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580A -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18580A KR20070118580A KR1020077008074A KR20077008074A KR20070118580A KR 20070118580 A KR20070118580 A KR 20070118580A KR 1020077008074 A KR1020077008074 A KR 1020077008074A KR 20077008074 A KR20077008074 A KR 20077008074A KR 20070118580 A KR20070118580 A KR 200701185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or
- ocular device
- holder
- ocular
- corne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안과학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사용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설명된 장치 및 이들의 사용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층된 각막 표면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각막은 눈에 부착된 각막 상피의 플랩이나 주머니를 남긴 채로 탈층되고, 이것은 후에 삽입된 안구장치 위에 놓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부분적으로 탈층된 각막의 맨 위에, 예를 들어 상피와 투명판 영역의 각막 실질(보우만씨막) 사이에 안구장치를 위치시켜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안구교정술 및 레이저 시력교정술을 포함하는 눈 치료법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굴절교정수술은 눈의 선천적 시력 또는 초점조절력을 변화시키는 일련의 수술 과정을 말한다. 이들 과정의 결과는 대체로 사람이 선명한 시야를 위해 의존할 수 있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의 필요성을 덜어 준다. 사람의 눈에서 초점조절력은 대부분 공기-액체 계면의 곡률에 의해 규정되는데, 여기서 굴절지수가 최대로 변화한다. 이 곡선형 계면이 각막의 바깥쪽 표면이다. 이 계면의 굴절력이 눈의 전체 확대력의 약 70%를 차지한다. 상을 보이게 하는 광선이 각막, 전방, 수정체 및 유 리체액을 통과하여 망막 상에 초점을 맺어서 상을 형성한다. 이 곡선형 공기-각막 계면의 확대력이 시각적인 결함을 외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기회를 굴절교정수술 분야에 제공한다.
초기의 굴절교정수술 과정에서는 각막의 곡률을 평탄화함으로써 근시를 교정했다. 최초의 대단히 성공적인 과정을 방사상 각막절개술(RK; Radial Keratotomy)이라고 한다. RK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널리 사용되었는데, 여기서는 각막 외주에 방사상으로 배향된 절개부를 만들었다. 이들 절개부를 바깥쪽으로 구부려 주변 각막을 재형성함으로써 각막 중앙의 광학부가 평탄하게 된다. 이것은 그런대로 손쉬우며 대중적인 방법이었지만, 안경이나 콘택트렌즈에 대한 의존성을 거의 줄일 수 없었다.
상층각막렌즈이식술(Epikeratophakia)이라고 하는 결함 많은 실패한 과정이 RK의 시기에 개발되었다. 이것은 오늘날에는 본질적으로 학문적인 변칙이다. 상층각막렌즈이식술은 각막 위에 보존된 각막조직의 얇은 층을 이식함으로써 각막의 바깥쪽 곡률에 새로운 곡률을 제공했다. 처리된 각막조직은 냉동-건조되고, 냉동-건조 과정 동안 각막은 또한 특정한 곡률로 연마된다. 형성된 렌즈는 눈에 외과적으로 배치된다. 상피를 완전히 제거한 후 각막에 환상의 360°절개부를 만드는데, 여기에 상층각막렌즈이식용 렌즈가 놓인다. 이 렌즈의 외주부를 환상 절개부에 삽입하고 연속 봉합하여 그 자리에 고정한다. 상층각막렌즈이식술은 몇 가지 문제를 가진다: 1) 실질 섬유아세포가 렌즈로 이주할 때까지 렌즈는 혼탁한 상태로 유지되었는데, 이주에는 수 개월이 걸릴 수도 있었다; 2) 이동한 상피가 절개 부위를 따 라 렌즈 표면 위에서 자라날 때까지 단절된 상피는 감염의 병소가 되었다; 3) 수술 부위 위의 아문 상피가 때로 렌즈와 각막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했다. 현재 각막상피렌즈이식술은 그 사용이 제한된다. 그것은 이제는 매우 가파른 콘택트렌즈를 견딜 수 없는 소아 무수정체 환자에게 사용된다.
1990년대 중반 즈음에는 방사상 각막절개술을 대신하여 시작된 레이저로 각막을 조각하는 과정이 충분히 성공했다. 제 1 세대 각막 레이저 절삭술을 굴절교정각막절삭술(PRK; Photorefractive Keratectomy)이라고 한다. PRK에서는 절삭 레이저(예를 들어, 엑시머 레이저)가 각막 상에 초점을 맞춰 각막 표면에 새로운 곡률을 조각한다. PRK에서는 상피가 파괴되면서 새로운 바깥쪽 표면 곡선을 얻는다.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상피는 그 자리에서 다시 자라나거나 아물어야 한다. 이 상피치유기는 상피가 절삭되면서 드러난 각막에 통증이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에게 문제를 일으켰다. 또한, PRK 후 초기에는 보는 것이 어려운데, 이 "회복시간"은 수일에서 1주일 이상 지속될 수 있다.
PRK 각막 레이저 절삭술의 후속 변형인 LASIK이 매우 대중화되었다. LASIK 과정은 레이저 각막절삭가공성형술(Laser In Situ Keratomileusis)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현재 대중들에게는 레이저 시력교정술과 같은 의미이다. LASIK에서는 각막 표면으로부터 각막의 바깥쪽 부분(또는 끈 모양의 렌즈 형태 부분)(80 내지 150 마이크론 두께)을 수술로 잘라낸다. 이것은 미세각막절삭기라고 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한다. 미세각막절삭기가 한 가장자리에 경첩형태로 상피와 각막조직을 포함하는 플랩을 남긴 채 각막 표면으로부터 원형의 플랩을 잘라낸다. 남은 플랩을 뒤로 접고, 절제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여 노출된 수술층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재형성한다. 플랩은 다시 그 자리에 놓인다. 플랩이 다시 제자리에 놓일 때, 이 플랩은 레이저-변형 표면에 합치하게 되므로 각막은 새로운 곡률을 얻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피세포는 제거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상피세포는 플랩의 가장자리에서 단순히 절개될 뿐이다. 플랩이 각막층 위에 다시 배치되면 상피는 절개 부위에서 다시 아문다. 이 과정은 본질적으로 회복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결과가 거의 즉각적이다. 수술시간이 매우 적게 걸리고(각 눈에 15분), 그 결과가 지속적이며 매우 정확하기 때문에, LASIK은 현재 굴절교정수술을 수행하는 최고의 방식으로 고려된다.
고 용적 굴절교정수술 개업의와 일부 학회에서는 레이저 상피하각막절삭가공성형술(LASEK;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eratomileusis)이라고 하는 과정이 최신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LASEK에서는 "플랩"이 상피만으로 만들어진다. 이 상피층은 LASIK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막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데, 다만 에탄올 세척제를 사용한다는 것이 다르다. 절삭 레이저는 바로 드러난 각막 표면 위에 초점을 맞춘다(PRK에서 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그러나, 이 상피 플랩은 손상되지는 않는데, 즉 세포 생존능력은 거의 파괴되지만 상피의 물리적 구조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것은 각막 전방 부분의 곡률을 재형성 후 단순히 제자리에 다시 돌려보내면 되므로 PRK에 비해 회복 시간이 훨씬 적다. 현재 LASEK 방법은 LASIK 만큼 우수하지는 않지만, 그 결과는 PRK보다 좋다.
