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489A - 신장성 및 투과성 부직포 보호 장갑 - Google Patents

신장성 및 투과성 부직포 보호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489A
KR20080024489A KR1020077030655A KR20077030655A KR20080024489A KR 20080024489 A KR20080024489 A KR 20080024489A KR 1020077030655 A KR1020077030655 A KR 1020077030655A KR 20077030655 A KR20077030655 A KR 20077030655A KR 20080024489 A KR20080024489 A KR 20080024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laminate
seam
stretch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417B1 (ko
Inventor
카이유안 양
제프리 이. 피쉬
제이슨 에이. 베이커
오오만 피. 토마스
마틴 에스. 샤미스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2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68Two-dimensional gloves, i.e. obtained by superposition of two sheets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라미네이트 물질로부터 실질적으로 제조된 보호 장갑이 제공된다. 라미네이트 물질은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탄성 스트랜드 및 제 1 부직포 웹의 이완된 상태에서 1 개 이상의 주름이 제 1 부직포 웹에 형성되도록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에 제 1 부직포 웹이 부착된다. 또한, 제 2 부직포 웹도 제공되고, 제 2 부직포 웹은 탄성 스트랜드 및 제 2 부직포 웹의 이완된 상태에서 1 개 이상의 주름이 제 2 부직포 웹에 형성되도록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에 부착된다. 탄성 스트랜드, 제 1 부직포 웹 및 제 2 부직포 웹은 신장성이고 액체 투과성인 라미네이트를 형성한다. 또한, 보호 장갑의 제조 방법도 제공된다.
보호 장갑

Description

신장성 및 투과성 부직포 보호 장갑{STRETCHABLE AND PERMEABLE NON-WOVEN PROTECTIVE GLOVES}
많은 유형 및 스타일의 보호 장갑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환경의 유형, 작업의 성질, 또는 요망되는 성질에 의존해서, 이들 장갑은 제직된 천 직물, 가죽, 천연 라텍스 또는 합성 중합체 엘라스토머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조합을 포함해서 다양한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직포 직물로 제조된 장갑은 일반적으로 손의 땀이 직물에 의해 위킹(wicking)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사용자 피부가 직물을 통해 통기하는 것을 허용한다. 편물 장갑은 그들이 사용자 손에 상대적으로 편안한 맞음새를 허용한다는 점에서 종종 바람직하다. 추가로, 편물 장갑은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어느 정도의 고유 유연성을 입증한다. 편직물(woven knit) 장갑을 생성하는 데 이용되는 편성(knitting) 방법은 전형적으로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
유체, 화학물질 또는 현미경적 병원균에 대해 더 큰 보호를 필요로 하는 장갑은 전형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에 대해 불투과성인 배리어층을 혼입한다. 예를 들어, 수술, 검사 또는 작업 장갑은 전형적으로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라텍스 또는 다른 탄성 중합체 막을 이용해서 제조된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물질의 좋은 배리어 성질은 장갑을 일반적으로 비통기성이 되게 한다. 땀이 장갑과 사용자 피 부 사이에 갇혀서 피부에 거칠고 불편한 환경을 생성한다. 사용자 피부와 장갑 사이에서 발생하는 높은 습도는 피부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장갑은 수분 흡수를 돕기 위해 그 안에 배치되는 분말을 가질 수 있다. 이 분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갈되어 간다는 점 이외에도, 사용자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있거나 수술실 또는 청정실과 같은 민감한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과 유사한 물질(즉, 제직된 물질) 및 엘라스토머성 또는 필름 물질의 라미네이트로부터 보호 의류 용품을 제조함으로써 일부 이점이 얻어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직포 또는 다른 천과 유사한 물질은 전형적으로 하층으로 사용되고, 배리어 오버코트인 엘라스토머성 막 또는 필름과 접합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보호 용품을 위한 라이너 또는 하층은 일반적으로 두껍고,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용품은 보통 불량한 유연성을 가지고 느슨하게 맞는다.
장갑의 제작에 부직포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부직포 물질로부터 제조된 종전의 장갑은 전형적으로 적절한 맞음새를 허용할 정도로 충분한 유연성을 갖지 못하거나 또는 특히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의 차이로 부드러움, 편안함 및 텍스처와 같은 표면 성질 제어가 결여되어 있다. 게다가, 현재 부직포 기반 장갑은 대부분 2 단계 스윙 및 다이 컷팅 방법에 의해 함께 가공되고, 이것은 상대적으로 넓고 뻣뻣한 솔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갑의 경우, 전통적으로, 솔기를 감추기 위해 장갑을 뒤집는 뒤집기 공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것은 솔기가 사용자 피부에 맞대어 놓이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추가로, 이 제조 방법은 노동 집약적이고, 상대적으로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 게다가, 현재의 부직포 장갑은 종종 사용자가 그의 또는 그녀의 손을 쥘 때 장갑의 손바닥 영역에서 불편함을 주는 불룩한 부분을 생성한다. 이것은 솔기가 없는 편직물 장갑이 사용되는 일부 응용에서 장갑의 사용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 물질을 혼입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맞음새를 허용하는 양호한 유연성을 나타내는 개선된 장갑의 제작을 제공한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직포 직물 또는 웹"은 편성된 직물에서처럼 확인가능한 방식이 아니라 인터레잉된 개개의 섬유 또는 쓰레드의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부직포 직물 또는 웹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윙 방법, 스펀본딩 방법 및 본디드 카디드 웹 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부터 형성된다. 부직포 직물의 기초 중량은 보통 osy(ounce per square yard) 또는 gsm(gram per square meter)으로 표현되고, 섬유 직경은 보통 마이크로미터로 표현된다. (osy를 gsm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osy에 33.91을 곱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이라는 용어는 가용성인 플라스틱 물질을 의미한다. 존재하는 경우, 열가소성 물질 중의 섬유는 높은 온도에서 연화되는 경향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스펀본디드 섬유"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애펠(Appel) 등의 미국 특허 4,340,563, 도르쉬너(Dorschner) 등의 미국 특허 3,692,618, 마츄키(Matsuki) 등의 미국 특허 3,802,817, 키네이(kinney)의 미국 특허 3,338,992 및 3,341,394, 하르트만(Hartman)의 미국 특허 3,502,763 및 도보(Dobo) 등의 미국 특허 3,542,615에서처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방사구의 복수의 미세하고 보통은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서 압출한 후,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을 섬유로 신속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직경이 작은 섬유를 의미하고, 이들 문헌의 전체 내용은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이고, 일반적으로 약 7 ㎛ 초과, 더 특히는 약 10 내지 약 20 ㎛의 직경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멜트블로운 섬유"라는 용어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복수의 미세하고 보통은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쓰레드 또는 필라멘트로서 보통은 뜨거운 수렴하는 고속 기체(예: 공기) 스트림 안으로 압출하고, 이 기체 스트림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여 그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하고, 마이크로 섬유 직경으로 될 수 있다. 