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428A -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428A
KR20080027428A KR20060092572A KR20060092572A KR20080027428A KR 20080027428 A KR20080027428 A KR 20080027428A KR 20060092572 A KR20060092572 A KR 20060092572A KR 20060092572 A KR20060092572 A KR 20060092572A KR 20080027428 A KR20080027428 A KR 20080027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telephone
virtual
networ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9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호
Original Assignee
서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호 filed Critical 서원호
Priority to KR2006009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7428A/ko
Publication of KR2008002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428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에 종속되어 있는 이동 전화 번호를 사람에게 무관하도록 해 주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람이 바뀌어도 이동전화 번호는 종전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으로, 자세하게는 단체, 회사 또는 기관이 필요로 하는 수 만큼의 전화 번호를 미리 확보한 후 필요에 따라 각 번호에 대한 실제 착신 번호를 부여하고 변경하는 등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예컨대 특정 직책의 담당자가 바뀌는 경우 새로 부임한 담당자의 이동 전화 번호로 실제 착신 번호를 변경 등록하여 사람이 바뀌는 것에 상관없이 해당 직책에 대한 이동 전화 번호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은 하나의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화 번호로 착신되는 전화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전화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통신 사업자는 실제 휴대 단말 수 보다 더 많은 전화 번호를 판매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사업 분야를 통한 매출이 얻어지며, 회사나 단체는 예컨대 홍보부장이 다른 사람으로 바뀌어도 홍보부장에 대한 이동전화 번호는 바뀌지 않고 종전대로 유지되므로 업무 효율이 향상되고 고객의 인지도가 향상되어 사업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논리적인 번호에 대한 실제 착신 번호를 융통성 있게 지정되도록 프로그램 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시간대/날 짜/요일 별로 실제 착신 전화 번호를 다르게 지정한다거나 최초에 접속을 시도한 실제 착신 번호가 예컨대 통화중이어서 착신이 불가능할 경우 2차 번호로 착신을 시도하는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도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the everlasting business mobile telephone number and system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전화번호관리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150)의 정보저장테이블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이동전화망(3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6와 도7은 도1에 도시된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전화번호관리장치, 110 : 네트워크접속부,
120 : 웹정합부, 130 : 운용자단말기,
140 : 서비스제어부, 150 : 데이터베이스,
160 : LAN, 200 : 가입자단말기,
300 : 이동전화망, 310 : 가입자관리장치,
320 : HLR(홈위치등록기), 330 : 교환기,
340 : 기지국,
A : 발신단말, B : 착신단말.
본 발명은 전화번호, 특히 사람에 종속되어 있는 이동 전화번호를 사람에 무관하도록 해 주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전화가 급격히 보급되면서 경제활동 인구는 대부분 이동전화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통신 서비스도 종전의 유선 전화로부터 이동 전화로 그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이동 전화 번호는 기관이나 회사보다는 개인을 중심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기업이나 단체의 입장에서는 공통점을 갖는 이동 전화 번호를 부여할 수 없고 사람이 바뀌면 해당 직급이나 부서의 이동 전화 번호도 바뀌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유관 부서나 고객에게 바뀐 번호를 다시 인지시켜야 하므로 눈에 보이지 않는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개인의 이동전화 번호가 업무용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24 시간 업무 관련 전화가 걸려올 수 있어 사생활의 침해 소지가 있으며 직장이 바 뀌거나 부서가 바뀌었음에도 종전 근무지와 관련된 전화가 걸려오는 등의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람이 바뀌어도 업무용 이동 전화번호는 변경되지 않도록 해 주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은 발신단말과 착신단말간의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망과 소정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관리장치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고정된 전화번호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회원의 요청에 따라 회원에게 하나 이상의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가상 전화번호군을 할당하는 제1 단계와, 전화번호관리장치에서 회원의 요구에 따라 회원이 할당받은 가상 전화번호군의 각 제1 전화번호에 대해 실제 사용되는 제2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제2 단계와, 전화망에서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와 연동하여 발신단말로부터 인가되는 가상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을 제2 전화번호의 착신단말로 중계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고정된 전화번호 관리시스템은 전화번호관리장치가 소정 통신망을 통해 전화망 및 가입자단말기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화망은 회원에게 하나 이상의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가상 전화번호군을 할당함과 더불어,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가상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해 