각막 상피는 전형적으로 약 50㎛ 두께의 다층 상피구조이다. 그것은 각화되 어 있지 않다. 바깥쪽 세포는 살아있는 세포로서 자연상태에서 평편상이다. 기저 상피세포는 입방상이며, 보우만씨막이라고 알려진 구조 위에서 실질 표면 위에 놓여 있다. 기저세포층은 전형적으로 약 1mil의 두께(0.001")이다. 기저세포는 외피, 즉 피부에서 생산되는 것과 동일한 케라틴을 생산한다. 기저 상피세포는 케라틴 5 및 14를 발현하며, 케라틴 6 및 9를 생산하는 각막 상피의 평편상 상피세포로 분화될 가능성이 있다. 각막 상피는 많은 중요한 성질을 가진다: 1) 투명하다; 2) 불투과성이다; 3) 외부 인자에 대한 장벽이다; 4) 고도로 신경화된 조직이다. 각막의 신경은 상피로 직접 이어지므로 이 기관의 결함은 통증을 일으킨다.
상피세포는 데스모솜이라고 하는 막횡단 분자에 의해서 측면끼리 부착된다. 다른 막횡단 단백질인 헤미데스모솜은 콜라켄 7형에 연결되고, 기저 상피세포의 기저측부 표면에 존재한다. 헤미데스모솜은 실질의 밑 콜라겐 부분에 상피를 고정시킨다. 상피와 각막 실질 사이의 접합부를 기저막부(BMZ)라고 한다.
LASEK가 수행될 때, 물리적 우물이 상피 상에 배치되거나 형성되고, 20% 에탄올과 균형 염 용액의 선택물로 채워진다. 용액과의 접촉은 아마도 상피세포 집단의 일부를 파괴함으로써 상피세포와 BMZ의 부착을 느슨하게 할 것이다. 다음에, 페인트칠된 벽을 벗겨내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피를 밀어냄으로써 상피를 들어올린다. 다음에, 각막 실질의 노출된 콜라겐 부분을 절삭하여 그 표면을 재성형한다. 그 다음, 약화된 상피를 제자리에 다시 돌려보내 붕대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붕대"는 상피를 본래 상태로 회복시키지는 못하는데, 즉 상피의 완전성을 보존하지는 못하므로, 상피의 투명성, 물에 대한 불투과성, 및 장벽기능이 감 소된다. 더욱이, 각막 실질 표면에 부착되는 상피의 능력이 손상된다.
각막 상피의 적어도 일부분을 탈층시키는 장치 및 방법이 최근 개발되었다. 특히, 상피는 분리된 상피의 일부가 부착된 채로 부분적으로 탈층될 수 있다. 분리된 상피는 생육가능하게 유지되며, 각막 또는 각막 실질 위에 삽입된 안구장치에 다시 부착될 수 있다. 탈층화 장치 및 방법의 예는 US 6,544,286, US 특허출원 제10/243,121호(2002/9/13 제출), US 특허출원 제10/346,664(2003/1/17 제출), 및 미국 가 출원 60/505,219(2002/9/22 제출) 및 60/580,430(2004/6/16 제출)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은 그 전문이 참고자료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상피의 부분적 탈층은 렌즈와 같은 안구장치를 이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안구장치 삽입장치가 각막 실질과 상피 사이에 안구장치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피(부분적으로 탈층된)는 어떤 안구장치 삽입장치가 제거된 후에도 안구장치를 확실히 보유하게 된다. 그 결과, 안구장치 삽입장치는 각막 실질 위에 렌즈를 배치하고, 상피층의 완전성을 유지하며, 상피층의 제거 후에도 상피가 렌즈를 제자리에 보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Kiistala, U. (1972) "Dermal-Epidermal Separation. II. External Factors in Suction Blister Form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ffect of Tempera-ture," Ann. Clin. Res. 4(4):236-246.
Azar et al. (2001) "Laser Subepithelial Keratomileusis: Electron Micro-scopy and Visual Outcomes of Flap Photorefractive Keratectomy," Curr. Opin. Ophthalmol 12(4):323-328.
Beerens et al. (1975) "Rapid Regeneration of the Dermal-Epidermal Junc-tion After Partial Separation by Vacuum: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J. Invest. Dermatol. 65(6):513-521.
Willsteed et al. (1991) "An Ultrastractural Comparison of Dermo-Epider-mal Separation Techniques," J. Cutan. Pathol. 18(1):8-12.
Van der Leun et al. (1974) "Repair of Dermal-Epidermal Adherence: A Ra-pid Process Observed in Experiments on Blistering with Interrupted Suction," J. Invest. Dermatol, 63(5): 397-401.
Katz S.I. (1984) "The Epidermal Basement Membrane: Structure, Ontogeny and Role in Disease," Ciba. Found. Symp. 108:243-259.
Green et al. (1996) "Desmosomes and Hemidesmosomes: Structure and Func-tion of Molecular Components," FASEB. J. 10(8):871-881.
인용된 참고문헌 중 어느 것도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발명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발명의 개요
본 설명은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는 안구장치 홀더, 및 조종장치 영역을 포함한다. 안구장치 홀더는 각막 위 각막 상피층 밑에 안구장치를 배치하고, 이러한 배치를 하기까지 어플리케이터로 안구장치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안구장치를 제어가 능하게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조종장치 영역은 안구장치 홀더에 부착되며, 안구장치 홀더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어플리케이터의 어떤 양태에서, 안구장치 홀더는 안구장치의 적어도 한 표면에 합치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어떤 양태에서, 안구장치 홀더는 안구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홈 모양 영역을 포함한다. 어떤 양태에서, 안구장치 홀더는 집게를 포함한다.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가이드와 결합하도록 적합하게 된다. 가이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층된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를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는 눈 표면에 부착된 흡인 고리일 수 있으며, 이것을 사용하여 탈층장치와 어플리케이터를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조종장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가이드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의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안구장치에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 홀더나 그 근처에서 안구장치에 힘을 적용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힘 변환기는 플런저이다. 다른 양태에서, 힘 변환기는 어플리케이터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힘 변환기는 안구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에 압력(예를 들어, 양압 또는 음압)을 적용한다.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의 조종장치 부분은 장치 홀더 또는 홀더 영역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어플리케이터 조종장치(또는 조종장치 영역)는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일 수 있는 동력전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일회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은 저-마찰 표면을 포함한다. 저-마찰 표면(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폴리싱, 윤활된 표면 등)은 눈과 안구장치, 특히 탈층된 상피층에 더 부드러울 수 있다. 저-마찰 표면은 장치 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성질일 수 있거나, 또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양쪽 다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안구장치 로딩장치로부터 안구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안구장치 홀더, 안구장치 홀더에 부착된 조종장치(또는 조종장치 영역), 및 안구장치를 포함하는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가 본원에 설명된다. 이 어플리케이터는 각막 위 각막 상피층 밑에 안구장치를 배치하고, 이러한 배치를 하기까지 어플리케이터로 안구장치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안구장치 홀더는 또한 안구장치를 제어가능하게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조종장치는 안구장치 홀더에 부착되며, 안구장치 홀더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안구장치는 어플리케이터의 안구장치 홀더 안에 장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어떤 양태에서, 안구장치는 안구장치 홀더 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안구장치의 예는 렌즈, 필터, 및 임플란트를 포함한다.