이어서,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기체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어 수집 표면 위에 침착되어 랜덤하게 분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부틴(Butin) 등의 미국 특허 3,849,241에 게재되어 있고,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전체를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 또는 불연속일 수 있는 마이크로섬유이고, 직경은 일반적으로 10 ㎛ 미만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복합체"라는 용어는 다성분 물질 또는 다층 물질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들 물질은 예를 들어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 또는 이들의 어떠한 조합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라는 용어는 하나의 층은 주름잡힐 수 있는 층이고 다른 하나의 층은 탄성 층인 2 개 이상의 층을 갖는 복합 물질을 의미한다. 층들은 탄성 층이 그의 원래의 상태로부터 연신될 때 함께 접합됨으로써 층들이 이완될 때 주름잡힐 수 있는 층이 오므라든다. 이러한 다층 복합 탄성 물질은 결합 위치 사이에서 주름잡힌 비탄성 물질이 탄성 물질이 늘어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까지 신장될 수 있다. 한 가지 유형의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가 예를 들어 반데르 윌렌(Vander Wielen) 등의 미국 특허 4,720,415에 게재되어 있고,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전체를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다른 복합 탄성 물질은 키에퍼(Kieffer) 등의 미국 특허 4,789,699, 테일러(Taylor) 등의 미국 특허 4,781,966, 및 모르만(Morman)의 미국 특허 4,657,802 및 4,652,487, 및 모르만 등의 미국 특허 4,655,760에 게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의 내용은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라는 용어는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포함할 정도로 충분히 넓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넥킹" 또는 "넥 스트레칭"은 호환적으로 사용되며 부직포 직물을 일반적으로 기계 방향으로 늘여서 그의 폭(횡기계 방향)을 조절된 방식으로 요망되는 양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조절된 신장은 서늘한 온도, 실온 또는 이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일어날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 약 1.2 내지 1.6 배인 직물 파단에 필요한 신도까지 신장되는 방향에서의 전체 치수 증가로 제한된다. 이완될 때, 웹은 그의 원래 치수에 가깝게 수축되지만 그의 원래 치수로 복귀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메이트너(Meitner) 및 노데이스(Notheis)의 미국 특허 4,443,513, 모르만의 미국 특허 4,965,122, 4,981,747 및 5,114,781, 및 하센뵐러 주니어(Hassenboehler Jr.) 등의 미국 특허 5,244,482에 게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의 전체 내용은 전체를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가역적 넥킹된 물질"이라는 용어는 물질을 넥킹한 후 넥킹된 물질을 가열하고 그 물질을 냉각시킴으로써 형성된 신장 및 회복 특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은 모르만의 미국 특허 4,965,122에 게재되어 있고, 이 특허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공동 양도되었고,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전체를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라는 용어는 하나의 층은 넥킹된 비탄성 층이고, 다른 하나의 층은 탄성층인 2 개 이상의 층을 갖는 복합 물질을 의미한다. 층들은 비탄성 층이 연신된(넥킹된) 상태로 있을 때 함께 접합된다.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의 예는 모르만의 미국 특허 5,226,992, 4,981,747, 4,965,122 및 5,336,545에 기술된 것들이고, 이들 문헌의 전체 내용은 전체를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코폼"이라는 용어는 멜트블로운 물질이 형성되는 동안에 1 개 이상의 다른 물질이 첨가되는 멜트블로운 물질을 의미한다. 멜트블로운 물질은 엘라스토머성 중합체를 포함해서 다양한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펄프, 초강력흡수성 입자, 셀룰로오스 또는 스테이플 섬유를 포함하는 다양한 추가 물질이 멜트블로운 섬유가 형성되는 동안에 멜트블로운 섬유에 첨가될 수 있다. 코폼 방법은 공동 양도된 라우(Lau)의 미국 특허 4,818,464 및 앤더슨(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4,100,324에 예시되어 있고,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전체를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결합"이라는 용어는 물질(섬유, 웹, 필름 등)을 음파 호른(horn)과 앙빌(anvil) 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물질을 접합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의 한 예는 본슬래거(Bornslaeger)의 미국 특허 4,374,888에 예시되어 있고,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탄성"이라는 용어는 바이어싱력이 적용될 때 이완된 비신장 길이의 약 110% 이상, 또는 1½ 배 이상인 신장된 바이어싱된 길이로 신장될 수 있고, 신장시키는 바이어싱력이 해제될 때 그의 늘어난 길이의 15% 이상을 회복하는 필름, 섬유, 부직포 웹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어떠한 물질이라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연신성 및 수축성"이라는 용어는 물질이 신장시에는 연신될 수 있고 신장 해제시에는 수축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연신성 및 수축성 물질은 바이어싱력 적용시 신장된 바이어싱된 길이로 신장될 수 있고 신장 바이어싱력이 해제될 때 그의 늘어난 길이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약 15% 이상을 회복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또는 "엘라스토머성"이라는 용어는 신장성 및 회복 성질을 갖는 중합체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신장"이라는 용어는 바이어싱력 적용시 물질이 연신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신장률(%)은 물질의 초기 치수와 바이어싱력 적용 후 물질이 신장되거나 또는 연신된 동일 치수 간의 차이다. 신장률(%)은 [(신장된 길이 + 초기 샘플 길이)/초기 샘플 길이] x 10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길이가 2.54 cm (1 inch)인 물질이 1.27 cm (0.50 inch) 신장되어 3.81 cm (1.50 inch)의 연신된 길이로 되면, 그 물질은 50 %의 신장률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회복한다" 또는 "회복"이라는 용어는 바이어싱력 적용에 의해 물질이 신장된 후 바이어싱력이 종결될 때 신장된 물질이 수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완된 바이어싱되지 않은 길이가 2.54 cm(1 inch)인 물질이 신장에 의해 50% 늘어나서 3.81 cm (1½(1.5) inch)의 길이가 되면, 이 물질은 이완된 길이의 150%인 신장된 길이를 가질 것이다. 이 예시적인 신장된 물질이 바이어싱 및 신장하는 힘이 해제된 후 수축, 즉 2.8 cm (1.1 inch)의 길이로 회복되면, 그 물질은 그의 늘어난 길이의 80% (0.4 inch)를 회복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그래프트, 랜덤 및 교대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등, 및 이들의 블렌드 및 변형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달리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면, "중합체"라는 용어는 분자의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할 것이다. 이들 형태는 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랜덤 대칭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요약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이점은 다음 설명에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거나, 또는 그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알아낼 수 있다.
장갑에 바람직한 이익을 제공하는 라미네이트 물질로부터 실질적으로 제조된 독특한 보호 장갑 형태가 제공된다. 이 라미네이트 물질은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 및 제 1 부직포 웹에 1 개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 및 제 1 부직포 웹의 이완된 상태에서 스트랜드에 부착된 제 1 부직포 웹을 포함한다. 또한, 이 라미네이트는 제 1 부직포 웹과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에 부착된 제 2 부직포 웹을 포함한다.
