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966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966A
KR20080025966A KR1020060090806A KR20060090806A KR20080025966A KR 20080025966 A KR20080025966 A KR 20080025966A KR 1020060090806 A KR1020060090806 A KR 1020060090806A KR 20060090806 A KR20060090806 A KR 20060090806A KR 20080025966 A KR20080025966 A KR 20080025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panel
cover unit
unit
slid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명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5966A/ko
Publication of KR2008002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대가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고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스캔커버유닛, 및 스캔커버유닛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캔커버유닛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작 패널을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운송시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상 형성 장치, 조작 패널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커버유닛을 오픈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 형성 장치 110 : 본체
120 : 스캔커버유닛 200 : 조작 패널
210 : 디스플레이창 220 : 조작 버튼
230 : 슬라이딩부 231 : 슬라이딩부재
232 : 걸림턱 240 : 가이드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복합기 등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프린팅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하나의 기기에 프린팅, 스캐닝 및 복사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디지털 복합기가 상용화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복합기를 화상형성장치라 한다.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기기의 상부에는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스캐닝 유닛이 위치하며, 스캐닝 유닛의 상부에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ADF, automatic document feeder)가 위치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한다. 조작 패널에는 일반적으로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입력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과 각종 버튼들이 배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조작 패널은 스캐닝 유닛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럴 경우 조작 패널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조작 패널이 복합기 외부로 돌출하게 되어 그 만큼 기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확대되게 된다.
즉, 조작 패널이 스캐닝 유닛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 패널을 위한 공간으로 인해 기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된다.
아울러, 제품 포장시에는 조작 패널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포장 박스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불필요한 공간을 발생시킨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충격이나 박스의 낙하로 인해 조작 패널과 본체 연결부 사이에 파손이 발생될 위험이 크다.
또한,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시 별도의 완충물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는데, 이는 포장 비용의 증가 및 완충물로 인한 자원의 낭비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작 패널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대가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고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스캔커버유닛, 및 스캔커버유닛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캔커버유닛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한다.
스캔커버유닛에 조작 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조작 패널의 일면에 슬라이딩부와 대응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조작 패널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조작 패널의 일면에 조작 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스캔커버유닛에 슬라이딩부와 대응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조작 패널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스캔커버유닛은 독취할 원고가 놓여지는 급지부와, 급지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원고가 배출되는 배지부를 포함한다.
조작패널의 상면은 급지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캔 커버유닛을 오픈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본체(110), 스캔커버유닛(120), 조작패널(200)을 포함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부(미도시)와 프린팅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원고대(111,도2)는 투명창 형태로 스캐닝부의 상부에 마련된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독취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독취할 원고를 원고대(111)의 상면에 올려 놓는다. 스캐닝부에는 CIS(Contact Image Sens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이미지센서가 설치되며, 이 센서를 통해 원고를 독취한다.
또한, 본체(110)의 일면에는 프린팅부(미도시)로 인쇄매체를 한 장씩 공급하는 ASF(Auto Sheet Feeder)유닛(112)이 결합한다. 즉, ASF유닛(112)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프린팅부로 인쇄매체가 공급되고, 프린팅부는 스캐닝부에 의하여 독취된 원고를 인쇄한다. 프린팅 작업이 수행된 후, 인쇄매체는 ASF유닛(112)을 통해 본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경로는 인쇄매체가 본체(110) 내부로 급지되는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서 진행방향만이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는 본체(110)에 형성되는 별도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본체(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스캔커버유닛(120)은 본체(1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독취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캔커버유닛(120)을 회동시켜 원고대(111)를 노출시키고, 독취할 원고를 원고대(111)에 올려 놓는다. 원고대(111)에 원고가 놓여지면, 사용자는 스캔커버유닛(120)을 덮고 독취작업을 수행한다.
스캔커버유닛(120)의 일측에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가 마련된다. 자동 독취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는 독취될 원고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에 의하여 독취될 원고는 본체(110)에 마련되는 이미지센서를 통과하게 되고, 원고의 독취작업이 수행된다.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캔커버유닛(120)은 급지부(122)와, 배지부(123)를 포함한다.
급지부(122)는 독취될 원고가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에 의하여 스캔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스캔커버유닛(120)의 상면에 배치된다. 급지부(122)에는 원고의 이송을 돕기 위하여 제1가이드 리브(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캔할 원고의 정렬을 돕는 정렬부재(125)가 마련될 수 있다.
배지부(123)는 급지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독취된 원고는 배지부(123)를 통하여 배출된다.
조작 패널(200)은 급지부(1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스캔커버유닛(120)에 설치된다. 조작 패널(200) 상면에는 디스플레이창(210)과 다수의 조작버튼(220)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조작 패널(200)을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작동을 조작한다. 조작 패널(200)은 본체(110) 내에 설치된 제어부(미도 시)와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조작 패널(200) 상면에는 원고의 이송을 돕기 위하여 제2가이드리브(250)가 배치된다. 제2가이드리브(250)는 급지부(122)에 형성된 제1가이드리브(124)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1가이드리브(124)의 상면과 제2가이드리브(250)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이에 의하여 조작 패널(200)이 원고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하더라도 원고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200)이 스캔커버유닛(12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2가이드리브(250)의 일부가 원고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원고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작 패널(200)의 저면에는 조작 패널(200)이 스캔커버유닛(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23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23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30)는 슬라이딩 부재(231)와 걸림턱(232)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231)는 조작 패널(200)의 저면에 마련되고, 슬라이딩 부재(231)를 통해 조작 패널(200)은 슬라이딩 이동된다.
