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488A - 마찰 클러치용 레버 장치, 그리고 이와 같은 유형의 레버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 Google Patents

마찰 클러치용 레버 장치, 그리고 이와 같은 유형의 레버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488A
KR20080024488A KR1020077030509A KR20077030509A KR20080024488A KR 20080024488 A KR20080024488 A KR 20080024488A KR 1020077030509 A KR1020077030509 A KR 1020077030509A KR 20077030509 A KR20077030509 A KR 20077030509A KR 20080024488 A KR20080024488 A KR 20080024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ring
lever
lever elements
elements
shaped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413B1 (ko
Inventor
마띠애우 조단
필리빼 미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2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13/71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 장치(5)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레버 장치는 적어도 다수의 링과 같은 배열 상태로 제공된 레버 소자(10) 및 상기 레버 소자(10)에 의해서 지지되는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찰 클러치용 레버 장치, 그리고 이와 같은 유형의 레버 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LEVER ARRANGEMENT FOR A FRICTION CLUTCH, AND FRICTION CLUTCH HAVING A LEVER ARRANGEMENT OF SAID TYPE}
본 발명은 마찰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 장치 그리고 이와 같은 유형의 레버 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레버 장치는 바람직하게 상기 레버 장치에 작용하는 작동기(actuator)를 사용하여 폐쇄 압력(closing pressure)을 상기 마찰 클러치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이용된다.
본 발명은 특히 레버 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레버 장치는 적어도 다수의 링과 같은 배열 상태로 제공된 레버 소자 및 상기 레버 소자에 의해서 지지되는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레버 장치들은 예를 들어 DE 33 21 822 A1호 또는 DE 103 40 665 A1호에 의해서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유형의 마찰 클러치 혹은 레버 장치들을 기능, 제조 및 조립 측면에서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상기 레버 장치의 스프링 특성들을 개별 적용례에 적응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만들어져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마찰 클러치 혹은 레버 장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레버 소자들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섹션을 통해 서로 결합 됨으로써 해결되며, 이 경우 상기 연결 섹션들은 레버 소자들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었고, 더 나아가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초기 응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 소자들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레버 소자들과 연결 섹션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연결 소자는 시트(sheet)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조립은 훨씬 더 용이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모든 레버 소자들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연결 섹션들을 상응하게 치수 설계하고 형성함으로써,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는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스프링 특성들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의 스프링 특성 곡선은 실제로 상기 연결 섹션들의 형상 및 치수 설계에 의존한다.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는 선형의,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또는 사인파 형태로 진행하는 파워-/거리-특성 곡선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섹션들은 레저 소자와 공동으로 하나의 링 모양의 에너지 저장 영역을 형성한다. 하지만 이웃하는 레버 소자들 사이에 제공된 연결 섹션들이 방사 방향으로는 상기 이웃하는 레버 소자들 사이에서 매듭(loop) 형태로도 진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 섹션들은 보다 유연한 스프링 특성 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연결 섹션들은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의 원하는 스프링 특성 곡선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섹션들은 특히 바람직하게, 레버 소자들이 레버 장치의 외부 에지 혹은 외부 직경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 장치의 내부 에지 혹은 내부 직경에 대해서도 방사 방향으로 변위 되도록, 상기 레버 소자들의 방사 방향 연장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소자들의 방사형 배치는, 중립적인 섬유, 다시 말해 실제로 링 모양의 영역 -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원뿔 형상이 변동되는 경우에는 이 영역을 중심으로 레버 소자들의 선회 동작이 이루어짐 - 이 상기 연결 섹션들의 영역 안에 놓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서는, 연결 섹션들 내에서 발생하는 응력들이 비교적 적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상에 의해서는, 레버 소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연결 섹션들의 파동(undulation)이 충분히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섹션들에 대하여 방사 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레버 소자들의 영역이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의 크기가 상기 방사 방향 내부로 돌출하는 영역들의 방사형 연장부의 20 내지 40%에 달하도록, 상기 레버 장치의 외부 직경에 대한 상기 연결 섹션들의 방사 방향 변위 크기가 설정되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연결 섹션들의 방사 방향 폭은 한 레버 소자의 방사 방향 연장부의 2 내지 20%의 크기에 놓일 수 있다.
