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988A - 상피 탈층장치(v) 및 이 장치에 유용한 칼날 - Google Patents

상피 탈층장치(v) 및 이 장치에 유용한 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988A
KR20080018988A KR1020077027630A KR20077027630A KR20080018988A KR 20080018988 A KR20080018988 A KR 20080018988A KR 1020077027630 A KR1020077027630 A KR 1020077027630A KR 20077027630 A KR20077027630 A KR 20077027630A KR 20080018988 A KR20080018988 A KR 20080018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epithelium
cornea
epithelial
corn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페레즈
제이 돌튼
폴 세이
매튜 맥도날드
Original Assignee
티슈 엔지니어링 리프랙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슈 엔지니어링 리프랙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슈 엔지니어링 리프랙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61F9/0133Knives or scalpe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설명된 장치는 안과학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칼날, 장치, 및 이들의 이용법은 각막 상피를 눈에서부터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층으로서 분리하거나 들어올려 전형적으로는 각막에 여전히 붙어있는 상태의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상피조직 일부는 주로 피판 또는 주머니의 형태이다. 특히, 본 장치는 각막은 자르지 않는 진동 칼날을 이용하며, 이것은 눈에 있는, 특히 상피와 각막 실질(보우만막) 사이에 있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절단면에서 상피를 분리하도록, 예를 들어 구조 및 윤활성에 의해 구성된 분리장치 또는 절개장치로서 작동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투명판(lamina lucida)의 영역에서 상피를 분리한다. 이 칼날은 무딜 수 있으며, 분리된 상피에 대한 마찰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절개장치 날에서 떨어진 곳에 개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칼날은 무딘 절개 날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상피를 자를 만큼 충분히 날카로운 날을 먼저 형성한 다음, 이것을 각막을 자르지 않고 각막으로부터 상피를 분리하는데 적합한 실질적으로 무딘 날로 전기연마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칼날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윤활재로 코팅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동안 상피에 인접하는 표면 위가 코팅될 수 있다. 분리된 상피가 안구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벗겨져, 상피 피판 또는 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상피는 굴절수술 후에 각막 위에 다시 놓이거나, 아니면 눈에 안구렌즈를 배치한 후 그 안구렌즈의 위에 다시 놓일 수 있다.
Figure 112007085299914-PCT00001
안과, 절개장치, 안구, 안구장치, 렌즈, 상피, 각막, 각막성형술, 굴절교정술, 눈, 시력

Description

상피 탈층장치(V) 및 이 장치에 유용한 칼날{EPITHELIAL DELAMINATING DEVICE(V) AND BLADES USEFUL IN THAT DEVICE}
설명된 장치는 안과학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칼날, 장치, 및 이들의 이용법은 각막 상피를 눈에서부터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층으로서 분리하거나 들어올려 전형적으로는 각막에 여전히 붙어있는 상태의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상피조직 일부는 주로 피판 또는 주머니의 형태이다. 특히, 본 장치는 각막은 자르지 않는 진동 칼날을 이용하며, 이것은 눈에 있는, 특히 상피와 각막 실질(보우만막) 사이에 있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절단면에서 상피를 분리하도록, 예를 들어 구조 및 윤활성에 의해 구성된 분리장치 또는 절개장치로서 작동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투명판(lamina lucida)의 영역에서 상피를 분리한다. 이 칼날은 무딜 수 있으며, 분리된 상피에 대한 마찰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절개장치 날(edge)에서 떨어진 곳에 개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칼날은 무딘 절개 날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상피를 자를 만큼 충분히 날카로운 날을 먼저 형성한 다음, 이것을 각막을 자르지 않고 각막으로부터 상피를 분리하는데 적합한 실질적으로 무딘 날로 전기연마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칼날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윤활재로 코팅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동안 상피에 인접하는 표면 위가 코팅될 수 있다. 분리된 상피가 안구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벗겨져, 상피 피판 또는 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상피는 굴절수술 후에 각막 위에 다시 놓이거나, 아니면 눈에 안구렌즈(ocular lens)를 배치한 후 그 안구렌즈의 위에 다시 놓일 수 있다.
굴절교정수술은 눈의 선천적 시력 또는 초점조절력을 변화시키는 일련의 수술 과정을 말한다. 이들 과정의 결과는 대체로 사람이 선명한 시야를 위해 의존할 수 있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의 필요성을 덜어 준다. 사람의 눈에서 초점조절력은 대부분 공기-액체 계면의 곡률에 의해 규정되는데, 여기서 굴절지수가 최대로 변화한다. 이 곡선형 계면이 각막의 바깥쪽 표면이다. 이 계면의 굴절력이 눈의 전체 확대력의 약 70%를 차지한다. 상을 보이게 하는 광선이 각막, 전방, 수정체 및 유리체액을 통과하여 망막 상에 초점을 맺어서 상을 형성한다. 이 곡선형 공기-각막 계면의 확대력이 시각적인 결함을 외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기회를 굴절교정수술 분야에 제공한다.
초기의 굴절교정수술 과정에서는 각막의 곡률을 평탄화함으로써 근시를 교정했다. 최초의 대단히 성공적인 과정을 방사상 각막절개술(RK; Radial Keratotomy)이라고 한다. RK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널리 사용되었는데, 여기서는 각막 외주에 방사상으로 배향된 절개부를 만들었다. 이들 절개부를 바깥쪽으로 구부려 주변 각막을 재형성함으로써 각막 중앙의 광학부가 평탄하게 된다. 이것은 그런대로 손쉬우며 대중적인 방법이었지만, 안경이나 콘택트렌즈에 대한 의존성을 거의 줄일 수 없었다.
상층각막렌즈이식술(Epikeratophakia)이라고 하는 결함 많은 실패한 과정이 RK의 시기에 개발되었다. 이것은 오늘날에는 본질적으로 학문적인 변칙이다. 상층각막렌즈이식술은 각막 위에 보존된 각막조직의 얇은 층을 이식함으로써 각막의 바깥쪽 곡률에 새로운 곡률을 제공했다. 상층각막렌즈이식술에서 사용된 보존방법은 동결건조인데, 이 경우 각막이 냉동-건조된다. 각막조직은 무세포화되지는 않지만 살아 있지도 않게 된다. 냉동-건조의 과정 중에 각막은 또한 특정한 곡률로 연마된다.
상층각막렌즈이식용 렌즈는 외과적으로 눈에 배치되었다. 상피를 완전히 제거한 후 각막에 환상의 360°절개부를 만드는데, 여기에 상층각막렌즈이식용 렌즈가 놓인다. 이 렌즈의 외주부를 환상 절개부에 삽입하고 연속 봉합하여 그 자리에 고정한다. 상층각막렌즈이식술은 몇몇 문제를 가진다: 1) 실질 섬유아세포가 렌즈에 콜로니를 형성할 때까지 렌즈는 혼탁한 상태로 유지되었는데, 콜로니 형성에는 수 개월이 걸릴 수도 있었다; 2) 이주한 상피가 절개 부위를 따라 렌즈 표면 위에서 자라날 때까지 단절된 상피는 감염의 병소가 되었다; 3) 수술 부위 위에서 아문 상피가 때로 렌즈와 각막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했다. 현재 각막상피렌즈이식술은 그 사용이 제한된다. 그것은 이제는 매우 가파른 콘택트렌즈를 견딜 수 없는 소아 무수정체 환자에게 사용된다.
주된 산업적 연구 노력은 합성 상피렌즈(epilens)에서 합성 온레이(onlay)라고 부르는 상층각막렌즈이식 그라프트의 합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도였다. 상이한 합성 폴리머들(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시드, 리도필콘, 폴 리비닐알콜)이 사용되었다. 이들 재료의 히드로겔은 보통 이들 합성 표면 위에서 상피세포가 성장하여 고착되는 것을 쉽게 하였던 표면을 갖지 않았다. 이것은 합성 온레이의 주된 단점 중 하나였다. 상피세포는 이들 렌즈에서 충분히 아물지 못했다.
이들 합성 렌즈의 또 다른 문제점은 그것이 눈의 표면에 잘 부착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종래의 봉합술은 어려웠으며, 생물학적 아교의 사용도 또한 단점이 있었다. 아교는 각막에 이상적인 생체적합성 물질이 아니었다.
마지막으로, 이들 히드로겔의 투과성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표면 위에 살아 있는 상피세포는 충분한 영양상태를 달성하기가 어려웠다. 각막 상피 영양 흐름은 방수액으로부터 각막을 통해 상피세포 외부까지 흐른다. 결국 산업적 노력은 적당한 합성 상층각막렌즈이식용 렌즈를 개발하지 못하였다.
1990년대 중반 즈음에는 방사상 각막절개술을 대신하여 시작된 레이저로 각막을 조각하는 과정이 충분히 성공했다. 제 1 세대 각막 레이저 절삭술을 굴절교정각막절삭술(PRK; Photorefractive Keratectomy)이라고 한다. PRK에서는 절삭 레이저(예를 들어, 엑시머 레이저)가 각막 상에 초점을 맞춰 각막 표면에 새로운 곡률을 조각한다. PRK에서는 상피가 파괴되면서 새로운 바깥쪽 표면 곡선을 얻는다.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상피는 그 자리에서 다시 자라나거나 아물어야 한다. 이 상피치유기는 상피가 절삭되면서 드러난 각막에 통증이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에게 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PRK 후 초기에는 보는 것이 어려운데, 이 "회복시간"은 수일에서 1주일 이상 지속될 수 있다.
PRK 각막 레이저 절삭술의 후속 변형인 LASIK이 매우 대중화되었다. LASIK 과정은 레이저 각막절삭가공성형술(Laser In Situ Keratomileusis)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현재 대중들에게는 레이저 시력교정술과 같은 의미이다. LASIK에서는 각막 표면으로부터 각막의 바깥쪽 부분(또는 끈 모양의 렌즈 형태 부분)(80 내지 150 마이크론 두께)을 수술로 잘라낸다. 이것은 미세각막절삭기라고 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한다. 미세각막절삭기가 한 가장자리에 경첩형태로 상피와 각막조직을 포함하는 피판을 남긴 채 각막 표면으로부터 원형의 피판을 잘라낸다. 남은 피판을 뒤로 접고, 절제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여 노출된 수술층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재형성한다. 피판은 다시 그 자리에 놓인다. 피판이 다시 제자리에 놓일 때, 이 피판은 레이저-변형 표면에 합치하게 되므로 각막은 새로운 곡률을 얻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피세포는 제거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상피세포는 피판의 가장자리에서 단순히 절개될 뿐이다. 피판이 각막층 위에 다시 배치되면 상피는 절개 부위에서 다시 아문다. 이 과정은 본질적으로 회복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결과가 거의 즉각적이다. 수술시간이 매우 적게 걸리고(각 눈에 15분), 그 결과가 지속적이며 매우 정확하기 때문에, LASIK은 현재 굴절교정수술을 수행하는 최고의 방식으로 고려된다.
