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350A -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350A
KR20080025350A KR1020070093885A KR20070093885A KR20080025350A KR 20080025350 A KR20080025350 A KR 20080025350A KR 1020070093885 A KR1020070093885 A KR 1020070093885A KR 20070093885 A KR20070093885 A KR 20070093885A KR 20080025350 A KR20080025350 A KR 2008002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identification code
personal identification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봉
Original Assignee
배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봉 filed Critical 배기봉
Publication of KR2008002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개인 정보 요청자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하는 단계, 개인 정보 제공자에 의해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명함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명함 수취인이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 인증에 대해 신뢰성과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인 명함을 사용하지 않고, 개인 식별 부호를 온라인/오프라인상 핸드폰 메시지 및 이메일과 같은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개인 정보 제공자와 개인 정보 요청자는 상호 개인의 정보를 용이하게 교환 및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개인 식별 부호, 명함, 개인정보, 신분인증, 우편물 관리, 광고, 회원유치, 로또, 인맥관리

Description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INDIVIDU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AND OFFER METHOD AND SYSTEM THEREOF USING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은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명함에 기재되는 개인 식별 부호를 통하여 개인 정보를 인증 및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흔히 개인정보라 함은 주소정보, 주민등록번호, 핸드폰 번호, 소속 회사명, 계좌번호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개인 정보를 교환하는 대표적 방법이 명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정보의 대표적인 교환거래방법인 명함을 예로 들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명함의 구성을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함(business card)은 회사를 나타내는 회사 로고 및 회사명, 이름, 직위, 각종 연락처를 나타낸다.
그리고, 명함 사용자는 도 1과 같은 명함을 통하여 자신의 고객에게 자신의 소속회사이름, 소속팀, 직급,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개인 정보를 한번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명함을 사용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불편함을 겪는다.
첫째, 현장에서 받은 명함을 디지털화하거나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기 전에 분실하는 경우 분실한 명함의 개인 정보를 기억해 내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둘째, 디지털화되지 않은 명함철에서 명함정보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할 수 있다.
셋째, 받은 명함 정보를 디지털 파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수작업량이 많아져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명함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명함 스캐너 기반 명함관리 솔루션 및 디지털 스캐닝을 통해 명함 정보의 판독이 용이하도록 하는 명함 설계 및 판독기에 관한 기술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제품들은 또한 과거에 받은 명함상의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개인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명함은 한정된 명함 제공자의 정보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명함 제공자가 명함을 위조하여 제공한 경우, 명함 수취인은 명함 제공자를 인증할 수 없으므로, 명함만으로는 명함 제공자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명함을 휴대하지 않아도 개 인 정보를 인증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은, 개인 정보 요청자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하는 단계, 개인 정보 제공자에 의해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 정보 당사자에게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개인 정보 당사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복수개인 경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공개 정보 목록을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하여,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와 개인 정보 당사자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개인 식별 부호를 명함 또는 저장 매체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개인 식별 부호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설정되는 정적 부분과 랜덤하게 설정되는 동적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적 부분은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가 속한 소속별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개인 식별 부호는 보안 등급을 표시하여, 상기 보안 등급에 해당하는 개인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의 정적 부분을 먼저 비교한 뒤, 상기 정적 부분과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적 부분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식별 부호 또는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의 요청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의 거주지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위임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은,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개인 식별 부호 DB, 상기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정보 DB, 그리고 개인 정보 요청자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하며, 상기 개인 식별 부호 DB에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개인 식별 부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명함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명함 수취인이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 인증에 대해 신뢰성과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인 명함을 사용하지 않고, 개인 식별 부호를 온라인/오프라인상 핸드폰 메시지 및 이메일과 같은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개인 정보 제공자와 개인 정보 요청자는 상호 개인의 정보를 용이하게 교환 및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식별 부호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정보 데이터 베이스(이하, '개인 정보 DB'라 함)(110), 개인 식별 부호 데이터 베이스(이하, '개인 식별 부호 DB'라 함)(130) 및 인증 서버(150)를 포함한다.
개인 정보 DB(110)는 개인 정보 제공자가 인증 사이트를 통해 회원 가입 시 제공하는 개인 정보로서, 도 3과 같이 주민등록번호, 회원 아이디, 회원 패스워드, 고유 문자열, 이전 주소, 현주소, 전화번호, FAX, 이메일, 회사명, 고향, 출신학교, 개인광고내용, 제휴업체광고내용 등의 각종 개인 정보 요소를 저장한다.
그리고, 각각의 개인 정보 요소에 따라서 보안 등급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는 최고 보안 등급인 제1 보안 등급에 해당하며, 최초 회원 신분 확인 및 신원 조회 등의 최고 보안 서비스 상에서 사용된다.
개인 정보 제공자는 개인 식별 부호에 보안 등급을 설정함으로써, 개인 정보 요청자가 개인 식별 부호를 획득하더라도 설정된 보안 등급에 해당하는 개인 정보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유 문자열은 개인 정보 제공자가 회원 가입 시 기억하기 쉬운 일정 자리수 이하(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자리 이하로 표시함)의 숫자 또는 문자열로서, 흔히 핸드폰 뒷자리 5자리 또는 주민번호 뒷자리 [성별 1자리 + 출생지역 4자리]인 5자리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원의 신분조회를 위하여 기업체가 명함 발급하는 경우에는 회사의 뒷자리 전화번호 4자리라든가, 회사 본사의 국번 4자리가 고유 문자열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고유 문자열 4~5자리는 복수의 개인 정보 제공자가 제공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이전 주소와 현주소는 뒤에서 설명할 우편물 주소 조회를 위하여 사용된다.