또, 안구장치 홀더 및 근단부와 원단부를 갖는 조종장치를 포함하는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가 본원에 설명되며, 여기서 안구장치 홀더는 조종장치의 원단부 영역에 연결된다. 안구장치 홀더는 각막 위 각막 상피층 밑에 안구장치를 배치하고, 이러한 배치를 하기까지 어플리케이터로 안구장치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조종장치는 근단부와 원단부를 가지며, 안구장치 홀더가 조종장치의 원단부 영역에 연결된다.
또, 상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 각막 영역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터에서 안구장치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안구장치를 눈에 적용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안구장치는 안구장치 홀더와 조종장치를 포함하는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어떤 양태에서, 본 방법은 어플리케이터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어떤 양태에서, 본 방법은 또한 탈층된 상피를 안구장치 위에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A는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의 다른 양태의 하부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의 다른 양태의 하부도이다.
도 2D는 도 2C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원에 설명된 힘 변환기를 구비한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도이다.
도 3B는 본원에 설명된 힘 변환기를 구비한 또 다른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도 이다.
도 4는 가이드가 부착되고 각막 상피가 부분적으로 탈층된 눈을 예시한다.
도 5A는 본원에 설명된 또 다른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어플리케이터의 상부도이다.
도 6은 본원에 설명된 또 다른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도이다.
본원에 설명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어플리케이터"라고도 한다)는 상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 각막 표면 위에 안구장치를 삽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각막 상피 연속층은 눈의 전방 표면에, 또는 기저세포층에, 또는 기저세포층과 보우만씨막("투명판") 사이의 접합부에 다양한 힘(예를 들어, 기계적 힘)을 적용함으로써, 눈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연속"은 "단절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어느 정도의 상피가 각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 탈층된 상피 가장자리의 50% 미만(바람직하게는 10%에서 50% 사이)이 각막에 부착된 채인 각막 상피의 유리된 플랩을 이용하거나, 또는 아마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유사하게, 탈층된 상피 가장자리의 50% 내지 75%가 각막에 부착된 채로 각막 상피 플랩이 각막 상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또, 탈층된 상피 가장자리의 50% 내지 95%를 각막에 부착된 채로 남김으로써 탈층된 각막 상피의 반 플랩, 또는 타이트한 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상피는 생육가능한(예를 들어, 살아 있는) 상피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본원에 포함되는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이후에 각막 및/또는 이식된 안구장치 위에 다시 배치될 수 있다.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가 본원에 설명되며, 이것은 각막 상피의 미리 분리된 층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고, 이러한 배치를 하기까지 안구장치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어플리케이터는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주머니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주머니 구멍을 통해 안구장치를 도입함으로써, 주머니 구멍을 갖는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주머니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상피층에 실질적인 손상 없이, 주머니 구멍을 갖는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주머니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안구장치를 제어가능하게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탈층된 각막 영역 위에 안구장치를 삽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가 본원에 설명된다. 특히,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는 탈층된 각막 위, 각막으로부터 분리된 상피 밑에 안구장치가 삽입되도록 허용한다. 다음에, 분리된 상피는 삽입된 안구장치 맨 위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다시 놓일 수 있다.
용어 "안구장치"는 어떤 이식가능한 안구장치,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환자에서 시력을 변형, 개선 또는 교정하고자 하는 목적의 안구장치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한 그러한 적합한 안구 렌즈장치가 출원번호 PCT/US01/22633에 설명되며, 이것은 그 전문이 참고자료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안구장치의 예는 렌즈(예를 들어, 콘택트렌즈, 이식형 렌즈 등), 필터(예를 들어, 회절격자(라인 또는 핀홀), 편광자 등), 임플란트(예를 들어, 눈 표면을 재성형하기 위한 임플란트) 등을 포함한다.
도 1A 및 1B는 어플리케이터(100)의 제 1 변형을 도시한다. 도 1A는 기다란 조종장치(102)를 구비한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도를 도시한다. 홀더(104)가 어플리케이터의 원단부에서 조종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편의를 위하여,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는 안구장치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될 때 각막 실질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어플리케이터 측을 말한다. 유사하게, 어플리케이터의 "상부"는 하부 측 반대쪽의 어플리케이터 측을 말한다.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는 본원에 특정된 기능적 결과를 달성하도록 구성된 어떤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부분적으로 탈층된 상피와 상피가 탈층된 각막 실질 사이에 홀더 영역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의 일부분, 특히 홀더가 상피 주머니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피 주머니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거기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안구장치(110)의 견본이 홀더(104)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는 안구장치에 힘을 적용하여 그것을 홀더 안에 고정하거나 홀더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는 눈에 안구장치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어플리케이터는 로딩장치(안구장치를 홀더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및 어플리케이터의 동작 제어를 돕기 위한 동력전달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안구장치 홀더
어플리케이터의 안구장치 홀더(104)는, 사용자에 의하여 안구장치가 탈층된 각막 위에 배치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안구장치를 제어가능하게 보유하는데 적합한 어떤 모양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A, 2A 및 2C는 본원에 설명된 안구장치 홀더의 변형물들의 하부도를 도시한다.
한 양태에서, 안구장치 홀더는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구장치의 일부 영역의 모양과 일반적으로 합치하도록 모양이 만들어진다. 도 1A는 컵-형 홀더 영역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홀더는 안구장치(예를 들어, 렌즈)의 볼록면과 일치하는 오목부를 가진다. 안구장치는 눈 위에 방향을 정해 배치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홀더는 어플리케이터를 디자인할 때 적절할 방향 배치가 반영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방향 배치는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도 1A에서, 안구장치가 장착된 오목부(108)가 안구장치를 눈 위에 배치하며, 이로써 안구장치의 오목면이 눈의 곡선형 표면에 꼭 맞게 된다.
어떤 양태에서, 홀더 영역(104)은 그것이 보유하는 안구장치보다 더 작으며, 이 경우 안구장치(110)는 도 1B에 도시한 대로 어플리케이터의 프로파일로부터 돌출된다. 어떤 양태에서, 홀더 영역(104)은 전체 안구장치를 보유하며, 이 경우 안구장치는 어플리케이터의 프로파일을 넘어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홀더 표면(예를 들어 안구장치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표면)은 결을 가지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표면에 홈을 새기거나 작은 구멍을 만들거나 할 수 있다.
