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662A - 직접 및 간접 장착 가능한 헤더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직접 및 간접 장착 가능한 헤더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662A
KR20080016662A KR1020077029833A KR20077029833A KR20080016662A KR 20080016662 A KR20080016662 A KR 20080016662A KR 1020077029833 A KR1020077029833 A KR 1020077029833A KR 20077029833 A KR20077029833 A KR 20077029833A KR 20080016662 A KR20080016662 A KR 20080016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connection
modular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쉘
케빈 엔. 오슬러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2008001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장치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는 헤더 커넥터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는 접속부를 갖는다. 접속부는 전기 장치와 맞물리기 위한 핀과, 헤더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해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기판 상에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부와 맞물리기 위해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중간부와, 헤더 커넥터가 기판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기판과 맞물리기 위해 중간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미부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 접속부, 핀, 미부

Description

직접 및 간접 장착 가능한 헤더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Header Connector Capable of Direct and Indirect Mounting}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서 장착될 수 있는 헤더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헤더 커넥터 및 헤더 커넥터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더보드와 같은 기판에 연결된다.
전자 장치의 제조자는 대체로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가능한 한 조밀하게 패키징하기를 시도한다. 그러므로, 리셉터클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의 공간에 대한 필요성은 특히 불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로킹되며 상호 교환 가능한 하우징/접속부 조합을 포함하는 모듈형 직각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더 전력 및/또는 신호 접속부의 모듈형 스트립이 유전 하우징 재료의 긴 스트립으로부터 길이에 맞춰 절단되고, PCB와 같은 기판 상에 위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헤더 및 리셉터클이 중첩되고 그리고/또는 서로 포개지기 때문에, 공간이 절약된다. 예를 들어, 헤더 또는 리셉터클은 직각 정합 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축방향 길이를 갖고, 하우징 또는 리셉터클 중 다른 하나는 축방향 길이를 넘어 연장되지 않는다. 또한, 축방향 길이 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모듈성 및 직각 정합성은 각각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명확하게는 헤더 및 리셉터클의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지 헤더 커넥터에 의해 전압 조절 모듈(VRM) 또는 다른 전자 장치의 기판으로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계속되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 장치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는 헤더 커넥터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접속부는 전기 장치와 맞물리기 위한 핀과, 헤더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해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기판 상에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부와 맞물리기 위해 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중간부와, 헤더 커넥터가 기판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기판과 맞물리기 위해 중간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미부(tail)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헤더 커넥터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는 절연체와, 전력을 전도시키기 위해 절연체 상에 장착된 접속부를 포함한다. 접속부는 전기 장치와 정합하기 위한 핀과,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개방 단부 공동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헤더 커넥터와, 접속부에 부착된 절연체를 포함한다. 절연체는 그 위에 형성된 돌출부 및 그 안에 형성된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시스템은 또한 헤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합될 때, 헤더 커넥터의 접속부와 맞물리기 위한 접속부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부가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그 위에 형성된 돌출부 및 그 안에 형성된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돌출부 및 슬롯 중 적어도 하나는 헤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합될 때, 헤더 커넥터의 돌출부 및 슬롯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려서, 헤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합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의 요약, 그리고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읽힐 때 더 잘 이해된다.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으로, 도면은 현재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1은 비정합 상태의 시스템의 헤더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2는 비정합 상태의 헤더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1에서 "A"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3은 정합 상태의 헤더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2에 도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4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시스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력 접속부의 사시도이다.
도5는 절연체의 일 부분이 아래에 놓인 신호 접속부 어레이의 리드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시스템의 헤더 커넥터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 및 절연체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시스템의 헤더 커넥터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 및 절연체의 측면도이다.
도7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시스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 및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9는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커넥터 시스템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7은 전기 커넥터 시스템(10)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각각 그에 도시된 공통 좌표계(11)를 참조한다. 시스템(10)은 헤더 커넥터(12)와, 헤더 커넥터(12)와 정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4)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12)는 기판(16) 상에 또는 전압 조절기 모듈(VRM)과 같은 전기 장치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4)는 PCB, 도터카드, 또는 마더보드(20)와 같은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헤더 커넥터(12)는 기판(16)과 마더보드(20)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14)와 정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헤더 커넥터(12)는 리셉터클 커넥터(14)를 사용하지 않고서, 마더보드(20)와 직접 정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달리 기술되지 않으면, 헤더 커넥터(12)가 리셉터클 커넥터(14)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헤더 커넥터(12)는 12개의 전력 접속부(22)와, 3개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12)는 전력 접속부(22) 및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의 부분 위에 성형된 절연체(26)를 더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12)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12개의 전력 접속부(22) 및 3개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12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 접속부(22) 및 3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전력 접속부(22)들 사이의 중심간 간격은 대략 6.35 mm(0.25 인치)이다. 간격에 대한 최적값은 용도 의존적이며, 각각의 전력 접속부(22)에 대해 요구되는 처리량,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들 사이의 원하는 간격, 헤더 커넥터(12)의 전체적인 형상 계수 등과 같은 인자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간격에 대한 특정값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시된다.
