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129A - 내마모성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 - Google Patents
내마모성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5129A KR20080025129A KR1020087000346A KR20087000346A KR20080025129A KR 20080025129 A KR20080025129 A KR 20080025129A KR 1020087000346 A KR1020087000346 A KR 1020087000346A KR 20087000346 A KR20087000346 A KR 20087000346A KR 20080025129 A KR20080025129 A KR 200800251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ecular weight
- polyacetal
- composition
- high molecular
-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내마모성, 높은 용융 점도 및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고분자량 폴리아세탈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내마모성, 용융 점도, 고분자량 폴리아세탈,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의 용융 혼합된 블렌드를 포함하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적용예는 중합체 물질로부터 생성된 부품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기타의 부품에 대하여 작동중인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경우, 중합체 물질은 접촉점에서 부품의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적용예의 예로는 컨베이어가 작동중에 컨베이어 엘리먼트와 이러한 엘리먼트를 지지하는 구조체 사이의 연속적 접촉이 존재하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은 종종 우수한 내마모성을 요구하는 적용예에 사용된다. UHMWPE는 우수한 연마 내마모성, 매우 높은 충격 인성, 낮은 마찰 계수 및 우수한 내화학성을 갖는다. UHMWPE의 우수한 내마모성은 반대면에 물질을 전달하는 필름 전달 메카니즘으로부터 생성되어 마모를 방지하는 반대면에 응집성 필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의 굴곡 모듈러스는 항상 특정의 적용예에 대하여 충분히 높은 것은 아니며, 이는 저온(이의 유용한 상부 온도는 약 75℃인 것으로 생각됨) 및 낮은 속도 접촉을 요하는 적용예에 한정된다. 추가로, 경질 마모 입자의 존재를 비롯한 마모 적용예에서, 입자는 연질 UHMWPE에 매립되는 경향을 지녀서 마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당한 용융 연신성이 결여되어 있는데, 이는 용융물중에서 연신될 수 없으며, 그리하여 UHMWPE로부터 물품을 형성하는 성형 공정은 통상적으로 비-용융 공정, 예컨대 램 압출 및 압축 성형으로 한정되며, UHMWPE는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는 각종 물품을 제한하는 통상의 용융-가공 기법(예, 사출 성형, 용융 압출 등)과 함께 사용하기에는 일반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아세탈(또한 폴리옥시메틸렌 또는 POM으로 공지됨)은 우수한 마찰 공학 및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지니며, 스틸 표면과의 접촉시 낮은 마찰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폴리아세탈은 90℃ 이상의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용융 가공 가능하다. 그러나, UHMWPE의 내마모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는 필름 전달 메카니즘은 폴리아세탈의 내마모성에서의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으며, 폴리아세탈의 마모 표면은 연장된 사용으로 홈이 파이는 경향을 갖는다.
다수의 마모 적용예에 사용하기 위한 물품은 높은 용융 점도를 지니나 용융 가공을 가능케 하는 상당한 정도의 용융 연신성을 갖는 물질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압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고온에서의 사용에 적절하며 그리고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함께 개선된 내마모성 성질 및 높은 용융 점도를 갖는 용융 가공 가능한 중합체 조성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개시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하기와 같이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1-059042 A호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저 또는 고분자량 폴리올레핀 및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H04-351647 A호에는 고유 점도가 6 ㎗/g 이상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고유 점도가 0.1 내지 5 ㎗/g인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개선된 활주 성질을 지니며, 폴리에틸렌은 1 이상의 개질 단량체 및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개질되는 수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H01-126359 A호에는 임의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우수한 마모 및 마찰 성질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H01-104622 A호에는 초거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로부터 얻은 생성물을 윤활유에 침지시켜 얻은 생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H07-051657 B2호에는 95 내지 80 중량%의 폴리아세탈 및 5 내지 20 중량%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우수한 활주 성질을 갖는 폴리아세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H06-062831 B2호에는 폴리아세탈 수지에 1 내지 15 중량%의 미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분산시키는 방법이 개시되 어 있다. 