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코팅 공정, 캐리어 물질의 처리
제조를 위하여,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감압 접착제가 용액으로부터 캐리어 물질 상에 코팅된다. PSA의 고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층 (b) 및/또는 (c) 및 (c')를 임의로 사전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처리는 예를 들어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가 용융물로부터 또는 용액으로부터 도포될 수 있으며 에칭이 화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층의 경우에, 코로나 출력은 최소화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핀홀이 필름에서 타기 때문이다(burnt). 용액으로부터 PSA를 코팅하기 위하여, 열이 예를 들어 건조 터널에서 공급되어 용매를 제거하고, 적절한 경우 가교 반응을 개시한다.
상술된 폴리머는 더욱이 핫멜트 시스템(즉, 용융물로부터)으로서 코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공정을 위하여, PSA로부터 용매를 필수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하나의 기술은 단일축 또는 쌍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농축시키는 것이다. 쌍축 압출기는 동시 회전하거나 반대로 회전하게 작동될 수 있다. 용매 또는 물은 바람직하게는 두개 또는 이를 초과하는 진공 단계에 결쳐 증류된다. 카운터가열(counterheating)은 또한 용매의 증류 온도에 따라 다르게 수행된다. 잔류하는 용매의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1%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0.2% 미만이다. 핫멜트의 추가 가공은 용융물로부터 수행된다.
핫멜트로서 코팅하기 위하여, 상이한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PSA는 롤 코팅 방법에 의해 코팅된다. 상이한 롤 코팅 방법은 문헌[Donatas Satas에 의한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van Nostrand, New York 1989)]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서, 코팅은 용융물 다이를 통해 수행된다. 또다른 바람직한 방법에서, 코팅은 압출에 의해 수행된다. 압출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압출 다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압출 다이는 하기 세가지 부류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T-다이, 물고기꼬리(fishtail) 다이 및 옷걸이 다이. 개개의 타입은 이의 흐름 채널의 설계에서 상이하다. 코팅을 통해, 또한 PSA를 배향시킬 수도 있다.
한면 상에 2-층 PSA를 생성시키기 위해, 특히 세가지의 상이한 바람직한 방법이 있다:
a) 공동압출
이 경우에 층 (c) 및 (d)는 공동압출 다이로부터 동시에 코팅되어 PSA가 한 단계로 도포될 수 있다. 이는 특히 PSA (c) 및 (d)의 점도가 동등한 경우에 문제없이 수행될 수 있다.
b) 용액으로부터 후속 코팅
이 경우에 PSA (c)는 먼저 용액으로부터 캐리어에 도포되고 건조되고, 이후 PSA (d)가 용액으로부터 제 2 코트로 도포된다. 이러한 작업은 두개의 작업단계, 또는 하나의 기계 작업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서 용액으로부터의 도포는 어플리케이터 메카니즘 (c)로 수행되고, 건조는 짧은 건조 터널에서 수행되고, 이후 건조 (d)는 어플리케이터 메카니즘으로 다시 수행된 후 완전한 건조가 보다 긴 건조 터널에서 수행된다.
c) 용액으로부터 동시 코팅
이 경우에, 용액으로부터의 도포는 하나의 다이 및 두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두 층 (c) 및 (d)는 거의 동시에 도포되고 이후 한 단계에서 동시에 건조된다.
또한, PSA는 필수적으로 가교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에서, 가교는 열적으로, 전자빔 및/또는 UV 방사로 수행된다.
UV 가교 조사는 사용된 광개시제에 따라 200 내지 400 nm의 파장 범위에서 단파장 초음파 조사로 수행되며; 특히 조사는 80 내지 240 W/cm의 출력에서 고압 또는 중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조사 세기는 설정되는 UV 광개시제의 개개 양자 수율 및 가교도로 조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체예에서, PSA는 전자빔을 사용하여 가교된다.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조사 장비는 선형 캐소드 시스템, 스캐너 시스템, 및 분절된 캐소드 시스템을 포함하며, 여기서 전자 빔 가속기가 사용된다. 당해 분야의 상세한 설명 및 가장 중요한 공정 파라미터는 문헌[Skelhorne, Electron Beam Processing, in Chemistry and Technology of UV and EB formulation for Coatings, Inks and Paints, Vol. 1, 1991, SITA, London]에서 확인된다. 통상적인 가속 전압은 50 kV 내지 500 kV, 바람직하게는 80 kV 내지 300 kV의 범위에 위치한다. 사용되는 산란기 선량은 5 내지 150 kGy, 특히 20 내지 100 kGy이다.