고 용적 굴절교정수술 개업의와 일부 학회에서는 레이저 상피하각막절삭가공성형술(LASEK;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eratomileusis)이라고 하는 과정이 최신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LASEK에서는 "피판"이 상피만으로 만들어진다. 이 상피층은 LASIK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막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데, 다만 에탄올 세척 제를 사용한다는 것이 다르다. 절삭 레이저는 바로 드러난 각막 표면 위에 초점을 맞춘다(PRK에서 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그러나, 이 상피 피판이 손상되지는 않는데, 즉 세포 생존능력은 거의 파괴되지만 상피의 물리적 구조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것은 각막 전방 부분의 곡률을 재형성 후 단순히 제자리에 다시 놓으면 되므로 PRK에 비해 회복 시간이 훨씬 적다. 현재 LASEK 방법은 LASIK 만큼 우수하지는 않지만, 그 결과는 PRK보다 좋다.
각막 상피는 전형적으로 약 50㎛ 두께의 다층 상피구조이다. 그것은 각화되어 있지 않다. 바깥쪽 세포는 살아있는 세포로서 자연상태에서 평편상이다. 기저 상피세포는 입방상이며, 보우만막이라고 알려진 구조 위에서 실질 표면 위에 놓여 있다. 기저세포층은 전형적으로 약 1mil의 두께(0.001")이다. 기저세포는 외피, 즉 피부에서 생산되는 것과 동일한 케라틴을 생산한다. 기저 상피세포는 케라틴 5 및 14를 발현하며, 케라틴 6 및 9를 생산하는 각막 상피의 평편상 상피세포로 분화될 가능성이 있다. 각막 상피는 많은 중요한 성질을 가진다: 1) 투명하다; 2) 불투과성이다; 3) 외부 인자에 대한 장벽이다; 4) 고도로 신경화된 조직이다. 각막의 신경은 상피로 직접 이어지므로 이 기관의 결함은 통증을 일으킨다.
상피세포는 데스모솜이라고 하는 막횡단 분자에 의해서 측면끼리 부착된다. 다른 막횡단 단백질인 헤미데스모솜은 콜라켄 7형에 연결되고, 기저 상피세포의 기저측부 표면에 존재한다. 헤미데스모솜은 실질의 밑 콜라겐 부분에 상피를 고정시킨다. 상피와 각막 실질 사이의 접합부를 기저막부(BMZ)라고 한다.
LASEK가 수행될 때, 물리적 우물이 상피 상에 배치되거나 형성되고, 20% 에 탄올과 균형 염 용액의 선택물로 채워진다. 용액과의 접촉은 아마도 상피세포 집단의 일부를 파괴함으로써 상피세포와 BMZ의 부착을 느슨하게 할 것이다. 다음에, 페인트칠된 벽을 벗겨내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피를 밀어냄으로써 상피를 들어올린다. 다음에, 각막 실질의 노출된 콜라겐 부분을 절삭하여 그 표면을 재성형한다. 그 다음, 약화된 상피를 제자리에 다시 돌려보내 붕대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붕대"는 상피를 본래 상태로 회복시키지는 못하는데, 즉 상피의 완전성을 보존하지는 못하므로, 상피의 투명성, 물에 대한 불투과성, 및 장벽기능이 감소된다. 더욱이, 각막 실질 표면에 부착되는 상피의 능력이 손상된다.
Klopotek의 미국특허 제6,099,541호 및 제6,030,398는 각막 상피층을 잘라서 LASIK 또는 다른 재성형 과정을 위해 눈을 준비하기 위한 미세각막절삭기 장치 및 방법 기술한다. 제자리에 다시 놓인 상피는 외과적 기술을 사용하여 부착된다.
인용된 참고문헌 중 어느 것도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발명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Kiistala, U. (1972) "Dermal-Epidermal Separation. II. External Factors in Suction Blister Form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ffect of Tempera-ture," Ann. Clin. Res. 4(4):236-246.
Azar et al. (2001) "Laser Subepithelial Keratomileusis: Electron Micro-scopy and Visual Outcomes of Flap Photorefractive Keratectomy," Curr. Opin. Ophthalmol 12(4):323-328.
Beerens et al. (1975) "Rapid Regeneration of the Dermal-Epidermal Junc-tion After Partial Separation by Vacuum: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J. Invest. Dermatol. 65(6):513-521.
Willsteed et al. (1991) "An Ultrastractural Comparison of Dermo-Epider-mal Separation Techniques," J. Cutan. Pathol. 18(1):8-12.
Van der Leun et al. (1974) "Repair of Dermal-Epidermal Adherence: A Ra-pid Process Observed in Experiments on Blistering with Interrupted Suction," J. Invest. Dermatol, 63(5): 397-401.
Katz S.I. (1984) "The Epidermal Basement Membrane: Structure, Ontogeny and Role in Disease," Ciba. Found. Symp. 108:243-259.
Green et al. (1996) "Desmosomes and Hemidesmosomes: Structure and Func-tion of Molecular Components," FASEB. J. 10(8):871-881.
발명의 개요
본 설명은 각막 실질(예를 들어, 보우만막)은 자르지 않지만, 상피를 통과하여 각막을 자르지 않으면서 상피 아래의 각막표면을 따라 지나가는 충분히 무딘 칼날, 분리장치, 또는 절개장치를 포함한다. 이 비-절단 칼날은 아래의 지지 구조로부터 피판 또는 주머니로서 분리되거나 들어 올려져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한 가장자리에서 각막에 연결되어 있는 일반적으로 연속된 상피층의 형태로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한다. 형성된 상피조직 일부는 굴절교정술 과정이나 굴절렌즈의 배치시에 사용될 수 있다.
칼날은 칼날이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했을 때나 그 일부의 형성 후에 철수될 때 칼날 몸체와 상피 또는 각막 사이의 마찰을 저하시키는 개구를 칼날 몸체에 가질 수 있다. 추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칼날은 이전의 더 날카로운 날을 전기연마함으로써 형성된 날을 가질 수 있다.
본 상피 탈층장치는 최소한 탈층 및 철수 단계 동안 상피와 접촉되는 탈층장치 표면 위에 하나 이상의 윤활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탈층장치 칼날은 수술 도중 이식되는 광학장치, 예를 들어 렌즈를 지니도록 또한 구성된 조합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칼날을 포함하는 상피 탈층장치는 본질적으로 기계적인 분리장치이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칼날이 떨리거나 진동하는 기계적 탈층장치로서,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하는 동안 칼날에 병진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은 LASEK과 같은 재성형 과정을 위한 준비에서 각막으로부터 상피를 제거하거나, 아니면 콘택트렌즈가 포함되는 주머니를 형성하는데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각막 칼날 및 이식물 적용장치의 후면 및 하단면의 투시도이다.
도 2는 각막 칼날이 뒷면 위의 커버를 포함하는 도 1과 유사한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막 칼날의 전면 또는 상단면의 투시도로서, 여기서는 각막 이식물이 이 표면 위에 위치되어 있다.
도 4A는 도 3의 칼날의 원단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칼날의 원단부의 확대 절단 측면도이다.
도 5A는 각막 상피를 분리하고 각막과 각막 상피 사이에 안구장치를 삽입하는데 유용한 안구장치 적용장치의 다른 버전의 상단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안구장치 적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안구장치 적용장치의 하단도이다.
도 6A는 중앙 개구와 이 개구에서 적용장치의 밑에 이식물을 갖는 안구장치 적용장치의 다른 버전의 상단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안구장치 적용장치의 하단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적용장치의 측면도로서, 이식물 렌즈가 배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다른 안구장치 적용장치의 하단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선 L-L'를 통해 본 투시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A의 적용장치와 유사한 적용장치의 상단 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적용장치의 하단 투시도이다.
도 8C는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도 8A의 적용장치의 하단 투시도이다.
도 9A는 각막 상피를 분리하는데 유용한 변형된 무딘 칼날의 상단도이다.
도 9B1 및 9B2는 도 9A의 장치의 측면(또는 축)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장치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10A는 무딘 칼날 상피 분리장치의 제 2 변형의 상단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장치의 측면 또는 축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장치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10D는 도 10A의 장치의 일부분의 클로즈업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A, 11B, 11C 및 11D는 각각 물리적 마찰-저하 특징부를 갖는 변형된 탈층장치 칼날의 상단도, 측면 단면도, 부분 클로즈업 측면도, 및 부분 클로즈업 측면도이다.
도 12A 및 12B는 전기연마를 이용하여 절단 칼날의 무딘 날을 제조하는 것을 도식적 방식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제조된 칼날은 각막 실질로 들어가지 않고 상피를 탈층시키는데 적합하다.
도 13A 및 13B는 사용 도중 유체가 도입되는 통로를 갖는 절단 칼날의 한 변형의 도식적 상단도 및 전면 단면도이다.
도 14A 및 14B는 사용 도중 유체가 도입되는 통로를 갖는 절단 칼날의 다른 변형의 도식적 하단도 및 전면 단면도이다.
도 15A - 15D는 날 윤곽과 함께 나타낸 다양한 칼날의 단면이다.
도 16A - 16C는 다양한 날의 세부적인 각들을 나타낸 상단도이다.
도 17A - 17G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된 탈층장치 절단 칼날과 그것의 구성 부품들 및 렌즈를 나타내며, 도면들은 각각 칼날의 측면 단면도, 칼날의 상단도, 이식물 온레이의 상단도, 실링/유체 전달 플레이트의 하단도, 제자리에 커버 플레이트가 없는 칼날의 하단도, 실링/유체 전달 플레이트의 상단도, 및 실링/유체 전달 플레이트의 단부도이다.
도 18A - 18E는 변형된 탈층장치 절단 칼날과 그것의 구성 부품들 및 렌즈를 나타내며, 여기서 렌즈는 배치 도중 바닥에 장착된다. 이 도면들은 각각 칼날 및 렌즈의 측면 단면도, 칼날의 하단도, 이식물 온레이의 상단도, 칼날의 상단도, 및 칼날 및 렌즈의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도 19A - 19E는 각각 주걱모양 상피 탈층 부재 전체의 상단도, 절단 측면도, 절단 단부도, 단일 윤활면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 및 하나 이상의 윤활면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이다.
도 20A는 원형 상피 탈층장치의 상단도이다.
도 20B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0C는 단부 단면도이다.
도 20D 및 20E는 도 20A의 탈층 구성요소의 단일 및 다수 윤활면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며도이다.
도 21A는 블록-형 상피 탈층장치의 다른 변형의 상단도이다.
도 21B는 이 탈층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1C 및 21D는 각각 상피 콘택트렌즈 위, 그리고 전체 탈층장치 위에 윤활 덮개가 있는 탈층장치의 부분 측면 단면도이다.
도 22A는 돔 모양 영역과 돔 영역 맞은편에 홈을 갖는 각막 상피 탈층장치의 상단도이다.
도 22B는 단부 단면도이다.
도 22C는 도 22A의 탈층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2D는 도 22A 탈층 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2E 및 22F는 각각 단일 윤활면 및 다수 윤활면을 갖는 도 22A의 탈층장치를 나타낸다.
도 23A는 와이어 휩 상피 탈층 부재의 상단도이다.
도 23B는 탈층 부재의 휩의 자유 이동을 나타낸다.
