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016A -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016A
KR20080018016A KR1020060080041A KR20060080041A KR20080018016A KR 20080018016 A KR20080018016 A KR 20080018016A KR 1020060080041 A KR1020060080041 A KR 1020060080041A KR 20060080041 A KR20060080041 A KR 20060080041A KR 20080018016 A KR20080018016 A KR 20080018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creen
video signa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221B1 (ko
Inventor
신호철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더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싸인 filed Critical (주)더싸인
Priority to KR1020060080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Abstract

차량에 장착되어 다중화면 처리를 위한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비디오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컨텐츠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다중화면 처리부는 디지털 변환된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와 디코딩된 외부 컨텐츠 비디오 신호를 다중화면 처리한다. 비디오 스위칭부는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인코더에서 제공되는 다중화면 처리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용 영상과 외부 컨텐츠 영상이 픽쳐-인-픽쳐(PIP) 또는 픽쳐-온-픽쳐(POP)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에 두 개의 콘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하여 표시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차량항법, 다중화면, 컨텐츠, PIP, POP

Description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MULTI-CONTENTS CONVERTING UNIT FOR A CAR, MULTIMEDIA DEVICE FOR A CA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PIP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POP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POP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10 : 차량용 컨텐츠 출력부
120 : 네비게이션부 130 : 외부 컨텐츠 출력부
140 : 리모콘 150 : 다중 A/V 제어모듈
160 : 화면표시부 170 : 음향출력부
510 :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520 : 메인 제어부
530 : 오디오 스위칭부 54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50 : 비디오 디코더 560 : 다중화면 처리부
570 : 인코더 580 : 비디오 스위칭부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다중화면 처리를 위한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대한 인식이 이동 수단의 개념에서 주거 공간에 근접한 개념으로 바뀌면서, 자동차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카 오디오에 머무르지 않고 운전자가 원하는 기능의 제품을 추가로 설치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부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카 오디오, CD 체인저, 차량용 DVD 장치, 네이게이션 시스템 등이 등장하였다. 최근에는 차량용 컴퓨터도 등장하였다.
특히, 다양하고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의 운전자들은 하루 중 차량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는 관계로 이동 중에 차량 내에서 각종 업무를 처리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얻기를 바란다. 또한, 운전 중에 교통정보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안 내 등과 같은 차량항법 서비스와 음악 CD 청취, 비디오 및 TV 시청 등의 AV 기능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기를 원한다.
이러한 운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오늘날 차량용 정보단말기, A/V 시스템 및 차량항법 시스템(Car Navigation System)의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비게이션용 영상과 외부 컨텐츠 영상이 픽쳐-인-픽쳐(PIP) 또는 픽쳐-온-픽쳐(POP)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에 두 개의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다중화면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을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유닛은 메인 제어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비디오 디코더, 다중화면 처리부, 인코더 및 비디오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외부의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를 디지 털 변환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컨텐츠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상기 다중화면 처리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외부 컨텐츠 비디오 신호를 다중화면 처리한다. 상기 인코더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한다. 상기 비디오 스위칭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인코더에서 제공되는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일례로,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비디오 신호는 픽쳐-인-픽쳐 또는 픽쳐-온-픽쳐 처리된다.
일례로, 상기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유닛은 오디오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스위칭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항법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차량에 장착된 오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에 출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네비게이션부, 외부 컨텐츠 출력부 및 다중 컨텐츠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네비게이션부는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외부 비디오 신 호를 출력한다.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외부 비디오 신호를 다중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다중 비디오 신호와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에 출력한다.
