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676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676A
KR20080027676A KR1020060093121A KR20060093121A KR20080027676A KR 20080027676 A KR20080027676 A KR 20080027676A KR 1020060093121 A KR1020060093121 A KR 1020060093121A KR 20060093121 A KR20060093121 A KR 20060093121A KR 20080027676 A KR20080027676 A KR 20080027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box
dispenser
protrusion
washing machin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448B1 (ko
Inventor
제병수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448B1/ko
Priority to US11/858,307 priority patent/US8839648B2/en
Priority to EP07018723A priority patent/EP1903137B1/en
Priority to CN2007101612861A priority patent/CN101153451B/zh
Publication of KR2008002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제박스의 인출과 수납이 용이하여 세제박스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디스펜서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양측부에 플랜지부가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의 인출 또는 수납시 상기 플랜지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펜서의 양측부 내면에 배치된 가이드 기구를 포함한다.
세탁기, 세제공급기구, 디스펜서, 세제박스, 가이드기구, 잠금기구, 자동인출기구, 댐핑기구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공급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제박스와 디스펜서 하우징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세제박스와 디스펜서 하우징의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세제박스와 디스펜서 하우징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1′: 드럼식 세탁기 14, 114: 세제공급기구
20: 디스펜서 26: 제 1 인출돌기
28: 제 1 수납돌기 30, 130: 세제박스
36: 제 2 인출돌기 37: 플랜지부
38: 제 2 수납돌기 39: 끼움돌기
40,140: 가이드 기구 41: 지지프레임
42,142: 상부 롤러 43,143: 하부 롤러
42A,142A: 끼움홈 43A,143A: 끼움홈
44: 롤러 커넥터, 회전축 50: 잠금기구
60: 자동인출기구 61: 랙 기어부
62: 인출용 피니언 기어 63: 탄성부재
70: 댐핑기구 71: 댐핑용 피니언 기어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제박스의 인출과 수납이 용이하여 세제박스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 (이하, ‘세탁물’이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탁물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세탁조의 일측에 구동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세탁조가 작동되면서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의 내부에는 상기 세탁조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기구와, 상기 세탁조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기구의 급수유로 상에는 세탁조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기구가 배치된다.
상기 세제공급기구는, 상기 급수유로 상에 연통되게 배치된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완전히 분리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세제박스를 디스펜서에서 사용자가 직접 인출하여 세제를 투입한 다음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에 다시 세제박스를 수납하기 때문에, 상기 세제박스의 인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제박스는 상기 디스펜서에 접촉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인출과 수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세제박스의 인출 또는 수납시 마찰로 인해 사용감이 안 좋을 뿐만 아니라,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세제박스의 인출과 수납이 용이하여 세제박스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제박스의 인출과 수납시 사용감이 향상되고,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이 방지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방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디스펜서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양측부에 플랜지부가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의 인출 또는 수납시 상기 플랜지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펜서의 양측부 내면에 배치된 가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플랜지부를 구름 접촉 방식으로 지지하거나,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의 양측부 내면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사이에 두고 접촉되는 한 쌍의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롤러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의 양측부 내면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롤러와 접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게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간섭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간섭방지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커넥터는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된 원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수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수납시 상기 제 1 수납돌기에 걸림됨과 아울러 인출시 상기 제 1 수납돌기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제 1 수납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제 2 수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세제박스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기구와, 상기 잠금기구의 해제시 상기 세제박스를 탄성적으로 인출시키는 자동인출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로 상기 세제박스가 삽입되면 잠금되고 상기 세제박스가 디스펜서의 내부로 다시 눌러지면 상기 세제박스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디스펜서와 세제박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동인출기구는, 상기 세제박스와 디스펜서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랙 기어부와, 상기 랙 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세제박스와 디스펜서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장치의 해제시 상기 피니언 기어가 세제박스의 인출 방향으로 탄성 회전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박스의 인출 속도를 제한하는 댐핑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댐핑기구는, 상기 디스펜서와 세제박스 중 상기 랙 기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 장착되고 상기 랙 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갖는 