그밖에, 전화번호, FAX, 이메일은 긴급 시 연락처 및 주요 공지사항 전달 시 사용되며 외부에 공개는 제한되며, 고향, 출신학교는 학연, 지연을 통한 인맥관리에 사용된다.
개인 광고 내용은 개인정보 교환 시 상호 자신의 개인정보 광고를 극대화 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신의 블로그 사이트 또는 자신의 제작 홈페이지, 자신이 만든 콘텐츠 소개가 대표적 광고 요소가 될 것이다.
제휴업체광고내용은 개인 정보 제공자와 무관하지만 자신이 광고하고픈 내용을 기록하는 부분으로, 개인정보 전달 시 함께 전달함으로써 개인정보 교환의 재미를 더 할 수 있는 요소이다.
개인 식별 부호 DB(130)는 관리 사이트를 통해 개인 정보 제공자가 전송하여 등록된 숫자 또는 문자열을 의미하며, 개인 정보 제공자는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암기하기 쉬운 숫자 또는 문자열을 생성 전달토록 한다. 개인 식별 부호는 숫자나 문자 이외에도 바코드 형식으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 정보 제공자는 각 명함 별로 개인 식별 부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개인 식별 부호를 수취한 개인 정보 요청자 각각에 대해 보안 등급을 다르게 부여하도록 하여, 개인 정보 요청자에 대한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의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개인 식별 부호 DB(130)를 통해 개인 정보 제공자는 자신이 등록한 개인 정보 및 명함 수취인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또한 개인 정보의 유효 기간 및 정보 공개 범위 등에 대한 보안 등급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서버(150)는 관리 사이트와 연계되어 있으며, 개인 정보 제공자와 명함 수취인이 각각 입력한 개인 식별 부호를 비교하여 개인 정보를 인증한다.
따라서, 명함 수취인으로부터 개인 정보 제공 요청이 있으면, 인증 서버(150)는 개인 정보 DB(110)를 통하여 요청 받은 개인 정보를 조회하고 보안 등급을 확인한다.
그리고, 명함 수취인으로 입력된 개인 식별 부호가 개인 식별 부호 DB에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개인 정보 제공 요청 사실을 통보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개인 정보 제공자가 명함에 개인 식별 부호를 생성하고 개인 식별 부호 DB(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개인 식별 부호가 기록된 명함을 명함 수취인, 즉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하면, 개인 정보 요청자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개인 식별 부호를 입력하고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개인 정보 제공자는 현장에서 명함 부재 시에도 개인 식별 부호만 우선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하고, 관리 사이트를 통해 개인 식별 부호 발급 사실을 등록한다. 그리고, 개인 정보 요청자도 관리 사이트를 통해 개인 정보를 요청하도록 한다.
인증 서버(150)는 개인 정보 DB(110)를 통하여 요청 받은 개인 정보를 조회하고 개인 정보 제공 보안 등급을 확인한다. 그리고,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개인 정보 요청 사실을 통보하고,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개인 정보 제공 허락 여부를 수신한다. 그리고, 개인 정보 제공 또는 제공 불가 사실을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통지한다.
여기서, 인증 서버(150)는 개인 식별 부호 발급 이력이 존재하는가와 개인 정보가 명함 수취인에게 제대로 전달되었는가를 확인하고, 개인 정보 제공자는 자신의 정보를 어느 범위까지 제공할 것인가, 개인 정보 제공자는 개인정보조회신청 사실을 통보 받은 후,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할 것인가 또는 통보 받을 필요없이 개인 정보를 제공할 것인가 등을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인 정보 제공자와 개인 정보 요청자가 개인 식별 부호를 비롯한 각종 정보의 요청 및 저장 등을 직접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실질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예를 들면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수신 또는 전송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인증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개인 식별 부호를 각 개인별로 발급하고 관리하므로, 개인 정보 제공자는 관리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필요로 한다(S101). 개인 식별 부호는 일종의 신분증 역할을 한다. 회원 가입 시 각 개인은 자신의 중요 정보보호를 위해서 핸 드폰 번호, 회사명, 주소, 기타 각 정보에 대해 보안 등급을 설정한다(S102). 예로서 핸드폰번호를 제1 보안 등급으로 설정 시, 개인 정보 요청자가 정당한 제3 보안 등급 정보를 수취하더라도 핸드폰 번호를 획득할 수 없다.
회원 가입 시 개인 정보 제공자는 자신의 개인 식별 부호 중 불변의 고유 문자열을 정하게 된다(S103). 이는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자신의 개인 식별 부호의 암기 길이를 줄이는 특징을 지니며 또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게는 개인 식별 부호 및 개인 정보 조회를 보다 신속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원 가입 후 각 개인은 필요할 때마다 고유 문자열에 임의의 문자열을 부가하여 개인 식별 부호를 스스로 설정하거나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고유 문자열에 임의의 문자열이 부가된 개인 식별 부호를 발급해주도록 신청함으로써 숫자 또는 문자열로 된 개인 식별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4). 본 단계(S104)에서 생성된 개인 식별 부호는 개인 식별 부호 DB(130)에 저장된다.