전력 접속부(22)는 8개의 핀(30a)을 각각 포함한다. 핀(30a)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이격된 수직 칼럼으로 배열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핀(30a)은 바늘 구멍형 접속부이다. 핀(30a)은 기판(16) 내에 형성된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 내로 끼워 맞춰져서, 헤더 커넥터(12)와 기판(16) 사이에서 전력을 전도시키기 위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16) 내의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는 명확함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전력 접속부(22)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8개의 핀(30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전력 접속부(22)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8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핀(30a)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장착 기술, 즉 납땜 볼이 임의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핀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전력 접속부(22)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수직 배향 블레이드(32)를 더 포함한다. 3개의 핀(30a)은 제1 블레이드(32)와 접합되고, 다른 3개의 핀(30a)은 제2 블레이드(32)와 접합된다.
각각의 전력 접속부(22)는 또한 대체로 중공인 본체(34)를 포함한다. 본체(34)는 블레이드(32)와 접합되는 (도시되지 않은) 전방부를 포함한다. 본체(34)는 또한 전방부와 접합되는 제1 측부(38) 및 제2 측부(40)를 포함한다. 본체(34)는 제1 측부(38) 및 제2 측부(40)와 각각 접합되는 상부(41) 및 하부(42)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부(38) 및 제2 측부(40)는 이격되어, 본체(34)가 내부 공동(44)을 형성한다. 공동(44)의 후방 단부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제1 측부(38) 및 제2 측부(40) 및 2개의 블레이드(32)는 이러한 구성요소들 대신에 단일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전력 접속부에 비해, 전력 접속부(22)의 전류 운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공동(44)의 개방 단부는 공기가 공동(44) 내외로 순환하도록 허용한다.
각각의 전력 접속부(22)는 또한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4)의 하부(42)와 접합되는 6개의 미부(48a)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미부(48a)는 바늘 구멍형 접속부이다. 미부(48a)는 양호하게는 그에 도포된 주석-납 코팅을 갖는다. 각각의 미부(48a)는 헤더 커넥터(12)가 리셉터클 커넥터(14)와 정합될 때, 마더보드(20) 내에 형성된 도금되지 않은 관통 구멍 내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마더보드(20) 내의 관통 구멍은 명확함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미부(48a)는 보통은 헤더 커넥터(12)가 리셉터클 커넥터(14)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전력을 전달하도록 사용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미부(48a)는 헤더 커넥터(12)가 마더보드(20) 상에 직접 장착되는 용도에서 전력을 전달하도록 사용된다.
전력 접속부(22)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6개의 미부(48a)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전력 접속부(22)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6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미부(48a)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미부(48a)는 양호하게는 다른 미부(48a)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미부(48a)들의 밀접하게 이격되거나 맞닿는 쌍을 형성한다. 미부(48a)의 각각의 쌍은 마더보드(20) 내의 하나의 적절한 크기의 관통 구멍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절연체(26)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30a)이 절연체(26)의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각각의 블레이드(32)의 일 부분 위에 성형된다. 절연체(26)는 전방부(49)와, 접합된 정합부(50)를 갖는다. 돌출부(51) 및 인접한 전방부(49)는 슬롯(52)을 형성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돌출부(51) 및 슬롯(52)은 리셉터클 커넥터(14) 상의 상보적인 특징부와 함께,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를 정합 상태로 보유하는 것을 돕는다.
헤더 커넥터(12)의 각각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는 8개의 전기 전도체(60)를 포함한다. 전도체(6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포개진 그룹으로 배열된다. 명확함을 위해, 각각의 그룹의 하나의 전도체(60)가 도5에 도시되지 않았다.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8개의 전도체(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8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도체(6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들 사이의 중심간 간격은 대략 7.62 mm(0.30 인치)이다. 간격에 대한 최적값은 용도 의존적이며, 신호 접속부 어레이(24) 상에 부여된 잡음 요건, 전력 접속부(22)들 사이의 원하는 간격, 헤더 커넥터(12)의 전체적인 형상 계수 등과 같은 인자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간격에 대한 특정값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시된다.