로터리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인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제 1 인출돌기에 걸려 인출 거리를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인출돌기를 회피하여 상기 디스펜서에서 탈거하도록 상기 제 1 인출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높이가 조절되게 형성된 제 2 인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공급기구(1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제박스(30)와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기구(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럼식 세탁기(1)는, 상기 드럼식 세탁기(1)의 좌측면과 우측면 및 배면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스프링(3)과 댐퍼(미도시)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4)와, 상기 터브(4)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고 상기 세탁수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수공(5A)이 형성된 드럼(5)과, 상기 드럼(5) 내의 세탁물을 일정 높이로 퍼 올린 다음 낙하시키도록 상기 드럼(5)의 내측면에 배치된 리프터(Lifter)(6)와, 상기 드럼(5)에 회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터브(4)의 후방부에 배치된 구동기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는 중앙에 세탁물 출입구(8A)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8)가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2)의 상면과 하면에는 탑 플레이트(9)와 베이스(10)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8)에는 상기 세탁물 출입구(8A)를 개폐하는 도어(11)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8)의 상측에는 드럼식 세탁기(1)의 작동을 표시함과 아울러 드럼식 세탁기(1)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 패널(12)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10)와 터브(4) 사이에는 상기 터브(4)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기구(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9)와 터브(4) 사이에는 급수호스(13A)와 급수밸브(13B) 및 급수 밸로우즈(13C)로 구성된 급수기구(13)가 배치되어 상기 터브(4)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급수기구(13)의 급수유로 상에는 터브(4)로 급수되는 물과 함께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기구(14)가 배치된다. 상기 세제공급기구(14)는 상기 급수호스(13A)와 급수 밸로우즈(13C)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일측에 형성된 출입홀부(12A)를 통해 세제박스(30)가 인출 및 수납되도록 상기 캐비닛(2)과 캐비닛 커버 (8)에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제공급기구(14)는, 상기 급수호스(13A)와 급수 밸로우즈(13C)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출입홀부(12A)에 전면의 개구부(20A)가 연통되게 배치되는 디스펜서(20)와, 상기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상기 디스펜서(20)의 개구부(20A)와 상기 출입홀부(12A)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되고 양측부에 플랜지부(37)가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제박스(30)와, 상기 디스펜서(20)의 양측부 내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 또는 수납시 상기 플랜지부(37)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기구(4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출입홀부(12A)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디스펜서 하우징(21)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개방된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세제박스(30)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홀(24B)이 형성된 디스펜서 커버(2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은 상기 세제박스(30)에서 낙하되는 물과 세제가 급수 밸로우즈(13C)를 통해 상기 터브(4)로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 밸로우즈(13C)를 연결하는 배수구(23)가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22)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개방된 상면에 장착되는 하부 패널(24)과, 상기 하부 패널(24)과 함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패널(24)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 패널(25)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패널(24)은 상기 급수호스(13A)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호스 연결부(24A)가 후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제박스(30)의 세제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물을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급수홀(24B)들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25)과 하부 패널(24)의 내부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24A)에서 급수홀(24B)로 물을 안내하는 유로(24C)가 형성된다.
상기 세제박스(30)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과 디스펜서 커버(22)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토록 수납되고 세제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세제 수용부(31A)(31B)(31C)(31D)들이 구비된 세제박스 본체(31)와, 상기 세제박스 본체(31)의 전면에 구비된 전면 패널(32)과, 상기 세제박스 본체(31)의 상면에 장착되는 세제박스 캡(33)을 포함한다.
상기 세제박스 본체(31)는 상면과 후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세제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세제 수용부(31A)(31B)(31C)(31D)들이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가이드 기구(4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랜지부(3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세제 수용부(31A)(31B)(31C)(31D)들은, 상기 세제박스 본체(31)의 좌측과 우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각각 형성되어 본 세탁과 애벌 세탁시 사용되는 분말세제가 수용되는 제 1,2 분말세제 수용부(31A)(31B)와, 상기 제 1,2 분말세제 수용부(31A)(31B)의 내측 후방에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표백제와 유연제가 각각 수용되는 표백제 수용부(31C) 및 유연제 수용부(31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2 분말세제 수용부(31A)(31B)는, 상기 분말세제 또는 물이 투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으로 분말세제 또는 물이 배출되도록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백제 수용부(31C)와 유연제 수용부(31D)는, 상기 제 1,2 분말세제 수용부(31A)(31B)의 바닥면과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표백제와 유연제가 투입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표백제 수용부(31C)와 유연제 수용부(31D)의 하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사이폰 관(34)이 바닥면에 상향 돌출된다.