도 23C는 도 23A의 휩 탈층 부재의 제한된 이동 및 제한 지점을 이동함으로써 만들어진 하나의 들어 올려진 상피 영역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 23D는 상피에 부근에 윤활재가 있는 와이어 탈층 부재를 나타낸다.
도 23E는 표면 위에 윤활 코팅이 있는 와이어 탈층장치 부재를 나타낸다.
도 23F는 표면 위에 부분적인 윤활 외피가 있는 와이어 탈층장치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4A는 작은 타원형 탈층 부재를 나타낸다.
도 24B, 24C, 24D 및 24E는 도 24A의 탈층 부재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다양한 움직임 및 이런 조합된 동작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어떤 들어 올려진 상피 영역을 나타낸다.
도 24F 및 24G는 각각 상피 표면이 윤활재로 코팅된 도 24A의 탈층 부재의 단면도 및 윤활재로 코팅된 표면 전체를 나타낸다.
도 25A 및 25B는 각각 일반적으로 연장되지 않은 위치에, 그리고 연장된 위치에 무딘 칼날이 있는 진동장치 또는 절개장치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26A, 26B, 26C 및 26D는 일반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무딘 칼날 및 절개장 치 조립체를 이용하는 단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각막 상피 삽입장치/탈층장치 칼날(8)의 한 버전을 나타낸다. 칼날 (10)은 몸체(12)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대로, 몸체(12)는 제 1 표면(14), 제 1 단부(16), 및 제 2 단부(18)를 가진다. 다시 한번 명확히 하기 위해, 각막 표면 아래가 아니라 상피 제거된 각막 표면 위에("온레이") 이식물 또는 렌즈를 배치하는데 사용된 절단장치를 언급하며 사용되었을 때, 칼날(10) 또는 몸체(12)의 기능적 "절단" 능력은 상피를 관통하여 보우만막으로부터 상피를 분리하고 주머니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주된 날 윤곽 또는 모양, 몸체의 무딤 또는 "날카로움 결여"가 이 기능적 매개변수를 결정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이 능력의 광범한 결정요인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몸체(10)에 적용된 동작이 장치가 눈의 여러 구성요소에 관련되는 것에 따라서 장치의 "절단" 기능성의 범위를 증진시키거나, 아니면 감소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장치가 인레이-타입 이식물의 최종적 배치를 위해 보우만층을 관통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면, 이 장치의 기능적 "절단" 능력은 아주 증진될 것이다.
도면에 관하여, 그리고 절단 시스템이 상피를 관통하여 상피를 각막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사용될 때에만 사용되는, 제 1 표면(14)은 몸체의 후면 또는 하단면 또는 배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제 1 표면 또는 배면(14)은 사용 도중에 환자 또는 각막에 면한다. 이에 더하여, 제 1 단부 또는 원단부(16)는 몸체(12)의 원단부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제 2 단부(18)는 몸체(12)의 근단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원단부(16)는 수술 과정 동안의 초기에는 안구 표면에 접촉한다.
칼날(10)은 몸체(12)의 원단부 영역(22)에 위치한 복수의 개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상세하게 설명된 대로, 개구(20)는 또한 진공 및/또는 유체송달 포트와 같은 포트(port)로서 이해될 수 있다. 개구(20)는 제 1 표면(14)에서부터 맞은편의 제 2 표면(30)(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까지 몸체(1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개구(20)는 2개의 동심원으로 배열된 것이 예시되지만, 다른 절단장치들은 다른 배치형태로 배열된 더 많거나 더 적은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묘사된 대로, 채널(24)이 몸체의 연장부를 통해 연장되어 개구(20)에 유체송달 경로를 제공한다. 도 1에 나타낸 대로, 원단부 영역(22)에서부터 근단부(18)까지 채널(24)이 연장되며, 이 경우 채널(24)은 포트(26)에서 종결된다. 포트(26)는 진공 또는 배출유체 포트 또는 냉각유체 포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채널(24)과 같은 채널이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칼날(10)의 도면을 나타내지만, 채널(24)(여기서는 안보임) 위에 커버(28)가 놓여 있는데, 이 변형에서 커버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다양한 개구(20)를 덮고 있다. 커버(28)는 채널(24) 위에 놓여서 채널(24)을 효과적으로 밀봉함으로써 맞은편 표면(도 3에서 부재번호 30) 위에 있는 것과 같은 개구(20) 부근에 진공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26)에 진공장치 또는 흡인원이 연결되어 채널(24) 및 원단부 영역(22)에 진공을 만들 수 있다. 몸체에 부착된 개별 요소로서 커버(28)가 예시되었지만, 이러한 채널 또는 채널들은, 예를 들어 천공 또는 압출 등에 의해 칼날(10)의 제조 도중에 이러한 연장부(13) 안에 통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서, 채널은 몸체 연장부(13)를 통해 구멍이 뚫려 있거나 내강을 가지므로 커버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도 3은 상피 밑에 이식될 준비가 된 각막 온레이(32)를 가진 상단면 또는 제 2 표면(30)을 나타낸다. 나타낸 이 변형에서, 칼날이 각막 상피를 관통하고 상피를 보우만층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치 부위까지 가게 되는 동안 칼날(12) 위에 각막 온레이(32)를 보유하기 위해 진공, 음압 또는 대기압에 비해 감소된 압력이 제공된다. 도 3에 나타낸 대로, 몸체(12)는 칼날(12)의 상단면, 전면 또는 앞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는 제 2 표면(30)을 가진다. 각막 온레이(32)가 제 2 표면(30) 위에 보유된 것이 예시된다.
본원에 나타낸 그외 다른 변형에서, 각막 온레이(32)는 제 1 표면 또는 하단면(14), 즉 탈층 단계 동안 각막에 인접하는 표면 위에 보유된다.
각막 온레이(32)가 칼날(12) 원단부 영역(22)에 위치된 것이 도시된다. 이 예시된 변형에서, 원단부 영역(22)은 각막 온레이의 최대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최대 직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원단부 영역(22)의 최대 직경은 각막 온레이(32)의 최대 직경보다 약 1% 내지 약 30% 더 클 수 있다. 이 변형에서, 원단부 영역(22)의 최대 직경 또는 폭은 각막 온레이의 최대 직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이로써 주머니 개구의 최대 직경 또는 폭이 각막 온레이의 최대 직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이런 크기결정의 결과, 주머니에서 온레이의 움직임이나 중심이동이 감소된다.
도 4A는 칼날(12)의 원단부 영역(22)의 측면도이다. 원단부 영역(22)은 온레이 지지부(35)의 외주 주변으로 연장된 경사진 가장자리(3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원단부 영역은 원단부 영역(22)의 측면 및 원단부(18) 주변으로 연장된 챔퍼식(chamfered) 가장자리 표면(34), 및 온레이(32)의 근부 주변으로 연장된 경사진 가장자리 표면(36)을 포함한다. 도 4A에 나타낸 변형에서, 챔퍼식 가장자리 표면 (34)은 제 1 표면(14)에서부터 측정가능한 거리에서 종결된다. 챔퍼식 표면(34)의 최외각 가장자리에서 제 1 표면(14)까지의 이 거리가 표면(38)에 반영된다. 경사진 가장자리 표면(36)이 이식 과정 동안 칼날(10)의 원단부 영역(22)에 있는 자리에 각막 온레이를 보유한다. 진공압력이 중단되거나, 아니면 온레이를 보유하기에 불충분할 경우, 경사진 가장자리(36)는 또한 각막 온레이의 움직임을 감소시키는데도 이용된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원단부 단면(22)의 측면 단면도이다. 온레이 지지 영역(35) 위에서 온레이(32)의 위치결정이 명확히 도시된다. 진공/유체 방출유체/냉각유체 접근 구멍(20) 및 이것들과 온레이(32)의 관계가 또한 이 도면에 나타난다. 실링 플레이트(28)의 위치도 도시된다. 선택적 챔버(29)에 의해 실링 플레이트(28)가 지지되는 것이 도시된다. 아래 더 상세히 논의된 대로, 윤활층(31)이 또한 도시된다.
다른 디자인의 칼날(10)이 아래 설명된다. 각막 상피 탈층장치 및 안구장치 삽입장치의 이중 기능을 포함하는 변형에서, "절단장치", "탈층장치", "적용장치", 또는 "안구장치 적용장치"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상호 교환하여 부를 수도 있다.
본원의 어느 곳에 논의된 대로, 각막 상피에서 연속하는 층이 안구 전면에, 또는 기저세포층에, 또는 기저세포층과 보우만막("투명판") 사이의 접합부에 다양한 기계적인 힘을 적용함으로써 안구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연속하는"은 "중단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상피가 각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각종 장치 및 방법들이 각막 상피의 느슨한 피판, 예를 들어 탈층된 상피 가장자리의 50% 미만(주로 약 10%에서 약 50% 사이)이 각막에 부착된 채로 있는 피판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해서는 바람직하게는 각막 상피 주머니, 일반적으로는 탈층된 상피의 가장자리의 50% 내지 75%가 각막에 부착되어 남아 있는 주머니가 제공된다. 탈층된 상피의 가장자리의 50% 내지 95%를 각막에 부착된 채로 남김으로써 탈층된 각막 상피의 반 피판, 또는 타이트한 주머니도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원에 설명된 적용장치에 의하면 각막으로부터 분리된 상피 아래, 탈층된 각막 위에 안구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다음에, 분리된 상피가 삽입된 안구장치의 맨 위에 다시 놓일 수 있다.
적용장치의 다른 변형인 조합 탈층장치/삽입장치는 도 5A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무딘 도구(4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적용장치는 날 영역(42)에서 종결되는 신장된 모양을 가진다. 전체적으로, 이 버전의 적용장치는 도 5B의 적용장치의 윤곽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이 적용장치는 상단 (54) 또는 상부 표면과 하부 또는 하단 표면(56)을 포함한다. 하단면(56)이 도 5C에 도시된다. 탈층된 각막 표면에 면하는 적용장치 영역은 적용장치의 하단면(50)이고, 탈층된 각막 상피에 면하는(또는 삽입 단계 동안 상피 아래쪽에 접하는) 적용장치 영역은 상단면(44)이다. 이 적용장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것이 도시되며, 그 길이를 가로질러 균일한 두께(50)를 가지지만, 다른 모양(예를 들어, 균일하지 않은 두께, "쐐기" 모양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도 5C는 안구장치 홀더(또는 보유 영역)를 예시하며, 이것은 하단면에 있는 공동(60)으로서 도시되는데, 그 안에 안구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맞춰 들어간다.