특별한 한 실시태양에서, 라미네이트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초음파 결합을 이용해서 형성된 솔기에 의해 장갑 모양으로 형성된다. 결합 솔기는 최소 높이 치수, 예를 들어 1 mm 미만의 길이를 갖는 플러쉬(flush) 솔기일 수 있다. 게다가, 추가의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는 플러쉬 솔기 결합 중 1 개 이상을 보강하기 위해 라미네이트에 보강 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 스트랜드는 라미네이트 물질을 통해 액체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부직포 웹은 액체 투과성이고, 따라서 액체 투과성인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가 생성된다. 장갑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는 액체 및 기체(공기) 투과성일 수 있다.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의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신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가 신장성이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은 제 1 및 제 2 부직포 웹이 동일한 물질로부터 제조되거나 또는 동일한 물리적 성질을 갖는 위에서 논의된 장갑이다.
또, 본 발명은 위에서 논의된 장갑과 같은 보호 장갑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로 제조된 탄성 층을 갖는 제 1 및 제 2 액체 투과성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탄성 층은 제 1 및 제 2 부직포 웹을 포함하는 주름잡힐 수 있는 층들 사이에 위치한다. 또, 이 방법은 제 1 및 제 2 액체 투과성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장갑 모양으로 서로 결합시켜서 장갑 둘레에 플러쉬 솔기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합 후, 결합 솔기가 장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장갑을 뒤집을 수 있다. 플러쉬 솔기 결합으로 형성될 때, 플러쉬 솔기 결합은 뒤집기가 이용되지 않는 동시 절단-봉합 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비록 플러쉬 솔기 결합이 형성되는 경우일지라도 뒤집기가 수행될 수 있다.
결합 단계는 통상의 어떠한 수단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특별한 한 실시태양에서는, 초음파 결합이 이용된다. 초음파 결합 방법과 같은 단일의 가공 단계로 라미네이트 물질을 결합해서 요망되는 장갑 모양으로 절단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태양에서, 물질은 통상의 금형 또는 다이 프레스 방법에 의해 절단 및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상 및 이점은 다음 설명 및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를 참고로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혼입되고 그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을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당업계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를 겨냥한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방식을 포함해서 본 발명에 대한 충분하고 권능적인 게재 내용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는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1은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른 장갑인 보호용품의 투시도.
도 1a는 보강 결합이 적용된 도 1의 장갑의 투시도.
도 2는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른 보호용품을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의 여러 층들의 분해 투시도.
도 2a는 도 2와 유사하지만 격자로 구성된 탄성층을 갖는 분해 투시도.
도 3은 이완된 상태로 있을 때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가 부직포 층에 형성된 주름을 갖는 조립된 모양의 도 2의 층들의 투시도.
도 4는 장갑의 커프 영역에 형성된 솔기의 상세한 투시도.
도 5는 장갑의 커프 영역에 형성된 플러쉬 솔기 결합의 상세한 투시도.
도 6은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른 손가락이 없는 장갑인 보호용품의 투시도.
도 7은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른 보호용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다른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른 보호용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부호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 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을 의도한다.
대표적인 실시태양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을 상세히 언급할 것이고, 그의 하나 이상의 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각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제한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의 일부로 도시되거나 또는 기술된 특징은 다른 한 실시태양과 함께 이용되어 제 3의 실시태양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및 다른 변경 및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범위들은 규정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하므로,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범위는 언급된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00 - 200의 범위는 110 - 150, 170 - 190 및 153 - 162의 범위도 또한 포함한다. 게다가, 본원에 언급된 모든 한계는 언급된 한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다른 한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7 이하라는 한계는 또한 5 이하, 3 이하 및 4.5 이하라는 한계도 포함한다.
도면에 관해서 일반적으로 언급하면, 사용자의 손을 덮도록 구성된 몸체부를 갖는 보호 장갑 (10)이 제공된다. 장갑은 그의 의도된 용도로 제한되지 않고, 많은 어떠한 환경에 사용하더라도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장갑 (10)의 몸체부는 바람직하게는 증기 투과성이고 사용자 손에 편안한 맞음새 및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신장성인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로 제조된다. 또, 몸체부는 액체 및 공기 투과성일 수 있다. 장갑 (10)은 서로 플러쉬 솔기 결합된 하나 이상의 부분들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현존하는 편성된 또는 제직된 장갑보 다 더 적은 비용이 들면서도 여전히 요망되는 손 맞음새 성질을 갖는 편물 같은 장갑을 제공하기 위해 장갑 (10)에 부직포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부직포 물질로부터 제조된 장갑 (10)은 부직포 장갑 (10)이 연속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저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규칙적 편직물 장갑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부직포 물질은 논의되는 바와 같이 롤에 공급되고 전환 장비의 결합 영역 안으로 공급되어 요망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전형적인 편성된 장갑은 더 느린 방법으로 한 번에 하나씩 제조된다.
도 1은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장갑 (10)의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도 2는 장갑 (10)을 구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의 여러 성분들을 나타낸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의 탄성 층 (36)은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 (14)로 제조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탄성 스트랜드 (14)라도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스트랜드 (14)는 이.아이. 듀폰(E.I.DuPont)(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에서 제조한 라이크라(등록상표)(LYCRA®)일 수 있다.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 (14)인 것으로 기술되지만, 탄성 층 (36)은 탄성 스트랜드 (14) 외에도 다른 요소들을 혼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층 (36)은 탄성 스트랜드 (14)를 서로에 대해 지탱하는 작용을 하는 충전제 또는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스트랜드 (14)가 신장되고, 신장된 상태로 있을 때 주름잡힐 수 있는 층 (38) 및 (40) 중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주름잡힐 수 있는 층 (38) 및 (40)은 제 1 부직포 웹 (16) 및 제 2 부직포 웹 (18)일 수 있다. 예시적인 한 실시태양에 따르 면, 탄성 스트랜드 (14)가 신장된 후, 그의 양면에 탄성 부직포 섬유인 주름잡힐 수 있는 층 (38) 및 (40)이 코팅될 수 있다. 탄성 부직포 섬유는 크라톤 폴리머즈 (KRATON Polymers)(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제조한 크라톤(등록상표)일 수 있다. 탄성 부직포 섬유는 탄성 스트랜드 (14)가 신장된 상태로 있을 때 탄성 스트랜드 (14) 위에 분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한가지 다른 유형의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12)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5,385,775 및 4,720,415, 및 미국 특허 출원 20020104608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모든 문헌은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그러나, 주름잡힐 수 있는 층 (38) 및 (40)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라 어떠한 유형의 부직포 웹이라도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제 2 부직포 웹 (18)이 다른 한 면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제 1 부직포 웹 (16)이 탄성 스트랜드 (14)의 한 면에 부착되도록 제작된다.
제 1 부직포 웹 (16) 및 제 2 부직포 웹 (18)은 부직포 직물의 경우에 종종 발견되는 뻣뻣함 및 라텍스 기반 기재와 연관된 점착성 및 착용하기 어렵게 하는 성질을 감소시킴으로써 요망되는 피부와 유사한 배리어 및 탄성 성질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를 위한 전체적인 촉각적 심미감 또는 느낌을 개선할 수 있는 유연성 시트일 수 있다. 일부 부직포 직물의 특별한 구조가 주어지면, 접촉 표면의 물결 주름(corrugation)은 착용자 피부와 실제적으로 접촉하는 표면적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와서, 용품 (10)을 착용하거나 벗기가 더 쉬워지게 한다. 또한, 부 직포 물질의 물리적 구조는 착용자 피부로부터 수분을 위킹하여 제거하는 모세관 작용을 생성할 수 있고; 따라서, 습윤하거나 또는 차고 끈적거리는 어떠한 감각도 제거하고, 착용자가 지속적으로 건조하고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주름은 장갑 (10)과 사용자 피부 사이의 공기 흐름을 향상시키는 작용도 할 수 있다.