이웃하는 레버 소자들 사이에는 슬롯 및/또는 절개부(cut-out)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슬롯 및/또는 절개부는 연결 섹션들 내부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소자들 사이에서 연결 섹션들의 방사 방향 외부에도 슬롯 및/또는 자유 절단부가 존재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연결 섹션들 외부에 방사형으로 제공된 슬롯 혹은 절개부가 상기 연결 섹션들 내부에 방사형으로 제공된 슬롯 혹은 절개부보다 폭이 더 넓은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연결 섹션들의 방사 방향 외부에 존재하는 절개부들은 U자 형태의 자유 절단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장치를 형성하는 소자 및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소자들이 바람직하게는 실제로 동일한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바는 상기 두 개의 소자들이 실제로 상호 인접한다는 것이지만, 이 경우 상기 두 개 소자들의 상호 조여진 영역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유격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은 유격으로 인해서는, 레버 장치의 원뿔 형상 변동 중에 나타나는 마찰 이력 현상(Hysteresis)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외부 둘레 영역은 바람직하게 레버 소자들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방사형 내부 둘레 영역은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에 대하여 조여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자신의 방사형 내부 둘레 영역에 방사형 절개부들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부들은, 이 절개부들로 인해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방사형 내부 둘레 영역에 방사형 설형부(舌形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적어도 소수의 절개부들은 상기 소자를 조여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조임 상태를 보장해주는 고정 수단들이 상기와 같은 절개부 영역 안에 수용되어 이웃하는 재료 영역들에 지지될 수 있다.
레버 소자를 형성하는 소자 및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가 조립 전에는 서로 상이한 원뿔 형상을 갖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이한 원뿔 형상들은 동일한 축 방향으로 향할 수 있지만, 상기 원뿔 형상들이 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도 바람직할 수 있다.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링 모양의 소자는, 상기 소자가 실제로 선형의 파워 거리 특성 곡선을 갖도록 치수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 레버 소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 섹션들을 상응하게 형성함으로써 다른 특성 곡선 변화도 역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들에서 공지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버 소자들에 의해서 지지된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바람직하게 사인파 형태의 파워-거리-변화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조적인 및 기능적인 개선예들은 아래의 도면 설명부에서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장치가 사용된 마찰 클러치의 평면도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된 레버 장치의 평면도며,
도 2a는 도 2에 따른 레버 장치의 축소된 사시도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레버 장치의 저면도며,
도 3a는 도 3에 따른 레버 장치의 축소된 사시도고,
도 4 및 도 4a는 상기 레버 장치의 느슨하게 풀어진 상태 및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며,
도 5는 상기 레버 장치를 형성하는 소자들의 파워-거리-특성 곡선 그리고 그 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파워-거리-특성 곡선이 도시되어 있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평면도로 도시된 마찰 클러치(1)는 클러치 커버(2)를 갖고, 상기 클러치 커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4)가 형성된 에지 영역(3)을 가지며, 상기 나사에 의해서는 마찰 클러치(1)가 클러치 디스크의 중간 삽입에 의하여 예컨대 플라이 휠(flywheel)과 같은 반대 압력(counter pressure)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찰 클러치(1)는 또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레버 장치(5)를 갖는다. 상기 레버 장치(5)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러치 커버(2)의 내부 에지 영역(6)에서 방사 방향 외부에 지지되고,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과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마찰면을 갖는 압력 플레이트를 방사 방향으로 더 내부에 배치된 링 모양의 영역에 공지된 방식으로 접촉시킨다.
작동기를 이용하여 레버 장치(5)로 폐쇄 압력을 유도함으로써 폐쇄되는 상기와 같은 유형의 마찰 클러치의 원리적인 구조는 예를 들어 DE 10 2005 025 773 A1호, EP 1452 760 A1호 그리고 서문에 언급된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마찰 클러치(1)의 형상에서는, 레버 장치(5)가 하나의 암(arm)으로 구성된 레버의 방식을 따라 하우징(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지만 상기 레버 장치(5)는 두 개의 암으로 구성된 레버의 방식을 따라서도 클러치 하우징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 혹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상기 두 가지 지지 장치들을 보여주는 전술한 EP 1452 760 A1호의 도 2 및 도 3이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레버 장치는 또한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DE 10 2004 018 377 A1호에 따라 형성된 마찰 클러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마찰 클러치의 경우에는, 압착 플레이트가 클러치 커버 내부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레버 장치는 상기 압착 플레이트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조여진 상태로 유지된다. DE 10 2004 018 377 A1호에서도 인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장치를 포함하는 마찰 클러치는 마모 조정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마모 조정 장치는 적어도 상응하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한다.