상기 전면 패널(32)은, 상기 컨트롤 패널(12) 및 캐비닛 커버(8)와 함께 드럼식 세탁기(1)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12)과 동일한 구조로 상기 출입홀부(12A)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세제박스 캡(33)은, 상기 표백제 수용부(31C)와 유연제 수용부(31D)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세제박스 본체(31)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표백제 수용부(31C)와 유연제 수용부(31D)에 대응되는 부위에 표백제와 유연제를 투입하는 투입홀(33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세제박스 캡(33)의 저면에는 상기 표백제 수용부(31C)와 유연제 수용부(31D)에 투입된 표백제와 유연제가 사이폰 현상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폰 관(34)에 씌워지는 사이폰 캡(35)이 하향 돌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하부 패널(24)의 전방부 하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인출돌기(26)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30)는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시 상기 제 1 인출돌기(26)에 걸리도록 상기 세제박스 캡(33)의 상면에 돌출된 제 2 인출돌기(3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인출돌기(36)는 상기 제 1 인출돌기(26)와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인출돌기(26)와 제 2 인출돌기(36)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 거리가 설정되고, 필요시 상기 제 2 인출돌기(36)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제 1 인출돌기(26)와의 걸림이 회피되어 상기 세제박스(30)가 디스펜서(20)의 내부에서 완전히 탈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인출돌기(26)와 제 2 인출돌기(36)는, 상기 디스펜서(20)의 내면과 상기 세제박스(30)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20)는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수납돌기(28)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30)는 수납시 상기 제 1 수납돌기(28)가 걸림됨과 아울러 인출시 상기 제 1 수납돌기(28)가 탈거되도록 외면에 돌출된 제 2 수납돌기(38)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납돌기(28)와 제 2 수납돌기(38)는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방향과 수납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30)가 상기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수납되면 상기 제 2 수납돌기(38)가 상기 제 1 수납돌기(28)를 후방으로 타고 넘어가면서 걸림되고, 상기 세제박스(30)가 상기 디스펜서(2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제 2 수납돌기(38)가 상기 제 1 수납돌기(28)를 전방으로 타고 넘어오면서 걸림이 해제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기구(40)는, 상기 세제박스(30)의 플랜지부(37)를 구름 접촉 방식으로 지지하는 부재로써, 상기 플랜지부(37)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 기구(40)는 상기 플랜지부(37)의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 측만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가이드 기구(40)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양측부 내면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41)과, 상기 플랜지부(37)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41)을 사이에 두고 접촉되는 한 쌍의 롤러(42)(43)들과, 상기 롤러(42)(43)들을 상기 지지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롤러 커넥터(44)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부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 커넥터(44)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마운팅부(45)와, 상기 마운팅부(4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롤러 커넥터(44)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46) 및 하부 지지부(47)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부(45)에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부에 형성된 체결부(21A)에 체결부재(27)로 체결되도록 체결홀(45C)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 커넥터(4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제 1 관통홀(45A)(45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46)는 상기 마운팅부(45)의 상부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다음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47)는 상기 마운팅부(45)의 하부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다음 상측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46)와 하부 지지부(47)의 단부는 상기 플랜지부(37)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46)와 하부 지지부(47)에는 상기 롤러 커넥터(44)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관통홀(45A)(45B)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 2 관통홀(46A)(46B)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42)(43)는 상기 마운팅부(45)와 상부 지지부(4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37)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롤러(42)와, 상기 마운팅부(45)와 하부 지지부(47)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37)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 롤러(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롤러(42)와 하부 롤러(43)는 상기 지지프레임(41)에 세제박스(30)의 이동방향으로 두 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하지만, 상기 상부 롤러(42)와 하부 롤러(43)는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부(37)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세제박스(30)의 이동방향으로 끼움돌기(39)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42)(43)의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돌기(39)가 끼워지는 끼움홈(42A)(43B)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39)는 상기 플랜지부(37)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42A)(43B)은 상기 롤러(42)(43)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끼움돌기(39)는 상기 플랜지부(37)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42A)(43B)은 상기 상부 롤러(42)와 하부 롤러(43) 중 상기 끼움돌기(39)와 대응되는 롤러(42)(43)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42)(43)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41)에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간섭방지부(48)가 돌출된다. 