제 1 부직포 웹 (16) 및/또는 제 2 부직포 웹 (18)의 부착 후, 탄성 스트랜드 (14)가 그의 정상 길이로 복귀하도록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로부터 힘을 해제함으로써 제 1 부직포 웹 (16) 및 제 2 부직포 웹 (18)이 주름지게 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부직포 웹 (16) 및 제 2 부직포 웹 (18)에 주름 (20)이 형성된 이완된 상태의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를 나타낸다. 주름 (20)은 그들이 본질적으로 부직포 웹 (16) 또는 (18)의 양면에 있도록 전체 부직포 웹 (16) 또는 (18)을 통해 뻗을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맞음새를 여전히 유지하면서 사용자 몸의 일부의 움직임이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에 신장을 일으키도록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12)가 장갑 (10) 또는 다른 보호용품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허용하는 어느 정도의 감춰진 신장성을 갖는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이완된 상태에서 및 그 다음에 사용자가 그의 또는 그녀의 몸의 일부를 움직이는 신장된 상태에서 사용자 피부에 꽉 끼게 맞을 수 있다. 장갑 (10)은 필름이 존재하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스트랜드 (14)는 예를 들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격자형 또는 메쉬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행한 스트랜드의 경우, 탄성은 1 차원적일 수 있지만, 제 1 부직 포 웹 (16) 및 제 2 부직포 웹 (18)의 탄성 섬유로부터 2 차원적 탄성이 생길 수 있다. 탄성 섬유 웹이 평행 스트랜드에 대해 수직으로 섬유를 분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면, 편물과 유사한 마이크로구조가 형성되고, 증기 또는 액체 투과성일 수 있다. 도 2a의 격자형 배열은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가 여러 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부직포 웹 (16) 및 (18)로부터의 추가의 신장을 혼입할 수 있다. 이러므로, 탄성 스트랜드 (14)는 편성 방법 동안 직포 제품에 형성되는 메쉬 구조와 동등하지만 개선된 표면 유연성 및 구조적 변화를 갖는 메쉬 프레임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탄성 스트랜드 (14)는 여러 방향에서의 신장을 수용하도록 요망되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배열될 수 있다.
도 4는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는 장갑 (10)의 내부의 절단 부분을 보여준다. 여기서, 제 1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42)가 제 2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44)에 부착되어서 솔기 (24)를 형성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솔기 (24)는 길이가 5 mm 이하인 높이 (26)을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 일부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솔기 (24)의 높이 (26)은 3 mm 이하, 2 mm 이하, 또는 1 mm 미만일 수 있다. 솔기 (24)의 높이 (26)은 장갑 (10)을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편안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솔기 (24)의 높이 (26)이 상대적으로 크면, 사용자는 장갑 (10)을 착용할 때 솔기 (24)를 느낄 것이며 그로부터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 추가로, 솔기 (24)의 높이 (26)은 또한 사용자로부터 장갑 (10)을 벗는 것을 저지할 수 있거나 또는 장갑 (10)을 착용하는 것을 방 해할 수 있다. 장갑 (10)은 요망되는 바에 따라 솔기 (24)를 내부 또는 외부에 놓기 위해 뒤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제 1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42) 및 제 2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4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개 이상의 "플러쉬" 솔기 결합 (28)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솔기는 제 1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42)와 제 2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44) 사이에 일반적으로 1 mm 이하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플러쉬 솔기 결합 (28)은 사용자가 장갑 (10)을 착용하는 동안 어떠한 솔기로부터도 불편함을 느낄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갑 (10)에 대해 더 큰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허용한다. 추가로, 플러쉬 솔기 결합은 착용하고 벗는 것을 방해하는 솔기 (24)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장갑 (10)을 더 쉽게 사용자 손에 착용하고 벗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플러쉬 솔기 결합 (28)은 그것이 착용감 및 편안함에 관해서 편직물 장갑과 동일한 품질을 가질 수 있는 장갑 (10)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로, 장갑 (10)의 신장성은 또한 요망되는 손 맞음새 성질을 제공하고 장갑 (10)을 쉽게 착용하고 벗는 것을 허용한다.
특별한 한 실시태양에서, 플러쉬 솔기 결합 (28)은 폭이 약 500 ㎛ 미만이고 높이 (26)이 약 500 ㎛ 미만일 수 있다. 또한, 플러쉬 솔기 결합 (28)은 폭이 400 또는 300 ㎛ 미만이고 높이 (26)이 400 또는 300 ㎛ 미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러쉬 솔기 결합 (28)은 폭이 100 ㎛ 미만이고 높이 (26)이 100 ㎛ 미만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플러쉬 솔기 결합 (28)의 폭은 약 50 ㎛ 정도로 좁을 수 있다. 플러쉬 솔기 결합 (28)의 폭 및 높이 (26)은 예를 들어 결합 호른 또는 결합 앙빌, 또는 초음파 재봉 다이에서 장갑 패턴의 폭 및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편물과 유사한 부직포 장갑 (10)의 초음파 결합에 있어서, 가장자리를 따르는 결합 솔기 (24)는 스트랜드의 탄성 보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스트랜드가 솔기 (24)로부터 절단되어 느슨해질 수 있고 신장 하에서 장갑 (10)을 손에 착용한 후 그의 완전한 탄성을 보유할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해낼 수 있다. 전통적 재봉 제조의 경우, 바늘 펀치 사이의 간격은 스트랜드들을 맞붙은 상태로 완전히 고정할 수 없다. 재봉 후, 장갑은 다이 컷팅 방법에 의해 부직포 시트로부터 절단된다. 이 방법은 절단 가장자리를 따르는 스트랜드 (14)를 느슨해지게 할 수 있다. 스트랜드 (14)의 탄성을 보유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편물과 유사한 부직포 장갑 (10)에서 솔기 (24) 라인들이 스트랜드 (14)의 앵커 기능을 하여 솔기 (24) 라인이 형성될 때 스트랜드 (14)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고 믿는다. 한 실시태양에서, 솔기 (24) 라인은 동시 봉합을 위해 앵글 슬로프(angle slope) 내에서의 절단을 위해 편평한 상면이 존재하는 초음파 장갑 절단/봉합 설비를 이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설비의 슬로프 부분은 느슨한 스트랜드 (14)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랜드 (14)를 함께 친밀하게 결합시키도록 부직포 웹 (16) 및 (18) 및 스트랜드 (14)를 용융시킬 수 있을 뿐이다. 바람직하게는, 느슨한 스트랜드 (14)는 절단/봉합 후 50% 미만일 수 있고,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75% 미만일 수 있고,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85% 미만일 수 있고,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90% 미 만일 수 있다.