실제 사용되는 제2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발신단말로부터 가상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요구에 대해서는 제2 전화번호의 착신단말로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는 가입자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근거로 회원에게 할당된 하나 이상인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가상 전화번호군에 대해 가상의 각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실제 사용되는 제2 전화번호 등록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등록된 가상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용 제2 전화번호정보를 상기 전화망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업무용 이동 전화 번호를 미리 확보해 두고 담당자가 바뀔 때마다 업무용 이동 전화 번호에 대해 바뀐 사람의 전화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사람이 바뀌어도 업무용 전화 번호는 변경되지 않게 된다. 또한, 예컨대 시간대/날짜/요일 별로 실제 착신 전화 번호를 다르게 지정한다거나 최초에 접속을 시도한 실제 착신 번호가 착신이 불가능할 경우 2차 번호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도 가능해진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된 전화번호 관리처리를 수행하는 전화번호관리장치(100)가 소정 통신망(1,1')을 통해 가입자단말기(200) 및 이동전화망(300)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단말기(200)는 예컨대 기업의 단말기로서,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인터넷(1)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100)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100)는 IP 망, X.25, LAN, MAN 등 각종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전화망(300)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100)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에 대하여 예컨대 웹사이트를 통해 전화번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100)는 이동전화망(300)으로부터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전화번호군에 대해 회원의 요구에 따른 착신용 제2 전화번호의 등록/변경/삭제 등의 관리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제1 전화번호와 이에 대응되는 착신용 제2 전화번호정보를 상기 이동전화망(30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전화망(300)은 상기 전화번호 관리장치(100)와 연동하여 발신단말(A)과 착신단말(B)간의 전화 접속 및 해제 등과 같은 일련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전화망(300)은 발신단말(A)로부터의 제1 전화번호 착신요구에 대해 착신용 제2 전화번호의 착신단말(B)과의 호접속요구를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는 먼저 특정 논리적인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군(Group)을 대상으로 전화번호 관리장치에 회원 가입한다. 이동통신망의 통신 사업자는 회원에게 서비스 가입된 논리적인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군(Group)에 대하여 실제 착신 번호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변경하는 권한을 부여하며, 또한, 예컨대 인터넷을 통하여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ID와 암호를 부여한다. 회원은 전화번호관리장치(100)에 로그인 하여 논리적인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 호 군(Group)에 대하여 실제 착신 번호를 등록하는 등 회원에게 허용된 범위 내에서 정보를 등록한다. 예컨대 홍보부장이 다른 사람으로 바뀌면 새로 임명된 홍보부장의 이동 전화 번호를 실제 착신 번호에 변경 등록하게 된다. 이때, 회원은 실제 착신 번호에 대한 부가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무 시간에는 휴대폰으로, 업무 시간이 종료되거나 휴대폰 전원이 꺼져 있으면 음성 사서함으로, 공휴일에는 당직실 등으로 실제 착신 전화 번호를 다르게 지정하거나, 최초에 접속을 시도한 실제 착신 번호가 예컨대 통화중이어서 착신이 불가능할 경우 2차 번호로 착신을 시도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전화번호 관리장치(100)는 회원이 등록한 정보를 이동전화망(300)으로 전달하며, 이동전화망(300)은 전화번호 관리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제1 전화번호에 대하여 실제 착신용 제2 전화번호 등 관련 서비스 정보를 변경 등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임의의 발신자가 제1 전화번호를 눌러 전화를 걸면, 이동전화망(300)은 제1 전화번호를 번역하여 실제 착신용 제2 전화번호를 구하여 해당 착신단말(B)로 전화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1에 있어서는 제1 전화번호 즉, 제1 이동전화번호에 대해 착신용 제2 전화번호가 이동전화번호로 된 경우의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망(300)과 유선전화망(4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제1 전화번호에 대해 착신용 제2 전화번호가 유선전화번호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전화번호관리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관리장치(100)는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웹정합부(120), 운용자단말기(130), 서비스제어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접속부(110)와, 웹정합부(120), 운용자단말기(130), 서비스제어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의 각 요소는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랜(LAN:160)을 통해 상호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요소가 하나의 서버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110)는 이동전화망(300)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웹 정합부(120)는 가입자가 가입자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인터넷(1)을 통해 전화번호 관리장치(100)에 접속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웹 페이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웹 정합부(120)는 가입자로부터의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의 가입, 탈퇴, 고객 정보 변경 등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제공에 필요한 각종 요구를 제공받아 서비스 제어부(140)에게 전달하며, 서비스 제어부(140)의 지시에 따라 가입자에게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