일례로,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는 메인 제어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비디오 디코더, 다중화면 처리부, 인코더 및 비디오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외부의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변환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컨텐츠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상기 다중화면 처리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외부 컨텐츠 비디오 신호를 다중화면 처리한다. 상기 인코더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한다. 상기 비디오 스위칭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인코더에서 제공되는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원격제어부는 제1 키, 제2 키, 제3 키 및 제4 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키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과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간의 스위칭 요청을 위해 배치된다. 상기 제2 키는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의 기능들을 로테이션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제3 키는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다중 비디오 신호의 화면 위치 또는 회면 크기의 조절을 위해 배치된다. 상기 제4 키는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다중 비디오 신호의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의 절환을 위해 배치된다.
일례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의 전면에 배치된 터치패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서 제공되는 터치 신호를 바이패스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를 경유하여 바이패스 출력되는 터치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상기 네비게이션부에 제공하는 터치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a) 차량의 시동이 켜짐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최종 모드를 읽는 단계와, (b) 상기 최종 모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와, (c) 제1 키신호(K1)가 입력됨에 따라, 차량용 컨텐츠와 픽쳐-인-픽쳐(PIP) 컨텐츠간에 절환 동작을 수행하고, 절환된 모드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와, (d) 상기 제2 내지 제3 키신호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고, 외부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와, (e) 상기 외부 컨텐츠가 존재하고, 상기 제2 키신호(K2)가 입력되는 경우, 일반 모드, 픽쳐-인-픽쳐(PIP) 모드 및 픽쳐-온-픽쳐(POP) 모드를 순차적으로 로테이션시켜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와, (f) 상기 외부 컨텐츠가 존재하고, 제3 키신호(K3)가 입력되며, PIP 모드를 실행하는 PIP 버튼 또는 POP 모드를 실행하는 픽쳐-온-픽쳐(POP) 버튼이 액티브됨에 따라, 해당 모드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와, (g) 상기 외부 컨텐츠가 존재하고, 상기 제4 키신호(K4)가 입력되는 경우, PIP 모드 또는 POP 모드에서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간에 절환 동작을 수행하고, 절환된 모드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단계(f)는 (f-1) 상기 PIP 버튼이 액티브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서브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서브 화면의 위치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와, (f-2) 상기 PIP 버튼이 액티브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서브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서브 화면의 크기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네비게이션용 영상과 외부 컨텐츠 영상이 픽쳐-인-픽쳐(PIP) 또는 픽쳐-온-픽쳐(POP)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에 두 개의 콘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차량용 컨텐츠 출력부(110), 네비게이션부(120), 외부 컨텐츠 출력부(130), 리모콘(140), 다중 A/V 제어모듈(150), 화면표시부(160) 및 음향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컨텐츠 출력부(110)는 차량에 이미 장착된 컨텐츠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차량용 오디오/비디오(A/V) 신호(AC/VC)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A/V 신호(AC/VC)는 차량용 TV A/V 신호 및 차량용 CD A/V 신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네비게이션부(120)는 차량 항법용 A/V 신호(AN/VN)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제공한다.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130)는 차량에 이미 장착되지 않았으나, 차량 출고후 운전자에 의해 장착되는 별도의 컨텐츠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외부 A/V 신호(AE/VE)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출력한다. 상기 외부 A/V 신호(AE/VE)는 위성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 지상파 DMB 신호,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신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리모콘(140)은 사용자에 조작에 따른 원격제어신호(141)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무선 송신한다. 상기 리모콘(140)에는 제1 키(K1), 제2 키(K2), 제3 키(K3) 및 제4 키(K4)가 배치된다. 