한편 개인 정보 제공자가 관리 사이트를 통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스스로 개인 식별 부호를 생성한 경우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인 정보 제공자가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생성한 개인 식별 부호를 등록하여 개인 식별 부호 DB(130)에 저장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개인 식별 부호를 선 배포 후, 차후에 관리 사이트의 개인 식별 부호 DB(130)에 등록하면 해당 개인 식별 부호 또한 유효한 기능을 지니는 특징을 지닌다.
이후 단계는 사용자가 생성된 개인 식별 부호를 암기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와 불필요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S105).
단계(S104)에서 생성된 개인 식별 부호가 기재된 명함(아래 도 7a에서 예시한 명함)을 제작하여 사용할 경우(S106)에는 회원이 해당 개인 식별 부호를 암기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개인 정보 제공자는 개인 식별 부호가 기록된 명함을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배포 전달한다(S107).
한편 회원이 임의로 개인 식별 부호를 발급할 경우에는 해당 개인 식별 부호를 기억하여야 하므로 핸드폰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에 해당 개인 식별 부호를 저장해 놓고(S109),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를 상대방에게 전달하여(S110) 명함 배포 효과를 누리면 편리하다.
그러면 명함 수취인, 즉 개인 정보 요청자는 관리 사이트에 접속해서 받은 개인 식별 부호를 입력하여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S108, S111). 그러면, 인증 서버(150)는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개인 식별 부호 발급 이력이 있는지 확인하고(S112), 개인 식별 부호 DB(130)를 조회하여 해당되는 개인 식별 부호를 관리 사이트에 전달한다.
여기서, 해당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여러 개인 경우, 개인 정보 요청자는 도 11과 같이 개인 정보 제공자의 모든 사람에 대한 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 정보 획득을 희망하는 개인 식별 부호를 택일한다(S113).
그러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정보 제공자의 동의 하에 보안 등급에 맞게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한다(S114).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개인 정보 요청자는 개인 식별 부호에 해당하는 타인의 개인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그 타인에게 자신의 개인 정보도 전달할 수 있으며, 상호 개인 정보 교환이라는 본 발명의 취지상 일반적이다.
그리고 S112 단계에서 개인 정보 요청자가 발급 이력이 없는 개인 식별 부호를 입력한 경우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은 비정상 종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식별 부호가 기록된 명함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명함 신청자인 개인 정보 제공자는 관리 사이트에 회원 가입하고(S201), 개인 정보 및 보안 등급을 설정한다(S202).
그리고,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4자리 이상의 고유 문자열을 포함하는 개인 식별 부호를 기록한 명함의 개수를 선택하여 신청한다(S203, S204).
그리고, 개인 정보 제공자가 개인 식별 부호가 랜덤하게 결정되는 랜덤형 명함을 선택하는 경우(S205),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개인 식별 부호 발급을 요청한다(S209).
그러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고유 문자열을 이용한 도 7a의 201 부분과 같은 개인 식별 부호 또는 도 7c의 202 부분과 같은 개인 식별 부호를 생성하고, 개인 식별 부호 DB(150)에 생성된 개인 식별 부호를 저장한다(S210).
그리고,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발급된 개인 식별 부호를 전달하고(S211), 개인 정보 제공자는 발급된 개인 식별 부호와 명함 제작과 관련된 모든 개인 정보를 명함 제작업체에 전달하면(S212), 명함 제작업체는 도 7a 또는 도 7c과 같은 형태의 랜덤형 명함을 제작하여(S208),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전달한다(S213).
한편, 개인 정보 제공자가 개인 식별 부호를 직접 결정하는 수동형 명함을 선택하는 경우(S205), 직접 명함 제작업체에게 개인 식별 부호와 명함 제작과 관련된 모든 개인 정보를 명함 제작업체에 전달하면(S206), 명함 제작업체는 도 7b과 같은 형태의 수동형 명함을 제작하여(S207),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전달한다(S213). 그리고 나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개인 정보 제공자는 관리 사이트를 통하여 개인 식별 부호 DB(150)에 자신이 기 배포하거나 배포할 개인 식별 부호를 수동 입력 및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각각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명함의 형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개인 식별 부호가 랜덤하게 결정되는 랜덤형 명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개인 식별 부호를 개인 정보 제공자가 직접 결정하는 수동형 명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개인 식별 부호가 로또 번호 형식으로 표시되는 로또형 명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a 내지 도 7b에 나타낸 개인 식별 부호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c에 나타낸 개인 식별 부호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따른 랜덤형 명함은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서 개인 식별 부호를 랜덤하게 결정하는 것으로서, 개인 식별 부호의 총 길이는 가변적이지만,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의 발급 확률을 줄이고 수천만 회원에게 서비스 할 수 있으면서, 암기 및 각종 저장 장치에 입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랜덤 부분을 일정 길이 이하(도 8에서는 16자리 이하로 예시함)로 한정한다. 대신에 개인 식별 부호 의 최소 길이는 수천만 사용 회원수를 고려할 때 6 자리 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도 7a과 같은 랜덤형 명함은 명함 장별로 바코드 번호가 달라 명함제작업체가 제작하기에 비용면에서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 7b과 같이 개인 식별 부호를 일정하게 하는 수동형 명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명함에 있어서 개인 식별 부호(201) 중 [SSSSS]부분은 주로 각 개인별 공개되어도 무방하며 자신이 암기하기 쉬운 고유 문자열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어떤 개인은 자신의 핸드폰 번호가 011-234-5678 이라면 끝 5자리인 45678을 자신의 고유번호로 하면 된다. 어떤 사람은 자신의 주민번호 뒷자리(예를 들면, 1234567인 경우)의 지역번호 5자리인 34567을 고유숫자로 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인 정보 제공자는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개인 식별 부호를 암기하거나 핸드폰 저장 시 눌러야 하는 16자리를 11자리 이하로 줄일 수 있어 휴대하며 기록 관리하기 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이 고유 문자열을 두는 이유는 개인 식별 부호 16자리 모두 랜덤하게 발급 시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 발급자가 중복되는 확률을 낮추기 위함이다.