도 1A 및 1B에 도시한 컵-형 안구장치 홀더는 안구장치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대부분에 걸쳐서 안구장치를 지지한다. 안구장치 홀더는 안구장치 표면의 훨씬 더 작은 (또는 더 큰)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안구장치를 보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다른 변형은 안구장치 표면과 최소한으로 접촉하는 홀더와 결합한다. 예를 들어, 도 1A 및 1B에 도시된 완전한 오목부가 아니라, 홀더는 부분적인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는 2개 이상의 포크-형 돌기(갈래)에 의해 안구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이들 돌기는 곡선을 이룰 수 있다(예를 들어, 오목면). 다른 양태에서, 홀더는 안구장치의 단지 일부와만 접촉한다. 예를 들어, 홀더는 도 1A에 도시된 홀더의 근단부 측만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는, 어플리케이터 홀더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로써 어플리케이터의 사용시 사용자는 안구장치의 배치를 더 쉽게 관찰할 수 있다. 홀더 및/또는 조종장치의 가까운 부분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탈층된 상피 또는 눈의 다른 부분이 어플리케이터와 접촉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안구장치 홀더의 한 양태에서, 홀더는 안구장치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집게를 함유한다. 도 2A는 안구장치 홀더가 안구장치의 두 영역에 접촉된 1개 이상의 경첩형태 갈래부(201, 202)를 포함하는 양태의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다. 이 어플리케이터의 측면투시도가 도 2B에 도시된다. 홀더의 갈래부는 안구장치에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안구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압력은 갈래부가 서로 더 가까워지도록 움직임으로써 적용된다. 도 2A에서는, 상부 갈래부(201)가 경첩(204)식으로 달려 있으며, 이로써 하부 갈래부(202)와 호응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이동식(상부) 갈래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는 안구장치를 제어가능하게 붙잡고 분리할 수 있다. 집게(예를 들어, 도 2A 및 2B의 갈래부)는 안구장치가 손상 없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어떤 방식으로도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안구장치는 홀더로부터의 고정 압력에 의해 안구장치가 손상되거나 망가지지 않을 만큼 충분히 단단할 것이라 생각되며, 때문에 안구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안구장치는 그 장치가 눈 위에 고정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어떤 방식으로 붙잡힐 수 있다.
또한, 안구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로서 1개의 갈래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C는 홀더가 단일 갈래부(208)이고, 여기에 안구장치(110)가 부착되는 어플리케이터의 도면이다. 안구장치는 힘(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된 흡인구(220)를 통해 적용되는 흡인력)의 적용에 의해, 또는 어떤 다른 분리가능한 부착수단에 의해 단일 갈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장치는 접착제에 의해 홀더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접착제는 일단 안구장치가 적절하게 위치된 후 제어가능하게 용해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다른 안구장치 홀더보다 작은 안구장치 홀더를 가진다. 안구장치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때, 작은 홀더(208)는 눈과 접촉할 수 있는 잠재적 표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안구장치를 고정한다.
홀더는 다른 모양일 수 있고, 또는 모양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구장치 홀더는 오목부와, 안구장치의 일부분을 에워쌀 수 있는 추가의 부재(또는 오목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는 둘 이상의 면에서 안구장치를 둘러쌀 수 있다. 안구장치는 홀더를 "여는" 것에 의해서 분리된다.
또한, 안구장치는 본원에 예시된 것과 다른 식으로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보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는 한쪽 가장자리에서만 안구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구장치는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설계자는 안구장치의 모양 및 조성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터 홀더 영역의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안구장치(도 1A, 2A 및 2C에 도시된 대로)는 오목면을 갖는 홀더와 가장 잘 맞을 수 있다. 유사하게, 덜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안구장치를 위해서는 더 많은 지지면을 제공하는 홀더(예를 들어, 컵-형 홀더)가 바람직할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는,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저-마찰 표면을 가진다. 특히, 어플리케이터의 표면은 탈층된 상피와 접촉할 수 있다. 안구장치를 탈층된 각막 영역 위해 배치할 때, 어플리케이터는 탈층된 상피의 플랩 밑이나 주머니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의 상부 표면(각막 표면에서 가장 먼 표면)은 살아 있는, 탈층된 상피와 접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가 탈층된 상피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어플리케이터로 더 쉽게 작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홀더에 보유된 안구장치의 손상 방지를 돕기 위해서 홀더 표면은 저-마찰 표면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저-마찰성을 제공하는 재료, 예를 들어 파라-크실렌 중합체(파릴렌 C, 파릴렌 N 및 파릴렌 D 등), 폴리플루오로카본 중합체(PTFE, FEP 및 유사 재료 등)로 코팅된다. 한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마찰을 줄이기 위해 폴리싱된다. 눈(특히, 탈층된 상피)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표면이 저-마찰 표면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사용 도중 눈과 접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 표면은 눈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무뎌질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는 하나 이상의 치료제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는 치료제(예를 들어 항생제, 항응고제, 성장인자 등)로 코팅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 중 어느 것은 홀더에 안구장치를 고정 및/또는 분리하기 위한 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힘 변환기는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홀더에 안구장치를 고정 및/또는 분리한다. 예를 들어, 한 양태에서, 안구장치에 음압(진공)을 적용하여 홀더 안에 안구장치를 고정하고, 일단 안구장치가 눈 위의 제자리에 놓인 후, 양압을 적용하여 안구장치를 분리한다. 압력은 기체(예를 들어, 공기 압력) 또는 액체(예를 들어, 물 또는 식염수) 또는 고체(예를 들어, 플런저-형 메카니즘)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홀더는 또한 힘 변환기를 수용하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도 3A는 홀더(104)와 조종장치(102)가 안구장치를 고정 및/또는 분리하기 위한 압력을 적용하도록 적합하게 된 어플리케이터(100)의 예를 도시한다. 기체 또는 액체가 조종장치에 있는 채널(302)(또는 채널들)을 통해 적용되거나 회수될 수 있는데, 이 채널은 홀더에 있는 입구/출구(305)와 유체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입구/출구를 통해 홀더 내의 안구장치에 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힘 변환기로부터의 힘은 안구장치를 어플리케이터에 로딩하는데도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양태에서, 안구장치는 진공을 적용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보유된다. 도 3A에 도시된 대로, 하나 이상의 채널(302)이 홀더와 연결된다. 홀더에 있는 채널과 연결된 포트(305)를 통해 홀더 내의 안구장치에 힘이 적용된다. 음압을 적용하여 홀더 내에 안구장치를 고정하고(예를 들어, 진공을 만들어서), 양압을 적용하여 홀더로부터 안구장치를 분리한다. 예를 들어, 채널을 통해 공기 압력(예를 들어, 공기 또는 어떤 다른 기체로부터)이 적용되어 안구장치를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압(예를 들어, 채널을 통해 밀어 넣어지는 물 또는 식염수)이 적용되어 안구장치가 분리된다. 어플리케이터 내에 안구 렌즈를 제어가능하게 보유 및 분리할 수 있는 어떤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용한 물질(예를 들어, 식염수 등의 액체, 의약 등)을 적용하기 위해서 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B는 플런저-형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힘 변환기를 구비한 어플리케이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B에서, 2개의 플런저-형 힘 변환기(312)가 채널(310) 안에 위치된다. 각 플런저는 기다란 경질 부재를 포함한다. 플런저를 앞으로 움직여 플런저의 단부가 홀더 안에 장착된 안구장치를 밀어냄으로써 안구장치가 홀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1개 이상의 플런저(312)는 채널(310) 내부에 잘 맞게 들어간 엔드피스(315)를 또한 가진다. 채널에서 엔드피스를 빼냄으로써 플런저 채널(310) 내부에 음압(예를 들어, 진공)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음압이 홀더에 안구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힘 변환기의 다른 양태에서, 플런저-형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플런저의 단부와 홀더의 또 다른 영역 사이에 안구장치를 고정함으로써 홀더 내부에 안구장치를 고정한다. 안구장치는 플런저를 빼냄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집게-형 홀더가 홀더 내에 안구장치를 고정하고 홀더로부터 안구장치를 분리하는데 유용한 힘 변환기의 다른 종류이다.