미국 특허 제4,670,508호에는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 70 내지 98 중량% 및 소정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분말 30 내지 2 중량%의 용융 혼합된 블렌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한 구체예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그리고 이에 의하면,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 초과인 폴리아세탈 약 55 내지 약 95 중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용융 혼합된 블렌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는 폴리아세탈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그리고, 윤활제, 가공 조제, 열 안정화제, 산화 안정화제, 자외선 광 안정화제, 착색제, 기핵제, 상용화제 및 충전제 중 1 이상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 초과인 폴리아세탈 약 55 내지 약 95 중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용융 혼합된 블렌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는 폴리아세탈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성물로부터 생성된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 초과인 폴리아세탈 약 55 내지 약 95 중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용융 혼합된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압출되며, 상기 중량%는 폴리아세탈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예상밖으로, 본 발명의 고분자량 폴리아세탈 및 UHMWPE의 용융 혼합된 블렌드는 폴리아세탈 또는 UHMWPE 단독에 비하여 상당히 개선된 내마모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조성물은 용융 압출에 의하여 프로파일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기에 충분히 낮은 용융 흐름 속도를 가지면서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고, 용융 가공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은 1 이상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단독중합체는 포름알데히드 및/또는 포름알데히드 등가물, 예컨대 포름알데히드의 고리형 올리고머를 중합시켜 생성된다. 공중합체는 포름알데히드 및/포름알데히드 등가물 이외에, 폴리아세탈을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 이상의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단량체로는 2 내지 12 개의 순차적인 탄소 원자를 갖는 에테르 단위를 갖는 중합체쇄로 혼입되는 아세탈 및 고리형 에테르를 들 수 있다. 공중합체를 선택할 경우, 공단량체의 함량은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개는 약 2 중량% 이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공단량체로는 1,3-디옥솔란, 에틸렌 옥시드 및 부틸렌 옥시드 등이 있으며, 여기서 1,3-디옥솔란이 더욱 바람직하며, 바람직한 폴리아세탈 공중합체는 공단량체의 함량이 약 2 중량%인 공중합체이다. 또한,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1)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기를 형성하는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말단 히드록시기를 말단 캡핑 처리한 단독중합체; 또는 2) 말단을 완전히 캡핑 처리하지 않았지만, 공단량체 단위로부터의 특정의 유리 히드록시 말단을 갖거나 또는 말단에 에테르기를 갖는 공중합체이다. 단독중합체에 바람직한 말단기는 아세테이트 및 메톡시이며, 공중합체에 바람직한 말단기는 히드록시 및 메톡시이다. 폴리아세탈은 선형(비분지)이거나 또는 최소의 쇄-분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은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103,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8,000 이상이다. 수평균 분자량은 100,000 초과 내지 약 300,000 범위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은 광 산란 검출기를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은 190℃에서 2.16 ㎏ 하중하에서 ISO 방법 1133에 의하여 측정시 바람직하게는 용융 흐름 속도가 약 0.5 g/10 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4 g/10 분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 g/10 분 이하이다.