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864A -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864A
KR20080014864A KR1020077029135A KR20077029135A KR20080014864A KR 20080014864 A KR20080014864 A KR 20080014864A KR 1020077029135 A KR1020077029135 A KR 1020077029135A KR 20077029135 A KR20077029135 A KR 20077029135A KR 20080014864 A KR20080014864 A KR 20080014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tic
keypad
keys
layer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087B1 (ko
Inventor
조단 와이.씨. 쿵
치-청 왕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1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표음식 IME(input method editor)를 이용하여 복잡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데에 키패드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이용하는 대신 키패드 상의 키를 선택함으로써 자음, 모음, 중모음 및 성조를 결합하여 복잡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의 키와 심볼 간의 1대1 매핑 대신에, 키패드 상에서는 하나의 키마다 복수의 심볼들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10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 상에서는, 평균적으로 4개의 표음 문자들이 키패드 상의 10개의 키 각각에 매핑된다. 표음 문자들은 계층들로 된 키패드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이 표음 문자들은 자음 계층, 중모음 + 모음 계층, 모음 계층, 및 성조 계층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표음 문자들이 동일한 키에 매핑될 수 있다.
표음 문자, 키패드, 키보드, 한문 입력, IME

Description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PHONETIC INPUT USING A KEYPAD}
본 발명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되는 2005년 6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690,657호의 35 미 법령 §119(e) 하의 권리를 청구한다.
처음 보았을 때는,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로부터 동 아시아 문자를 입력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처럼 보인다. 사실상 사용자가 입력하기를 선택할 수 있는 한자는 수천개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 한자 입력은 IME(Input Method Editor)를 사용한다면 더 쉬워진다. IME는 컴퓨터 사용자가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한자, 및 한글 등의 복잡한 문자 및 심볼을 입력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IME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자신의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중국어, 일본어, 및 한국어 텍스트를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웹 양식, 및 이메일 메시지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IME는 자신들의 운영 체제에 별도로 중국어, 일본어, 또는 한국어 버전을 실행하지 않고도 중국어, 일본어, 또는 한국어로 의사소통하기를 원하는 개인 및 기업들을 돕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뉴욕에 본부가 있는 기업은 자신의 U. S. 버전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한국어로 된 메시지를 해외 지부에 전송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파리의 수업에 출석하는 학생들은 IME와 이들의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이들의 불어 기반의 운영 체제에서 일본어로된 문서를 작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섹션은 이하 실시예 섹션에서 더 설명되는 간단한 형태로 선정된 개념들을 소개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섹션은 청구된 주요 항목의 핵심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식별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청구된 주요 항목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돕는 것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의도하지 않는다.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데에 표음식 IME(phonetic input method editor)가 이용된다. 키패드를 이용하여 복잡한 문자 및 심볼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이용하는 대신 키패드 상의 키를 선택함으로써 자음, 모음, 중모음 및 성조를 결합하여 한자를 생성한다.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의 키와 심볼 간의 1대1 매핑 대신에, 키패드 상의 하나의 키마다 복수의 심볼들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10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 상에서는, 평균적으로 4개의 표음 문자들이 키패드 상의 10개의 키 각각에 매핑된다. 표음 문자들은 계층들로 된 키패드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이 표음 문자들은 자음 계층, 중모음 + 모음 계층, 모음 계층, 및 성조 계층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표음 문자들은 동일한 키에 매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중국어 표음 문자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문자의 예시적인 발음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퍼지 페어(fuzzy pair)를 이용하는 일부 표음 문자의 그루핑을 도시하는 도면.
도 5 내지 8은 4개의 계층에서의 예시적인 키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 내지 1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스크린샷을 도시하는 도면.