장갑 (10)이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플런지(plunge) 결합기와 같은 초음파 결합 장치는 전체 손 장갑 페이셜(facial)을 호른 위에 놓을 수 없다. 예를 들어, 크기가 7 x 10 인치인 장갑 (10)은 6 x 9 인치 호른을 지지할 수 있을 뿐인 결합기에 의해서는 제작될 수 없다. 이것은 크기가 주어진 초음파 결합기의 한계를 초과할 때 크기가 큰 장갑의 경우에 특히 해당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장갑 (10)을 제조하기 위해 1 개 초과의 호른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장갑 (10)을 제조하는 데 2 개의 호른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4 개의 호른이 필요할 수 있다. 각 호른은 장갑 (10)의 한 영역을 결합시키기 위한 하나의 페이셜을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 장갑 페이셜은 큰 앙빌에 놓고, 더 작은 호른을 이용해서 1 개 이상의 히트(hit)로 장갑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하는 동안 1 개의 라미네이트 (42) 또는 (44)를 신장함으로써 3D 모양의 장갑 또는 다른 가먼트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신장된 라미네이트 (42) 또는 (44)는 그의 정상 길이로 수축해서. 장갑 (10)이 3D 모양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결합 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열린 손가락 끝을 갖는 장갑을 형성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또, 3D 모양 장갑 (10)은 제 1 라미네이트 (42)를 진공 하에서 손 모양을 갖는 앙빌 위에 놓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낼 수 있다. 제 2 라미네이트 (44)를 제 1 라미네이트 (42) 위에 절단/봉합 결합해서 3D 모양 장갑 (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a를 보면, 장갑 (10)을 전략적 영역에서 보강하기 위해 복수의 보강 결합 (30)이 장갑 (1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쉬 솔기 결합 (28)을 추가로 보강하기 위해 보강 결합 (30)이 장갑 (10)의 커프 및 장갑 (10)의 손가락들 및 엄지 사이의 영역에 적용된다. 그것은 플러쉬 솔기 결합 (28)이 벌어지면 장갑 (10)의 제 1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42) 및 제 2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44)의 분리가 일어나므로, 보강 결합 (30)의 존재를 바람직하게 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이 보강 결합 (30)이 이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보강 결합 (30)은 어떠한 모양으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장갑 (10)을 손 위에 놓는 것을 돕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갑 (10)은 자립형 제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장갑을 그 위에 착용하는 바탕 장갑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장갑 (10)은 다른 응용에서는 장갑의 내층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는 장갑 (1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제 1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42) 및 제 2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44)를 서로를 향해 끌어당기고, 초음파 결합 단계 (48)을 통해서 장갑 (10)으로 형성한다. 초음파 결합 단계 (48) 및 관련 제조 단계들은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고, 2005년 4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11/118,078에 기술되어 있고,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전체를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도 7 의 초음파 결합 단계 (48)은 앙빌 (54), 이 경우에는 장갑 패턴을 위에 갖는 실린더가 제 2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44)에 인접해서 위치하는 동안에 제 1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42)의 한 면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호른 (52)를 이용할 수 있다. 플러쉬 솔기 결합 (28)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라미네이트 (42) 및 (44)와 맞물리도록 블레이드 호른 (52)를 움직여서 라미네이트 (42) 및 (44)를 동시에 결합 및 절단시킬 수 있다. 상기 미국 출원 11/118,078에 나타나 있고 기술된 바와 같이 회전 앙빌 (54)는 절단을 위한 편평한 가장자리 및 봉합 기능을 위한 각이 있는 측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갑 (10)은 사용자의 손을 위한 개구부가 라미네이트 (42) 및 (44)의 한 가장자리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단 형성되면, 장갑 (10)을 라미네이트 시트로부터 제거하여 수집 상자 (56) 안으로 떨어뜨린다. 장갑 (10)은 블레이드 호른 (52) 바로 다음에는 도 7의 라미네이트 (42) 및 (44)에 여전히 있을 수 있지만, 명확성을 위해 나타내지 않았다. 장갑 (10)이 제거될 때 개구부 (58)이 만들어진다. 도 7에 나타낸 방법은 장갑 (10)이 고속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연속 회전 방법일 수 있다. 별법으로, 요망된다면,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장갑 (10)을 형성하기 위한 간헐적 방법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결합 단계 (48)이 라미네이트 (42) 및 (44)로부터 장갑 (10)을 형성하는 초음파 호른인 제조 방법에 의해 장갑 (10)이 형성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어떠한 높이라도 가지는 플러쉬 솔기 결합 (28)이 장갑 (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갑 (10)을 뒤집기 위해 뒤집기 단계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뒤집기 단계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장갑 (10)은 플러쉬 솔기 결합 (28)의 높이가 장갑 (10)의 외부에 있도록 제작 및 배열될 수 있다. 추가로, 플러쉬 솔기 결합 (28)은 높이가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솔기가 장갑 (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뒤집기 단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플러쉬 솔기 결합 (28)을 생성하는 결합 단계 (48)을 이용함으로써, 추가 뒤집기 단계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방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장갑 (10)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장갑 (10)은 단일 조각의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로부터 단위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장갑 (10)은 다수의 구역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구역은 다른 구역들보다 신장성이 더 높을 수 있고, 몇몇 영역에서는 다른 영역보다 탄력성이 더 높을 수 있어서 더 강인할 수 있다. 각 구역은 장갑 (10)의 요망되는 특성에 의존해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 1 부직포 웹 (16) 및 제 2 부직포 웹 (18)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라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것이기 때문에 부드러운 물질로 제조되는, 제 1 부직포 웹 (16) 또는 제 2 부직포 웹 (18)일 수 있는 장갑 (10)의 내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부직포 웹 (16) 및 제 2 부직포 웹 (18)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라 동일 또는 상이한 색을 가질 수 있다. 제 1 부직포 웹 (16) 또는 제 2 부직포 웹 (18)을 장갑 (10)의 내층으로 사용하는 것은 다른 유형의 장갑에 존재하는 분말과 같은 피부 보호제의 필요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장갑 (10)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는 요망된다면 분말과 같은 다양한 피부 보호제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200% - 300% 신장할 수 있다. 별법으로,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50% - 200% 신장할 수 있다. 게다가,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400%까지 신장할 수 있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액체 투과성이고, 사용 동안 착용자 피부의 통기를 허용한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액체 및 기체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구멍 또는 개구부를 갖는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고속 제조 기술을 이용해서 보호용품 (10)을 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신장성 다방향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를 본 발명의 용품 (10)에 적합하게 함으로써 유연성이 있는 꼭 맞는 맞음새라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되는 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물질이 약 5 - 10% 이상 경제적으로 절약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것은 일회 또는 제한된 사용을 위한 일회용품 (10)을 경제적으로 제조하게 할 수 있다.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12)의 탄성 성질은 그것을 3 차원성, 예를 들어 장갑 (10)의 경우 손의 3 차원성과 순응하도록 더 쉽게 성형되게 할 수 있고, 이것은 전통적인 편평한 형태의 장갑에서보다 더 자연스럽게 손이 구부려지고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다양한 열적, 화학적, 초음파 또는 물리적/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층 (36), (38) 및 (40)을 모두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3 개의 층 (36), (38) 및 (40)을 갖는 것으로 기술되지만,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추가의 층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므로, 본 발명은 3 개 이상, 4 개 이상, 5 개 이상, 또는 6 개 이상의 층이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에 혼입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태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용품 (10)은 구부리는 지점, 예를 들어 장갑 (10)의 손가락의 곡면을 따라서 또는 장갑 (10)의 개개의 손가락 사이에서 불룩하지 않고 장갑의 경우에는 손목에서 또는 발 커버의 경우에는 발목에서 미끄러져 내리거나 또는 너무 꽉 끼어 갑갑하지 않는 꼭 맞는 개구부를 갖는 속이 빈 몸체를 형성한다.
