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562A - 모바일기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562A
KR20080023562A KR1020060087596A KR20060087596A KR20080023562A KR 20080023562 A KR20080023562 A KR 20080023562A KR 1020060087596 A KR1020060087596 A KR 1020060087596A KR 20060087596 A KR20060087596 A KR 20060087596A KR 20080023562 A KR20080023562 A KR 2008002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ound
holder
holder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3562A/ko
Publication of KR2008002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홀더는 모바일기기(50)의 일측에 소리발생부(51)가 구비되고, 상기 모비일기기(50)를 홀더본체(21)가 지지한다. 상기 홀더본체(21)에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소리발생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소리발생부(51)에서 발생된 소리를 모바일기기(50)의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소리보강부(30)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본체(21)의 일측에는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소리보강부(30)는 상기 소리발생부(51)에서 나오는 소리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32)을 가지고 상기 반사면(32)의 상하단에 각각 직교하게 커버(35)가 형성되어 상기 소리발생부(51)에서 나온 소리를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전방으로 빠져나오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본체에 더 구비되는 소리보강부가 홀더본체에 안착되는 모바일기기의 소리를 모아 증폭시키며, 증폭된 소리를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빠져나가게 하여 사용자가 차량운전시 모바일기기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기기, 홀더, 소리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홀더{Holder for mobile devic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모바일기기용 홀더의 전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장착된 모바일기기의 전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인 홀더본체와 소리보강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홀더본체 23: 안착부
25: 고정부 30: 소리보강부
32: 반사면 34: 울림공간
35: 커버 36: 방향전환부
41: 보스 43: 체결보스
50: 모바일기기 51: 소리발생부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바일기기를 장착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DMB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들이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다. 상술한 모바일기기들은 특히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들에게 많은 정보와 오락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행중에도 각종 정보들을 습득할 수 있도록 차량 등의 내부에 모바일기기들을 고정시키는 모바일기기용 홀더가 다량으로 출시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모바일기기용 홀더의 전면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바일기기용 홀더에는 모바일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본체(2)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본체(2)의 하부에는 상기 홀더본체(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받침부(4)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4)는 모바일기기의 저면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홀더본체(2)의 양 측면 일측에는 각각 압착부(6)가 구비된다. 상기 압착부(6)는 모바일기기의 양 측면에 압착되어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착부(6)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홀더본체(2)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 하여 모바일기기의 양 측면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6)의 안쪽 면에는 각각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도록 스폰지(8)가 구비된다. 상기 스폰지(8)와의 마찰에 의해 모바일기기는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본체(2)의 배면 일측에는 호스(10)가 홀더본체(2)의 후방으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호스(10)는 상기 홀더본체(2)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고, 접착부(12)에 연결된다. 상기 접착부(12)는 상기 홀더본체(2)를 차량 내부에 부착시키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홀더본체(2) 상에 모바일기기를 올려놓고, 상기 압착부(6)를 모바일기기의 크기만큼 안쪽으로 슬라이딩시켜 모바일기기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받침부(4)는 모바일기기의 저면을 지지한다. 그런 다음 모바일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텔레비전을 시청하거나 각종 정보들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모바일기기들은 차량 내부의 홀더에 설치되어 운전자들에게 많은 정보와 오락을 제공하게 되는데, 차량 이동시 차체 내외부의 소음으로 인해 모바일기기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디스플레이를 강조하는 디자인 경향에 따라 스피커가 모바일기기의 측면이나 배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스피커의 소리가 운전자가 있는 전방으로 잘 전달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더욱이 스피커가 배면에 설치된 모바일기기가 종래의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모바일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본체(2)에 의하여 상기 스피커가 차폐되어 소리가 작아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기기의 소리를 전방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기기의 음량을 보강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홀더는 일측에 소리발생부가 구비되는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소리발생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소리발생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소리보강부, 그리고 상기 홀더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기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리보강부는 상기 소리발생부에서 나오는 소리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과 상기 반사면의 상하단에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리보강부와 소리발생부 사이에는 울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리보강부에는 상기 울림공간을 상기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개방시켜 울림공간에 전달 된 소리가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소리보강부는 홀더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소리보강부는 홀더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며, 상기 홀더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홀더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의 하단 전면 일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구비되는 소리보강부에 의하여 모바일기기의 소리가 전방으로 빠져나오므로 차량운전시 모바일기기의 소리를 원활히 들을 수 있으며, 소리보강부가 울림통 역할을 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안착된 모바일기기의 전면 외관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인 홀더본체와 소리보강부가 분리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바일기기용 홀더(20)에는 모바일기기(50)의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본체(21)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본체(21)의 하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5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안착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3)는 모바일기기(5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모바일기기(50)의 하단 전면 일 부를 지지한다.