각각의 전도체(60)는 핀(30b)과, 핀(30b)과 접합되는 리드(64)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핀(30b)은 전력 접속부(22)의 핀(3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늘 구멍형 접속부이다. 핀(30b)은 기판(16) 내에 형성된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 내로 끼워 맞춰져서, 헤더 커넥터(12)와 기판(16) 사이에 신호 및 접지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리드(64)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대략 90°의 굽힘부를 갖는다. 굽힘부는 리드(64)를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향된 제1 부분(64a)과,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제2 부분(64b)으로 분리한다.
각각의 전도체(60)는 또한 리드(64)의 제2 부분(64b)과 접합되는 미부(48b) 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미부(48b)는 전력 접속부(22)의 미부(48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늘 구멍형 접속부이다. 각각의 미부(48b)는 헤더 커넥터(12)가 리셉터클 커넥터(14)와 정합될 때, 마더보드(20) 내에 형성된 도금되지 않은 관통 구멍 내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미부(48b)는 보통은 헤더 커넥터(12)가 리셉터클 커넥터(14)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헤더 커넥터(12)와 마더보드(20) 사이에 신호 및 접지 경로를 형성하도록 사용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미부(48b)는 헤더 커넥터(12)가 마더보드(20) 상에 직접 장착되는 용도에서 헤더 커넥터(12)와 마더보드(20) 사이에 신호 및 접지 경로를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각각의 전도체(64)의 제2 부분(64b)은 내부에 형성된 2개의 방향 전환부(68)를 갖는다. 방향 전환부(68)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64b)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오프셋(70)을 형성한다. 오프셋(70)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마더보드(20) 상에서의 미부(48b)의 전체 풋프린트를 최소화하는 것을 도우면서,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와 리셉터클(14) 내의 관련 전도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절연체(26)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접속부 어레이(24) 위에 성형된다. 각각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와 관련된 절연체(26)의 부분은 도1,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72), 정합부(73), 및 하우징부(7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74)는 아래에 놓인 리드(64)를 도시하기 위해, 도5에서 도시되지 않았다.
핀(30b)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72)의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정합부(73)는 정합부(50)에 관해 위에서 설명된 2개의 돌출부(51)를 포함한다. 돌 출부(51) 및 인접한 전방부(72)는 2개의 슬롯(52)을 형성한다. 돌출부(51) 및 슬롯(52)은 리셉터클 커넥터(14) 상의 상보적인 특징부와 함께,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를 정합 상태로 보유하는 것을 돕는다.
하우징부(74)는 각각의 리드(64)의 오프셋(70)이 노출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6)의 주위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리드(64) 위에 성형된다. 이러한 특징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도체(64)와 리셉터클 커넥터(14) 상의 상보적인 전기 전도성 특징부 사이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미부(48b)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6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4)는 12개의 전력 접속부(80)와, 6개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82)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4)는 또한 성형된 절연 하우징(8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4)는 리셉터클 접속부(12)의 전력 접속부(22) 및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의 구성과 정합하도록, 12개의 전력 접속부(80) 및 6개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8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특정 용도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2)의 전력 접속부(22) 및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의 구성과 정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8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 접속부(80) 및 6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신호 접속부 어레이(8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접속부(8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암(85)과, 제1 및 제2 아암(85)과 접합되는 기부(86)를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전력 접속부(80)는 또한 기부(86)와 접합되며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미부(88a)를 포함한다. 미 부(88a)는 양호하게는 바늘 구멍형 접속부이다. 미부(88a)는 양호하게는 그에 도포된 금 코팅을 갖는다. 미부(88a)는 마더보드(20) 내에 형성된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 내로 끼워 맞춰져서, 리셉터클 커넥터(14)와 마더보드(20) 사이에 신호 및 접지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아암(85)은 기부(86)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아암(85)은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내측으로, 즉 서로를 향해 각을 이룬다. 제1 및 제2 아암(85)은 스프링 접속부로서 작용한다. 특히, 제1 및 제2 아암(85)은 플러그 커넥터(12)가 리셉터클 커넥터(14)와 정합될 때, 관련 전력 접속부(22)의 본체(34)의 각각의 제1 측부(38) 및 제2 측부(40)와 접속한다. 제1 및 제2 아암(85)의 상단부들은 본체(34)가 그들 사이로 삽입될 때 본체(34)가 제1 및 제2 아암(85)들을 멀어지게 압박하도록, 이격된다. 제1 및 제2 아암(85)의 탄성은 제1 및 제2 아암(85)과 본체(34) 사이의 접속력을 발생시키고, 전력 접속부(22, 80)들이 정합될 때 와이핑 작용을 제공한다. 제1 및 제2 아암(85)의 상단부들은 양호하게는 외측으로 벌어져서, 제1 및 제2 아암(85)들 사이로 본체(34)를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제1 및 제2 아암(85)의 비교적 콤팩트한 구성은 리셉터클 커넥터(14)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 것으로 믿어진다. 제1 및 제2 아암(85)의 구성은 또한 헤더 및 리셉터클 커넥터(12, 14)들이 정합될 때, 본체(34)와 미부(88a) 사이의 전기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 것으로 믿어진다. 전기 경로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은 전력 접속부(80)의 전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더 유리한 인덕턴스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84)은 각각의 전력 접속부(80)의 기부(86) 둘레에 성형된다. 하우징(84)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벽(89)과, 후방 벽(89)과 각각 접합되는 복수의 격벽(90)과, 2개의 단부 벽(91)을 갖는다. 후방 벽(89), 격벽(90), 및 단부 벽(91)은 도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92)을 형성한다. 각각의 전력 접속부(80)의 제1 및 제2 아암(85)은 공동(92)의 대향 측면들에 근접하여, 관련 공동(92) 내에 위치된다.