또한 가교 방법, 또는 고에너지 조사를 수행하는 다른 방법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LC 디스플레이의 접착제 결합 또는 제작을 위한 본 발명의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의 용도를 제공한다. 감압 접착 테이프로서 사용하기 위해,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는 하나 또는 두개의 박리 필름 또는 박리지로 라이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에서, 실리콘화되거나 불소화된 필름 또는 페이퍼, 예를 들어 글라신, HDPE 또는 LDPE 코팅된 페이퍼가 사용되며, 여기에는 실리콘 또는 불소화된 폴리머를 기재로 한 박리 코트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박리 라이너로서 실리콘화된 PET 필름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감압 접착 테이프는, 특히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LED)를 LCD 모듈에 접착제 결합시키는데 유리하다.
실시예
본 발명이 하기 기술되며, 이는 실시예 선택의 결과로 임의의 불필요한 제한을 요하지 않는다.
하기 시험 방법이 사용되었다.
시험 방법
A. 투과율
투과율을 바이오테크 콘트론(Biotek Kontron) 제품인 유니콘 (Uvikon) 923을 사용하여 190 내지 9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23℃에서 측정하였다. 절대 투과율을 완전한 광흡수와 비교하여 550 nm에서 % 값으로서 기재하였다(0% 투과율 = 광이 전혀 투과되지 않음; 100% 투과율 = 완전한 광 투과).
B. 핀홀
시판되는 타입의 매우 강력한 광원(예를 들어, Liesegangtrainer 400 KC type 649 overhead projector, 36V 할로겐 램프, 400W)에, 완전하게 광이 투과하지 않는 마스킹을 제공하였다. 마스킹은 이의 중심에 5 cm의 직경을 갖는 환형 천공을 함유한다. 양면 LCD 접착 테이프를 상기 환형 천공 위에 위치시켰다. 완전하게 어두운 환경에서, 핀홀의 수를 전자 기기를 사용하거나 시각으로 계수하였다. 광원을 켰을 때, 이들 핀홀은 반투명한 점으로 확인된다.
C. 반사
반사 시험을 DIN 스탠다드 5063 파트 3 및 5033 파트 3 및 4에 따라 수행하였다. 사용되는 기기는 타입 LMT tau-ρ-미터 디지탈 디스플레이 기기와 함께 사용된 타입 LMT Ulbricht sphere(직경 50 cm)이었다. 표준 광 A 및 V(λ)-개조된 Si 광소자에 상응하는 광원을 사용하여 통합 측정하였다. 다시 유리 기준 샘플에 대해 측정하였다. 반사율을 입사광 및 산란된 광의 %분율의 합으로서 기록하였다.
폴리머 1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을 위한 통상적인 200 ℓ 반응기를, 2400 g의 아크릴산, 64 kg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6.4 kg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53.3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95:5)로 채웠다.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45분 동안 반응기로 통과시킨 후에, 반응기를 58℃로 가열시키고, 40 g의 2,2'-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첨가하였다. 이후 외부 열 배스(bath)를 75℃로 가열시키고, 이 외부 온도에서 반응을 계속하여 수행하였다. 1시간의 반응 시간 후에, 추가 40 g의 AIBN을 첨가하였다. 5 시간 및 10 시간 후에, 각 시간에 15 kg의 아세톤/이소프로판올(95:5)로 희석시켰다. 6 시간 및 8 시간 후에, 각 시간에, 각 경우에 800 g의 아세톤 중의 100 g의 디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Perkadox 16®, Akzo Nobel) 용액을 첨가하였다. 24 시간의 반응 시간 후에 반응을 종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조성물을 코팅을 위해 사용하기 전에, 폴리머 1을 이소프로판올로 30% 고형물 함량으로 희석시켰다. 이후,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폴리머 1을 기준으로 0.3 중량%의 알루미늄(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3% 강도 용액, 이소프로판올)을 상기 용액에 혼합하였다.