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은 임의의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폴리아세탈의 제조에 사용되는 단량체 및 용매는 목적하는 고분자량이 중합중에 얻는 것을 방해하는 쇄 전달 반응의 가능성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충분한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는 종종 쇄 전달제, 예컨대 물 및/또는 알콜의 농도가 최소로 유지되어야만 하는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문헌[K. J. Persak and L. M. Blair, "Acetal Resins,"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3rd Edition, Vol. 1, Wiley, New York, 1978, pp. 112-123]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은 수평균 분자량이 약 3×106 이상인 폴리에틸렌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ASTM D 4020-01a에 의하여 135℃에서 데칼린중에서 0.02 g/㎖로 측정시 상대적 점도가 1.44 이상인 에틸렌의 선형 중합체인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정의된 공칭 점도 분자량은 3.12×106 g/mol 이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UHMWPE 및 약 55 내지 약 95 중량%의 고분자량 폴리아세탈,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40 중량%의 UHMWPE 및 약 60 내지 약 90 중량%의 고분자량 폴리아세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 중량%의 UHMWPE 및 약 60 내지 약 85 중량%의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을 포함하며, 상기 중량%는 고분자량 폴리아세탈 및 UHMWPE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첨가제, 예컨대 윤활제, 가공 조제, 안정화제(예컨대 열 안정화제, 산화 안정화제, 자외선 광 안정화제), 착색제, 기핵제, 상용화제, 저응력화제, 플루오로중합체,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충전제, 예컨대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융 혼합된 블렌드이며, 여기서 중합체 성분 모두는 서로 잘 분산되며, 비-중합체 성분은 이에 잘 분산되며 중합체 매트릭스에 의하여 결합되어 블렌드가 일체화된 것을 형성한다. 임의의 용융-혼합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중합체 성분 및 비-중합체 성분을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체 성분 및 비-중합체 성분을 용융 혼합기, 예컨대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 블렌더, 혼련기 또는 Banbury 혼합기에 단일 단계의 첨가로 한꺼번에 또는, 단계적인 방식으로 첨가한 후, 용융 혼합시킬 수 있다. 중합체 성분 및 비-중합체 성분을 단계적 방식으로 첨가할 경우, 중합체 성분 및/또는 비-중합체 성분의 일부를 우선 첨가하고, 차후에 첨가하는 나머지 중합체 성분 및 비-중합체 성분과 용융 혼합하고, 잘 혼합된 조성물이 얻어질 때까지 추가로 용융 혼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취입 성형, 압출, 열성형, 용융 주조 및 회전 성형을 사용하여 물품을 성형할 수 있다. 조성물은 각종 물질로부터 형성된 물품으로 과성형될 수 있다. 조성물은 필름으로 압출될 수 있다. 조성물은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다.
물품의 적절한 예로는 기어, 봉, 시이트, 스트립, 채널; 튜브; 컨베이어 시스템 부품, 예컨대 마모 스트립, 가드 레일, 롤러 및 컨베이어 벨트 부품 등이 있다. 압출된 물품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융 압출 및 기타의 용융 연신 공정에 의하여 물품을 형성하는데 유용하도록 하는 우수한 물리적 성질 및 충분히 높은 용융 점도를 갖고, 고분자량 폴리아세탈 또는 UHMWPE 단독에 비하여 상당히 개선된 내마모성을 갖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은 약 190℃ 내지 220℃의 배럴 온도로 작동되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하기 표 1에 제시한 상대적 비율로 폴리아세탈을 UHMWPE와 용융 혼합하여 생성된다. 조성물을 약 5/16 인치 직경의 구멍을 갖는 다이를 통하 여 스트랜드로 압출시킨다. 표준 절차 및 상압 조건에 의하여, 스트랜드를 냉각시키고, 이를 펠릿으로 절단한다. 다이로부터 배출시킨 후, 스트랜드를 우선 냉각 배쓰에 이어서 절단기에 투입하여 약 1/8 인치로 직경을 감소시키는 인장력으로 처리한다. 스크류 디자인은, 비교예 4의 조성물의 것이 불균질하게 나타나고, 용융 강도가 불량한 것을 제외하고, 다이에서의 용융물이 시각 검사시 균질한 것으로 나타나도록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추가의 테스트를 위하여 샘플을 생성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3 내지 5 및 비교예 3의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는 약간 상이한 스크류 구조가 실시예 1 및 2 및 비교예 1, 2 및 4 내지 10의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다.
하기 성분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다.
UHMWPE는 미국 뉴욕주 퍼체이스에 소재하는 미츠이 케미칼즈 어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가 공급하는 Mipelon(상표명) XM220을 지칭한다.
폴리아세탈 A는 수평균 분자량이 약 108,000이고, 190℃에서 2.16 ㎏ 하중하에서 측정시 용융 흐름 속도가 약 0.3인 폴리아세탈 단독중합체를 지칭한다. 실시예에 사용하기 이전에, 폴리아세탈을 0.025 중량%의 Acrawax(등록상표) C(미국 뉴저지주 페어론에 소재하는 론자, 인코포레이티드가 공급), 0.07 중량%의 Irganox(등록상표) 245 및 0.03 중량%의 Irganox(등록상표) 1098(미국 뉴욕주 테리타운에 소재하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코포레이션이 공급) 및 0.5 중량%의 폴리아크릴아미드와 용융 혼합한다.
