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681A -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681A
KR20070111681A KR1020060044775A KR20060044775A KR20070111681A KR 20070111681 A KR20070111681 A KR 20070111681A KR 1020060044775 A KR1020060044775 A KR 1020060044775A KR 20060044775 A KR20060044775 A KR 20060044775A KR 20070111681 A KR20070111681 A KR 20070111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jog shuttle
input
charact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순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4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1681A/ko
Publication of KR20070111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회전에 의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조그셔틀, 조그셔틀이 선택한 문자를 입력하는 선택키, 조그셔틀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을 복수의 모드로 지정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조그셔틀에 의해 선택하고자 문자가 나열되도록 모드를 선택하거나 변환하는 문자모드키를 포함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조그셔틀, 문자모드키

Description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easily using jog shuttle}
도 1은 종래의 키입력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2개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3개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50: 조그셔틀입력부 160: 메모리
180: 제어부 241: 조그셔틀
242: 볼록부 243: 선택키
250: 문자모드키
본 발명은 조그셔틀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쉽게 입력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그셔틀을 구비한 전자기기에서 조그셔틀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플레이어 같은 경우 비디오의 재생동작을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지능형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쌍방향 통신 기능과 메모리가 포함된 전자기기 등은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입력하기 쉬운 문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그셔틀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게임기, 디지털 텔레비전, 네비게이션(Navigation), 리모콘 등을 포함하며,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문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는 전자기기로 대표적인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들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를 위한 단말기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생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간편하고 저렴하게 문자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이나 이메일(E-mail) 서비스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이 점차 본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에 대한 면적을 줄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키입력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100)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숫자의 입력에 용이한 메트릭스(Matrix)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메트릭스 구조는 복수의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기 위해 최소한의 면적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100)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숫자 키버튼과 동일한 키버튼을 사용하게 됨으로서, 제한된 버튼 수를 갖는 이동통신 단 말기의 구조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는 경우 하나의 버튼에 여러 문자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한글을 단말기의 키를 이용하여 완성형 한글로 표시하기 위해서, 단말기에 마련된 12개 정도의 숫자키(1,2,3,4,5,6,7,8,9,0,*,#)로 각각의 모음 및 자음에 대응하는 입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키입력부(100)를 통해 문자 등을 입력할 경우, 그 크기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입력 동작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문자 중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한글의 특징인 쌍자음(ㄲ, ㄸ, ㅃ, ㅆ, 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 재출자모음(ㅑ, ㅕ, ㅛ, ㅠ,), 합용자모음(ㅘ, ㅝ) 및 상합자모음(ㅐ, ㅒ, ㅚ, ㅟ, ㅙ, ㅞ)을 작성하는 데 있어 버튼을 두 번 이상 눌러야 입력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거의 모든 키버튼에 3개 정도의 자소(字素)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판을 기억하기 어렵고, 또 자소를 입력할 때 키를 눌러야 하는 횟수가 자연히 많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입력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마다 다른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변경할 경우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에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 입력을 위한 기존의 메트릭스 구조의 버튼 입력부보다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조그셔틀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문자모드키를 별도로 두어 한글의 특성상 입력하기 어려운 쌍자음, 재출자모음, 합용자모음 및 상합자모음이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문자모드키를 별도로 두어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사용빈도에 따라 문자를 나열하고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회전에 의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로 선택하는 조그셔틀, 조그셔틀이 선택한 문자를 입력하는 선택키, 조그셔틀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을 복수의 모드로 지정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조그셔틀에 의해 선택하고자 문자가 나열되도록 모드를 선택하거나 변환하는 문자모드키를 포함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모드는 한글의 단자음, 기본모음, 초출자모음 및 재출자모음을 포함하는 제 1 모드 및 한글의 쌍자음, 합용자모음 및 상합자모음을 포함하는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드 및 상기 제 2 모드에서 조그셔틀은 한방향으로 회전하면 자음이 나열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모음이 나열되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조그셔틀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대한 사용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모드는 상기 사용이력 정보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으로 지정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는 사용이력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별로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의 그룹인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가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인 경우, 모드는 착신번호별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의 그룹인 제 4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조그셔틀은 제 1 조그셔틀 및 제 2 조그셔틀로 구성되어 제 1 조그셔틀은 자음을 나열하여 선택하고, 제 2 조그셔틀은 모음을 나열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하여 예시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등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하게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 뿐 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을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상술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에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그셔틀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게임기, 디지털 텔레비전, 네비게이션(Navigation), 리모콘 등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하며, 이후 개발될 수 있는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기기의 일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10), 송수신한 무선 신호를 변복조하고 신호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입력부(130), 키입력부(140), 조그셔틀입력부(150), 메모리(160),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로 구성된다.