상기 제1 키(K1)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인 차량용 컨텐츠 출력부(110)와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간의 스위칭 요청을 위해 배치된다. 상기 제2 키(K2)는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의 기능들을 로테이션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제3 키(K3)는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의해 변환된 다중 비디오 신호의 화면 위치 또는 화면 크기의 조절을 위해 배치된다. 상기 제4 키(K4)는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의해 변환된 다중 비디오 신호의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의 절환을 위해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리모콘(140)을 활용하여 상기 화면표시부(160)에 단독적으로 차량용 TV 화면이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도 있고, 상기 네비게이션부(120)에서 출력되는 차량 항법용 지도 영상이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도 있으며,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각종 DMB 영상이나 PMP 영상이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차량 항법용 지도 영상과 상기 각종 DMB 영상 또는 PMP 영상이 픽쳐-인-픽쳐(PIP; Picture-In-Picture) 처리되어 표시되도록 요청하거나, 상기 차량 항법용 지도 영상과 상기 각종 DMB 영상 또는 PMP 영상이 픽쳐-온-픽쳐(POP, Picture-On-Picture) 처리되어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은 상기 원격제어신호(141)에 응답하여, 비디오 신호(151)를 상기 화면표시부(160)에 제공하고, 오디오 신호(153)를 상기 음향출력부(170)에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신호(151)는 차량용 TV의 비디오 신호일 수도 있고, 상기 네비게이션부(120)에서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영상일 수도 있으며,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130)에서 제공되는 DMB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영상 및 DMB 영상은 단독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PIP(Picture-In-Picture) 또는 POP(Picture-On-Picture) 처리되어 다중화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은 상기 원격제어신호(141)에 응답하여, 차량 항법을 위한 네비게이션 영상과 DMB 영상을 PIP 또는 POP 처리하여 상기 화면표시부(16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은 상기 네비게이션 영상 또는 DMB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상기 음향출력부(17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영상은 메인 화면이 되고, 상기 DMB 영상은 서브 화면이 될 수도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상기 화면표시부(160)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서 제공되는 상기 비디오 신호(151)를 변환하여 영상 출력한다.
상기 음향출력부(170)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서 제공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153)를 변환하여 음향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에 장착된 상기 차량용 컨텐츠 출력부(110)나, 상기 화면표시부(160), 상기 음향출력부(170) 외에 별도로 상기 네비게이션부(120),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130), 상기 리모콘(140) 및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을 구비하므로써, 점차적으로 멀티미디어화되는 환경에 차량을 적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중이라 할지라도 차량용 TV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A/V 신호나 DMB용 A/V 신호, PMP용 A/V 신호를 하나의 화면표시부(160)를 통해 보다 적절 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차량용 컨텐츠 출력부(110), 네비게이션부(120), 외부 컨텐츠 출력부(130), 리모콘(140), 다중 A/V 제어모듈(150), 화면표시부(160) 및 음향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컨텐츠 출력부(110)는 TV 튜너(112), CD 플레이어(114), 제1 외부 입력부(116) 및 튜너 박스(118)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TV 튜너(112)는 TV용 A/V 신호를 튜너 박스(118)에 제공한다.
상기 CD 플레이어(114)는 CD용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튜너 박스(118)에 제공한다.
상기 제1 외부 입력부(116)는 제1 외부 컨텐츠 신호, 예를들어 MP3용 오디오 신호를 튜너 박스(118)에 제공한다.
상기 튜너 박스(118)는 상기 TV 튜너(112), 상기 CD 플레이어(114) 및 상기 제1 외부 입력부(116)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제공하고, 또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제공한다.
상기 네비게이션부(120)는 차량 항법용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제공한다. 상기 차량 항법용 비디오 신호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도로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항법용 오디오 신호는 상기 도로 영상에 따른 각종 음향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130)는 DMB부(132) 및 제2 외부 입력부(13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DMB부(132)는 DMB용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제공한다.
상기 제2 외부 입력부(134)는 예를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장착되는 PMP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PMP 장치에서 제공되는 PMP용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제공한다.