카본 블랙 조성물 1
드럼에서 폴리머 1을 특정-비등점 스피리트(spirit)로 30% 고형물 함량으로 희석시켰다. 이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각 경우에 폴리머 1을 기준으로 하여 8 중량%의 카본 블랙(Printex™ 25, Degussa AG) 및 0.3 중량%의 알루미늄(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3% 강도 용액, 이소프로판올)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균일화시키기 위하여 용액을 균질화기(Ultraturrax)를 이용하여 10 분 동안 균일화처리 하였다.
카본 블랙 조성물 2
드럼에서 폴리머 1을 특정-비등점 스피리트로 30% 고형물 함량으로 희석시켰다. 이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각 경우에 폴리머 1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의 카본 블랙(Printex™ 25, Degussa AG) 및 0.3 중량%의 알루미늄(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3% 강도 용액, 이소프로판올)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균일화시키기 위하여 용액을 균질화기(Ultraturrax)를 이용하여 10 분 동안 균일화처리 하였다.
가교
PSA를 용액으로부터 75㎛ 두께의 실리콘화된 PET 필름(Siliconature로부터의 박리필름) 상에 코팅하고, 이 코팅을 100℃의 건조 캐비넷에서 10 분 동안 건조하였다.
필름 1(Al 증기 코팅):
미쯔비시(Mitsubishi, Hostaphan™ 5210)로부터의 블로킹 방지제없이 압출된 12 ㎛ PET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을 알루미늄으로, 완전하게 응집된 알루미늄 층이 도포될 때까지 증기-코팅시켰다. 이러한 필름을 스퍼터링 법으로 300 mm의 폭으로 증기-코팅시켰다. 이러한 방법에서, 양으로 하전된 이온화된 아르곤 가스를 고진공 챔버로 통과시켰다. 이후 하전된 이온은 음으로 하전된 Al 플레이트 상에서 충돌하고, 분자 수준에서 알루미늄의 입자를 탈착시키며, 이후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증착시켰다.
실시예 1 ( 검정색 /은색):
먼저 모든 카본 블랙 조성물 1을, 용액으로부터 양면 Al 증기 코팅된 필름 (HostaphanTM 5210 기재)의 한면 위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 분 동안 건조하였다. 코트 중량은 50 g/㎡이었다. 이후 폴리머 1을 용액으로부터 이 코트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러한 층에 대한 코트 중량은 마찬가지로 50 g/㎡이었다. 반대면에 폴리머 1을 100 g/㎡의 속도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다시 100℃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실시예 2 ( 검정색 /은색):
먼저 모든 카본 블랙 조성물 2를, 용액으로부터 양면 Al 증기-코팅된 필름 (HostaphanTM 5210)의 한면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 분 동안 건조하였다. 코트 중량은 50 g/㎡이었다. 이후 폴리머 1을 용액으로부터 이 코트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러한 층에 대한 코트 중량은 마찬가지로 50 g/㎡이었다. 반대면에 폴리머 1을 100 g/㎡의 속도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다시 100℃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실시예 3 ( 검정색 /은색):
먼저 모든 카본 블랙 조성물 2를, 용액으로부터 Al 증기-코팅된 필름 (HostaphanTM 5210)의 비금속성 면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 분 동안 건조하였다. 코트 중량은 50 g/㎡이었다. 이후 폴리머 1을 용액으로부터 이 코트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러한 층에 대한 코트 중량은 마찬가지로 50 g/㎡이었다. 반대면에 중합체 1을 100 g/㎡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실시예 4 ( 검정색 /은색):
먼저 모든 카본 블랙 조성물 2를 용액으로부터 Al 증기-코팅된 필름 (HostaphanTM 5210)의 금속성 면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 분 동안 건조하였다. 코트 중량은 50 g/㎡이었다. 이후 폴리머 1을 용액으로부터 이 코트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러한 층에 대한 코트 중량은 마찬가지로 50 g/㎡이었다. 반대면에 중합체 1을 100 g/㎡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100℃에서 10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결과
실시예 1 내지 4를 시험 방법 A, B 및 C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7095156805-PCT00008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가 광 결함 (핀홀의 부재) 및 투과율에서 우수한 특성을 지님이 명백해진다. 또한, 시험 C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가 광-흡수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또한 금속 면 상에서 매우 높은 광-흡수 특성을 지님을 알 수 있다. LCD 적용에서, 상기한 결과는 광 채널에서 광 생성량이 현저히 증가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Claims (12)

  1. 광-반사 성질을 갖는 상부면(top side) 및 광-흡수 성질을 갖는 하부면(bottom side)을 지니며,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캐리어 필름을 추가로 지니며,
    양면에 외측 감압 접착제 층이 제공되는,
    특히 광학적 액정 데이타 디스플레이(LCD)의 접착제 결합을 형성시키기 위한 감압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금속성 반사층, 및 광을 흡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검정색-착색된 감압 접착제 층 각각이 외측 감압 접착제 층들 사이에 제공되며, 적어도 상부면 상의 외측 감압 접착제 층이 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금속성 반사층이 캐리어 필름과 상부면 상의 감압 접착제 층 사이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금속성 반사층이 캐리어 필름과 검정색-착색된 감압 접착제 층 사이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4. 