각각의 전력 접속부(80)의 제1 및 제2 아암(85)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4)와 헤더 커넥터(12)가 정합될 때, 대응하는 전력 접속부(22)의 본체(34)를 수납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공동(92)은 관련 전력 접속부(80)의 제1 및 제2 아암(85)과, 관련 전력 접속부(22)의 본체(34)를 수용한다.
각각의 공동(92)과 관련된 후방 벽(89)의 부분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창(94)을 갖는다. 창(94)은 관련 공동(92)을 리셉터클 커넥터(14) 둘레의 주위 환경과 유체 연통하도록 위치시킨다. 각각의 창(94)은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관련 전력 접속부(22)의 공동(44)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창(94)은 비교적 차가운 주위 공기가 공동(44)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면서, 커넥터 시스템(10)의 작동 중에 가열된 공기가 공동(44)을 빠져나가도록 허용한다. 이에 의해, 창(94)은 관련 전력 접속부(22) 및 전력 접속부(80)의 대류 냉각을 용이하게 한다.
각각의 공동(92)의 폭("y" 치수)은 전력 접속부(80)의 기부(86)의 폭과 대체 로 동일하다. 이러한 특징은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전력 접속부(22)의 제1 측부(38) 및 제2 측부(40)가 전력 접속부(80)의 각각의 제1 및 제2 아암(85)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아암(85)과 제1 측부(38) 및 제2 측부(40)를 정렬시키는 것은 정합 공정 중에 제1 및 제2 아암(85)이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각각의 격벽(9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T-형상의 정합부(95a)를 갖는다. 정합부(95a)는 2개의 돌출부(96)를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96)는 슬롯(98)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각각의 단부 벽(91)은 또한 슬롯(98)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 하나의 돌출부(96)를 포함한다.
슬롯(98)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헤더 커넥터(12)의 관련 돌출부(51)를 각각 수납한다. 또한, 돌출부(96)는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헤더 커넥터(12)의 관련 슬롯(52) 내에 각각 배치된다.
양호하게는, 슬롯(98) 및 돌출부(51)는 돌출부(51)가 마찰에 의해 관련 슬롯(98) 내에서 상향 이동으로부터 구속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슬롯(52) 및 돌출부(96)는 유사하게 돌출부(96)가 마찰에 의해 관련 슬롯(52) 내에서 상향 이동으로부터 구속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헤더 커넥터(12) 및 리셉터클 커넥터(14)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헤더 커넥터(12)를 리셉터클 커넥터(14)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마찰식 끼움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래치 또는 다른 수단을 이 용할 수 있다.
돌출부(51, 96)는 슬롯(52, 98)과 함께,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를 측방("y") 및 축("x")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으로부터 구속하는 인터로크를 형성하는 키이로서 작용한다. 또한, 돌출부(51, 96) 및 슬롯(52, 98)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로크는 절연체(26) 및 하우징(84)이 예를 들어 기판(16)의 무게, 기판(16) 또는 마더보드(20)에 인가되는 외부력, 기판(16) 및 마더보드(20)의 상이한 열팽창 등으로 인한 힘 및 모멘트에 대해 반작용하도록 허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슬롯(52, 98) 및 돌출부(51, 96)는 전력 접속부(22) 및 관련 전력 접속부(80)를 통해서 보다는, 절연체(26) 및 하우징(84)에 의해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 사이에서 힘이 전달되도록 허용한다. 인터로킹 부재는 또한 전력 접속부 하우징과 신호 접속부 하우징의 키이 결합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82)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전기 전도성 리드(102)와, 각각의 리드(102)와 각각 접합되는 복수의 미부(88b)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미부(88b)는 미부(88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늘 구멍형 접속부이다. 미부(88b)는 헤더 커넥터(12)가 리셉터클 커넥터(14)와 정합될 때, 마더보드(20) 내에 형성된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 내로 끼워 맞춰져서, 헤더 커넥터(12)와 마더보드(20) 사이에 신호 및 접지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84)은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05a, 105b)을 더 포함한다. 격벽(105b)은 최단부 신호 접속부 어레이(82)와 관련된다. 각각의 격벽(105b)은 하나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82)와 관련된 리드(102) 위에 성형되고, 즉 각각의 격벽(105b)은 4개의 리드(102) 위에 성형된다. 각각의 격벽(105a)은 2개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82)와 관련된 리드(102) 위에 성형되고, 즉 각각의 격벽(105b)은 8개의 리드(102) 위에 성형된다.