또한, 고유 문자열을 암기가 용이하므로, 고유 문자열 이외의 값만 각종 저장매체에 저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식별 부호의 저장과정에서 입력을 필요로 하는 문자수를 줄여 줄 수 있다.
특히, 고유 문자열을 사용함으로써 명함 비휴대 시에도 원할하게 개인 정보의 전달을 지원할 수 있다. 쉽게 설명하면, 현장에서 개인 식별 부호로 개인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개인임의로 개인 식별 부호를 발급하더라도 고유 문자열은 불변하여 발급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명함에는 관리 사이트를 기록하여 개인 정보 요청자가 접속하여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통하여 개인 식별 부호(201)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개인 식별 부호(201)는 16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제시한 개인 식별 부호의 길이는 한 예일뿐, 용도 및 편리성에 따라 길이는 가변적이며 용도별로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식별 부호의 앞 10자리는 각 개인이 임의로 발급하거나,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게 발급받는 랜덤 번호 10자리이다. 11번째 자리는 보안 등급 또는 개인 식별 부호의 용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11번째 자리가 1이면 제1 보안등급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제1 보안 등급에 해당하는 개인 정보 요청을 승인 받은 사람은 개인 정보 제공자의 대부분 정보를 조회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11번 째 자리가 7이면 현재 주소 조회 가능한 제7 보안 등급이라 할 수 있다.
도 7c는 추후에 설명할 회원유치사이트에 광고를 할 때 사용하는 명함으로, 개인 정보 제공자가 랜덤하게 개인 식별 부호를 결정하여 발급할 수 있다.
도 7c에 따른 로또형 명함은 로또번호(202)를 개인 식별 부호로 발급 가능토록 하여 로또 연계한 이벤트 경품 행사를 할 수 있어 회원 유치 시에 많은 활용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7c에 따른 명함에서 개인 식별 부호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로또가 1에서 45번호까지중 6개의 숫자를 가지고 당첨을 결정하듯이 본 로또형 명함을 이용하여 광고기법을 통해 로또 연계한 경품 추첨이 가능하다. 그 밖에 도 9에 대한 내용은 도 8에 대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식별 부호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이다.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방법 중에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개인 식별 부호는 랜덤하게 발급될 수 있으므로, 도 11과 같이 여러 명의 개인 정보 제공자가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를 발급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물론 고유 문자열을 사용함으로써 가능성을 줄일 수는 있으나, 중복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는 경우(S305), 개인 정보 요청자는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에 해당하는 개인의 공개 정보(도 11에 나타냄)를 바탕으로 개인 정보 획득을 희망하는 개인 식별 부호 및 공개 정보를 택일한다(S312, S313).
그리고, 인증 서버(150)은 개인 정보 요청자에 의해 선택된 개인 정보 제공 자에게 개인 정보 제공 허락을 요청한다(S314).
여기서, 도 11과 같이 나타낸 개인 식별 부호 DB를 이용하면,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더라도 용이하게 개인 정보 요청자가 원하는 사람에 대한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개인 정보 제공자의 공개 가능 정보란, 개인 정보 제공자가 개인 정보 저장 시에 모든 사람에게 공개가 가능한 정보로서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가 발생하였을 때 개인 정보 제공자를 구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개인 정보, 즉 이름, 성별, 나이 등을 공개하도록 하여 개인 정보 요청자가 원하는 사람의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밖에 도 10에서 명함 분실 시 또는 명함 남용 시를 대비하여, 개인 정보 제공 사실 인증 강화를 위해서 해당 요청자에게 명함을 제공한 사실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311), 명함 제공 사실이 존재하는 요청자에게만 개인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S317). 그리고 S309, S319, S320 단계는 명함정보를 교환 시 어느 한쪽 개인정보만 일방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상호 교환 유도하도록 설계된 부분이다.
한편 동일한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유일한 경우(S305), 개인 식별 부호에 설정되어 있는 보안등급을 확인한다(S306).
이후 설정된 보안 등급이 개인정보 자동제공 허락 등급인 경우(S307), 그 보안 등급에 해당되는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송한다(S308).