제 3항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이 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금속성 반사층이 제공되는데, 이 중 하나는 캐리어 필름과 상부면 상의 감압 접착제 층 사이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캐리어 필름과 검정색-착색된 감압 접착제 층 사이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둘 모두의 외부 감압 접착제 층이 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층 순서를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투명 감압 접착제(층 d) - 금속성 반사층(층 b) - 캐리어 필름(층 a) - 검정색-착색된 감압 접착제(층 c) - 감압 접착제(층 d').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층 순서를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투명 감압 접착제(층 d) - 금속성 반사층(층 b) - 캐리어 필름(층 a) - 금속성 반사층(층 b) - 검정색-착색된 감압 접착제(층 c) - 감압 접착제(층 d').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층 순서를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 테이프:
    투명 감압 접착제(층 d) -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캐리어 필름(층 a') - 금속성 반사층(층 b) - 검정색-착색된 감압 접착제(층 c) - 감압 접착제(층 d').
  10. 광학적 액정 데이타 디스플레이(LCD)를 제작하거나 이를 접착제 결합시키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감압 접착 테이프의 용도.
  11. 제 10항에 있어서, LCD 유리를 접착제 결합시키기 위한 용도.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감압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액정 데이타 디스플레이 소자.
KR1020077031050A 2005-06-13 2005-12-02 Lc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광-반사 및 광-흡수성질을 지닌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KR20080027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7394A DE102005027394A1 (de) 2005-06-13 2005-06-13 Doppelseitige Haftklebebänder zur Herstellung von LC-Displays mit lichtreflektierenden und -absorbierenden Eigenschaften
DE102005027394.7 2005-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804A true KR20080027804A (ko) 2008-03-28

Family

ID=3558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1050A KR20080027804A (ko) 2005-06-13 2005-12-02 Lc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광-반사 및 광-흡수성질을 지닌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206492A1 (ko)
EP (1) EP1893711B1 (ko)
JP (1) JP2008546041A (ko)
KR (1) KR20080027804A (ko)
CN (1) CN101180375A (ko)
DE (3) DE102005027394A1 (ko)
ES (1) ES2325999T3 (ko)
TW (1) TW200643519A (ko)
WO (1) WO2006133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10B1 (ko) * 2006-02-02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8023261B2 (en) 2008-09-05 2011-09-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ssembly
JP2011096988A (ja) * 2009-11-02 2011-05-12 Keiwa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裏面保護用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353736A1 (en) * 2010-01-29 2011-08-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forming a multilayer film and multilayer film prepared by such method
US8797721B2 (en) 2010-02-02 2014-08-05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outer glass surfaces
US9235240B2 (en) 2010-11-11 2016-01-12 Apple Inc. Insert molding around glass member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182789B2 (en) 2011-03-01 2015-11-10 Apple Inc.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components with opaque edge coverings
US20120275088A1 (en) * 2011-04-27 2012-11-01 Huang Wayne W Multi-layer adhesive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EP2551024B1 (en) 2011-07-29 2017-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ultilayer film having at least one thin layer and continuous process for forming such a film
EP2735595A1 (en) 2012-11-23 2014-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sembly
US9871898B2 (en) 2013-05-08 2018-01-16 Apple Inc. Cerami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
CN103865428A (zh) * 2014-04-03 2014-06-18 苏州华周胶带有限公司 一种芳香美纹胶带
JP6354636B2 (ja) * 2015-03-31 2018-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20180198099A1 (en) * 2017-01-12 2018-07-12 Shenzhen Meixin Electronics Co., Ltd. Anti-explosive easy-to-dissemble safe 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724862A (zh) * 2021-01-21 2021-04-30 苏州佳值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多层复合的导热反光绝缘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86145T2 (de) * 1983-07-11 1993-09-23 Commw Scient Ind Res Org Verfahren zur polymerisatio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polymere.