힘은 어플리케이터에 보유된 안구장치에 간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힘 변환기를 이용하여 진동 에너지를 적용하여 안구장치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또는 홀더 영역)는 홀더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힘 변환기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예를 들어, 가청음파 또는 초음파/초음속 주파수를 사용). 전체 어플리케이터, 또는 어플리케이터의 일부가 진동될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는 홀더만 진동된다. 다른 양태에서는 조종장치도 진동된다. 진동 주파수와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자동화될 수도 있다. 한 양태에서, 안구장치는 홀더를 간단히 진동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분리된다. 홀더의 진동은 홀더에 안구장치를 보유시키는 어떤 표면장력을 파괴하여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안구장치를 분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안구장치를 고정 및/또는 분리하는데 유용한 어떤 종류의 에너지(예를 들어, 힘)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변환기와 결합할 수 있다. 변환기의 예는 열 에너지, 자기 에너지, 음파 에너지, 전자기 에너지 등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변환기를 포함한다. 더욱이, 변환기들의 조합, 또는 상이한 종류의 에너지(힘을 포함하는)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변환기가 또한 어플리케이터에 결합될 수 있다.
안구장치는 분리가능한 접착제에 의해서 홀더에 피동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용해가능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양태에서, 수용성 재료가 삽입 후 분리될 준비가 될 때까지 안구장치를 홀더에 고정시킨다. 수용성 재료의 예는, 제한은 없지만, 폴리비닐알코올 같은 중합체, 히알루론산(HA) 같은 생물고분자 및 다당류를 포함한다. 접착제를 분리하는 유체(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다른 유리한 액체)의 적용이 접착제를 용해하거나 유리시켜 안구장치를 분리한다. 유체는 국소적으로(예를 들어, 채널(302)을 통해) 또는 각막의 더 넓은 면적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다른 변형은 상기 논의된 장치, 변환기 및 기술의 어떤 조합을 이용하여 홀더로부터 안구장치를 고정 및/또는 분리할 수 있다.
조종장치 영역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조종장치 영역(1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1B에서, 조종장치 영역(102)은 홀더(104)에 연결된 연장된 평탄한 영역으로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조종장치 영역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를 조종할 수 있게 하는 어떤 모양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종장치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를 움직일 수 있다(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를 각막의 적합한 영역 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장치는 어플리케이터 홀더에서 안구장치를 분리 및/또는 고정하는 제어장치 또는 제어장치들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장치는 어플리케이터에 있는 채널(302)에 유체를 적용하거나 그로부터 회수하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1B에서, 홀더는 조종장치 영역에 공동으로서 구성된다.
조종장치는 공간 중에서 어플리케이터에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조종장치가 홀더와 연결된 기다란 경질 부재이며, 조종장치가 움직이면 홀더가 움직이고 그에 따라 안구장치도 움직인다. 조종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조종장치는 손잡이로서 구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제자리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수동으로 움직임으로써, 어플리케이터에 안구장치를 로딩하고, 안구장치를 탈층된 상피와 밑의 각막 실질 사이에 배치하고,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분리하고, 그리고 어플리케이터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장치는 붙잡는 표면 및/또는 안구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방아쇠와 같은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 조종장치는 자동 또는 기계적 제어장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종장치는 x, y 스테이지 또는 다른 병진 기계장치에의 부착을 위한 부착 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 조종장치는 변환기와 결합하도록 적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B는 채널을 포함하는 조종장치를 도시하며, 이 채널을 통해 홀더 내의 안구장치에 힘이 적용된다(예를 들어, 플런저 또는 유체의 이동을 위한). 또한, 어플리케이터는 힘 변환기용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 제어장치는 어플리케이터의 조종장치 부분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조종장치는 어플리케이터를 제어하는데 편리한 어떤 크기(예를 들어, 길이, 두께, 모양 등)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장치는 전형적인 사용자가 잡고서 제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근단부와 원단부를 갖는 기다란 부재이며, 홀더 영역이 원단부에서 어플리케이터에 부착된다. 조종장치는 홀더가 안구장치가 배치될 눈의 영역에 쉽게 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장치는 홀더가 탈층된 상피나 눈 표면과 접촉할 때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서는 좀 더 좁을 수 있다.
사용방법
본원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를 안구장치로 로딩하는데, 및/또는 안구장치를 눈에 상대적으로 위치시키는데(특히 상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층된 눈), 및/또는 안구장치를 눈 위에 배치하는데(예를 들어 각막 실질과 상피 사이에), 및/또는 안구장치를 눈 위에 재배치하는데, 및/또는 안구장치를 눈으로부터 회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
로딩
더 나아가, 어플리케이터는 눈에 적용될 안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안구장치는 어플리케이터에 미리-로딩되거나(예를 들어, 포장시에), 또는 사용자나 다른 매개물에 의해 로딩될 수 있다. 미리-로딩된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안구장치를 이미 구비하고 있는 어플리케이터로서 개별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와 안구장치는 개별적으로 밀봉되어 멸균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의 패키지로 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일회용 포장으로). 한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일회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는 안구장치가 오직 1번만 분리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일회용 어플리케이터는 저렴한(예를 들어, 내구성이 적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후의 소독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여러 번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로딩가능할 수 있는데, 이것은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안구장치를 눈에 적용하기 전에, 안구장치가 안구장치의 홀더에 로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로딩가능한 어플리케이터는 일회용으로 또는 여러 번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러 번 사용하는 어플리케이터는 소독가능한 재료(또는 재료들)로 제작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수동으로 로딩될 수도 있고, 보조장치의 도움을 받아 로딩될 수도 있고, 자동 로딩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의 홀더에 안구장치를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수동으로 로딩된다. 다음에, 안구장치가 홀더에 고정될 수 있다. 안구장치는 식염수와 같은 용액 중에 보관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저장이나 선적을 위해), 또는 건조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장치가 수화된 렌즈일 때, 안구장치는 사용자의 손으로 식염수 용액 중에 저장된 것이 어플리케이터의 홀더로 옮겨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어떤 양태에서, 로딩 과정을 보조하기 위해 힘 변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장치가 흡인력에 의해 홀더에 고정되는 어플리케이터에서는, 힘 변환기를 사용하여 흡인력을 적용하는 동시에, 특히 용액 중에 부유하고 있는 안구장치의 경우, 안구장치의 로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를 로딩하기 위한 추가의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양태에서, 안구장치는 안구장치의 방향을 정하고, 안구장치가 어플리케이터에 로딩되도록 준비하고, 안구장치를 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매개장치에 의해 처리된다. 한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매개 로딩장치와 함께 사용되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로딩장치는 안구장치를 어플리케이터의 홀더 위로 끌어당길 수 있다(예를 들어, 흡인, 원심분리, 저장 매질의 체질, 진동 등에 의해). 한 양태에서, 안구장치는 용기 안에 넣어져 용액(예를 들어, 식염수) 중에서 보관되며, 어플리케이터는 깔대기 모양 장치의 말단부에 부착될 수 있고, 여기에 안구장치를 함유한 용액이 부어진다. 유체는 깔대기 모양 구조의 단부에서 어플리케이터 홀더 영역 위로 따라질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유체는 어플리케이터의 힘 변환기에 의해 깔대기 모양 장치로부터 흡인된다. 이 양태에서, 이 유체 중에 저장된 안구장치는 결국 어플리케이터의 홀더에 놓여질 것이다. 안구장치가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적합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안구장치의 특이적 배향 표면과 홀더가 합치되는 경우, 일단 안구장치가 홀더에 적합하게 장착된 후에 힘 변환기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이 멈춰질 것이다. 예를 들어, 안구장치는 오목면을 갖는 렌즈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 홀더는 도 1A에 도시된 대로 오목부일 수 있다.