상기 리모콘(140)은 사용자에 조작에 따른 원격제어신호(141)를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 무선 송신한다.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은 원격제어신호 수신부(IrDA)(510), 메인 제어부(520), 오디오 스위칭부(53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40), 비디오 디코더(550), 다중화면 처리부(560), 인코더(570) 및 비디오 스위칭부(5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제어신호 수신부(510)는 상기 리모콘(14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부(520)에 제공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52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상기 오디오 스위칭부(530), 상기 비디오 디코더(550), 상기 다중 화면 처리부(560), 상기 인코더(570) 및 상기 비디오 스위칭부(580) 각각에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520)에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최종 모드 정보가 탑재된 메모리(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스위칭부(530)는 상기 메인 제어부(52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튜너 박스(118)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 상기 네비게이션부(12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 상기 DMB부(132)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외부 입력부(134)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음향출력부(170)에 제공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40)는 외부의 상기 네비게이션부(120)에서 제공되는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디코더(550)에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550)는 상기 메인 제어부(52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130)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외부 비디오 신호를 상기 다중화면 처리부(560)에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면 처리부(560)는 상기 메인 제어부(52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변환된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외부 컨텐츠 비디오 신호를 다중화면 처리하고, 다중화면 처리된 영상을 상기 인코더(570)에 출력한다.
상기 인코더(570)는 상기 메인 제어부(52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스위칭부(580)에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스위칭부(580)는 상기 메인 제어부(52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 즉 상기 차량용 컨텐츠 출력부(110)의 튜너 박스(118)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인코더(570)에서 제공되는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영상을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기 화면표시부(16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화면표시부(160)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서 제공되는 차량용 TV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PIP 모드로 다중화된 네비게이션 영상 및 외부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거나, POP 모드로 다중화된 네비게이션 영상 및 외부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거나, 네비게이션 영상 또는 외부 컨텐츠 영상을 단독으로 표시한다.
상기 음향출력부(170)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에서 제공되는 차량용 TV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거나, PIP 모드로 다중화된 네비게이션 영상 및 외부 컨텐츠 영상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거나, POP 모드로 다중화된 네비게이션 영상 및 외부 컨텐츠 영상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거나, 단독으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영상 또는 외부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터치 패널(180) 및 터치 분석부(190)를 더 포함하여,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콘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통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패널(180)은 예를들어, 상기 화면표시부(160)의 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터치 좌표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터치 분석부(190)에 제공한다.
상기 터치 분석부(190)는 상기 터치 좌표에 대응하는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신호를 네비게이션부(120)에 제공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화면표시부(160)상에 표시되는 각종 지도 정보들 중 목적지 정보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좌표에 대응하여 목적지 정보 요청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목적지 정보 요청을 네비게이션부(12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부(120)는 예를들어, 현위치와 목적지간의 최단거리에 대응하는 경로 정보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40) 및 오디오 스위칭부(530)에 제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POP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POP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PIP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다중 A/V 제어모듈(150)은 정지 모드를 유지한다(단계 S105).
이어, 차량의 시동이 온됨에 따라(단계 S110),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 은 메모리(미도시)로부터 최종 모드를 읽어들인다(단계 S115).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다중 A/V 제어모듈(150) 내에 탑재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에는 다중화면표시 기능에 대응하여 설정된 최종모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어, 읽어들인 최종모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한 후(단계 S120), 상기 리모콘(140)상에 배열된 버튼이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5).
상기 단계 S125에서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 오프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0).
상기 단계 S130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로 체크되는 경우 상기 단계 S105로 피드백하고, 차량의 시동이 온으로 체크되는 경우 상기 단계 S120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단계 S125에서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K1, K2, K3 및 K4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5). 여기서 K1, K2, K3 및 K4에 대응하는 기능은 하기하는 표 1과 같다.
[표 1]
KEY 값 기능
K1 출고시 장착된 차량용 컨텐츠 출력장치와 출고후 부착된 외부 컨텐츠 출력장치간의 스위칭
K2 PIP모듈의 기능 로테이션(PIP->POP->노멀->PIP->POP...)
K3 PIP: 서브 화면 위치 이동, POP:서브 화면 크기 조절
K4 PIP 또는 POP에서 메인 화면과 서브화면간 절환
상기 단계 S135에서 K1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출고시 장착된 차량용 컨텐츠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와 출고후 부착된 외부 컨텐츠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PIP 컨텐츠간의 절환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40).