장갑 (10)에서, 부직포 웹 (16) 또는 (18) 중 하나는 언더글러브 또는 안감으로 쓰일 수 있다. 에워싸인 피부에 대해서 발생하는 천연 고무 라텍스로부터 제조된 용품 또는 가먼트 착용과 연관된 흔한 문제점은 고무 라텍스 중의 단백질 때문인 것으로 믿어지는 다양한 피부 알레르기(예: 자극성 피부염, 지연성 피부 과민반응(제 IV 형 알레르기) 및 즉시 반응(제 I 형 알레르기))의 발병이다. 부직포 라이너를 이용함으로써, 피부와 라텍스의 직접 접촉을 피하게 되어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이 최소화 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 라텍스 고무와 접촉하는 대신, 착용자의 피부는 긴 연속 섬유 스트랜드의 부직포 층을 갖는 내부 표면과 닿을 수 있다. 부직포 라이너는 라텍스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의 직접적인 피부 접촉보다 착용자에게 유의하게 더 편안한 부드러운 천 또는 "면과 유사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부직포 라이너는 수분을 흡수하고 특수 착용 코트에 대한 통상의 요건을 제거함으로써 안감을 대지 않거나 또는 있는 그대로의 라텍스 장갑에 비해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부직포 직물은 전형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또는 라텍스 막에 비해 더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부직포 내부 안감을 갖는 장갑 (10)은 장갑을 착용하거나 벗는 것을 촉진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손을 쉽게 스르르 장갑 안으로 넣거나 또는 밖으로 빼낼 수 있게 한다. 부직포 층은 고무 또는 다른 중합체 라텍스 조성물처럼 축축한 사람 피부에 대해 저항성 또는 점착성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장갑에는 전분 또는 활석 분말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한 관심사로서, 라텍스 장갑은 상이한 제조자들을 위한 두께 불규칙성으로부터 발생하는 품질 문제로 시달린다. 또, 부직포 웹이 미리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갑 (10)은 편안함 및 더 좋은 제어를 위해 더 균일한 두께를 제공할 수 있고, 제조시 품질 및 재현성을 향상시킨다.
당업계로부터 얻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중합체 기반 물질이 천과 유사한 부직포 직물을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기본적 기재 또는 베이스 부직포 섬유 웹은 웹이 천과 유사한 성질을 갖도록 예를 들어 합성 섬유, 펄프 섬유, 열기계 펄프, 또는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데는 유연성 시트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부직포 웹 물질은 예를 들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코폼, 스펀본드-필름-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이성분 스펀본드, 이성분 멜트블로운, 이구성요소(biconstituent) 스펀본드, 이구성요소 멜 트블로운, 본디드 카디드 이성분 웹, 크림핑된 섬유 에어레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부직포 웹 (16) 및 (18)은 연속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탄성 라미네이트와 같은 다양한 엘라스토머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탄성 라미네이트는 스트레치-본디드 및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또는 별법으로,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는 가역적으로 넥킹된 물질)를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마이크로섬유 층과 함께 사용되는, 스펀본딩 및 멜트블로윙과 같은 압출 방법 및 에어 레잉 및 카딩과 같은 기계적 건식 성형(dry-forming) 방법에 의해 형성된 섬유 부직포 웹이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의 물질 및 제조는 종종 제직된 또는 편성된 성분의 비용에 비해 저렴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들은 일회용일 수 있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에 사용될 수 있는 부직포 직물은 이러한 라미네이트로 전환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기초 중량이 약 10 g/㎡ 내지 50 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12 g/㎡ 내지 25 g/㎡이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이러한 부직포 직물은 기초 중량이 약 15 g/㎡ 내지 20 g/㎡이다. 게다가, 더 높은 기초 중량도 고려된다.
탄성 층 (36) 및 주름잡힐 수 있는 층 (38) 및 (40)을 구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은 2004년 12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11/011,716 (발명의 명칭: 통기성 보호용품)에서 찾을 수 있다. 미국 출원 11/011,716의 전체 내용은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본원에서 발견되는 어떠한 정의도 미 국 출원 11/011,716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우선한다.
외부 부직포 웹 (16) 또는 (18)은 병행 배열의 이성분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된 스펀본드 또는 쓰루 에어 본디드(through air bonded) 웹일 수 있다. 외부 층은 약 34 g/㎡ 내지 약 169 g/㎡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고, 특히 약 68 g/㎡ 내지 약 136 g/㎡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 외부 층 그 자체가 층상 또는 라미네이트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큰 직경의 섬유의 층이 작은 직경의 섬유의 층 위에 형성되는 2-뱅크 방법(two-banked process)이 이용될 수 있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2 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층 (16)과 (18) 사이에 삽입된 엘라스토머성 물질로부터 제조된 탄성 스트랜드 (1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스트랜드 (14)는 예를 들어 크레이톤 폴리머 컴퍼니(Krayton Polymer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크라톤 G2740과 같은 스티렌-에틸렌 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12)는 약 34 g/㎡ 내지 약 169 g/㎡, 특히 약 51 g/㎡ 내지 약 85 g/㎡, 더 특히는 약 68 g/㎡ 내지 약 102 g/㎡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갑 (10)은 장갑의 의도된 용도에 의존해서 추가의 특징들의 어떠한 조합도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장갑 (10)의 외부 표면은 장갑의 잡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미끄럼 저항 조성물로 처리 또는 코팅될 수 있다. 도 1a를 보면, 미끄럼 저항 조성물 (17)은 장갑의 손바닥 부분에 첨가된다. 미끄럼 저항 조성물 (17)은 부직포 물질 및/또는 가죽으로 제조된다. 미 끄럼 저항 조성물은 요망되는 어떠한 패턴으로도 적용될 수 있고, 장갑 (10)을 제조하는 동안에 적당한 어느 가공 단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장갑 (10)이 완전히 형성된 후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 목적으로 장갑 (10) 또는 발 커버링에 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및 구조에 따라서 기술된 물질로부터 다른 종류의 용품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다른 용품은 임상 또는 의료 검사, 산업적 또는 청정실 작업, 및/또는 본 발명의 추가된 강도, 편안함, 피부 보호 및 무분말 양상과 같은 특성이 요망되는 곳과 같은 다양한 작업 환경을 위한 일회용 보호 가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마스크, 머리 커버링 (예: 부팡 캡, 수술 캡 및 후드), 커버롤스, 실험실 코트, 언더가먼트, 앞치마 및 자켓, 가운, 드레이프, 상처 드레싱, 붕대, 멸균 랩, 화장용 패드, 환자 침구류, 들것 및 유모차 시트, 및 기타 등등과 같은 의료 또는 치료 위주 품목을 포함한다. 추가로, 보호 용품 (10)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일회용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을 일부 바람직한 실시태양과 관련해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해 망라되는 주제가 그러한 특이한 실시태양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주제는 다음 특허 청구 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별형, 변형 및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7)

  1. 라미네이트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 물질이 제 1 부직포 웹과 제 2 부직포 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스트랜드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부직포 웹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탄성 스트랜드의 이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직포 웹이 오므라들어 주름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착용할 때는 상기 라미네이트 물질이 신장성 및 증기 투과성인 보호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초음파 결합을 통하여 형성된 솔기에 의해 요망되는 장갑 모양으로 유지되는 보호 장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기의 높이가 일반적으로 5 mm 미만인 장갑.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솔기의 높이가 1 mm 이하인 보호 장갑.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기가 초음파 결합을 통하여 형성된 높이 1 mm 이하의 플러쉬(flush) 솔기 결합인 장갑.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기 결합 중 1 개 이상을 보강하기 위한 위치에서 상기 라미네이트에 보강 결합이 적용된 보호 장갑.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그 부분의 이완된 길이의 2 배 이상으로 신장될 수 있는 보호 장갑.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직포 웹이 동일 물질로 제조된 보호 장갑.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가 액체 투과성인 보호 장갑.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가 상기 장갑 몸체의 하나 초과의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는 보호 장갑.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직포 웹이 동일한 물리적 성질을 갖는 장갑.