일단 안구장치가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장착된 후, 안구장치는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고정될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 이것은 힘 변환기를 이용해 힘을 적용하여 안구장치를 홀더에 고정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안구장치 배치
어플리케이터와 로딩된 안구장치가 눈에, 바람직하게는 각막 실질로부터 상피의 한 부분 이상이 탈층된 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US 6,544,286, 미국 특허출원 제10/243,121(2002/9/13 제출), 미국 특허출원 제10/346,664(2003/1 /17 제출), 및 미국 가 출원 60/505,219(2003/9/22 제출) 및 60/580,430(2004/6/16 제출)에 설명되며, 이들은 그 전문이 참고자료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탈층되지 않은 눈에 안구장치를 적용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는 각막 상피와 각막 실질 사이 각막 실질 위에 안구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상피는 뒤로 벗겨진다(예를 들어, 상피 플랩이 각막으로부터 분리된다). 한 양태에서 상피는 탈층되지만 각막 위에 유지된다. 다른 양태에서 상피는 상피로부터 분리되지만 상피 위에 '주머니'로서 유지된다. 모든 경우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탈-상피화된 각막 실질 위에 안구장치를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 기술로 각막 실질 위에 안구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떤 추가의 구조 가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탈층된 상피와 각막 실질 사이의 위치로 어플리케이터를 인도한다. 또는 달리, 사용자는 추가 가이드를 사용하여 안구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안구장치 삽입용 가이드와 결합되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어플리케이터는 상피를 탈층시키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가이드와 결합되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탈층된 눈(405) 표면(410) 위의 흡인 고리(401)를 도시한다. 흡인 고리는 눈의 표면을 확보하고 및/또는 드러낼 수 있는 장치 부류의 하나로, (예를 들어, 탈층된) 위에서 작동될 수 있다. 눈의 표면을 드러내기 위한 어떤 적합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흡인 장치는 눈 위에 배치되고, 그 자리에서 흡인된다. 이 과정은, 도시된 대로 탈층되어 있을 수도 있는 눈 표면(410) 영역에의 재현가능한 접근을 허용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흡인 장치는 흡인 장치의 외주부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트랙 모양 영역 (412)을 가지는데, 이것은 탈층장치나 삽입장치 같은 장치가 눈의 표면을 가로질러 정해진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 예에서, 어플리케이터(100)는 눈의 왼쪽에 도시되며, 상피 영역(422)과 각막 표면(420) 사이에 안구장치를 삽입하도록 준비되어 있다. 이 어플리케이터는 가이드 장치(여기서는 흡인 고리)의 트랙 영역(430)에 꼭 맞도록 구성되어, 어플리케이터가 안구장치를 정확히 적용할 수 있는 위치로 어플리케이터를 인도한다.
도 5A 내지 5C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가이드에 설치되도록 적합하게 된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다. 도 5A는 안구장치 홀더의 한쪽 측면에 눈에 부착된 가이드와 결합하는 홈-모양 트랙(501)을 갖는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도를 도시한다. 가이드를 어플리케이터에 연결하기 위한, 또는 일단 어플리케이터가 가이드와 접촉한 후 어플리케이터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동작을 막기 위한 추가의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A의 어플리케이터는 도 1A과 같은 컵-형 오목부 홀더(108)를 가지며, 이 홀더는 조종장치(102)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5B는 도 5A의 어플리케이터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5C의 어플리케이터는 홀더(108)에 고정된 안구장치(110)를 완전히 둘러싸며, 이로써 도 5B에서 어플리케이터(505)의 하부 영역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C는 어플리케이터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어플리케이터를 관통한 창(510)을 갖는 어플리케이터가 도시되는데, 이 창은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안구장치를 배치할 때 사용자를 도울 수 있다. 어떤 모양 및 크기의 창이 어플리케이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C에서, 이 창은 대략 홀더의 중앙에 도시되는데, 여기는 홀더에 고정된 안구장치의 중앙에도 상응한다.
도 6은 가이드와 함께 사용하도록 적합하게 된 어플리케이터의 다른 변형을 도시한다. 도 6에서, 조종장치는 루프로서 도시된 가이드-결합 영역(601)을 포함한다. 가이드-결합 영역은 가이드 장치의 합치 영역에 꼭 맞는다. 다른 모양 및 스타일의 가이드-결합 영역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의 어플리케이터는 작은 홀더(108)를 가지는데, 이것은 5개의 흡인구(615)에 의해 안구장치(110)를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단 어플리케이터가 눈 위의 원하는 위치에 (또는 대략 그 위치에) 놓여진 후, 안구장치는 어플리케이터로부터 각막 실질의 표면 위에 분리될 수 있다. 설명된 대로,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안구장치를 고정하고 있는 힘을 제거함으로써(또는 안구장치를 고정하고 있는 피동적 제재를 제거함으로써) 안구장치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안구장치가 각막 실질 위에 떨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는 힘을 적용하여 안구장치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장치의 힘 변환기가 힘(예를 들어, 압력)을 적용하여 안구장치를 홀더로부터 눈 위로 분리할 수 있다.
일단 안구장치가 눈 위에 배치된 다음,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안구장치를 더 정확하게 움직이거나 재배치할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 안구장치는 (예를 들어, 음압을 재적용하거나, 안구장치를 붙잡음으로써) 어플리케이터 위에 다시 로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눈 위에 배치된 안구장치를 "조금씩 움직"이거나 또는 이동시키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의 가장자리는 안구장치 및/또는 눈에 닿아도 이들에 손상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 어플리케이터의 가장자리는 무뎌지며, 저-마찰 코팅을 가진다.