격벽(105a, 105b)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드(102)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슬롯(108)을 갖는다. 격벽(105a, 105b) 및 격벽(105a, 105b)과 관련된 후방 벽(80)의 부분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04)을 형성한다. 각각의 공동(104)은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절연체(26)의 관련 하우징부(74)를 수납한다.
리드(102)는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각각의 리드(102)가 헤더 커넥터(12)의 관련 오프셋(70)과 접속하여 와이핑하도록 격벽(105a, 105b)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접속은 신호 접속부 어레이(24, 82)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확립한다.
각각의 격벽(105a, 105b)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부(95b)를 갖는다. 정합부(95b)는 격벽(90)의 정합부(95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정합부(94b)는 2개의 돌출부(96)를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96)는 하나의 슬롯(98)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정합부(95b)의 슬롯(98)은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헤더 커넥터(12)의 절연체(26)의 관련 돌출부(51)를 각각 수납한다. 또한, 돌출부(96)는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헤더 커넥터(12)의 관련 슬롯(52) 내에 각각 배치된다.
정합부(95b)와 관련된 슬롯(98) 및 돌출부(96)는 정합부(95a)와 관련된 슬롯(98) 및 돌출부(9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보유 및 인터로킹 특징부로서 작용한다.
커넥터 시스템(10)은 헤더 커넥터(12)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될 때, 전력 접속부 및 하우징부를 덮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커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헤더 커넥터(12)는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4)을 사용하지 않고서, 마더보드(20)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용도에서, 헤더 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모든 전력은 전력 접속부(22)의 미부(48a) 및 관련 도금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를 통과한다. 헤더 커넥터(12)와 마더보드(20) 사이의 신호 및 접지 경로는 이러한 유형의 용도에서 미부(48a) 및 관련 도금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에 의해 형성된다.
헤더 커넥터(12)는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4)와 함께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2)는 예를 들어 기판(16)에 대한 가용 수직("z" 축) 공간이 비교적 제한될 때,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더보드(20)의 장착 표면과 기판(16)의 상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헤더 커넥터(12)가 전적으로 마더보드(20)와 기판(1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사용될 때, 즉 헤더 커넥터가 마더보드(20) 상에 직접 장착될 때, 대략 28.0 mm(1.10 인치)일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시되며, 헤더 커넥터(12)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사용되는 용도에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아야 한다.
전력 접속부(22)의 각각의 미부(48a)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양호하게는 다른 미부(48a)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미부(48a)의 밀접하게 이격되거나 맞닿는 쌍을 형성한다. 미부(48a)의 각각의 쌍은 헤더 커넥터(12)가 마더보드(20) 상에 직접 장착될 때, 마더보드(20) 내의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 내에 수납된다. 그러므로, 전력이 미부(48a)에 의해 헤더 커넥터(10)와 마더보드(20) 사이에서 전달된다.
미부(48a)에 대한 전술한 쌍을 이루는 배열은 미부(48a)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마더보드(20) 상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서, 각각의 전력 접속부(22)와 관련된 미부(48a)의 개수가 2배가 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각각의 전력 접속부(22) 상의 미부(48a)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전력 접속부(22)의 전류 운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방식으로 미부(48a)를 쌍으로 만드는 것은 마더보드(20) 상에서의 전력 접속부(22)의 풋프린트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서, 전력 접속부(22)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부(48a)를 쌍으로 만드는 것은 또한 헤더 커넥터(12)가 리셉터클 커넥터(14)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미부(48a)와 전력 접속부(80)의 미부(88a) 사이의 분리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의 각각의 미부(48b)는 헤더 커넥터(12)가 마더보드(20) 상에 직접 장착될 때, 마더보드(20) 내에 형성된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관통구 내로 끼워 맞춰져서, 헤더 커넥터(12)와 마더보드(20) 사이에 신호 또는 접지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헤더 커넥터(12)와 마더보드(20) 사이의 신호 및 접지 경 로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적으로 헤더 커넥터(12)의 미부(48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설명은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 또는 양호한 방법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제한적 용어가 아닌, 설명 및 예시적 용어라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이 특정 구조, 방법,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드는 모든 구조, 방법, 및 용도로 확장되므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세부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관련 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의 이점을 가지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대한 많은 변형을 달성할 수 있고, 변화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은 커넥터 시스템(10a) 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스템(10a)은 헤더 커넥터(12a)와 리셉터클 커넥터(14a)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10a)는 전력 접속부(22a)를 포함한다. 전력 접속부(22a)는 전력 접속부(22)의 미부(48a)와 같은 미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력은 전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4)의 전력 접속부(80)에 의해 헤더 커넥터(10a)와 마더보드(20) 사이에서 전달된다.