도 1에서는 특히 DE 10 2004 018 377 A1호에 기술되어 있는, 플레이트 스프링(10)을 위한 고정 수단 혹은 조임 수단과 유사한 방식으로, 초기 응력을 받은 상태에서 레버 장치(5)를 해당 압력 플레이트 상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7)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의 고정 수단(7)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마찰 클러치를 폐쇄하기 위하여 레버 소자(10)의 피크(8)가 작동기에 의해서 작동되는데, 특히 앞에서 언급한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 경우 상응하는 작동기는 압축 공기식, 유압식 또는 전기식 작동 시스템의 구성 부품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와 같은 작동 시스템들의 조합 형태, 즉 예컨대 전자-유압식 시스템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버 장치(5)는 링 형태의 배 열 방식으로 제공된 다수의 레버 소자들(10)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 소자들은 방사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도 3 및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별 레버 소자들(10) 사이에는 연결 섹션들(11)이 존재하며, 상기 연결 섹션들은 본 경우에 링 형태의 배열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연결 섹션들(11)은 레버 소자들(10)과 동일한 시트 재료로부터, 즉 상기 레버 소자들과 일체형으로 제조되었다. 특히 상기 연결 섹션들(11)의 방사 방향 폭, 두께 및 변화도를 상응하게 형성하거나 치수 설정함으로써, 상기 레버 장치(5)가 가져야만 하는 스프링 특성 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소자들(10) 및 연결 섹션들(11)을 형성하는 소자(12)는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를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는, 도 4 및 도 4a와 관련하여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초기 응력에 의해서 상기 소자(12) 상에 장착된다.
도 3 및 도 3a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섹션들(11)이 상기 레버 소자들(10)의 외부 직경에 대하여 방사 방향 내부로 변위 됨으로써, 상기 연결 섹션들(11)을 기준으로 할 때 레버 소자들(10)은 방사 방향 외부로뿐만 아니라 방사 방향 내부로도 진행하는 영역(15, 1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외부 영역(15)의 방사 방향 연장부(17)는 바람직하게 상기 방사 방향 내부 영역(16)의 방사 방향 연장부의 20 내지 40%에 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섹션들(11)의 방사 방향 폭(18)은 바람직하게 한 레버 소자(10)의 전체 방사 방향 연장부의 2 내지 20% 사이에 놓인다.
특히 도 3 및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소자들(10)의 방사 방향 내부 영역(16)은 절개부들(19 및 20)에 의해서 상호 분리되어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소자들(10)을 형성하는 소자(12)는 두 종류의 절개부들(19, 20)을 가지며, 상기 절개부들은 상이하게 형성되었고, 원주 방향으로 볼 때 본 경우에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0)는, 적어도 소수의 레버 소자들(10)에서 고정 영역들(2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고정 영역들(21)은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 경우에는 연결 섹션들(11)의 방사 방향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 섹션들(21)은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를 조여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지 소자들(22)을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상기 지지 소자들(22)은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역(21)에 리벳으로 고정된 지지 볼트들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지지 볼트들은 각각 초기 응력을 받은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를 축 방향으로 지지할 목적으로, 축 방향 지지 헤드(23)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지지 소자들(22)은 상기 레버 소자들(10)의 방사 방향 연장 영역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목적을 위하여 상응하는 레버 소자들(10) 내부에는 리세스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성예에서는 고정 영역들(21)이 생략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개별 레버 소자들(10) 사이에 통일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절개부, 예컨대 절개부(1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소자들(10)의 방사 방향 외부 영역(15)은 U자 형태의 절개부(24)에 의해서 상호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4)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개부들(19 및 20)보다 더 큰 연장부를 둘레 영역에 갖는다.