어플리케이터의 어떤 양태들은 각막 실질 위에서 안구장치를 조금씩(예를 들어, 미세하게) 움직이기 위한 재배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재배치 부재는 어플리케이터의 원단부 끝(예를 들어, 홀더 근처)으로부터 돌출된 후퇴식 부재일 수 있으며, 이것이 연장되었을 때 이 영역을 사용하여 안구장치가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분리된 후 안구장치를 조금씩 움직일 수 있다. 후퇴된 위치에서는 재배치 부재가 눈을 가로지르는 어플리케이터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후퇴식 재배치 부재는 가이드와 함께 사용되도록 적합하게 된 어플리케이터 양태에서 특히 유용한데, 이들 어플리케이터는 어떤 경우 각막 실질의 표면 위에 분리된 안구장치를 방해하지 않고 가이드로부터 회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일단 어플리케이터에서 안구장치가 분리되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후, 어플리케이터는 회수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서는, 그 다음에 상피 플랩이 안구장치의 적어도 한 표면 위에 배치된다.
본 장치의 구조 및 생리학적 특성과, 본 어플리케이터 장치의 특정한 양태에 각각 독특한 어떤 이점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설명은 설명된 범위를 어떤 식으로도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3)
-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층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고, 그러한 배치를 하기까지 안구장치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주머니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주머니 구멍이 있는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주머니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도입하도록 구성되며, 도입은 주머니 구멍을 통해 안구장치를 도입하는 단계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3 항에 있어서, 주머니 구멍이 있는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주머니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도입하도록 구성되며, 도입은 상피층에 실질적 손상 없이 주머니 구멍을 통해 안구장치를 도입하는 단계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안구장치를 제어가능하게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5 항에 있어서, 또한 상피층에 실질적 손상 없이 상피층 밑으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피층에 실질적 손상 없이 주머니 구멍이 있는 미리 분리된 각막 상피 주머니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8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는 어플리케이터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9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각막 상피층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고, 그러한 배치를 하기까지 어플리케이터로 안구장치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안구장치를 제어가능하게 분리하도록 구성된 안구장치 홀더; 및안구장치 홀더에 부착되어 안구장치 홀더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조종장치를 포함하는,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 홀더는 안구장치의 적어도 한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합치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 홀더는 안구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홈 모양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 홀더는 집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층된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를 보조하도록 구성된 가이드와 결합되도록 적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5 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흡인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5 항에 있어서, 조종장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가이드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는 안구장치에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힘 변환기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8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 홀더는 힘 변환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8 항에 있어서, 힘 변환기는 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8 항에 있어서, 힘 변환기는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8 항에 있어서, 힘 변환기는 압력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22 항에 있어서, 힘 변환기는 안구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에 양압 또는 음 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21 항에 있어서, 조종장치는 손잡이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21 항에 있어서, 조종장치는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일 수 있는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21 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는 또한 일회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21 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저-마찰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27 항에 있어서, 저-마찰 표면은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11 항에 있어서, 또한 안구장치 홀더로부터 안구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각막 상피층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고, 그러한 배치를 하기까지 어플리케이터로 안구장치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안구장치를 제어가능하게 분리하도록 구성된 안구장치 홀더;안구장치 홀더에 부착되어 안구장치 홀더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조종장치; 및적어도 하나의 안구장치를 포함하는,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 제 30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는 안구장치 홀더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제 30 항에 있어서, 안구장치는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 각막 상피층 밑 각막 위에 안구장치를 배치하고, 그러한 배치를 하기까지 어플리케이터로 안구장치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안구장치 홀더; 및근단부와 원단부를 가지며, 근단부 영역에 안구장치 홀더가 연결된 조종장치를 포함하는, 각막 상피 밑에 안구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0/937,206 | 2004-09-08 | ||
US10/937,206 US20060064112A1 (en) | 2004-09-08 | 2004-09-08 | Ocular device applic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8580A true KR20070118580A (ko) | 2007-12-17 |
Family
ID=3603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8074A KR20070118580A (ko) | 2004-09-08 | 2005-09-08 |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064112A1 (ko) |
EP (1) | EP1804750A2 (ko) |
JP (1) | JP2008512205A (ko) |
KR (1) | KR20070118580A (ko) |
CN (1) | CN101184451A (ko) |
AU (1) | AU2005282349A1 (ko) |
BR (1) | BRPI0515055A (ko) |
CA (1) | CA2579645A1 (ko) |
IL (1) | IL181788A0 (ko) |
MX (1) | MX2007002825A (ko) |
WO (1) | WO2006029316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68735B2 (en) | 2000-09-12 | 2014-03-11 | Revision Optics, Inc. | Corneal implant storage and delivery devices |
US20080039769A1 (en) * | 2001-11-07 | 2008-02-14 | Minu Llc | Method of medical treatment using controlled heat delivery |
AU2003270593A1 (en) * | 2002-09-13 | 2004-04-30 | Ocular Sciences,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ion |
US10835371B2 (en) | 2004-04-30 | 2020-11-17 | Rvo 2.0, Inc. | Small diameter corneal inlay methods |
WO2006020859A2 (en) * | 2004-08-13 | 2006-02-23 | Ottawa Health Research Institute | Vision enhancing ophthalm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compositions |
TW200740416A (en) * | 2006-02-08 | 2007-11-01 | Coopervision Inc | Corneal onlays and related methods |
US10555805B2 (en) | 2006-02-24 | 2020-02-11 | Rvo 2.0, Inc. | Anterior corneal shapes and methods of providing the shapes |
US7883520B2 (en) * | 2006-04-10 | 2011-02-08 | Forsight Labs, Llc | Corneal epithelial pocket formation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
AU2007269259B2 (en) * | 2006-06-30 | 2012-05-31 | Aquesys Inc. |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relieving pressure in an organ |
US8308701B2 (en) | 2010-11-15 | 2012-11-13 | Aquesys, Inc. | Methods for deploying intraocular shunts |
US8663303B2 (en) | 2010-11-15 | 2014-03-04 | Aquesys, Inc. | Methods for deploying an intraocular shunt from a deployment device and into an eye |