상기 홀더본체(21)의 일측에는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2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5)는 상기 홀더본체(2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25)가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상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모바일기기(50)를 홀더본체(21)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25)는 상기 모바일기기(5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본체(21)의 배면 상단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5)는 상기 모바일기기(50)를 압착하는 방식으로 그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모바일기기(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홀더본체(21)에서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소리발생부(51)(도 4참고)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소리보강부(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기기(50)의 소리발생부(51)가 모바일기기(50)의 배면 일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소리발생부(51)의 후방에 소리보강부(30)가 위치한다.
상기 소리보강부(30)는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전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된 반사면(32)을 가진다. 여기에서 상기 반사면(32)은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면(32)과 상기 모바일기기(50)의 배면과의 거리가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면(32)은 상기 소리발생부(51)에서 나오는 소리를 반사시키며, 소리가 후방으로 퍼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소리발생부(51)에 의하여 소리가 후방으로 누설되지 않는다. 상기 반사면(32)은 소리의 난반사를 줄이기 위해서 부드러운 곡면을 이 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사면(32)의 곡률은 모바일기기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음질과 음량을 최적화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반사면(32)과 상기 모바일기기(50)의 배면 사이에는 소정의 울림공간(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리보강부(30)에는 상기 울림공간(34)의 상부와 하부를 차폐시키는 커버(35)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35)는 상기 반사면(32)의 상하단에서 각각 직교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35)는 상기 울림공간(34)으로 전달된 소리가 소리보강부(30)의 상부와 하부로 퍼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소리보강부(30)의 전단에는 방향전환부(36)가 형성되는데, 상기 방향전환부(36)는 상기 반사면(32)이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부(36)에 의해 상기 울림공간(34)이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전방으로 개방된다. 즉, 상기 방향전환부(36)는 상기 울림공간(34)에 전달된 소리가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전방으로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소리보강부(30)는 상기 홀더본체(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소리보강부(30)가 상기 홀더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의 배면에는 상기 소리보강부(30)를 장착하기 위한 보스(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리보강부(30)의 배면에는 상기 보스(41)와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체결보스(4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43)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44)에 볼트(45)가 삽입되어 홀더본체(2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소리보강부(30)가 상기 홀더 본체(21)에 장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홀더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모바일기기용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우선 모바일기기(50)의 하단부를 상기 홀더본체(21)의 안착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모바일기기(50)의 배면에 형성된 소리발생부(51)와 홀더본체(21)에 구비되는 소리보강부(3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부(25)(도 2 참고)를 눌러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상면을 압착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모바일기기(50)가 홀더본체(21)에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기기를 자동차 내에서 사용한다면, 상기 모바일기기(50)의 전면이 운전자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기기(50)를 작동시키면, 모바일기기(50)의 배면에 형성된 소리발생부(51)를 통해 소리가 나오게 되며, 도 3과 같이 소리발생부(51)에서 나오는 소리는 홀더본체(21)에 구비되는 소리보강부(30)의 반사면(32)에 의해 반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반사된 소리가 울림공간(34)에서 서로 만나게 되면서 소리의 음량이 증가되거나 저음이 보강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상기 소리보강부(30)의 상하면에 커버(35)가 구비됨으로써 울림공간(34)에 모이는 소리가 소리보강부(30)의 상하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위와 같이 울림공간(34)에 전달된 소리는 소리보강부(30)의 방향전환부(36)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기기(50)와 방향전환부(36)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모 바일기기(50)의 전방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부(36)는 울림공간(34)에 있는 소리가 모바일기기(50)의 전방으로 빠져나오도록 그 방향을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소리보강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홀더본체에 안착되는 모바일기기의 소리를 모아 증폭시키며, 증폭된 소리를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빠져나가게 하여 사용자가 차량운전시 모바일기기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리보강부(30)를 별도로 형성하여 홀더본체(21)에 볼트체결에 의해 장착하는 