이어, 최종 모드를 저장한 후(단계 S145), 상기 단계 S120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단계 S135에서 K2, K3 및 K4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외부 컨텐츠의 액티브(active)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50).
상기 단계 S150에서 외부 컨텐츠가 인액티브(inactive)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상기 단계 S120으로 피드백하고, 외부 컨텐츠가 액티브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눌려진 버튼이 K2, K3 및 K4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재차 체크한다(단계 S155).
상기 단계 S155에서, K2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PIP 모드, POP 모드 및 정상 모드를 로테이션한 후(단계 S160), 상기 단계 S145 이하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 S155에서 K4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PIP 모드 또는 POP 모드에서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을 절환한 후(단계 S165), 상기 단계 S145 이하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 S155에서 K3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PIP 버튼 또는 POP 버튼이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70).
상기 단계 S170에서 상기 POP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간의 크기를 조절한 후(단계 S175), 상기 단계 S145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POP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예를들어, 1번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간의 크기를 1:1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a에서, 상기 메인 화면은 차량 항법용 지도 영상이고, 상기 서브 화면은 각종 DMB 영상 또는 PMP 영상이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POP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예를들어, 2번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간의 크기를 2:1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b에서, 상기 메인 화면은 차량 항법용 지도 영상이고, 상기 서브 화면은 각종 DMB 영상 또는 PMP 영상이다. 물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서브 화면은 상대적으로 화면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중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하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170에서 PIP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인 화면상에서 서브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단계 S180), 상기 단계 S145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PIP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1번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메인 화면상에서 서브 화면의 위치를 좌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PIP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2번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메인 화면상에서 서브 화면의 위치를 좌하부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PIP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3번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메인 화면상에서 서브 화면의 위치를 우하부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PIP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4번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상에서 서브 화면의 위치를 우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4c에서, 차량 항법용 지도 영상이 표시되는 메인 화면상에 오버레이 되어, 수신되는 DMB 영상이 서브 화면 형태로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용 영상과 외부 컨텐츠 영상이 픽쳐-인-픽쳐(PIP) 또는 픽쳐-온-픽쳐(POP)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에 두 개의 콘텐츠들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되어 한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보다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하며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예를들어 다중 A/V 제어모듈만을 추가하므로써 기존의 제공되는 기능에 매우 간단하게 추가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기존의 제품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외부에서 원격제어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
    외부의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하나 이상의 외부 컨텐츠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외부 컨텐츠 비디오 신호를 다중화면 처리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면 처리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인코더;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인코더에서 제공되는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비디오 신호는 픽쳐-인-픽쳐 또는 픽쳐-온-픽쳐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네비게이션부에서 제공되는 차량항법용 오디오 신호와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차량에 장착된 오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4.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네비게이션부;
    하나 이상의 외부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컨텐츠 출력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외부 비디오 신호를 다중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다중 비디오 신호와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를 상기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 컨텐츠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차량항법용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외부 컨텐츠 비디오 신호를 다중화면 처리하는 다중화면 처리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더;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인코더에서 제공되는 상기 다중화면 처리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비디오 신호원과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간의 스위칭 요청을 위해 배치된 제1 키;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의 기능들을 로테이션시키기 위해 배치된 제2 키;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다중 비디오 신호의 화면 위치 또는 화면 크기의 조절을 위해 배치된 제3 키; 및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다중 비디오 신호의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의 절환을 위해 배치된 제4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된 화면표시부의 전면에 배치된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서 제공되는 터치 신호를 바이패스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컨텐츠 변환부를 경유하여 바이패스 출력되는 터치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상기 네비게이션부에 제공하는 터치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1. (a) 차량의 시동이 켜짐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최종 모드를 읽는 단계;