한편 설정된 보안 등급이 개인정보 자동제공 허락 등급이 아닌 경우(S307),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명함 제공 허락 여부를 요청한다(S310). 명함 제공자는 명 함 제공 사실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정보 제공을 허락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S317).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등 각종 유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한 개인 정보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했듯이 개인 식별 부호는 개인 스스로 발급 및 저장관리 가능하다. 여기서 여러 개의 개인 식별 부호를 임의로 발급하고 개인이 머리 속에 기억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핸드폰의 숫자 및 문자저장기능과 연산기능을 활용하면 용이하게 개인 식별 부호를 발급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 정보 제공자는 핸드폰의 사칙연산 등의 기능을 통해 자신만이 아는 개인 식별 부호를 랜덤성 및 보안성을 유지하여 발급하도록 권고하며(S401), 명함의 미 휴대시에도 개인 정보 요청자들에게 각각 다른 개인 식별 부호를 메모지, 이메일 또는 핸드폰 문자로 전달하고(S402), 업무복귀 후에 해당 개인 식별 부호를 관리 사이트에 등록한다(S403). 그러면, 개인 정보 요청자는 수신한 개인 식별 부호를 관리사이트에 로그인후 입력하여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4~S409).
그리고, 관리 사이트를 통해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허락 요청을 수행함으로써(S406), 개인 식별 부호의 남용과 복제를 통한 불법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단계 S412 ~ S414와 같이 개인 정보 요청자의 개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정보 요청자의 개인 정보 보호 및 상호 개인 정보 교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밖에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순서는 도 5 및 도 6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개인 정보 요청자가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요청자가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개인 정보 요청자는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우선 개인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이 관리하는 관리 사이트에 접속한다(S421).
접속 후 수취한 개인 식별 부호 중 고유 문자열에 해당하는 정적 부분(SSSSS)를 입력하여 조회를 신청한다(S422). 여기서 조회 시 개인 식별 부호 전체값을 입력하여 조회하여도 되지만, 우선 정적 부분 값만 입력하여 조회하게 함으로써, 검색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이 정적 부분값(SSSSS)에 대하여 조회를 수행하여(S423),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는지 개인 식별 부호 DB(130)를 통해 확인하고(S424), 만일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개인 정보 획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S426).
따라서, 해당 개인 식별 부호에 대한 개인 정보 제공자가 없거나, 개인 정보 제공자가 아직 등록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개인 정보 요청자는 개인 식별 부호를 DB 에 임시 저장하고(S427), 개인 정보 제공자가 해당 개인 식별 부호를 차후에 등록 시 자동 SMS 메시지를 받게 된다.
한편, 입력된 정적부분값(SSSSS)과 일치하는 부분을 가진 개인 식별 부호가 개인 식별 부호 DB(130)에 존재하면, 개인 정보 요청자는 동적부분값을 입력하여 조회한다(S428).
여기서 동적 부분값이란 개인 식별 부호 중에서 고유 문자열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개인 정보 제공자가 임의로 작성하거나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랜덤하게 설정된 부분을 의미한다.
개인 정보 요청자가 동적부분값을 입력하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이 동적부분값에 대하여 조회를 수행한다(S430).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면(S431),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결과 메시지를 전송한다(S432).
여기서,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없으면, 개인 정보 요청자는 마찬가지로 개인 식별 부호를 DB 에 임시 저장한다(S427).
그리고,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면,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유일한지 확인하고(S433),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여러 개인 경우, 개인 정보 요청자는 각 개인 식별 부호에 해당되는 도 11의 각 개인의 공개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 획득을 희망하는 개인 식별 코드 및 공개 정보를 택일한다(S434). 그리고,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선택한 개인 정보 제공 요청을 진행 한다(S435, S436).
그리고,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개인 정보 제공 신청을 완료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S437).
한편, 개인 정보 제공자는 개인 정보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고, 개인 정보 요청자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개인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한다.
그리고, 개인 정보 제공자는 제공 결정시 개인 정보를 개인 식별 부호의 보안 수준에 맞게 제공하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이 개인 정보 요청자는 비교적 긴 개인 식별 부호를 나누어 검색 및 인증 요청을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개인 식별 부호에 따른 개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개인 정보 제공자가 자신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개인 정보 제공자가 타인의 개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개인 정보 제공자와 개인 정보 당사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즉, 도 14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신분 인증 관리 를 위탁 받은 회사 및 각종 신원증명기관을 대신하여 각 기관 소속 개인 또는 직원들의 개인정보의 진위에 대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중요 위치에 존재하는 개인의 신분 및 개인식별바코드의 남용을 탐지/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은 회사 또는 기관으로부터 신분인증 업무를 위탁 받아, 해당 소속 멤버가 발급한 개인 식별 번호를 개인정보 당사자(일명, 회사 또는 기관 또는 해당 개인)과 공유함으로써, 중요 거래 시 소속 멤버의 신분을 인증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해외 바이어(Buyer)와 같이 중요 고객과 거래 계약시 당사자의 신분을 단순한 명함으로만 확인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이런 경우 기업체로부터 직원에 대한 개인 정보를 획득하여 확인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 될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특정 소속이라고 주장하는 개인으로부터 그 신분을 증명하는 개인 식별 부호를 받는다고 가정한다(S501).
그러면, 개인 정보 요청자는 받은 명함에 대해 개인 정보의 진위를 조회할 필요성이 발생하므로(S502), 개인 정보 당사자(받은 신분에 해당되는 기관의 개인 정보 관리 책임자 또는 그 신분 해당자 본인)의 개인 정보를 인증해주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개인 식별 부호를 전달하여 진위 확인을 요청한다(S503).