상기 운용자 단말기(130)는 고정된 전화번호서비스 가입자의 등록 및 삭제, 고객 정보 조회, 고객 정보 변경, 운용 내역 조회 등 운용자에게 전화번호 관리장치(100)의 전반적인 운용을 수행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140)는 전화번호 관리장치(100)가 수행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50)는 고객의 ID, 암호 정보별 각종 고정된 전화번호서비스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 내역과 통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의 ID와 암호에 대해 회사명, 주소, 법 인번호, 업태, 대표이사, 담당자 등과 같은 기업의 기본정보가 저장되는 기본정보저장부(151)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의 ID와 암호에 대해 업무용 번호별 부서나 직책 및 실제 착신번호정보가 저장되는 전화번호 정보저장부(15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4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의 업무용 전화 번호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착신 번호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4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의 업무용 전화번호에 대해 시간대/날짜/요일 별로 실제 착신 전화 번호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5는 도1에 도시된 이동전화망(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이동전화망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망(300)은 전화 가입자의 등록, 삭제, 정보 변경 등 가입자를 관리하는 가입자관리장치(310)와, 가입자관리장치(310)로부터 등록된 전화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며 각 이동 단말기(A,B)가 현재 어느 교환기(330)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위치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320), 이동 단말(A,B)을 상호 연결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해 주는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330) 및, 이동 단말(A,B)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A"는 발신단말이고, "B"는 착신단말이다. 또한, 이후에 설명할 동작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4에서 교환기(330)와 기지국(340)은 발신단말(A)에 대해서는 교환기(330A)와 기지국A(340A)로, 착신단말(B)에 대해서는 교환기B(330B)와 기지국B(340B)로 도시하였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에서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 가입 및 고정된 전화번호에 대한 실제 착신 번호 등록 절차를 도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고정된 전화번호서비스에 가입을 원하는 이용자는 가입자단말기(200)로 인터넷(1)을 통해 전화번호 관리장치(100)에 접속하여 일련의 업무용 전화번호관리서비스 회원가입처리를 수행한다(ST1). 즉, 이용자는 전화번호 관리장치(100)의 웹정합부(12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의 ID와 암호를 포함한 이용자 정보를 입력한 뒤 회원 가입을 요청한다. 전화번호 관리장치(100)는 회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고 웹정합부(120)를 통해 회원 가입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일련의 회원가입가입처리를 완료한다.
회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 등록된 상태에서, 회원이 ID와 암호를 입력하여 전화번호관리장치(100)에 로그인을 요구한다(ST2). 전화번호관리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조회하여 그 로그인 결과정보를 가입자단말기(200)로 제공한다(ST3). 즉,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100)는 가입자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등록된 ID와 암호가 인가된 경우 로그인을 허용한다. 이어, 회원은 가입자단말기(200)를 통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전화번호 즉, 업무용 전화 번호로 구성되는 전화번호군의 할당을 요구한다(ST4). 전화번호관리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운용자의 승인에 따라 업무용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고 웹정합부(120)를 통해 회원에게 업무용 전화번호 할당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업무용 전화번호 할당 절차를 완료한다(ST5). 이때, 업무용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전화번호군의 할당처리는 회원이 이동전화망(300)을 통해 직접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화번호 관리장치(100)는 회원의 가입자단말기(200), 운용자단말기(130) 또는 이동전화망(300)을 통해 해당 회원에 대한 전화번호군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후, 회원은 자신에게 할당된 업무용 전화번호에 대하여 착신용 제2 전화번호 즉, 실제 착신 번호 정보를 입력한다. 즉, 회원은 가입자단말기(200)를 통해 자신의 실제 이동단말기 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번호관리장치(100)로 실제 착신번호등록요구를 수행한다(ST6). 전화번호관리장치(100)는 회원의 요구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일시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전화번호관리장치(100)는 네트워크접속부(110)를 통해 업무용 전화 번호와 실제 착신 번호 정보를 이동전화망(300) 내 가입자관리장치(310)로 전송하여 가입자등록요구를 수행한다(ST7).
이동전화망(300) 내 가입자관리장치(310)는 홈위치등록기(320)으로 업무용 전화 번호와 실제 착신번호 정보가 포함된 가입자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며, 홈위치등록기(320)는 이를 등록한 다음, 그 결과를 전화번호관리장치(100)로 전달한다(ST8). 전화번호관리장치(100)의 네트워크접속부(110)를 통해 입력된 가입자 등록 결과정보는 서비스제어부(140)로 인가되고, 서비스제어부(140)는 그 결과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함과 동시에 회원의 가입자단말기(200)로 결과를 통보한다(ST9,ST10). 이로써 업무용 전화번호와 그에 대한 실제 착신 번호가 이동통신 망에 등록된다.