    (b) 상기 최종 모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c) 제1 키신호(K1)가 입력됨에 따라, 차량용 컨텐츠와 픽쳐-인-픽쳐(PIP) 컨텐츠간에 절환 동작을 수행하고, 절환된 모드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 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
    (d) 상기 제2 내지 제3 키신호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고, 외부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
    (e) 상기 외부 컨텐츠가 존재하고, 상기 제2 키신호(K2)가 입력되는 경우, 일반 모드, 픽쳐-인-픽쳐(PIP) 모드 및 픽쳐-온-픽쳐(POP) 모드를 순차적으로 로테이션시켜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
    (f) 상기 외부 컨텐츠가 존재하고, 제3 키신호(K3)가 입력되며, PIP 모드를 실행하는 PIP 버튼 또는 POP 모드를 실행하는 픽쳐-온-픽쳐(POP) 버튼이 액티브됨에 따라, 해당 모드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 및
    (g) 상기 외부 컨텐츠가 존재하고, 상기 제4 키신호(K4)가 입력되는 경우, PIP 모드 또는 POP 모드에서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간에 절환 동작을 수행하고, 절환된 모드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는
    (f-1) 상기 PIP 버튼이 액티브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서브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서브 화면의 위치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 및
    (f-2) 상기 PIP 버튼이 액티브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서브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서브 화면의 크기를 최종 모드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80041A 2006-08-23 2006-08-23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3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41A KR100836221B1 (ko) 2006-08-23 2006-08-23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41A KR100836221B1 (ko) 2006-08-23 2006-08-23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16A true KR20080018016A (ko) 2008-02-27
KR100836221B1 KR100836221B1 (ko) 2008-06-09

Family

ID=3938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041A KR100836221B1 (ko) 2006-08-23 2006-08-23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33B1 (ko) * 2010-01-29 2012-02-06 주식회사 텍포러스 피아이피 기능을 갖는 차량 비디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비디오 시스템
KR101123579B1 (ko) * 2011-02-28 2012-03-22 팅크웨어(주)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WO2022103093A1 (ko) * 2020-11-10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471A (ja) * 1995-05-30 1996-12-13 Toshiba Corp 多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70052654U (ko) * 1996-02-23 1997-09-08 피아이피 기능을 갖춘 네비게이션시스템
KR100471089B1 (ko) * 2003-04-15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화상처리방법
JP2005003582A (ja) 2003-06-13 2005-01-06 Sony Corp 車両のナビゲーショ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33B1 (ko) * 2010-01-29 2012-02-06 주식회사 텍포러스 피아이피 기능을 갖는 차량 비디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비디오 시스템
KR101123579B1 (ko) * 2011-02-28 2012-03-22 팅크웨어(주)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WO2022103093A1 (ko) * 2020-11-10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221B1 (ko) 2008-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987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of which display is disposed on border area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US20060155429A1 (en) Vehicle entertainment and accessory control system
US20070268415A1 (en) Vehicle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sound controlling method
JP5040901B2 (ja) 車載情報装置及び車載情報システム
JP4308219B2 (ja) 車載用表示装置
JP2007145158A (ja) 車載用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10289217B2 (en) Multi-function control knobs for multimedia systems of vehicles
JP4143102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TW201028660A (en) Navigation apparatus
US20130215332A1 (en) Image and sound controller
KR100836221B1 (ko)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1132583A (zh) 手持信息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60202979A1 (en) Video display control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JP2005199998A (ja) 車載用画像表示システム
JPH10275298A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
JP201012907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09640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7295047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制御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JP4754853B2 (ja) 音量制御装置
JP4522159B2 (ja) 表示システム
JP2010186131A (ja) 表示領域分割可変表示装置
JP5037060B2 (ja) 子画面表示装置
JP2007083794A (ja) 車載用表示装置
JP200716852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295045A (ja) Avシステム、音声制御装置、音声映像制御装置および音声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