US8852256B2 (en) | 2010-11-15 | 2014-10-07 | Aquesys, Inc. | Methods for intraocular shunt placement |
US9095411B2 (en) | 2010-11-15 | 2015-08-04 | Aquesys, Inc. | Devices for deploying intraocular shunts |
US8974511B2 (en) | 2010-11-15 | 2015-03-10 | Aquesys, Inc. | Methods for treating closed angle glaucoma |
US10085884B2 (en) | 2006-06-30 | 2018-10-02 | Aquesys, Inc. | Intraocular devices |
US20120123317A1 (en) * | 2010-11-15 | 2012-05-17 | Aquesys, Inc. | Methods for implanation of glaucoma shunts |
US8721702B2 (en) | 2010-11-15 | 2014-05-13 | Aquesys, Inc. | Intraocular shunt deployment devices |
US20120123316A1 (en) | 2010-11-15 | 2012-05-17 | Aquesys, Inc. | Intraocular shunts for placement in the intra-tenon's space |
JP5470854B2 (ja) * | 2007-02-08 | 2014-04-16 | 株式会社カネカ | 眼用インジェクター |
US9271828B2 (en) | 2007-03-28 | 2016-03-01 | Revision Optics, Inc. | Corneal implant retain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
US9549848B2 (en) | 2007-03-28 | 2017-01-24 | Revision Optics, Inc. | Corneal implant inserters and methods of use |
US8162953B2 (en) * | 2007-03-28 | 2012-04-24 | Revision Optics, Inc. | Insertion system for corneal implants |
US20080281341A1 (en) * | 2007-05-11 | 2008-11-13 | Ension,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thelial keratoplasty donor tissue transport and delivery |
US8398651B2 (en) * | 2007-07-17 | 2013-03-19 | Abbott Medical Optics, Inc. | Viscoelastic applicator for IOL insertion apparatus |
WO2009046158A1 (en) * | 2007-10-02 | 2009-04-09 |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 Keratoplasty graft deployment devices and methods |
WO2009050511A1 (en) * | 2007-10-16 | 2009-04-23 | Donald Tan | Ophthalmic surgical device for endothelial keratoplasty for descemet's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surgery |
EP2092916A1 (en) * | 2008-02-19 | 2009-08-26 |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 A method of treating an ocular pathology by apply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and device thereof |
US9539143B2 (en) | 2008-04-04 | 2017-01-10 | Revision Optics, Inc. | Methods of correcting vision |
AU2009231636B2 (en) | 2008-04-04 | 2014-07-24 | Revision Optics, Inc. | Corneal inlay design and methods of correcting vision |
US20100087920A1 (en) * | 2008-10-07 | 2010-04-08 | Forsight Labs, Llc | Corneal Onlay Lenses and Related Methods for Improving Vision of Presbyopic Patients |
US10842671B2 (en) | 2010-11-15 | 2020-11-24 | Aquesys, Inc. | Intraocular shunt placement in the suprachoroidal space |
US9186245B2 (en) * | 2011-09-07 | 2015-11-17 | Vladimir Feingold | Lens injector apparatus and method |
AU2012325705B2 (en) | 2011-10-21 | 2017-07-20 | Revision Optics, Inc. | Corneal implant storage and delivery devices |
US8852136B2 (en) | 2011-12-08 | 2014-10-07 | Aquesys, Inc. | Methods for placing a shunt into the intra-scleral space |
US9610195B2 (en) | 2013-02-27 | 2017-04-04 | Aquesys, Inc. | Intraocular shunt implantation methods and devices |
US10080682B2 (en) | 2011-12-08 | 2018-09-25 | Aquesys, Inc. | Intrascleral shunt placement |
US9808373B2 (en) | 2013-06-28 | 2017-11-07 | Aquesys, Inc. | Intraocular shunt implantation |
US9585790B2 (en) | 2013-11-14 | 2017-03-07 | Aquesys, Inc. | Intraocular shunt inserter |
EP3182926A4 (en) * | 2014-08-19 | 2018-04-04 | Revision Optics, Inc. | Corneal implant storage, packaging, and delivery devices |
AU2015385773A1 (en) | 2015-03-12 | 2017-10-05 | Revision Optics, Inc. | Methods of correcting vision |
JP6916742B2 (ja) | 2015-06-03 | 2021-08-11 | アクエ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Ab externo(眼外から眼内へ)の眼内シャント配置 |
US10667947B2 (en) | 2016-06-02 | 2020-06-02 | Aquesys, Inc. | Intraocular drug delivery |
US11246753B2 (en) | 2017-11-08 | 2022-02-15 | Aquesys, Inc. | Manually adjustable intraocular flow regulation |
US11135089B2 (en) | 2018-03-09 | 2021-10-05 | Aquesys, Inc. | Intraocular shunt inserter |
US10952898B2 (en) | 2018-03-09 | 2021-03-23 | Aquesys, Inc. | Intraocular shunt inserter |
CN110236785A (zh) * | 2019-07-15 | 2019-09-17 | 温州医科大学附属眼视光医院 | 一种负压吸引式人工晶状体挑拨器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8622A (en) * | 1991-11-01 | 1993-01-12 | Lehner Ii Robert H | Instrument for implanting a soft intraocular lens |
WO1996003924A1 (en) * | 1994-08-05 | 1996-02-15 | Chiron Vision Corporation | Device for inserting a flexible intraocular lens |
US6605093B1 (en) * | 1997-10-24 | 2003-08-12 | Tekia, Inc. |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an ophthalmologic insertor apparatus |
US6159218A (en) * | 1999-05-19 | 2000-12-12 | Aramant; Robert B. | Retinal tissue implantation tool |
-
2004
- 2004-09-08 US US10/937,206 patent/US2006006411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
- 2005-09-08 JP JP2007531362A patent/JP2008512205A/ja not_active Withdrawn
- 2005-09-08 WO PCT/US2005/032158 patent/WO2006029316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9-08 CN CNA200580037550XA patent/CN101184451A/zh active Pending
- 2005-09-08 EP EP05794966A patent/EP1804750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9-08 KR KR1020077008074A patent/KR200701185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09-08 AU AU2005282349A patent/AU200528234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9-08 BR BRPI0515055-8A patent/BRPI0515055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09-08 CA CA002579645A patent/CA257964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9-08 MX MX2007002825A patent/MX2007002825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
- 2007-03-07 IL IL181788A patent/IL181788A0/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579645A1 (en) | 2006-03-16 |
BRPI0515055A (pt) | 2008-07-01 |
AU2005282349A1 (en) | 2006-03-16 |
WO2006029316A3 (en) | 2007-11-15 |
IL181788A0 (en) | 2007-07-04 |
WO2006029316A2 (en) | 2006-03-16 |
US20060064112A1 (en) | 2006-03-23 |
EP1804750A2 (en) | 2007-07-11 |
MX2007002825A (es) | 2007-05-16 |
CN101184451A (zh) | 2008-05-21 |
JP2008512205A (ja) | 2008-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118580A (ko) | 안구장치 어플리케이터 | |
KR20070117532A (ko) | 결합된 상피 탈층장치 및 삽입장치 | |
TWI435715B (zh) | 角膜上皮囊形成系統、組件及方法 | |
US20060247660A1 (en) | Corneal retention or stabilizing tool | |
MXPA04006954A (es) | Metodos para producir colgajos epiteliales sobre la cornea y para la colocacion de dispositivos oculares y lentes debajo de un colgajo o membrana epitelial, dispositivo de deslaminacion epitelial, y estructuras de epitelio y dispositivos y lentes ocu | |
US20070265649A1 (en) | Epithelial delaminating device | |
WO2007112130A2 (en) | Automatic epithelial delaminator and lens inserter | |
KR20080018988A (ko) | 상피 탈층장치(v) 및 이 장치에 유용한 칼날 | |
WO2007123644A2 (en) | Partially lubricious epithelial delaminator | |
MXPA06003089A (en) | Corneal retention device or corneal stabiliz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