작업 중에, 적용장치(40)는 적용장치 장착부 또는 핸들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아래 논의된 대로, 이러한 적용장치 장착부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거나, 아니면 구동모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서 구동모터는 날 또는 무딘 첨단 영역(42)을 반복적인 진동운동 방식으로 움직여, 실질 조직을 자르지 않고 각막 상피를 각막 상피 밑의 조직으로부터 분리한다. 날 (42)은 옆으로 움직이는 동작 및 위 아래로 움직이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날은, 예를 들어 첨단 영역의 직경보다 작은 반경을 따라서 원형 또는 반원형 동작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적용작치(40)의 날(42)은 각막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각막 표면으로부터 상피 영역을 탈층시키는 영역이다. 따라서, 날 영역은 이런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어떤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단면 윤곽으로 도 5B에서 날 영역은 쐐기-모양 각이 도시되지만, 날(42)은 그외 다른 윤곽들, 예를 들어 뾰족한 모양, 평평한 모양 또는 곡선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날의 단면 윤곽은 매우 무딘 것에서 매우 날카로운 것(칼날에 가까운)까지 어떤 정도의 무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의 단면 윤곽은 날의 길이 전반에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권은 이 교시가 받아들여져 특정한 일이나 과정의 수행을 위한 도구의 디자인에 적용되는 시점에서 디자이너에게 있다. 예를 들어, 무딘 첨단을 가진 폭이 넓은 적용장치(40)의 선택은, 예를 들어 주머니 안에 큰 콘택트렌즈를 설치하기에 알맞은 큰 상피 주머니를 만들 것이다.
날의 단면 윤곽이 일반적으로 쐐기-모양일 때, 이 날 윤곽의 각도는 합리적인 범위에 걸쳐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 수평으로부터 20°의 각도를 가진 날이 도시된다(수직으로부터 70°). 한 버전에서, 날 윤곽은 5°에서부터 45° 이상까지의 범위이다. 이 각도는 단면 윤곽 전체에서 일정할 수도 있고,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버전에서, 하단면에 가장 가까운 날의 일부는 약 20°일 수 있으며, 이 각도는 이 날이 상부면에 접근할수록 감소한다. 각도는 날에서부터 상단면까지 눈에 보이는 변화는 없는 방식으로 감소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날 윤곽의 급경사는 날이 상부면에 접근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날 영역과 하부면 및 상부면 사이의 변화는 무딜 수도 있고(예를 들어, 매끄러움), 날카로울 수도 있다(예를 들어, 각이 있음).
기능적으로 날(이 변형에서 및 본원에 설명된 다른 변형들에서)은 그것이 각막으로부터 상피를 분리하여 어떤(또는 단지 비실질적인) 각막조직도 부착되지 않은 탈층된 상피층을 만들 수 있을 때 적합한 무딘 상태로서 고려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특정 눈의 특별한 생리학, 예를 들어 흉터부위의 존재를 대부분 다룬다면, 결과의 탈층된 상피층에는 단지 무의미한 양의 각막조직이 부착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탈층된 상피에는 각막조직이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날 영역(도 5A의 부재번호 42로 나타낸 바와 같은)의 크기 및 모양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의 크기 및 모양은 적용장치의 의도된 용도와 바람직한 피판 또는 주머니의 크기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5A에서, 반원 날 영역이 도시된다. 본원에 설명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어떤 모양도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 영역은 삽-모양, 심장-모양, 직사각형 등일 수도 있고, 단순히 평평할 수도 있다. 날 영역의 크기(예를 들어, 폭)도 또한 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도면에서 날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것이 도시되었지만, 이 날 영역은, 예를 들어 각막의 약간의 굴곡에 보다 잘 합치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삽입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날 영역 모양의 다른 예들이 미국 특허출원 10/346,664(1/17/2003 제출) 및 미국 가 출원 60/505,219(9/22/2003 제출)에 포함되며, 이것들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자료로서 인용된다.
평평한 또는 평면인 삽입장치가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지만, 이들 용어는 한 축에서(예를 들어, 옆으로) 그리고 또 다른 축에서(예를 들어, 앞뒤로) 굴곡을 갖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각막 표면으로부터 상피의 기계적인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삽입장치의 날은 상피 표면을 추가로 준비하거나 조작하여 또는 이러한 추가의 준비나 조작 없이 상피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용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상피에 칼로 금을 긋거나, 아니면 다른 식으로 파괴(예를 들어, 천자, 째기 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용장치는 초기 손상되지 않은 상피에 사용될 수 있다.
삽입장치의 날은 그것이 각막으로부터 상피층을 탈층시킴에 따라 날에 적용되는 힘을 견디기에 충분한 어떤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 영역은 금속, 세라믹, 또는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유사한 또는 상이한 재료로 코팅될 수도 있다. 재료 및 코팅은 각막이나 상피세포의 손상 없이 각막에서 상피를 탈층시키는 날의 능력이 증진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은 연마(예를 들어, 전기연마)된 또는 코팅된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날 재료는 적용장치의 축 영역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살아있는 조직에 사용될 목적의 적용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멸균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이 날은 치유과정을 돕거나, 통증을 줄이거나, 또는 각막이 광학 이식물을 받아들이는 것을 돕기 위한 치료학적 성질(예를 들어, 의약, 성장인자 등)을 통합시킨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 영역(또는 적용장치의 어떤 영역)은 눈과 접촉하는 동안 중합체 매트릭스로부터 의약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용장치의 한 변형에서, 탈층 날은 이식되는 안구장치의 적어도 한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날은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렌즈나, 또는 아직 완전히 수화되지는 않은 친수성 렌즈의 부분일 수 있다. 렌즈는 안구장치 홀더에 의해 보유되며, 최소한 렌즈의 영역이 적용장치로부터 돌출되어 각막 표면으로부터 상피층을 탈층시키는데 사용된다. 탈층 및 각막 실질 위에서 렌즈의 위치를 결정한 후 렌즈가 적용장치로부터 놓여나 제자리에 고정된다. 다음에, 렌즈는 제자리에 남기면서 적용장치가 제거된다(그리고 필요에 따라 렌즈가 수화된다).
적용장치(40)의 상단면(44) 및 하단면(46)(축 영역(64)을 포함함)은 또한 적용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적용장치의 상단면(44)은 적용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새로 탈층되는 각막 상피와 접촉한다. 적용장치의 상단의 표면 특성은 적용장치와 탈층된 각막 상피층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용장치의 상단은 연마에 의해,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재료(예를 들어, 생체적합성 윤활제)로 코팅함으로써 매끄럽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단 영역(44)은 상피층에 관하여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또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생체적합성 윤활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찰계수가 낮은 적합한 중합 재료들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폴리비닐(PVC),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나일론과 같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이것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특히, 윤활 중합체는 폴리술폰류, 폴리크실렌(예를 들어, PARALENE), 불화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TFE), 에틸렌-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ECTFE), 불화에틸렌프로필렌(FEP),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 TFE), 불화폴리비닐(PVF), 불화폴리비닐리덴(PVDF), 이것들의 혼합물, 합금, 공중합체, 블럭 공중합체 등등을 포함한다.
마찰계수가 낮은 적합한 친수성 중합체는 에틸렌옥시드와 같은 단량체 및 그것의 고급 동족체, 즉 2-비닐피리딘; N-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모노-메톡시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톡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알콕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다른 친수성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그 염들;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술폰산 및 그 염들;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어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다당류, 예를 들어 아밀로오스, 펙틴, 아밀로펙틴, 알긴산, 및 교차결합 헤파린; 무수말레산; 알데히드류로 제조된 것들을 포함한다. 이들 단량체는 동종중합체 또는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장치의 코팅에서는 대신하여 더 이상의 중합을 위해 이들 단량체의 올리고머도 사용된다.
다른 적합한 윤활재는 다이아몬드, 질화탄소, 탄화규소, 다이아몬드-유사 탄소(DLC), 및 다양한 다른 증착 또는 열분해 탄소 필름들과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적용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사용 도중 방출되도록 치료학적 재료(예를 들어, 의약 등)를 통합되지 않은 형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적용장치 전체, 또는 적용장치의 일부분이 치료학적 성질을 가진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아니면 치료학적 성질을 가진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또는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적용장치의 상단과 탈층된 상피 사이의 마찰은 전체적인 벌크 부피나, 또는 탈층된 상피와 접촉하는 표면적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날이 고리(121)를 포함하는 적용장치를 도시한다. 이 버전에서는, 적용장치(100)의 상단의 표면적이 개구(123)의 존재로 인해 감소되었기 때문에 마찰이 감소된다.
또한, 도 6A 및 6B는 적용장치 장착부에 적용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부착 부위(65)가 도시된다. 적용장치(40)는 적용장치의 탈층 날에서 가장 먼 적용장치의 단부에서 적용장치 장착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버전에서, 구동장치가 적용장치 위의 부착 부위(65)에 연결된다. 구동장치는 전체 적용장치를 진동시키거나, 또는 적용장치의 날 영역을 우세하게 진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안구장치 적용장치는 이식될 안구장치를 보유하는 안구장치 홀더("홀더")를 포함한다. 도 7A는 안구장치가 적용장치(42)의 하단면에 있는 홈에 놓여있는 안구장치 홀더의 버전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홀더는 안구장치를 적용장치 위에(또는 안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한다. 일단 적용장치가 각막으로부터 충분히 상피를 분리시킨 다음 홀더가 고정된 안구장치를 풀어 놓으며, 이로써 안구장치가 탈층된 영역에 꼭 맞춰 들어가게 된다.
도 1-4B에 있는 배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 7A의 안구장치 홀더는 안구장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과 합치한다. 안구장치 홀더는 안구장치의 적어도 외부 표면과 합치될 수도 있고, 안구장치를 완전히 둘러쌀 수도 있다. 도 7A에 나타낸 장치는 홀더 영역(60)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 안에 렌즈가 꼭 맞춰 들어감으로써 렌즈가 하단측(46)의 평면을 넘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5A-5C 및 6A-6C에 나타낸 장치에서, 안구장치 홀더(60)는 적용장치의 하단에 공동을 형성하며, 거기에 안구장치가 꼭 맞춰 들어가게 된다. 이 홀더는 적용장치(42)의 탈층 날 부근에 있으며, 홀더가 이 날에 의해 적어도 3면에서 둘러싸여 있다. 홀더가 반드시 적용장치의 하단에 있는 홈일 필요는 없다. 홀더는 적용장치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적용장치의 하단에 또는 하단 부근에 홀더를 배치함으로써, 적합한 크기의 각막 영역을 탈층한 후, 적용장치가 안구장치를 아래에 놓을 수 있게 된다.
홀더 또는 보유 영역은 적용장치의 상단과 하단 모두에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A, 6B, 및 6C 참조). 특히, 도 6C는 칼날(42) 아래의 보유 영역 안에 놓여 있지만, 고리(61)의 상단으로부터 칼날(42)을 통해서 연장되어 있는 렌즈(47)를 도시한다.