헤더 커넥터(10a)는 또한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의 미부(48b)와 같은 미부를 포함하지 않는 신호 접속부 어레이(24a)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10a)와 마더보드(20) 사이의 신호 및 접지 경로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4)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82)에 의해 형성된다.
시스템(10a)의 구성은 헤더 커넥터(12a)와 리셉터클 커넥터(14)가 정합된 후에, 헤더 커넥터(12a)의 모듈성을 보존한다. 특히, 헤더 커넥터(12a)는 마더보드(20)와 직접 정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헤더 커넥터(12a)는 비교적 쉽게 리셉터클 커넥터(14)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리셉터클 커넥터(14) 또는 마더보드(20)를 재가공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이 헤더 커넥터(12a)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인터로킹 하우징 및 선택적인 커버는 하우징들을 서로 해제 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유지한다.
커넥터 시스템(10)의 다른 변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14)의 전력 접속부(80) 및 신호 접속부 어레이(82)는 각각의 미부(88a, 88b)가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마더보드(20)와의 전기적 접속은 전적으로 헤더 커넥터(12)의 각각의 접지 접속부(22) 및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의 미부(48a, 48b)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구성은 리셉터클 커넥터(14)와의 정합 후의 헤더 커넥터(12)의 모듈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9는 헤더 커넥터(12b) 및 리셉터클 커넥터(14b)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10b) 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헤더 커넥터는 그러한 특정 접지 접속부(22)에만 관련된 분리된 절연체(26a)에 성형된 접지 접속부(22)를 갖는다. 절연체(26a)는 2개의 돌출부(51a)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4b)는 하우징(84a)을 포함한다. 하우징(84a)은 헤더 커넥터(12a)의 관련 절연체(26a) 및 전력 접속부(22)를 수납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공동(92a)을 갖는다. 각각의 공동(92a)은 하우징(84b)의 전방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롯(112a)과 접합된다. 슬롯(112a)은 전력 접속부(22)의 절연체(26a)의 일 부분을 수용하여, 전력 접속부(22)가 공동(92a)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51a)는 헤더 커넥터(12b)가 리셉터클 커넥터(14b)와 정합될 때, 하우징(84a) 내에 형성된 슬롯(98a) 내에 배치된다. 돌출부(51a) 및 슬롯(98a)은 헤더 커넥터(12) 및 리셉터클 커넥터(14)의 돌출부(51) 및 슬롯(98)에 관해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인터로킹 특징부로서 작용한다.
헤더 커넥터(12b)의 각각의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는 유사하게 그러한 특정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에만 관련된 분리된 절연체(26b)에 성형된다. 하우징(14b)은 관련 절연체(26b) 및 신호 접속부 어레이(24)를 수납하기 위한 공동(104a)을 포함한다.
각각의 공동(104a)은 하우징(84b)의 전방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롯(112b)과 접합된다. 슬롯(112b)은 절연체(26b)의 일 부분을 수용하여, 신호 접속부 어레이(24)가 공동(104a)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절연체(26b)는 내부에 형성된 2개의 돌출부(51a)를 갖는다. 돌출부(51a)는 헤더 커넥터(12b)가 리셉터클 커넥터(14b)와 정합될 때, 하우징(84a) 내에 형성된 관련 슬롯(98a) 내에 배치된다.