일반적으로, 한자를 입력하는 데에는 표음식 IME와 결부된 키패드가 이용된다.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복잡한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한자는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이용하는 대신에 키패드 상의 키를 선택함으로써 자음, 모음, 중모음 및 성조를 결합하여 생성된다.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 상의 키와 심볼 간의 1대1 매핑 대신에, 키패드 상의 하나의 키마다 복수의 심볼들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 상에서는, 평균적으로 4개의 표음 문자들이 키패드 상의 10개의 키 각각에 매핑된다. 표음 문자들은 계층들로 된 키패드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표음 문자들은 자음 계층, 중모음 + 모음 계층, 모음 계층, 및 성조 계층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표음 문자들은 동일 한 키에 매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중국어 표음 문자들의 리스트를 도시한다. 한자 표음 문자들은 21개의 자음(215), 16개의 모음(220), 및 5개의 성조 마크(225)를 포함하는 42개의 서로 다른 표음 문자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들 42개의 표음 문자(200)가 1대1 키보드 매핑을 이용하여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에 쉽게 매핑될 수 있는 경우의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포함하는 표준 데스크톱 PC와는 다르게, 42개의 키보다 적은 키를 가지는 키패드는 이러한 1대1 매핑이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화, 모바일폰 및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의 몇 가지 장치는 10 내지 12개, 또는 이보다도 더 적은 개수의 키를 가진다. 1대1 매핑을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장치 상에는, 이 장치의 키패드 상의 하나의 키에 복수의 심볼들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10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에서는 평균적으로 각 키에 4개의 표음 문자가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8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에서는 평균적으로 각 키에 5개의 표음 문자가 할당될 것이다.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 상의 모든 키들이 매핑에 이용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에 매핑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2개보다 적은) 키들의 일부만이 매핑에 이용될 수 있다.
평균적으로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이용하려면 사용자는 표음 문자들을 입력하여 한자의 리스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2 내지 4개의 키들을 눌러야 한다. 한편, 키패드를 이용하면,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일반 사이즈의 키보드를 이용할 때와 동일한 문자 리스트를 획득하기 위해 키를 5개까지 선택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문자들의 예시적인 발음(300)을 도시한다. 문자의 발음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음, 중모음, 모음 및 성조 마크의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이들 복잡한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퍼지 페어를 이용하는 일부 표음 문자들의 그루핑을 도시한다. 모든 표음 문자가 대응하는 유사한 표음 문자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퍼지 페어란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표음 문자들의 쌍이다.
표(400)는 퍼지 페어들이 있는 표음 문자를 도시한다. 테이블에 채워지는 각 셀은 적어도 2개의 표음 문자를 포함한다. 8개의 자음 퍼지 페어가 존재하고 4개의 모음 퍼지 페어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410)는 퍼지 페어들이 없는 표음 문자를 도시한다. 이 테이블에 채워지는 각 셀은 하나의 표음 문자를 포함한다. 5개의 단일 자음 및 8개의 단일 모음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하는 유사한 표음 문자(400)를 가지는 표음 문자들은 키패드 상의 동일한 키에 매핑된다. 예를 들면, 테이블(400)의 행 1의 자음들이 어떤 하나의 키에 매핑되는 한편, 테이블(400)의 행 2의 자음들은 또 다른 키에 매핑된다. 마찬가지로, 테이블(400)의 각 행의 모음들은 서로 다른 키에 매핑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계층을 이용하는 예시적인 키 할당을 도시한다.