그러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식별 부호 DB(130)를 통해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가 정상인지 체크한다(S504, S505).
만일 개인 식별 부호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거짓된 것으로 판명하여 종료하고(S506), 정상적인 개인 식별 부호로 판명되는 경우, 개인 식별 부호의 전달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S508).
따라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정보 당사자에게 개인 정보 제공 사실 또는 진위 여부 확인 요청을 SMS 등을 통해 수행하고(S509), 개인 정보 당사자는 SMS 등의 방법을 통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으로 개인 정보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전송한다(S510, S511).
만일 개인 정보 제공 사실이 있으면(S512),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사실 확인을 통보하고(S513), 개인 정보 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거짓된 것으로 판명하여 종료한다(S506).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정보 제공자와 개인 정보 요청자는 상호 확인을 통하여 개인 정보 당사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개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예를 들어 개인 정보 제공자의 거주 주소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사인 또는 이사업체는 우편물을 발송하는 각종 카드회사, 금융회사 가입 시 금융회사에게 개인정보의 이력 조회권한에 해당되는 개인 식별 부호를 제공한다. 이때, 우편물 발송 업체는 개인 식별 부호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경우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권한을 위임할 수 있다.
즉, 개인 정보 제공자(이사인)가 현주소를 조회할 권한에 해당되는 개인 식별 부호를 관리 사이트를 통해 등록/위임하고 이사를 가는 경우, 과거 주소로 배달된 우편물에 대해서 입주인이 우편물 수신 사실을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신고를 하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신 주소 통지 여부에 대해 허락 요청을 한다.
이때 개인 정보 제공자(이사인)가 현 주소 조회 및 통보 권한을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허락하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신 주소를 우편물 발송자에게 통지한다. 그러면 우편물 발송자는 신 주소로 다시 우편물을 발송하고, 입주인에 대해서는 경품 제공등의 보상을 하도록 한다.
그러나, 개인 정보 제공자가 요청에 대해 일정기간 무응답인 경우,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발급받은 개인 식별 부호에 의거하여 신 주소를 우편물 발송자에게 전달하여 국가적 물류비는 줄임은 물론 개인정보보호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먼저 개인 정보 제공자는 우편물 발송 업체(금융회사 등)에게 회원 가입시 개인 식별 부호 정보 제공을 통해 현 거주지 조회권한을 부여하거나, 현 거주 주소 정보 제공 권한을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위임한다. 이런 경우 각 개인 정보 제공자는 언제 어디를 이사를 가더라도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 해당 사실을 등록만 하면, 우편물 발송자는 중요 우편물 발송 전에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 현 거주정보를 조회하여, 신 주소로 우편물을 발송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면, 개인이 금융거래, 개인 정보 등록 등을 수행할 때,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 일괄 통보함으로써, 각종 금융사고 및 개인정보 유출을 신속 탐지 및 손해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8은 개인 정보 중 거주주소라는 하나의 변경요소를 우편물에 적용하여 응용한 하나의 예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주요 특징은 개인 정보 제공자에 해당하는 이사인과 입주인 모두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 회원가입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입주인에 대해서는 우편물 수취 사실의 허위 신고를 확인하기 위해서 회원 가입을 하도록 한다.
개인 정보 제공자에 해당하는 이사인은 개인의 현 우편물 수신 주소만을 제공하는 보안수준의 개인 식별 부호를 자신이 가입한 우편물발송사이트에 제공한 상 태에서, 이사 발생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만 신 우편물 수신주소를 등록함으로써, 모든 사이트로부터 신주소로 우편물을 수신할 수 있다.
먼저 개인 정보 제공자는 자신의 개인정보 중 거주 주소를 조회할 권한을 가진 개인 식별 부호를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발급 등록 신청한다(S601, S602).
그리고 발급된 개인 식별 부호를 우편물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우편물발송사이트에 부여하고(S603), 우편물 제공업체는 우편물 발송 신청 발생하면(S604), 수취한 개인 식별 부호를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전달한다(S605).
여기서, S603단계에서 제공하는 개인 식별 부호 값은 해당 개인 식별 부호 유출 시 현 우편물 수신주소 노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 회원이 수시로 업데이트 및 변경 가능하고, 일회용 개인 식별 부호로도 사용할 수 있다.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식별 부호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고(S606), 만일 주소 변경이 발생하지 않았으면(S607), 등록된 주소로 우편물을 발송시킨다(S608).
그러나, 개인 정보 제공자가 이사를 갔음에도 불구하고 현 거주지를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 갱신하지 않은 경우, 입주인에게 우편물이 발송이 되면 입주인은 본인의 우편물이 아니므로(S609),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오달 신고를 하고(S610),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신 주소 등록 요청을 하게 된다(S611).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신 주소 등록 및 신 주소 제공 허락 정보를 개인 정 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이 수신하는 경우(S612, S613),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신 주소를 우편물발송사이트에 전달하여(S614), 우편물 발송 업체가 신 주소로 우편물을 발송하도록 시킨다(S615).