US5468532A (en) * 1992-12-10 1995-11-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 graphic article with color layer
US5789487A (en) * 1996-07-10 1998-08-04 Carnegie-Mellon University Preparation of novel homo- and copolymers using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FR2757865B1 (fr) * 1996-12-26 1999-04-02 Atochem Elf Sa Procede de polymerisation ou copolymerisation radicalaire controlee de monomeres (meth)acryliques, vinyliques, vinylideniques et dieniques et (co)polymeres obtenus
JP3879899B2 (ja) * 2001-02-09 2007-02-1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遮光性粘着シート
JP3690298B2 (ja) * 2001-02-23 2005-08-31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2004041977A (ja) * 2002-07-15 2004-02-12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半導体製造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異物除去方法
JP3886121B2 (ja) * 2002-07-29 2007-02-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KR100987679B1 (ko) * 2002-08-12 2010-10-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광반사성과 차광성을 겸비한 lcd 모듈용 점착 테이프
DE10243215A1 (de) * 2002-09-17 2004-03-25 Tesa Ag Haftklebeband für LCDs
JP4269099B2 (ja) * 2002-11-29 2009-05-27 Dic株式会社 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
JP2004231736A (ja) * 2003-01-29 2004-08-19 Dainippon Ink & Chem Inc 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
JP2005060435A (ja) * 2003-08-14 2005-03-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両面粘着シート
JP4883745B2 (ja) * 2004-01-27 2012-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5003558A5 (de) 2008-03-27
DE502005007383D1 (de) 2009-07-09
WO2006133744A1 (de) 2006-12-21
TW200643519A (en) 2006-12-16
EP1893711A1 (de) 2008-03-05
DE102005027394A1 (de) 2006-12-14
CN101180375A (zh) 2008-05-14
EP1893711B1 (de) 2009-05-27
ES2325999T3 (es) 2009-09-28
US20080206492A1 (en) 2008-08-28
JP2008546041A (ja)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7804A (ko) Lc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광-반사 및 광-흡수성질을 지닌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US7514142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LCDs
US20080220252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Lc Display Having Light-Reflective and Light-Absorbing Properties
US20100065185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tape
US20100047518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lc displays with light-reflective and -absorbing properties
US20080286569A1 (en) Double-Sided Adhesive Having Light-Absorbing Properties for Producing and/or Gluing Lc-Displays
US20080202662A1 (en) Two-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Light-Reflective and Absorbing Properties
US20080124494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Lc Displays with Light-Reflective and Absorbing Properties
US20090035563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lc displays having light-reflecting and absorbing properties
US20080199636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or Bonding Lc Displays With Light-Absorbing Properties
US20090123667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LC Displays Having Light-reflecting and Absorbing Properties
US20100316816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lc-displays having light-reflecting and absorbing properties
US20100104774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lc displays having light-reflecting and absorbing properties
US20090123744A1 (en) Double-sided contact-adhesive tape for producing or bonding lc displays, having light-absorbing properties
US20120111830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producing or sticking together LC displays with light-absorbing properties
US20080206491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Producing Lc Displays With Light-Reflecting and Light-Absorbing Properties
JP2009517504A (ja) 光反射性及び吸収性を有する液晶デスプレーを製造するための両面粘着テープ
KR20070089984A (ko) 광반사 및 광흡수 특성을 갖는,lc 디스플레이 제조용양면 접촉식-접착 테이프
KR20080073754A (ko) 광-반사 및 광-흡수 성질을 지닌 lc-디스플레이를제조하기 위한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
KR20080073769A (ko) 광반사 및 광흡수 특성을 갖는 lc 디스플레이를 생산하기위한 이중면 압력-민감성 접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