키패드 상에서는 42개 미만의 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키보드는 복수의 계층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모든 표음 문자들이 키패드 상의 키에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음 문자들은: (1) 자음 계층; (2) 중모음 + 모음 계층; (3) 모음 계층 및 (4) 성조 마크 계층을 포함하는 4개의 계층으로 할당된다. 그 밖의 다른 계층들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는 더 적거나 더 많은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련된 퍼지(유사) 발음들이 동일한 키에 할당된다.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키패드 계층들이 기술될 것이다. 이하에 예시된 각 도면들은 표준 12 키 키패드로의 키 할당을 도시한다. 다른 사이즈의 키패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다른 유형의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전화,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제1 계층(500)에 대한 키 할당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500)에서의 제1 계층은 자음 계층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계층 상의 각 키는 0개 이상의 자음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500)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키 "1"은 퍼지 발음들이라 판정된 2개의 자음을 동일한 키에 매핑한다. 키 3 내지 9 또한 몇 개의 자음을 동일한 키에 매핑한다. 키 "2"는 퍼지 페어가 없는 표음 문자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 키와 "#" 키에는 어떠한 자음들도 매핑되지 않았다. 키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키들이 키패드의 각종 계층들 간에서 네비게이션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500)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0"은 모음 계층으로 이동하는 데에 이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제2 계층(600)에 대한 키 할당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계층은 중모음 + 모음 계층에 매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 2, 3, 5, 및 6은 각각 퍼지 페어를 포함한다. 키 "0"은 성조 계층으로 네비게이션하는 데에 이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제3 계층(700)에 대한 키 할당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계층은 모음 계층이다. 키 2, 3, 5, 및 6은 퍼지 페어를 포함한다. 이 키패드 상의 모든 키들이 각 계층 상의 표음 문자에 매핑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각 계층은 원하는 만큼 매핑을 많이 포함하도록 또는 적게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키 "0"은 성조 계층으로 네비게이션하는 데에 이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제4 계층(800)에 대한 키 할당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계층은 성조 계층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계층(800)은 제1 성조에 매핑되는 키 0; 제2 성조에 매핑되는 키 2; 제3 성조에 매핑되는 키 3; 제4 성조에 매핑되는 키 4; 및 제5 성조에 매핑되는 키 5를 포함한다. 원하는 만큼 많은 성조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세스 흐름(900)을 도시한다.
시작 블록 다음에, 프로세스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표음 문자가 자음인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는 블록(905)으로 진행한다. 표음 문자가 자음이 아니라면, 프로세스는 <모음으로 이동>이 선택되는 블록(915)으로 진행한다.
표음 문자가 자음이라면, 프로세스는 자음이 선택되는 블록(910)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판정 블록(920)으로 이동한다.
판정 블록(920)에서, 표음 문자가 모음인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표음 문자가 모음이 아니라면, 프로세스는 <성조로 이동>이 선택되는 블록(925)으로 진행한다.
표음 문자가 모음이라면, 프로세스는 표음 문자가 중모음인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는 판정 블록(930)으로 이동한다. 표음 문자가 중모음이라면, 프로세스는 중모음이 선택되는 블록(935)으로 진행한다. 표음 문자가 중모음이 아니라면, 다른 모음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는 판정 블록(940)으로 진행한다. 다른 모음이 존재한다면, 프로세스는 모음이 선택되는 블록(945)으로 진행한다. 다른 모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성조가 선택되는 블록(950)으로 진행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종료 블록으로 이동하고 다른 액션들의 처리로 복귀한다.
예시
도 10 내지 1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스크린샷을 도시한다. 이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키패드 상의 14571을 입력하여 한자를 생성한다.
도 10은 아무런 입력이 없었던 디폴트 키패드 레이아웃(100)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에 디스플레이된 키 할당은 도 5에 도시된 제1 계층 키 할당이며, 여기에는 * 키, 0 키, 및 # 키 위의 문자들이 추가되었다.
도 11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1"을 입력하고 키패드(1100)에 할당된 문자들은 제2 계층 할당으로 변경된다(도 6 참조).
도 12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키패드(1200)에 "7"을 입력한다. "1"과 "7"의 조합에 기초하여 도 11의 키 7 내지 키 9 위에 나타난 문자들은 도 12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도 13에서, 사용자는 키패드(1300)에 이미 입력된 "1" 및 "7"에 추가하여 "5"를 더 입력하였다. "5"를 입력하면 성조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4는 사용자가 키패드(1400) 상에 성조 4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성조 4를 선택한 이후에, 가능한 대안들의 리스트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본 예제에서는, 2개의 대안들의 리스트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도 15는 사용자가 이전의 메뉴에서 제1 대안을 선택하는 것에 기초하여 문자의 잠재적인 발음을 보여준다(1500). 대안들의 리스트는 후보 윈도우 내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안에 하이라이트로 표시한 후에는, 선택된 문자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선택된 문자는 활성 윈도우로 송신된다.