안구장치 홀더는 탈층 전과 탈층 도중에 안구장치를 보유하며, 탈층이 실질적으로 완료된 후 안구장치를 풀어 놓는다. 안구장치는 안구장치에 힘을 적용함으로써, 또는 유리되는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홀더에 보유되고, 및/또는 홀더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대로, 안구장치는 진공을 적용함으로써 안구장치 홀더에 보유될 수 있다. 도 7A에 나타낸 대로 하나 이상의 채널(67)이 홀더에 연결된다. 이 채널(67)을 통해서 억지력이 홀더 안의 안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홀더 안에 안구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음의 힘이 적용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진공을 끌어냄으로써), 홀더로부터 안구장치를 해제시키기 위해 양의 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압력(또는 어떤 다른 기체)이 채널을 통해 적용되어 안구장치가 해제될 수 있다. 안구장치를 해제하기 위해 유체압력(예를 들어, 채널을 통해 보내지는 물이나 식염수)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적용장치에서 안구장치를 제어가능하게 보유 및 해제하기 위해 어떤 유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채널은 눈에 다른 유용한 물질(예를 들어, 식염수, 의약 등과 같은 액체)을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냉각액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안구장치는 유리가능한 접착제에 의해 홀더에 보유될 수 있다. 특히, 용해가능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버전에서, 수용성 재료가 그것이 삽입된 후 유리될 준비가 될 때까지 홀더에 안구장치를 고정시킨다. 다음에, 물이나 식염수 또는 다른 유체가 적용되어 접착제를 용해시킬 수 있다. 수용성 재료의 예는, 제한은 아니지만, 폴리비닐알코올(PVA)과 같은 중합체, 히알루론산(HA)과 같은 생체중합체, 및 다당류를 포함한다. 접착제를 유리시키는 유체(예를 들어, 식염수, 물, 또는 다른 유리한 유체)의 적용에 의해 접착제의 용해나 유리가 일어나며, 이로써 안구장치의 이식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용액은 국소적으로(예를 들어, 채널(67)을 통해), 또는 각막의 보다 넓은 영역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A, 8B, 및 8C는 도 7A 및 7B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주걱-모양 적용장치를 도시한다. 도 8B에서, 채널(67)은 더 원단부에서, 힘을 적용하여 홀더(60)에서 안구장치를 보유하거나 해제하도록 조절되는 진공원 또는 공기나 액체의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에 안구장치 홀더 영역(60)을 연결한다. 홀더(60)의 안쪽 부분은 안구장치 홀더(60)에 보유된 안구장치 전체에 힘을 분포시키기 위한 추가의 채널(69)을 포함한다. 도 8B에 나타낸 채널(67)은 개방된 것이 묘사되지만, 전형적으로는 압력이 홀더에 전달될 수 있도록 봉해진다.
도 8C는 안구장치(71)(렌즈)를 보유한 홀더(60)를 도시한다. 홀더에 연결된 채널(67)은 외부 외피(예를 들어, 테이프)로 밀봉되었다. 채널은 적용장치의 안에 통합될 수 있다.
작업 시에 적용장치는 적용장치 장착부, 핸들, 또는 사용자가 각막을 가로질러 칼날 또는 적용장치를 움직이고 선택된 이식물을 원하는 부위에 부착하는 것을 보조하고 도록 다양하게 구성된 시스템에 부착될 수 있다.
적용장치는 별도의 부품들(예를 들어, 날, 홀더 등)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도 있고, 아니면 하나의 피스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용장치는 사출성형되거나, 모양으로 미세-압형될 수 있다. 적용장치의 크기는 디자이너에 의해 선택되며, 이 장치가 주로 중심에 놓이게 되는 장치의 의도된 용도에 많은 부분 의존한다. 적용장치의 치수는 전형적으로 날이 기저세포층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 예를 들어 약 1/2mil 내지 3.5mil(0.0005 내지 0.0035")을 가지도록 선택되며, 주로 약 1.0mil 내지 3.0mil(0.001 내지 0.003")이다. 예를 들어, 적용장치의 날은 약 2.0mil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9A는 설명된 절개장치(80)의 상단도이다. 나중에 논의되는 대로, 절개장치(80)-본원에서는 또한 무딘 칼날 또는 분리장치로서 명명된다-는 칼날 몸체(82)를 포함하는데, 무딘 몸체 날(84)이 칼날 몸체(82)의 실질적인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설명된 절개장치(80)의 이 변형은 일반적으로 곡선 모양의 무딘 날(84)을 포함한다. 그것은 타원형이거나 원형 모양의 일부일 수 있다. 분리 단계 동안 칼날 몸체(82)는 대체로 옆으로 진동하므로, 칼날 날(84)의 측면의 어떤 부분이 각막으로부터 상피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칼날(80)의 이 변형에서, 칼날 몸체(82)는 커다란 개구(86)를 포함한다. 개구(86)는 칼날 몸체(82)에 위치하며, 이로써 그것이 상피 아래로 각막을 가로지름에 따라, 칼날이 이러한 개구를 갖지 않을 때보다 절개장치가 칼날 몸체(82)와 상피 사이에 훨씬 적은 수준의 마찰을 초래하게 된다. 개구(86)가 원형인 경우 개구의 직경은 칼날 날(84)의 직경(88)의 75-85% 정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개구는 칼날 직경(88)의 10-15% 정도로 작을 때조차도 이점을 제공한다.
도 9A-9C에 논의된 칼날 몸체(82)의 변형은 떨림장치 또는 진동장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은 죔쇠를 위한 확장부(90) 또는 목 및 개구(9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죔쇠 배열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하기 논의된 대로 칼날 몸체(82)는 대안으로서 상피제거 조립체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도 9B1은 각막측(92) 및 상피측(94)을 갖는 칼날 몸체(82)를 가진 변형의 측면 단면도를 제공한다. 이 변형에서, 각막측(92)은 오목하며, 치료될 각막의 모양과 합치하는 또는 유사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9B2는 각막측(92)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경우인 각막측(92)의 또 다른 변형의 측면 단면도이다. 각막측(96)의 적합한 곡률은 각막의 반경에서 직선에 의해 형성된 이론적인 무한 반경까지의 값으로 연장된다.
도 9C는 무딘 날(84)과 중앙 개구(86)를 도시한 칼날 몸체(82)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10A-10D는 평평한 단면(100)이 상피측(102)에 위치한 절개장치 또는 무딘 칼날(98)의 또 다른 변형을 도시한다. 평평한 영역 또는 단면(100)은 도 9A의 칼날 몸체(82)에 있는 개구(86)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마찰 감소 영역으로 작용한다.
도 10B는 평평한 단면(100)을 갖는 무딘 칼날(98)의 단면을 도시한다. 칼날 날(104)은 도 9A의 무딘 날(82)과 유사하게 위치된다.
도 10C는 평평한 단면(100)을 도시한 무딘 분리 칼날(98)의 단부 단면을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0D는 상피측(102)의 평평한 영역(100)과 각막측(98)의 굴곡의 접합부의 클로즈업한 단면을 도시한다.
절개장치 칼날과 분리된 상피 사이의 부수적인 마찰을 저하시키는 다른 디자인들도 적합하다. 예를 들어, 칼날의 상피측은 마찰을 저하시키도록 디자인된 물리적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A-11D는 물리적 마찰-감소 디자인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칼날(60) 또는 무딘 절개장치 칼날의 다른 변형을 도시한다. 묘사된 칼날 변형(60)은 나머지 도면 대부분에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일반적인 타입의 무딘 절개장치 날(132)을 포함하지만, 칼날(60)의 상피면(138)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미끄러짐에 따라 상피와의 매우 적은 접촉 조각을 가지도록 의도된 다수의 긴 릿지-유사 구조(136)를 갖는 마찰 감소 영역(134)을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묘사된 칼날(60)은 칼날 몸체(140)을 통한 개구를 갖지 않는 것이 도시되었지만, 물론 릿지 구조(136) 중에서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허용될 것이다.
도 11B는 절단 칼날(60)을 다시 도시한다. 이 도면은 도 11A에 주지된 단면의 단면도이다. 이것은 칼날 몸체(140)의 상피측(138)으로부터 연장된 릿지(136)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칼날 몸체(140)가 릿지(136) 영역에서 평평하거나 평평할 수 있는 것을 도 11B에서 볼 수 있다.
도 11C는 도 11B의 원형 영역(142)을 도시한다. 또한, 도 11C는 이 묘사된 변형에서 칼날의 각막측(144)이 다소 오목한 것을 도시한다.
도 11D는 도 11C에 도시된 확대된 영역(142)의 단부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1D는 다시 오목면(144), 상피측(138), 및 매끄러운 릿지(136)를 도시한다.
설명된 칼날(및 상피 탈층에 칼날이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경우의 본원에 설명된 나머지 칼날 변형들)의 칼날 날은 대안으로서 "상피 절개장치 날"로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들 날은 "무딘"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논의로부터 확장하여, 용어 "무딘"은 날이 25° 미만의 각막 접촉면에 대한 각으로 축 방향으로(칼날 접근과 관련하여) 지나갈 때, 이 날이 기능적으로 각막, 또는 보우만막을 절단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동시에 칼날이 각막 위를 지나감에 따라 칼날 날은 상피층을 관통하여 지나가서 분리된 또는 들어 올려진 상피조직 일부으로 상피조직을 분리할 수 있다. 눈의 구조가 어떤 비정상적 특징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이 분리는 일반적으로 투명판에서 일어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경우 흉터조직은 절개장치가 상피 아래에서 약간 상이한 또는 중단된 경로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칼날의 특정한 형태나 윤곽은 상기 설명된 무딘 칼날의 물리적 마찰 감소 특징에 맞는 재료는 아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각막조직, 예를 들어 보우만막을 자를 만큼 충분히 날카로울 수 있는 것을 바로 연마하는 것보다는 칼날 날에 구체적으로 전기연마 단계를 사용하여 칼날 날을 형성하는 것이 상당히 유용한 칼날 날을 제조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전기연마는 전류를 이용하여 고도로 이온성인 용액 중에서 금속을 전해질 제거하는 것이다. 그것은 "역전기도금"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전기연마는 대체로 현미경적으로 매끄럽고 반사하는 표면을 만든다. 어떤 전기연마 과정에서 가장 날카로운 지점 또는 날에서 발견된 전류밀도가 우선적으로 이들 부위, 울퉁불퉁함, 또는 가장자리를 제거하거나 연마하며, 설명된 칼날과 함께 사용되었을 때는, 무딘 칼날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블랭크 칼날을 무디게 하고, 각막조직을 자르지 않고 각막으로부터 상피조직을 기능적으로 분리하는 균일한 날을 제공할 것이다. 설명된 무딘 칼날을 위해 사용된 블랭크 칼날을 전기연마하는데 사용된 온도는 잘 공지되어 있으며, 이 과정의 공개된 문헌들에서 쉽게 찾아진다. 이 온도는 실온에서 약간 상승된 온도, 예를 들어 110℉ 내지 160℉일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 블랭크 칼날에 적용된 전압은 전형적으로 6-30볼트의 범위에 있을 수 있지만, 이 범위의 끝의 가장 낮은 전압이 대체로 사용된다. 전류량은 블랭크 칼날 면적의 제곱 피트 당 5 내지 30amp일 수 있다. 산성 첨가제, 예를 들어 황산이나 인산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2A는 전형적인 스테인리스 스틸제 블랭크 칼날(152)의 날(150)의 단면을 도시한다. 칼날 날(150)은 상당히 날카로운 것이 도시되며, 이 예에서는 각막조직을 자르는데 적합한 날카로움을 가진다. 도 12A에 도시된 여러 화살표(154)는 이 과정의 전류밀도의 도식적 표시이다. 전류밀도(154)는 블랭크 칼날의 날(150)에서 높고 그외 다른 곳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 과정 동안 날(150)의 날카로움이 우선적으로 제거되어 도 12B에 도시된 무딘 날(156)이 만들어진다. 여기 명시된 기능적 결과에 도달하는데 적합한 다른 칼날 날도 있다. 나머지 모양의 일부가 아래 논의될 것이다.