폴리아세탈 B는 수평균 분자량이 약 60,000이고,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소재하는 이.아이. 듀폰 드 네무아즈가 공급하는 폴리아세탈 단독중합체인 Delrin(등록상표) 100을 지칭한다.
폴리아세탈 C는 수평균 분자량이 약 41,000이고,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소재하는 이.아이. 듀폰 드 네무아즈가 공급하는 폴리아세탈 단독중합체인 Delrin(등록상표) 500를 지칭한다.
마모 테스트 시험편
조성물을 시험편으로 사출 성형하였다. 시험편은 디스크의 한면으로부터 3 개의 평편한 패드가 돌출되어 있는 디스크이다. 이러한 패드는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약 0.125 in 돌출되어 있으며, 이의 면적합은 약 0.2128 in2이다.
용융 흐름 측정
용융 흐름 측정은 ASTM D 1238095 및 ISO 1133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통상적으로 대략 직경 및 길이가 약 0.125"인 원통형 펠릿인 중합체 샘플을 80℃에서 진공하에 4 시간 이상 동안 예비건조시켰다. 약 8 g의 펠릿을 190℃에서 유지된 가열된 배럴에 공급하였다. 0.0825" 직경 및 0.315" 길이인 오리피스를 배럴중 하나에 고정시켰다. 균질한 용융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예비용융 시간 후, 2,160 g의 부하를 플런저에 배치하고, 오리피스를 통한 압출물을 60 초 간격으로 수집하였다. 60 초 간격으로 수집한 샘플 중 3 개 이상을 수집하고 평량하였다. 중량의 평균값을 구하고, 평균값을 변환시켜 용융 지수 값(g/10 분)을 얻었다. 각종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값을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연신 용융, 예컨대 용융 압출 또는 유사한 공정에 의하여 물품을 형성하기에는 낮은 용융 흐름 속도가 바람직하다. 약 0.5 g/10 분 이하의 용융 흐름 속도가 이와 같은 공정에 바람직하다.
노치드 아이조드 측정
각종 샘플의 파괴 인성 측정은 열가소성 물질의 노치드 충격 강도에 대하여 ASTM D 256-00 방법을 사용하여 얻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0.5" 폭, 0.125" 두께의 사출 성형된 샘플을 노치드-절단기를 사용하여 노치드 처리하여 0.1"의 깊이로, 0.010"의 곡률 반경을 갖는 45° 끼인각 노치드를 산출한다. 각각의 노치드 시험체를 수직 캔틸레버 위치에 장착시키고, 장착한 진자와 충돌시켰다. 시험체를 파괴하는데 흡수된 에너지를 기록하고, 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마모 테스트
마모 테스트는 패드가 상대적 속도 V에서 반대면에 대하여 시험편을 회전시키면서 조절된 힘(또는 압력) P의 작용하에 반대면과 접촉되도록, 테스트하고자 하는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시험면을 반대면에 대하여 지지하여 실시하였다. 반대면은 후면지에 접착된 중앙 크기가 약 25 ㎛인 마모 입자를 갖는 600 그리트 사포이다. 테스트 장치에서의 선형 변수 변위 변환기는 시험편 및 마모면(L)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 것으로 측정되었다. 테스트는 패드 높이의 약 1/3 이상이 마모될 때까지 또는 400 시간까지 중에서 이른 때까지 실시한다. 테스트는 (a) 63 psi의 압력 및 48 ft/분(fpm)의 속도 및 (b) 15 psi의 압력 및 200 fpm의 속도로 실시하였다.