도 16은 사용자가 한자의 제1 발음을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입력된 한자를 도시한다(1600).
예시적인 운영 환경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이다. 장치는 표음 문자의 개수에 비하여 그 수가 적은, 매핑되는 제한된 키 집합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또는 다른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프로세서(160), 메모리(162), 디스플레이(128), 및 키패드(132)를 포함한다. 메모리(162)는 일반적으로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ROM, 플래시 메모리, 등)를 둘 다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100)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즈 모바일 2003 운영 체제 또는 윈도우즈 CE, 또는 기타 운영 체제 등의 운영 체제(164)를 포함하며, 이 운영 체제는 메모리(162)에 상주하고 프로세서(160)에서 실행된다. 컴퓨팅 장치(100)는 다수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100)는 모바일 폰, PDA, 모바일 컴퓨터 등일 수 있다. 키패드(132)는 (통상적인 전화기에서와 같이) 누름 버튼 숫자 다이얼 패드, 및 멀티-키 키보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28)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28)는 접촉감응식일 수 있으며, 따라서 입력 장치로서도 동작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6)이 메모리(162)에 로딩되어 운영 체제(164) 상에서 실행된다. 표음 문자 애플리케이션(168)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장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또한 메모리(162) 내에 비휘발성 저장 장치(168)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저장 장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100)의 전원을 내리면 상실되지 않아야 하는 영구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서 구현될 수 있는 전원(170)을 포함한다. 전원(170)은 배터리를 공급하거나 재충전하는 전력 도킹 수화기대(powered docking cradle) 또는 AC 어댑터 등의 외부 전원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2가지 유형의 선택적인 외부 통지 메카니즘: LED(140) 및 오디오 인터페이스(174)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들 장치는 전원(170)에 직접 연결되어, 활성화 시에는, 프로세서(160) 및 기타 컴포넌트가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꺼진 경우라도 이 통지 메카니즘에 의해 지시되는 기간 동안 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오디오 인터페이스(174)는 사용자에게 가청 신호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가청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174)는 전화 대화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청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 및 가청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에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또한 통신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계층 등의 통신 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접속(172)은 컴퓨팅 장치(100)와 외부 세계 간의 무선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무선 접속은 임의의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접속(172)으로의 및 통신 접속(172)으로부터의 전송은 운영 체제(164)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상술한 명세, 예시 및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합물의 이용 및 제조의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멋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 - 복수의 표음 문자가 상기 키패드 상의 상기 키들 중 적어도 일부에 매핑되고 상기 매핑되는 표음 문자의 개수는 상기 키들의 개수보다 많음 - , 및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한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IME(Input Method Editor)
    를 포함하는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복수의 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음 문자의 일부가 각 키패드 계층에 매핑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층은 자음 계층, 모음 계층, 및 성조 계층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음 문자들 중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문자들은 상기 키패드 상의 동일 키에 매핑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상의 키의 개수는 대략 10개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모바일폰,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 및 모바일 컴퓨팅 장치 중 하나에 연결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의 개수는 대략 4개인 장치.
  8.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복수의 표음 문자를 키에 매핑하는 단계 - 상기 키의 개수는 상기 표음 문자의 개수보다 적음 - ,
    상기 키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한자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음 문자를 키에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표음 문자를 서로 다른 계층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음 문자를 서로 다른 계층에 매핑하는 단계는 자음 계층, 모음 계층, 및 성조 계층 중 하나에 상기 표음 문자 각각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표음 문자의 발음이 제2 표음 문자의 발음과 유사한 경우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발음들이 유사하다면, 상기 제1 표음 문자와 상기 제2 표음 문자를 동일한 키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개수는 42개보다 적은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자음, 모음, 및 성조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 경우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의 개수는 4개인 방법.