만일 개인 정보 제공자(이사인)로부터 신 주소 등록 및 신 주소 제공 허락 정보를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우편물발송사이트에 우편물 발송 중지를 요청하고(S616), 우편물 발송 업체는 우편물 발송 중지 및 중지 사실을 개인 정보 제공자 및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게 전달한다(S617, S618).
따라서, 우편물 발송 업체는 더 이상 우편물을 발송하지 않음으로써,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며, 도 20은 도 19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 및 도 20를 살펴보면 입주인에게 본인 소유 아닌 우편물이 도달한 경우(S701), 입주인은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회원가입 및 추적 가능한 개인 정보 제공을 통해 우편물 도착사실을 신고한다(S702).
여기서, 도착 사실 신고 시 주요 입력 정보는 발신자/업체 정보, 수신자명, 우편물 수신 주소, 우편물에 개인 식별 부호 존재시 개인 식별 부호 등 우편물 겉표지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이다.
이때 주의할 것은 우편물에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입주인은 자신의 회원가입 없이도 개인 식별 부호 및 발신자/업체 정보, 수신자명, 우편물 수신 주소만 제공함으로써도 신고가 가능하다.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입주인의 가짜 신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연락가능한 입주인 핸드폰 번호, 개인 식별 부호 등을 확인 통해 실명확인 및 가짜신고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우편물 발송 업체를 확인하고(S704), 우편물 발송 업체에 우편물 주인이 이주한 사실을 전달한다(S705).
우편물 발송 업체는 최초 가입된 회원 정보를 조회하여(S706), 이사인에게 핸드폰 또는 이메일 등으로 우편물 주소 변경을 요청한다(S707).
이때, 개인 정보 제공자의 희망 주소가 우편물상의 주소와 같은 경우(S708), 개인 정보 제공자의 정보를 가로채기 위해서 허위 신고인이 개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허위 신고를 고발하게 되며(S709, S710),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입주인에게 벌칙금등 패널티를 부여하게 된다(S711).
반면, 우편물상의 주소와 신 주소가 다른 경우, 거주지 주소가 신 주소로 바뀐 것으로 판단하여, 개인 정보 제공자는 수신 가능 우편물 주소를 우편물 발송사이트로 전달하고(S712), 신고 입주인에게는 보상을 하도록 한다(S713, S714).
마지막으로 우편물 발송업체는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우편물을 발송하고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의 회원 가입을 추천하여, 회원 가입 및 주소 변경 통합 관리 신청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 스템(100)을 홍보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우편물 발송 관리 시스템이 완성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고 클릭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의 웹 사이트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는 당첨을 미끼로 불필요한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개인들에게 반감이 많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당첨자의 개인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광고 당첨여부를 개인 식별 부호 기반으로 확인 가능하다.
도 21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웹 사이트 화면에서 개인 정보 제공자가 광고를 누를 경우, 웹 서버는 개인 정보 제공자의 접속 IP 주소를 확보하고 확보된 IP 주소에 대응하는 개인 식별 부호 발급요청을 개인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신청하여 개인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웹 서버는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한 후, 웹 페이지를 통해 IP 및 개인 식별 부호를 개인 정보 제공자에게 전달한다.
개인 정보 제공자는 받은 IP 및 개인 식별 부호 정보를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등록하게 된다.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개인 식별 부호가 수신한 IP에게 할당되었는지 인증하게 되고, 인증 후에 개인 식별 부호 정보의 전달을 통해 개인 식별 부호 당첨 추첨을 요청하여 당첨여부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당첨 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경품을 전달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광고업체는 특별하게 값비싼 유명 웹 사이트의 메인 화면에 크게 광고를 내지 않고도 광고 클릭 수 증가를 유도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고 클릭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22는 개인정보를 제공 판매하거나 영업을 통해 회원 유치를 활성화하는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일반 개인들은 명함 또는 개인 식별 부호를 발급할 때 비용이 든다. 그 비용을 회원 유치를 필요로 하는 회사에서 제공하고, 도 7c 형식의 명함을 발급함으로써, 명함 본연의 기능 수행은 물론 명함 전달자 및 명함 수취자 모두 개인 식별 부호를 통해 로또 형식 당첨을 확인할 수 있어 상호 반감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2와 같이 영업 사원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개인용 개인 식별 부호와 광고용 개인 식별 부호의 발급을 요청한다.
그러면,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은 회원유치사이트에 개인 식별 부호 발급 비용의 제공을 요청하고, 회원유치사이트로부터 비용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개인 정보 제공자에 해당하는 영업사원은 개인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값을 수신하여 도 7c와 같은 명함을 통해 회원유치사이트 URL 및 개인 식별 부호를 고객에게 전달한다.
개인 정보 요청자에 해당하는 고객은 회원 유치 웹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하고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100)에 소정의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업사원은 회원유치사이트를 운영하는 업체로부터 유치 수당을 받고, 고객은 개인 식 별 부호 등록을 통해 로또 형식의 경품 추첨을 받아 상호 이익이 된다.
즉, 도 22에서 회원유치사이트로부터 명함제작비용 또는 개인 식별 부호 발급 비용을 제공받고 회원유치사이트 광고를 해줄 때 도 7c와 같은 로또형 명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c에 따른 로또형 명함은 로또번호(202)를 개인 식별 부호로 발급 가능토록 하여 로또 연계한 이벤트 경품 행사를 할 수 있어 회원 유치 시에 많은 활용이 가능하다.