도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업무용 전화번호에 대해 실제 착신번호가 등록된 상 태에서 임의의 가입자가 업무용 전화 번호를 눌러 호를 시도한 경우에 대한 호 처리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먼저, 발신자가 발신단말(A)을 통해 업무용 전화 번호를 눌러 통화요구를 수행하면, 발신단말(A)은 발신 가입자 정보와 착신 번호가 포함된 호 요구 메시지(SETUP)를 교환기A(330A)로 전송한다(ST101).
교환기A(330A)는 착신 번호를 분석하여, 착신 번호가 이동통신 가입자 번호이면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LOCREQ 메시지를 HLR(320)로 전송한다(ST102).
HLR(320)이 LOC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번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조회한다. 착신 번호 정보로부터 실제 착신 번호를 독출한 HLR(320)은 이를 locreq 메시지에 포함시켜 교환기A(330A)로 전송한다(ST103).
교환기A(330A)는 실제 착신 번호를 분석하여, 실제 착신 번호가 이동통신 가입자 번호이면 착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LOCREQ 메시지를 HLR(320)로 전송한다(ST104).
HLR(320)은 LOC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번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조회한다. 착신 번호 정보로부터 실제 착신 가입자가 속해 있는 교환기 정보를 독출한 HLR(320)은 실제 착신 가입자가 속해 있는 교환기B(330B)로 중계 정보를 요구하는 ROUT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T105).
교환기B(330B)는 중계 정보를 포함한 routreq메시지를 HLR(320)로 전송한다(ST106).
routreq메시지를 수신한 HLR(320)은 교환기A(330A)로 중계 정보가 포함된 locreq메시지를 전송한다(ST107).
중계 정보가 포함된 locreq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A(330A)는 중계 정보를 분석하여 교환기(330B)로 IAM 메시지를 전송한다(ST108).
IAM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B(330B)는 착신단말(B)로 호 착신을 요구하는 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ST109).
착신단말(B)이 SETUP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에 벨을 울려 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교환기B(330B)로 ALERTING 메시지를 전송한다(ST110).
ALERTING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B(330B)는 교환기A(330A)로 ACM 메시지를 전송한다(ST111).
ACM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A(330A)는 발신단말(A)로 ALERTING 메시지를 전송한다(ST112).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면 착신단말(B)은 교환기B(330B)로 CONNECT 메시지를 전송한다(ST113).
교환기B(330B)는 교환기A(330A)로 ANM 메시지를 전송한다(ST114). 이후, 교환기A(330A)가 ANM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신단말(B)로 CONNEC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는 통화 상태로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단체, 회사 또는 기관이 필요로 하는 수만큼의 전화 번호를 미리 확보한 후 필요에 따라 각 번호에 대한 실제 착신 번호를 부여하거나 변경하는 등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특정 직책의 담당자가 바뀌어도 실제 착신 번호를 새로 부임한 담당자의 이동 전화 번호로 변경 등록하여 사람이 바뀌는 것에 상관없이 해당 직책에 대한 이동 전화 번호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터넷을 통해 실제 착신 번호를 등록/변경하도록 구성하였으나, ARS 또는 예컨대 114와 같은 특정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실제 착신 번호를 등록/변경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HLR에서 다이얼링번호를 교환기B로 제공하여 착신단말에 발신자가 다이얼링한 번호를 표시해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은 하나의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화 번호로 착신되는 전화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전화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 사업자는 업무용 전화 번호를 판매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사업을 통한 매출이 얻어진다. 또한 회사나 단체는 예컨대 홍보부장이 다른 사람으로 바뀌어도 홍보부장에 대한 이동전화 번호는 바뀌지 않고 종전대로 유지되므로 업무 효율이 향상되고 고객의 인지도가 향상되어 사업에 도움이 된다.