상기 간섭방지부(48)는 상기 롤러(42)(43)의 회전 중심에서 일정 반경으로 돌출된 원형 리브(48)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롤러 커넥터(44)는 상기 롤러(42)(43)의 회전 중심에 형성된 축홀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회전축(4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44)은, 상기 제 1 관통홀(45A)(45B)과 제 2 관통홀(46A)(46B)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회전축(44)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관통홀(45A)(45B)과 제 2 관통홀(46A)(46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스냅링(49)이 체결되는 체결홈(44A)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스냅링(49)은 C-링과 O-링 및 E-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1)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물 출입구(8A)를 통해 드럼(5)의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상기 세탁물 출입구(8A)를 도어(11)로 밀폐시킨다. 그리고, 세제박스(30)의 세제 수용부(31A)(31B)(31C)(31D)에 분말 세제와 표백제 및 유연제를 투입하고, 컨트롤 패널(12)을 조작하여 세탁 코스를 설정한 다음 드럼식 세탁기(1)를 작동시킨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1)가 작동되면, 급수기구(13)와 세제공급기구(14)에 의해 물과 세제가 터브(4)의 내부에 공급된다. 즉, 상기 급수기구(13)는 급수밸브(13B)를 개방하여 급수호스(13A)와 급수 밸로우즈(13C)를 따라 터브(4)의 내부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세제공급기구(14)는, 상기 급수호스(13A)에서 유입된 물을 디스펜서 커버(22)의 급수홀(24B)을 통해 세제박스(30)의 제 1,2 분말세제 수용부(31A)(31B) 또는 표백제 수용부(31C)로 분출한다. 이때, 상기 세제박스(30)의 분말 세제 또는 표백제는 상기 급수홀(24B)에서 분출되는 물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바닥면으로 씻겨 내리게 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에 연결된 급수 밸로우즈(13C)를 따라 상기 터브(4)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급수기구(13)와 세제공급기구(14)에 의해 터브(4)의 내부에 물과 분말 세제 및 표백제가 공급되면, 구동기구(7)인 모터(7)에 의해 드럼(5)이 회전되고, 상기 드럼(5)의 회전됨에 따라 리프터(6)에 의해 세탁물이 상측으로 올라갔다 하측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세탁물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7)가 정지된 다음, 상기 터브(4)에 저장된 세탁수가 배수기구에 의해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기구(13)에 의해 다시 터브(4)에 설정 수위까지 물이 급수되고, 상기 드럼(5)이 모터 (7)에 의해 다시 회전되어 세탁물의 헹굼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제공급기구(14)는 세제박스(30)의 유연제 수용부(31D)에 물을 급수하여 상기 터브(4)의 내부에 유연제 수용부(31D)의 유연제를 공급한다. 상기 세탁물의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배수기구에 의해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에서 배수가 실시될 때에는, 상기 드럼(4)이 모터(5)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탈수 행정이 진행되어 상기 탈수 행정시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가 제거된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30)는, 디스펜서(20)의 외부로 인출된 다음, 상기 세제 수용부(31A)(31B)(31C)(31D)에 세제가 투입되면 상기 디스펜서(20)의 내부로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세제박스(30)의 플랜지부(37)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에 장착된 가이드 기구(40)의 롤러(42)(43)에 의해 구름 접촉 방식으로 원활하고 부드럽게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기구(40)의 상부 롤러(42)와 하부 롤러(43)에 의해 플랜지부(37)의 상면과 하면이 전후방향으로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되므로,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 또는 수납시 상기 세제박스(30)의 마찰 작용으로 인한 감성 저하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37)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끼움돌기(39)는 상기 가이드 기구(40)의 롤러(42)(43)에 형성된 끼움홈(42A)(43B)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39)가 상기 끼움홈(42A)(43B)에 걸려 상기 플랜지부(37)의 좌우 이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과 수납이 이루어지는 전후방향으로만 상기 가이드 기구(40)에 의해 세제박스(3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세제박스(30)가 상기 디스펜서(20)의 개구부(20A)에서 일정 거리 이상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22)의 제 1 인출돌기(26)에 세제박스 캡(33)의 제 2 인출돌기(36)가 걸려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이 정지된다. 즉, 상기 제 2 인출돌기(36)와 제 1 인출돌기(26)에 의해 세제박스(30)가 인출되는 최대 거리가 자동적으로 제한된다. 이때, 상기 제 1,2 분말세제 수용부(31A)(31B)에는 분말 세제가 각각 투입되고, 표백제 수용부(31C)에는 표백제가 투입되며, 유연제 수용부(31D)에는 유연제가 투입된다. 또한, 상기 세제박스(30)는 상기 제 2 인출돌기(36)를 하측으로 눌러 상기 제 1 인출돌기(26)와의 걸림 상태를 회피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20)에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상기 세제박스(30)의 교체와 세척 등이 간편하게 실시된다.