마모율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수학식에서, L은 단위가 인치이고, P는 단위가 psi이고, V는 단위가 fpm이며, t는 분 단위의 테스트 기간이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및 2와 실시예 1 및 2의 비교 그리고 비교예 1 및 3과 실시예 3 내지 5의 비교에 의하면, 실시예의 블렌드의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분자량 폴리아세탈 또는 UHMWPE 단독의 내마모성에 비하여 UHMWPE를 포함하는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의 블렌드에 대하여 내마모성에서의 예상밖의 상당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압출기 다이에서 배출시 인장력으로 샘플을 처리할 때 비교예 4의 제조의 경우, 압출물이 파괴되었으며, 이는 상기 조성물이 용융된 물질에 인장력을 가하는 용융 공정, 예컨대 용융 압출에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압출기 다이에서 배출된 샘플은 우수한 용융 강도를 가지며, 펠릿으로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용융된 물질에 인장력을 가하는 용융 공정, 예컨대 용융 압출에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목적 및 잇점을 완전하게 충족하는 조성물 및 물품(들)이 제공되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체예와 함께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대체예, 변형예 및 수정예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하기에 첨부한 청구의 범위의 정신 및 광의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대체예, 변형예 및 수정예를 포괄시키고자 한다.
Claims (19)
-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 초과인 폴리아세탈 약 55 내지 약 95 중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약 5 내지 약 45 중량%의 용융 혼합된 블렌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는 폴리아세탈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수평균 분자량이 약 103,000 이상인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수평균 분자량이 약 108,000 이상인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약 60 내지 약 90 중량%로 존재하며,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약 10 내지 약 40 중량%로 존재하며, 상기 중량%는 폴리아세탈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약 60 내지 약 85 중량%로 존재하며,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약 15 내지 약 40 중량%로 존재하며, 상기 중량%는 폴리아세탈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용융 흐름 속도가 약 0.5 g/10 분 이하이고, 상기 용융 흐름 속도는 190℃에서 2.16 ㎏ 하중하에서 측정하는 ISO 방법 1133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용융 흐름 속도가 약 0.4 g/10 분 이하이며, 상기 용융 흐름 속도는 190℃에서 2.16 ㎏ 하중하에서 측정하는 ISO 방법 1133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용융 흐름 속도가 약 0.3 g/10 분 이하이고, 상기 용융 흐름 속도는 190℃에서 2.16 ㎏ 하중하에서 측정하는 ISO 방법 1133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단독중합체인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비분지된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윤활제, 가공 조제, 열 안정화제, 산화 안정화제, 자외선 광 안정화제, 착색제, 기핵제, 상용화제 및 충전제 중 1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의 조성물로부터 생성된 물품.
- 제12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 취입 성형, 압출, 열성형, 용융 주조 또는 회전 성형에 의하여 생성된 것인 물품.
- 제13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생성된 것인 물품.
- 제14항에 있어서, 기어의 형태인 것인 물품.
- 제1항의 조성물로부터 압출된 물품.
- 제16항에 있어서, 봉, 시이트, 스트립 또는 튜브의 형태인 것인 물품.
- 제16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시스템 마모 스트립, 가드 레일 또는 컨베이어 벨트 부품의 형태인 것인 물품.