헤더 커넥터(12)의 절연체(26)는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절연체(26)는 다중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 접속부(22) 및 신호 접속부 어레이(24)와 관련된 절연체(26)의 부분들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제작 방법에서, 더 많은 개수의 전력 접속부(22), 즉 특정 헤더 커넥터(12)에 대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전력 접속부가 절연체(26)의 비교적 긴 스트립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절연체(26)는 헤더 커넥터(10)에 대해 크기가 결정된 더 작은 스트립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위치에서 절단될 수 있다. 신호 접속부 어레이(24)가 장착된 절연체(26)의 스트립이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크기에 맞춰 절단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결과적인 스트립들은 접착 결합과 같은 적합한 방법에 의해 결합되어, 헤더 커넥터(10)를 형성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4)의 하우징(84)은 유사한 방식으로 분리된 조각들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제1 하우징 및 제1 전기 접속부와,
    제2 하우징 및 제2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2 전기 접속부는 제1 전기 접속부와 직각으로 해제 가능하게 정합하고, 제1 및 제2 하우징은 서로 해제 가능하게 로킹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기 접속부는 2개의 이격된 아암을 포함하고, 제2 전기 접속부는 2개의 이격된 아암들 사이에 끼워지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기 접속부 및 제2 전기 접속부는 모두 전력 접속부인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제1 신호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제2 신호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유전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모듈형 전기 커 넥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유전 하우징 재료의 긴 스트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돌출부를 형성하고, 제2 하우징은 슬롯을 형성하고, 돌출부 및 슬롯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서로 해제 가능하게 로킹시키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돌출부와 슬롯 사이의 마찰식 끼움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로킹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T-형상인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제2 전기 접속부는 공동을 형성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대류 냉각을 위해 공동과 정렬된 창을 형성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13.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기 접속부는 2개의 이격된 아암들 중 하나에 전기적 으로 연결된 끼워 맞춤식 핀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제2 전기 접속부는 중공 본체를 포함하고, 끼워 맞춤식 핀은 중공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축방향 길이를 갖고, 제2 하우징 및 제2 전기 접속부는 제1 하우징의 축방향 길이를 넘어 연장되지 않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은 유전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은 유전 하우징 재료의 긴 스트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서로 포개지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제2 하우징은 헤더 커넥터인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축방향 길이를 갖고, 제1 하우징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 직각으로 있는 모듈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KR1020077029833A 2005-06-23 2006-06-09 직접 및 간접 장착 가능한 헤더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시스템 KR20080016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313505P 2005-06-23 2005-06-23
US60/693,135 2005-06-23
US11/439,746 US7303401B2 (en) 2005-06-23 2006-05-24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header connector capable of direct and indirect mounting
US11/439,746 2006-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662A true KR20080016662A (ko) 2008-02-21

Family

ID=3756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833A KR20080016662A (ko) 2005-06-23 2006-06-09 직접 및 간접 장착 가능한 헤더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303401B2 (ko)
EP (1) EP1897182A4 (ko)
JP (1) JP2008547172A (ko)
KR (1) KR20080016662A (ko)
WO (1) WO20070017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3096B2 (en) * 2008-01-07 2010-05-11 Lear Corporatio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8038465B2 (en) * 2008-01-07 2011-10-18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heat sink
US7494389B1 (en) * 2008-03-10 2009-02-24 Infineon Technologies Ag Press-fit-connection
JP5125723B2 (ja) * 2008-04-22 2013-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電子装置
US7549869B1 (en) * 2008-06-12 2009-06-2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CN201285966Y (zh) * 2008-09-29 2009-08-05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源连接器组件
JP2011090856A (ja) * 2009-10-22 2011-05-06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590952B2 (ja) * 2010-04-15 2014-09-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基板
CN201781112U (zh) * 2010-07-22 2011-03-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4908621B1 (ja) * 2010-10-15 2012-04-0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5595289B2 (ja) * 2011-01-06 2014-09-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1005073A1 (de) 2011-03-03 2012-09-06 Würth Elektronik Ics Gmbh & Co. Kg Tandem Multi Fork Einpresspin
TWM420093U (en) * 2011-08-26 2012-01-01 Aces Electronic Co Ltd Plug connector, jack connector and their assembly
CN103050804B (zh) * 2011-10-13 2015-09-09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547131B1 (ko) * 2014-03-20 2015-08-25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융착 고정된 방사체를 구비한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553973B2 (en) * 2015-09-08 2020-02-04 Fci Usa Llc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9666962B1 (en) * 2015-12-17 2017-05-3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ower terminal with compliant pin for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10763607B2 (en) 2016-08-22 2020-09-01 Interplex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10522945B2 (en) 2016-08-22 2019-12-31 Interplex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CN115275663A (zh) * 2017-08-03 2022-11-01 安费诺有限公司 用于低损耗互连系统的连接器以及电子器件系统