그런 다음에, 상기 세제박스(30)가 상기 디스펜서(20)의 개구부(20A)로 삽입되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22)의 제 1 수납돌기(28)에 세제박스 본체(31)의 제 2 수납돌기(38)가 걸리고, 상기 세제박스(30)를 후방으로 계속 밀면 상기 제 2 수납돌기(38)는 후방으로 상기 제 1 수납돌기(28)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30)는 상기 디스펜서(20)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드럼식 세탁기(1)의 사용 안정성이 확보된다. 반면에, 상기 세제박스(30)를 다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세제박스(3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제 2 수납돌기(38)는 전방으로 상기 제 1 수납돌기(28)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에는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기구(14)와 상이하게 구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세제공급기구(114)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130)와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에서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7의 세제공급기구(114)는, 세제박스(130)의 플랜지부(137)에 끼움돌기(139)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가이드 기구(140)의 롤러(142)(143)에 끼움홈(142A)(143B)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돌기(139)와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플랜지부(137)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세제박스(130)의 이동방향으로 복수개의 끼움돌기(139)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142)(143)의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돌기(139)들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홈(142A)(143B)들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130)의 이동시 상기 롤러(142)(143)의 끼움홈(142A)(143B)들에 끼움돌기(139)들이 차례대로 삽입되고 이탈되므로, 상기 끼움돌기(139)와 끼움홈(142A)(143B)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137)의 좌우 이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랜지부(137)의 전후 이동 거리도 정확하게 제어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1′)의 세제 박스(30)와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8의 드럼식 세탁기(1′)가 도 1의 드럼식 세탁기(1)와 상이한 점은, 디스펜서(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세제박스(30)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기구(50)와, 상기 잠금기구(50)의 해제시 세제박스(30)를 탄성적으로 인출시키는 자동인출기구(60)와,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시 세제박스(30)의 이동 속도를 제한하는 댐핑기구(70)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기구(50)는, 상기 디스펜서(20)의 내부로 삽입되면 잠금되고 상기 세제박스(30)가 잠금된 상태에서 디스펜서(20)의 내부로 다시 이동되면 풀림되도록 상기 디스펜서(20)와 세제박스(30)에 배치된다. 즉, 상기 잠금기구(50)는, 세제박스(30)에 배치된 잠금 후크(51)와, 상기 디스펜서(20)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 후크(51)가 삽입됨에 따라 잠금과 해제를 반복하는 토글 스위치(52)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후크(51)는 상기 세제박스(30)의 전면 패널(32)의 후면 하측에 장착된다. 상기 토글 스위치(52)는 상기 잠금 후크(51)와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앙에 상기 잠금 후크(51)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글 스위치(52)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출입홀부(12A) 하측에 형성된 삽입홀(12B)에 상기 삽입홈이 일치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배면에 장착된다. 물 론, 상기 토글 스위치(52)는 상기 삽입홀(12B)에 삽입홈이 일치되도록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전방부 하측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30)의 수납시 상기 잠금기구(50)에 의해 세제박스(30)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전술한 일실시예에 구비된 제 1 수납돌기(28)와 제 2 수납돌기(38)가 생략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인출기구(60)는, 상기 세제박스(30)의 측부에 배치된 랙 기어부(61)와, 상기 랙 기어부(61)와 치합되는 인출용 피니언 기어(62)와, 상기 디스펜서(20)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잠금기구(50)의 해제시 상기 인출용 피니언 기어(62)를 세제박스(30)의 인출 방향으로 탄성 회전시키도록 상기 인출용 피니언 기어(62)와 연결된 탄성부재(63)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인출기구(60)는 세제박스(30)와 디스펜서(2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인출기구(60)는 상기 디스펜서(20)에 상기 랙 기어부(6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세제박스(30)에 상기 탄성부재(6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랙 기어부(6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박스(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세제박스 본체(31)의 외측면에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인출용 피니언 기어(62)와 치합되는 기어부(61A)가 하부에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63)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부에 장착되는 하우징부(64)와, 상기 하우징부(6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출용 피니언 기어(62)가 일측에 연결된 회전축(65)과, 상기 회전축(65)의 타측과 하우징부(64)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6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64)는 상기 탄성체(66)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64)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부에 형성된 체결보스(21B)에 체결부재(27)로 체결 장착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부(64)는 후크와 후크홀, 접착제, 또는 융착 등에 의하여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하우징부(64)의 양측면에 양단이 관통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65)의 일단에는 상기 인출용 피니언 기어(62)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65)의 타단에는 상기 회전축(6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토퍼(65A)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66)는 상기 하우징부(64)의 내부에 