Claims (16)

  1. 발신단말과 착신단말간의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망과 소정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관리장치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고정된 전화번호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회원의 요청에 따라 회원에게 하나 이상의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가상 전화번호군을 할당하는 제1 단계와,
    전화번호관리장치에서 회원의 요구에 따라 회원이 할당받은 가상 전화번호군의 각 제1 전화번호에 대해 실제 사용되는 제2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제2 단계와,
    전화망에서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와 연동하여 발신단말로부터 인가되는 가상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을 제2 전화번호의 착신단말로 중계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화번호와 착신용 제2 전화번호는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화번호는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이고 착신용 제2 전화번호는 유선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회원이 전화번호관리장치로 하나 이상의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가상 전화번호군에 대한 할당요구를 수행하는 제11 단계와, 전화번호관리장치에서 전화망으로 전화번호군할당요청을 수행하는 제12 단계, 전화번호관리장치에서 전화망으로부터 할당된 가상 전화번호군정보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1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전화번호관리장치에서 회원에게 할당된 가상 전화번호군을 등록하는 제21단계와, 회원의 요구에 따라 전화번호관리장치에서 가상 전화번호군의 각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실제 사용되는 제2 착신번호를 등록하는 제22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전화망은 착신단말로의 호요구시 제1 전화번호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신단말은 전화망으로 제공되는 제1 전화번호정보를 표시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하나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해 다수의 착신용 제2 전화번호 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하나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해 시간/날짜/요일 중 어느 하나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착신용 제2 전화번호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9. 전화번호관리장치가 소정 통신망을 통해 전화망 및 가입자단말기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화망은 회원에게 하나 이상의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가상 전화번호군을 할당함과 더불어,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가상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해 실제 사용되는 제2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발신단말로부터 가상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요구에 대해서는 제2 전화번호의 착신단말로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는 가입자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근거로 회원에게 할당된 하나 이상인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가상 전화번호군에 대해 가상의 각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실제 사용되는 제2 전화번호 등록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등록된 가상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용 제2 전화번호정보를 상기 전화망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화번호와 착신용 제2 전화번호는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화번호는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이고 착신용 제2 전화번호는 유선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는 가입자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전화망으로 가상 전화번호군 할당요청을 수행하고, 이에 대해 전화망으로부터 할당된 가상 전화번호군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가입자단말기로 제공하여 가입자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근거로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실제 사용되는 제2 전화번호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관리장치는 가입자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화번호로 구성되는 가상 전화번호군정보를 등록함과 더불어, 가입자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각 제1 전화번호에 대한 실제 사용되는 제2 전화번호를 등록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망은 착신용 제2전화번호로의 착신요구시 제1 전화번호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착신용 제2 전화번호의 착신단말은 전화망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화번호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망은 하나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해 다수의 착신용 제2 전화번호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망은 하나의 제1 전화번호에 대해 시간/날짜/요일 중 어느 하나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착신용 제2 전화번호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전화번호 서비스시스템.
KR20060092572A 2006-09-22 2006-09-22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27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2572A KR20080027428A (ko) 2006-09-22 2006-09-22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2572A KR20080027428A (ko) 2006-09-22 2006-09-22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711A Division KR20130114024A (ko) 2013-08-23 2013-08-23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28A true KR20080027428A (ko) 2008-03-27

Family

ID=3941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92572A KR20080027428A (ko) 2006-09-22 2006-09-22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74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7126A (zh) * 2018-10-25 2019-07-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身份标识的更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7126A (zh) * 2018-10-25 2019-07-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身份标识的更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977126B (zh) * 2018-10-25 2023-08-15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身份标识的更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69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ustomer contacts
JP4485850B2 (ja) 共用通信構想構成の実時間管理
CN100471309C (zh) 移动一机多号业务系统及其应用
US20060177029A1 (en) Virtual multi-line telephone service
JP2002529968A (ja) データ記録と電話の呼を処理するシステム
WO2006056983A2 (en) Method and device for routing communications in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KR20140051596A (ko) 사내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호 착신 시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396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call routing and queuing
US6744879B1 (en) Profit-based method of assigning calls in a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CN109660677B (zh) 通话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US7965831B2 (en) Telephone control device, telephone control method, telephone control program, telephone terminal, telephone calling method, telephone calling program and telephone control system
CN102340604A (zh) 用于通信转发的方法和系统
KR100612440B1 (ko) Cti시스템에서의 컨택 센터간 호 및 데이터 연계 방법및 그 시스템
JP4983325B2 (ja) 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技術を活用したニックネーム電話サービスの提供方法
KR20080027428A (ko)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JP3801447B2 (ja) コールセンタ運営統計収集システム
WO2007068210A1 (en) A calling processing method, and an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101323744B1 (ko) 업무용 발신 전화 번호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114024A (ko) 고정 전화번호 서비스방법
KR101156923B1 (ko) 가상번호를 활용한 휴대전화 여론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7761A (ko) 다중 전화 번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JP5505297B2 (ja) コールバックシステム、発信端末、電話中継サーバ、コールバック方法、及びコールバックプログラム
JP7140429B1 (ja) サーバ装置、電話接続方法及び電話接続プログラム
KR20180024642A (ko) 업무용 전화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7115797B1 (ja) 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6

Effective date: 201405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701

Effective date: 201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