  12. 제 1 및 제 2 부직포 웹의 주름잡힌 층들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탄성 스트랜드로 제조된 탄성 층을 갖는 증기 투과성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제공하 는 단계,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장갑 모양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플러쉬 솔기 결합을 형성하는 결합 방법으로 결합시켜서 장갑 모양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호 장갑 제조 방법.
  13. 제 13 항에 있어서, 플러쉬 결합 솔기가 장갑의 내부에 있도록 상기 결합 단계 후 결합된 라미네이트를 뒤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가 초음파 결합 방법인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 동안에 라미네이트가 또한 요망되는 장갑 모양으로 절단되는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의 커프 및 상기 장갑의 손가락들 및 엄지 사이의 영역들에 보강 결합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가 다이 프 레스를 통하여 달성되는 방법.
KR1020077030655A 2005-06-30 2006-02-28 신장성 및 투과성 부직포 보호 장갑 KR101234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72,607 2005-06-30
US11/172,607 US7469427B2 (en) 2005-06-30 2005-06-30 Stretchable and permeable non-woven protective gloves
PCT/US2006/007151 WO2007005066A1 (en) 2005-06-30 2006-02-28 Stretchable and permeable non-woven protective glo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489A true KR20080024489A (ko) 2008-03-18
KR101234417B1 KR101234417B1 (ko) 2013-02-18

Family

ID=3657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655A KR101234417B1 (ko) 2005-06-30 2006-02-28 신장성 및 투과성 부직포 보호 장갑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69427B2 (ko)
EP (1) EP1919311A1 (ko)
JP (1) JP2009500529A (ko)
KR (1) KR101234417B1 (ko)
CN (1) CN101208019B (ko)
AU (1) AU2006266454B2 (ko)
BR (1) BRPI0607195A2 (ko)
MX (1) MX2007016281A (ko)
RU (1) RU2407410C2 (ko)
WO (1) WO2007005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9344B2 (en) 2006-06-29 2011-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ansdermal delivery of oleocanthal for relief of inflammation
US20090123504A1 (en) * 2007-11-12 2009-05-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live oil formulation for pain relief
US20090199320A1 (en) * 2008-02-10 2009-08-13 Louis Yum Ming Ng Seamless headwear and a method of manufacture for the same
KR101098999B1 (ko) 2009-02-02 2011-12-28 오종찬 부직포장갑의 제조를 위한 장치
MY152855A (en) * 2009-03-20 2014-11-28 Duramitt Sdn Bhd Improved surgical glove with lamination of supported liners for better donnability comfort and sweat manag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050784B2 (en) 2010-12-22 2015-06-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re resistant back-sheet for photovoltaic module
AU2011351958A1 (en) * 2010-12-30 2013-05-0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Glove having barrier properties
US10518056B2 (en) * 2012-05-30 2019-12-31 Infection Prevention Products, Inc. Cannula holders
US11141966B2 (en) * 2012-07-26 2021-10-12 Warwick Mills, Inc. Method of laminating a performance-enhancing layer to a seamless three dimensional glove
US20140026290A1 (en) * 2012-07-26 2014-01-30 Warwick Mills Inc. Three dimensional glove with performance-enhancing layer laminated thereto
US10512516B1 (en) * 2013-03-08 2019-12-24 Glove Assist, Inc. Glove dispensing device with gloves
CN204015194U (zh) * 2013-11-12 2014-12-17 广西喜诺盛手套有限公司 手套结构
WO2015112819A1 (en) * 2014-01-24 2015-07-30 Bakner Manufacturing, Llc Glove with polymer encapsulation of components
WO2016033226A1 (en) 2014-08-26 2016-03-03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KR20190020819A (ko) * 2016-06-28 2019-03-04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수증기 투과성 또는 통기성 3차원 장갑 또는 장갑 라이닝의 제조 방법
BR112019004615A2 (pt) 2016-09-09 2019-06-18 Kevin Sorrels M luvas protetoras e método de produção de luvas protetoras
CN108294382B (zh) * 2017-01-12 2023-05-09 上海金枫裕手套有限公司 手套结构
WO2019148156A1 (en) 2018-01-29 2019-08-01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US11925538B2 (en) 2019-01-07 2024-03-12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EP4007552A1 (en) * 2019-08-01 2022-06-08 KCI Licensing, Inc. Hand dressing for use with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US11173072B2 (en) 2019-09-05 2021-11-16 Curt G. Joa, Inc. Curved elastic with entrapment
US20220386721A1 (en) * 2021-06-04 2022-12-08 Inteplast Group Corporation Glove matrix and method of making gloves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4724A (en) * 1937-10-02 1938-01-11 Bloom Joseph Glove and method of making same from strip material
US3338992A (en) 1959-12-15 1967-08-29 Du Pont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filamentary structures from fiber-forming synthetic organic polymers
US3502763A (en) 1962-02-03 1970-03-24 Freudenberg Carl Kg Process of producing non-woven fabric fleece
US3341394A (en) 1966-12-21 1967-09-12 Du Pont Sheets of randomly distributed continuous filaments
US3542615A (en) 1967-06-16 1970-11-24 Monsanto Co Process for producing a nylon non-woven fabric
US3849241A (en)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DE2048006B2 (de) 1969-10-01 1980-10-30 Asahi Kasei Kogyo K.K., Osaka (Jap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reiten Vliesbahn
DE1950669C3 (de) 1969-10-08 1982-05-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US4100324A (en)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340563A (en)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US4374888A (en) 1981-09-25 1983-02-22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laminate for recreation fabric
US4443513A (en) 1982-02-24 1984-04-17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thermoplastic fiber webs and method of making
US4818464A (en) 1984-08-30 1989-04-04 Kimberly-Clark Corporation Extrusion process using a central air jet
US4660228A (en) 1985-06-08 1987-04-28 Kanebo, Ltd. Glove
US4655760A (en) 1985-07-30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ized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20415A (en)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652487A (en) 1985-07-30 1987-03-24 Kimberly-Clark Corporation Gathered fibrous nonwoven elastic web
US4657802A (en) 1985-07-30 1987-04-14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nonwoven elastic web
US4789699A (en) 1986-10-15 1988-12-06 Kimberly-Clark Corporation Ambient temperature bondable elastomeric nonwoven web