  15.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가지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약 42개의 표음 문자를 키패드 상의 복수의 키에 매핑하는 것 - 상기 키의 개수는 상기 표음 문자의 개수보다 적으며, 상기 표음 문자는 상기 키패드에 관련된 서로 다른 계층에 매핑됨 -,
    상기 키들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것, 및
    상기 획득된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한자를 생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가지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음 문자를 키에 매핑하는 것은 상기 표음 문자를 4개의 서로 다른 계층에 매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음 문자를 상기 서로 다른 계층에 매핑하는 것은 자음 계층, 모음 계층, 중모음 계층 및 성조 계층 중 하나에 상기 표음 문자 각각을 매핑하는 것을 포 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표음 문자들을 동일한 키에 매핑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개수는 약 12개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상기 입력이 자음, 모음, 및 성조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 경우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77029135A 2005-06-14 2006-05-08 키패드를 이용하는 표음식 입력 KR101260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065705P 2005-06-14 2005-06-14
US60/690,657 2005-06-14
US11/292,826 2005-12-02
US11/292,826 US8032357B2 (en) 2005-06-14 2005-12-02 Phonetic input using a key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864A true KR20080014864A (ko) 2008-02-14
KR101260087B1 KR101260087B1 (ko) 2013-05-02

Family

ID=3752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135A KR101260087B1 (ko) 2005-06-14 2006-05-08 키패드를 이용하는 표음식 입력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32357B2 (ko)
EP (1) EP1891736A4 (ko)
JP (1) JP4960959B2 (ko)
KR (1) KR101260087B1 (ko)
CN (1) CN101180798B (ko)
TW (1) TWI408905B (ko)
WO (1) WO20061379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3651A (ja) * 2004-12-03 2006-06-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フォントデータ
US8032357B2 (en) * 2005-06-14 2011-10-04 Microsoft Corporation Phonetic input using a keypad
US8413069B2 (en) * 2005-06-28 2013-04-02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completion of composite characters
US20080120541A1 (en) * 2006-11-22 2008-05-22 Dynacomware Taiwan Inc.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retrieval and typing of non-standard characters
US20080211777A1 (en) * 2007-03-01 2008-09-04 Microsoft Corporation Stroke number input
US8316295B2 (en) * 2007-03-01 2012-11-20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language model
US8677237B2 (en) * 2007-03-01 2014-03-18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ed pinyin and stroke input
US8862989B2 (en) * 2008-06-25 2014-10-14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input method editor dictionary
US8564541B2 (en) * 2009-03-16 2013-10-22 Apple Inc. Zhuyin input interface on a device
WO2010131256A1 (en) * 2009-05-13 2010-11-18 Rajesh Mehra A keyboard for linguistic scripts
CN101989169A (zh) * 2009-07-29 2011-03-23 摩托罗拉移动公司 用于输入中文字符的方法和装置
TWI397001B (zh) * 2009-09-21 2013-05-21 Inst Information Industry 電子裝置之注音輸入系統與方法
CN102063198A (zh) * 2011-01-07 2011-05-18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中文输入方法
CN102214005B (zh) * 2011-02-15 2013-11-06 余柠 多层面映射交互式输入键盘
CN103019402A (zh) * 2011-09-28 2013-04-03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一种汉字输入方法、键盘及包含该键盘的电子设备
US10496276B2 (en) 2013-09-24 2019-1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Quick tasks for on-screen keyboards
CN108459734A (zh) * 2017-02-17 2018-08-28 李建文 浓缩式快捷拼音输入方法及其系统
RU2671043C1 (ru) 2017-06-15 2018-10-29 Борис Михайлович ПУТЬКО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клавиатура для ввода иероглифов
CN110580126B (zh) * 2018-06-11 2022-01-1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虚拟键盘和基于虚拟键盘的输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312A (ja) 1996-08-29 1998-04-24 Kinryu Cho 中国文字表音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EP0898222A4 (en) * 1997-01-24 2005-05-25 Misawa Homes Co KEYBOARD
US6161116A (en) * 1997-09-23 2000-12-12 Saltzman; Lawrence A. Ideogrammatic character editor method and apparatus