안테나(110)는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통신을 수행하기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입력부(130)는 사람의 음성 또는 그 이외의 음향을 입력하거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입력한다.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입력부(13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또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키입력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들이다. 예를 들면, 메뉴키, 통화키, 종료키, 확인키 및 취소키 등의 기능키를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문자 입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문자모드키를 포함할 수 있다.
조그셔틀입력부(150)는 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회전에 의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조그셔틀입력부(150)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메모리(16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60)는 사용자가 서비스와 관련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문자 입력 사용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180)에 제어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문자가 분류되어 그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사용이력 정보의 갱신이 가능하며, 전원의 공급이 중지되어도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저장 용량에 따라 사용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종래 데이터 중 오래된 데이터 순으로 순차적으로 소거하여 계속 갱신하게 하는 데이터 소거 저장 알고리즘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새로운 사용이력 정보를 시간순으로 계속하여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70)는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이다.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출력부(170)는 디 스플레이 장치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제어부(180)은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및 부가기능을 수행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문자입력을 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문자입력에 대한 사용이력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도록 메모리(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오디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210),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220),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 및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230),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선택하기 위한 조그셔틀부(240), 선택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키(243), 문자 입력시 문자입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문자모드키(250)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260)을 포함한다.
마이크(210)는 사용자의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신호 처리되어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스피커(2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키(230)들은 일반적으로 음성통화 또는 부가기능 수행을 위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통화 및 종료 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 취소, 확인 키 등을 들 수 있다. 기능키(230)는 문자입력을 위해 문자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및 전화번호 또는 주소 저장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을 위한 조그셔틀부(240)는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또는 모음를 선택하는 조그셔틀(241)과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한 볼록부(242)를 포함한다.
조그셔틀(241)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부분으로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한다. 조그셔틀(241)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회전 중심축 및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 등이 포함된다. 조그셔틀(241)은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오디오기기의 볼륨조절장치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볼록부(242)는 사용자가 조그셔틀(241)로 회전시키는 데 있어서 미끄럼 등이 없도록 조그셔틀(241) 상단에 구비된다.
선택키(243)는 조그셔틀(241)이 선택한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이다. 선택키(243)은 사용자의 입력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조그셔틀(241)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한쪽 손은 조그셔틀(241) 상부에 위치하고 다른 손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다 른 손을 이용하여 선택키(243)이 누르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선택키(24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변경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문자모드키(250)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을 복수의 모드로 지정하고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변환한다. 문자모드키(250)은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방식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인 모드를 변경하고 조그셔틀(241)를 이용하여 더욱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모드키(250)는 단자음, 기본모음 및 초출자모음을 포함하는 제 1 모드 및 쌍자음, 재출자모음, 합용자모음 및 상합자모음을 포함하는 제 2 모드로 나누어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신속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자모드키(250)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자입력 사용이력에 의해 사용하는 서비스별 사용빈도가 높은 순에 따라 일반적인 자음 또는 모음의 나열순서가 변경된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착신번호별로 사용빈도가 높은 순을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의 나열순서가 지정되는 제 4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에 제 3 모드 또는 제 4 모드가 결합되어 제 5 모드 및 제 6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모드 및 제 6 모드는 사용자의 문자입력 사용이력에 의하여 서비스 별, 착신번호 별 제 1 모음 및 제 2 모드의 자음 및 모음의 나열 순서가 변경된 모드일 수 있다. 