- 제12항에 있어서, 롤러의 형태인 것인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8849505P | 2005-06-08 | 2005-06-08 | |
US60/688,495 | 2005-06-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5129A true KR20080025129A (ko) | 2008-03-19 |
Family
ID=3692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0346A KR20080025129A (ko) | 2005-06-08 | 2006-06-08 | 내마모성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015869A1 (ko) |
EP (1) | EP1896543A1 (ko) |
JP (1) | JP2008545871A (ko) |
KR (1) | KR20080025129A (ko) |
CN (1) | CN101193974A (ko) |
WO (1) | WO200613337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9295A (ko) * | 2008-12-04 | 2011-09-07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내열성의 광물-충전 폴리아세탈 조성물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161488A1 (en) * | 2006-12-27 | 2008-07-03 | Ramabhadra Ratnagiri | Polyoxymethylene blends |
US20090030137A1 (en) * | 2007-07-26 | 2009-01-29 | Ramabhadra Ratnagiri | Polyacetal-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blends |
IT1396563B1 (it) * | 2009-06-16 | 2012-12-14 | Rexnord Marbett Srl | Segmento di curva e metodo di fabbricazione di un segmento di curva |
US8393691B2 (en) * | 2010-03-31 | 2013-03-12 |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 Hinge pulley for domestic household appliance |
CN103228692B (zh) * | 2010-10-14 | 2017-05-31 | 塞拉尼斯销售德国有限公司 | 偶联玻璃纤维增强的聚甲醛 |
US9698044B2 (en) * | 2011-12-01 | 2017-07-04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Localized carrier lifetime reduction |
CN104861412B (zh) * | 2015-04-29 | 2017-06-09 | 洛阳市河之阳高分子材料有限公司 | 一种用于空调曲柄的pom材料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69313A (en) * | 1972-06-14 | 1976-07-13 |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 Thermoplastic composite compositions |
US4670508A (en) * | 1984-01-06 | 1987-06-02 |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JPH0662831B2 (ja) * | 1986-07-28 | 1994-08-17 |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JP2000153933A (ja) * | 1998-11-18 | 2000-06-06 | Alps Electric Co Ltd | 圧接ローラ |
JP4515010B2 (ja) * | 2002-02-04 | 2010-07-28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金属インサート成形品 |
US20060074175A1 (en) * | 2004-10-01 | 2006-04-06 | Kane Paul J | Proces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polyacetal and polyacetal/non-melt processable polymer blends |
-
2006
- 2006-06-08 CN CNA2006800202007A patent/CN101193974A/zh active Pending
- 2006-06-08 US US11/449,429 patent/US2007001586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6-08 EP EP06784671A patent/EP189654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6-06-08 JP JP2008515933A patent/JP2008545871A/ja not_active Withdrawn
- 2006-06-08 KR KR1020087000346A patent/KR200800251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06-08 WO PCT/US2006/022344 patent/WO200613337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9295A (ko) * | 2008-12-04 | 2011-09-07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내열성의 광물-충전 폴리아세탈 조성물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96543A1 (en) | 2008-03-12 |
JP2008545871A (ja) | 2008-12-18 |
CN101193974A (zh) | 2008-06-04 |
US20070015869A1 (en) | 2007-01-18 |
WO2006133370A1 (en) | 2006-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25129A (ko) | 내마모성 고분자량 폴리아세탈-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 | |
EP0730004B1 (en) |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properties | |
JP5346944B2 (ja) | 向上したトライボロジー特性のポリアセタール組成物 | |
US5559180A (en) | Polyacetal compositions for use in wear applications | |
AU642579B2 (en) |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its molded article | |
WO1996026978A1 (en) | Improved self-lubricating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 |
Lehmann et al. | New PTFE-polyamide compounds | |
EP0617085B1 (en) | Polyacetal compositions for use in wear applications | |
KR20090095665A (ko) | 폴리옥시메틸렌 블렌드 | |
KR101217978B1 (ko) | 폴리아세탈 및 폴리아세탈/비용융 가공가능성 중합체블렌드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 | |
US20090048388A1 (en) | Wear resistant toughened and reinforced polyacetal compositions | |
US20060121282A1 (en) | Molded bodies containing polyacetals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molded bodies | |
US20060025507A1 (en) | Low wear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urface appearance | |
JP6373727B2 (ja) | 樹脂成形体 | |
US20090030137A1 (en) | Polyacetal-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blends | |
JP4751352B2 (ja) | 改善された耐摩耗性を有する熱可塑性ポリマー組成物 | |
CA2293005A1 (en) |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olding characteristics | |
JP7556163B2 (ja) | 搬送装置用摺動部材および樹脂組成物 | |
CN109071917B (zh) | 聚缩醛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 | |
JP2024028654A (ja) | 搬送装置用摺動部材および樹脂組成物 | |
JP2023184214A (ja) |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 |
EP1819773A1 (en) | Proces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polyacetal and polyacetal/non-melt processable polymer blends | |
LUNKWITZ et al. | New PTFE-polyamide compounds | |
JPH09132694A (ja) | ポリアセタール樹脂押出成形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