다양한 절단, 삽입장치, 및 절개장치 칼날이 상기 논의된 여러 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각막에서 상피를 분리하는 과정 동안 상피 또는 각막에 유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식염수액과 같은 냉각된 유체는 대체로 제조된 분리된 상피조직 일부에 예상된 생육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3A는 칼날(160) 상피측(164) 위에 놓인 유체(162)를 위한 홈을 가진 절단 칼날(160)의 상부도이다. 도 13B는 홈(166)이 있는 도 13A의 칼날의 단면도이다. 외부 홈(166)이 바깥쪽에 있는 것이 도시되지만, 상피 아래에(또는 상피에 대해 개방된) 또는 각막 위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짐으로써 분리 단계 또는 칼날 제거 동안 또는 그 사이의 어떤 시기에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로는 봉해질 수도 있다.
도 14A는 통로(170)를 갖는 유사한 변형(168)을 도시하며, 이 경우 도 14B에 나타낸 대로, 통로 또는 채널(170)이 무딘 칼날(160) 각막측(172) 위에 위치된다.
도 15A-15D는 설명된 절단 칼날에 사용하기에 도식적으로 적합한 다양한 "무딘" 칼날 날을 도시한다. 도 15A는 날(182)을 가진 칼날(180)을 도시하며, 여기서 날은 각막측에서 약간 볼록한 윤곽(184)을 가진다. 도 15B는 약간 오목한 모양의 각막측(186) 위 모양을 가진 무딘 칼날(180)을 도시한다. 도 15C는 각막측의 비드 또는 릿지(188)를 가진 무딘 칼날을 도시한다. 도 15D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각막측(190)을 가진 칼날(180)을 도시한다.
봉해진,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해진 주머니를 형성하는 상피조직 일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절단장치 또는 절개장치 칼날의 변형에서, 이 일부의 날이 각막 표면에 대해 힌지 또는 다른 회전지점을 형성할 수 없는, 예를 들어 주머니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없는 위치 및 타입을 가진다는 점에서, 이것은 칼날의 축의 이 면에서, 또는 적어도 축을 벗어나서 분리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칼날 몸체가 옆으로 동작하며, 또는 본질적으로 엄격히 축을 기준으로 하지 않는 다른 동작으로 진동할 수 있으므로, 칼날의 분리 날은 칼날의 선두 날의 상당한 부분을 세분하는 "분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는 약 180°인 각(204)을 세분하는 칼날 날(202)을 갖는 칼날(200)을 도시한다. 도 16B는 칼날(206)의 다른 변형을 도시하는데, 여기서는 선두 날(208)이 210° 내지 225°의 각(210)을 세분하는 분리면을 포함한다. 도 16C는 칼날 몸체(212)의 아마도 270° 내지 280°를 세분하는 분리 날(214)을 갖는 칼날 몸체를 도시한다. 유사한 개념이 부분적으로 원형이 아닌 다른 모양을 갖는 칼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무딘 칼날은 다양한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스테인리스 스틸 및 스프링 스틸이 칼날 재료로 매우 적합하지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카보네이트류와 같은 중합 재료가 설명된 무딘 칼날의 선택된 디자인 또는 변형들에 적합하다.
상기 언급된 대로, 설명된 상피 탈층장치 칼날은 하나 이상의 표면 위에 윤활재를 사용할 수 있다. 윤활재는 영구적(즉, 상피 탈층 단계 내내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가 지속됨), 일시적(즉, 고체, 겔, 또는 미립자 재료, 아마 유체 중에 현탁되며, 상피 탈층 단계 동안 부피나 두께가 감소함), 반응성(즉, 상피 탈층 단계 동안 또는 바로 전에 물과 반응하여 미끄러운 재료를 형성하는 히드로겔 또는 다른 중합 재료), 및 유체 윤활제(즉, 탈층장치에 도입되는 유체) 등 여러 가지 몇 가지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탈층장치는 수술하는 동안 윤활재로 완전히 덮일 수도 있고, 윤활재로 부분적으로 덮일 수도 있다. 특히, 상피 탈층 동안 상피와 접촉하는 탈층장치 칼날의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윤활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비해서 각막측은 덜 윤활성이다.
도 17A-17D는 상기 도 1-4에 나타낸 탈층장치 절단 칼날(10)의 변형(240)을 도시한다. 이 변형은 또한 이식될 렌즈들(또는 다른 온레이 또는 이식물)을 동시에 배치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이 도면은 하위 구성요소 부품들 및 지니고 있는 렌즈(242)를 도시한다.
도 17A는 탈층장치(240) 및 지닌 렌즈(242)의 단면도이다. 렌즈(242)는 명확한 설명 및 상세한 묘사를 위해 탈층장치(240)의 면으로부터 약간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시된 탈층장치(240)는 돔형 단면(244) 및 실링 플레이트(246)를 포함한다. 돔형 단면(244)의 상단도와 하단도가 각각 도 17B 및 17E에 도시되는데, 전자의 도면에서는 렌즈(242)가 제거되고, 후자의 도면에서는 실링 플레이트(246)가 제거된다. 렌즈(242)는 도 17C에 상단도로서 따로 도시된다. 실링 플레이트(246)는 도 17D에 상단도로서 따로 도시된다.
도 17A의 돔형 단면(244)으로 돌아가서, 이 변형은 상부면(248) 위에 렌즈를 지니도록 개조된다. 상부면(248)은 적어도 대략 렌즈(242)의 하면(250)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면(254)에서부터 상부면(248) 및 렌즈(242)까지 진공을 전달하는 다양한 크기 및 위치의 통로(252)가 도시된다. 진공은 송달될 때까지 제자리에 렌즈(242)를 보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아래 더 상세히 나타낸 대로, 상부면 (248)은 렌즈 삽입 과정의 진입 단계 동안 렌즈(242) 가장자리가 더 쉽게 상피 아래를 가로질러 지나가도록 하는 릿지(253)를 갖는 삽입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하여, 상부면(248)은 적어도 렌즈(242)와 접촉하는 표면과, 탈층장치(240)를 도입하고 렌즈(242)를 배치한 후 그것을 철수하는 도중에 상피와 접촉하는 표면들 위에 윤활 외피 또는 코팅(25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층장치(240)의 나머지 부분도 윤활제로 처리될 수 있지만, 본 출원인은 이러한 처리가 제한적인 이점을 추가할 뿐임을 밝혀냈다. 도 4B는 매우 유사한 변형의 부분적 윤활 외피(31)를 도시한다.
도 17A, 17B, 및 17E는 각각 초기에 상피를 관통한 다음 각막, 보우만층에서 상피를 분리하는 기능을 가진 선두 날(262)을 도시한다. 이 날의 허용가능한 모양, 단면 및 인접 경사로가 아래에서 그리고 본원 다른 곳에서 논의된다.
도 17A로 다시 돌아가서, 실링 플레이트(246)와 돔형 단면(240)의 하면(254) 사이에 형성된 챔버(256)도 역시 식염수나 물(및 바람직한 경우 의약)과 같은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여 해제 단계의 일부로서 상부면(248)에서부터 렌즈(242)로 보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7F 및 17G에 나타낸 대로, 챔버(256)가 다수의 독립적인 챔버들로 분리되고, 바람직하다면, 드라이버 렉(260)을 통해서 독립적인 통로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드라이버 렉(260)에 있는 독립적인 통로(262, 264)는 기계작업, 주조 등에 의해 거기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챔버(256)는 실링 플레이트(246)에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벽 또는 벽들(270)에 의해 독립적인 챔버(266, 268)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7F 및 17G는 이러한 변형의 상단도 및 단부도를 도시하는데, 이 변형은 독립적인 챔버들을 위한 분리된 유로들을 가진다. 이 변형에서, 하나의 굽이진 벽 (270)이 두 챔버(266, 268)를 제공하며, 이 예에서는 돔형 단면을 통해 분리된 세트의 통로에 접근한다. 한 챔버(268)는 개구(252)의 외부 원 및 중앙 개구(251)에 접근한다. 다른 챔버는 도 17B 및 17E에 도시된 돔형 단면(244)에 있는 나머지 4개 개구(253)에 접근한다. 통로 및 챔버는 분리되어, 예를 들어 돔형 단면(244)에 있는 분리된 통로들(250)에 진공 또는 식염수에 의한 개별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개별 접근이 때로는 바람직함을 발견했다. 돔형 단면(244)에 있는 다수의 작은 통로 또는 개구들(252)에 의해서 제공된 렌즈 가장자리에 분포된 진공이 삽입장치/탈층장치(240)의 삽입 동안 렌즈 안정성을 돕는 것 같다. 물이나 식염수의 통로인 돔형 단면(244)의 중앙에 있는 큰 관통-통로 또는 개구(250)는 바람직한 경우 렌즈의 해제를 돕는 것 같다.
도 17B는 도 17A의 돔형 단면(244)의 상단도이다. 삽입된 날(235)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방된 통로(251, 252, 255)를 볼 수 있다.
도 17C는 선택된 렌즈(242)의 상단도이다. 이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렌즈는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논의된 대로, 이것은 부드럽고 유연할 수도 있고, 아니면 안과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하드렌즈일 수도 있다. 이 렌즈들은 친수성 또는 소수성 중합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이것들의 혼합물, 이들 재료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복합체, 다층 구조물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17D는 실링 플레이트(246)의 상단도이다.
도 17E는 실링 플레이트(도 17D의 부재번호 246)가 제거된 돔형 단면(244)의 하단도이다. 실링 플레이트(246)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사개(267)를 볼 수 있다. 돔형 단면(244)을 통한 다양한 통로 또는 개구(251, 252, 255)를 또한 볼 수 있다.
또한, 보유 진공을 전달하고 여러 개방된 통로(251, 252, 255)로 유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통로를 사용하여, 이들 여러 개방된 통로(251, 252, 255) 중 하나 이상으로 냉각유체를 보내어 주머니 안의 상피나 각막을 냉각할 수 있다.
도 18A-18E는 탈층장치/칼날(290)의 다른 변형, 특히 돔형 단면(292) 및 그것에 수반하는 렌즈(294)를 도시한다. 이 변형은 돔형 단면(292) 밑에 이식물 렌즈(294)를 지닌다.
도 18A는 탈층장치(290), 돔형 단면(292), 실링 플레이트(306), 그리고 그것에 수반되는 렌즈(294)의 측면 단면도이다. 돔형 단면(292) 밑의 챔버(298)는 송달 동안 렌즈(294)를 보유하고, 원하는 전개 부위가 획득되었을 때 렌즈(294)를 제어가능하게 해제시키도록 개조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송달하는 동안 돔형 단면(292) 안에 렌즈(294)를 보유하는 한 방식이 도 18B에 나타낸 하단도에 묘사된다. 여러 홈(300)이 돔형 단면(292)의 하면(302)에 배치될 수 있다. 홈(300)은 이 홈들에 진공이 지나가도록 실링 플레이트(306) 밑의 팔 부분(308)에 있는 통로(304)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들과 동일한 통로 및 홈을 사용하여 도 18A 및 18C에서 렌즈(294)를 해제하기 위한 물이나 식염수와 같은 유체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8A 및 18B는 상피를 초기에 관통한 다음 각막, 보우만층에서 상피를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탈층장치(290)의 선두 날(310)을 도시한다. 이 날의 적합한 모양, 단면, 및 인접한 경사로는 다른 곳에서 논의된다.