US6005498A (en) * 1997-10-29 1999-12-21 Motorola, Inc. Reduced keypad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7257528B1 (en) * 1998-02-13 2007-08-14 Zi Corporation Of Can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JP2000235567A (ja) * 1999-02-17 2000-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声調符号無入力式中国語文字変換装置
JP2000305924A (ja) * 1999-04-16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数字キーによる漢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TW546943B (en) * 1999-04-29 2003-08-11 Inventec Corp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with virtual keyboard
FI112978B (fi) * 1999-09-17 2004-02-13 Nokia Corp Symbolien syöttö
US6809725B1 (en) * 2000-05-25 2004-10-26 Jishan Zhang On screen chinese keyboard
WO2002052816A1 (en) 2000-12-26 2002-07-04 Min-Kyum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on keypad
JP2002312111A (ja) 2001-04-11 2002-10-25 Iirii Roku 情報端末機器に用いられる九宮格式選択の直観的入力法
JP4627380B2 (ja) 2001-04-17 2011-02-09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の植付部
JP3842651B2 (ja) 2001-06-13 2006-11-08 富士通株式会社 中国語入力プログラム
AUPR687701A0 (en) * 2001-08-08 2001-08-30 Litster, Gregory Joh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ymbols in ideographic languages
US6847311B2 (en) * 2002-03-28 2005-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061403B2 (en) * 2002-07-03 2006-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of ideographic Korean syllables from reduced keyboard
US20040021641A1 (en) * 2002-07-30 2004-02-05 Men-Jaw Ho Method for inputting a chinese character with phonetic symbols
US7256769B2 (en) * 2003-02-24 2007-08-14 Zi Corporation Of Canada, Inc.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on a reduced keyboard
US7395203B2 (en) * 2003-07-30 2008-07-01 Tegic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phonetic input
JP2005078211A (ja) * 2003-08-28 2005-03-24 Fujitsu Ltd 中国語入力プログラム
US8032357B2 (en) * 2005-06-14 2011-10-04 Microsoft Corporation Phonetic input using a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087B1 (ko) 2013-05-02
TW200707917A (en) 2007-02-16
JP4960959B2 (ja) 2012-06-27
WO2006137995A3 (en) 2007-08-02
JP2008547085A (ja) 2008-12-25
WO2006137995A2 (en) 2006-12-28
US8032357B2 (en) 2011-10-04
CN101180798A (zh) 2008-05-14
EP1891736A4 (en) 2009-11-11
EP1891736A2 (en) 2008-02-27
CN101180798B (zh) 2011-05-11
TWI408905B (zh) 2013-09-11
US20060282583A1 (en)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087B1 (ko) 키패드를 이용하는 표음식 입력
US7715882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JP2008533579A (ja) テキスト予測編集の方法及び装置
JP2007514363A (ja)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該入力方法
JP4966628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TWI475405B (zh) 電子裝置及其文字輸入介面顯示方法
KR101454523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988606B1 (ko) 여섯 키를 이용한 알파벳 및 한글 매핑 방법
KR20000051881A (ko) 전화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129438A (ja) 携帯入力装置
KR20080095823A (ko) 문자입력방식의 선택이 가능한 다국어 메일링 장치 및 방법
JP2002297577A (ja) 中国語入力変換処理装置、中国語入力変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agoá et al. Blono: a new mobile text-entry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228038B1 (ko) 무선 단말에서 빠른 타자 수단을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및방법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100980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2256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04030442A (ja) かな/カナ文字入力装置
KR20060018565A (ko)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
KR200200784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1424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입력방법
KR20070111681A (ko)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40069231A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60376A (ko)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키맵을 갖는 키패드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