로또가 1에서 45번호까지중 6개의 숫자를 가지고 당첨을 결정하듯이 본 로또형 명함을 이용하여 광고기법을 통해 로또 연계한 경품 추첨이 가능하다. 도 9에서는 7개의 숫자를 14자리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표시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명함의 구성을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식별 부호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식별 부호가 기록된 명함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는 개인 식별 부호가 랜덤하게 결정되는 랜덤형 명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은 개인 식별 부호를 개인 정보 제공자가 직접 결정하는 수동형 명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개인 식별 부호가 로또 번호 형식으로 표시되는 로또형 명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b에 나타낸 개인 식별 부호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c에 나타낸 개인 식별 부호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식별 부호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등 각종 유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한 개인 정보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요청자가 개인 정보 제공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 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또다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우편물 발송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고 클릭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고 클릭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Claims (24)

  1. 개인 정보 요청자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하는 단계,
    개인 정보 제공자에 의해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 정보 당사자에게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개인 정보 당사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복수개인 경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공개 정보 목록을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하여,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선택을 요청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와 개인 정보 당사자가 동일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개인 식별 부호를 명함 또는 저장 매체를 통해 전달받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부호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설정되는 정적 부분과 랜덤하게 설정되는 동적 부분으로 구분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부분은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가 속한 소속별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부호는 보안 등급을 표시하여, 상기 보안 등급에 해당하는 개인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의 정적 부분을 먼저 비교한 뒤, 상기 정적 부분과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적 부분을 비교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부호 또는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의 요청에 의하여 변경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의 거주지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위임받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14.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개인 식별 부호 DB,
    상기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정보 DB, 그리고
    개인 정보 요청자로부터 개인 식별 부호를 수신하며, 상기 개인 식별 부호 DB에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 정보 당사자에게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요청하고, 상기 개인 정보 당사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수신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복수개인 경우,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개인 공개 정보 목록을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전달하여,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선택을 요청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와 개인 정보 당사자가 동일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부호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설정되는 정적 부분과 상기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에 의해 랜덤하게 설정되는 동적 부분으로 구분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부호는 보안 등급을 표시하여, 상기 보안 등급에 해당하는 개인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개인 식별 부호와 상기 수신된 개인 식별 부호의 정적 부분을 먼저 비교한 뒤, 상기 정적 부분과 일치하는 개인 식별 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적 부분을 비교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부호 또는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의 요청 에 의하여 변경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별 부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달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의 거주지 주소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전송 허락을 위임받는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시스템.
KR1020070093885A 2006-09-16 2007-09-14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800253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9884 2006-09-16
KR1020060089884 2006-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350A true KR20080025350A (ko) 2008-03-20

Family

ID=3941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85A KR20080025350A (ko) 2006-09-16 2007-09-14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535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312A3 (en) * 2010-08-16 2012-05-24 Vivotech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an electronic advertisement to a mobile device
US8620299B2 (en) 2008-08-12 2013-12-3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lectronically delivering a prepaid card to a mobile device
KR20180106032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하나은행 실명확인증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10992817B2 (en) 2009-03-18 2021-04-2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electing and delivering electronic value certificates using a mobile device
KR102280721B1 (ko) * 2020-09-17 2021-07-22 공영일 웨어러블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인증 서버
US11195163B2 (en) 2006-09-01 2021-12-0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over the air (OTA) provisioning of soft cards on devices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capabiliti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5163B2 (en) 2006-09-01 2021-12-0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over the air (OTA) provisioning of soft cards on devices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capabilities
US8620299B2 (en) 2008-08-12 2013-12-3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lectronically delivering a prepaid card to a mobile device
US10992817B2 (en) 2009-03-18 2021-04-2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electing and delivering electronic value certificates using a mobile device
WO2012024312A3 (en) * 2010-08-16 2012-05-24 Vivotech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an electronic advertisement to a mobile device
KR20180106032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하나은행 실명확인증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280721B1 (ko) * 2020-09-17 2021-07-22 공영일 웨어러블 개인정보 관리 장치 및 인증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4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entities by means of terminals
JP6655147B2 (ja) 決済システム
US200702716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070219928A1 (en) Strategy-driven methodology for reducing identity theft
US200902544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ersonal and financial information
WO2013070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management of customer data in a loyalty program
JP2002032596A (ja) 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電子商取引に用いられるプロフィール変換装置
KR20080025350A (ko) 개인 식별 부호를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및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TWI247514B (en) Secure messaging center
WO20030547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pam mail
WO2002025864A1 (en) Identific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JP3750982B2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
JP2007241984A (ja) 保険管理方法、保険管理プログラム、保険管理システムおよび保険管理装置
JP3672958B2 (ja) アンケート調査方法
JP5793863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3141495U (ja) 個人認証システム
US20030191691A1 (en) Computer system for forming a database
KR20050089944A (ko) 인증해서 사용할 주민등록번호 대체번호 만드는 방법
MacDonnell Exporting trust: Does e-commerce need a Canadian privacy seal of approval
JP2008204484A (ja) ユーザid管理方法およびユーザid管理装置
CN112740249A (zh) 数字票据系统和方法
JP2007226637A (ja) 資格認証管理システム
JP2005285088A6 (ja) 広告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85088A (ja) 広告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00037323A (ko) 전자고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