도 18C는 렌즈(294)의 상단도이다.
도 18D는 돔형 단면(292)의 상단도이다.
도 18E는 도 18A에 나타낸 상피 탈층장치(290)의 부분 클로즈업 단면도이다. 특히, 도 18E는 탈층장치 칼날이 탈층 과정 동안 상피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탈층장치의 상부면 위에 윤활 코팅(318)이 존재하는 것을 도시한다.
다시, 본원에 논의된 다양한 상피 탈층장치 각각은 이식 및 탈층 단계 동안 이식물을 고정하고, 본원의 교시를 이용하여 이식물을 해제하도록 개조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의 도면들은 여러 탈층장치 모양 및 윤활재의 배치를 도시하며, 어떤 경우 형성된 상피 영역의 가능한 모양을 도시한다. 어떤 예들에서, 탈층장치는 탈층 단계 동안 동시 배치되는 이식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A는 주걱 모양의 탈층장치(340)의 상단도이다. 탈층장치(340)는 옆으로 또는 축 방향으로 앞뒤로, 그리고 이 두 가지의 조합으로 진동할 수 있다.
도 19B는 사용하는 동안 눈과 각막에 인접하여 놓이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하단(342)을 갖는 탈층장치(340)의 측면 단면도이다. 또한, 비-절단 선두 날(344)이 도시되며, 이것은 둥근 상단면(346)을 가진다.
도 19C는 탈층장치(340) 및 상단면(346)의 경사진 둥근 모양의 전면 단면도이다. 상단면(346)은 상피를 탈층하는 동안 상피에 인접한다.
도 19D는 탈층장치(340), 구체적으로는 사용하는 동안 상피에 인접하는 탈층장치(340)의 면 위에 윤활층(350)이 놓인 칼날 기판(348)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E는 기판(348)의 양쪽 면 모두에 윤활층(350)이 있는 칼날 기판(348)을 가진 탈층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A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활성 단부를 갖는 상피 탈층장치(360)의 상단도이다. 도 19A에 나타낸 탈층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변형은 옆으로 또는 축 방향으로 앞뒤로, 또는 이 두 움직임의 조합하여 진동될 수 있다. 선두 날(362)은 표시된 영역(364)에서만 분리된 모양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20B는 선두 날(364)을 갖는 탈층장치(360)의 절단 측면도이다. 이 모양은 탈층장치(360)의 몸체 또는 기판(366)에서 다소 돔-모양인 것이 도시된다.
도 20C는 탈층장치(360) 및 돔-모양 기판(366)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20D는 탈층장치(360), 구체적으로는 칼날 기판(366)의 부분 단면도이다. 윤활층(368)이 사용하는 동안 상피에 인접하는 탈층장치(360)의 면 또는 영역에 놓인 것이 도시된다.
도 20E는 탈층장치 기판(366)의 양쪽 모두에 윤활층(368)을 갖는 탈층장치 (36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A는 기수와 비슷한 모양의 선두 부분(382)을 갖는 탈층장치(380)의 상단도이다. 이 탈층장치는 본원 다른 곳에서 논의된 상피 주머니가 아닌, 실질적으로 힌지가 있는 평평한 상피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탈층장치(380)는 사용하는 동안 옆으로 또는 축 방향으로 앞뒤로 진동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앞뒤로 진동하는 것만 사용된다. 도 21B는 선두 날(382)을 갖는 탈층장치(380)의 측면도이다.
도 21C는 칼날 기판(384) 및 탈층 단계 동안 상피와 접촉하려는 경향이 있는 부분들에만 윤활재(386)의 층을 갖는 탈층장치(380)의 부분 측면 단면도이다.
도 21D는 기판(384) 및 사용 동안 눈과 접촉하는 모든 면에 윤활 코팅(386)을 갖는 탈층장치(380)를 도시한다.
도 22A는 다소 주걱-모양이지만, 그것의 상단측에 돔-모양 영역(392)과, 도 22B에 나타낸 대로, 그것의 하단측(396)에 오목한 모양의 부분(394)을 포함하는 탈층장치(390)의 상단도이다. 상피 탈층장치 돔(392)은 각막을 자르지 않거나, 아니면 상피 하면 위의 각막 또는 각막조직 위에 실질적인 상피조직을 남기면서 보우만층으로부터 상피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날을 갖는 선두 날(396)을 포함한다.
도 22B는 돔(392)과 오목한 영역(394)을 모두 도시한 탈층장치(390)의 전면 단면도이다.
도 22C는 탈층장치(390) 및 돔(392)의 존재의 단면도이다.
도 22D는 하단측(396)에 돔(392) 및 오목한 영역(394)을 갖는 탈층장치(390)의 부분 측면 단면도이다.
도 22E는 탈층장치(390) 칼날 기판(398) 및 돔-모양 영역 위의 윤활층(400)의 부분 단면도이다. 탈층장치(390)의 돔-모양 영역은 탈층 단계 동안 상피 하면과 접촉한다.
도 22F는 탈층장치(390)의 부분 측면 단면도이며, 이 예에서 칼날 기판(398)의 양쪽 면 모두에 있는 윤활층(400)이 도시된다.
도 23A는 분리된 상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23B에 나타낸 대로 앞뒤로 진동하여 는 간단한 와이어 휩 탈층장치 요소(401)를 도시한다.
도 23C는 와이어가 상피(406) 아래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휩 포인트" 위치(404)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분리된 상피 영역(402)의 한 모양을 도시한다.
도 23D는 기판 와이어(408) 및 탈층 요소(401)로서 작용하는 와이어의 단면 및 각막 및 상피와 접촉하는 영역들 위의 부분적 윤활층(410)을 도시한다.
도 23E는 와이어 기판(408) 및 기판(408)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덮고 있는 윤활 외피(401)를 가진 탈층 와이어 요소(401) 및 도시한다.
도 23F는 기판(408) 및 상피와 접촉하는 기판 와이어(408)의 영역을 덮고 있는 윤활 코팅(410)을 갖는 탈층 와이어 요소(401)를 도시한다.
도 24A는 실질적으로 타원형 단면 영역을 가진 상피 탈층장치(411)를 도시한다. 이 변형에서, 전형적으로 타원의 장축 치수는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상피 영역이 분리되는 안구 상피의 직경보다, 예를 들어 10% 미만으로 더 적을 것이다.
도 24B는 상피 탈층장치 요소(411)의 제한된 회전 동작(412)을 도시한다.
도 24C는 상피 탈층장치 요소(411)의 옆 방향의 움직임(414)을 도시한다.
도 24D는 상피 탈층 부재(411)의 조합 동작을 도시하는데, 이 경우 옆 방향 회전 동작인 축 방향 동작과 조합되며, 이로써 가장자리(416)가 연결되어 있고 상피 아래에 개구(418)가 있는 들어 올려진 상피 영역이 만들어진다. 이 구성은 큰 개구를 가진 주머니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4E는 가장자리(420)이 부착되 있는 상피 주머니를 도시하는데, 탈층장치 (411)가 상피 아래에 도입됨으로써 작은 개구(422)가 만들어지고, 구강(422) 근처의 추축 지점에 대해 회전되면서 각이 큰 동작으로 탈층장치(411)가 철수됨으로써 여기 도시된 영역이 형성된다. 탈층장치(411)의 회전 및 축 동작의 조합은 작은 개구를 가지면서 상피 아래에 커다란 닫힌 영역이 있는 주머니를 만드는데 유용하다.
도 24F는 칼날 기판(430) 및 탈층 단계 동안 상피와 접촉하는 탈층 요소의 면 위에 윤활재(432)의 코팅을 가진 탈층 요소(411)의 단면을 묘사한다.
도 24G는 기판(430) 및 안구와 접촉하는 탈층 요소(411)의 표면 전체를 덮고 있는 윤활 코팅(432)을 갖는 탈층 요소(41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3A-24G와 관련하여 설명된 탈층장치/절단장치는 상피 탈층 단계 동안 이식물을 지니도록 쉽게 개조될 수 있는 물리적 형태는 아니다. 그러나, 이것은 비교적 작은 개구를 가지며 이식물을 담는데 사용되는 상피 주머니를 제공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이 경우 이식물은 주머니에 도입하기 위해 접힐 수도 있고, 반응물이나 형태 등을 주머니에 도입하여 제자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에서, 접힌 렌즈 또는 반응 재료들은 상피 주머니에 동시에 도입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상이한 시스템 구성요소에 의해 수송될 수 있다.
주로, 탈층장치는 실질적으로 손상 없는, 즉 절개장치의 전면이 지나가는 상피 부분이 단절되지 않은 상피 판 아래에 안구장치를 삽입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탈층장치는 덜 우아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탈층장치는 그 막의 선택된 부분을 이동시키거나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이 장치가 LASEK 과정에서 사용될 때는 상피가 부드러운 피판의 형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일단 어떤 각막 레이저 리모델링이 완료된 다음, 피판을 다시 제자리에 놓거나 위치를 결정하기가 용이하다.
어떤 예에서는, 기계적 상피 탈층을 증진시키기 위해 안구의 전면에 열을 또한 적용하거나, 또는 수술의 종료 후 상피의 생육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장치 및 상피에 냉각유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설명된 무딘 절개장치 칼날은 핸들만을 갖는 장치에서, 즉 어떤 기계적 진동 또는 칼날을 각막을 가로질러 전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도 25A 및 25B에 도시된 대로, 무딘 칼날 절개장치(450)는 화살표(454)에 의해 묘사된 대로 칼날(450)을 진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진동장치 (452)와 함께 사용된다.
추가하여, 진동 구동장치에 더하여 핸들(452)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는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면서 무딘 칼날(454)을 손으로 이동시켜 무딘 칼날(450)의 축 방향 이동(456)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거나, 또는 핸들(452)은 전기 또는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칼날을 축 방향으로 진동(454)시키면서 각막을 가로질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런 축 이동(456)은, 예를 들어 정렬레일(458)의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것은 각막을 가로지른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은 무딘 칼날을 이용하여 상피조직 일부를 제공하기 위한 도식적 과정이 도 26A-26D에 도시된다. 도 26A는 각막(462)을 갖는 안구(460)를 도시한다. 옆 방향 진동(466)과 축 방향 이동(468)이 모두 있는 무딘 칼날(464)이 안구(460)로 접근한다.
도 26B는 칼날(464)의 진입을 도시하는데, 칼날은 계속 진동(466)하면서 상피층을 관통하여 개구(468)를 형성한다.