US4781966A (en) 1986-10-15 1988-1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Spunlaced polyester-meltblown polyetherester laminate
US4733413A (en) * 1987-03-05 1988-03-29 Shelby Group International, Inc. Glov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US4785479A (en) * 1987-11-23 1988-11-22 Towa Glove Co., Ltd. Glove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226992A (en) 1988-09-23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4965122A (en) 1988-09-23 1990-10-23 Kimberly-Clark Corporation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4981747A (en) 1988-09-23 1991-0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114781A (en) 1989-12-15 1992-05-19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036551A (en) 1990-02-16 1991-08-06 W. L. Gore & Associates, Inc. Elastomeric composite fabric
US5407715A (en) * 1990-11-28 1995-04-18 Tactyl Technologies, Inc. Elastomeric triblock co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with
US5385775A (en) 1991-12-09 1995-01-3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n anisotropic elastic fibrous web and process to make the same
US5244482A (en) 1992-03-26 1993-09-14 The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Post-treatment of nonwoven webs
US5422172A (en) 1993-08-11 1995-06-06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Elastic laminated sheet of an incrementally stretched nonwoven fibrous web and elastomeric film and method
US5442900A (en) * 1993-12-28 1995-08-22 Ciampi; Joan Horse training device
US5560044A (en) 1995-03-29 1996-10-01 W. L. Gore & Associates, Inc. Hand covering
US5587225A (en) 1995-04-27 1996-12-24 Kimberly-Clark Corporation Knit-like nonwoven composite fabric
US5709921A (en) * 1995-11-13 1998-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rolled hysteresis nonwoven laminates
US5900452A (en) * 1996-08-12 1999-05-04 Tactyl Technologies, Inc. S-EB-S block copolymer/oil aqueous dispersion and its use in forming articles
US5932497A (en) 1997-09-15 1999-08-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elastic film and laminate
CN2358705Y (zh) * 1999-02-13 2000-01-19 李自强 护肤保健手套
US7012169B2 (en) 2000-04-06 2006-03-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finger sleeve for appendages
US6969441B2 (en) 2000-05-15 2005-1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minated articles
US6772441B2 (en) 2002-02-21 2004-08-10 Alfred W. Lucas, Jr. Soccer goalkeeper glove
US7316840B2 (en) * 2002-07-02 2008-01-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and-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US7015155B2 (en) * 2002-07-02 2006-03-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adhesive
US7355091B2 (en) * 2002-09-18 2008-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nonwoven with attached superabsorbent polymer
JP2006502671A (ja) 2002-10-08 2006-01-19 メイコ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入力信号電磁処理装置
US6964720B2 (en) * 2003-03-26 2005-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nonwoven lamin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20040214494A1 (en) * 2003-04-22 2004-10-28 Andover Coated Products, Inc. Stretch fabric
CN2666209Y (zh) * 2003-05-27 2004-12-29 上海中大科技发展有限公司 多功能医用防护手套
JP4559053B2 (ja) * 2003-10-10 2010-10-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高サポート特性を有するシームレス手袋。
CN1543887A (zh) * 2003-11-28 2004-11-10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军需装备研究 一种防水、透湿及阻隔病毒的防护手套及其制作方法
US20050130522A1 (en) * 2003-12-11 2005-06-16 Kaiyuan Yang Fiber reinforced elastomeric article
US20050127578A1 (en) * 2003-12-11 2005-06-16 Triebes Thomas G. Method of making fiber reinforced elastomeric articles
US20060143767A1 (en) * 2004-12-14 2006-07-06 Kaiyuan Yang Breathable protective articles
US20060228969A1 (en) * 2005-04-07 2006-10-12 Erdman Edward P Elastic laminate
US7552501B2 (en) * 2005-04-29 2009-06-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ger wipe with improved seam structure
US20070083980A1 (en) * 2005-09-16 2007-04-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olymer-coated protective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9311A1 (en) 2008-05-14
US20070000021A1 (en) 2007-01-04
KR101234417B1 (ko) 2013-02-18
JP2009500529A (ja) 2009-01-08
US7469427B2 (en) 2008-12-30
CN101208019A (zh) 2008-06-25
RU2407410C2 (ru) 2010-12-27
AU2006266454A1 (en) 2007-01-11
CN101208019B (zh) 2010-05-19
MX2007016281A (es) 2008-03-07
AU2006266454B2 (en) 2011-06-16
RU2008102796A (ru) 2009-08-10
WO2007005066A1 (en) 2007-01-11
BRPI0607195A2 (pt)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417B1 (ko) 신장성 및 투과성 부직포 보호 장갑
US20070083980A1 (en) Polymer-coated protective garment
US6934969B2 (en) Anti-wicking protective workwe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AU2005317159A1 (en) Breathable protective articles
US20080263738A1 (en) Impact protection glove
NO329214B1 (no) Med mellomrom forbundne ikke-vevede deponerbare kirurgiske laminater
US20050132465A1 (en) Surgical gown having an adhesive tab and methods of use
JP2005511345A (ja) 両面柔軟弾力性構成部分を用いた吸収性物品
EP1066957B2 (en) Process for making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EP3337346B1 (en) Conformable seamless three dimensional articles and methods therefor
KR100655806B1 (ko) 플라스틱 복합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565408B1 (ko) 구획화된 순응형 통기성 필름
WO2017188162A1 (ja) 複合繊維シート、複合繊維シートを用いた使い捨て繊維製品、手袋、レインコート及び使い捨て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6945328B2 (ja) 複合繊維シート、複合繊維シートを用いた使い捨て繊維製品、マスク及び手術着
CA2503261A1 (en) Surgical gown with limited discrete sections of elastomeric materials
US20050132463A1 (en) Surgical gown having adhesive tabs and methods of use
WO2018193987A1 (ja) 被覆用品
JPWO2017188162A1 (ja) 複合繊維シート、複合繊維シートを用いた使い捨て繊維製品、手袋、レインコート及び使い捨て繊維製品の製造方法
EP1184162B1 (en) Hydrophilic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JP4252767B2 (ja) 使い捨てショーツ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87648A1 (ja) 使い捨て生地、手袋、レインコートならびに使い捨て生地の製造方法
US20050097659A1 (en) Protective garment with elastomeric elbow patches
KR200461059Y1 (ko) 수족 미용 또는 수족질환 치료용 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