걸림턱(232)은 슬라이딩 부재(231)의 끝단에 형성되어, 조작 패널(200)이 스캔커버유닛(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캔커버유닛(120)의 일측에는 안착부(126)가 마련된다. 조작 패널(200)은 안착부(126)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안착부(126)에는 슬라이딩부(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부(24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40)는 슬라이딩부(230)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일 수 있다.
또한, 안착부(126)는 가이드부(240)에 연통되어 걸림턱(232)이 삽입되는 결합홈(242)이 형성된다. 결합홈(242)을 통해 슬라이딩부(230)는 가이드부(240)에 설치된다. 조작 패널(200)이 안착부(126)에 설치되면, 조작패널(200)이 다시 결합홈(242)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홈(242)에는 이탈방지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슬라이딩부(230)가 결합홈(242)을 통해 가이드부(240)에 설치되는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딩부(23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방식에 의하여 가이드부(240)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 패널(200)은 슬라이딩부재(231)가 가이드부(240), 즉 슬라이딩홈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23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232)을 통해 가이드부(240)로부터 슬라이딩부(2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면에는 걸림턱(232)을 원형의 형상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걸림턱(232)은 직선바 형상, 사각형 형상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조작 패널(200)을 안착부(126)에 안착시켜 조작패널(200)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자동 독취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조작 패널(200)을 안착 부(126)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켜 자동 독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슬라이딩부(230)가 조작 패널(200)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딩부(230)가 스캔커버유닛(120)에 형성되고, 슬라이딩부(230)와 대응되는 가이드부(240)가 조작패널(20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작 패널(200)의 상면은 원고(D)가 놓여지는 급지부(122)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도록 스캔커버유닛(120)에 설치된다.
자동 독취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조작 패널(200)의 상면이 급지부(122)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므로,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고(D)는 원할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200)의 상면은 급지부(122)의 상면보다 함몰되어 스캔커버유닛(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를 이용하여 스캔작업을 수행하려는 사용자는 스캔커버유닛(120)에 마련된 급지부(122)에 독취될 원고(D)를 올려 놓는다. 이때, 사용자는 정렬부재(125)를 이용하여 원고를 정렬할 수 있다.
원고가 정렬되면, 조작 패널(20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창(210)과 조작버튼(220) 위에 독취될 원고(D)가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조작 패널(200)의 일부분이 정렬된 원고에 의하여 가려지게 된다. 자동 독취작업을 수행하려는 사용자는 필 요한 경우 조작 패널(20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안착부(126)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돌출되어 위치한 조작 패널(200)에 마련된 조작 버튼(220)을 눌러 스캔작업을 수행시킨다. 조작 버튼(220)의 조작에 의하여 급지부(122)에 놓여진 원고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에 의하여 이송되고, 스캔유닛(미도시)에 의하여 독취된 후 배지부(123)를 통하여 배출된다. 조작 패널(200)의 상면이 급지부(122)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스캔커버유닛(120)에 조작 패널(200)이 설치되므로, 원고가 자동 원고 이송 장치(121)에 의하여 이송될 때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즉, 급지부(122)의 상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리브(124)와 조작 패널(200)에 형성된 제2가이드리브(250)를 통해 원고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200)이 안착부(126)로부터 돌출되게 위치하더라도 조작 패널(200)에 형성된 제2가이드리브(250)의 일부가 원고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어서 원고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작 패널(200)을 통해서 조작 패널(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안착부(126)에 안착시켜 화상 형성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 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작 패널을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운송시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원고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고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스캔커버유닛; 및
    상기 스캔커버유닛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캔커버유닛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커버유닛에 상기 조작 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패널에 상기 슬라이딩부와 대응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 패널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에 상기 조작 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캔커버유닛에 상기 슬라이딩부와 대응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 패널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커버유닛은
    독취할 원고가 놓여지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원고가 배출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의 상면은 상기 급지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의 상면에는 제1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2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의 상면과 상기 제2가이드리브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90806A 2006-09-19 2006-09-19 화상 형성 장치 KR20080025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806A KR20080025966A (ko) 2006-09-19 2006-09-19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806A KR20080025966A (ko) 2006-09-19 2006-09-19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966A true KR20080025966A (ko) 2008-03-24

Family

ID=3941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806A KR20080025966A (ko) 2006-09-19 2006-09-19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59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1030A (ja) * 2016-09-09 2018-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1030A (ja) * 2016-09-09 2018-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821B2 (en) Image scanning device comprising a flatbed scanner unit and a casing with a stopper accommodating portion
US7426113B2 (en) Electronic device
US20070024924A1 (en) Image scanning device and multi-function device
US8964268B2 (en) Sheet-feeding device that smoothly feeds sheets in multiple direction
US9420132B2 (en) Scanner option assembly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5472219B2 (ja) 画像読取装置
US8684351B2 (en) Document holding device for an image processing system
JP2010023942A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後処理機能付き画像形成装置
US2018028143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0576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KR20080025966A (ko) 화상 형성 장치
KR20160079704A (ko)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US7259896B2 (en) Office automation apparatus with calibration and positioning device for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03201046A (ja) 画像形成装置
JP3938027B2 (ja) 画像記録読み取り装置及びプリスキャン方法
JP200703662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多機能装置
JP200818238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の給排紙機構
JP4581707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2094711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情報読取システム
JP2007336373A (ja) 電子機器
JP2006273535A (ja) 画像読取装置
JP3825895B2 (ja) シート分離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20070074113A1 (en) Multi function device
JP4715674B2 (ja) 画像読取装置
JP3780598B2 (ja) 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