문자모드키(250)는 입력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 며, 조그셔틀부(240)과 일체로 결합되어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그셔틀(241)의 중심축과 결합되어 조그셔틀의 회전 원주 중심에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그셔틀(241)에 의한 문자의 입력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문자,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 중 문자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동일한 입력 방법이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문자,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은 기능키(230) 중 하나에 의해 메시지를 작성하는 부가기능을 선택한 후 문자 모드, 영문자 모드, 숫자 모드 및 특수 문자 모드에서 각각 입력이 가능하다. 문자 모드, 영문자 모드, 숫자 모드 및 특수 문자 모드는 기능키(230) 중 하나에 의해 변환될 수 있으며(예를 들면, 기능키(230) 중 메뉴 키) 별도로 변환을 위한 키 버튼을 구비하여 모드 변환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먼저 입력을 원하는 문자의 모드를 선택한 후 이하 설명할 입력 방식에 의해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문자모드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문자 입력의 경우, 자음은 조그셔틀(241)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단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부터 쌍자음(ㄲ, ㄸ, ㅃ, ㅆ, 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순으로 나열되어 선택되고 선택키(243)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모음은 조그셔틀(241)을 왼쪽으 로 회전하는 경우에 기본모음(ㅡ,ㅣ), 초출자모음(ㅏ, ㅓ, ㅗ, ㅜ), 재출자모음(ㅑ, ㅕ, ㅛ, ㅠ,), 합용자모음(ㅘ, ㅝ) 및 상합자모음(ㅐ, ㅒ, ㅚ, ㅟ, ㅙ, ㅞ) 순으로 나열되어 선택되고 선택키(243)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순서와 같이 자음 및 모음을 나열하는 경우에는 종래에 키버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과 같이 뒷부분에 나열된 문자의 입력을 위해 조그셔틀(241)의 회전 동작 동안 시간적인 지연이 발생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나열순서에 대한 혼돈이 생겨 입력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문자모드키(250)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입력속도를 더욱 신속하게 하고 사용자에게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을 모드로 지정하고 문자모드키(250)가 모드를 선택하거나 변경한다. 조그셔틀(241)은 선택된 모드에 포함되는 문자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도 4 내지 도 6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기능키(2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위한 기능을 선택한다. 문자모드키(250)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이 모드로 지정되어 모드를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 다. 예를 들면, 제 1 모드에는 단자음, 기본모음, 초출자모음 및 재출자모음을 포함되어 있고, 제 2 모드에는 쌍자음, 합용자모음 및 상합자모음을 포함된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그셔틀(241)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모드의 단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이 디스플레이(260)에 나열되고 조그셔틀(241)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단자음을 선택하고 선택키(243)을 눌러 해당 단자음을 입력한다. 또한, 조그셔틀(241)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모드의 기본모음, 초출자모음 및 재출자모음(ㅡ,ㅣ, ㅏ, ㅓ, ㅗ, ㅜ, ㅑ, ㅕ, ㅛ, ㅠ,)이 나열되어 조그셔틀(241)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모음을 선택하고 선택키(243)을 눌러 해당 모음이 입력된다. 만약, 쌍자음(ㄲ, ㄸ, ㅃ, ㅆ, 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 또는 합용자모음(ㅘ, ㅝ) 및 상합자모음(ㅐ, ㅒ, ㅚ, ㅟ, ㅙ, ㅞ)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는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여 제 2 모드로 변환하고 제 1 모드에서 입력한 방식과 동일하게 조그셔틀(241)을 좌우로 회전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고 선택키(243)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하기 어려운 자음 및 모음을 제 2모드로 설정하고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여 모드 변환 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 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기능키(2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위한 기능을 선택한다. 문자모드키(250)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이 모드로 지정되어 모드를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여 문자모드를 제 3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자입력 사용이력 정보에 의해 서비스별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분류된 자음 및 모음의 그룹을 모드로 지정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서비스는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에서 검색 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등이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타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 별로 별도의 사용빈도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3 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그셔틀(241)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제 3 모드의 자음 또는 모음(ㅇ, ㅏ, ㄴ, ㅕ, ㅁ, ㅟ, …)이 서비스 별 사용빈도가 높은 순에 의해 나열되어 조그셔틀(241)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고 선택키(243)을 누름으로서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된다.
물론 제 3 모드 또한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와 결합되어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의 자음 및 모음의 나열순서가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별로 사용빈도가 높은 순에 따라 나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기능키(23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위한 기능을 선택한다. 문자모드키(250)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문자의 자음 및 모음을 복수의 그룹(group)으로 분류되어 있다.