회전축(65)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65)과 하우징부(64)에 양단이 연결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Spiral spring)(66)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댐핑기구(70)는, 상기 디스펜서(20)의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랙 기어부(61)에 치합되는 댐핑용 피니언 기어(71)를 갖는 로터리 댐퍼(7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로터리 댐퍼(70)의 댐핑용 피니언 기어(71)는 상기 랙 기어부(61)에 치합되어 상기 세제박스(30)의 이동시 댐핑 회전되면서 상기 랙 기어부(61)의 이동 속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로터리 댐퍼(70)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부에 형성된 체결보스(21C)에 체결부재(27)로 체결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로터리 댐퍼(70)는 후크와 후크홀, 접착제, 또는 융착 등에 의하여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1′)에 서 세제박스(3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은, 디스펜서(20)의 내부에 수납된 세제박스(30)의 전면 패널(32)을 컨트롤 패널(12)의 출입홀부(12A) 내측으로 살짝 밀어 넣은 다음, 상기 전면 패널(32)에 작용되는 힘을 제거하면 된다. 즉, 상기 세제박스(30)가 잠금기구(50)에 의해 잠금 상태에서 후방으로 살짝 이동되면, 상기 세제박스(30)의 잠금 후크(51)는 토글 스위치(52)의 삽입홈 내에서 후방으로 약간 이동되어 상기 잠금 후크(51)와 토글 스위치(52)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3)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용 피니언 기어(62)가 회전되고, 상기 인출용 피니언 기어(62)에 의해 랙 기어부(61)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세제박스(30)가 컨트롤 패널(12)의 출입홀부(12A)에서 전방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후크(51)는 상기 토글 스위치(52)의 삽입홈과 컨트롤 패널(12)의 삽입홀(12B)에서 빠져 나오게된다. 상기 세제박스(30)가 일정 거리 이상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22)의 제 1 인출돌기(26)에 세제박스 캡(33)의 제 2 인출돌기(36)가 걸려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이 정지된다.
그런데, 상기 세제박스(30)의 인출시 상기 랙 기어부(61)가 이동되면, 상기 랙 기어부(61)와 치합된 댐핑용 피니언 기어(71)도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 댐퍼(70)의 댐핑 작용에 의해 세제박스(30)의 인출 속도가 제한되므로, 상기 세제박스(30)는 급격한 이동이 방지되어 완만하게 인출된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30)의 수납은, 상기 세제박스(30)를 컨트롤 패널(12)의 출입홀부(12A)에 전면 패널(32)이 밀착될 때까지 상기 디스펜서(2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된다. 이때, 상기 세제박스(30)를 후방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20)의 내부로 상기 세제박스(30)의 세제박스 본체(31)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홀(12B)에 잠금 후크(51)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30)의 전면 패널(32)이 출입홀부(12A)에 밀착되면, 상기 삽입홀(12B)을 관통한 잠금 후크(51)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토글 스위치(52)에 의해 잠금된다. 물론, 상기 세제박스(30)는 인출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터리 댐퍼(70)에 의해 급격한 이동이 방지되면서 완만하게 수납된다.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30)를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출입홀부(12A) 안쪽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 자동인출기구(60)에 의해 세제박스(30)가 자동적으로 인출되거나 수납되기 때문에 세제박스(30)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세제박스(30)가 불완전하게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문제도 해소된다. 또한, 상기 댐핑기구(70)에 의해 세제박스(30)의 인출과 수납이 부드럽고 완만하게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세제박스(30)의 급격한 인출과 수납에 따른 세제박스(30)의 파손과 충돌 소음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30)는 상기 디스펜서(2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인출돌기(36)를 하측으로 눌러 상기 제 1 인출돌기(26)와의 걸림 상태를 회피시키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20)에서 세제박스(30)가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30)의 교체와 세척 등이 간편하게 실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뿐만 아니라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박스가 구비된 수류식 세탁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기구와 댐핑기구는,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세제박스가 용이하게 인출 또는 수납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제박스의 인출 또는 수납시 세제박스의 마찰 저항이 가이드 기구에 의해 감소되므로, 사용감이 향상되고, 마찰로 인한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전방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디스펜서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양측부에 플랜지부가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제박스와;
    상기 세제박스의 인출 또는 수납시 상기 플랜지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펜서의 양측부 내면에 배치된 가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플랜지부를 구름 접촉 방식으로 지지하는 세탁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과 하측을 지지하는 세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의 양측부 내면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사이에 두고 접촉되는 한 쌍의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롤러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세탁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디스펜서의 양측부 내면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37)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롤러 커넥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롤러와 접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세탁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세탁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게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세탁기.