CN207753200U (zh) * 2017-12-26 2018-08-21 东莞舜威电业有限公司 公插头、母插座以及连接器
CN115632285A (zh) 2018-04-02 2023-01-20 安达概念股份有限公司 受控阻抗线缆连接器以及与其耦接的装置
CN117175239A (zh) 2019-01-25 2023-12-05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插座连接器和电连接器
US11101611B2 (en) 2019-01-25 2021-08-24 Fci Usa Llc I/O connector configured for cabled connection to the midboard
EP4032147A4 (en) 2019-09-19 2024-02-21 Amphenol Corp HIGH-SPEED ELECTRONIC SYSTEM WITH INTERMEDIATE BOARD CABLE CONNECTOR
CN113258325A (zh) 2020-01-28 2021-08-1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频中板连接器
CN111509492A (zh) * 2020-05-28 2020-08-07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4069290A (zh) * 2020-07-30 2022-02-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160A (en) * 1975-12-05 1976-12-21 Mcdonnell Richard M Modular traffic signal apparatus
JPS60109187A (ja) * 1983-11-11 1985-06-14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4790763A (en) * 1986-04-22 1988-12-13 Amp Incorporated Programmable modular connector assembly
US4881905A (en) * 1986-05-23 1989-11-21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
US4818237A (en) * 1987-09-04 1989-04-04 Amp Incorporated Modular plug-in connection means for flexible power supply of electronic apparatus
US4917616A (en) * 1988-07-15 1990-04-17 Amp Incorporated Backplane signal connector with controlled impedance
US4975062A (en) * 1989-05-19 1990-12-04 Motorola, Inc. Hermaphroditic connector
US5173063A (en) * 1990-02-20 1992-12-22 Amp Incorporated Receptacle connector having protected power contacts
TW270248B (ko) * 1993-11-17 1996-02-11 Whitaker Corp
US5575690A (en) * 1994-10-28 1996-11-19 Tvm, Inc. Hybrid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582519A (en) * 1994-12-15 1996-12-10 The Whitaker Corporation Make-first-break-last ground connections
US5727961A (en) * 1996-04-30 1998-03-17 The Whitaker Corporation Two-way transversely matable electrical connector
JP3106293B2 (ja) * 1996-07-19 2000-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02508882A (ja) * 1997-06-23 2002-03-19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速idcモジュラジャック
US6319075B1 (en) * 1998-04-17 2001-11-2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wer connector
US7314377B2 (en) 1998-04-17 2008-01-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6299492B1 (en) * 1998-08-20 2001-10-09 A. W. Industries,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s
US6402566B1 (en) * 1998-09-15 2002-06-11 Tvm Group, Inc. Low profile connector assembly and pin and socket connectors for use therewith
US6089925A (en) * 1998-10-06 2000-07-18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ical contact modules
JP3386783B2 (ja) * 2000-07-14 2003-03-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2093501A (ja) * 2000-09-13 2002-03-29 Fci Japan Kk コネクタ構造、雌コネクタおよび雄コネクタ
JP3614768B2 (ja) * 2000-10-20 2005-01-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バッテリコネクタ
US6592381B2 (en) * 2001-01-25 2003-07-15 Teradyne, Inc. Waferized power connector
JP3727567B2 (ja) * 2001-10-23 2005-12-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中間基板電気コネクタ
JP4028316B2 (ja) * 2002-07-30 2007-1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733301B2 (en) * 2002-08-09 2004-05-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joining circuit boards
US6848950B2 (en) * 2003-05-23 2005-02-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ulti-interface power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01799A3 (en) 2007-03-29
US7303401B2 (en) 2007-12-04
US20060292934A1 (en) 2006-12-28
EP1897182A4 (en) 2009-12-02
WO2007001799A2 (en) 2007-01-04
EP1897182A2 (en) 2008-03-12
JP2008547172A (ja) 2008-12-25
US20080064231A1 (en)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6662A (ko) 직접 및 간접 장착 가능한 헤더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시스템
US5055054A (en) High density connector
US6905367B2 (en) Modular coaxial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having a modular frame and electrically shielded signal path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371096B2 (en) Hermaphroditic socket/adapter
EP138209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orthogonally mating circuit boards
TW578337B (en) Waferized power connector
US744550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ell
US10522945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087300A2 (en) Computer bus bar assembly
US8366458B2 (en) Electrical power connector system
US20080207029A1 (en) Low profile high current power connector with cooling slots
US7517240B2 (en) Fine pitch electrical connector
US20050112952A1 (en) Power jack connector
HU227144B1 (en) Modular mezzanin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7419398B2 (en) Hermaphroditic socket/adapter
CN113491035A (zh) 中板线缆端接组件
US6623281B2 (en)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on circuit boards
JP2001068237A (ja) 電気コネクター
US4702706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including socket therefor
US5722839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horizontal insertion of a CPU module therein
CN111106493B (zh) 电气组件
US5564932A (en) Customizeable interconnect device for stacking electrical components of varying configuration
US20100035455A1 (en) Socket connector having positioning members for orientating cover and base thereof
CN101203987A (zh) 具有插头连接器的电连接器系统
CN220172398U (zh) 电气连接器和电力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