사용자가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여 제 4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로 메모리(160)에 저장된 문자입력 사용이력 정보에 의해 착신번호별 사용빈도가 높은 순에 의해 분류된 자음 또는 모음의 그룹을 모드로 지정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여 제 4 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자입력 사용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번호 별로 사용빈도가 높은 순에 따라 지정된 자음 및 모음의 그룹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문자모드키(250)을 이용하여 제 4 모드를 설정하면, 문자메시지 서비스 창이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고 먼저 착신번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신번호를 입력하면, 제 4 모드에 해당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디스플레이(160)에 나열된다. 사용자가 조그셔틀(241)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160)에 나열된 자음 및 모음(ㅅ, ㅏ, ㄹ, ㅇ, ㅎ, ㅐ, …)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키(243)을 눌러 해당 자음 또는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물론 제 4 모드는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와 결합되어 제 1 모드 및 제 2 모 드의 자음 및 모음의 나열순서가 착신번호 별로 사용빈도가 높은 순에 따라 나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2개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조그셔틀(710) 및 제 2 조그셔틀(720)을 구비하여 문자 입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조그셔틀 2개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도 3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조그셔틀 2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한쪽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 1 조그셔틀(71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 1 모드의 단자음이 나열되어 선택하고자 하는 단자음을 선택할 수 있으며,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는 제 2 모드의 쌍자음이 나열되어 선택하고자 하는 쌍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도 사용자가 다른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 2 조그셔틀(72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 1 모드의 기본 모음, 초출자모음, 재출자 모음이 나열되어 선택 입력이 가능하며,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 2 모드의 합용자모음 및 상합자모음이 나열되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조그셔틀(710) 및 제 2 조그셔틀(720)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는 횟수가 더욱 줄게 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3 모드 및 제 4 모드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그셔틀을 3개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조그셔틀(810), 제 2 조그셔틀(820) 및 제3 조그셔틀(830)을 직각형태의 모양으로 구비하여 문자 입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에는 기능키(840), 제 1 조그셔틀(810) 및 제 2 조그셔틀(820)은 위치하며, 제 3 조그셔틀(830)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조그셔틀(810)을 회전시켜 단자음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 2 조그셔틀(820)을 회전시켜 기본모음, 초출자모음 및 재출자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3 조그셔틀(830)을 회전하여 쌍자음, 합용자 및 상합자를 선택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제 1 조그셔틀(810), 제 2 조그셔틀(820) 및 제 3 조그셔틀(830)의 모양이 직각형태인 것은 사용자가 조그셔틀을 회전하는 경우 직각의 모서리로 인하여 회전시키는 데 더욱 편리하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제 1 조그셔틀(810), 제 2 조그셔틀(820) 및 제 3 조그셔틀(83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문자모 키(250)를 이용하여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를 변환할 필요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제 3모드 및 제 4모드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문자모드키(250)를 이용하여 입력 모드를 변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쉽게 하는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입력을 예로 들어 기술하였지만, 동일한 방법을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입력을 위한 기존의 메트릭스 구조의 버튼 입력부보다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조그셔틀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문자모드키를 별도로 두어 한글의 특성상 입력하기 어려운 쌍자음, 재출자모음, 합용자모음 및 상합자모음이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문자모드키를 별도로 두어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사용빈도에 따라 문자를 나열하고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 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회전에 의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로 선택하는 조그셔틀;
    상기 조그셔틀이 선택한 문자를 입력하는 선택키;
    상기 조그셔틀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을 복수의 모드로 지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조그셔틀에 의해 선택하고자 문자가 나열되도록 상기 모드를 선택하거나 변환하는 문자모드키
    를 포함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한글의 단자음, 기본모음, 초출자모음 및 재출자모음을 포함하는 제 1 모드; 및
    한글의 쌍자음, 합용자모음 및 상합자모음을 포함하는 제 2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 및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조그셔틀은 한방향으로 회전하면 자음이 나열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모음이 나열되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셔틀을 이용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대한 사용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는 상기 사용이력 정보에 의해 분류된 문자의 그룹으로 지정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상기 사용이력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별로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의 그룹인 제 3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문자메시지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가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인 경우, 상기 모드는 착신번호별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의 그룹인 제 4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셔틀은 제 1 조그셔틀 및 제 2 조그셔틀로 구성되어 제 1 조그셔틀은 자음을 나열하여 선택하고, 제 2 조그셔틀은 모음을 나열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전자기기.
KR1020060044775A 2006-05-18 2006-05-18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70111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775A KR20070111681A (ko) 2006-05-18 2006-05-18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775A KR20070111681A (ko) 2006-05-18 2006-05-18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681A true KR20070111681A (ko) 2007-11-22

Family

ID=3909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775A KR20070111681A (ko) 2006-05-18 2006-05-18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16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790A1 (ko) * 2019-01-02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790A1 (ko) * 2019-01-02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087B1 (ko) 키패드를 이용하는 표음식 입력
JP6245788B2 (ja) 情報入力装置
US200400677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tering text
JP2008533579A (ja) テキスト予測編集の方法及び装置
JP2007514363A (ja)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該入力方法
KR101161763B1 (ko) 개선된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처리 장치
US2011017582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haracter input screen display methods, and programs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0370528B1 (ko) 휴대 단말 장치
KR20070111681A (ko) 회전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JP2007226712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言語選択方法
JP2008287318A (ja) 情報通信端末
JP2004032489A (ja) 文章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0267794A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391577B1 (ko) 방위형 문자 입력 장치
WO2011037230A1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2005002256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5100044A (ja)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20040060376A (ko)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키맵을 갖는 키패드 및 그 운영방법
KR20070077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모드 전환방법 및 그 장치
JP2002251252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その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文字表示方法
KR20030094811A (ko) 통신기기용 다국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국어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