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간섭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간섭방지부가 돌출된 세탁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롤러 커넥터는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된 원형 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수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수납시 상기 제 1 수납돌기에 걸림됨과 아울러 인출시 상기 제 1 수납돌기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제 1 수납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제 2 수납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세제박스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기구와, 상기 잠금기구의 해제시 상기 세제박스를 탄성적으로 인출시키는 자동인출기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로 상기 세제박스가 삽입되면 잠금되고 상기 세제박스가 디스펜서의 내부로 다시 눌러지면 상기 세제박스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디스펜서와 세제박스에 배치된 세탁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동인출기구는, 상기 세제박스와 디스펜서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랙 기어부와; 상기 랙 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세제박스와 디스펜서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장치의 해제시 상기 피니언 기어가 세제박스의 인출 방향으로 탄성 회전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의 인출 속도를 제한하는 댐핑기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댐핑기구는, 상기 디스펜서와 세제박스 중 상기 랙 기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 장착되고 상기 랙 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갖는 로터리 댐퍼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인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제 1 인출돌기에 걸려 인출 거리를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인출돌기를 회피하여 상기 디스펜서에서 탈거하도록 상기 제 1 인출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높이가 조절되게 형성된 제 2 인출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060093121A 2006-09-25 2006-09-25 세탁기 KR10131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121A KR101311448B1 (ko) 2006-09-25 2006-09-25 세탁기
US11/858,307 US8839648B2 (en) 2006-09-25 2007-09-20 Drawer of a washing machine
EP07018723A EP1903137B1 (en) 2006-09-25 2007-09-24 Washing machine
CN2007101612861A CN101153451B (zh) 2006-09-25 2007-09-25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121A KR101311448B1 (ko) 2006-09-25 2006-09-25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676A true KR20080027676A (ko) 2008-03-28
KR101311448B1 KR101311448B1 (ko) 2013-09-25

Family

ID=3898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121A KR101311448B1 (ko) 2006-09-25 2006-09-25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39648B2 (ko)
EP (1) EP1903137B1 (ko)
KR (1) KR101311448B1 (ko)
CN (1) CN1011534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332341B2 (en) * 2006-12-14 2011-06-3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drawer assembly thereof
US8348361B2 (en) * 2008-06-30 2013-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dditive dispenser drawer assembly
WO2010056086A2 (ko) * 2008-11-17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10076176A1 (en) * 2008-12-30 2010-07-08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etergent drawer
KR101403957B1 (ko) * 2009-08-24 2014-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375715B1 (ko) * 2009-11-24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EP2372011B1 (en) * 2010-03-31 2020-05-0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rawer assembly
BRPI1003978A2 (pt) * 2010-10-21 2013-02-26 Electrolux Do Brasil Sa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dispensador de aditivos em mÁquina de lavar roupas automÁtica
KR101748773B1 (ko) * 2011-01-04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820662B1 (ko) * 2011-12-07 201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BR202012032461U2 (pt) * 2012-12-19 2014-10-29 Whirlpool Sa Bandeja direcionada de insumos de lavagem
US9695540B2 (en) 2014-05-29 2017-07-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pensing apparatus with labyrinth seal
EP3169840B1 (en) * 2014-07-18 2018-04-25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leaning agent dispenser
CN204690382U (zh) * 2015-02-15 2015-10-0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WO2016127499A1 (zh) * 2015-02-15 2016-08-1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WO2016145716A1 (zh) * 2015-03-13 2016-09-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洗涤剂盒组件和具有其的洗衣机
BR102015007544B1 (pt) * 2015-04-02 2021-10-26 Whirlpool S.A. Dispositivo de travamento para sistema de armazenamento e dosagem de insumos para aparelho eletrodomésticos
KR20170002883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319909B (zh) * 2015-06-30 2020-10-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冷凝式干衣机底座及干衣机
DE202015104215U1 (de) * 2015-08-11 2016-11-14 Pas Deutschland Gmbh Schubladenanordnung für eine Waschmaschine
CN107099976B (zh) * 2016-02-19 2021-03-23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涤盒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
KR102512289B1 (ko) * 2016-05-30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077526B2 (en) * 2016-09-13 2018-09-1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CN108252035B (zh) * 2016-12-29 2020-04-07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洗涤剂盒及洗衣机