것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소리보강부(30)와 상기 홀더본체(21)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소리보강부(30)가 상기 홀더본체(21)에 다수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홀더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모바일기기용 홀더에 구비되는 소리보강부에서 반사되어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의 전방에서 모바일기기의 소리를 원활히 들을 수 있게 되며, 특히 차량 이동시에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서 모바일기기의 소리가 묻혀서 잘 들리지 않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소리보강부가 울림통역할을 하게 되어 모바일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음량을 증폭시키고 저음도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 홀더에 안착시켜 사용되는 모바일기기의 음질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측에 소리발생부가 구비되는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소리발생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소리발생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소리보강부, 그리고
    상기 홀더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기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보강부는 상기 소리발생부에서 나오는 소리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과 상기 반사면의 상하단에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보강부와 소리발생부 사이에는 울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리보강부에는 상기 울림공간을 상기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개방시켜 울림공간에 전달된 소리가 모바일기기의 전방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보강부는 홀더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보강부는 홀더본체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을 지지하며,
    상기 홀더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홀더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의 하단 전면 일부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홀더.
KR1020060087596A 2006-09-11 2006-09-11 모바일기기용 홀더 KR20080023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96A KR20080023562A (ko) 2006-09-11 2006-09-11 모바일기기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96A KR20080023562A (ko) 2006-09-11 2006-09-11 모바일기기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562A true KR20080023562A (ko) 2008-03-14

Family

ID=3939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596A KR20080023562A (ko) 2006-09-11 2006-09-11 모바일기기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35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1238A (ja) * 2008-09-09 2012-01-19 ゼロ クロマ エルエルシー サポート付電子機器用ホルダー
US8382059B2 (en) 2008-09-09 2013-02-26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WO2013126216A1 (en) * 2012-02-23 2013-08-29 Oh Kwang J Expendable and collapsible sound amplifying cellular phone case
US8960634B2 (en) 2008-09-09 2015-02-24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1238A (ja) * 2008-09-09 2012-01-19 ゼロ クロマ エルエルシー サポート付電子機器用ホルダー
US8382059B2 (en) 2008-09-09 2013-02-26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101366219B1 (ko) * 2008-09-09 2014-02-21 제로 크로마, 엘엘씨 지지대를 가진 전자 장치의 홀더
US8960634B2 (en) 2008-09-09 2015-02-24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9267638B2 (en) 2008-09-09 2016-02-23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9538675B2 (en) 2008-09-09 2017-01-03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WO2013126216A1 (en) * 2012-02-23 2013-08-29 Oh Kwang J Expendable and collapsible sound amplifying cellular phon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094B1 (ko) 텔레비전 세트의 스피커 시스템
EP3546285B1 (en) Automobile headrest and automobile seat
KR960033082A (ko) 텔레비젼 세트의 스피커 시스템
KR20080023562A (ko) 모바일기기용 홀더
US20130329927A1 (en) Audio enhancement device
JP2007251895A (ja) 車両シート内蔵型音響装置
JP2011077637A (ja) 画像表示装置
US6590988B2 (en) Microphone apparatus
US20030183444A1 (en) Sub-woofer system for use in vehicle
JP5811579B2 (ja) 表示装置
US20150194138A1 (en) Keyboard instrument
JP4048820B2 (ja) ドライバーシートの携帯電話接続構造
JP4696869B2 (ja) 露出部材の固定構造
CN113508057B (zh) 车辆前部构造
WO2020080311A1 (ja) 音響出力装置
ITMI20000069A1 (it) Corredo viva voce universale per cellulare
JP200924666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におけるスピーカ構造
JP5113702B2 (ja) スピーカー機能付き建築用パネル
KR200171305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JP2017041745A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10066476A (ko) 자동차의 도어용 반사형 스피커장치
JP2019062335A (ja) 放音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232153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KR20060092971A (ko) 소형 컴퓨터, 핸드폰 및 유사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다목적중간 지지부재를 가지는 모듈형 기기홀더
KR200374905Y1 (ko) 혼을 이용한 트위터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