도 26C는 축 방향으로는 중단된 상태에서 가능하다면 진동하는 칼날(464)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칼날(464)은 개구(468)를 갖는 상피조직 일부(470)의 내부에 놓인다. 이 예에서, 상피조직 일부(470)은 일반적으로 원형 주머니 형태이다. 설명된 장치는 상피조직 일부(470)의 일부분이 각막에 붙어 있는 상피조직 일부를 제조하는데 가장 좋다. 어떤 예에서, 상피조직 일부(470)은 부착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상피가 깃발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각막 전방 부근으로부터 떨어져 회전하거나, 아니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어떤 경우, 도 26D는 상피조직 일부(470)과 개구(468)를 남기면서 눈(460)에서 칼날(464)을 제거하는 것을 도시하는데, 이 개구를 통해 상피 일부(470)의 아래로 들어감으로써, 눈에 어떤 더 이상의 처치, 예를 들어 LASEK 과정, 다른 레이저 치료 과정을 행하거나, 안구렌즈를 배치할 수 있다. 각 예에서, 상피조직 일부는 어떤 처치된 결과물 위의 안구 표면 위에 계속 있을 수 있으며, 이 처치는 레이저 유도 처치이거나 본질적으로는 이식물이다. 또한, 어떤 종류의 기계적 또는 외과적 안구 처치 또는 다른 처치된 부위 위에 상피조직 일부를 재배치하는 것도 적합하다.
유사하게, 설명된 칼날은 설명된 무딘 칼날의 마찰개선력을 더 개선하기 위하여 단기, 일시적, 또는 영구 코팅제로 처리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코팅제는 상기 열거된 것들일 수 있다.
또한, 설명된 기계적 상피 탈층장치는 무딘 절개장치라고 할 수 있다. 무딘 절개장치는 비-절단 표면을 가지며, 상피와 콜라겐 실질 조직 사이에의 배치에 적합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절단"은, 정상 힘으로 사용되었을 때 무딘 절개장치는 각막 실질을 베는 능력을 갖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무딘 절개장치는 자연적인 가장 약한 부착점, 즉 투명판에서 기저막부의 각막 실질층으로부터 상피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상피는 실질적인 양의 각막 실질조직을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과정이 "정상" 눈(상처 또는 질환으로 인한 인공물이 없는 눈)에서 시행될 때 비실질적인 양 이상의 실질조직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렇게 분리된 상피는 실질조직에서 발견될 수 있는 제1형 또는 제3형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정은 실질적으로 손상 없는, 즉 절개장치의 전면이 지나가는 상피 부분이 단절되지 않은 상피 판을 절개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장치는 다른 상피조직 구조를 만드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장치는 그 막의 선택된 부분만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이 장치가 LASEK 과정에서 사용될 때는 상피가 부드러운 피판의 형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일단 어떤 각막 레이저 리모델링이 완료된 다음, 피판을 다시 제자리에 놓거나 위치를 결정하기가 용이하다. 이 절개장치는 상피 주머니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상피 탈층법은 각막 재성형술 또는 눈 표면 위에 안구렌즈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과정은 사용하여, 대체로 경첩 식으로 붙어 있는 상피 주머니 또는 피판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적합한 안구렌즈가 실질 표면 위에 배치되고, 렌즈 위에 상피 피판이 다시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한 이러한 적합한 안구렌즈 장치가 본원에 그 전문이 참고자료로서 인용되는 미국특허 제6,544,286호에 설명된다.
유사하게, 각막 재성형술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각막 피판이 다시 제자리에 놓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 및 생리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본 상피 탈층장치의 특정 변형들에 특정한 어떤 이점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본 발명의 설명은 어떤 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21)

  1. 진동하는 칼날이 안구를 가로질러 횡단하여 지나가면서 상피를 절단하여 각막에 상피가 붙어있는 채로 안구에서 상피를 분리함으로써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함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막에 붙어있는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하지만, 각막을 절단하지는 않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비-각막절단형 상피조직-분리용 무딘 날, 횡단하여 지나가는 동안 상피에 인접하여 지나가도록 구성된 상피측 표면, 및 횡단하여 지나가는 동안 상피 제거된 각막에 인접하여 지나가도록 구성된 각막측 표면을 갖는 칼날 몸체, 및 상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는 있지만 각막측 표면 위에는 없는 윤활 커버를 포함하는 저마찰 절개장치 칼날.
  2.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실리콘 및 히알루론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을 포함하는 액체 윤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3.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폴리비닐 (PVC),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그리고 이것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4.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폴리술폰, 불화중합체, 그리고 이것들의 혼 합물, 합금, 랜덤 공중합체, 및 블럭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5.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EF 또는 TFE), 에틸렌-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ECTFE), 불화 에틸렌프로필렌(FEP),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불화폴리비닐(PVF), 불화폴리비닐리덴(PVDF), 이것들의 혼합물, 합금, 랜덤 공중합체, 및 블럭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6.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에틸렌옥시드 및 그것의 고급 동족체들; 2-비닐피리딘; N-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모노-알콕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토(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그 염들;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술폰산 및 그 염들,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다당류, 무수말레산; 및 알데히드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친수성 중합체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7.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모노-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톡시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친수성 중합체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8.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친수성 중합체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9.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아밀로오스, 펙틴, 아밀로펙틴, 알긴산, 및 교차결합 헤파린 등을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친수성 중합체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10.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 커버는, 다이아몬드, 질화탄소, 탄화규소, 다이아몬드-유사 탄소(DLC), 및 증착 또는 열분해 탄소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11. 제 1 항에 있어서, 무딘 날은 각막조직을 절단할 수 있는 날카로운 날을 전기연마하여 형성된 모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12.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장치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 개장치 칼날.
  13. 제 1 항에 있어서, 횡단이동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14. 제 1 항에 있어서, 횡단하여 지나가는 동안 안구 이식물을 보유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15.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제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16. 진동하는 칼날이 안구를 가로질러 횡단하여 지나가면서 상피를 절단하여 각막에 상피가 붙어있는 채로 안구에서 상피를 분리함으로써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함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막에 붙어있는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하지만, 각막을 절단하지는 않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비-각막절단형 상피조직-분리용 무딘 날을 갖는 칼날 몸체, 및 칼날 몸체에 뚫려 있는 개구를 포함하는 저마찰 절개장치 칼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칼날 몸체는 각막측 및 상피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18. 제 17 항에 있어서, 무딘 날은 각막조직을 절단할 수 있는 날카로운 날을 전기연마하여 형성된 모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19. 제 17 항에 있어서, 몸체 상피측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용된 윤활 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20. 제 16 항에 있어서, 냉각제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칼날.
  21. 진동하는 칼날이 안구를 가로질러 횡단하여 지나가면서 상피를 절단하여 각막에 상피가 붙어있는 채로 안구에서 상피를 분리함으로써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함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막에 붙어있는 상피조직 일부를 형성하지만, 각막을 절단하지는 않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비-각막절단형 상피조직-분리용 무딘 날을 포함하며; 이 무딘 날은 각막조직을 절단할 수 있는 날카로운 날을 전기연마하여 형성된 모양을 갖는 절개장치 칼날.
KR1020077027630A 2005-04-27 2006-04-27 상피 탈층장치(v) 및 이 장치에 유용한 칼날 KR20080018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550605P 2005-04-27 2005-04-27
US60/675,506 2005-04-27
US78710206P 2006-03-28 2006-03-28
US60/787,102 2006-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988A true KR20080018988A (ko) 2008-02-29

Family

ID=3697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630A KR20080018988A (ko) 2005-04-27 2006-04-27 상피 탈층장치(v) 및 이 장치에 유용한 칼날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898853A2 (ko)
JP (1) JP2008539033A (ko)
KR (1) KR20080018988A (ko)
AU (1) AU2006239287A1 (ko)
BR (1) BRPI0609858A2 (ko)
CA (1) CA2606433A1 (ko)
IL (1) IL186938A0 (ko)
MX (1) MX2007013423A (ko)
TW (1) TW200716072A (ko)
WO (1) WO20061166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49255A4 (en) 2002-09-13 2007-12-19 Coopervision Inc DEVICE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EA THICKNESS
US7883520B2 (en) 2006-04-10 2011-02-08 Forsight Labs, Llc Corneal epithelial pocket formation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EP2111821A4 (en) * 2007-02-08 2013-10-23 Kaneka Corp INJECTOR FOR EYES
US8162953B2 (en) * 2007-03-28 2012-04-24 Revision Optics, Inc. Insertion system for corneal implants
ES2626254T3 (es) * 2008-01-31 2017-07-24 Kowa Company, Ltd. Método para producir un instrumento médico
US9186245B2 (en) * 2011-09-07 2015-11-17 Vladimir Feingold Lens injector apparatus and method
CN110772709B (zh) * 2019-11-28 2021-08-31 原子高科股份有限公司 用于治疗眼内恶性肿瘤的敷贴器中的放射性粒子布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9543A (en) * 1998-03-18 2000-08-08 Smith; Thomas C. Ophthalmic surgical blade
DE69930335T2 (de) * 1998-03-31 2006-08-03 Nidek Co., Ltd., Gamagori Vorrichtung für die Chirurgie der Hornhaut
EP1199055A1 (en) * 2000-10-16 2002-04-24 Gebauer GmbH Blade with amorphous cutting edge
DE10152152B4 (de) * 2001-10-25 2004-02-26 Carl Zeiss Meditec Ag Schneidvorrichtung
CA2508689A1 (en) * 2002-12-10 2004-06-24 Sightrate B.V. Disposable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epithelium layer from the cornea of an eye
WO2005023159A1 (en) * 2003-09-05 2005-03-17 Sightrate B.V. Device for separation of corneal epithel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8853A2 (en) 2008-03-19
TW200716072A (en) 2007-05-01
BRPI0609858A2 (pt) 2010-05-11
CA2606433A1 (en) 2006-11-02
JP2008539033A (ja) 2008-11-13
AU2006239287A1 (en) 2006-11-02
AU2006239287A8 (en) 2008-12-18
WO2006116601A2 (en) 2006-11-02
IL186938A0 (en) 2008-02-09
MX2007013423A (es) 2008-01-18
WO2006116601A8 (en) 2007-12-13
WO2006116601A3 (en)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7532A (ko) 결합된 상피 탈층장치 및 삽입장치
US7497866B2 (en) Methods for producing epithelial flaps on the cornea and for placement of ocular devices and lenses beneath an epithelial flap or membrane, epithelial delaminating devices, and structures of epithelium and ocular devices and lenses
KR20070118580A (ko)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AU2003207603A1 (en) Methods for producing epithelial flaps on the cornea and for placement of ocular devices and lenses beneath an epithelial flap or membrane, epithelial delaminating devices, and structures of epithelium and ocular devices and lenses
TWI435715B (zh) 角膜上皮囊形成系統、組件及方法
JP6892693B2 (ja) ドライアイ治療装置および方法
KR20080018988A (ko) 상피 탈층장치(v) 및 이 장치에 유용한 칼날
US20070265649A1 (en) Epithelial delaminating device
WO2007112130A2 (en) Automatic epithelial delaminator and lens inserter
KR20070065313A (ko) 안구의 각막 표면으로부터 상피 층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WO2007123644A2 (en) Partially lubricious epithelial delaminator
CN101203196A (zh) 上皮分层装置(v)以及用于该装置的刀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