특히 도 2 및 도 2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는 링 형태의 기본 몸체(25)를 가지며, 상기 기본 몸체로부터 방사 방향 내부로 향하는 설형부(26)가 시작된다. 상기 설형부(26)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13)의 방사 방향 내부 영역에는 절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부(27)의 형상 혹은 주변 연장부는, 상기 지지 소자들 혹은 볼트(22)의 샤프트가 상기 절개부(27)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지지 볼트(22)의 헤드(23)가 상기 설형부(26) 뒤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는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 소자들(10)을 형성하는 소자(12) 상에,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의 방사 방향 외부 둘레 영역(27)은 레버 소자들(10)에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작용은 상기 영역(15)에 의해 형성된 외부 연장 암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 소자들(10)이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13)의 외부 에지 영역(27)에 대하여 돌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 형태는 상기 레버 소자들(10)을 형성하는 소자(12)를 클러치 하우징(2)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도 4에는 상기 레버 소자들(10)을 형성하는 소자(12)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13)의 느슨하게 풀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상기 두 가지 소자들(12 및 13)의 조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소자들(10)을 형성하는 소자(12)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는 원뿔 형상 혹은 원뿔대 형태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두 개 소자들(12 및 13)의 원뿔 형상은 서로 상이하며, 이 경우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 소자들(12 및 13)의 원뿔 형상은 회전축(28)에 대하여 수직으로 진행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상이한 축 방향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두 개의 소자들(12 및 13)이 동일한 축 방향으로 향하는 하나의 원뿔 형상을 갖는 경우도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버 소자들(10)을 형성하는 소자(12)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는 둘레에 분배된 지지 볼트(22)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 볼트(22)는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경우에도, 헤드(23)에 의해서 형성된 확장부를 가지며, 상기 확장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가 적어도 축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볼트(22)는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간격 유지 영역(29)을 가지며, 상기 간격 유지 영역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13)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다. 상기 영역(29)의 치수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가 움직이지 못하게 끼이는(jamming) 현상이 피해진다. 상기 지지 볼트(22)는 또한 리벳 영역(30)을 가지며, 상기 리벳 영역은 한 레버 소자(10)의 영역(21) 안에 있는 상응하게 적응된 리세스(31)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한 지지 볼트(22)의 리벳 헤드(32)를 볼 수 있다.
레버 장치(5)가 차지하고 있는 원뿔 형상(도 4a에 따른)은 상기 두 개 소자들(12 및 13)의 스프링 특성들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소자들(12 및 13) 중에 적어도 하나의 소자가 상기 볼트(22)를 대체할 수 있는 후크 형태의 영역들을 갖는 경우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 형태의 영역들은, 상기 영역들이 바요넷(bayonet) 형태 록킹부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연결 혹은 지지에 의해서는, 상기 두 개 소자들(12 및 13)의 축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호 조임 및 후속하는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상기 두 개 소자들(12 및 13) 간에는 축 방향으로 조여진 바람직한 결합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후크 형태의 영역들이 적어도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가 조여진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 형태의 영역들이 상기 소자(12) 후방에 축 방향으로 결합된다.
도 5는 레버 소자들(10)을 형성하는 소자(12)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13)의 파워-거리-특성 곡선에 대한 예 그리고 상기 두 가지 특성 곡선들의 총합으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상기 레버 장치(5)를 갖는 특성 곡선에 대한 예를 보여준다.
상기 레버 소자들(10)을 형성하는 소자(12)는 특성 곡선 변화도(33)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특성 곡선 변화도(34)를 갖는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특성 곡선 변화도는 선(35)에 상응한다. 상기 특성 곡선 변화도(35)는 실제로 개별 레버 소자들(1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섹션들(11)을 상응하게 치수 설계하거나 혹은 형성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특성 곡선 변화도(33)로부터는, 상기 레버 소자(10)를 형성하는 소자(12)는 상기 소자의 특성 곡선이 횡 좌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었으며, 이와 같은 형성예는 또한 횡 좌표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 소자(12)의 축 방향 파워 작용이 반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상기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특성 곡선 변화도(35)로부터도 얻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말하자면 상기 선(33)의 횡 좌표 통과를 기준으로 할 때에 상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특성 곡선(35)이 상기 횡 좌표 통과의 좌측에서는 상기 특성 곡선 변화도(34)에 비해 더 작은 파워 값을 갖는 반면에, 상기 횡 좌표 통과의 우측에서는 상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특성 곡선 변화도(35)가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13)의 특성 곡선 변화도(34)보다 더 큰 파워 값을 갖기 때문이다.