CN108978131A (zh) * 2017-05-31 2018-12-1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涤剂盒及洗衣机
KR20180136099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20180136098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102368502B1 (ko) * 2017-06-14 2022-02-28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CN107177961B (zh) * 2017-06-20 2021-01-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CN107142685B (zh) * 2017-06-20 2021-07-0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CN107287835B (zh) * 2017-06-20 2022-03-18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CN107287834B (zh) * 2017-06-20 2021-03-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CN109385863A (zh) * 2017-08-10 2019-02-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推弹水盒及干衣机
US10815605B2 (en) 2017-10-06 2020-10-2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bulk dispensing assembly
WO2019114656A1 (zh) * 2017-12-11 2019-06-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KR102572080B1 (ko) * 2018-08-07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8823911B (zh) * 2018-09-13 2023-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涤剂盒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
CN109853191A (zh) * 2019-03-20 2019-06-0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涤剂投放装置以及衣物处理设备
CN110983714A (zh) * 2019-11-19 2020-04-1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超声波装置和衣物处理设备
CN111041780B (zh) * 2019-11-27 2022-05-06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CN112481936B (zh) * 2020-12-03 2022-05-17 青岛三和机电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投放洗涤剂功能洗衣机的控制盘座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5523A (en) * 1917-06-22 1921-01-11 Charles F Meilink Filing-cabinet
US2200319A (en) * 1934-08-15 1940-05-14 Zalkind Philip Roller casing
US2548533A (en) * 1950-05-01 1951-04-10 Applied Arts Corp Ash receiver
US2997355A (en) * 1957-10-14 1961-08-22 Ekco Products Company Drawer assembly
US3744646A (en) * 1971-07-19 1973-07-10 Design & Mfg Corp Wheel mounting means for dishwasher racks
US3857618A (en) * 1973-03-21 1974-12-31 M Hagen Synchronization and precision sequencing of ball retainer relationship to one-half of slide movement
US5536083A (en) * 1993-03-04 1996-07-16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Pull-out guide assembly for drawers
KR0149912B1 (ko) * 1995-06-14 1999-05-15 김광호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DE10061155A1 (de) 2000-12-08 2002-06-27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itteleinspüleinrichtung
TR200400739T1 (tr) 2001-11-08 2004-11-22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ev cihazı
ITTO20020813A1 (it) 2002-09-19 2004-03-20 Itw Ind Components Srl Dispositivo per l'estrazione automatica di un cassetto, in particolare un cassetto erogatore di un elettrodomestico quale una lavatrice, ed elettrodomestico utilizzante lo stesso.
DE60335445D1 (de) * 2003-02-19 2011-02-03 Whirlpool Co Waschmaschine mit Waschmittelverteiler
ITTO20050332A1 (it) * 2005-05-17 2006-11-18 Itw Ind Components Srl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l'estrazione automatica di un cassetto, in particolare un cassetto erogatore di un elettrodomestico quale una lavatrice
KR101203568B1 (ko) 2005-12-06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통 흔들림 방지 구조
KR20070059437A (ko) * 2005-12-06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3137A3 (en) 2010-11-24
KR101311448B1 (ko) 2013-09-25
EP1903137A2 (en) 2008-03-26
EP1903137B1 (en) 2011-12-28
CN101153451A (zh) 2008-04-02
US8839648B2 (en) 2014-09-23
US20080072631A1 (en) 2008-03-27
CN101153451B (zh)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448B1 (ko) 세탁기
KR101252168B1 (ko) 세탁기
KR20080027677A (ko) 세탁기
KR20080030139A (ko) 세탁기
US9340919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10680B1 (ko) 세탁기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CA2722531C (en) Washing machine
KR101215448B1 (ko) 세탁기
KR100680203B1 (ko)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1233189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기구
KR101435816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0392583Y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통
KR20240081107A (ko) 의류처리장치
KR20060085978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24008110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8110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2200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067344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60120925A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240069409A (ko) 의류처리장치
KR100600763B1 (ko) 도어에 바스킷이 구비된 드럼 세탁기
KR101038257B1 (ko) 세탁기
KR20240069342A (ko) 의류처리장치
KR20060025735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