이미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특성 곡선 변화도들은 단지 예에 불과하다. 탄성 특성들을 보장해주는 상기 소자들(12 및 13)의 영역들을 상응하게 치수 설계함으로써, 임의의 다른 특성 곡선 변화도들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소자(12)의 특성 곡선 변화도(33) 역시 구부러진 파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구부러진 파형은 상기 특성 곡선 변화도(34)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최대값 및 최소값도 가질 수 있다.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는 요구 조건들에 상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 형태 혹은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들의 설계 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본 공개문의 틀 안에서는, 특히 일반적인 상세한 설명부 및 도면 설명부 그리고 청구범위에 기술된 및 각 도면들에 포함된 특징들 혹은 소자들 또는 처리 단계들의 조합 또는 변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다수의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마찰 클러치 2: 클러치 커버/하우징
3: 에지 영역 4: 개구
5: 레버 장치 6: 내부 에지 영역
7: 지지 수단 8: 피크
9: - 10: 레버 소자
11: 연결 섹션 12: 소자
13: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
14: 외부 직경 15: 외부 영역
16: 내부 영역
17: 외부 영역(15)의 방사 방향 연장부
18: 연결 섹션(11)의 방사 방향 폭
19, 20: 절개부 21: 고정 영역
22: 지지 소자 23: 축 방향 지지 헤드
24: U자 형태의 섹션 25: 링 모양의 기본 몸체
26: 설형부 27: 절개부/외부 에지 영역
28: 회전 축 29: 원통형의 간격 유지 영역
30: 리벳 영역 31: 리세스
32: 리벳 헤드 33, 34: 특성 곡선 변화도
35: 선

Claims (16)

  1. 적어도 다수의 링과 같은 배열 상태로 제공된 레버 소자들 및 상기 레버 소자들에 의해서 지지되는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13)로 구성된 레버 장치(5)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레버 소자들(10)은 각각 연결 섹션들(11)을 통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 섹션들은 상기 레버 소자들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초기 응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 소자들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들은 상지 레버 소자들 사이에서, 상기 레버 장치의 외부 직경에 대하여 방사 방향 내부로 변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소자들은 상기 연결 섹션들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 방향 외부로 그리고 방사 방향 내부로 진행하는 영역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방향 외부 영역들의 방사 방향 연장부는 상기 방사 방향 내부 영 역들의 방사 방향 연장부의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들의 방사 방향 폭은 한 레버 소자의 방사 방향 연장부의 2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레버 소자들 사이에는 슬롯 및/또는 절개부가 존재하고, 상기 슬롯 및/또는 절개부는 상기 연결 섹션들의 방사 방향 내부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들의 방사 방향 외부에서 이웃하는 레버 소자들 사이에는 U자 형태의 자유 절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가 조여진 상태로 상기 레버 소자들 상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실제로 동일한 원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외부 둘레 영역은 상기 레버 소자들에 지지되고,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방사 방향 내부 둘레 영역은 지지 소자들에 의해서 상기 지지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에 대하여 조여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자신의 방사 방향 내부 둘레 영역에 방사형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자신의 방사 방향 내부 둘레 영역에 방사형 설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조임 상태를 보장해주는 지지 수단은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 소자의 절개부 영역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조립 전에는 서로 상이한 원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소자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원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소자들을 형성하는 링 모양의 소자는 실제로 선형의 파워-/거리-특성 곡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 모양의 소자는 사인파 형태의 파워-/거리-변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KR1020077030509A 2005-07-15 2006-07-08 마찰 클러치용 레버 장치, 그리고 이와 같은 유형의 레버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KR101276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3760 2005-07-15
DE102005033760.0 2005-07-15
PCT/DE2006/001184 WO2007009428A1 (de) 2005-07-15 2006-07-08 Hebel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sowie reibungskupplung mit einer solchen hebel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488A true KR20080024488A (ko) 2008-03-18
KR101276413B1 KR101276413B1 (ko) 2013-06-19

Family

ID=3702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509A KR101276413B1 (ko) 2005-07-15 2006-07-08 마찰 클러치용 레버 장치, 그리고 이와 같은 유형의 레버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07718B1 (ko)
KR (1) KR101276413B1 (ko)
CN (1) CN101223376B (ko)
BR (1) BRPI0613052A8 (ko)
DE (1) DE112006001622A5 (ko)
WO (1) WO20070094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149B1 (ko) * 2010-01-20 2013-09-26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클러치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2130A1 (de) 2016-02-12 2017-08-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 mit einer mehrteiligen Feder aus verschiedenen Materialien
DE102016204839B3 (de) * 2016-03-23 2017-06-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ehrteilige Teller-/ oder Hebelfeder mit zwischengeschaltetem Dämpfungs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1822A1 (de) 1983-06-16 1984-12-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7580 Bühl Kreisfoermiges bauteil
JPH0745888B2 (ja) * 1988-03-29 1995-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クラッチ構造
GB2296541B (en) * 1994-12-24 1999-01-06 Fichtel & Sachs Ag Friction clutch
FR2742504B1 (fr) * 1995-12-14 1998-01-23 Valeo Ensemble elastique unitaire a pieces globalement annulaires et mecanisme d'embrayage comportant un tel ensemble elastique unitaire
FR2764020B1 (fr) * 1997-05-30 1999-08-06 Valeo Mecanisme d'embrayage pour embrayage a friction a faible effort de debrayage
FR2812918B1 (fr) * 2000-08-11 2003-03-07 Valeo Perfectionnement a un mecanisme d'embrayage a diaphragme pour moteur de vehicule automobile
DE10249046A1 (de) * 2002-08-10 2004-05-06 Zf Sachs Ag Kraftbeaufschlagungselement für eine Reibungskupplung
EP1452760B1 (de) 2003-02-25 2006-04-12 ZF Sachs AG Kraftbeaufschlagungs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US7066313B2 (en) 2003-04-17 2006-06-2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elf-adjusting clutch
DE10340665A1 (de) 2003-09-04 2005-03-31 Zf Friedrichshafen Ag Kraftspeicher für eine Reibungskupplung
DE102005025773A1 (de) 2004-06-21 2006-02-1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149B1 (ko) * 2010-01-20 2013-09-26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클러치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3052A2 (pt) 2010-12-14
BRPI0613052A8 (pt) 2016-12-13
EP1907718B1 (de) 2012-10-24
WO2007009428A1 (de) 2007-01-25
CN101223376A (zh) 2008-07-16
CN101223376B (zh) 2010-09-22
KR101276413B1 (ko) 2013-06-19
EP1907718A1 (de) 2008-04-09
DE112006001622A5 (de)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061B1 (ko) 릴리즈력을 보조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한 마찰 클러치
EP0309174B1 (en) Braking disc for a disc brake
KR0140660B1 (ko) 마찰클러치
US6814194B2 (en) Hydraulic torque converter
GB2296542A (en) Friction clutch
JP2008522088A (ja) 内燃機関用の複数部分から成る冷却されるピストン
KR101276413B1 (ko) 마찰 클러치용 레버 장치, 그리고 이와 같은 유형의 레버장치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RU2143619C1 (ru) Фрикционное сцепление
CN108884746B (zh) 固定装置、解耦装置以及屏蔽件
KR100516755B1 (ko) 마찰클러치
GB2172670A (en) Friction clutch
CN106838075B (zh) 特别地用于机动车辆的摩擦盘
GB2289318A (en) Clutch plate
KR100671672B1 (ko) 마찰 클러치
GB2307957A (en) A friction clutch having pressure plate lift bars
US7918245B2 (en) Hydraulic pressure reservoir
WO2011018815A1 (en) Spring for brake caliper of disc brake and brake caliper provided with such spring
GB2296541A (en) Friction clutch
US4671398A (en) Clutch unit of the diaphragm spring type
GB2152158A (en) Diaphragm spring friction clutch
RU1804577C (ru) Механизм сцеплени
US20040149536A1 (en) Force-exerting element for a friction clutch
JP3627149B2 (ja) クラッチ手段用覆い板、及びそれを備えるクラッチ手段
PL180365B1 (pl) Mechanizm sprzeglowy przeponowy, zwlaszcza do samochodu PL PL PL
KR102498006B1 (ko) 원심력에 최적화된 접촉면을 갖는 회전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